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71B1 -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 Google Patents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71B1
KR102619871B1 KR1020210148539A KR20210148539A KR102619871B1 KR 102619871 B1 KR102619871 B1 KR 102619871B1 KR 1020210148539 A KR1020210148539 A KR 1020210148539A KR 20210148539 A KR20210148539 A KR 20210148539A KR 102619871 B1 KR102619871 B1 KR 10261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facility
number ticket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449A (ko
Inventor
강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테크노
Priority to KR102021014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05Manipulators having means for high-level communication with users, e.g. speech generator, face recogni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을 방문한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하는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방위 회전 가능하되 시설 입구 영상과 대기 방문자 영상을 각각 획득하기 위한 제1 및 제2카메라와, 이동 휠, 표시부 및 번호표 발급부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와; 상기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와;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와;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와; 상기 각 카메라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ROBOTIC SYSTEM FOR ISSUING NUMBER TAGS}
본 발명은 순번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을 방문한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하는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창구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순번을 정해 처리순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표(혹은 순번표) 발급기가 은행, 관공서, 공항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인 번호표 발급기('순번기'라고도 함)는 해당 시설의 입구 혹은 창구 앞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시설 방문자는 번호표 발급기로 이동하여 업무별 번호표를 발급받아 대기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번호표 발급기는 시설 방문자가 직접 번호표 발급기를 찾아가야 하는 방식이므로 이용상 불편함이 수반된다.
특히 시설 방문자가 많아 대기시간이 길어질 경우 시설 방문자들은 무작정 공허하게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야 하기에 이들의 무료함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번호표 발급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2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686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시설을 방문한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해 주는 새로운 형태의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설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하되 보안 목적으로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번호표를 발급해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시설 방문자와 의사소통하여 방문 목적에 맞는 업무별 번호표를 발급해 줄 수 있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며,
업무 종료 후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여 방재 및 보안장비로 활용할 수 있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전방위 회전 가능하되 시설 입구 영상과 대기 방문자 영상을 각각 획득하기 위한 제1 및 제2카메라와, 이동 휠, 표시부 및 번호표 발급부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와;
상기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와;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와;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와;
상기 각 카메라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번호표 발급 제어부는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번호표 발급을 제어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순번 호출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입장한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정보와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를 순번 호출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되, 미발급된 순번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정보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각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는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의 방문자를 우선 검색 선정하여 번호표 발급의 신속을 기할 수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각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들은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자 감지센서와;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와;
설정된 시간에 보안모드로 전환하거나 보안모드를 해제시키고, 보안모드에서 상기 센서들을 활성화시켜 얻어지는 이벤트 신호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파하는 보안 시설 제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보안시설 및 방재시설 없이도 보안 및 방재를 강화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형태의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되, 시설 내 보안 카메라로부터 시설 입구 영상을 무선 전송받아 시설을 방문한 방문자를 찾아 다니면서 번호표를 발급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설 내로 입장하는 방문자를 촬영하여 순번 부여해 주며, 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찾아 번호표를 발급해 줌으로써, 시설 방문자는 번호표 발급기를 찾아 서성일 필요 없이 바로 의자에 앉아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로봇 시스템을 통해 번호표를 발급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방문자에게 순번을 부여하였지만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순번은 호출시 자동 스킵하기 때문에, 번호표를 발급받아 퇴장한 방문자가 소지한 순번을 호출함으로써 야기되는 시간적 낭비와 업무 담당자의 호출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업무 시간이 종료(설정시간이)되면 보안장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고, 시설 내 보안장비와 연동해 번호표를 발급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과 그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번호표 발급 흐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과 그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관공서, 은행과 같은 시설 내에서 하나의 카메라(예를 들면 CAM 2)를 이용해 자율 주행 가능한 로봇으로서, 시설 방문자들에게 번호표를 발급해 주고 시설 업무 종료시에는 보안 장비로 활용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이다.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휠(106)을 하부에 구비해 시설 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또한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CAM1,CAM2)를 구비한다. 하나의 카메라(CAM1)는 시설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용도이며, 하나의 카메라(CAM2)는 부여 순번에 따라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찾아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부여 순번에 따라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찾아 이동하기 위한 하나의 카메라(CAM2)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설 내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보안 카메라(500)를 통해 획득된 시설 입구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시설 내에서 자율 주행 가능한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시설 내에 설치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들을 통해 순번 호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정보는 발급된 번호표를 호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입장한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정보와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중 번호표가 실제 발급되지 않은 미발급 순번 정보가 상기 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방문자가 번호표 발급 전에 임시로 자리를 비웠거나 시설 밖으로 나간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관리 서버(300)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고, 로봇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가공하여 업무 담당자의 방문자 호출 요구에 맞춰 순번 표시 단말기(400)에 호출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대기자 수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 서버(300)는 구현 방식에 따라 보안 카메라(500)로부터 전달되는 시설 입구 영상을 직접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으로 전달하거나,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하고, 순번 부여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으로 전달해 해당 방문자에게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방문자 객체의 특징이란 방문자가 착용한 복장의 컬러를 특징으로 할 수도 있고, 얼굴인식에 이용되는 랜드마크를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시설 방문자들을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해 주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카메라 지지체에 결합되어 전방위 회전 가능한 제1카메라(CAM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카메라(CAM1)는 시설 내로 입장하는 방문자 영상을 얻기 위해 로봇 시스템(100)이 시설 내를 자율 주행하더라도 계속적으로 시설 입구를 촬영한다. 이와 같이 시설 입구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영상을 하기에서는 시설 입구 영상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로봇 시스템(100)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제1카메라(CAM1)가 회전하면서 시설 입구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시설 입구 혹은 입구 주변에 특정 마커를 표시하거나 설치하여 그 마커가 촬영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카메라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1카메라(CAM1) 외에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시설 내로 입장한 방문자 중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및 추적하기 위한 제2카메라(CAM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카메라 역시 카메라 지지체에 결합되어 전방위 회전 가능하다. 제2카메라(CAM2)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하기에서는 대기 방문자 영상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카메라(CAM1,CAM2)는 전방위 회전하면서 시설 내 곳곳을 촬영해야 하므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100)의 헤드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카메라들(CAM1,CAM2) 외에,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제1카메라(CAM1)에서 촬상된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112)와,
제2카메라(CAM2)에서 촬상된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와,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21)와,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와,
상기 각 카메라(CAM1,CAM2)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123)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140),
상기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순번(번호)이 기재된 번호표를 인쇄(자) 발급하는 번호표 발급부(104)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번호표를 발급받아야 하는 방문자에게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번호표 발급 안내부와 음성 인식부는 하나의 음성신호 처리부(170)로 구현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를 통해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고,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에 따라 업무별 번호표를 발급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외에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순번 호출 시스템인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30)와,
입장한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정보와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를 순번 호출 시스템인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되, 미발급된 순번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정보 전송 제어부(1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 중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는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의 방문자를 우선 검색 선정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방문자가 시설 밖으로 나가 없는 경우 혹은 대기장소에서 타 공간으로 잠시 이동한 경우 무작정 해당 방문자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후순위 방문자를 우선 검색함으로써 번호표 발급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을 보안 및 방재 기기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로봇 시스템(100)은,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자 감지센서와,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50)와,
설정된 시간(시작 및 해제 시간)에 보안모드로 전환하거나 보안모드를 해제시키고, 보안모드에서 상기 센서들을 활성화시켜 얻어지는 이벤트 신호를 외부 시스템, 예를 들면 관리 서버(300)로 전파하는 보안 시설 제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센서는 열감지 혹은 움직임 감지센서를 활용할 수 있고, 화재 감지센서는 열감지 혹은 연기감지 혹은 가스감지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예시한 센서들은 침입자를 감지하고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로봇 시스템(100)의 본체 케이스 외부에 장착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일반 로봇 시스템에서와 같이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UI,102)와, 이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휠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의 동작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100)에서의 번호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번호표 발급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100)의 보안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영업 개시 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시설 내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방문객 영상을 얻기 위해 시설 내 입구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위치를 기준위치라 할 수 있으며, 영업 시작에 맞춰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기준위치에서 제1카메라(CAM1)를 통해 시설 입구 영상을 촬영(S100단계)한다.
시설 내 입구를 통해 방문자가 입장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카메라(CAM1)를 통해 획득된 시설 입구 영상은 영상신호 처리칩 내의 순번 부여부(112)로 전달됨에 따라, 순번 부여부(112)는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S110단계)하고, 추출된 방문자 객체의 특징에 순번 부여하여 저장부(140)에 저장(S120단계)한다.
방문자 객체의 특징이란 구현 방법에 따라 각 방문자를 얼굴인식하고 그 인식된 얼굴에서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방문자 객체를 인식한 후 그 방문자가 착용한 상하 복장의 컬러 특징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방문자가 착용한 상하 복장의 컬러 특징을 추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순번 부여부(1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장한 방문객 각각은 순번 1, 2,3,..을 부여받게 된다.
순번이 부여되기 시작하면 카메라 회전 제어부(123)는 대기 방문자 영상을 얻기 위해 제2카메라(CAM2)를 전방위 회전시키면서 시설 내 대기 방문자 영상의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카메라(CAM2)를 통해 획득된 대기 방문자 영상은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로 전달되며,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는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문자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선정(S130단계)한다. 이러한 경우 전방위 스캔전 제2카메라(CAM2)의 위치에서 목표위치 선정시까지 제2카메라(CAM2)가 회전한 각도를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 이동 제어부(121)는 목표위치로 선정된 방문자 위치로 로봇 시스템(100)의 위치를 이동(S140단계)할 수 있다. 목표위치로 이동중에도 카메라 회전 제어부(123)는 제1카메라(CAM1)가 시설 입구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시설 입구 혹은 입구 주변에 특정 컬러를 가지는 마커를 추종하도록 제1카메라(CAM1)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목표위치로 선정된 방문자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는 번호표 발급부(104)를 통해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S150단계)한다. 시스템 구현방식에 따라,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를 통해 번호표 발급을 위한 음성을 안내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해 인식된 음성(업무종류 1, 업무종류 2,..)에 따라 번호표를 발급할 수도 있다.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면 순번 부여부(112)에 의해 부여된 순번중 미발급 순번이 존재하는지 체크(S160단계)해 미발급 순번이 존재하면 S130단계로 진행하여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의 위치를 다시 검색하고 S140단계 내지 S16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순번 부여부(112)는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해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제1카메라(CAM1)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설 내로 입장하는 방문자를 촬영하여 순번 부여해 주며, 이와 함께 제2카메라(CAM2)를 통해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찾아 번호표를 발급해 줌으로써, 시설 방문자는 번호표 발급기를 찾아 서성일 필요 없이 바로 의자에 앉아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로봇 시스템(100)을 통해 번호표를 발급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방문자가 대기시간이 길어 시설 밖으로 다시 나간 경우 혹은 화장실과 같이 대기실을 일시적으로 벗어난 경우 번호표를 발급받을 순서의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번호표 발급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는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의 방문자를 우선 검색 선정하여 그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의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5번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으면 6번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여 6번 번호표 발급하고, 이어 7번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여 7번 번호표 발급하고, 8번 방문자 검색 전에 5번 방문자를 검색하는 식으로 방문자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방문자 검색 및 번호표 발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보 전송 제어부(124)는 통신부(130)를 통해 순번 호출 시스템인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하되, 입장한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정보와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를 순번 호출 시스템인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고, 미발급된 순번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이에 관리 서버(300)에서는 대기자 호출시 미발급된 순번은 스킵하고 번호표 발급된 순번이 호출되도록 순번 호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앞선 순번이 뒤늦게 발급된 경우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가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기에, 관리 서버(300)는 뒤늦게 발급된 순번이 바로 호출될 수 있도록 순번 호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시설 방문자 중 잠시 자리를 비운 방문자에게도 입장 순서에 맞는 순번의 번호표를 발급할 수 있으며, 설령 부여받은 순번의 호출 순서가 지나간 뒤에도 해당 순번의 번호표를 발급받는 순간 바로 뒤이어 호출을 받을 수 있어 호출번호를 무시하고 중간에 끼어드는 방문자로 인한 방문자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문자에게 순번이 부여되었지만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순번은 호출시 자동 스킵하기 때문에, 번호표를 발급받아 퇴장한 방문자가 소지한 순번을 호출함으로써 야기되는 시간적 낭비와 업무 담당자의 호출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업무 시간이 종료(설정시간이)되면 번호표를 발급하던 상기 로봇 시스템(100)은 보안장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보안시설 제어부(125)는 설정된 보안모드 전환시간이 되면(S170단계) 보안모드로 전환한다. 보안모드에서 보안시설 제어부(12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150)와 하나의 카메라(CAM1)를 활성화시킨다(S200, S210단계).
상기 센서부(150)는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자 감지센서와, 시설 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보안시설 제어부(125)는 보안모드에서 상기 센서부(150)를 통해 이벤트 신호, 즉 침입자 감지신호, 열/연기와 같은 화재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S220단계). 만약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이벤트 발생 사실을 관리 서버(300)로 전파(S240단계)함으로써, 관리 서버(300)는 신속히 이벤트 발생 사실을 외부(소방시설, 보안업체 등) 시스템에 전파해 위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안시설 제어부(125)는 보안모드 해제시간(S230단계)까지 이벤트 신호의 입력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보안모드 해제시간이 되면 보안모드를 해제함으로써,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은 다시 번호표 발급 모드로 전환 대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번호표 발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로봇 시스템(100)인 동시에 보안장비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을 설명하였지만, 시설내 설치되는 보안 카메라(500)를 이용하고 하나의 카메라만을 구비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은 도 2에서 제1카메라(CAM1)를 대신해 시설 내 보안 카메라(500)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시설 내 방문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CAM2)와 번호표 발급부(104), 이동 휠(106) 및 표시부(102)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에,
시설 내 보안 카메라(500)로부터 시설 입구 영상을 무선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130)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해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112)와,
제2카메라(CAM2)를 통해 얻어지는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114)와,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21)와,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 제어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122)와,
상기 제2카메라(CAM2)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123)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시켜 새로운 형태의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100) 역시 시설 내 보안 카메라(500)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설 내로 입장하는 방문자 정보를 입수해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해 주며, 이와 함께 제2카메라(CAM2)를 통해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찾아 번호표를 발급해 줌으로써, 시설 방문자는 번호표 발급기를 찾아 서성일 필요 없이 바로 의자에 앉아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로봇 시스템(100)을 통해 번호표를 발급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더 나아가 제2카메라(CAM2)를 이용해 앞서 언급한 보안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설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자동발급모드와 수동발급모드를 설정해, 자동발급모드에서는 방문자를 찾아가 번호표를 발급하고, 수동발급모드에서는 시설 내 입구 앞에 구비하여 방문자가 UI(102)를 조작해 번호표를 수동 발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발급모드에서는 음성 안내 및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해 번호표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전방위 회전 가능하되 시설 입구 영상과 시설내의 대기 방문자 영상을 각각 획득하기 위한 제1 및 제2카메라와, 이동 휠, 표시부 및 번호표 발급부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방문자 객체의 특징에 순차적으로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와;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된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와;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와;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중에도 상기 제1카메라가 시설 입구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시설 입구 혹은 입구 주변에 설치된 마커를 추종하도록 상기 제1카메라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고, 시설내의 대기 방문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카메라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와;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번호표 발급 제어부는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번호표 발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순번 호출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입장한 방문자에게 부여된 순번 정보와 번호표 발급된 순번 정보를 순번 호출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되, 미발급된 순번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정보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는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의 방문자를 우선 검색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자 감지센서와;
    보안모드에서 시설 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와;
    설정된 시간에 보안모드로 전환하거나 보안모드를 해제시키고, 보안모드에서 상기 센서들 및 상기 제2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얻어지는 이벤트 신호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파하는 보안 시설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6. 시설 내 대기 방문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번호표 발급부, 이동 휠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시설 내 보안 카메라로부터 시설 입구 영상을 무선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보안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시설 입구 영상에서 순차적으로 입장하는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방문자 객체의 특징에 순차적으로 순번 부여하여 저장하는 순번 부여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대기 방문자 영상에서 방문자 객체의 특징을 체크해 상기 순번 부여된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를 검색 선정하는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와;
    선정된 번호표 발급대상 방문자를 목표위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와;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 해당 방문자에게 순번 부여된 번호표를 발급 제어하는 번호표 발급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의 지지체를 회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회전 제어부와;
    상기 시설 입구 영상, 방문자 객체의 특징과 부여 순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는 번호표 발급 안내부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번호표 발급 제어부는 번호표 발급을 음성 안내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번호표 발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번호표 발급대상 선정부는 상기 순번 부여 순서대로 번호표를 발급받을 방문자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의 방문자를 우선 검색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KR1020210148539A 2021-11-02 2021-11-02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KR10261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39A KR102619871B1 (ko) 2021-11-02 2021-11-02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39A KR102619871B1 (ko) 2021-11-02 2021-11-02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49A KR20230063449A (ko) 2023-05-09
KR102619871B1 true KR102619871B1 (ko) 2024-01-04

Family

ID=8640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539A KR102619871B1 (ko) 2021-11-02 2021-11-02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8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7205A (ja) * 2018-11-07 2020-05-2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受付システムおよび窓口操作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10A (ko) * 2002-07-26 2004-02-05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홈 시큐리팅/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012288B1 (ko) 2008-07-11 2011-02-08 주식회사 로보테크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KR101170686B1 (ko) 2010-03-15 2012-08-07 모빌토크(주) 이동로봇의 안내 서비스방법
CN109416814A (zh) * 2016-06-22 2019-03-01 劳雷尔精机株式会社 窗口受理系统以及服务机器人
KR102362935B1 (ko) * 2019-04-15 2022-0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7205A (ja) * 2018-11-07 2020-05-2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受付システムおよび窓口操作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49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677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with facial recognition and authorized floor destination verification
JP6887963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入退室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管理システム
JP5261009B2 (ja) 顔画像登録装置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JP5674307B2 (ja) 対象者検出システムおよび対象者検出方法
JP2019001614A5 (ko)
JP5114924B2 (ja) 防犯ロボットシステムによる警告方法及び防犯ロボットシステム
JP2019144918A (ja) 執務席提示システムおよび執務席提示方法
JP2019152490A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方法
KR20110136056A (ko)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확인시스템
JP2018181159A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及びロボット
JP2009184781A (ja) 書庫管理システム及び書庫管理方法
US20230132575A1 (en) Faci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facial authentication apparatus
WO2020218320A1 (ja) 受付案内システム、および受付案内方法
JP4933384B2 (ja) エレベータ警備システム
KR102619871B1 (ko)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US11113374B2 (en) Managing seamless access to locks with person/head detection
JP2010108329A (ja) 来訪者管理システム
KR101702452B1 (ko)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JP7442289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22064990A1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21098A1 (ja) 入店管理装置、入店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63050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23014522A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方法
JP20221401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