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16B1 -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16B1
KR101883916B1 KR1020170045850A KR20170045850A KR101883916B1 KR 101883916 B1 KR101883916 B1 KR 101883916B1 KR 1020170045850 A KR1020170045850 A KR 1020170045850A KR 20170045850 A KR20170045850 A KR 20170045850A KR 101883916 B1 KR101883916 B1 KR 10188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xi
rfid
location
emp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환
Original Assignee
신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환 filed Critical 신경환
Priority to KR102017004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 기존의 버스 도착시간 정보 서비스와 차별화되게 택시기사가 스스로 탑승요청자를 바라는 빈 택시임을 알리고 이를 탑승요청자가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 등의 전광판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개인차량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에 빈 택시가 언제 오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이 구비된 아닌 위치더라도 탑승요청자를 향해 오는 근거리 내의 빈 택시를 선택하여 콜 하고 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개인차량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도난 차량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난 차량인 경우 가장 인접한 순찰차에 통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PROVIDING FOR TAXI BOARDING AND PERSONALIZED VEHICLE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 BASED ON RFID TRANSMITTER AND SMART PHONE APPLIC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VID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 기존의 버스 도착시간 정보 서비스와 차별화되게 택시기사가 스스로 탑승요청자를 바라는 빈 택시임을 알리고 이를 탑승요청자가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 등의 전광판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개인차량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택시를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요청자는 자신의 위치로 오고 있는 택시를 먼저 확인한다. 이후 탑승요청자는 오고 있는 택시가 빈 택시인지 뒷자리까지 확인하기 위해 도로로 나가거나 도로와 인접한 인도 상으로 이동한 뒤 탑승객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빈 택시를 잡기 위해 손을 흔들고 탑승하려 한다.
한편, 택시 중에는 탑승객이 없이 식사를 하러 가거나 차고로 입고하러 가거나 콜을 받고 이동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탑승요청자가 뒷자리를 확인하더라도 빈차가 아닌 경우가 있어 불필요하게 택시를 잡기 위해 손을 흔드는 일이 발생하며, 택시기사의 입장에서도 차도에 서있는 것만으로 택시를 타기 원하는 탑승요청자임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자주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기존의 버스 도착시간 정보 서비스와 차별화되게 택시기사가 스스로 탑승요청자를 바라는 빈 택시임을 알리고 이를 탑승요청자가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 등의 전광판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차량에 대한 주차시 다른 지역에 주차하는 경우, 주차한 후 용무를 본 뒤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주차한 위치를 찾지못해 난감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택시 탑승요청자의 택시 탑승을 위한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RFID 태그 기술과 스마트폰의 앱을 활용하는 경우, 하나의 스마트폰 앱으로 택시에 대한 탑승 및 개인차량의 위치 정보 추적 등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94006호 "버스정류장 정보시스템(A information system of a bus station)"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97570호 "버스정류장 자동 안내방송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guidance broadcasting at bus stop)"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66672호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류장 정차 유무 안내장치(Device for informing a bus stop on station using bus inform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83147호 "차량위치정보시스템(Position informat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에 빈 택시가 언제 오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이 구비된 아닌 위치더라도 탑승요청자를 향해 오는 근거리 내의 빈 택시를 선택하여 콜 하고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개인차량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도난 차량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난 차량인 경우 가장 인접한 순찰차에 통지하도록 하기 위한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은,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 및 위치 탐지 모듈(120b)을 포함하며,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은, 탑승요청자의 스마트폰(100)에서 택시탑승 요청 전용 앱이 실행 시,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액세스(access)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 제공에 따른 현재의 지도 맵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거나,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탑승요청자의 반경 거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 현재의 위치 정보로부터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에 의해 제공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에 위치한 빈 택시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되,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 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별로 구분된 빈 택시 정보를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는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의 요청에 따른 빈 택시 정보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빈 택시 정보를 이용해 지도 맵 상에 주변의 빈 택시 정보를 출력하여 탑승요청자에 의해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선택 입력되거나, 자동적으로 선택된 가장 가까운 택시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빈 택시 선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로 스마트폰(100)을 운영하는 탑승요청자의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스마트폰(100)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며, 스마트폰(100)으로는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송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그리고 택시기사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 을 포함하며, 탑승요청자의 차량 탑승에 따라 택시기사가 소지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시 영업중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트립 컴퓨터로 전송에 따라, 차량 트립 컴퓨터에 의해 택시의 외부에 구비된 LCD 표시부를 빈차에서 영업중으로 변경하고, 미터기에 콜비 형태의 소정 금액이 추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은,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선택된 택시에 대한 차량번호와의 남은 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반경 내인 경우, 빈 택시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택시의 차량번호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 탐지 모듈(120b)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 각각이 개인 판매용 제품으로 제공되는 경우 개인이 소지하는 스마트폰(100) 상에 하나의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설치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loading) 되어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 호출 제공 수단(120b-3), 그리고 운행 경로 확인 수단(120b-4)으로 기능상 구분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택시기사용 외에 개인 판매용으로 제공 시, 개인차량(10)에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에 의한 주차 버튼(210)이 입력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0)을 갖고 개인이 이탈하는 경우 차후에 주차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은 개인차량(10)에 사용되는 경우 주차 버튼(210)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의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택시승강장 집합의 각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 집합의 각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개인차량(10)의 빈 차량임을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의 지정된 시간 동안의 호출 요청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한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부터 '빈 개인차량 정보'(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개인차량(10)의 차량번호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빈 개인차량 정보는,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것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의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한 빈 개인차량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중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통해 개인차량(10)의 주차위치 정보를 추출한 뒤, 주차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을 추출이 완료되고,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 각각과 개인차량(10)과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대적인 방위 정보를 분석하고, 추출된 각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 각각 개인차량(10)과의 연산된 거리 정보 및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의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에 수신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빈 개인차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호출버튼(230)에 대한 입력에 따라,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를 암호키로 인증을 수행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에 의해,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각 거리 정보, 각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에 대한 스마트폰(100)의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으로의 전달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현재 위치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RFID 태그를 조건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한 주차된 개인차량(10)에 대한 개인차량 운전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빈 개인차량 정보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여, 주차된 위치와 자신의 차량임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에 빈 택시가 언제 오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이 구비된 아닌 위치더라도 탑승요청자를 향해 오는 근거리 내의 빈 택시를 선택하여 콜 하고 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개인차량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RFID 송신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택시의 탑승요청자를 위해 사용되는 버스정류장과 택시승강장을 기반으로 도난 차량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난 차량인 경우 가장 인접한 순찰차에 통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스마트폰(100)의 구성요소,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의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개인차량(10)에 대한 위치 탐지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개인차량(10)에 대한 호출 전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은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빈 택시 정보 제공을 위한 전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 네트워크(300), 그리고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택시(40)를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요청자 또는 개인차량(10)을 운행하는 개인이 소지하는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로, 스마트폰 앱으로 택시탑승 요청 전용 앱 및/또는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전용 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는 택시기사 또는 개인차량 운전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택시(40) 또는 개인차량(10)에 위치하거나 개인차량(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RFID 통신을 수행하는 RFID 칩(UHF) 외에, 입력 버튼(210) 및 RFID 송신 안테나(220), 호출버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버튼(210)은 택시기사가 택시(40)의 빈 택시임을 외부로 정보 전송을 위해 온/오프(ON/OFF) 타입으로 구비되며, 입력 버튼(210)으로 한번 입력시 빈 택시 버튼 입력 온(ON) 신호가 생성되어 RFID 송신 안테나(220)를 통해 외부의 각 택시승강장(20a)에 구비된 제 1 RFID 수신기(500a)와, 각 버스정류장(20b)에 구비된 제 2 RFID 수신기(500b)로 미리 설정된 빈 택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은 개인차량(10)에 사용되는 경우 주차 버튼(210)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호출버튼(230)은 개인차량(10)의 개인차량 운전자가 주차된 위치를 호출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복합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스마트폰(100),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위치 정보와 식별번호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택시(40)와 개인차량(10)에 대한 위치 탐색, 그리고 예측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스마트폰(100)의 구성요소,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의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개인차량(10)에 대한 위치 탐지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개인차량(10)에 대한 호출 전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은 도 1의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중 빈 택시 정보 제공을 위한 전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은 송수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그리고 터치스크린(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 및 위치 탐지 모듈(12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모듈(120a, 120b)은 하나의 스마트폰 앱 또는 개별적인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 각각이, 도 5와 같이 하나의 택시(40)를 운전하는 택시기사가 소지하는 경우에 활용되기 위해 탑승요청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100) 상에 하나의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설치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loading) 되어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 그리고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으로 기능상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은 탑승요청자의 스마트폰(100)에서 택시탑승 요청 전용 앱이 실행 시,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액세스(access)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 제공에 따른 현재의 지도 맵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은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예, 1km) 정보에 대한 자동으로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거나,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탑승요청자의 반경 거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은 현재의 위치 정보로부터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에 의해 제공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에 위치한 빈 택시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 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예, 50m) 별로 구분된 빈 택시 정보를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은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의 요청에 따른 빈 택시 정보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
이후,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은 수신된 빈 택시 정보를 이용해 지도 맵 상에 주변의 빈 택시 정보를 출력하여 탑승요청자에 의해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선택 입력되거나, 자동으로 선택된 가장 가까운 택시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빈 택시 선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로 스마트폰(100)을 운영하는 탑승요청자의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스마트폰(100)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며, 스마트폰(100)으로는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송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그리고 택시기사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은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선택된 택시에 대한 차량번호와의 남은 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반경 내인 경우, 빈 택시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택시의 차량번호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택시기사가 소지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시 영업중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트립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트립 컴퓨터에 의해 택시의 외부에 구비된 LCD 표시부를 빈차에서 영업중으로 변경하고, 미터기에 콜비 형태의 소정 금액이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탐지 모듈(120b)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 각각이 개인 판매용 제품으로 제공되는 경우 개인이 소지하는 스마트폰(100) 상에 하나의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설치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loading) 되어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 호출 제공 수단(120b-3), 그리고 운행 경로 확인 수단(120b-4)으로 기능상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택시기사용 외에 개인 판매용으로 제공시, 개인차량(10)에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에 의한 주차 버튼(210)이 입력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0)을 갖고 개인차량 운전자가 이탈하는 경우 차후에 주차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은 개인차량(10)에 사용되는 경우 주차 버튼(210)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택시승강장 집합의 각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 집합의 각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개인차량(10)의 빈 개인차량임을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의 지정된 시간 동안의 호출 요청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한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부터 '빈 개인차량 정보'(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개인차량(10)의 차량번호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빈 개인차량 정보는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것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된다.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빈 개인차량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중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통해 개인차량(10)의 주차위치 정보를 추출한 뒤, 주차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을 추출한다.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 각각과 개인차량(10)과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대적인 방위 정보를 분석하고, 추출된 각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 각각 개인차량(10)과의 연산된 거리 정보 및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개인차량 운전자는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에 수신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빈 개인차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호출버튼(2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를 암호키로 인증을 수행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각 거리 정보, 각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에 대한 스마트폰(100)의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으로의 전달을 요청한다.
결과적으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현재 위치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RFID 태그를 조건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한 주차된 개인차량(10)에 대한 개인이 위치한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빈 개인차량 정보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함으로써, 주차된 위치와 자신의 차량임을 파악할 수 있다.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택시기사용 외에 개인 판매용으로 제공시, 개인차량(10)의 도난 발생 또는 추적대상 개인차량(10) 내부에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추적자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택시승강장 집합의 각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 집합의 각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스마트폰(100)의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으로부터 차량 추적 요청이 터치스크린(140) 상으로 입력되어 네트워크(300)를 통한 차량 추적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RFID 태그 정보로 식별번호를 수신한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은 실시간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RFID 태그 정보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를 수신한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의 식별번호와, 각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터치스크린(140)에 출력함으로써, 도난이 발생하거나 추적대상 개인차량(10)에 놓아둔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위치 추적 가능하도록 한다.
호출 제공 수단(120b-3)은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에 의한 도난이 발생하거나 추적대상 개인차량(10)에 놓아둔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를 기반으로 한 위치 추적시, 현재 RFID 태그가 발생한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의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통해 개인차량(10)의 진행 방향을 추출한 뒤, 추출된 진행 방향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에 대한 추출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호출 제공 수단(120b-3)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에 대한 호출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호출 요청에 따라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 각각과 개인차량(20)과의 거리를 연산하고, 추출된 각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 각 연산된 거리 정보, 그리고 추적대상 개인차량 정보(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개인차량(10)의 차량번호 정보)를 도 4와 같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 각각을 순찰하는 것으로 등록되거나 위치 기반으로 추출된 순찰차(30)에 탑승한 순찰자 스마트폰(700)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운행 경로 확인 수단(120b-4)은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에 의한 개인차량(10)의 도난 발생 또는 추적대상 개인차량(10) 내부에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추적자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 시, RFID 태그가 발생한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의 위치 정보를 시간 경과대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수집되므로,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의 액세스를 통해 조회 시점의 운행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상술한 제어부(120)의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빈 택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도 5와 같이 택시(40)의 빈 택시임을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호출 요청을 수신한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부터 '빈 택시 정보'(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택시(40)의 차량번호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빈 택시 정보는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가RFID 통신 방식을 통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것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빈 택시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중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통해 택시(40)의 진행 방향을 추출한 뒤, 추출된 진행 방향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을 추출한다.
이후,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추출된 각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 각 연산된 거리 정보, 그리고 빈 택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거리 정보 및 빈 택시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은 수신된 '거리 정보' 및 택시 정보 중 택시(40)의 '차량번호 정보'를 각각 자신과 연결된 제 1 LCD 장치(600a) 및 제 2 LCD 장치(600b)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는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뿐만 아니라 이외의 장소에서 탑승요청자의 스마트폰(100)에서 택시탑승 요청 전용 앱(상술한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을 기반으로 한 경우)이 실행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위치정보 전송과 함께 빈 택시 정보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스마트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예, 1km) 내의 빈 택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은 수신된 빈 택시 정보를 이용해 지도 맵 상에 주변의 빈 택시 정보를 출력하여 탑승요청자에 의해 선택 입력되거나 택시탑승 요청 전용앱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가장 가까운 택시(40)에 대한 선택을 수행한 뒤, 선택된 택시(40)에 대한 차량번호와의 남은 거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택시(40)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남은 거리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택시 탑승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반경 내인 경우, 택시 탑승 요청 전용 앱에 의해 선택된 택시(40)의 차량번호가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스마트폰
110 : 송수신부
120 : 제어부
120a : 택시 탑승 요청 모듈
120a-1 :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
120a-2 :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
120a-3 :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
120b : 위치 탐지 모듈
120b-1 : 주차 위치 확인 수단
120b-2 :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
120b-3 :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
130 : 저장부
200 :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
300 : 네트워크
400 :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

Claims (10)

  1.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 및 위치 탐지 모듈(120b)을 포함하며,
    택시 탑승 요청 모듈(120a)은,
    탑승요청자의 스마트폰(100)에서 택시탑승 요청 전용 앱이 실행 시,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액세스(access)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 제공에 따른 현재의 지도 맵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거나,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탑승요청자의 반경 거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
    현재의 위치 정보로부터 빈 택시 요청 설정 수단(120a-1)에 의해 제공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에 위치한 빈 택시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되,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반경 거리 정보 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별로 구분된 빈 택시 정보를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는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
    빈 택시 정보 요청 수단(120a-2)의 요청에 따른 빈 택시 정보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빈 택시 정보를 이용해 지도 맵 상에 주변의 빈 택시 정보를 출력하여 탑승요청자에 의해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선택 입력되거나, 자동적으로 선택된 가장 가까운 택시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빈 택시 선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로 스마트폰(100)을 운영하는 탑승요청자의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스마트폰(100)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며, 스마트폰(100)으로는 빈 택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택시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송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그리고 택시기사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 을 포함하며,
    탑승요청자의 차량 탑승에 따라 택시기사가 소지한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시 영업중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트립 컴퓨터로 전송에 따라, 차량 트립 컴퓨터에 의해 택시의 외부에 구비된 LCD 표시부를 빈차에서 영업중으로 변경하고, 미터기에 콜비 형태의 소정 금액이 추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빈 택시 정보 제공 수단(120a-3)은,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선택된 택시에 대한 차량번호와의 남은 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반경 내인 경우, 빈 택시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택시의 차량번호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위치 탐지 모듈(120b)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 각각이 개인 판매용 제품으로 제공되는 경우 개인이 소지하는 스마트폰(100) 상에 하나의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설치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loading) 되어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 추적자 위치 확인 수단(120b-2), 호출 제공 수단(120b-3), 그리고 운행 경로 확인 수단(120b-4)으로 기능상 구분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가 택시기사용 외에 개인 판매용으로 제공시, 개인차량(10)에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에 의한 주차 버튼(210)이 입력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0)을 갖고 개인이 이탈하는 경우 차후에 주차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입력 버튼(210)은 개인차량(10)에 사용되는 경우 주차 버튼(210)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의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택시승강장 집합의 각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 집합의 각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개인차량(10)의 빈 차량임을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의 지정된 시간 동안의 호출 요청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한 택시승강장 집합을 이루는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 집합을 이루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부터 '빈 개인차량 정보'(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개인차량(10)의 차량번호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빈 개인차량 정보는,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제 2 RFID 수신기(500b)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것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의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한 빈 개인차량 정보 및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 중 수신기 고유 RFID 식별번호를 통해 개인차량(10)의 주차위치 정보를 추출한 뒤, 주차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을 추출이 완료되고, 추출된 택시승강장(20a) 및 버스정류장(20b) 각각과 개인차량(10)과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대적인 방위 정보를 분석하고, 추출된 각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로 각각 개인차량(10)과의 연산된 거리 정보 및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의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및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에 수신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빈 개인차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호출버튼(230)에 대한 입력에 따라,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로부터 하이브리드 RFID 송신기(200)의 식별번호를 암호키로 인증을 수행한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를 수신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 각각에 의해,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에 대한 각 거리 정보, 각 상대적인 방위 정보, 그리고 빈 개인차량 정보에 대한 스마트폰(100)의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으로의 전달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주차 위치 확인 수단(120b-1)은,
    현재 위치한 택시승강장(20a)의 제 1 RFID 수신기(500a) 또는 버스정류장(20b)의 제 2 RFID 수신기(500b)에 대한 RFID 태그를 조건으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한 주차된 개인차량(10)에 대한 개인차량 운전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정보, 상대적인 방위 정보, 빈 개인차량 정보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40)으로 출력하여, 주차된 위치와 자신의 차량임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탐지 시스템.
KR1020170045850A 2017-04-10 2017-04-10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8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850A KR101883916B1 (ko) 2017-04-10 2017-04-10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850A KR101883916B1 (ko) 2017-04-10 2017-04-10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16B1 true KR101883916B1 (ko) 2018-08-01

Family

ID=6322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850A KR101883916B1 (ko) 2017-04-10 2017-04-10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1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70A (ko) 2000-04-24 2001-11-08 김동엽 버스정류장 자동 안내방송 시스템
KR20040083147A (ko) 2003-03-21 2004-10-01 (주)오픈포유 차량위치정보시스템
KR100694006B1 (ko) 2005-04-13 2007-03-12 육상조 버스정류장 정보시스템
KR20100005922A (ko) * 2008-07-08 2010-01-18 주식회사 로티스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20100050925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4940A (ko) * 2012-04-10 2013-10-21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택시-콜 시스템
KR20140005534A (ko) * 2012-07-04 2014-01-15 (주)링크텍 위치 정보를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4137A (ko) * 2013-04-16 2014-10-24 홍서현 콜택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콜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25973A (ko) * 2013-04-19 2014-10-30 최영진 휴대폰을 이용한 콜택시 호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6672A (ko) 2013-12-07 2015-06-17 주진완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류장 정차 유무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70A (ko) 2000-04-24 2001-11-08 김동엽 버스정류장 자동 안내방송 시스템
KR20040083147A (ko) 2003-03-21 2004-10-01 (주)오픈포유 차량위치정보시스템
KR100694006B1 (ko) 2005-04-13 2007-03-12 육상조 버스정류장 정보시스템
KR20100005922A (ko) * 2008-07-08 2010-01-18 주식회사 로티스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20100050925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4940A (ko) * 2012-04-10 2013-10-21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택시-콜 시스템
KR20140005534A (ko) * 2012-07-04 2014-01-15 (주)링크텍 위치 정보를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4137A (ko) * 2013-04-16 2014-10-24 홍서현 콜택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콜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25973A (ko) * 2013-04-19 2014-10-30 최영진 휴대폰을 이용한 콜택시 호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6672A (ko) 2013-12-07 2015-06-17 주진완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류장 정차 유무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059B2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US20200175633A1 (en) Rideshare management system, rideshar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9482761B2 (en) GPS gate system
CN110785786B (zh) 车辆信息提供装置、车辆信息提供方法及存储介质
US20180315022A1 (en) Ride sharing management device, ride shar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EP2806412A1 (en) Route computation for navigation system using data exchanged with ticket vending machines
WO2018093396A1 (en) Item delivery to an unattended vehicle
US20190228664A1 (en) Vehicle calling system
KR20200083683A (ko) 차량, 그와 통신하는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JP5947440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車載器
CN109863765B (zh) 由多辆机动车的车组提供信息
KR20150044064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편리하고 안전한 택시이용방법
US20220333937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navigation service using vehicle sharing network, and device and system for same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2160130A (ja) タクシー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情報提供方法
CN113853638B (zh) 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方法以及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装置
JP7163851B2 (ja) 自動運転配達システム
JP2019035615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装置、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380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 industry vehicle rider accessory capacity monitoring
KR102041188B1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101883916B1 (ko) Rfid 송신기 및 스마트폰 앱 기반의 빈 택시 정보 및 개인차량 위치 탐지 제공 시스템, 정보 및 탐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96438B1 (ko) Rfid 기반의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을 이용한 택시 탑승 시스템 및 택시 탑승 방법
US20210065549A1 (en) Parking/stopping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database generation device
KR102086154B1 (ko) 가상 정거장을 이용한 무인 택시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인 택시 매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