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975A -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975A
KR20100006975A KR1020080067358A KR20080067358A KR20100006975A KR 20100006975 A KR20100006975 A KR 20100006975A KR 1020080067358 A KR1020080067358 A KR 1020080067358A KR 20080067358 A KR20080067358 A KR 20080067358A KR 20100006975 A KR20100006975 A KR 2010000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nit
mobi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288B1 (ko
Inventor
손영진
최갑봉
박광환
김성렬
윤석주
강삼태
길병주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로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로보테크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8006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 극장, 백화점, 전시장 등의 특정 장소 내에서 자율이동하며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이용자에게 위치안내, 지역정보제공, 지역광고제공, 모바일쿠폰 발급, 매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원발명 중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은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한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안내장소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장소의 기준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출력기와; 상기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장소 내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면서 광고정보출력, 안내서비스, 매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과;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에 대한 제어, 데이터 공유,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로봇, 안내장소, 지도정보안내, 주변지역안내, 광고, 재난방지

Description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MOVING RECEPTIONIST ROBOT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 극장, 백화점, 전시장 등의 특정 장소 내에서 자율이동하며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이용자에게 위치안내, 지역정보제공, 지역광고제공, 모바일쿠폰 발급, 매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백화점, 전시장 등의 장소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위치에 안내소를 설치하고 안내원을 상주시키거나, 키호스크를 설치하여 이용자들에게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안내방식은 안내서비스가 특정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용자가 안내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안내원이 상주된 안내소, 또는 키호스크가 설치된 장소를 찾아 이동하여야 한다. 즉,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안내소 또는 키호스크의 설치장소를 찾는 것부터 안내장소의 이용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종래기술의 안내방식은 이용자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안내 방식은 안내장소 내부의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안내장소의 주변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하철 역사의 경우 가장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며, 지하철 역사의 경우에는 별도의 안내소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이용자들은 역사 내의 정보 또는 주변 지역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매표소를 찾아가 매표소 직원에게 문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의로 인해 지하철 역사의 직원은 본 업무보다는 이용자들에 대한 안내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므로, 인건비의 낭비, 작업 시간의 비효율적인 낭비의 요인이 되고, 크게는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사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이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키호스크와 같은 안내 방식은 안내서비스 제공 중 이윤창출을 위한 광고를 수행하는 경우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광고의 효과가 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광고를 원하는 광고주들이 광고정보를 직접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의 안내시스템의 경우에는 그 기능이 위치안내에 한정되어 있을 뿐, 화재진압, 적극적인 인솔에 의한 안내 등의 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장, 전시장, 지하철 역사 내 등의 장소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극장, 전시장, 지하철역사 내부의 안내, 주변 지역정보안내, 주변 지역 상가 또는 일반적인 광고를 수행함은 물론 방범, 응급구조, 화재진압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이동식 안내로봇 자체의 위치식별을 위한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율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 중 주변 구조, 환경을 식별하는 센서부와;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안내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DB)와;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장소의 관리를 위한 중앙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기준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재의 위치를 생성한 후 기 설정된 경로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출력정보를 음성 또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서비스는, 상기 이용자가 안내 요청한 위치에 대한 지도정보 출력서비스 또는 상기 이용자의 요청 위치로 이동하여 안내하는 이동안내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도정보 출력서비스는 이용자의 안내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이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출력하고, 이용자의 현위치로부터 이용자의 요청 위치까지의 경로를 화살표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위치를 알려주는 화살표는 이용자의 현위치로부터 이용자의 안내요청 위치까지 이동되는 이동식 화살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도정보출력서비스는 지하철노선안내, 버스노선안내, 상가 위치안내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이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화폐 가액 정보를 생성한 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화폐인식부와;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매표 요청정보와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중앙제어부의 매표출력신호에 따라 매표를 수행하는 매표부와;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충전 요청정보와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중앙제어부의 충전출력신호에 따라 교통요금의 충전을 수행하는 교통카드 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제어부는 매표부와 충전부에 의 한 매표 또는 충전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센서부는, 열, 이용자 감지를 위한 적외선(IR)센서 및 적외선(IR)스캐너와; 초음파를 발생하고 주변의 장애물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를 수신한 후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초음파송수신부와; 레이저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한 후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레이저송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입력부는, 이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이용자의 키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중앙제어부는 마이크의 입력 음성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는 또한 화상정보입력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정보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중앙관리서버에 의해 중앙관리소의 표시장치에 출력되어 중앙관리자가 원격 감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키입력부는 키패드부, 키호스크 또는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출력부는,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가적으로 이용자가 요청한 안내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안내장소의 인접지역의 상가들의 상점주가 기등록하여 발행을 원하는 모바일 쿠폰정보를 저장한 후, 이용자의 요청시 발행하는 모바일쿠폰 발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용자가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경우 이동식 안내로봇은 모바일 쿠폰 발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와 상가의 개인단말기 및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이용자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이용자는 해당 상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쿠폰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또는 제품의 구입시 할인 혜택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은,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한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안내장소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장소의 기준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출력기와;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장소 내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면서 광고정보출력, 안내서비스, 매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과; 이동식 안내로봇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식 안내로봇에 대한 제어, 데이터 공유,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시스템은 또한, 중앙관리서버로 광고서비스,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등록하고,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해 제공된 광고 및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를 식별하여 모바일쿠폰에 의해 서비스 또는 제품 구매를 수행하는 안내장소 주변지역의 상가의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가에 설치되는 개인단말기는 상가의 관리를 위한 상가관리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은 안내장소에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정보출력기에서 송출되는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 위치를 판별한 후, 기 설정된 방식 또는 무작위적인 방식에 의해 장소 이동을 수행하면서 광고 등을 수행하고, 이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매표, 교통카드충전, 안내서비스, 기 등록된 상가에 대한 모바일 쿠폰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야간 등의 경우에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또한 화재진압장비를 구비하고, 중앙제어부에 화재를 판별하고, 화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화재진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 누워있거나 쓰러져 있는 모습에 대한 이용자의 기설정된 자세를 등록한 후 카메라 촬영 영상으로부터 이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식상실자 등과 같은 응급 환자의 발견 및 응급구조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은 극장, 전시장, 지하철 역사 등의 안내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에게 안내장소 및 안내장소의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로 함으로써 안내장소 내의 이용뿐만 아니라 안내 장소 주변 지역의 상가 등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은 안내장소 내에서 안내 또는 방범을 위한 인건비를 현저히 감소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주변 상가에 대한 광고정보를 유치하여 광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은, 위치정보출력기(200)에서 출력되는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장소 내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면서 광고정보출력, 안내서비스, 매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100)과;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의한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안내장소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장소의 기준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출력기(200)와; 이동식 안내로봇(10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대한 제어, 데이터 공유,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300)와; 중앙관리서버(300)로 광고서비스,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해 제공된 광고 및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를 식별하여 모바일쿠폰에 의해 서비스 또는 제품 구매를 수행하는 상기 안내장소 주변지역의 상가의 개인단말기(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가에 설치되는 개인단말기(400)는 상가의 관리를 위한 상가관리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에서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중앙관리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제어되어 안내장소 내에서 이동되며 안내장소의 이용자들에게 위치안내, 주변지역 안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이동식 안내로봇 자체의 위치식별을 위한 기준위치정보를 위치정보출력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51')와; 자율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7)와; 구동부(57)에 의한 구동 중 주변 구조, 환경을 식별하는 센서부(54)와;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52)와; 안내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DB)(51)와;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안내장소의 관리를 위한 중앙관리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6)와; 중앙제어부(50)의 출력정보를 음성 또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출력부(53)와; 이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화폐 가액 정보를 생성한 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화폐인식부(60)와; 입력부(52)를 통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매표 요청정보와 투입된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중앙제어부(50)의 매표출력신호에 따라 매표를 수행하는 매표부(59)와; 입력부(52)를 통한 사용자 입력 충전 요청정보와 투입된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중앙제어부(50)의 충전출력신호에 따라 교통요금의 충전을 수행하는 교통카드 충전부(61)와; 안내장소의 인접지역의 상가들의 상점주 가 기 등록하여 발행을 원하는 모바일 쿠폰정보를 저장한 후, 이용자의 요청시 모바일쿠폰을 발행하는 모바일쿠폰 발행부(62)와; 수신된 기준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재의 위치를 생성한 후 기 설정된 경로 및 상기 센서부(54)의 검출 신호에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부(57)를 제어하고,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부(52)를 통한 이용자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안내서비스, 모바일쿠폰 발행서비스, 매표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중앙제어부(50)는 매표부(59)와 교통카드충전부(61)에 의한 매표 또는 충전 정보를 통신부(56)를 통해 중앙관리서버(300, 도 1 참조)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 외에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충전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구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충전,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전원부(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안내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이용자가 상대방과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전체 외관은 인체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머리부, 몸체부, 하체부를 가지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위치정보수 신부(51')가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안내장소 내에서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현재위치 식별하고, 하체부의 내측에는 바퀴를 구비한 구동부(57, 도 2 참조)를 내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현되며, 이동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의 구조를 감지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초음파송수신부(58)의 초음파 송신기 및 수신기가 내장되는 범퍼(11)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의 각 블록 구성을 이루는 회로, 전기부품 등은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도 2의 각 블록 구성에 포함되어 이용자와 인테퍼이스를 수행하거나, 외부 환경을 식별하기 위한 구성들은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부표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부(51', 도 2 참조)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안내장소 내에서의 현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안내장소의 특정 위치에 기 설치된 다수의 위치정보출력기(200)에서 초음파, RF신호 등의 형태로 출력되는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수신기(1)가 구비되며, 이러한 위치정보수신기(1)는 도 2의 위치정보수신부(51')의 일 구성으로서 기준위치정보가 초음파신호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초음파수신기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와 달리 기준위치정보가 RF신호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RF신호수신용 안테나로 구현된다. 도 3의 경우에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배면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머리 상방에서 표시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보조표시부(2)를 구비하도록 구비하였으며 보조표시부(2)의 최상부에 위치정보수신기(1)로서 초음파수신기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위치정보수신기(1)를 구비한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안내장소의 특정 위치 에 기 설치된 다수의 위치정보출력기(200)에서 초음파, RF신호 등의 형태로 출력되는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안내장소 내에서의 현재의 위치를 판별하게 된다.
다음으로, 입력부(52)와 출력부(53)를 이루는 각 구성 중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부의 최상부에는 입력부(52)의 구성인 안내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와 이용자의 음성정보 또는 주변의 소리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4)가 구비된다. 그리고 마이크(4)의 하부에는 사람의 눈 모양을 가지는 눈표정LED(5)가 구비된다. 이때 눈표정LED(5)는 점등 방식에 따라 이동식 안내로봇(100)이 다양한 표정을 연출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몸체부에는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부(52)와 출력부(53)의 구성으로서의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입력부(52)의 인터페이스 구성으로는 카메라(3), 마이크(4), 이벤트버튼(8) 등이 구비되며, 출력부(53)의 인터페이스로는 주표시부(6), 스피커(13) 등이 구비된다. 상술한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의 전면에는 광고, 안내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3)의 일 구성으로서의 주표시부(6)가 배치되고, 주표시부(6)의 하부에는 이용자가 이동식 안내로봇(100)과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버튼(8)이 구비된다. 여기서 주표시부(6)는 LCD, 터치스크린, 키호스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측면에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부(53)의 일 구성으로서의 스피커(13)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센서부(54)를 이루는 각 구성 중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환경의 감지, 이용자의 감지를 위한 다양한 적외선, 초음파 센서를 센서부(54)의 형태로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54)의 구성 중 이용자 감지를 위한 센서는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안내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이동식 안내로봇(100)이 이용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센서(7)가 몸체부 중 주표시부(6)와 이벤트버튼(8)의 사이에 구비되고, 몸체부 중 이벤트버튼(8)이 구비된 위치의 하부에 초음파를 송수신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초음파센서(9)가 구비된다. 또한, 초음파센서(9)의 하부에는 연기 등으로 인해 육안 식별이 어려운 경우 이동식 안내로봇(100) 주변의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의 일종으로서의 IR스캐너(10)가 구비된다. IR스캐너(10)는 로봇의 하단부에 장치하여 어두운 밤이나 연기, 안개, 혹은 가시광선에 대해서 불투명한 물질도 투과하는 특성을 이용해 인명구조나 야간식별과 같은 방범, 방재 기능 수행을 돕는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센서부(54)는 레이저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한 후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레이저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주변 구조, 장애물 식별을 위한 종래기술의 다양한 감지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주행을 위한 구성 중 초음파송수신부(58)를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구성 중 주행 중 장애물과의 충돌시 충격흡수를 위해 하체부에 구성되는 범퍼(11)의 전면에 초음파송신기(61a)와 초음파수신기(61b)가 구비되고,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이용자 등의 장애요인의 식별을 위하여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몸체부의 배면에도 초음파송신기(61a)와 초음파수신기(61b) 및 적외선센서(7)가 구비된다. 범퍼(11)의 전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후 초음파송수신부(58)의 일 구성으로서 초음파송신기(61a)와 초음파수신기(61b)가 설치된다. 초음파송수신부(58)는 초음파송신기(61a)와 초음파수신기(61b)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위의 구조물의 위치와 형태를 식별하여 장애물, 이용자 등과의 충돌 방지 및 안전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 보행 중인 이용자들을 식별하여 이동식 안내로봇(100)이 이동 중 보행중인 이용자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전원부(51')를 충전식 배터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배터리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하체부의 배면측에 내장되며, 하체부의 일측에는 잔류 배터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량표시기(15)가 구비되고, 하체부의 배면부에는 전원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소 켓(16)과, 전원소켓(16)을 안내장소의 특정 위치(충전스텐이션: 도면에 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콘센트와 자동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충전스테이션(도면에 미도시)에 구비되는 전원콘센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킹센서(17)가 구비된다.
이외에도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이용자에게 체지방 측정 서비스, 매표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체지방측정 서비스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손의 위치에 체지방센서(14)를 구현하고 중앙제어부(50)에서 체지방센서(14)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체지방을 측정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이러한 체지방센서(14)에 의해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고객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체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내장소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쉽게 자신의 체지방 상태를 측정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매표서비스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중앙제어부(50)에 매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특정 위치에 지폐주입구(19a)와 동전주입구(19b) 및 표배출구(19c)를 형성하고,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내측에 화폐인식부(60)와 표 발행을 위한 매표부(59)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내부 온도 배출을 위하여 환풍 기(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의 경우에는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몸체의 측부에 환풍기(1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부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부 구성이 인체형을 가지는 이동식 안내로봇의 외부의 특정위치에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외부의 구성은 본원발명의 설명과 반드시 동일하게 설치될 필요는 없고,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 및 구조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 및 그 시스템에 의한 동작 과정 및 서비스 제공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 및 그 시스템은 자신이 설치된 서비스 대상 안내장소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위치안내, 주변지역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안내장소를 관리하는 이동식 안내로봇(100) 및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는 안내장소에 대한 원격감시, 무인관리, 무인안내, 무인 매표서비스를 제공하며 광고유치에 의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안내장소의 주변지역의 상가 등의 영리활동을 수행하는 자들에게는 안내장소에서의 용이한 광고 및 영업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안내장소에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정보출력기에서 송출되는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 위치를 판별한 후, 기 설정된 방식 또는 무작위적인 방식에 의해 장소 이동을 수행하면서 광고 등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경로 또는 무작위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내장소를 이동하면서 매표, 교통카드충전, 안내서비스, 기 등록된 상가에 대한 모바일 쿠폰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야간 등의 경우에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고, 화재 등의 재난시에는 화재진압, 응급구조 등의 재난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를 원하는 이용자는 이동 중인 이동식 안내로봇으로 접근하여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안내서비스의 요청은 주표시부(6)가 키호스크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주표시부(6)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이벤트버튼(8) 또는 마이크(4)를 이용한 음성인식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용자가 주표시부(6), 이벤트버튼(8) 또는 음성의 입력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이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인식 기능은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주된 서비스 항목을 임의적으로 추출한 후 해당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여 주고 이용자가 표시된 항목을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약식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의 용이한 서비스 선택을 위하여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이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이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기준거리 이내인 경우 자동으로 이 동을 멈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표시부(6), 이벤트버튼(8) 또는 음성인식에 의해 이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적외선센서(7)에 의해 이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후 이용자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수행하여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상술한 작용에 의해 안내로봇(100)과 마주하게 된 이용자는 입력부(52)를 구체적인 서비스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요청 서비스가 안내서비스인 경우,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이용자가 안내 요청한 위치에 대한 지도정보 출력서비스 또는 이용자의 요청 위치로 이동식 안내로봇이 이용자를 인솔하여 안내하는 이동안내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지도정보 출력서비스는 이용자의 안내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상기 이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이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요청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경로를 화살표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요청 위치를 지시하는 화살표는 이용자의 현위치로부터 이용자의 요청 위치까지 이동되는 이동식 화살표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한 지도정보출력서비스는 또한 지하철노선안내, 버스노선안내, 상가 위치안내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용자가 안내장소로부터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안내장소의 인근에 위치한 상가를 용이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은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구비 된 매표부(59), 화폐인식부(60), 교통카드충전부(61)를 이용하여 지하철역사, 극장, 전시장 공연장 등에서 무인 매표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이동식 안내로봇(100)은 매표시마다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매표에 따른 정산정보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하게 되고, 중앙관리서버(300)는 등록된 정보를 통합하여 정산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또한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구비된 카메라(3)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정보를 중앙제어부(50)가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중앙관리서버(300)는 중앙관리소의 표시장치에 수신된 화상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중앙관리자가 이동식 안내로봇(100)의 이동경로 상의 환경을 원격지에서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인 원격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모바일쿠폰발행부(62)를 이용하여 안내장소와 인접한 지역의 상가들의 상점주가 기등록하여 발행을 원하는 모바일 쿠폰정보를 저장한 후, 이용자의 요청시 모바일쿠폰을 발행하는 모바일쿠폰 발행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이용자가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경우 이동식 안내로봇은 모바일 쿠폰 발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서버(300)와 상가의 개인단말기(400) 및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이용자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이용자는 해당 상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쿠폰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또는 제품의 구입시 할인 혜택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은 또한 화재진압장비를 구비하고, 중앙제어부에 화재를 판별하고, 화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화재진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 누워있거나 쓰러져 있는 모습에 대한 이용자의 기설정된 자세를 등록한 후 카메라 촬영 영상으로부터 이를 식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식상실자 등과 같은 응급 환자의 발견 및 응급구조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별도의 프린터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여 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지하철 역사의 개찰구의 측부 등에 위치된 임시출입구의 개폐를 원격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무원이 임시출입구의 개폐를 원하는 이용자 발생시마다 임시출구의 개폐를 위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출입구의 원격 개폐서비스는 임시출구의 개폐를 원하는 이용자가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음성 또는 키입력에 의해 개폐를 요청하면 이동식 안내로봇(100)이 이를 중앙관리서버(300)를 통해 역무원 등에게 통보하고 역무원은 원격지에서 임시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이동식 안내로봇(100)에 직접 임시출입구 개폐 기능을 부여하여 임시출입구의 개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이동식 안내로봇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안내로봇의 일 실시예로서 실제로 구현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이동식 안내로봇 200: 위치정보출력기
300: 중앙관리서버 400: 개인단말기
50: 중앙제어부 51': 위치정보수신부
51: 저장부(DB) 52: 입력부
53: 출력부 54: 센서부
55: 전원부 56: 통신부
57: 구동부 58: 초음파수신부
59: 매표부 60: 화폐인식부
61: 교통카드 충전부 62: 모바일쿠폰발행부

Claims (13)

  1. 이동식 안내로봇 자체의 위치식별을 위한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율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 중 주변 구조, 환경을 식별하는 센서부와;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안내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DB)와;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장소의 관리를 위한 중앙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기준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재의 위치를 생성한 후 기 설정된 경로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광고정보, 주변지역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이용자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출력정보를 음성 또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서비스는,
    상기 이용자가 안내 요청한 위치에 대한 지도정보 출력서비스 또는 상기 이용자의 요청 위치로 이동하여 안내하는 이동안내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 출력서비스는,
    상기 이용자의 안내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상기 이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이용자의 현위치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요청 위치까지의 경로를 화살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는 상기 이용자의 현위치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요청 위치까지 이동되는 이동식 화살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출력서비스는 지하철노선안내, 버스노선안내, 상가 위치안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은,
    상기 이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화폐 가액 정보를 생성한 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화폐인식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매표 요청정보와 상기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상기 중앙제어부의 매표출력신호에 따라 매표를 수행하는 매표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충전 요청정보와 상기 화폐가액정보에 따른 상기 중앙제어부의 충전출력신호에 따라 교통요금의 충전을 수행하는 교통카드 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매표부와 충전부에 의한 매표 또는 충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안내장소를 관리하는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열, 이용자 감지를 위한 적외선(IR)센서 및 적외선(IR)스캐너와;
    초음파를 발생하고 주변의 장애물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를 수신한 후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초음파송수신부와;
    레이저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한 후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레이저송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이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이용자의 키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마이크의 입력 음성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화상정보입력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를 안내장소의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안내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은,
    상기 안내장소의 인접지역의 상가들의 상점주가 기등록하여 발행을 원하는 모바일 쿠폰정보를 저장한 후, 이용자의 요청시 발행하는 모바일쿠폰 발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이용자가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경우 모바일 쿠폰 발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안내장소를 관리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상가의 개인단말기 및 모바일 쿠폰을 발행받은 이용자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12.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한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안내장소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장소의 기준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출력기와;
    상기 기준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내서비스의 제공대상 장소 내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면서 광고정보출력, 안내서비스, 매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안내로봇과;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에 대한 제어, 데이터 공유,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은,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광고서비스,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식 안내로봇에 의해 제공된 광고 및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쿠폰발행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를 식별하여 모바일쿠폰에 의해 서비스 또는 제품 구매를 수행하는 상기 안내장소 주변지역의 상가의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로봇 시스템.
KR1020080067358A 2008-07-11 2008-07-11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KR10101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58A KR101012288B1 (ko) 2008-07-11 2008-07-11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58A KR101012288B1 (ko) 2008-07-11 2008-07-11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975A true KR20100006975A (ko) 2010-01-22
KR101012288B1 KR101012288B1 (ko) 2011-02-08

Family

ID=4181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358A KR101012288B1 (ko) 2008-07-11 2008-07-11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88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942B1 (ko) * 2011-12-30 2013-08-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시장의 스탬프 로봇 및 그 시스템
CN107206601A (zh) * 2014-10-24 2017-09-26 费洛有限公司 客户服务机器人和相关系统及方法
WO2018066816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39438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안내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638088A (zh) * 2018-07-06 2018-10-12 杭州国辰机器人科技有限公司 移动式自主售货服务机器人
JP2018171696A (ja) * 2017-03-31 2018-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案内装置、案内方法、案内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422331A1 (en) * 2017-06-30 2019-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moving robot
WO2019004744A1 (ko) * 2017-06-30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CN109968345A (zh) * 2017-12-28 2019-07-05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引导机器人系统
KR20200084524A (ko) * 2019-01-03 2020-07-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네비게이션을 구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10737393B2 (en) 2016-12-23 2020-08-11 Lg Electronics Inc. Guidance robot
US10744641B2 (en) 2016-12-23 2020-08-18 Lg Electronics Inc. Guidance robot
US10750920B2 (en) 2017-03-28 2020-08-2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including plurality of moving robots
US10759045B2 (en) 2016-12-23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KR102240688B1 (ko) * 2020-01-29 2021-04-14 울산과학기술원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US11320804B2 (en) 2019-04-22 2022-05-03 Lg Electronics Inc. Multi information provider system of guidance robot and method thereof
WO2022232367A1 (en) 2021-04-28 2022-11-03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dvertising content using a robot
WO2023075384A1 (ko) * 2021-11-01 2023-05-04 (주)뉴빌리티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이동형 로봇 장치 및 방법
EP4207031A4 (en) * 2020-09-28 2024-01-24 Avatari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609B1 (ko) * 2011-04-07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기능을 구비한 로봇
KR101488821B1 (ko) * 2013-08-28 2015-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내 로봇 및 그 시스템
KR101638679B1 (ko) 2014-06-25 2016-07-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및 위치기반 자율안내가 가능한 옥외용 범용 안내 로봇장치
KR102619871B1 (ko) 2021-11-02 2024-01-04 주식회사신도테크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286A (ja) * 1995-05-29 1996-12-13 Nippon Signal Co Ltd:The 駅務サービスロボット
KR20020009703A (ko) * 2000-07-26 2002-02-02 이설민 로봇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JP4528295B2 (ja) * 2006-12-18 2010-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案内ロボット装置及び案内システム
KR100748646B1 (ko) 2007-04-17 2007-08-10 노동현 마일리지 결제 가능한 자판기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942B1 (ko) * 2011-12-30 2013-08-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시장의 스탬프 로봇 및 그 시스템
CN107206601A (zh) * 2014-10-24 2017-09-26 费洛有限公司 客户服务机器人和相关系统及方法
WO2018066816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38879A (ko) * 2016-10-07 2018-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29739B2 (en) 2016-10-07 2022-12-20 Lg Electronics Inc.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039438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안내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37393B2 (en) 2016-12-23 2020-08-11 Lg Electronics Inc. Guidance robot
US11312004B2 (en) 2016-12-23 2022-04-26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US10759045B2 (en) 2016-12-23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US10744641B2 (en) 2016-12-23 2020-08-18 Lg Electronics Inc. Guidance robot
US10750920B2 (en) 2017-03-28 2020-08-2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including plurality of moving robots
JP2018171696A (ja) * 2017-03-31 2018-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案内装置、案内方法、案内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422331A1 (en) * 2017-06-30 2019-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moving robot
US20200130197A1 (en) * 2017-06-30 2020-04-30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KR20190003121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WO2019004744A1 (ko) * 2017-06-30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US11701782B2 (en) 2017-06-30 2023-07-18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CN109968345A (zh) * 2017-12-28 2019-07-05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引导机器人系统
CN108638088A (zh) * 2018-07-06 2018-10-12 杭州国辰机器人科技有限公司 移动式自主售货服务机器人
KR20200084524A (ko) * 2019-01-03 2020-07-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네비게이션을 구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11320804B2 (en) 2019-04-22 2022-05-03 Lg Electronics Inc. Multi information provider system of guidance robot and method thereof
KR102240688B1 (ko) * 2020-01-29 2021-04-14 울산과학기술원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EP4207031A4 (en) * 2020-09-28 2024-01-24 Avatari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2232367A1 (en) 2021-04-28 2022-11-03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dvertising content using a robot
WO2023075384A1 (ko) * 2021-11-01 2023-05-04 (주)뉴빌리티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이동형 로봇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288B1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288B1 (ko)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KR101265456B1 (ko)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073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ased navigation to offer based transactions and beacon based digital transactions with multiple layer authentication
US9674684B1 (en) Beacon deployment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s (LBS)
US9787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features of wireless mobile devices
US9582826B2 (en) Directional wayfinding
US9204257B1 (en) Indoor and outdoor mapping and navigation utilizing RF bluetooth beacons
KR20190003122A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JP2012086348A (ja) 自律移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114558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925419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端末
CN100538502C (zh) 地面显示系统
JP6826192B2 (ja) スマートフォン統合測位を活用した地下鉄駅の到着通知及び駅舎情報案内システム
US20230394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287467A1 (en) Belt type barricade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of belt type barricade
KR20100050925A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US11474527B2 (en) Mov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1720109B2 (en) Mov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9075789A (ja) パーティションポール装置
KR200448715Y1 (ko)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US20200167831A1 (e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vable advertisement medium
CN210757755U (zh) 慈善募捐机器人
RU123196U1 (ru) Комплек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орговли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населения
JP2021193481A (ja) ポイントサイネージ効果指標化システム、ポイントサイネージ装置、並びにポイントサイネージ装置組込収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