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88B1 -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 Google Patents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688B1
KR102240688B1 KR1020200010529A KR20200010529A KR102240688B1 KR 102240688 B1 KR102240688 B1 KR 102240688B1 KR 1020200010529 A KR1020200010529 A KR 1020200010529A KR 20200010529 A KR20200010529 A KR 20200010529A KR 102240688 B1 KR102240688 B1 KR 10224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user
movie theater
cart body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
곽윤정
김문희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1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2Target-seeking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speed control of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markers or beac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카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카트 본체를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도록 하는 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카트에 설치된 안내장치를 통해 영화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영화관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유도할 수 있고, 개인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 보관함이나 개인 물품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푸드 트레이를 통해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의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Autonomous Smart Carts for Theater}
본 발명은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화관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화관의 스마트 카트를 특정 사용자에게 트래킹(tracking)시켜 사용자의 뒤를 추적하게 함으로써,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화관은 과거 영화상영이라는 단순한 개념을 벗어나 영화 그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고, 즐거움을 제공하는 문화콘텐츠의 장으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변화에 대응하여 영화관이 문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등장한 것이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라 할 수 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관람객들에게 영화에 대한 폭넓은 선택권을 부여하며, 그와 동시에 다양한 오락이벤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건물에 푸드 코트를 비롯한 식당, 오락실, 휴게실, 커피전문점 등의 다양한 편의시설을 입점하거나, 쇼핑몰, 문화 공간 등의 부대시설과 연계하여 고객의 장기체류와 방문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다른 서비스 업종에 비하여 고객과 종업원 간의 상호작용이 낮은 장소이며, 오히려 종업원보다는 물리적 환경요인이 주로 소비자를 유인하는 요인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등장은 극장을 단순한 영화 상영관에서 복합된 문화 활동 공간 즉, 멀티플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지만, 현재의 빠르고 눈부신 성장은 영화시장을 포화상태로 만들었고, 이들 간의 과다 경쟁의 개연성을 높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과다 경쟁 속에서 고객만족을 수익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편의시설을 개선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제공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8346호』
본 발명은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영화관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람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카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카트 본체를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도록 하는 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영화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생성되는 새로운 영화관 정보 및 기 저장된 영화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크린과, 청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 안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수납하는 사물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음식물 거치홈이 형성되어 음식이 수용된 케이스를 거치하고, 상부에 물품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람객의 개인 휴대 물품을 거치하며, 파지홈이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 본체의 수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도록 하는 푸드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마트 카트가 추적하는 사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듯, 영화 예매 안내, 좌석 지정 안내, 영화 상영 시간 안내, 멀티플렉스 내 부대 시설 안내, 먹거리 안내, 주차 안내 및 상영관과 부속 시설의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영화관 정보와 스마트 카트의 사용 방법을 스크린과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영화관과 사용자의 원활한 인터랙션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와 스마트 카트의 원활한 인터랙션을 통해 영화관 내 상주 직원과의 교류 없이도 관람객의 문의 사항이나 궁금증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어, 영화관의 소비자 개개인이 취향과 욕구에 맞춘 마케팅 활동이 가능하다.
셋째, 영화관 정보를 안내해주는 스마트 카트에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 보관함이나, 개인 물품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푸드 트레이가 더 설치되어 관람객의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술한 사물 보관함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영관에 입장한 관람객의 사물 보관함을 보관함 대기소에 임치시키면, 많은 수량의 사물 보관함을 적은 수량의 카트 본체만으로도 운용할 수 있어 다수의 관람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트가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트 제어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카트가 추적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위치 및 구조가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푸드 트레이의 가변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카트가 사용자에게 식별되어 매칭됨으로써, 사용자를 추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사용자를 추적하는 스마트 카트가 추적이 중지된 후, 사용자의 개인 물품이 수납된 사물 보관함을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사물 보관함을 하역한 스마트 카트들이 서로 일부가 중첩되어 대기 또는 보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에서 사용되는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10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스마트 카트(100)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스마트 카트(100)의 추적 과정을 제어하는 카트 제어장치(140)의 세부 구성이 나타나 있고, 도 4에는 스마트 카트(100)의 추적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도 5에는 푸드 트레이(160)의 동작이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100, 이하, ‘스마트 카트’라 함)는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에게 영화관 정보를 안내하여 영화관과 관람객의 인터랙션을 유도함은 물론,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보관하여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하는 것으로, 카트 본체(110), 카트 구동장치(120), 카트 안내장치(130), 카트 제어장치(140), 사물 보관함(150) 및 푸드 트레이(16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트 본체(110)는 스마트 카트(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선단(111a)으로부터 후단(111b)으로 연장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상부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체화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112)와, 한 쌍의 프레임부(112)의 끝단들을 연결하여 일체화 또는 결합되는 패널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부(111)는 스마트 카트(100)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는 것을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 한 층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도록, 가로 50cm 이하, 세로 30cm 이하로 형성되며, 한 쌍의 프레임부(112)의 형상에 따른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후단(111b)에 비해 선단(111a)이 두텁고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후술될 카트 구동장치(120)가 베이스부(111)의 선단(111a)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프레임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선단(111a)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되, 베이스부(111)의 후단(111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수직선을 향해 사선 형태로 형성되며, 조작하는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140cm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조작을 고려하여 연장되는 최상단이 베이스부(111)의 반경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패널부(113)는 후술될 카트 안내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프레임부(1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베이스부(111)의 형상은 다른 스마트 카트(100)의 베이스부(111)와 적층 또는 일부가 중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선단(111a)의 너비보다 후단(111b)의 너비가 크게 형성되되, 후단(111b) 내부는 비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적층 또는 일부가 중첩되는 다른 스마트 카트(100)의 베이스 선단(111a)이 상기 비워진 상태의 후단(111b)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스마트 카트(100)가 적층 또는 일부 중첩되어 보관되는 과정은 도 8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카트 구동장치(120)는 카트 본체(110)에 설치되어 카트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의 선단(111a) 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부(111)의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샤프트(미도시)와, 샤프트의 양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11)의 하부로 노출되는 복수 개의 바퀴들과, 후술될 카트 제어장치(140)에 연결 및 제어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카트 안내장치(130)는 영화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영화관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 본체(110)의 패널부(113) 전면에 설치되며, 영화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생성되는 새로운 영화관 정보 및 기 저정된 영화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크린(131)과, 동일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피커 모듈(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화관 정보는 상영 영화에 대한 정보, 상영관 정보, 상영 시간 정보, 영화관 또는 멀티플렉스의 부대시설 정보 및 네비게이션 기능, 주문 음식에 대한 정보 및 예약 정보, 주차 안내 정보, 영화관 또는 멀티플렉스에 연계된 쇼핑몰 및 음식점 정보 및 상영관별 위치 정보를 비롯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망라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스마트 카트(100)의 사용 방법 역시 안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 제어장치(140)는 상술한 카트 구동장치(120)와 카트 안내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신호 수신부(141), 정보획득 센서부(142), 추적경로 생성부(143) 및 구동장치 제어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카트 제어장치(140)는 사용자 단말과 영화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별신호 수신부(14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추적경로 생성부(143)가 상기 사용자를 타겟팅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영화관 서버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영화 티켓, 영화관 서버 또는 영화관 서버에 연동된 영화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숫자, 이미지, 바-코드(bar-code), QR-코드(QR-code)로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카트 제어장치(140)를 트래킹(매칭 및 연동)시킬 수 있다.
정보획득 센서부(142)는 카트 본체(110) 주변의 관람객들 정보를 센싱함은 물론, 카트 본체(110)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센싱하거나 영화관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관람객들 정보 및 주변 장애물 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본체(110)의 주변 정보를 생성하며, 카트 본체(110) 주변 정보와 연동된 카트 본체(110)의 자세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보획득 센서부(142)는 카트 본체(110)의 주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실내 주행의 경우,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관성 센서(Inertia Measurement Unit, IMU), 카메라를 이용하며, 실외 주행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 본체(110)의 자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지구 자기장을 측정하여 방향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센서들은 이미 공지된 기술들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추적경로 생성부(143)는 상술한 정보획득 센서부(142)로부터 생성된 카트 본체(110)의 주변 정보와 카트 본체(110)의 자세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카트 본체(110)의 추적 경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획득 센서부(142)를 통해 영화관 서버로부터 영화관의 입면도 정보를 포함한 영화관 내 설치된 부속물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제공 받아 카트 본체(110) 주변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며, 정보획득 센서부(142)의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관성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카트 주변의 관람객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카트 본체(110)의 자세 정보와 연계된 관람객과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카트 본체(110)의 추적 경로를 생성한다. 나아가, 영화관 서버로부터 복수 개의 다른 스마트 카트(100)들에서 측정된 다른 스마트 카트(100)들 본체 주변의 관람객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다른 스마트 카트(100)에서 제공되는 관람객들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최단 거리 또는 최소 시간의 추적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관람객들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최적의 추적 경로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추적경로 생성부(143)는 사용자가 영화 상영관 내로 입장하거나, 영화 상영 시작 시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 본체(110)의 추적을 중지시킨 후, 카트 본체(110)가 후술될 다수의 사물 보관함(150)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대기소로 이동할 수 있는 복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화관 내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에 접근하여 사용자를 추적하는 카트 본체(110)가 에스컬레이터 주변의 설정된 영역에 진입하면, 카트 본체(110)의 사용자 추적을 중지시킨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트 본체(110)를 이동시켜 에스컬레이터에 탑승시키도록 하거나, 영화관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탑승 경로 및 탑승 시간을 제공받아 카트 본체(110)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동장치 제어부(144)는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도록, 카트 구동장치(120)의 구동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며, 모터가 회전할 때 마다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바퀴들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홀 센서(미도시)를 통해 구동 속도 및 방향 정보를 산출 및 제어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물 보관함(150)은 영화관을 찾은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가 베이스부(111)의 후단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부는 사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112)에 결합되어 카트 본체(110)에 설치된다. 이때, 사물 보관함(150)은 카트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보관함 개폐부(151)가 형성되어 사물 보관함(150)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되어 카트 구동장치(120) 및 카트 제어장치(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푸드 트레이(160)는 사물 보관함(150)과 별개로 영화관을 찾은 사용자의 가벼운 휴대 물품을 거치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프레임부(112)의 상부에 회동 및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 구조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팝콘, 콜라 등의 휴대한 음식이 수용된 케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음식물 거치홈(161)들과, 음식물 거치홈(161)과 이격된 위치에 휴대폰, 티켓 등의 사용자의 개인 휴대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물품 거치홈(162)과, 음식물 거치홈(161) 및 물품 거치홈(162)과 이격된 위치이며, 푸드 트레이(160)의 후방 위치에 카트 본체(110)의 수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파지홈(163)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푸드 트레이(160)는 한 쌍의 프레임부(112) 사이에서 양측단이 프레임부(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음식물 거치홈(161) 및 물품 거치홈(162)이 한 쌍의 프레임부(112)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프레임부(112)의 간섭 없이 음식물 거치홈(161) 및 물품 거치홈(162)에 외부에 노출되게 하거나, 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파지홈(163)이 한 쌍의 프레임부(112)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프레임부(112)의 간섭 없이 파지홈(163)이 외부에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푸드 트레이(160)는 한 쌍의 프레임부(112) 사이에서 양측단이 한 쌍의 프레임부(112)에 각각 축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카트 본체(110) 내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한 쌍의 프레임부(112)를 따라 사선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100)가 사용자를 식별하여 추적하는 과정으로부터 추적을 중지하고 사물 보관함(150)을 하역하는 과정과 사물 보관함(150)을 하역한 카트 본체(110)가 다른 카트 본체(110)와 적층 또는 일부가 중첩된 구조로 대기하여 보관되는 과정을 도 6 내지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영화관 서버, 영화 티켓 또는 영화관 서버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카트(100)에 인식될 수 있는 문자, 숫자, 이미지, 바-코드, QR-코드 등을 제공받아 특정 스마트 카트(1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스마트 카트(100)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 및 인식하게 한다. 이후, 사용자는 보관함 대기소에서 식별된 스마트 카트(100)가 사용자 본인을 추적하게 하거나, 식별된 스마트 카트(100)가 자체 동작하여 보관함 대기소에서 출발하여 식별된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추적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보안된 사물 보관함(150)에 개인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푸드 트레이(160)에 휴대할 수 있는 개인 물품을 잠시 거치할 수 있으며, 스마트 카트(100)는 사용자를 추적하면서 영화관 정보를 안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를 추적하며 영화관 정보를 안내하는 추적 모드의 스마트 카트(100)는 사용자가 영화 상영관 내로 입장하거나, 영화 상영 시작 시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 본체(110)의 추적을 중지하며, 복귀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어 복귀 경로를 따라 보관함 대기소로 이동하며, 보관함 대기소의 스마트 카트(100)는 사물 보관함(150)을 보관함 대기소에 하역한 후, 사물 보관함(150)이 분리된 카트 본체(110)는 별도의 공간으로 옮겨져 보관된다. 이때, 하역된 사물 보관함(150)은 보안된 상태로 보관함 대기소에 안치되어 보관되며, 영화 관람을 끝낸 사용자가 보관함 대기소에서 사물 보관함(150)을 식별하여 보안을 해제한 후, 수납된 개인 물품을 찾을 수 있게 한다. 동시에, 보관함 대기소 내 안치된 사물 보관함(150)은 보관함 대기소로부터 내부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 본체(110)에 별도의 보조 배터리가 더 설치되어 사물 보관함(150)이 분리된 카트 본체(110)가 스스로 동작하여 별도의 공간에 대기되어 보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물 보관함(150)과 분리되어 동작이 정지한 카트 본체(110)는 푸드 트레이(160)가 회동되어 한 쌍의 프레임부(112)를 따라 사선 형태로 그 구조가 변형되어 설치되며, 인접한 다른 스마트 카트(100)의 후방에 근접하여 베이스부(111)의 일부가 중첩되어 적층된 구조로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1)의 선단은 이미 대기하고 있는 인접한 다른 스마트 카트(100)의 베이스부(111) 후단 내로 인입되어 일부가 중첩되며, 푸드 트레이(160)는 사선 형태로 그 구조가 변화하여 스마트 카트(100)의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10 : 카트 본체 111 : 베이스부
111a : 베이스 선단 111b : 베이스 후단
112 : 한 쌍의 프레임부 113 : 패널부
120 : 카트 구동장치 130 : 카트 안내장치
131 : 스크린 132 : 스피커 모듈
140 : 카트 제어장치 141 : 식별신호 수신부
142 : 정보획득 센서부 143 : 추적경로 생성부
144 : 구동장치 제어부 150 : 사물 보관함
151 : 보관함 개폐부 160 : 푸드 트레이
161 : 음식물 거치홈 162 : 물품 거치홈
163 : 파지홈

Claims (21)

  1.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카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카트 본체를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도록 하는 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신호 수신부;
    상기 카트 본체 주변 관람객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카트 본체 주변 장애물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카트 본체의 주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트 본체의 주변 정보와 연동된 상기 카트 본체의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는 정보획득 센서부;
    상기 정보획득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카트 본체의 주변 정보와 상기 카트 본체의 자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카트 본체의 추적 경로를 생성하는 추적경로 생성부; 및
    상기 카트 본체와 상기 사용자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카트 구동장치의 구동 속도 및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경로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영화관 내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접근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는 상기 카트 본체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주변의 설정된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카트 본체의 추적을 중지한 후, 상기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카트 본체를 이동시켜 에스컬레이터에 탑승시키도록 하거나, 기 설정된 탑승 경로 및 탑승 시간을 따라 상기 카트 본체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하도록 유도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 수신부는,
    영화 티켓, 영화관 서버 또는 영화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숫자, 이미지, 바-코드(bar-code) 또는 QR-코드(QR-code)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카트 제어장치를 매칭 및 연동시키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적경로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영화 상영관 내로 입장하거나, 영화 상영 시작 시간에 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카트 본체의 추적을 중지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적경로 생성부는,
    상기 정보획득 센서부를 통해 영화관 서버로부터 영화관의 입면도 정보를 포함한 상기 영화관 내 설치된 부속물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카트 본체 주변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정보획득 센서부를 통해 상기 카트 본체 주변의 각 관람객들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카트 본체가 상기 관람객들과 상기 장애물들을 회피하여 상기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 본체의 자세 정보와 연계된 추적 경로를 생성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적경로 생성부는,
    상기 영화관 서버로부터 복수 개의 다른 스마트 카트들에서 측정된 상기 다른 스마트 카트들 본체 주변의 관람객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추적 경로에 반영함으로써, 최단 거리 또는 최소 시간의 추적 경로를 생성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7.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카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카트 본체를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도록 하는 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수납하는 사물 보관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물 보관함은,
    상기 카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 제어장치에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8. 청구항 1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어 영화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생성되는 새로운 영화관 정보 및 기 저장된 영화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크린과, 청각적으로 안내 또는 알람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9. 청구항 1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연장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과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향해 사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영화관 내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 층계의 한 턱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트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로 노출되는 복수 개의 바퀴들; 및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며, 상기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트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면, 보관함 대기소로 이동하여 상기 보관함 대기소에 대기 중인 상기 사물 보관함을 상기 카트 본체에 탑재하여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게 하며, 상기 카트 본체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적이 중지되면, 상기 카트 본체를 보관함 대기소로 이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개인 물품이 수납된 상기 카트 본체를 상기 보관함 대기소에 하역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물 보관함은,
    상기 보관함 대기소에 하역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연장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과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향해 사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물 보관함은,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사선 형태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 본체에 설치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물 보관함은,
    상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보관함 개폐부를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8. 청구항 1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연장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과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향해 사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음식물 거치홈들이 형성되어 음식이 수용된 케이스를 거치하고, 상기 상면의 상기 음식물 거치홈과 이격된 위치에 물품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개인 휴대 물품을 거치하며, 상기 상면의 상기 음식물 거치홈 및 상기 물품 거치홈과 이격된 위치에 파지홈이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 본체의 수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도록 하는 푸드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푸드 트레이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양측단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음식물 거치홈 및 상기 물품 거치홈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하거나, 상기 파지홈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푸드 트레이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에 사이에서 양측단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카트 본체 내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카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개인 물품을 수납하는 사물 보관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물 보관함을 보관함 대기소에 하역한 후, 상기 카트 본체를 카트 대기소로 이동시켜 다른 카트 본체들과 함께 대기하게 하되, 상기 푸드 트레이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를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카트 본체의 선단이 다른 어느 하나의 카트 본체의 후단에 끼워져 일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각각 대기하는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KR1020200010529A 2020-01-29 2020-01-29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KR10224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29A KR102240688B1 (ko) 2020-01-29 2020-01-29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29A KR102240688B1 (ko) 2020-01-29 2020-01-29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688B1 true KR102240688B1 (ko) 2021-04-14

Family

ID=7547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29A KR102240688B1 (ko) 2020-01-29 2020-01-29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87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스마트해피넷 이동 표적 자동 추적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트의 이동 표적 자동 추적 방법
KR102539265B1 (ko) 2022-02-07 2023-06-02 이상훈 전동 보조 반 자율주행 손수레
WO2024043719A1 (ko)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에서 하차하는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360A (ja) * 1999-12-03 2001-06-12 Okamura Corp 図書館用カート
KR20100006975A (ko) * 2008-07-11 2010-01-22 서울메트로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KR20180109107A (ko) * 2017-03-27 2018-10-08 (주)로직아이텍 매장 및 창고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카트로봇장치
KR20190103105A (ko) * 2019-07-12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KR102028346B1 (ko) 2019-02-07 2019-10-04 주식회사 트위니 선도 추미 대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360A (ja) * 1999-12-03 2001-06-12 Okamura Corp 図書館用カート
KR20100006975A (ko) * 2008-07-11 2010-01-22 서울메트로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KR20180109107A (ko) * 2017-03-27 2018-10-08 (주)로직아이텍 매장 및 창고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카트로봇장치
KR102028346B1 (ko) 2019-02-07 2019-10-04 주식회사 트위니 선도 추미 대차
KR20190103105A (ko) * 2019-07-12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87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스마트해피넷 이동 표적 자동 추적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트의 이동 표적 자동 추적 방법
KR102539265B1 (ko) 2022-02-07 2023-06-02 이상훈 전동 보조 반 자율주행 손수레
WO2024043719A1 (ko)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에서 하차하는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688B1 (ko) 영화관의 자율주행 스마트 카트
KR102385323B1 (ko) 식당 서비스용 로봇
US9757002B2 (en)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employ voice input
EP3422331A1 (en) Method of operating moving robot
US114424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tem delivery by a mobile robot
JP2017515176A (ja) 出入り口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
US20210107159A1 (en) Robot utilization system and transport robot
KR20200084769A (ko) 로봇의 제어 방법
CA293807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ssenger transport
US10751232B1 (en) Mobile application-controlled undercarriage
US20220017109A1 (en) Motion sickness reduction system for vehicles
US11420518B2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vehicle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20210179159A1 (en) LSM Luggage Trolleys: Intelligent Shopping Mall Luggage Trolleys
CA2936393A1 (en)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dispatch and recover motorized transport units that effect remote deliveries
JP2021064213A (ja) 搬送ロボット
US20210405640A1 (en) User transportation method and personal mobility
US6637533B2 (en) Interactive transporting system for moving people around in an environment
CN111148607A (zh) 用于通过移动机器人进行物品递送的系统和方法
US20230289706A1 (en) Automated local delivery center
JP2021064214A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JP2022186130A (ja) 移動体システム
JP2022186134A (ja) 移動体システム
JP2022186133A (ja) 移動体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