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38A -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 Google Patents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1138A KR20100001138A KR1020080060937A KR20080060937A KR20100001138A KR 20100001138 A KR20100001138 A KR 20100001138A KR 1020080060937 A KR1020080060937 A KR 1020080060937A KR 20080060937 A KR20080060937 A KR 20080060937A KR 20100001138 A KR20100001138 A KR 20100001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mchi
- cabbage
- gum
- cow
- abandon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1884 Cassia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2148 Gellan gu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0569 Gum karaya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0161 Locust bean gu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934878 Stercul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4584 Tamarindus ind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4298 Tamarindus indic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18 carrageen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679 carrageena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1525 carrageena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113118 carrageenan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318 cassia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92 gellan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16 gell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94 karaya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31 karaya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039371 karaya gum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20 locust bean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11 locust be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UHVMMEOXYDMDKI-JKYCWFKZSA-L zinc;1-(5-cyanopyridin-2-yl)-3-[(1s,2s)-2-(6-fluoro-2-hydroxy-3-propanoylphenyl)cyclopropyl]urea;diacetate Chemical compound [Zn+2].CC([O-])=O.CC([O-])=O.CCC(=O)C1=CC=C(F)C([C@H]2[C@H](C2)NC(=O)NC=2N=CC(=CC=2)C#N)=C1O UHVMMEOXYDMDKI-JKYCWFKZ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373 Pullula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1218 Pullula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423 pullul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5000021574 pickled cabb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416162 Astragalus gummif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SATHPVQTSSUFFW-UHFFFAOYSA-N 4-[6-[(3,5-dihydroxy-4-methoxyoxan-2-yl)oxymethyl]-3,5-dihydroxy-4-methoxyoxan-2-yl]oxy-2-(hydroxymethyl)-6-methyloxane-3,5-diol Chemical compound OC1C(OC)C(O)COC1OCC1C(O)C(OC)C(O)C(OC2C(C(CO)OC(C)C2O)O)O1 SATHPVQTSSUFFW-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1904 Arabinogalacta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0189 Arabinogalacta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312 arabinogalacta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IXPNQXFRVYWDDI-UHFFFAOYSA-N 1-methyl-2,4-dioxo-1,3-diazinane-5-carboximid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N)C(=O)NC1=O IXPNQXFRVYWDDI-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29920002310 Welan gum Polymers 0.000 abstract 1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abstract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725 B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가 개시된다.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은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혼합 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혼합기에 김칫소 및 절임배추를 투입한 후, 혼합 수단의 회전을 통해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김칫소를 넣는 1차 김칫소 넣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치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배추, 무 등의 신선한 야채 원료와 각종 젓갈류 및 향신료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종합 발효 식품으로서, 적당히 숙성된 김치는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이 풍부하며 독특한 산미로 인해 식욕을 증진시키는 한편 각종 성인병 예방과 항암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 김치는 배추김치, 열무김치, 오이소박이, 총각김치, 파김치, 물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서, 배추김치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배추 포기 김치의 형태로 제조되며, 먹을 때 알맞은 크기로 잘라 먹는다.
상기 배추 포기 김치를 제조할 경우에는 각종 양념들로 이루어진 김칫소를 준비한 후, 상기 김칫소를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 사이에 넣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김칫소가 무채를 비롯한 고형분의 크기가 크고 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을 한겹 한겹씩 펼쳐가면서 상기 김칫소를 손으로 버무려 넣게 된다. 이처럼, 상기 김칫소 넣기 과정은 모두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그 제조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배추 포기 김치를 제조할 경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김칫소 넣기 과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도가 낮은 김칫소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기존의 맛과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김칫소 넣기를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방법은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혼합 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혼합기에 상기 김칫소 및 상기 절임배추를 투입한 후, 상기 혼합 수단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1차 김칫소 넣기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임배추를 상기 혼합기로부터 배출한 후, 수작업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2차 김칫소 넣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김칫소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김칫소의 원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김칫소의 원료들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는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양념들이 분쇄된 형태로 포함된 액상의 양념일 수 있다. 상기 김칫소는 점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점도 증진을 위해 웰란검, 카라기난, 알긴산 소다, 구아검, 젤란검, 카라야검, 메틸셀룰로오스, 타마린드검, 가디검, 트라간트검, 잔탄검, 풀룰란, 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아라비노갈락탄, 스크레오검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는 무분쇄물 또는 무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분쇄물 또는 무즙의 중량은 상기 김칫소 전체 중량의 1 내지 1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는 절임배추 및 김칫소를 수용하는 혼합기 몸체; 상기 혼합기 몸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혼합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수단은 꼬임구조를 갖는 혼합봉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김칫소를 회전하는 혼합 수단을 이용하는 기계적인 방식을 통해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수작업 공정을 감축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추 포기 김치를 담그는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추 포기 김치 제조 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김칫소는 점도가 낮지만, 기존과 비교해 그 형태만 바뀌었을 뿐 기존의 김칫소가 갖는 맛과 풍미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추 포기 김치 역시 기존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간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은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S100),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S110) 및 1차 김칫소 넣기 단계(S120)를 포함하며, 그 외에 추가적인 2차 김칫소 넣기 단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김칫소를 준비(S100)하기 위해, 먼저,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원료들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다. 상기 원료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배추 포기 김치를 먹는 사람들의 기호 및 각 지방의 특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원료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원료들은 무, 고추, 마늘, 배, 부추, 양파, 생강, 새우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김칫소 원료들을, 예를 들어, 소정의 배합비로 분쇄기에 투입한 다음, 상기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이로써, 상기 김칫소가 잘 버무려질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원료들을 깨긋이 세척한 후, 상기 원료들을 채를 썰거나 다진 다음, 이들을 수작업으로 버무려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쇄를 통해 상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쇄를 통해 상기 원료들이 매우 잘게 분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김칫소에 포함된 고형분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쇄시 상기 원료들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어 분쇄물과 함께 뒤섞일 수 있으므로, 상기 김칫소의 점도를 낮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김칫소 원료들을 분쇄하면,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양념들이 분쇄된 형태로 포함된 액상의 양념 형태의 김칫소를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 원료들의 배합비 및 분쇄 정도는 배추 포기 김치를 먹는 사람들의 기호 및 각 지방의 특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도가 낮은 액상의 양념 형태의 김칫소를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넣은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김칫소가 절임배추 외부로 배출되거나 흘러내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김칫소에 증점 다당류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증점 다당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웰란검, 카라기난, 알긴산 소다, 구아검, 젤란검, 카라야검, 메틸셀룰로오스, 타마린드검, 가디검, 트라간트검, 잔탄검, 풀룰란, 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아라비노갈락탄, 스크레오검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김칫소의 점도를 낮추는 방법은 상기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원료들의 배합비를 변화시키거나, 기타 공지된 다른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김칫소의 점도를 낮추는 것은 배추 포기 김치 맛이 저하되지 않음과 아울러 배추 포기 김치의 외관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상기 김칫소는, 특히, 무분쇄물 또는 무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분쇄물 또는 무즙은 상기 김칫소 전체 중량의 1 내지 10%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무분쇄물 또는 무즙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절임배추를 준비(S110)하는데, 상기 절임배추는, 예를 들어, 배추 포기를 깨끗이 씻은 다음, 배추 포기를 반으로 자른 것 또는 배추 포기를 자르지 않은 것을 소금물 등에 소정 시간 동안 담금으로써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김칫소 넣기 단계(S120)에서는, 기계적으로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다. 여기서, “기계적으로”라는 표현은 “수작업”과의 구별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김칫소를 넣 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에서 1차 속넣기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기 위해 기존에 공지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혼합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100)는 혼합기 몸체(110), 샤프트(120) 및 혼합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 몸체(110)는 대략 상측이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자신으로 투입되는 절임배추(140) 및 김칫소(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칫소(150)는 상기 절임배추(140)와 함께 상기 혼합기 몸체(110)에 투입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분사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절임배추(140)와 별도로 상기 혼합기 몸체(110)에 투입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김칫소(150)를 투입하는 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샤프트(120)는 상기 혼합기 몸체(11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수단(130)은 상기 샤프트(1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수단(130)은 그 회전에 의해 절임배추(140)가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봉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봉 타입의 구조를 갖는 혼합 수단(130), 즉, 혼합봉은, 예를 들어, 혼합 효율 향상 을 위해 꼬임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 수단(1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수단(13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혼합 수단(130)의 개수는 상기 혼합기 몸체(110)의 크기 및 그에 따른 절임배추(140)의 투입 가능 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혼합기(100)의 혼합기 몸체(110) 내부에 절임배추(140) 및 김칫소(150)가 투입되면, 상기 혼합 수단(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임배추(140)의 배춧잎 사이로 상기 김칫소(150)가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수단(130)의 회전 속도는 상기 1차 김칫소 넣기를 수행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상기 절임배추(140)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이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1차 김칫소 넣기 단계(S110)가 끝나면, 상기 김칫소가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넣어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 사이 모두에 넣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절임배추를 상기 혼합기로부터 배출시킨 후, 수작업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2차 김칫소 넣기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수작업 공정은 김칫소가 들어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만 수행하면 되므로, 매우 짧은 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김칫소를 기계적으로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넣을 수 있으며, 수작업을 통한 추가적인 김칫소 넣기 공 정을 간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추 포기 김치를 담그는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추 포기 김치 제조 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낮은 김칫소를 이용하여 김칫소 넣기를 수행하지만, 상기 김칫소는 기존과 비교해 그 형태만 바뀌었을 뿐 기존의 김칫소가 갖는 맛과 풍미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배추 포기 김치는 기존의 맛과 풍미 등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에서 1차 속넣기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혼합기 110: 혼합기 몸체
120: 샤프트 130: 혼합 수단
Claims (11)
-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 및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혼합 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혼합기에 상기 김칫소 및 상기 절임배추를 투입한 후, 상기 혼합 수단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1차 김칫소 넣기 단계를 포함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절임배추를 상기 혼합기로부터 배출한 후, 수작업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2차 김칫소 넣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김칫소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상기 김칫소의 원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및상기 김칫소의 원료들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김칫소는 상기 김칫소를 구성하는 양념들이 분쇄된 형태로 포함된 액상의 양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김칫소는 웰란검, 카라기난, 알긴산 소다, 구아검, 젤란검, 카라야검, 메틸셀룰로오스, 타마린드검, 가디검, 트라간트검, 잔탄검, 풀룰란, 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아라비노갈락탄, 스크레오검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김칫소는 무분쇄물 또는 무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무분쇄물 또는 무즙의 중량은 상기 김칫소 전체 중량의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혼합 수단은 꼬임구조를 갖는 혼합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 절임배추 및 김칫소를 수용하는 혼합기 몸체;상기 혼합기 몸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샤프트; 및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상기 김칫소를 넣는 혼합 수단을 포함하는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혼합 수단은 꼬임구조를 갖는 혼합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 넣기용 혼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937A KR20100001138A (ko) | 2008-06-26 | 2008-06-26 |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937A KR20100001138A (ko) | 2008-06-26 | 2008-06-26 |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138A true KR20100001138A (ko) | 2010-01-06 |
Family
ID=4181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0937A KR20100001138A (ko) | 2008-06-26 | 2008-06-26 |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1138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875B1 (ko) * | 2011-12-15 | 2013-02-21 | 한국식품연구원 |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
KR101444761B1 (ko) * | 2013-11-19 | 2014-09-30 | 한국식품연구원 | 양념 속 넣기 장치 |
KR102321283B1 (ko) * | 2021-04-02 | 2021-11-03 | 김영채 | 김치 제조 방법 |
KR20210144262A (ko) * | 2020-05-22 | 2021-11-30 | 조용태 | 김칫소 넣기 장치 |
KR20210144263A (ko) * | 2020-05-22 | 2021-11-30 | 조용태 | 정량 김칫소 넣기 장치 |
KR102700752B1 (ko) * | 2024-01-14 | 2024-08-29 | 박란 | 김치 제조 장치 |
-
2008
- 2008-06-26 KR KR1020080060937A patent/KR201000011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875B1 (ko) * | 2011-12-15 | 2013-02-21 | 한국식품연구원 |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
KR101444761B1 (ko) * | 2013-11-19 | 2014-09-30 | 한국식품연구원 | 양념 속 넣기 장치 |
KR20210144262A (ko) * | 2020-05-22 | 2021-11-30 | 조용태 | 김칫소 넣기 장치 |
KR20210144263A (ko) * | 2020-05-22 | 2021-11-30 | 조용태 | 정량 김칫소 넣기 장치 |
KR102321283B1 (ko) * | 2021-04-02 | 2021-11-03 | 김영채 | 김치 제조 방법 |
KR102700752B1 (ko) * | 2024-01-14 | 2024-08-29 | 박란 | 김치 제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238854B (zh) | 一种风干牦牛肉的制作方法 | |
CN103300337B (zh) | 一种糟辣椒的制备方法 | |
CN104012907A (zh) | 一种腌菜的制备方法 | |
KR20100001138A (ko) | 배추 포기 김치 제조 방법 및 배추 포기 김치의 김칫소넣기용 혼합기 | |
CN102669594A (zh) | 一种包含柿子的功能性食品的制备方法 | |
CN110771835A (zh) | 一种糟辣椒的加工方法 | |
KR20110130855A (ko) | 톳과 함초를 이용한 소 특양과 대창의 제조방법 | |
CN104381966B (zh) | 一种糟辣椒 | |
KR101513424B1 (ko) | 막창순대의 제조방법 | |
CN204544349U (zh) | 一种新型糟辣椒加工装置 | |
CN103462069B (zh) | 一种强身健骨营养香肠及其制作方法 | |
KR100920675B1 (ko) | 우렁쉥이를 이용한 된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된장 | |
CN207641591U (zh) | 一种糟辣椒剁椒机 | |
CN103392772A (zh) | 一种高钙牛肉月饼的加工方法 | |
CN104473220A (zh) | 鸭肝腊肠及其制作方法 | |
KR100509550B1 (ko) | 영양첨가물을 함유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 |
CN114246316A (zh) | 一种凝胶型鱼汤方便食品的制备方法 | |
KR20150059022A (ko) | 부드럽고 담백한 맛이 가미된 돈까스 | |
CN108157922A (zh) | 辣椒酱及其制备方法 | |
KR20130069230A (ko) | 한방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 |
CN104489524A (zh) | 一种鸭血块蚕豆酱及其制备方法 | |
CN110973498A (zh) | 一种风味牛肉及其制备方法 | |
KR20160133766A (ko) | 파절이 삼겹살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2396671B (zh) | 南方黑饺子(橡籽饺子)制作工艺 | |
KR20100021272A (ko) | 고추씨를 이용한 묵은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묵은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