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536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536A
KR20090132536A KR1020090054694A KR20090054694A KR20090132536A KR 20090132536 A KR20090132536 A KR 20090132536A KR 1020090054694 A KR1020090054694 A KR 1020090054694A KR 20090054694 A KR20090054694 A KR 20090054694A KR 20090132536 A KR20090132536 A KR 2009013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pring
arm portion
lens holder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꼬 다까쯔까
히로아끼 도오조오
마사시 니시모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2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one len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은 경통, 렌즈 홀더, 촬상 소자 및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은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서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는 원호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평행한 스프링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1 아암부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는 제2 아암부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에 연결된다. 제1 아암부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는 렌즈 홀더에 부착되고, 제2 아암부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는 경통에 부착된다.
렌즈 홀더, 제1 아암부, 제2 아암부, 스프링 스트립, 촬상 소자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용의 전자 기기 등에 내장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휴대 전화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은 경통과, 촬상 광학계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27100호)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가 소형화 및 박형화가 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더 요구되고, 이는 스프링의 소형화를 상당히 중요하게 한다.
그러나, 스프링을 소형화하면,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카메라 모듈에 가해질 경우에 스프링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에 단 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되고 내구성의 향상에서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경통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촬상 광학계를 유지하고 렌즈 홀더와, 경통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복수의 스프링은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스트립의 두께 방향은 광축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서, 상기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으로부터 먼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에서 원호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원호부는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사이의 거리보다 큰 직경을 갖고,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는 제2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에 연결되고,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는 렌즈 홀더에 부착되고,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2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는 경통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축에 직교하는 힘이 렌즈 홀더에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 중 하나에만 집중되지 않아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을 소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20)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힌지부(12)와 서로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1, 제2 하우징(14, 16)을 갖는 휴대 전화기이다.
제1 하우징(14)의 내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402)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6)의 내면에는 숫자 키와 기능 키를 포함하는 조작 스위치(1602)가 배치된다.
제1 하우징(14)에 카메라 모듈(20)이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액정 표시 패널(1402)에 표시된다.
카메라 모듈(20)은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광학계(28)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28)는 제1 하우징(14)에 형성된 개구(1410)에 대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카메라 모듈(20)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3은 카메라 모듈(20) 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전방"이라는 용어는 피사체측을 대면하는 측을 나타내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그 반대측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은 촬상 광학계(28), 전방 경통(22), 후방 경통(24), 커버(26), 렌즈 홀더(30),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 촬상 소자(36) 및 구동부(38)를 포함한다.
도 5는 카메라 모듈(2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카메라 모듈(2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VII 화살표의 방향에서 볼 때의 카메라 모듈(20)을 도시하고, 도 9은 도 5의 VIII 화살표의 방향에서 볼 때의 카메라 모듈(20)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5의 IX 화살표의 방향에서 볼 때의 카메라 모듈(20)을 도시하고, 도 10은 도 5의 X 화살표의 방향에서 볼 때의 카메라 모듈(20)을 도시하고, 도 11은 XI-XI 선을 따라 취한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촬상 소자(36)가 제외된 카메라 모듈(20)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커버(26)가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4는 화살표 XIV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2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5는 화살표 XV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2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6은 화살표 XV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2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7은 화살표 XVI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전방 경통(22)이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 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20은 화살표 XX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8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1은 화살표 XX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8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2는 화살표 XXI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18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마그넷(50)이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25는 화살표 XXV의 방향에서 볼 때 도 23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6은 화살표 XXV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23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7은 화살표 XXVI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23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8은 커버(26)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9는 커버(26)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8의 화살표 XXX의 방향에서 볼 때 커버(26)를 도시한다.
전방 경통(22)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은 후방 경통(24)에 결합되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 사이에 수용 공간(S)을 제공한다.
전방 경통(22)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1은 마그넷(50)이 전방 경통(22)에 삽입된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화살표 XXXI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31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은 전방 프레임(40)과 제1 내지 제4 측벽(42A 내지 42D)을 포함한다.
평면도에서, 전방 프레임(40)은 2쌍의 대향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 상을 갖는다.
제1, 제2 측벽(42A, 42B)은 전방 프레임(40)의 한 쌍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제3, 제4 측벽(42C, 42D)은 전방 프레임(40)의 다른 한 쌍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제1 내지 제4 측벽(42A 내지 42D)은 후방으로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절결부(43)를 갖는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40)이 절결부(43)에 대면하는 개소에 마그넷(50)과 접촉하는 접촉면(4002)이 구비된다. 접촉면(4002)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연장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측벽(42A, 42B)의 각 내측면에 4개의 마그넷 위치 결정면(4202)을 제공하도록 마그넷(50)을 위치결정하는 평편면이 형성된다.
도 12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측벽(42A 내지 42D)이 후방에 대면하는 후방 단부면은 후방 경통(24)이 맞춰지는 맞춤면(4210)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절결부(43)에 의해 분할된 측벽(42A 내지 42D)을 갖기 때문에, 맞춤면(4210)은 전방 프레임(40)의 4개의 코너에 대응한 4개의 위치에 형성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맞춤면(4210)은 후방으로 개방된 간극 구멍(4212)을 구비한다. 간극 구멍(4212)은 후방 경통(24)의 핀(48)(도 18 참조)의 직경과 길이보다 큰 직경 및 길이를 갖고 따라서 핀(48)은 간극 구멍(4212)에 삽입 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제2 측벽(42A, 42B)의 양측면 부분에 제1 위치 결정부(4220)가 제공된다. 제1 위치 결정부(4220)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 상태로 연장된 홈으로 형성된다.
절결부(43)에 대면하는 제3, 제4 측벽(42C, 42D)의 후방 부분에 제2 위치 결정부(4230)가 제공된다. 제2 위치 결정부(423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편면으로 형성된다.
후방 경통(24)
도 2, 도 11, 도 13,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경통(24)은 바닥벽(44)과 개구(46)를 갖는다.
바닥벽(44)은 광축 방향으로 수용 공간(S)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벽(44)의 전방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에 대면한다.
도 18, 도 2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44)은 두 쌍의 대향 측면(4402, 4404)을 갖는다.
바닥벽(44)의 전방면에,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에 대응한 위치에 맞춤면(4410)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과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은 서로 맞춰진다.
도 18,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44)의 전방면의 한 쌍의 측면(4402) 상에, 제3 위치 결정부(4420)가 전방 경통(22)의 제1 위치 결정부(4220) 에 결합가능한 돌출부로 형성된다.
바닥벽(44)의 전방면의 다른 쌍의 전방 측면(4404)에, 제4 위치 결정부(4430)가 전방 경통(22)의 제2 위치 결정부(4230)에 결합가능한 면으로 형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44)의 전방면의 측면(4402, 4404)의 중간부에 장착면(4440)이 형성된다. 장착면(4440)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마그넷(50)의 후방 단부면(5012)(도 11 참조)은 장착면(4440) 상에 장착된다.
후방 스프링(34)을 부착하기 위한 두 개의 핀(48)은 바닥벽(44)의 전방면의 한 쌍의 측면(4404)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6)는 바닥벽(44)의 중앙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46)는 촬상 광학계(28)를 통해서 촬상 소자(36)에 유도되는 광선을 제한하는 고정 격판(diaphragm)으로서 기능한다.
도 18 및 도 2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60)는 바닥벽(44)의 측면(4402)의 중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버(26)가 결합 돌출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에서, 격벽(4450)은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팽창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4450)은 개구(46)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 형상으로 연장된다.
카메라 모듈(20)을 촬상 광학계(28)의 광축 방향에서 볼 때, 격벽(4450)은 촬상 광학계(28)의 최후방 위치에 배치된 렌즈면(2802)으로부터 납땜 부분을 분리하도록 배치된다. 납땜 부분에서, 후술되는 후방 스프링(34)의 연결편부(7002)(도 33 참조)와, 코일(52)의 와이어의 단부(5202)가 서로 납땜된다.
격벽(4450)은 납땜 부분으로부터 탈락한 플럭스 등의 오염물이 렌즈면(2802)으로부터 수반되는 것을 차단하여 렌즈면(2802) 상의 오염물의 부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이에 따라 촬상 소자(36)로 촬상된 화상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후방으로 대면하는 오목부(4452)는 격벽(4450) 외측의 위치에서 납땜 부분과 대면하는 바닥벽(44)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오목부(4452)는 납땜 부분으로부터 탈락한 플럭스 등의 오염물을 수용하여, 렌즈면(2802) 상의 오염물의 부착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이에 따라 촬상 소자(36)로 촬상된 화상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마그넷(5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8)는 마그넷(50)과 코일(52)을 포함한다.
마그넷(50)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50)은 동일 형상의 4개의 마그넷 분할체(5002)로 구성되고 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50)은 코일(52)의 외주연부에 대면한다. 즉, 마그넷(50)은 코일(52)을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도 11,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그넷 분할 체(5002)는 요크(54)를 통해 전방 경통(22)에 부착된다. 요크는 마그넷 분할체(5002)로부터 코일(52)까지 자속을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마그넷(50)은 요크(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54)는 환형판 형상을 갖고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벽부(5402)와 원통벽 형상을 갖고 후방에 배치되는 주연 벽부(5404)를 포함한다. 주연 벽부(5404)는 전방 벽부(5402)의 외주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마그넷 분할체(5002)는 주연 벽부(5404)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요크(54)의 전방 벽부(5402)는 마그넷(50)의 전방 단부면(5010)으로 작용하고, 요크(54)의 주연 벽부(5404)의 외주연면은 마그넷(50)의 외주연면(5011)으로 작용하고, 마그넷 분할체(5002)의 후방면은 마그넷(50)의 후방 단부면(5012)으로 작용한다.
전방 단부면(5010)과 후방 단부면(5012)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연장된다.
코일(52)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2)의 와이어는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둘레로 권취된다. 코일(52)의 외측 직경은 마그넷(50)의 내측 직경보다 작다.
도 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형상을 갖는 코일 홀더(56)는 코 일(52)의 후방 단부면에 부착된다. 평면도에서, 코일 홀더(56)의 윤곽은 코일(52)의 윤곽과 사실상 동일하다. 광축 방향으로 코일 홀더(56)의 길이는 코일(52)의 길이보다 짧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5602)는 180°만큼 분리된 코일 홀더(56)의 두 개의 대향 위치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돌출된다. 코일(52)의 와이어의 단부(5202)는 샤프트부(5602) 둘레로 권취된다.
도 33은 렌즈 홀더(30), 후방 스프링(34), 코일(52) 및 코일 홀더(56)의 사시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5610)는 코일 홀더(56)의 원주 방향으로 임의 거리만큼 분리된 위치에서 코일 홀더(56)의 내주연부로부터 돌출된다.
더욱이, 스토퍼(5620)는 코일 홀더(56)의 원주 방향으로 임의 거리만큼 분리된 위치로부터 코일 홀더(56)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620)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 홀더(30)(촬상 광학계(28))의 후방 경계면(무한 위치)을 결정하기 위해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의 전방면과 접촉된다.
촬상 소자(36)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소자(36)는 패키지(3602), 촬상 소자 칩(3604) 및 커버 글래스(3606)를 포함한다.
패키지(3602)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패키지(3602)의 전방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은 개방 상태로 형성된다.
촬상 소자 칩(3604)은 촬상 소자 칩(3604)의 촬상면이 전방으로 대면하여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방식으로 수용 공간의 바닥벽에 부착된다.
커버 글래스(3606)는 수용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 패키지(3602)의 전방면에 부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소자(36)의 패키지(3602)의 후방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기판(58)의 전방면에 부착된다.
패키지(3602)의 전방면은 촬상 소자 칩(3604)의 화상면이 후방 경통(24)의 개구(46)를 대면한 상태에서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의 후방면에 부착되어, 촬상 소자(36)가 후방 경통(24)에 배치된다.
커버(26)
커버(26)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도 28,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는 전방면부(2602)와 측면부(2604)를 구비한다.
전방면부(2602)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고 전방 경통(22)의 전방을 덮는다.
개구(2606)는 촬상 광학계(28)를 대면하는 위치에서 전방면부(2602)에 형성된다.
측면부(2604)는 후방 경통(24)과 전방 경통(22)의 네 측면을 덮도록 전방면부(2602)의 네 개의 에지로부터 만곡된다.
결합 홈(2608)은 도 5에 도시된 후방 경통(24)의 결합 돌출부(60)와 결합되도록 한 쌍의 대향 측면부(2604)에 형성된다.
커버(26)의 결합 홈(2608)은 결합 돌출부(60)와 결합되고, 전방 경통(2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의 전방면부(2602)와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 사이에 끼워져서,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이 서로 결합된다.
반사 방지부(2610)는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전방면부(2602)에 근접한 측면부(2604)의 외측면과 전방면부(2602)의 전방면 상에 구비된다.
반사 방지부(2610)는 블랙 페인트와 같이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페인트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렌즈 홀더(3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28)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30)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된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30)는 통부(3002) 및 통부(3002)의 전방을 연결하는 환형 전방부(3004)를 갖는다. 개구(3006)는 전방부(3004)의 중간에 형성된다.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28)는 통부(3002)에 수용되어 개구(3006)를 통해 전방으로 대면한다.
전방부(3004) 상에, 통부(3002)의 외측 직경보다 작은 외측 직경을 갖는 팽창 벽부(3008)가 제공된다. 팽창 벽부(3008)의 주연면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 원통면(3010)으로 작용한다.
원통면(3010)의 외주연부를 따라서, 네 개의 전방 스프링 접촉면(3012)이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분리된 네 개의 위치에 제공된다. 전방 스프링 접촉 면(3012)은 팽창 벽부(3008)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연장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3002)의 후방 단부면(3020)은 후방 단부면(3020)이 코일 홀더(56)의 부착부(5610)와 접촉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전방 스프링(32)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프링(32)과 후방 스프링(34)은 수용 공간(S)에 배치된 유도 기구로 구성된다. 유도 기구는 렌즈 홀더(30)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30)를 지지한다.
전방 스프링(32)은 전방 경통(22)과 렌즈 홀더(30) 사이에 배치된다. 후방 스프링(34)은 후방 경통(24)과 렌즈 홀더(30) 사이에 배치된다.
후방 스프링(34)과 전방 스프링(32)은 좁고 길고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스프링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프링(32)은 그 중간에 개구(62)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개구(62)는 촬상 광학계(28)의 광경로로서 작용한다.
특히, 전방 스프링(32)은 개구(62)가 형성된 환형 판부(64)와, 환형 판부(64)의 외주연부에 연결된 네 개의 지지편(66)을 구비한다. 전방 스프링(32)은 광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전방 스프링(32)은 다음의 방식, 즉, 지지편(66)의 종단부가 전방 경통(22)의 주연벽(42)의 전방에 부착되고, 렌즈 홀더(30)의 통부(3002)의 팽창 벽부(3008)의 원통면(3010)이 개구(62)에 삽입되고, 환형 판부(64)가 렌즈 홀더(30)의 네 개의 전방 스프링 접촉면(3012)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방식으로 전방 경통(22)과 렌즈 홀더(3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지지편(66)의 종단부는 전방 경통(22)이 성형되는 경우 종단부를 전방 경통(22)으로 삽입시켜 주연벽(42)의 전방에 부착된다.
후방 스프링(34)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은 환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개구(68)는 촬상 광학계(28)용 광경로를 제공하도록 후방 스프링(34)의 중간에 형성된다.
후방 스프링(34)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스프링 분할체(34A)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프링 분할체(34A)는 반원을 따라 연장된 원호부(70)를 구비한다.
스프링 분할체(34A)의 원호부(70)는 코일 홀더(56)의 후방면(5620)에 접합된다. 따라서, 개구(68)는 두 개의 원호부(70) 사이에 제공된다.
두 개의 지지편(72, 74)은 각각의 원호부(70)의 외주연부에 연결되고, 두 개의 지지편(72, 74)의 종단부 근처의 위치에 구멍(76)이 형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경통(24) 상의 핀(48)은 스프링 분할체(34A)의 네 개의 구멍(76)에 삽입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76)에 인접한 지지편(72, 74)의 부분은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과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 사이에 끼인다. 이러한 구조로,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 사이에 끼인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부(7002)는 스프링 분할체(34A)의 원호 부(70)의 중간에 형성된다. 코일 홀더(56)의 두 개의 샤프트부(5602) 둘레로 권취된 코일(52)의 와이어의 단부(5202)는 연결편부(7002)에 납땜된다.
스프링 분할체(34A)의 지지편(72, 74) 중에 있는 지지편(72)의 단부는 코일(52) 외측으로 연장된 외부 연결 단자(78)를 형성한다.
따라서, 코일(52)은 스프링 분할체(34A)를 통해 외부 연결 단자(7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결 단자(78)는 외부 연결 단자(78)가 기판(58)에 납땜되도록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과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 사이에 끼인 상태로 후방으로 만곡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의 두 개의 외부 연결 단자(78)를 통해 구동 신호가 코일(52)의 와이어에 공급되는 경우, 코일(52)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코일(5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과 마그넷(5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힘(추력)이 광축 방향으로 코일(52)에 인가되도록 상호 작용한다. 이 힘은 전방 스프링(32), 후방 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되는 렌즈 홀더(30) 및 촬상 광학계(28)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이 촬상 소자(36)(촬상 소자 칩(3604)) 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따라서, 마그넷(50)과 코일(52)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 방향으로 렌즈 홀더(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8)를 구성한다.
스프링 부재(8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후방 스프링(34)은 얇은 스프링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어, 직사각형 프레임(8002)과 직사각형 프레임(8002) 내측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연장된 후방 스프링(3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직사각형 프레임(8002)과 후방 스프링(34)을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80)는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스프링 부재(80)는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에 연결된 직사각형 프레임(8002), 직사각형 프레임(8002)의 내주연 에지를 외부 연결 단자(78)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8004), 직사각형 프레임(8002)의 내주연 에지를 지지편(74)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800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스프링(34)을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80)가 먼저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80)를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20)이 조립되고, 그 후, 조립 중에 후방 스프링(34)이 스프링 부재(8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조립 중에 후방 스프링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이 방지된다.
오목부(82)
도 6, 도 9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를 사이에 끼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끼움 지지부의 외부면은 끼움 지지부에 근접한 인접부의 외부면(25)에 오목부(82)를 형성한다.
도 8,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인접부의 외부면(25)의 가상의 연장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후방 경통(24)은 전방 경통(22)의 대향측에 후방 단부면(2402)(본 실시예에 서 바닥벽(44)의 후방면)을 구비한다. 오목부(82)는 개방 상태로 후방 단부면(2402)에 형성된다.
후방 경통(24)의 오목부(82)의 바닥면(8202)은 오목부(82)의 깊이가 후방 단부면(2402)을 향해 증가하는 방식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조립
도 2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20)을 조립하는 방법이 후술된다.
먼저, 코일 홀더(56)에 부착된 코일(52)이 렌즈 홀더(30)에 결합된다.
렌즈 홀더(30)의 통부(3002)의 후방 단부는 코일(52)의 전방측으로부터 코일(52)의 내측 원주 안으로 삽입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홀더(56)의 부착부(5610)는 통부(3002)의 후방 단부면(3020)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코일(52)이 렌즈 홀더(30)의 통부(3002) 상에 장착된다.
코일(52)이 통부(3002) 상에 장착된 후, 렌즈 홀더(30)와 코일(52)의 위치는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따라 조절 지그를 사용하여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조절된다.
다음에, 통부(3002)와 코일(52) 사이의 공간 안으로 접착제가 충진되어 렌즈 홀더(30)와 코일(52)이 함께 접합된다.
접착제가 경화되는 경우, 코일(52)은 렌즈 홀더(30)에 고정된다.
그 후, 스프링 부재(80)의 후방 스프링(34)이 렌즈 홀더(30)에 부착되어, 렌즈 홀더(30), 스프링 부재(80), 코일(52) 및 코일 홀더(56)를 포함하는 중간 조립체(U)(도 2 참조)가 형성된다.
중간 조립체(U)는 후방 경통(24)에 부착된다.
즉, 후방 경통(24)의 핀(48)이 후방 스프링(34)의 구멍(76)에 삽입되어 중간 조립체(U)는 후방 경통(24)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간 조립체(U)의 위치는 후방 경통(24)에 대해 조절된다.
도 34는 마그넷(50)과 마그넷 위치 결정면(4202)의 위치적 관계를 도시한 전방 경통(22)의 후방도이고, 도 35는 마그넷과 마그넷 위치 결정면(4202)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6은 전방 경통의 일부를 절단하여 전방 경통(22), 마그넷(50) 및 후방 경통(24)이 함께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7은 화살표 XXXVI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36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54)에 부착된 마그넷(50)은 중간 조립체(U)에서 코일(52)의 외주연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50)의 후방 단부면(5012)은 후방 경통(24)의 장착면(4440) 상에 설치된다.
다음에, 도 11,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접촉면(4002)이 마그넷(50)의 전방 단부면(5010)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전방 경통(22)이 마그넷(50)의 외주연면(5011)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마그넷(50)의 외주연면(5011)은 전방 경통(22)의 마그넷 위치 결정면(4202)을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 18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의 제1 위치 결정 부(4220)는 후방 경통(24)의 제3 위치 결정부(442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전방 경통(22)의 제2 위치 결정부(4230)는 후방 경통(24)의 제4 위치 결정부(4430)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마그넷(50)의 위치는 촬상 광학계(28)의 광축 방향과,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 때, 후방 스프링(34)의 지지편(72, 74)의 구멍(76)의 상술한 인접부는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과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 사이에 끼인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80)의 직사각형 프레임(8002), 제1 연결부(8004), 외부 연결 단자(78) 및 제2 연결부(8006)는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주연부 외측으로 노출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는 전방 경통(22) 상에 배치되어 커버(26)의 결합 홈(2608)은 후방 경통(24)의 결합 돌출부(60)와 결합한다. 특히, 커버(26)는 전방 경통(22) 상에 배치되어 전방 경통(22)이 커버(26)의 전방면부(2602)와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 사이에 끼인다.
따라서, 전방 경통(22), 중간 조립체(U), 마그넷(50)이 부착되는 요크(54) 및 후방 경통(24)은 서로 결합된다.
다음에, 직사각형 프레임(8002)이 후방 스프링(34)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38 내지 도 41은 레이저 광선(L)이 스프링 부재(80)의 제2 연결부(8006)를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연결부(8004)는 다음과 같이 절단된다.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외부면(25)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부(8004)의 부분은 레이저 광원(2)으로부터 레이저 광선(L)으로 조사된다.
레이저 광선(L)은 제1 연결부(8004)의 부분을 융합하여, 직사각형 프레임(8002)이 지지편(72)으로부터 절단된다.
제2 연결부(8006)는 다음과 같이 절단된다.
도 38,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2)은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외부면(25)의 전방에서 대각선으로 위치되고, 오목부(82)에 위치된 제2 연결부(8006)는 레이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선(L)으로 대각선으로 조사된다.
특히, 레이저 광선(L)은 오목부(82)가 개방된 후방 경통(24)의 후방 단부면(2402)을 향해 방출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선(L)은 레이저 광선(L)의 일부가 오목부(82)의 내측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오목부(82)에 위치된 제2 연결부(8006)를 향해 방출된다.
결과적으로,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선(L)은 오목부(82) 내측에 위치된 제2 연결부(8006)의 일부를 융합하여, 직사각형 프레임(8002)이 지지편(74)으로부터 절단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8006)가 이러한 방식으로 절단되는 경우,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 즉, 지지편(74)의 단부는 이 단부가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외부면(25)의 가상의 연장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오목부(82)에 배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은 스프링 부재(80)로부터 절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34)이 스프링 부재(80)로부터 절단된 후,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과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 사이에 끼여서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 사이로부터 돌출된 외부 연결 단자(78)는 후방으로 만곡된다.
다음에, 촬상 소자(36)는 후방 경통(24)의 바닥벽(44)에 부착되고 외부 연결 단자(78)는 기판(58)에 납땜되어, 카메라 모듈(20)이 완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를 사이에 끼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끼움 지지부의 외부면(25)은 끼움 지지부에 근접한 인접부의 외부면(25)에 오목부(82)를 형성한다.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인접부의 외부면(25)의 가상의 연장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변위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후방 경통, 그 사이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후방 경통에 결합된 전방 경통,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촬상 광학계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 후방 경통에 의해 지지되어 촬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유도 기구, 및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렌즈 홀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유도 기구는 촬상 소자측으로부터 촬상 광학계측까지 렌즈 홀더를 압박하는 후방 스프링과, 촬상 광학계측으로부터 촬상 소자측까지 렌즈 홀더를 압박하는 전방 스프링을 포함하고, 여기서 후방 스프링과 전방 스프링은 스프링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후방 스프링과 전방 스프링 중 적어도 한 쪽의 종단부는 전방 경통과 후방 경통 사이에 끼이고, 여기서 후방 스프링의 종단부를 사이에 끼운 전방 경통과 후방 경통의 끼움 지지부의 외부면은 끼움 지지부에 근접한 인접부의 외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여기서 후방 스프링의 종단부는 인접부의 외부면의 가상의 연장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변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은 후방 경통, 그 사이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후방 경통에 결합된 전방 경통,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촬상 광학계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유도 기구를 포함하고, 유도 기구는 렌즈 홀더를 촬상 소자측으로부터 촬상 광학계측으로 압박하는 후방 스프링과, 렌즈 홀더를 촬상 광학계측으로부터 촬상 소자측으로 압박하는 전방 스프링을 포함하고, 후방 경통은 전방 경통의 대향 측면에 후방 단부면을 갖고 전방 경통은 후방 경통의 대향 측면에 전방 단부면을 갖고, 이 방법은 직사각형 프레임과 직사각형 프레임 내측의 스프링 스트립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스프링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후방 스프링과 전방 스프링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와, 전방 경통과 후방 경통의 끼움 지지부 사이에 직사각형 프레임에 근접하게 스프링의 종단부를 사이에 끼우는 단계와, 외부면이 끼움 지지부에 근접한 인접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오목해지도록 후방 경통과 전방 경통의 끼움 지지부의 외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스프링과 직사각형 프레임이 절단되도록 오목부의 내측을 통해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의 주연 부 내측에 위치되고, 이는 카메라 모듈(20)의 외측 직경을 감소시키고 카메라 모듈(20)을 포함한 전자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오목부(82)가 개방 상태로 후방 경통(24)의 후방 단부면(2402)에 형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광선(L)은 후방 경통(24)의 측면을 향해 대각선으로 방출될 수 있어서, 후방 경통(24)과 전방 경통(22) 사이에 끼인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오목부(82)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오목부(82)의 바닥면은 오목부(82)의 깊이가 오목부(82)의 개방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방식으로 경사진 경사면(8202)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광선(L)은 더 대각선으로 방출될 수 있어서, 후방 경통(24)과 전방 경통(22) 사이에 끼인 후방 스프링(34)의 종단부는 오목부(82)의 바닥면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후방 경통(24)의 오목부(82)가 가능한 최소 크기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82)는 레이저 광선(L)이 상술된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방출되게 하고, 이는 카메라 모듈(20)의 부품과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카메라 모듈(20)을 소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레이저 광선(L)이 상술된 설명에서 후방 스프링(34)으로 방출되었지만, 레이저 광선(L)은 전방 스프링(32)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방 스프링(34)이 후술된다.
도 42는 후방 스프링(34)의 평면도이고, 도 43은 후방 스프링(34)의 부분 확 대도이고, 도 44는 선 XLIV-XLIV를 따라 취한 도 25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촬상 광학계(28)와 렌즈 홀더(30)의 도면은 도 44로부터 생략한다.
다음에, 후방 스프링(34)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된다.
네 개의 후방 스프링(34)이 그 사이에 거리를 두고 렌즈 홀더(30)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된다. 후방 스프링(34)은 렌즈 홀더(30)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30)를 지지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방 스프링(34)은 제1 아암부(84)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서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아암부(86)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부(84, 86)는 광축에 평행한 두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얇은 스프링 스트립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부(84, 86)에서,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은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수직으로 교차하는 구역으로부터 먼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에서 원호부(8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원호부(88)는 두 개의 스트링 스트립 사이의 거리(W)보다 큰 직경(D)을 갖는다.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수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84)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는 제2 아암부(86)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수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84)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는 유지편(90)으로 형성된다. 유 지편(90)은 렌즈 홀더(30)에 부착되어 상술된 원호부(70)를 구성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수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2 아암부(86)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91)는 경통(92)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종단부(91)는 구멍(76)이 형성된 환형 형상을 갖는 지지편(72, 74)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92)은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을 포함하고, 이들은 광축 방향으로 분할가능하다.
두 개의 인접한 후방 스프링(34)의 유지편(90)의 종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두 개의 인접한 후방 스프링(34)은 스프링 분할체(34A)를 구성한다.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이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 상에서 취해질 때, 후방 스프링(34)의 제1 아암부(84)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 스프링(34)의 제2 아암부(86)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92)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렌즈 홀더(30)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 프리즘 형상을 갖는 네 개의 공간(St)은 렌즈 홀더(30)의 외주연면과 경통(92)의 코너 사이에 배치된다.
네 개의 후방 스프링(34)은 공간(St)에 배치된다.
각각의 후방 스프링(34)은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경통(92)의 코너의 각각의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후방 스프링(34)이 경통(92)에 결합되는 방법이 후술된다.
후방 스프링(34)의 유지편(90)(원호부(90))은 렌즈 홀더(30)에 부착된 코일 홀더(56)의 후방면(5620)(도 33 참조)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후방 스프링(34)의 유지편(90)은 코일 홀더(56)를 통해 렌즈 홀더(30)에 부착된다.
후방 경통(24)의 핀(48)은 후방 스프링(34)의 단부(91)(지지편(72, 74))의 구멍(76) 안으로 삽입되어 단부(9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과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 사이에 끼여서, 후방 스프링(34)의 다른 단부(91)가 경통(92)에 부착된다.
렌즈 홀더(30)의 스토퍼의 구조
도 25 및 도 44를 참조하여, 렌즈 홀더(30)의 스토퍼의 구조를 후술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X축은 서로 평행한 후방 경통(24)의 한 쌍의 측면(440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Y축은 서로 평행한 후방 경통(24)의 다른 한 쌍의 측면(440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25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출부(5630)는 코일 홀더(56)의 원주부 상의 샤프트부(5602)로부터 90°만큼 분리된 두 개의 위치로부터 코일 홀더(56)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스토퍼 돌출부(5630)는 180°만큼 분리된 코일 홀더(56)의 원주부 상의 두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스토퍼 돌출부(5630)는 Y축 방향으로 코일 홀더(56)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스토퍼 돌출부(5630)는 두 개의 제1 접촉면(5630A) 및 제2 접촉면(5630B)을 포함한다. 제1 접촉면(5630A)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접촉면(5630B) 은 촬상 광학계(28)의 광축에 평행하고 X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다.
스토퍼 돌출부(5630)를 대면하는 후방 경통(24)의 부분에, 스토퍼 돌출부(5630)에 대응하는 스토퍼 오목부(2410)가 형성된다.
각각의 스토퍼 오목부(2410)는 그 사이에 X축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제1 접촉면(5630A)을 대면하는 두 개의 제3 접촉면(2410A)과, 그 사이에 Y축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제2 접촉면(5630B)과 대면하는 제4 접촉면(2410B)을 포함한다.
스토퍼 돌출부(5630)의 제1 접촉면(5630A)은 X축 방향으로 코일 홀더(56)(렌즈 홀더(30))의 이동 제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스토퍼 오목부(2410)의 제3 접촉면(2410A)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돌출부(5630)의 제2 접촉면(5630B)은 Y축 방향으로 코일 홀더(56)(렌즈 홀더(30))의 이동 제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스토퍼 오목부(2410)의 제4 접촉면(2410B)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X축 및 Y축 방향으로 렌즈 홀더(30)의 이동 제한 위치는 렌즈 홀더(30)가 이동 제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후방 스프링(34)이 영구히 변형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효과
작용 효과가 후술된다.
만약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10)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20)에 충격이 가해지면, 렌즈 홀더(30)는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렌즈 홀더(30)가 이동되는 경우, 후방 스프링(34)의 제1 및 제2 아암부(84, 86)는 이 렌즈 홀더(30)에 가해진 힘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제1 아암부(84)는 X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아암부(86)는 Y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 아암부(84, 86)는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렌즈 홀더(3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및 제2 아암부(84, 86) 양측은 이 힘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아암부(84, 86) 중 한 쪽에만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후방 스프링(3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후방 스프링(34)과 카메라 모듈(20)을 소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만약 제1 및 제2 아암부(84, 86)가 서로 직교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및 제2 아암부(84, 86) 중 한 쪽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는 후방 스프링(3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단점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스프링(34)은 삼각형 프리즘 형상을 갖고 렌즈 홀더(30)의 외주연면과 경통(92)의 코너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네 개의 공간(St)으로 배치되어, 못 쓰는 공간인 공간(St)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카메라 모듈(20)을 소형화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가 후술된다.
도 4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스프링(34)이 후방 경통(24)에 부착된 구조 의 사시도이고, 도 46은 화살표 XLVI의 방향에서 볼 때 도 45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4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스프링(34)이 렌즈 홀더(30)에 부착된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스프링(34)의 평면도이고, 도 4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스프링(34)의 지지편의 변형예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원호 형상을 갖는 홈(94)이 그 사이에 거리를 두고 후방 스프링(34)의 지지편(72, 74)에 형성된다. 홈(94)은 구멍(76)의 원주 방향으로 구멍(76)과 동축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구멍(76)의 주연부 둘레로 연장되고 홈(94)을 제외한 지지편(72, 74)의 환형부는 전방 경통(22)의 맞춤면(4210)과 후방 경통(24)의 맞춤면(4410) 사이에 끼이고, 이에 따라 후방 스프링(34)은 경통(92)에 부착된다.
홈(94)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원주를 따라서 또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반경을 갖는 두 개의 원주를 따라서 또는 두 개 이상의 원주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72, 74)에 홈(94)을 형성함으로써,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스프링 부분(96)은 지지편(72, 74)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촬상 광학계(28)의 광축과 직교하는 힘이 스프링 부분(96)에 의해서도 흡수되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후방 스프링(3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후방 스프링(34)을 소형화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이 후방 스프링(34)에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방 스프링(32)에도 적용가능하다.
코일이 렌즈 홀더에 부착되고 마그넷이 경통에 부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소위 이동-코일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마그넷이 렌즈 홀더에 부착되고 코일이 경통에 부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소위 이동-마그넷 시스템에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하다.
커버(26)의 부착 구조
커버(26)의 부착 구조가 후술된다.
도 50은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1은 도 50의 선 LI-LI를 따라 취해진 도 50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2는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3은 선 LIII-LIII을 따라 취한 도 52의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4는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5는 선 LIV-LIV을 따라 취한 도 54의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6은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7은 선 LVII-LVII을 따라 취한 도 56의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8은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9는 선 LIX-LIX를 따라 취한 도 58의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60a는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26)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0b는 비교예에서의 커버(26)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2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S)(도 11 참조)은 전후 방향으로 경통(92)에서 연장된다. 도 12,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경통(9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전방면(9202)과 전방면(9202)의 네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네 개의 측면(9204)을 포함한다. "후방"이라는 용어는 촬상 소자(36)에 근접한 측을 나타내고, "전방"이라는 용어는 촬상 소자(36)로부터 멀고 피사체에 근접한 측을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경통(92)은 전방 경통(22)과 전방 경통(22)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경통(24)을 포함한다. 전방면(9202)은 전방 경통(22) 상에 제공되고, 측면(9204)은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 상에 제공된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9210)는 측면(9204)에 형성된다.
전방면(9202)이 측면(9204) 및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과 만나는 위치에, 경사면(9214)이 경통(92)의 전방면(9202)에 접근함에 따라 경사면(9214)이 내향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경사면(9214)이 형성된다.
금속판 또는 탄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커버(26)는 전방 경통(22)을 후방 경통(24)에 결합시키도록 제공된다.
도 28 내지 도 30 및 도 50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는 전방면부(2602), 다리편(2604) 및 결합 구멍(2608)을 포함한다. 전방면부(2602)는 직사각형이고 전방면(9202)과 접촉한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다리편(2604)은 오목부(9210)에 수용되도록 전방면부(2602)의 네 개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에 접촉한다. 결합 구멍(2608)은 다리편(2604) 대향 쌍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리편(2604)은 상술한 측면부(2604)에 대응하고, 결합 구 멍(2608)은 상술한 결합 홈(2608)에 대응한다.
상술한 개구(2606)는 전방면부(2602)에 형성되어 개구(2606)는 촬상 광학계(28)용 광경로로 작용한다.(도 11 참조)
도 29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멍(2608)을 가진 각각의 다리편(2604)은 전방면부(2602)에 인접한 전방부(2640)와 후방 경통(24)의 후단부에 인접한 후방부(2642)를 포함한다.
결합 구멍(2608)은 후방부(2642)에 형성된다. 후방부(2642)의 폭은 전방부(2640)의 폭보다 크다.
도 12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편(2604)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9210)는 결합 구멍(2608)에 다리편(2604)의 형상부를 끼우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오목부(9210)는 다리편(2604)의 전방부(2640)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폭을 가진 전방부(9240)와 전방부(9240)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를 수용할 수 있는 후방부(9242)로 구성된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60)는 후방 경통(24)의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에 형성된다. 결합 돌출부는 결합 구멍(2608)과 결합가능하도록 측면(9204)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돌기부(60)는 상술한 결합 돌출부(60)에 대응한다.
결합 돌기부(60)와 후방 경통(24)의 후단부 사이의 바닥면(9212)의 부분은 오목부(9250)를 수용함에 따라 형성된다.
결합 구멍(2608)에 인접한 다리편(2604)의 단부는 다리편(2604)의 오목부 편(2604A)으로 형성되어 이 오목부편(2604A)은 수용 오목부(9250)에 수용될 수 있다.
오목부편(2604A)의 단부는 다리편(2604)과 동일한 높이로 만곡되는 직립편(2604B)으로 형성된다.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은 커버(26)의 전방면부(2602)가 경통(92)의 전방면(9202)과 접촉하고 다리편(2604)이 오목부(9210)의 표면(9212)과 접촉하고 결합 돌기부(60)가 결합 구멍(2608)과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의 다리편(2604)은 측면(920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측면(9204)과 바닥면(9212) 사이의 높이로 돌출한다.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방법이 후술된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의 다리편(2604)은 경통(92)의 전방으로부터 경통(92)의 측면(9204)에서 오목부(9210) 안으로 삽입된다.
이 때,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의 후단부와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의 후단부는 경통(92)으로부터 외향으로 변위되어 경사면(9214)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는 측면(9204)을 향해 부드럽게 유도되고,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의 후단부는 바닥면(9212)의 오목부(9210)를 향해 부드럽게 유도된다.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의 전방면부(2602)가 경통(92)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의 측면은 오목부(9210)의 후방부(9242)를 향해 오목부(9210)의 양 측면에서 측면(9204)을 따라 유도된다.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의 후단부는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 상에 유도된다.
도 56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가 이동됨에 따라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측은 오목부(9210)의 양측의 측면(9204)을 따라 유도되어,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오목부편(2604A)은 결합 돌기부(60) 외측으로 변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가 더 이동되는 경우, 커버(26)의 전방면부(2602)는 경통(92)의 전방면(9202)과 접촉한다.
그 후,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는 오목부(9210)의 후방부(9242)에 수용되고, 오목부편(2604A)은 수용 오목부(9250)에 수용되고, 결합 구멍(2608)은 결합 돌기부(60)와 결합하고, 다리편(2604)의 전방부(2640)는 오목부(9210)의 전방부(9240)에 수용되어,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은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과 접촉한다.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은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과 접촉하고, 다리편(2604)의 후단부는 경통(92)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경통(92)의 결합 돌기부(60)는 커버(26)의 결합 구멍(2608)에 결합되어,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이 서로 결합된다.
상술된 구조에서, 커버(26)의 결합 구멍(2608)과 결합가능하고 측면(9204)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결합 돌기부(60)는 경통(92)의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에 형성되고, 전방 경통(22)과 후방 경통(24)은 결합 구멍(2608)이 결합 돌기부(60)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다리편(2604)은 측면(920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측면(9204)과 바닥면(9212)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촬상 광학계를 소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경통과 금속판으로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경통은 직사각형 형상의 전방면과 전방면의 네 개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경통은 전방면을 가진 전방 경통과 전방 경통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경통을 포함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는 측면에 형성되고, 커버는 전방면부, 다리편,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전방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전방면과 접촉하고, 다리편은 전방면부의 네 개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다리편은 오목부에 수용되어 오목부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결합 구멍은 다리편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 쌍에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는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는 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결합 구멍과 결합가능하고, 커버의 전방면부는 경통의 전방면과 접촉하고, 다리편은 오목부에 수용되어 오목부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전방 경통과 후방 경통은 결합 돌출부가 결합 구멍과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의 다리편은 측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92)의 측면(9204)의 주연부 외측으로 어떤 부분도 돌출하지 않는다. 즉, 직사각형 주연부 외측으로 어떤 부분도 돌출되지 않고, 이는 카메라 모듈(20)용 공간을 감소시키고 전자 기기(10)를 소형화하기 위해 외측 치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결합 구멍(2608)을 가진 커버(26)의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의 폭은 전방부(2640)의 폭보다 크다.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9210)는 다리편(2604)의 전방부(2640)를 수용하기 위한 폭을 가진 전방부(9240)와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부(924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후방부(9242)를 포함한다.
커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경우, 결합 구멍(2608)을 가진 다리편(2604)의 후방부(2642)는 경통(92)의 측면(9204) 상에 유도된다. 즉, 후방부(2642)측은 오목부(9210)의 전방부(9240)의 측면(9204)에 의해 상승되면서 후방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다리편(2604)은 오목부(9210)에 부드럽게 수용될 수 있고,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커버(26)와 경통(92) 사이에 생성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이에 따라 마찰에 의해 경통(92)을 깎을 수 있어서 촬상 광학계(28) 또는 촬상 소자(36) 상에 증착되어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염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측면(9204)과 오목부(9210)의 바닥면(9212)이 전방부(9204)와 만나는 위치에, 경사면(9214)이 전방면(9204)에 접근함에 따라 경사면(9214)이 경통(92)의 내향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경사면(9214)이 제공된다. 따라서, 커 버(26)가 경통(92)에 부착되는 경우, 다리편(2604)의 후단부는 경사면(9214)에 의해 부드럽게 유도되고, 이는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에 커버(26)와 경통(92)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도 11, 도 28 내지 도 30, 도 50, 도 51 및 도 6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경통(24)과 전방 경통(22)이 커버(26)로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전방면(9202)과 접촉하는 표면의 반대측의 전방부(2602)의 표면의 전체 영역과 바닥면(9212)과 접촉하고 전방부(2602)에 인접한 표면의 반대측의 다리편(2604)의 표면은 빛에 반사하지 않는 코팅(2612)으로 처리된다.
코팅(2612)은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부(2610)로서 작용한다.
만약 코팅(2612)이 제공되지 않고 카메라 모듈(2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의 제1 하우징에 조립되면, 전방면부(2602)를 제1 하우징(14)의 개구(1410)를 통해 볼 때 커버(26)의 전방면부(2602)는 우수한 외관을 갖지 않는다.
더욱이, 개구(1410)를 통해 진입하는 외부 광은 전방면부(2602)와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서(또는 전방면부(2602)와 개구(1410)에 배치된 투과 패널 사이에서) 반사되어 촬상 광학계(28)로 진입할 수 있고, 이는 촬상 소자(36)에 의해 촬상된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6)는 반사 방지부(2610)를 형성하기 위해 코팅(2612)으로 처리되고, 이에 따라 우수한 외관이 보장될 수 있고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한 외관과 화질을 보장하기 위해, 코팅(2612)은 전방면 상에 반사 방지부(2610)를 형성하기 위해 전방면부(2602)의 전 방면에만 도포되고 다리편(2604)에 반사 방지부(2610)를 형성하지 않도록 다리편(2604)에는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약한 접착을 갖는 보호 시트는 전방면부(2602)에 부착되어서 카메라 모듈(20)이 조작되는 경우 커버(26)의 전체면을 덮는다.
전방면부(2602)와 다리편(2604)의 경계부(전방면부(2602)와 다리편(2604)이 서로 연결된 만곡 부분)를 따라 에지부(2614) 상의 코팅(2612)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쉽게 박리된다. 따라서, 보호 시트가 제거되는 경우, 코팅(2612)은 에지부(2614)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도 6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방면부(2602)가 전방면(9202)에 접촉하는 면에 대향된 전방면부(2602) 표면 전체 영역과 다리편(2604)이 바닥면(9212)에 접촉하고 전방면부(2602)에 인접한 면에 대향된 다리편(2604) 표면의 부분이 코팅제(2612)로 처리되고, 이는 보호 시트가 전방면부(2602)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코팅제(2612)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은 후방 경통(24)의 후단부 위로 연장될 수 있고 기판(58)에 납땜될 수 있다. 기판(58)은 상술된 바와 같이 후방 경통(24)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28)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소자(36)는 기판(58) 상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멍(2608)이 없는 다리편(2604)은 마그넷(50)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그넷(50)은 렌즈 홀 더(30)를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포함된다.
이 구조로, 기판(58)과 촬상 소자(36)에 발생된 열은 다리편(2604)으로부터 커버(26)로 전달되고, 코일(52)로부터 마그넷(50)으로 전달된 열은 다리편(2604)을 통해 커버(26)로 전달되어, 이 열이 커버(26)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촬상 소자(36), 기판(58), 마그넷(50) 및 코일(52)은 커버(26)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이는 촬상 소자(36), 기판(58) 및 구동부(38)의 작동을 안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구동부가 렌즈 홀더에 부착된 코일, 및 경통에 부착된 마그넷을 가진 소위 이동-코일 시스템인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동부가 렌즈 홀더에 부착된 마그넷, 및 경통에 부착된 코일을 가진 소위 이동-마그넷 시스템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8년 6월 20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2008-161780호에 개시된 내용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출원에 참조로 병합되어 있다.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 조합 및 하부 조합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으면 설계의 필요성에 따라서 가능하다고 이해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 설명도.
도 3은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카메라 모듈의 전방 사시도.
도 6은 카메라 모듈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화살표 VII의 방향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도면.
도 8은 도 5의 화살표 VIII의 방향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도면.
도 9는 도 5의 화살표 IX의 방향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도면.
도 10은 도 5의 화살표 X의 방향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도면.
도 11은 도 5의 선 XI-XI을 따라 취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커버가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
도 14는 화살표 XIV의 방향에서 본 도 12의 구조도.
도 15는 화살표 XV의 방향에서 본 도 12의 구조도.
도 16은 화살표 XVI의 방향에서 본 도 12의 구조도.
도 17은 화살표 XVII의 방향에서 본 도 12의 구조도.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전방 경통이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
도 20은 화살표 XX의 방향에서 본 도 18의 구조도.
도 21은 화살표 XXI의 방향에서 본 도 18의 구조도.
도 22는 화살표 XXII의 방향에서 본 도 18의 구조도.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마그넷이 제거된 구조의 전방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구조의 후방 사시도.
도 25는 화살표 XXV의 방향에서 본 도 23의 구조도.
도 26은 화살표 XXVI의 방향에서 본 도 23의 구조도.
도 27은 화살표 XXVII의 방향에서 본 도 23의 구조도.
도 28은 커버의 전방 사시도.
도 29는 커버의 후방 사시도.
도 30은 도 28의 화살표 XXX의 방향에서 본 커버의 도면.
도 31은 마그넷이 전방 경통 안으로 삽입되는 구조의 사시도.
도 32는 화살표 XXXII의 방향에서 본 도 31의 구조도.
도 33은 렌즈 홀더, 후방 스프링, 코일 및 코일 홀더의 사시도.
도 34는 마그넷과 마그넷 위치 결정면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전방 경통의 후방도.
도 35는 마그넷과 마그넷 위치 결정면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6은 전방 경통의 일부를 절단해서 본 전방 경통, 마그넷 및 후방 경통이 함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화살표 XXXVII의 방향에서 본 도 36의 상태도.
도 38 내지 도 41은 레이저 광선(L)이 스프링 부재의 제2 연결부를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2는 후방 스프링의 평면도.
도 43은 후방 스프링의 부분 확대도.
도 44는 선 XLIV-XLIV을 따라 취한 도 25의 구조의 단면도.
도 45는 후방 스프링이 후방 경통에 부착된 구조의 사시도.
도 46은 화살표 XLVI 방향에서 본 도 45의 구조도.
도 47은 후방 스프링이 렌즈 홀더에 부착된 구조의 사시도.
도 48은 후방 스프링의 평면도.
도 49는 후방 스프링의 지지편의 확대 평면도.
도 50은 커버가 경통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의 사시도.
도 51은 선 LI-LI을 따라 취한 도 50 구조의 단면도.
도 52는 커버가 경통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의 사시도.
도 53은 선 LIII-LIII을 따라 취한 도 52 구조의 단면도.
도 54는 커버가 경통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의 사시도.
도 55는 선 LV-LV를 따라 취한 도 54 구조의 단면도.
도 56은 커버가 경통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의 사시도.
도 57은 선 LVII-LVII를 따라 취한 도 56 구조의 단면도.
도 58은 커버가 경통에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의 사시도.
도 59는 선 LIX-LIX를 따라 취한 도 58 구조의 단면도.
도 60a는 실시예의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60b는 비교예의 커버의 단면도.

Claims (7)

  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경통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촬상 광학계를 유지하고 렌즈 홀더와,
    상기 경통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촬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홀더가 촬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스트립의 두께 방향은 광축에 평행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서, 상기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으로부터 먼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에서 원호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원호부는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사이의 거리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는 제2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1 아암부 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는 렌즈 홀더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역에서, 제2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의 종단부는 경통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사이에 거리를 두고 렌즈 홀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네 개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의 제1 아암부는 Y축 방향에 직각인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및 Y축은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서 취해지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의 제2 아암부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렌즈 홀더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갖는 네 개의 공간은 렌즈 홀더의 외주연면과 경통의 코너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네 개의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사이에 거리를 두고 렌즈 홀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네 개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의 제1 아암부는 Y축 방향에 직각인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및 Y축은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직교하는 면에서 취해지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의 제2 아암부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는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경통의 코너의 각각의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갖는 공간 중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사이에 거리를 두고 렌즈 홀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에 부착된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는 유지편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아암부의 두 개의 스프링 스트립 중 다른 하나는 스프링 스트립이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원호부를 통해 유지편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사이에 거리를 두고 렌즈 홀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에 부착된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는 렌즈 홀더의 외주연부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유지편으로서 형성되고,
    두 개의 인접한 스프링의 유지편의 종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에 부착된 스프링 스트립의 종단부는 구멍을 갖는 환형 지지편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경통은 광축 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전방 경통부와 후방 경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경통 상의 핀이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경통부와 후방 경통부 사이에 지지편이 끼이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편이 경통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사이에 거리를 두고 구멍의 원주 방향에서 원호 형상으로 동축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54694A 2008-06-20 2009-06-19 카메라 모듈 KR20090132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1780A JP4706935B2 (ja) 2008-06-20 2008-06-20 カメラモジュール
JPJP-P-2008-161780 2008-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536A true KR20090132536A (ko) 2009-12-30

Family

ID=4109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694A KR20090132536A (ko) 2008-06-20 2009-06-1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33083B2 (ko)
EP (1) EP2136549B1 (ko)
JP (1) JP4706935B2 (ko)
KR (1) KR20090132536A (ko)
CN (1) CN101610358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34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57482B1 (ko) * 2013-12-19 2014-11-05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지문영상의 초점 거리 조정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 입력 센서 및 그 조정방법
WO2018147696A1 (ko) * 2017-02-13 2018-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90043506A (ko) * 2019-04-17 2019-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101935A (ko) * 2019-08-22 2019-09-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36832A (ko) * 2020-03-26 202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51554A (ko) * 2019-04-17 2020-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30210A (ko) * 2020-03-26 2020-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36863A (ko) * 2020-04-09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068373A (ko) * 2020-05-06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124148A (ko) * 2020-11-27 2021-10-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20301A (ko) 2020-11-06 2022-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0695A (zh) * 2008-12-01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KR101591954B1 (ko) 2009-12-21 2016-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37627B1 (ko) * 2011-03-17 2013-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5781831B2 (ja) * 2011-05-25 2015-09-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8982267B2 (en) * 2011-07-27 2015-03-17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particle trap
KR101928773B1 (ko) * 2012-02-09 2018-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101920314B1 (ko) * 2011-10-31 2019-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294661B2 (en) * 2011-11-18 2016-03-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JP5884976B2 (ja) * 2012-01-31 2016-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
US9341860B2 (en) * 2012-02-21 2016-05-17 Tdk Taiwan Corp.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and optical image stabilizer having the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JP5968669B2 (ja) * 2012-04-16 2016-08-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駆動機構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駆動機構用板バネ
KR102166232B1 (ko) * 2013-07-04 2020-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틸트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TWI515502B (zh) * 2014-12-26 2016-01-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及其簧片
JP2017021269A (ja) * 2015-07-14 2017-0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12415705B (zh) 2015-08-31 2023-10-2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仪器
FR3086766A1 (fr) * 2018-09-27 2020-04-03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capteur optique d'un systeme d'assistance a la conduite pour vehicule automobile
JP6804609B2 (ja) * 2019-10-09 2020-12-2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I728769B (zh) 2020-03-31 2021-05-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TWI730781B (zh) 2020-05-22 2021-06-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7367B2 (en) * 2002-08-27 2006-08-29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JP4677533B2 (ja) * 2005-01-21 2011-04-27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815285A (zh) * 2005-02-04 2006-08-09 思考电机(上海)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TWI298805B (en) * 2005-02-15 2008-07-11 Sony Corp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4433303B2 (ja) * 2005-02-15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596249B2 (ja) 2005-02-15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654358B2 (ja) * 2005-03-11 2011-03-16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174542B2 (ja) * 2005-05-24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6337927A (ja) * 2005-06-06 2006-12-14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7033873A (ja) * 2005-07-27 2007-02-08 Enplas Corp 光学装置
JP4714845B2 (ja) * 2005-09-30 2011-06-29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517297B2 (ja) * 2005-10-17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582415B2 (ja) 2005-10-17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730956B2 (ja) * 2005-10-20 2011-07-20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2007316395A (ja) * 2006-05-26 2007-12-06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7322540A (ja) * 2006-05-30 2007-12-13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4942187B2 (ja) * 2006-06-30 2012-05-30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2008032768A (ja) * 2006-07-26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4952149B2 (ja) * 2006-08-31 2012-06-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338025B2 (ja) * 2006-10-27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16622A (ja) * 2006-11-02 2008-05-22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JP4838744B2 (ja) * 2006-11-08 2011-12-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013855B2 (ja) 2006-12-27 2012-08-29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ガス分離膜を用いたガス製造方法およびガス製造装置
JP4932575B2 (ja) * 2007-04-10 2012-05-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8268474A (ja) * 2007-04-19 2008-11-06 Tricore Corp ボイスコイル型のレンズ駆動装置
JP4945733B2 (ja) * 2008-04-09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34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57482B1 (ko) * 2013-12-19 2014-11-05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지문영상의 초점 거리 조정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 입력 센서 및 그 조정방법
WO2018147696A1 (ko) * 2017-02-13 2018-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249372B2 (en) 2017-02-13 2022-02-1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vehicle
KR20200051554A (ko) * 2019-04-17 2020-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043506A (ko) * 2019-04-17 2019-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101935A (ko) * 2019-08-22 2019-09-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036832A (ko) * 2020-03-26 202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30210A (ko) * 2020-03-26 2020-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36863A (ko) * 2020-04-09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068373A (ko) * 2020-05-06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47239A (ko) * 2020-05-06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20301A (ko) 2020-11-06 2022-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137584A (ko) 2020-11-06 2022-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124148A (ko) * 2020-11-27 2021-10-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0358B (zh) 2012-02-22
EP2136549A2 (en) 2009-12-23
JP2010002718A (ja) 2010-01-07
US8233083B2 (en) 2012-07-31
CN101610358A (zh) 2009-12-23
EP2136549A3 (en) 2010-12-08
US20090316040A1 (en) 2009-12-24
EP2136549B1 (en) 2014-04-23
JP4706935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2536A (ko) 카메라 모듈
JP484482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33802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8600599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TWI438515B (zh) Camera module
CN115145018A (zh) 光学系统
CN108769325B (zh) 电子装置
KR20060092069A (ko)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JP20081118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060181632A1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CN111580239A (zh) 镜头驱动模块
JP6503735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2255972A (ja)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JP20100043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2437219A (zh) 摄像组件及电子设备
US20230393450A1 (en) Voice coil motor,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JP5125799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74312A (zh)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以及摄像模组
JP20081118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撮像装置
JP2012185246A (ja) 撮像ユニット
CN217721306U (zh) 音圈马达及摄像头模组
CN114326259B (zh) 潜望式摄像模组及其镜头模块的组装方法
US11503193B2 (en) Imaging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99325A (ko) 카메라 모듈
CN116034303A (zh) 反射模块和包括该反射模块的摄像装置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