KR20100007981A -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981A
KR20100007981A KR1020097025761A KR20097025761A KR20100007981A KR 20100007981 A KR20100007981 A KR 20100007981A KR 1020097025761 A KR1020097025761 A KR 1020097025761A KR 20097025761 A KR20097025761 A KR 20097025761A KR 20100007981 A KR20100007981 A KR 2010000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de
image
unit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쯔찌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는 촬영부(19)와 촬영부(19)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22)와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부(24)를 구비하고, 촬영부(19)는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에 따라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용이하게 절환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촬영부, 화상 취득부, 촬영 모드, 피사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 PROGRAM THEREIN}
본 발명은, 피사체의 종류를 인식하여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절환되는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 전화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는 피사체에 따라 복수의 촬영 모드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모드로서는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 판독 모드, 바코드를 식별하는 바코드 판독 모드, 인물이나 풍경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절환은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킨 후에 유저가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킨 경우 디폴트의 촬영 모드에 의 해 기동하거나, 전회에 사용한 촬영 모드에 의해 기동하거나 한다. 그로 인해, 상기 촬영 수단을 기동시켰을 때의 촬영 모드와 다른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려는 경우에는 유저가 촬영 모드를 수동으로 절환해야 하므로 조작이 번잡했다.
따라서, 복수의 촬영 모드의 절환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기술이 특허 문헌1 내지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바코드 등을 병용한 야경, 스포츠, 매크로 등의 씬별 샘플 화면을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촬영된 샘플 화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디지털 카메라 내에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스트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바코드 중 하나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읽어들인 데이터별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동작 모드 정보를 포함한 바코드를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블록을 사용하여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원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예를 들어 조리개 정보나 셔터 속도 정보 등을 나타내는 바코드를 코드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된 코드 신호에 대응하는 카메라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카메라 본체에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28784호(2004 년 8월 12일 공개)」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28785호(2004년 8월 12일 공개)」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평5-120466호(1993년 5월 18일 공개)」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평2-311830호(1990년 12월 27일 공개)」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1개의 촬영 모드 정보를 포함한 바코드를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촬영 모드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동작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원하는 프로그램을 카메라 본체에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즉,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미리 각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동작의 프로그램에 따른 바코드 등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높아져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유저는 원하는 촬영 모드 또는 원하는 카메라 동작의 프로그램에 대응한 바코드를 촬영 수단 등에 의해 판독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용이하게 절환되는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피사체가 문자, 바코드, 컬러 코드 등과 같은 특별한 촬영 모드로 하지 않으면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피사체를 식별하여 피사체에 따른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용이하게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취득한다.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은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 판정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촬영 수단은 피사체에 따른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촬영 모드로서는, 예를 들어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 판독 모드,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바코드 판독 모드, 인물이나 풍경 등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모드, 컬러 코드를 식별하는 컬러 코드 판독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어지는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인증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각 촬영 모드와,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상기 각 촬영 모드로 분류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에 대응시킨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문자 판독 모드, 바코드 판독 모드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드의 화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 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처리 수순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상기 제2 실시예의 처리 수순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2 실시예의 처리 수순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휴대 단말기
10 : 안테나부
11 : 무선 처리부
12 : 음성 처리부
13 : 음성 입력부
14 : 음성 출력부
15 : 데이터 처리부
16 : 조작부
17 : 기억부
18 : 표시부(통지 수단)
19 : 촬영부
20 : 전원부
21 : 주제어부
22 : 화상 취득부(화상 취득 수단)
23 :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인증 범위 잘라내기 수단)
24 : 촬영 모드 판정부(촬영 모드 판정 수단)
25 : 촬영 모드 절환부(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 촬영 후처리 절환 수단)
26 : 촬영 후처리부(촬영 후처리 수단)
27 : 문자 특정부
28 : 1차원 바코드 특정부
29 : 2차원 바코드 특정부
30 : 문자 판독 모드 후처리부
31 : 바코드 판독 모드 후처리부
32 : 디지털 카메라 모드 후처리부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휴대 단말기의 전체 구성〕
우선,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는 안테나부(10)와, 무선 처리부(11)와, 음성 처리부(12)와, 음성 입력부(13)와, 음성 출력부(14)와, 데이터 처리부(15)와, 조작부(16)와, 기억부(17)와, 표시부(통지 수단)(18)와, 촬영부(촬영 수단)(19)와, 전원부(20)와, 주제어부(21)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이며, 휴대 가능한 구성의 단말 장치이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가 주제어부(21)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주제어부(21) 이외의 구성 요소는 휴대 단말기(1)의 각종 기능을 행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1)는 주제어부(21)가 구성 요소에 의해 행하여지는 휴대 단말기(1)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하에, 휴대 단말기(1)의 각종 기능을 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테나부(10)는 전파를 외부로 송출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전파를 받기 위한 것이다.
무선 처리부(11)는 음성 처리부(12) 또는 데이터 처리부(1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선 송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부(10)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 처리부(11)는 외부로부터 안테나부(1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를 원래의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12) 또는 데이터 처리부(15)로 송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처리부(11)에서는 채널 코덱 처리,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데이터의 변복조 처리, RF(Radio Frequency) 처리 등이 행하여진다.
음성 처리부(12)는 음성 입력부(13)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소정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처리부(11)로 송신함과 함께 무선 처리부(11)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14)로 송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처리부(12)는 A/D 변환기, D/A 변환기, 앰프, 음성 코덱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음성 입력부(13)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파를 전기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처리부(12)로 송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입력부(13)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음성 출력부(14)는 음성 처리부(12)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출력부(14)는 스피커, 이어폰, 음성 출력용 커넥터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데이터 처리부(15)는 주제어부(21)로부터의 데이터를 소정 형식의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무선 처리부(11)로 송신함과 함께 무선 처리부(11)로부터의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주제어부(21)로 송신하는 것이다.
조작부(16)는 휴대 단말기(1)의 표면에 설치된 메인 조작 버튼군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조작 데이터를 작성하여 주제어부(21)로 송신하는 것이다. 입력 디바이스로서는 버튼 스위치 외에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16)는 촬영 모드 판정 처리를 개시할 때에 유저에게 압하되는 판정 개시 버튼 및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유저에게 압하되는 셔터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7)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다. 기억부(17)의 예로서는 주제어부(21)가 동작할 때에 필요한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등의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읽어내기 전용의 반도체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과, 바코드 인식이나 통신에 관한 데이터,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 및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소위 워킹 메모리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부(17)는 플래시 메모리나 EEPROM 등과 같이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실현되며, 휴대 단말기(1)가 구비하는 촬영부(19)에 의해 촬영된 텍스트 데이터, 바코드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나 주제어부(21)에 의한 촬영 모드의 판정 시에 참조하는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을 기억해 두어도 된다.
표시부(18)는 주제어부(21)로부터 화상, 텍스트, 동화상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시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텍스트, 동화상 등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용 데이터란, 표시부(18)의 표시 화면에 묘화 되는 1화면분의 정보이다.
촬영부(19)는 피사체의 촬영을 행하여 화상, 동화상 등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부(19)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RGB 각 색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촬영부(19)는 생성된 데이터를 주제어부(21)로 송신한다.
전원부(20)는 휴대 단말기(1) 내의 각종 구성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전원부(20)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전원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주제어부(21)는 휴대 단말기(1) 내의 각종 구성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주제어부(21)의 기능은, 예를 들어 RA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의 구성〕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의 전체 구성 중에서 본 발명에 관한 주요한 구성에 대하여 도 1,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
우선,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기(1)는 조작부(16)와, 기억부(17)와, 촬영부(19)와, 화상 취득부(화상 취득 수단)(22)와,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인증 범위 잘라내기 수단)(23)와, 촬영 모드 판정부(촬영 모드 판정 수단)(24)와, 촬영 모드 절환부(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 촬영 후처리 절환 수단)(25)와, 촬영 후처리부(촬영 후처리 수단)(26)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취득부(22),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 촬영 모드 판정부(24), 촬영 모드 절환부(25) 및 촬영 후처리부(26)는 주제어부(21)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에서는, 촬영부(19)는 특히 피사체에 따라 절환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로부터 선택한 1개의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란,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 판독 모드,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바코드 판독 모드, 풍경이나 인물 등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드를 가리킨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는 상기 3개의 촬영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컬러 코드를 식별하는 컬러 코드 판독 모드 등의 다른 촬영 모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문자 판독 모드, 바코드 판독 모드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의 화면 크기, 화각, 초점 거리 및 밝기의 일례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76207061-PCT00001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 또는 셔터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상 취득부(22)가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에 취득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판정용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 또한, 화상 취득부(22)가 조작부(16)를 통하여 셔터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에 취득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촬영용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내는 것이다.
또한, 촬영 모드를 판정하기 위한 인증 범위를 잘라내는 대상이 되는 판정용 화상 데이터는 촬영부(19)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있어서의,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의 잘라내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인증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되는 판정용 화상 데이터 전체를 사용한 경우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다른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사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와 꽃이 촬영되어 있으면 촬영 모드를 하나로 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가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냄으로써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다른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사체가 촬영되어 있다고 해도 원하는 피사체를 인증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촬영부(19)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원하는 피사체에 적합한 촬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범위로서는 표시부(18)에 미리 설정된 범위가 표시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후에 유저가 임의의 범위를 선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18)와 일체가 된 터치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직접 유저가 접촉하여 인증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 판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과 합치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로부터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문자 특정부(27)와,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와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정 처리가 행하여지는 순서와, 복수의 촬영 모드의 종류, 즉 문자 판독 모드, 1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 및 2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와,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상기 각 촬영 모드로 분류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다.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란, 문자 판독 모드인 경우에는 한자, 히라가나, 카다카나, 숫자, 알파벳 등의 문자의 표준 패턴 또는 특징점의 상대 위치이며, 1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인 경우에는 복수의 특징선 및 스타트/스톱 캐릭터이며, 2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인 경우에는 잘라내기 심벌이다.
문자 특정부(27)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의 문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 판정 방법으로서는 패턴 매칭 방식 또는 특징점 추출 방식을 들 수 있다.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의 1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특징적인 복수의 코드 및 스타트/스톱 캐릭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의 2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잘라내기 심벌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 피사체로서는 예를 들어 문자, 바코드, 컬러 코드, 풍경, 인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들의 피사체 중 특히, 문자 및 바코드인 경우에는 촬영 모드를 인물이나 풍경 등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모드가 아니고,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특별한 식별 방법을 사용하는 문자 판독 모드나 바코드 판독 모드 등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17)에 촬영 모드로서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 판독 모드, 1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1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 및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2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와, 그들의 촬영 모드 판정 정보가 각각 대응지어진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촬영 모드 판정부(24)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특징과 합치하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상기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촬영 모드를 문자 및 바코드 이외를 식별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드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1)에서는 피사체가 문자 및 바코드와 같이 특별한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촬영 모드를 특별한 식별 방법을 사용하는 문자 판독 모드 및 바코드 판독 모드로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특정된 촬영 모드 판정 정보가 1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 또는 2차원 바코드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표시부(18)에 표시시켜도 되고, LED 등의 램프나, 음성에 의한 가이던스 등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시켜도 된다. 즉, 휴대 단말기(1)는 유저에게 판정 후의 촬영 모드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되며,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1)는 촬영 모드 판정부(24)가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구성이기는 하지만,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촬영된 문자가 뿌옇게 보이거나, 풍경의 일부에 문자나 바코드가 들어 있거나 하는 경우에는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한 촬영 모드의 판정이 잘못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촬영 모드 판정부(24)가 촬영 모드의 판정을 잘못해버린 경우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어느 촬영 모드인지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휴대 단말기(1)가 구비하지 않으면 피사체에 적합하지 않은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이 행하여져버린다.
따라서, 촬영 모드 판정부(24)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8)에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표시시킴으로써 유저는 어느 촬영 모드로 결정된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피사체에 적합하지 않다고 유저가 판단한 경우에는 유저는 촬영부(19)의 기동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촬영 모드의 결정 처리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사체에 적절한 촬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절환함과 함께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촬영 후처리부(26)를 절환하는 것이다.
또한, 촬영 모드 절환부(25)에 의해 촬영부(19)의 촬영 모드가 절환되면 표시부(18)에 표시되는 화상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판독 모드, 바코드 판독 모드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드의 각 촬영 모드에 따라 화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도 5는 문자 판독 모드, 바코드 판독 모드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드의 화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각 촬영 모드의 화각은 일례이며, 촬영 모드의 화각은 휴대 단말기의 촬영부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모든 휴대 단말기의 촬영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화각으로 절환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 후처리부(26)는 촬영부(19)가 촬영 모드 절환부(25)에 의해 절환된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고, 화상 취득부(22)가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촬영용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 촬영 모드에 대응한 모드의 후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촬영부(19)가 촬영 모드 절환부(25)에 의해 절환된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 어느 촬영 모드에 따라 촬영부(19)가 피사체를 촬영했는지에 따라 화상 취득부(22)가 취득한 촬영용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행하는 처리 내용이 상이해진다.
따라서, 촬영 후처리부(26)는 촬영부(19)가 문자 판독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의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문자 판독 모드 후처리부(30)와, 촬영부(19)가 바코드 판독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의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바코드 판독 모드 후처리부(31)와, 촬영부(19)가 디지털 카메라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의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드 후처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문자 판독 모드 후처리부(30)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문자 판독 모드 후처리부(30)는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부(18)에 표시시켜도 되고, 기억부(17)에 기억시켜도 된다.
바코드 판독 모드 후처리부(31)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촬영용 화상 데이터로 촬영되어 있는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로부터 바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코드 판독 모드 후처리부(31)는 바코드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표시부(18)에 표시시켜도 되고, 기억부(17)에 기억시켜도 되고, 데이터 처리부(15), 무선 처리부(11) 및 안테나부(10)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 모드 후처리부(32)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8)에 표시하거나, 기억부(17)에 기억하거나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촬영 후처리부(26)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촬영용 화상을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의 후처리를 행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촬영부(19)는 다음번 촬영 시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부(19)에 의해 연속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한 판정용 화상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대응할지를 매회 판정하지 않아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촬영마다 판정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연속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 수순의 제1 실시예〕
우선,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휴대 단말기(1)의 주제어부(21)는 촬영부(19)를 기동시켜 촬영부(19)의 렌즈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춘다. 또한, 여기에서는 주제어부(21)는 촬영부(19)의 렌즈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추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촬영부(19)로서 고정 초점의 카메라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제어부(21)는 촬영부(19)의 렌즈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출 필요는 없다.
그리고,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S1에서 "예"),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가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판정한다(S2).
또한,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에서 "아니오"), 다시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S3). 그리고,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피사체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판단시킨다(S4).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피사체에 대응하고 있다고 유저가 판단한 경우(S4에서 "예"),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촬영부(19)를 결정한 촬영 모드로 절환함과 함께 촬영 후처리부(26)를 결정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절환한다(S5). 또한,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피사체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유저가 판단한 경우(S4에서 "아니오"), 다시 S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셔터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셔터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S6에서 "예"),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촬영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촬영 후처리부(26)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용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 모드 판정부(24)에 의해 결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한 모드의 촬영 후처리를 행한다(S7).
또한,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셔터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6에서 "아니오"), 다시 S6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6의 S2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11). 그리고,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낸다(S12).
다음으로,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문자 특정부(27)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문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13). 그리고, 문자 특정부(27)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그리고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15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문자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16).
또한,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15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17).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8).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19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20). 그리고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19에서 "예"), 및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22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23).
또한,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22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디지털 카메라 모드로 결정한다(S24).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취득부(22)가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에 촬영 모드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영 모드의 판정 처리는 주제어부(21)가 촬영부(19)를 기동한 시점에서 개시해도 된다.
〔처리 수순의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처리 수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처리 수순 S5에 있어서 촬영부(19)를 결정한 촬영 모드로 절환함과 함께 촬영 후처리부(26)를 결정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절환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제1 실시예의 처리 수순 S5에 대응하는 본 실시예의 처리 수순 S35에 있어서는 촬영 후처리부(26)만을 결정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절환하고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처리 수순에서는 S32의 「촬영 모드의 판정」에 있어서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면서 촬영 모드의 판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적합한 촬영 모드가 결정된 후에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절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S31, S33, S34, S36, S3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S1, S3, S4, S6, S7과 각각 동일한 공정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처리 수순 S32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처리 수순 S32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화상 취득부(22)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41). 그리고,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낸다(S42).
다음으로,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문자 판독 모드로 절환한다(S43). 그리고,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문자 특정부(27)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문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44). 그리고, 문자 특정부(27)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5).
그리고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46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문자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47).
또한,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46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절환한다(S48). 그리고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49).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51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52). 그리고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3).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51에서 "예"), 및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54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55).
또한,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54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디지털 카메라 모드로 결정한다(S56).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16)가 화상 취득부(22)뿐만 아니라, 촬영 모드 절환부(25)에도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에 기억된 순서에 따라 절환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2 실시 형태는 조작부(16)가 촬영 모드 절환부(25)에도 접속되어 있는 것 이외는, 휴대 단말기(1)의 주요부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수순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제2 실시예의 처리 수순 S31 내지 S37과 마찬가지이나, S32의 「촬영 모드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면서 촬영 모드의 판정을 행하는 제2 실시예의 처리 수순 외에 추가로 촬영부(19)의 촬영 모드가 절환될 때마다 촬영부(19)가 피사체를 촬영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수순 S32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수순 S32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의 판정」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조작부(16)를 통하여 판정 개시 버튼의 유저에 의한 압하를 수신한 경우,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문자 판독 모드로 절환한다(S61). 그리고, 화상 취득부(22)는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문자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62). 그리고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문자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낸다(S63).
다음으로,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문자 특정부(27)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문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64). 그리고, 문자 특정부(27)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문자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5).
그리고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문자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66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문자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67).
또한, 문자 특정부(27)가 상기 문자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66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절환부(25)는 촬영부(19)의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절환한다(S68). 그리고 화상 취득부(22)는 촬영부(19)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69). 그리고,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는 화상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낸다(S70).
그리고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49).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2).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73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의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기억부(17)에 기억된 촬영 모드 판정 테이블로부터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S74). 그리고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부(23)에 의해 잘라내어진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5).
그리고 1차원 바코드 특정부(28)가 상기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1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73에서 "예"), 및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바코드 판독 모드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S76에서 "예"),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바코드 판독 모드로 결정한다(S77) .
또한, 2차원 바코드 특정부(29)가 상기 판정용 화상 데이터의 인증 범위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특징이 취득된 바코드 판독 모드(2차원)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판정 정보와 합치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76에서 "아니오"), 촬영 모드 판정부(24)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디지털 카메라 모드로 결정한다(S78).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휴대 단말기(1)의 각 블록, 특히 화상 취득부(22), 촬영 모드 판정부(24), 촬영 모드 절환부(25) 및 촬영 후처리부(26)는,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다음과 같이 CPU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즉, 휴대 단말기(1)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휴대 단말기(1)의 제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프로그램)를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상기 휴대 단말기(1)에 공급하여 그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기 실행함으로써도 달성 가능하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D-R 등의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광 카드 등의 카드계, 혹은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해도 된다. 이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 ISDN, VAN, CATV 통신망, 가상 전용망(virtual private network), 전화 회선망, 이동체 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 매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IEEE1394, USB, 전력선 반송, 케이블 TV 회선, 전화선, ADSL 회선 등의 유선이든, IrDA나 리모콘과 같은 적외선, Bluetooth(등록 상표), IEEE802.11 무선, HDR, 휴대 전화망, 위성 회선, 지상파 디지털망 등의 무선이든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피사체가 문자, 바코드, 컬러 코드 등과 같은 특별한 촬영 모드로 하지 않으면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피사체를 식별하여 피사체에 따른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용이하게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유저가 수동으로 촬영 모드를 절환하지 않고, 자동으로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조작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해 순서대로 절환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판정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의 절환을 정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과 비교하여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시점이 상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은, 상기 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저가 수동으로 촬영 모드를 절환하지 않고 자동으로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조작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은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해 촬영 모드가 절환된 상기 촬영 수단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저가 수동으로 촬영 모드를 절환하지 않고, 자동으로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조작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에 적합한 촬영 모드를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내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 판정하는 경우, 상기 화상에 다른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사체, 예를 들어 바코드와 인물이 촬영되면 촬영 모드를 하나로 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해, 인증 범위 잘라내기 수단이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촬영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냄으로써 상기 화상에 다른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사체가 촬영되어 있다고 해도 원하는 피사체를 인증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원하는 피사체에 적합한 촬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범위로서는 표시 수단에 미리 설정된 범위가 표시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화상을 취득한 후에 유저가 임의의 범위를 선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에 대하여, 상기 각 촬영 모드에 대응한 모드의 후처리를 행하는 촬영 후처리 수단과,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상기 촬영 후처리 수단을 절환하는 촬영 후처리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후처리는 피사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문자일 경우에는 피사체의 화상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피사체가 바코드일 경우에는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바코드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피사체가 인물이나 풍경 등일 경우에는 피사체의 화상을 메모리에 기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후처리 절환 수단이,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이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상기 촬영 후처리 수단을 절환함으로써 상기 화상을 피사체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이 피사체에 대응한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판정하는 구성이지만,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판정용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촬영된 문자가 뿌옇게 보이거나, 풍경의 일부에 문자나 바코드가 들어 있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한 촬영 모드의 판정이 잘못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이 촬영 모드의 판정을 잘못해버린 경우,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어느 촬영 모드인지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피사체에 적합하지 않은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이 행하여져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이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저는 어느 촬영 모드로 결정된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가 피사체에 적합하지 않다고 유저가 판단한 경우에는 유저는 촬영 수단의 기동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촬영 모드의 결정 처리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사체에 적절한 촬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다음번 촬영시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연속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매회 판정하지 않아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촬영마다 판정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연속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촬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로부터 선택한 하나의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영 모드 판정 공정에 있어서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의 각 수단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현되고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측정 장치 및 상기 정보 관리 서버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정보 측정 장치 및 상기 정보 관리 서버를 컴퓨터에서 실현시키는 정보 관리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는, 이상과 같이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피사체가 문자, 바코드, 컬러 코드 등과 같이 상기 촬영 수단을 특별한 촬영 모드로 하지 않으면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이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촬영 수단은 피사체에 따른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촬영 수단을 구비한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 예를 들어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 전화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이,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취득한 상기 화상의 특징점에 의해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제1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해 순서대로 절환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판정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의해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 모드의 절환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은, 상기 제2 촬영 모드 절환 수단에 의해 촬영 모드가 절환된 상기 촬영 수단이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에 적합한 촬영 모드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정의 인증 범위를 잘라내는 인증 범위 잘라내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에 대하여, 상기 각 촬영 모드에 대응한 모드의 후처리를 행하는 촬영 후처리 수단과,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후처리 모드로 상기 촬영 후처리 수단을 절환하는 촬영 후처리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의 종류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은, 다음번 촬영시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복수의 촬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로부터 선택한 하나의 촬영 모드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상기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어디에 적합한 화상인지를 취득한 상기 화상의 특징점에 의해 판정하는 촬영 모드 판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영 모드 판정 공정에서 적합하다고 판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의 상기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11. 제10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7025761A 2007-06-04 2008-05-26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00007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8285 2007-06-04
JPJP-P-2007-148285 2007-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81A true KR20100007981A (ko) 2010-01-22

Family

ID=4009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761A KR20100007981A (ko) 2007-06-04 2008-05-26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31540B2 (ko)
EP (1) EP2164243A4 (ko)
JP (1) JPWO2008149709A1 (ko)
KR (1) KR20100007981A (ko)
CN (1) CN101682696B (ko)
WO (1) WO20081497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127A (ko) * 2015-02-10 2017-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5370A1 (en) * 2010-02-19 2011-08-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age capture, processing and storage
JP2013115558A (ja) * 2011-11-28 2013-06-10 Fujitsu Ltd 撮像装置および画像認識システム
KR101796481B1 (ko) * 2011-11-2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N103489149B (zh) * 2012-06-08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获取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CN102857642B (zh) * 2012-09-28 2014-08-06 北京蒙恬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拍摄文件的装置及其方法
FR2997213B1 (fr) * 2012-10-18 2015-11-06 Morpho Procede et terminal de capture biometrique
US10572118B2 (en) * 2013-03-28 2020-02-25 David Michael Priest Pattern-based design system
WO2015143547A1 (en) 2014-03-25 2015-10-01 6115187 CANADA INC. d/b/a IMMERVISION, INC. Automated definition of system behavior or user experience by recording, sha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wide-angle image
CN105812647B (zh) * 2014-12-30 2019-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624800B2 (ja) * 2015-04-03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5392056B (zh) * 2015-12-09 2018-10-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视情景模式的确定方法及装置
CN108833786B (zh) * 2018-06-29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模式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20230044775A (ko) * 2021-09-27 2023-04-04 김학수 다기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1830A (ja) 1989-05-29 1990-12-27 Canon Inc 情報読取装置と信号授受可能なカメラ
EP0400528B1 (en) * 1989-05-29 1996-03-2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camera capable of exchanging signals with th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memory medium
JPH05120466A (ja) 1991-10-25 1993-05-18 Sony Corp データ入力装置
US6726094B1 (en) * 2000-01-19 2004-04-27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format image capture for use in retail transactions
US6301440B1 (en) * 2000-04-13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mage acquisition controls
JP2001333325A (ja) 2000-05-19 2001-11-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画像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US6999117B2 (en) * 2000-05-16 2006-02-14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redefined information and processing images thereof
US7464877B2 (en) * 2003-11-13 2008-12-16 Metrologic Instruments, Inc. Digital imaging-based bar code symbol reading system employing image cropping pattern generator and automatic cropped image processor
US6722569B2 (en) * 2001-07-13 2004-04-20 Welch Allyn Data Collection, Inc. Optical reader having a color imager
JP2003319405A (ja) 2002-04-24 2003-11-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ユニット
JP2004228785A (ja) 2003-01-21 2004-08-1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の撮影モード設定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090899B2 (ja) 2003-01-21 2008-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撮影モード設定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GB2404819A (en) * 2003-08-05 2005-02-09 Research In Motion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integral optical navigation
FI20040858A (fi) * 2004-06-18 2005-12-19 Valtion Teknillinen Menetelmä koodin tunnistamiseksi matkaviestimen avulla ja matkaviestin
US7293711B2 (en) * 2004-08-30 2007-11-13 Symbol Technologies, Inc. Combination barcode imaging/decoding and real-time video capture system
JP4345668B2 (ja) 2004-12-28 2009-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5086270B2 (ja) * 2005-11-15 2012-11-2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調節可能な光学系を有する撮像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127A (ko) * 2015-02-10 2017-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10952071B2 (en) 2015-02-10 2021-03-16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1838753B2 (en) 2015-02-10 2023-12-05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149709A1 (ja) 2010-08-26
CN101682696B (zh) 2012-04-18
WO2008149709A1 (ja) 2008-12-11
CN101682696A (zh) 2010-03-24
US20100177204A1 (en) 2010-07-15
US8531540B2 (en) 2013-09-10
EP2164243A1 (en) 2010-03-17
EP2164243A4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981A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343387B2 (en) Electronic device, imag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method, image reprodu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with image reproduction program recorded thereupon, and image reproduction device
KR100740744B1 (ko) 포커스 상태 표시 장치, 포커스 상태 표시 방법, 포커스 상태 판별 장치, 포커스 상태 판별 방법, 카메라, 휴대 단말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08019301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8211485A (ja) 撮像装置
JP2010148052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869290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WO2011016322A1 (ja) 撮像装置、編集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853047B2 (ja) 画像撮影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JP2008311885A (ja) デジタルカメラ、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498936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スルー画像の表示方法、並びに、撮影画像の記録方法
JP2010072121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41527A (ja) 撮影支援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5023932B2 (ja) 撮像装置、シナリオによる画像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60979A (ja) 電子カメラ
JP4266891B2 (ja) 撮像装置
JP2006174043A (ja) 撮像装置、撮影情報設定方法、撮影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2009177316A (ja) 撮像装置
JP201113006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4057330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