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925A -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925A
KR20100050925A KR1020080110049A KR20080110049A KR20100050925A KR 20100050925 A KR20100050925 A KR 20100050925A KR 1020080110049 A KR1020080110049 A KR 1020080110049A KR 20080110049 A KR20080110049 A KR 20080110049A KR 20100050925 A KR20100050925 A KR 2010005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area
wireless terminal
parking
portable wirel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800B1 (ko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Priority to KR102008011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8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를 포함하는 각종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은,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차량의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여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또는 다른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주차확인 요청, 긴급호출이 오면 이를 음성출력 및 발광출력하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RF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신호 중 하나를 공중으로 전송하며,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신의 식별정보를 위치알림 신호로 하여 공중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와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등록한 차량한 위치정보를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주차영역안내장치;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말기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구난 호출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며, 상 기 주차영역안내장치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등록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별도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의해 운전자는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음성안내나 발광되는 불빛에 의해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위급한 상황 발생시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외부로 쉽게 알릴 수 있으며, 위급상황이 접수된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해당 접수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위급상황을 인식한 관리자에 의해 빠른 후속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주차 영역 안내

Description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parking area using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차를 포함하는 각종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알에프(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자동차의 보급률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일반 가정에서는 많은 구매력을 가지고 있는 대형쇼핑센터나 백화점 등으로 쇼핑하러 가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게 되고, 이와 같이 자동차를 이용하여 쇼핑하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대형 쇼핑센터나 백화점, 대형 위락시설 등에서는 실내외의 대형 주차장을 구비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형 쇼핑센터 등을 이용하는 자동차 운전자는 위와 같이 대형화된 주차장을 이용함에 따라 쇼핑 후, 주차한 자신의 자동차를 용이하게 찾기 위해서 미리 주차 위치 정보를 기억하여 두거나 메모지에 기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주차 위치를 잊거나 주차위치가 기록된 메모지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대형화된 주차장에서 자신의 자동차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대형 쇼핑센터나 공공기관 등의 지하 주자창에서 범죄가 발생하기도 하고 있어 이에 대해 CCTV를 설치하거나 경비원의 수를 늘리거나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차장에서의 주차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특허출원 1997-40176호(주차위치 확인기)에서는 주차장의 입구에서 발급 받은 주차권에 차량의 주차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 위치로 주차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지정된 주차 구역에 주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자동적으로 주차 관리를 하기 위해 수 많은 주차 구역 마다 센서가 포설되어야 하는 비용적인 부담이 따르게 되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특허출원 2002-41325호(주차카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시스템)는 입차 시에 제공된 주차 카드에 주차 위치를 인쇄 또는 기록하는 방법으로써, 운전자가 주차를 마친 후 인접한 주차 위치 기록기에 투입하여 주차 위치를 인쇄 또는 기록하고 용무를 마친 후 출차 시 주차 위치 안내기에 투입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운전자가 인접한 주차 위치 기록기까지 찾아가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차카드를 인접한 주차 위치 안내기까지 찾아가 투입해야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차 위치 기록기나 안내기 역시 고가임으로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그 외에의 방법으로, 특허출원 2004-100490호(차량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번호와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번호와 연계되는 주차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운전자가 건물 내 특정 위치에 설치된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광범위한 주차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면적에 비례하는 카메라가 사용됨으로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으며, 차량번호를 특정 위치까지 가야만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된 기존의 방안들은 비어있는 주차 구역을 안내하거나 안전한 주차를 유도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주차권에 주차 위치를 미리 기록하여 제공되는 것은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주차 구역으로 배정되어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지정된 주차 구역에 다른 운전자가 주차하여 운전자간 다툼이 발생할 수 있었다.
둘째, 주차카드를 인접한 주차 위치 기록기에 투입하여 주차 위치를 기록하고 주차 위치 안내기에 투입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운전자가 주차 위치 기록기까지 접근해 주차카드를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주차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차 위치 안내기까지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셋째, 지하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납치나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시, 대응방안이 없었고 그와 같은 사건 발생 시 해당 건물이나 해당 회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불안이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차를 포함하는 각종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은,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차량의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여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또는 다른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주차확인 요청, 긴급호출이 오면 이를 음성출력 및 발광출력하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RF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신호 중 하나를 공중으로 전 송하며,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알림 신호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공중으로 전송하는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와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등록한 차량한 위치정보를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주차영역안내장치;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말기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구난 호출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며, 상기 주차영역안내장치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등록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은, RF 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주차확인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주차확인 정보와 RF 태그 정보가 공중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주차확인 정보와 RF 태그 정보를 수신 한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자신들 각각의 식별정보와 위치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RF 태그 정보 및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고, 내부 메모리에 상기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 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RF 태그 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주차조회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주차조회신호와 함께 공중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음성 및 광으로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은, RF 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확인신호이면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조회신호이면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주차영역안내장치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를 자신의 영상표시부 및 음성안내부를 통해 안내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조회신호이면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에서 수신한 경우 상기 주차조회신호에서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음성안내부 및 발광조명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긴급호출신호이면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에서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긴급호출에 해당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의해 운전자는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음성안내나 발광되는 불빛에 의해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위급한 상황 발생시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외부로 쉽게 알릴 수 있고, 위급상황이 접수된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해당 접수 내용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위급상황을 인식한 관리자에 의해 빠른 후속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RF(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 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관리서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 안내시스템은,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 주차영역인식장치(200),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주차영역안내장치(400), 관리서버(500), 엘리베이터 장치(600), 그리고 출입문 장치(7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차량의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여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하고,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또는 다른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주차확인 요청, 긴급호출이 오면 이를 음성출력 및 발광출력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RF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신호 중 하나를 공중으로 전송하며,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알림 신호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공중으로 전송한다. 또한 RF 태그를 활용하여 주차관리나 전자화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등록한 차량한 위치정보를 관리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관리서버(50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단말기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구난 호출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며, 주차영역안내장치(400)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등록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장치(6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위치한 층으로 이동한다.
출입문 장치(7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하거나,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RF태그 정보가 전송되면 출입문을 개폐한다.
물론, 건물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장치(600)나 출입문 장치(700)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및 전원부(140)로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송수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부(111), 제 2 통신부(112) 및 제 3 통신부(113)로 구성되며, 제 1 통신부(111)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무선통신하여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동작 환경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 동작 환경정보란 하나의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가 수용가능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관계되는 것으로, 주차장의 넓이와 환경, 그리고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의 성능 및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와 주차영역인식장치(200) 의 통신범위에 따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와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초기화(전원 온 시) 시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와 통신할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통신부(112)와 제 3 통신부(113)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 중 동작환경정보가 할당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주차영역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통신부(111)(112)(113)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부(120)는 관리서버(500)와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간 주차영역정보를 송수신한다.
전원부(14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및 전원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도 3 및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차장(800)에 하나만 설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의 무선통신범위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통신부(210), 음성안내부(220), 발광 조명부(230)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로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제 1 통신부(211)와 제 2 통신부(212)로 구성되며, 제 1 통신부(211)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의 통신부(110)와 통신하고, 제 2 통신 부(212)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이때, 제 1 통신부(211)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제 2 통신부(212)는 2.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음성안내부(220)는 운전자에게 음성안내를 지원한다.
발광 조명부(230)는 시각적으로 주차영역을 안내한다.
전원부(250)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음성안내부(220), 발광 조명부(230) 및 전원부(250)를 제어한다.
이때,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장(800)에서 격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4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를 하나의 그룹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주차영역인식장치(200) 각각의 제 2 통신부(222)는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간 거리는 제 2 통신부(222)의 통달거리를 감안하여 중첩되도록 적당히 배치한다. 다시 말하면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무선통신 범위는 4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가 중첩되는 범위로 하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무선통신범위 역시 최대 4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범위로 제한 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운전자에게 주차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급적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에서 주차확인 버튼부(320)를 구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주차확인 버튼부(320), 주차조회 버튼부(330), 긴급호출 버튼부(340), 음향부(350), RF 태그(360), 제어부(370) 및 전원부(380)로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22)와 통신한다. 이때, 통신부(310)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주차확인 버튼부(320)는 버튼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주차확인 버튼을 누르면 주차확인 이벤트가 발생한다.
주차조회 버튼부(330)도 버튼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주차조회 버튼을 누르면 주차조회 이벤트가 발생한다.
긴급호출 버튼부(340) 역시 버튼 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긴급호출 버튼을 누르면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음향부(35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무선 통신 상태를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RF 태그(36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식별정보에는 자신의 식별자(ID)는 물론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사용자 정보로는 이름, 전화번호(휴대폰 번호, 집 또는 사무실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 차량번호 정보가 포함된다.
전원부(38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일반 건전지, 충전용 건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통신부(310), 주차확인 버튼부(320), 주차조회 버튼부(330), 긴급호출 버튼부(340), 음향부(350), RF 태그(360) 및 전원부(380)를 제어한다.
이때,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후에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확인 버튼부(320)의 버튼(스위치)을 누르면, 우선적으로는 통신부(310)를 통해 위치요청신호가 공중으로 전송되고, 해당신호는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에서 수신한다.
이를 수신한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각각의 제 2 통신부(212)를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 위치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인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서 4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제어부(370)의 내부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수신한 수신감도 레벨(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put)을 분석하여 가장 높은 수신감도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면,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가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거나, 각각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간 시간차를 두고 지연시켜 위치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감도가 높은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음성안내부(220)를 통해 주차확인의 성공여부를 알려주고(예를 들어, "주차가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식별정 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음향부(33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 주차영역정보를 전송한 다음, 주차확인이 성공된 경우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주차확인 정보를 받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주차확인 시 주차확인 성공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1 내지 5초 이내)내에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즉, 주차확인 실패 시에는 무음 또는 "주차확인이 실패하였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범이나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긴급호출 버튼부(340)의 버튼(스위치)를 누르면, 인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 중 하나를 통해 관리서버(500)로 전송되거나, 긴급호출 버튼부(340)에 한해 해당 신호를 수신한 모든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긴급 구난 호출 정보가 관리서버(500)로 전송되고, 해당 정보 중 수신감도가 높은 주차영역인식장치(200)를 관리서버(500)의 제어부(550)에서 검출하도록 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위치 정보,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 중 어떤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인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주차장(800)에서 주차조회 버튼부(330)의 버튼(스위치)을 조작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를 통해 주차영역 조회정보(예를들어, 차량번호, 층, 구역정보 등)를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2)로 전송한다. 이때, RF태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해당 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수신한 주차영역 조회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안내부(220)를 통해 주차위치를 안내(예를 들면, "차량번호 OOO은 OO층의 OOO구역 근처에 주차되어 있습니다.")하는 한편, 최종목적지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 명령을 전송하면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발광 조명부(230)를 발광을 점멸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주차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게 한다.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통신부(410), 음성안내부(420), 영상표시부(430), 조작 입력부(440), 인터페이스부(450), 제어부(460) 및 전원부(470)로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이때, 통신부(410)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음성안내부(420)는 운전자에게 주차영역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영상표시부(430)는 운전자에게 주차영역을 시각적으로 안내한다.
조작 입력부(440)는 운전자가 주차조회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버튼(또는 키(KEY))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450)는 관리서버(500)와 통신한다.
전원부(470)는 주차영역안내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450)는 통신부(410), 음성안내부(420), 영상표시부(430), 조작 입력부(440) 및 전원부(460)를 제어한다.
주차영역안내장치(400)은 운전자에게 차량이 주차 된 영역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이며, 엘리베이터 안이나 주차장 출입구 등과 같은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차량의 위치를 조회하기 위해 주차영역안내장치(400) 근처에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조회스위치(360)를 눌렀을 때, 제어부(31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영역정보(예를들어, 차량번호, 층, 구역정보 등)를 주차영역안내장치(400)의 무선송수신부(420)를 통하여 전달한다.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수신된 주차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부와 음성 안내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주차 영역 안내를 한다.
한편, 주창영역안내장치(40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를 통해 관리서버(500)와 무선통신하거나, 관리서버(500)와 유선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5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긴급정보 생성부(530), 데이터베이스(540) 및 전원부(560)로 구성되어 고속의 유선라인을 통해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 주차영역안내장치(400), 출입문 장치(700)와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액세스 포인트장치(100), 주차영역안내장치(400), 출입문 장치(700)로부터 수신된 주차영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인터페이스부(51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 주차영역안내장치(400), 출입문 장치(700)와 유선통신한다.
긴급정보 생성부(530)는 긴급구난 호출 정보가 발생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구난 호출 정보가 발생한 위치 정보(구역정보)를 전송하는데 예를 들어, 주차장 구역정보나 엘리베이터 정보, 주차영역 안내장치(400) 등일 수 있다. 이때 주차장 구역정보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40)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41), 단말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42) 및 긴급구난 호출정보 데이터베이스(5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541)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태그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42)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 태그의 식별정보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현재위치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긴급구난 호출정보 데이터베이스(543)는 긴급구난 호출이 발생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현재위치정보, 긴급구난 호출 발생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엘리베이터 장치(600)는 통신부(610), 제어부(620) 및 전원부(630)로 구성된다.
통신부(61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무선 통신하며, 엘리베이터를 현재 층으로 자동 호출한다. 이때, 통신부(610)의 통신범위에 따라 엘리베이터 주변 150cm이내에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위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주차장(800)의 출입문(700)을 통해 엘리베이터 장치(600)로 접근하는 경우 호출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별도의 엘리베이터 호출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통신부(610)는 2.4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출입문 장치(700)는 통신부(710), RF 태그 인식부(720), 출입문 구동부(730), 인터페이스부(740), 제어부(750) 및 전원부(760)로 구성된다.
통신부(71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무선통신한다. 이때, 통신부(710)는 2.4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RF 태그 인식부(720)는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RF 태그를 인식한다.
출입문 구동부(730)는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한다.
전원부(750)는 출입문 장치(7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740)는 통신부(710), RF 태그 인식부(720), 출입문 구동부(730) 및 전원부(750)를 제어하며, 통신부(710)를 통해 RF 태그 인식부(720)에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식별되면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출입문 구동부(73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에서의 주차 영역 안내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시스템에서의 주차영역 안내 개념을 설명하기에 앞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차장이 공공주택이거나, 기업체(공공기관 포함)인 경우 해당 입주자나 직원들에게 지급한 경우에는 관리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40)에는 해당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입주민 또는 직원의 개인정보(이름, 입주민 주소, 전화번호 등) 및 차량정보가 연동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차장이 쇼핑센터이거나 아파트이더라도 방문자에게 지급되는 단말기이거나 기업체이더라도 방문자에게 지급되는 경우이면 운전자가 주차장입구에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관리자로부터 지급받게 되고, 그와 같은 경우 주차장입구의 관리자는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차량 번호를 관리서버(500)에 등록한다. 그에 따라 관리서버(500)는 해당차량 번호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에서의 주차영역 안내는, 운전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주차를 완료한 후에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확인 버튼부(320)의 버튼(스위치)를 조작하면 근접한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송출되는 신호에서 수신 감도(RSSI)를 측정하여 주차영역정보를 제어부(370)의 내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370)는 수신한 수신감도 레벨을 분석하여 가장 높은 수신감도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주차확인을 요청하면,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 및 주차영역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2)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를 통해 전송된 주차 영역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해당 주차영역정보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에서 관리서버(500)로 전송된다.
한편, 운전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주자영역정보를 전송한 후, 출입문쪽으로 이동하면 출입문 장치(700)는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고, 그에 따라 운전자는 주차장(800)을 벗어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근처로 접근하면 엘리베이터 장치(600)는 운전자가 있는 주차장으로 내려오게 된다.
운전자는 용무를 마친 후, 주차영역 안내를 위해 주차영역안내장치(400) 근처에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조회스위치(360)를 조작한다. 이때,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제어부(37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주차영역정보가 전송되면 주차영역안내장치(400)의 제어부(450)는 음성안내부(420)와 영상표시부(430)를 통해서 주차영역 안내를 받는다. 만약,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없거나 실수로 소지하지 않은 경우, 조작 입력부(440)를 통해 차량번호 등을 조작하여 주차영역안내를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주차장(800) 내에서도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발광 조명부(230)와 음성 안내부(220)를 통하여 주차 된 위치를 안내 받을 수 있다.
한편, 주차장 내에서 위급한 상황, 예를 들어 강절도, 화재, 접촉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긴급호출 버튼부(340)를 조작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긴급구난호출신호를 공중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는 인 접한 주차영역 인식장치(200)에서 해당 긴급구난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를 통해 상위의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500)는 위급한 상황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자동적으로 취함으로써 귀중한 생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출입문 장치(700)는 운전자가 출입문 근처에 접근 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위치 알림 명령(운전자정보)을 수신하여 자동으로 개폐를 수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700)도 위치 알림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층으로 자동 호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운전자는 주차장에 주차 후 차량의 주차 위치를 등록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확인 버튼부의 주차확인버튼을 조작한다(S100).
그러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복수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요청(Request)한다(S110).
인접한 복수개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들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위치등록 요청에 따라 각각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들의 위치를 응답(Response)한다(S120).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들의 위치응답신호 로부터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 주차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30).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받은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 주차확인응답신호를 전송한다(S140). 또한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음성안내부(220)를 통해 주차확인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안내한다(S150).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역시 음향부(350)를 통해 주차확인요청 성공에 대한 음향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60). 또한, 주차정보(주차영역인식장치(200) 정보와 층, 구역정보 등)는 제어부(370)의 내부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의 주차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고(S180), 그에 따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주차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한다(S190).
또한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S200), 관리서버(500)는 해당 정보에 대한 주차확인응답 신호를 무선액세스포이트장치(100)로 전송한다(S210).
그리고, 관리서버(500)는 수신된 주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S22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확인 방법은,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조회 버튼부의 주차조회버튼(330)를 조작한다(S300).
그러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제어부(37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영역정보(주차영역 인식장치(200)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주차영역 안내장치(400)의 통신부(410)로 전송한다(S310).
주차영역 안내장치(40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안내응답을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320). 만약 안내 응답이 없다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해당 주차조회 정보를 재전송한다.
이어, 주차영역 안내장치(400)의 제어부(450)는 해당 주차영역정보를 영상표시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음성 안내부(420)를 통해 안내한다(S330). 그에 따라 운전자는 출입문의 어느 방향(직진 후 왼쪽, 오른 쪽 등)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예를 들어, 몇m)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의 주차조회알림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S340). 이때,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를 통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 전송한다.
한편, 주창영역안내장치(400)는 운전자가 조작입력부(440)를 통해 주차조회버튼을 조작하여 주차영역안내장치(400)로부터 주차위치 안내를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주차조회버튼을 조작하여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번호를 입력하면(S350),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해당 차량번호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여 안내를 요청하고(S360), 그에 따라 관리서버(500)는 해당차량의 차량번호 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RF 태그)에 따른 주차영역정보(주차영역 인식장치(200) 정보)를 안내응답한다(S370).
그에 따라 주차영역 안내장치(400)의 제어부(450)는 해당 주차영역정보를 영상표시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음성 안내부(420)를 통해 안내한다(S380).
그러므로 만약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소지하지 않거나 조작하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주차영역안내장치(400) 내에 조작입력부(4400)를 활용하여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 중 주차영역인식장치를 통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확인 수행 방법 중 주차영역인식장치(200)를 통해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장(800)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주차조회 버튼부의 주차조회버튼(330)를 조작한다(S400).
그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제어부(37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영역정보(주차영역 인식장치(200)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공중(Air)으로 전송한다(S410).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전자의 차량이 g번째 주차영역인식장치(200g)에 위치등록되어 있고,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는 i번째 주차영역인식장치(200i)에 근접해 있다면,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인 i번째 주차영역인식장치(200i)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안내응답을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420). 만약 안내 응답이 없다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해당 주차조회 정보를 재전송한다.
한편, i번째 주차영역인식장치(200i)의 제어부(240)는 음성안내부(220)를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주차영역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영역 인식장치(200)(목적지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위치 정보를 안내하는 한편, 목적지 주차영역인식장치(200g)로도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의 주차안내요청 정보를 알린다(S430).
즉,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i)는 목적지(target) 주차영역인식장치(200g)로 주차안내를 요청하고(S460), 주차안내를 요청받은 목적지 주차영역인식장치(200g)는 주차안내 응답을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i)로 전송한다(S470).
이때,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i)로부터 안내응답을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음향부(350)를 통해 성공음향을 발생한다(S440).
한편, 주차안내를 응답한 목적지 주차영역인식장치(200g)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소유한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발광 조명부(230)를 통해 광을 설정된 주기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주차위치를 알린다(S480).
그리고 목적지 주차영역인식장치(200g)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무선액세스포인트 장치(100)를 통해 관리서버(500)로 주차조회를 알린다(S490)(S500).
그에 따라, 관리서버(5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현재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한다(S51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방법은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장(800)내에서 운전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화재, 강절도 등의 위험상황이나, 지병악화 등),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긴급호출 버튼부의 긴급호출버튼(340)을 조작한다(S600).
그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제어부(370)는 자신의 식별정보(RF 태그)와 주차정보를 포함한 긴급호출 정보를 공중(Air)으로 전송한다(S610).
그러면, 복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 중 가장 수신감도가 높은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안내응답을 휴대용 무선단말 기(300)로 전송한다(S620). 만약 안내 응답이 없다면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해당 주차조회 정보를 재전송한다. 이때, 가장 수신감도가 높은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안내응답을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음향부(350)를 통해 성공음향을 발생한다(S630).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음성안내부(220)를 통해 긴급상황이 접수되었음을 안내한다(S640). 따라서, 긴급상황을 요청한 운전자의 심리상태는 안정되고, 만약 범죄행위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 범죄자는 현장에서 벗어나려 노력함으로써 운전자는 심리 및 육체적으로 안전한 상태가 된다.
한편,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Request)하고(S650),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긴급상황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660). 만약 응답 정보가 없는 경우 근접한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관리서버(500)로 해당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Request)하고(S670), 관리서버(500)는 긴급상황에 대한 응답을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전송하는 한편(S680), 관리센터에서 긴급상황에 상응하는 조치를 수행하도록 한다(S690). 이때, 설정된 관리자(안전요원 등) 핸드폰으로 긴급상황정보(위치정보, 시간정보 등)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이를 자동적으로 카메라모니터링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재난방송, 경 찰, 소방서 등과 연계하여 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출입문 자동 개폐와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일정한 주기(설정된 주기)로 위치알림 명령을 전송한다(S700).
그에 따라 위치알림정보가 공중으로 전송된다(S710).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의 위치알림정보가 출입문(700)의 통신부(710)를 통해 전송되어 RF 태그 인식부(720)에서 인식되면 운전자를 확인하게 된다(S720).
이때, 출입문의 제어부(740)는 관리서버(500)와 운전자 확인 요청 및 응답을 받는다(S730)(S740). 다시 말하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운전자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확인결과에 따라 출입문은 개폐된다(S750).
또한 운전자가 엘리베이터(600) 근처로 이동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일정한 주기(설정된 주기)로 위치알림 명령이 전송되면(S760)(S770), 엘리베이터(600)를 자동으로 호출하게 된다(S780).
한편, 그와 같은 엘리베이터 호출정보는 관리서버(500)로 전송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출입, 탑승, 이동, 하차 정보 역시 관리서버(500)에 저장된 다. 이와 같은 경우는 보안을 요구하는 기관(정부 기관, 기업체, 연구소 등)에서 유용할 것이며, 다만 일반 기관(쇼핑센터 등)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너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 등록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관리서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에서의 주차영역 안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주차영역안내장치를 이용한 주차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 중 주차영역인식장치를 통하여 주차확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시스템 의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출입문 자동 개폐와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 110 : 통신부
120 : 인터페이스부 130 : 제어부
140 : 전원부 200 : 주차영역인식장치
210 : 통신부 220 : 음성안내부
230 : 발광조명부 240 : 제어부
250 : 전원부 300 : 휴대용 무선단말기
310 : 통신부 320 : 주차조회 버튼부
330 : 주차확인 버튼부 340 : 긴급호출 버튼부
350 : 음향부 360 : RF 태그
370 : 제어부 380 : 전원부
400 : 주차영역안내장치 410 : 통신부
420 : 음성안내부 430 : 영상 표시부
440 : 조작 입력부 450 : 인터페이스부
460 : 제어부 470 : 전원부
500 : 관리서버 510 : 인터페이스부
520 : 음성안내부 530 : 긴급정보 생성부
540 : 데이터베이스 550 : 전원부
600 : 엘리베이터 장치 610 : 통신부
620 : 제어부 630 : 전원부
700 : 출입문 장치 710 : 통신부
720 : RF태그 인식부 730 : 출입문 구동부
740 : 인터페이스부 750 : 제어부
760 : 전원부 800 : 주차장

Claims (17)

  1.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차량의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여 해당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또는 다른 주차영역인식장치(200)로부터 주차확인 요청, 긴급호출이 오면 이를 음성출력 및 발광출력하는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RF(Radio Frequency)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호출 신호 중 하나를 공중으로 전송하며,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신의 식별정보를 위치알림 신호로 하여 공중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등록한 차량한 위치정보를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관리하는 관리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주영역안내장치(400);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단말기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구난 호출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며, 상기 주차영역안내장치(400) 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등록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위치한 층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60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하거나,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로부터 RF(Radio Frequency)태그 정보가 전송되면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출입문 장치(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무선통신하여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동작 환경정보를 할당하는 제 1 통신부(111)와, 상기 동작 환경정보가 할당된 후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200)와 상기 주차확인, 주차조회 및 긴급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112) 및 제 3 통신부(113)로 구성되는 통신부(110)와,
    상기 관리서버(500)와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간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120)와,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와,
    상기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및 전원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의 통신부(110)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1)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12)로 구성되는 통신부(210)와,
    상기 운전자에게 주차영역을 음성안내하는 음성안내부(220)와,
    상기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차영역을 안내하는 발광조명부(230)와,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와,
    상기 통신부(210), 음성안내부(220), 발광 조명부(230) 및 전원부(25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 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200)는 격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형태로 구성되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간에는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격자형태로 구성되는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통신범위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대하여 통신거리를 감안하여 통신이 중첩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22)와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버튼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주차확인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주차확인 버튼부(320)와,
    버튼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주차조회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주차조회 버튼부(330)와,
    버튼 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긴급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긴급호출 버튼부(34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무선 통신 상태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음향부(35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RF(Radio Frequency) 태그(36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0)와,
    상기 통신부(310), 주차확인 버튼부(320), 주차조회 버튼부(330), 긴급호출 버튼부(340), 음향부(350), RF(Radio Frequency) 태그(360) 및 전원부(380)를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F(Radio Frequency) 태그(360)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300) 사용자(운전자) 이름, 전화번호(휴대폰 번호, 집 또는 사무실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 및 차량번호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자(ID) 정보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영역안내장치(400)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하는 통신부(410)와,
    상기 주차영역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안내부(420)와,
    상기 주차영역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영상표시부(430)와,
    상기 운전자가 주차조회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 입력부(440)와,
    상기 관리서버(50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50),
    상기 주차영역안내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70)와,
    상기 통신부(410), 음성안내부(420), 영상표시부(430), 조작 입력부(440) 및 전원부(460)를 제어하는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500)는,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100), 주차영역안내장치(400), 출입문 장치(700)와 유선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510)와,
    상기 긴급호출 정보가 발생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긴급정보 생성부(53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Radio Frequency)태그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정보 데이터베이스(541)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Radio Frequency) 태그의 식별정보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현재위치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42)와, 상기 긴급호출이 발생한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와 현재위치정보, 긴급구난 호출 발생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긴급구난호출 정보 데이터베이스(543)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540),
    상기 관리서버(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50)
    상기 인터페이스부(510), 긴급정보 생성부(530), 데이터베이스(540) 및 전원부(550)를 제어하는 제어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600)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610)와, 상기 통신부(610)로부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위치한 층으로 자동호출하는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장치(700)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부(310)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710) 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RF(Radio Frequency) 태그를 인식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 인식부(720)와, 상기 출입문 장치(700)의 출입문 개폐를 구동하는 출입문 구동부(730)와, 상기 관리서버(500)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740)와, 상기 출입문 장치(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60)와, 상기 RF(Radio Frequency) 태그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시스템.
  11. RF(Radio Frequency) 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주차확인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주차확인 정보와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가 공중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주차확인 정보와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를 수신 한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자신들 각각의 식별정보와 위치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 및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고, 내부 메모리에 상기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주차조회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주차조회신호와 함께 공중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음성 및 광으로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 및 주 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의 수신감도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레벨이 가장 높은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로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 및 주차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해당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수신한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음성 및 광으로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조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가 상기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수신한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가 상기 음성 및 광으 로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영역안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F(Radio Frequency) 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긴급호출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긴급호출 정보와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가 공중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긴급호출 정보와 RF(Radio Frequency) 태그 정보가 상기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근접한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해당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긴급호출에 해당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호출 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전송하는 근접한 하나의 주차 영역인식장치는 상기 긴급호출이 접수되었음을 음성안내부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는 일정한 주기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공중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신호를 통신부(710)와 RF(Radio Frequency) 태그 인식부(720), 출입문 구동부(730) 및 제어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출입문 장치(700)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40)에서 상기 출입문 구동부(730)를 제어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를 통신부(610)와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600)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62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300)가 위치한 층으로 자동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
  17. RF(Radio Frequency) 태그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확인신호이면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다수의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의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조회신호이면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주차영역안내장치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를 자신의 영상표시부 및 음성안내부를 통해 안내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차조회신호이면서 상기 주차조회신호를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에서 수신한 경우 상기 주차조회신호에서 주차영역인식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해당하는 주차영역인식장치에서 음성안내부 및 발광조명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긴급호출신호이면 상기 주차영역인식장치 중 하나에서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액세스포인트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긴급호출에 해당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Radio Frequency)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 안내 방법.
KR1020080110049A 2008-11-06 2008-11-06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1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49A KR101011800B1 (ko) 2008-11-06 2008-11-06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49A KR101011800B1 (ko) 2008-11-06 2008-11-06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25A true KR20100050925A (ko) 2010-05-14
KR101011800B1 KR101011800B1 (ko) 2011-02-08

Family

ID=4227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049A KR101011800B1 (ko) 2008-11-06 2008-11-06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8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239B1 (ko) * 2010-12-01 2012-01-03 (주)엔에스티정보통신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94180B1 (ko) * 2012-07-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55360A (ko) * 2013-11-13 2015-05-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실외 주차장에서 주차 위치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CN105275235A (zh) * 2015-10-19 2016-01-27 浙江凯达奔克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控制的停取车方法和系统
KR101883916B1 (ko) * 2017-04-10 2018-08-01 신경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22342A (ko) * 2020-08-18 2022-02-25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03B1 (ko) * 2014-10-28 2016-06-13 심상교 주차관리시스템
CN105957396A (zh) * 2016-06-03 2016-09-21 王江 车位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707B1 (en) 2000-06-21 2002-07-30 Quality Information Systems, S.A. System to control and supervise vehicle transit in the public parking areas
JP2002190043A (ja) 2000-12-07 2002-07-05 Lg Electronics Inc Dsrc方式を利用した駐車料金の精算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21745A (ko) * 2002-09-04 2004-03-11 성은정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2548A (ko) * 2006-03-10 2007-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239B1 (ko) * 2010-12-01 2012-01-03 (주)엔에스티정보통신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94180B1 (ko) * 2012-07-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55360A (ko) * 2013-11-13 2015-05-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실외 주차장에서 주차 위치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CN105275235A (zh) * 2015-10-19 2016-01-27 浙江凯达奔克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控制的停取车方法和系统
KR101883916B1 (ko) * 2017-04-10 2018-08-01 신경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22342A (ko) * 2020-08-18 2022-02-25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800B1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800B1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187342B1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101012288B1 (ko)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JP5894345B2 (ja)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アパート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6104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site utilizing a security apparatus in cooperation with telephone systems
KR101275735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
JPH088114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90017733A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CN111882288A (zh) 智慧办公系统
KR100643564B1 (ko)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KR101936824B1 (ko) 스마트 원패스 시스템
KR20110048224A (ko) 원패스 태그를 이용한 주차 및 출입 관리 시스템 그리고 세대원 주차관리 방법과 세대원 출입 관리 방법
KR100817335B1 (ko) 스마트 주차카드 시스템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2010000024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80044078A (ko) 스마트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153002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13127B1 (ko) 범죄예방 엘리베이터 영상감시 시스템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257729B1 (ko)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탑승 내역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SE542171C2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