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937A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937A
KR20090129937A KR1020090033234A KR20090033234A KR20090129937A KR 20090129937 A KR20090129937 A KR 20090129937A KR 1020090033234 A KR1020090033234 A KR 1020090033234A KR 20090033234 A KR20090033234 A KR 20090033234A KR 20090129937 A KR20090129937 A KR 2009012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resin film
secondary battery
active materi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완묵
한규남
이명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ubular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전극; 제2전극;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 포함하고,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 내지 6㎛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 내지 16㎛이며,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는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용량유지율이 우수하면서, 열노출 특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세페레이터, 두께, 폴리올레핀, 세라믹

Description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서 이들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지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하게 신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을 양극과 음극의 활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음극판과 양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일정 형태, 예를 들어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감겨 형성되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납되는 캔과, 상기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조립체로 구성된다.
종래의 세퍼레이터로는 통상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미다공성 고분자막 또는 이들의 다중막이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세퍼레이터는 다공막층이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 형상이므로, 내부 단락이나 과충전에 의한 발열에 의해 다공막의 기공 막힘과 함께 시트상 세퍼레이터도 수축하는 결점을 가진다.
따라서, 시트상 세퍼레이터가 전지의 내부 발열에 의해 수축이 일어나서 쪼그라들게 되면 세퍼레이터가 줄어들어서 없어진 부분은 양극과 음극이 직접 닿게 되므로 발화, 파열, 폭발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의 세라믹물질과 바인더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공막을 코팅하여 세퍼레이터로 적용하는 세라믹 세퍼레이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세라믹 세퍼레이터는 폴리올레핀 재질의 필름상의 세퍼레이터가 120℃ 이상의 고온에서 용융, 수축하는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따라서, 기존의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와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겸용해서 사용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와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겸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전지의 안전성은 향상되나, 기존 전지의 셀용량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세라믹 세퍼레이터의 두께 만큼 얇아져야 한다.
즉, 세라믹층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하이면 세라믹층의 안전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일정 두께 이상이면 전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의 경우에도 두께가 일정 두께 미만이 되면 전지의 열적 특성이 악화되고,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엔 전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와 세라믹 세퍼레이터의 매칭성이 중요하며, 결국,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량유지율이 우수하면서, 열노출 특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전극; 제2전극; 및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 내지 6㎛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 내지 16㎛이며,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전극; 제2전극;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 포함하고,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 내지 6㎛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 내지 16㎛이며,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전극은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제2전극은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 활물질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다공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공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폴리에틸렌(PE) 단층막, 폴리프로필렌(PP) 단층막 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막의 세라믹물질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 및 지르코늄, 알루미늄, 실리콘, 티타늄 각각의 절연성 질화물, 수산화물, 케톤화물,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는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량유지율이 우수하면서, 열노출 특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캔(12)을 포함하며, 상기 캔(12)는 전극조립체(14)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4)는 제1전극판(16), 제2전극판(18) 및 상기 두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권취되어 젤리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전극 탭(22) 및 제2전극 탭(24)는 각각 제1전극판(16) 및 제2전극판(18)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캔(12)의 개구부(26)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캡 조립체(28)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캡 조립체(28)는 절연케이스(30), 터미널 플레이트(32), 절연플레이트(34) 및 캡 플레이트(3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연케이스는 제1전극 탭이 통과하는 탭 그루브(38) 및 제2전극 탭이 통과하는 탭 통공(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연케이스튼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간의 절연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전극 탭(24)은 터미털 플레이트(32)와 연결되고, 전극 단자(42)는 터미널 플레이트(3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극 단자(42)는 캡플레이트(36), 절연플레이트(34) 및 터미널 플레이트(32) 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44)를 통과하여, 제2전극 탭(24)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극 탭(22)는 상기 탭 그루브(38)을 통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전극 탭(22)은 절연 플레이트(34)에 의하여 제2전극 탭(24) 및 터미널 플레이트(32)와 절연된다.
한편, 상기 전극 단자(42)는 절연가스켓(46)을 통하여 캡플레이트(36)과 절연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36) 및 절연케이스(30)에는 전해액을 캔(12)에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해 액 주입구(50)을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52)가 포함되어 있다.
다만, 상기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10)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함이 없이, 본 발명을 반영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이차전지도 본 발명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는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에 의해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막(60)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의 순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범위내에서 뒤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전극(22)는 집전체(64)의 양면에 코팅된 활물질층(62)을 포함하며, 제2전극(24)는 집전체(68)의 양면에 코팅된 활물질층(6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막(60)은 제1전극(22)의 활물질층(62)의 상에 위치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은 상기 다공막(6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은 제1전극(22)의 활물질층(62)의 상에 위치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상에 상기 다공막(6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공막(60)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이 함께 이차전지 내에서 세퍼레이터(20)로 작용하게 된다.
먼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으로는 폴리에틸렌(PE) 단층막, 폴리프로필렌(PP) 단층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층막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종류 및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다공막(60)은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세라믹 물질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지르코늄, 알루미늄, 실리콘, 티타늄 각각의 절연성 질화물, 수산화물, 케톤화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절연성 질화물이라는 한정은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등은 도전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세라믹 물질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언급된 것이다.
상기 바인더로는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라텍스,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라텍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 라텍스,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및 변성 폴리오가노실록산계 중합체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라텍스는 수계분산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전극 활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으로 0.1 내지 2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집전체 등에 양호한 접착력이 얻 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전지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종만을 사용하게 되면 결합 구조가 약해서 끊어지기 쉽지만,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가교성 단량체를 넣어주면 가교성 단량체가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구조와 결합하여 더욱 단단한 그물 구조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그물 구조를 갖는 고분자는 가교도가 증가할 수록 용매 중에서 팽윤되기 어렵다.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 바인더는 주사슬 분자의 1만 분자량 단위에 대해 2 내지 10개의 가교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개의 가교점을 갖는 3차원 가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전해액이 함습되었을 때 팽윤하지 않는 내팽창성을 가질 수 있다.
세라믹 물질의 본래 특성상 분해 온도가 1000℃ 이상이고, 또한 바인더로서는 분해 온도가 250℃ 이상이 되는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 바인더를 사용하게 되므로 내열성이 높은 전지를 얻을 수 있어 내부 단락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로는 메톡시메틸아크릴레이트(methoxymethyl acrylate),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methoxyethyl acrylate)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thoxyethyl acrylate),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buthoxyethylacrylate), 메 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thoxyethoxyethyl acrylate), 디사이클로펜테닐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dicyclopentenyloxyeth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alkoxyalkyl acrylate); 비닐메타크릴레이트(vinyl methacrylate), 비닐아크릴레이트(vinyl acrylate), 알릴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메타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아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acrylate), 3,3-디메틸부텐일메타크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methacrylate), 3,3-디메틸부텐일 아크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켄일 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이타코네이트(divinyl itaconate), 디비닐 말레이트(divinyl maleate)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디카복실산에스테르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ester); 비닐 1,1-디메틸프로펜일 에테르(vinyl 1,1-dimethylpropenyl ether), 비닐 3,3-디메틸부텐일 에테르(vinyl 3,3-dimethylbuten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비닐기 함유 에테르; 1-아크릴로일록시-1-페닐에텐(1-acryloyloxy-1-phenylethen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옥틸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중에서 선택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vinyl chloroacetate), 아크릴 클로로아세테이트(acryl chloroacet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클로로아세테이트(alkenyl chloroacetate);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비닐글리시딜에테르(vinylglycidyl ether), 아크릴글리시딜에테르(acryl glycid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시딜기 함유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카복실산;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2-chloroehtyl vinyl ether); 클로로메틸스티렌(chloromethyl styrene); 및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에 의해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공막(60)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세퍼레이터(20)는 16 내지 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20)의 두께가 16㎛ 미만인 경우는 세퍼레이터의 음극과 양극을 분리시켜 쇼트를 방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22㎛를 초과하는 경우는 세퍼레이터의 두께의 증가로 인한 동일한 크기의 이차전지에서 셀용량을 낼 수 있는 구성의 두께가 감소하므로, 셀용량면에서 전지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다공막(60)인 세라믹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인 필름상의 세퍼레이터(70)는 12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막(60)의 두께가 4㎛ 미만인 경우는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다공막(60)의 두께가 6㎛를 초과하는 경우는 기계적 안정성은 향상되나, 상대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열노출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세라믹층의 저항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에 비하여 크므로,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의 두께가 12㎛ 미만인 경우는 열노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70)의 두께가 16㎛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다공막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기계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저항층이 두꺼워져서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막인 세라믹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인 필름상의 세퍼레이터는 12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20)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14)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10)는 양극(24) 및 음극(22)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24)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 xMyO2(0 ≤ x ≤ 1, 0 ≤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22)은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 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 활물질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 활물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은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제로는 흑연계 도전제, 카본블랙계 도전제,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계 도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흑연계 도전제의 예로는 인조흑연, 천연 흑연 등이 있으며, 카본 블랙계 도전제의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ketjen black), 덴카 블랙(denka black), 써멀 블랙(thermal black), 채널 블랙(channel black) 등이 있으며, 금속계 또는 금속 화합물계 도전제의 예로는 주석, 산화주석, 인산주석(SnPO4), 산화티타늄, 티탄산칼륨, LaSrCoO3, LaSrMnO3와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물질이 있다.
전극 활물질용 바인더는 활물질의 페이스트화, 활물질의 상호 접착, 집전체와의 접착, 활물질 팽창 및 수축에 대한 완충효과 등의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P(VdF/HFP)),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레이티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리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이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전극 활물질에 대 하여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이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와의 접착력이 불충분하고, 바인더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접착력은 좋아지지만 전극 활물질의 함량이 그만큼 감소하여 전지용량을 고용량화하는데 불리하다.
전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제를 분산시킬 때 사용되는 용매로는 비수용매 또는 수계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비수용매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에틸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막이 음극에 형성되는 경우, 음극 활물질의 바인더가 수계,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면 다공막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유기계를 사용하고, 음극 활물질의 바인더가 유기계,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라면 다공막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수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 활물질층과 다공막에 같은 유기계 또는 수계 바인더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그 분산 용매도 같은 유기계 또는 수계 용매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미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에 다공막 페이스트를 코팅할 경우 이미 건조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이 다공막 페이스트의 용매에 다시 녹아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공막 페이스트의 용매는 유기계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NMP/사이클로헥산온을 0:100 내지 50:5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비로 사용하거나, NMP 대신에 이소프로필알코올, 톨루엔, 자일렌(x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의 바인더가 유기계라면 다공막 페이스트의 바인더는 수계를 사용하고 용매로는 물 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며, 음극 집전체로는 구리 및 구리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형태로는 호일, 필름, 시트, 펀칭된 것, 다공질체,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공막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함께 이차전지 내에서 세퍼레이터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쪽에 형성된 상태로 두 전극이 적층되거나, 적층 후 권취되어 전극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막이 양극 활물질층 또는 음극 활물질층에 코팅된 후 다공막의 상부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위치하거나, 양극 활물질층 또는 음극 활물질층의 상부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위치한 후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상부에 다공막이 코팅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적층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인 필름상의 세퍼레이터는 고온에서 수축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상기 다공막은 수축하거나 용융(melting)될 염려가 없다. 즉, 폴리올레핀계 필름 세퍼레이터는 내부 단락시 초기 발열에 의해 손상된 부분에 더하여 그 주변 필름이 계속 수축되거나 용융되어 필름 세퍼레이터가 타서 없어지는 부분이 넓어지게 되므로 더욱 하드(hard)한 쇼트를 발생시키게 되지만, 다공막이 형성된 전극은 내부 단락이 일어난 부분에서 작은 손상이 있을 뿐 단락 부위가 넓어지는 현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공막인 세라믹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폴리올레핀 재질의 필름상의 세퍼레이터가 12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 수축하는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특히, 세라믹 세퍼레이터와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한정하여,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로는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테르로는 디부틸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가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인 경우 환형(cyclic) 카보 네이트와 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1:1 내지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5 내지 1:4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부피비로 혼합되어야 전해질의 성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톨루엔, 플루오로톨루엔, 트리플루오로톨루엔, 자일렌 등이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에서 카보네이트계 용매/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의 부피비가 1:1 내지 3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피비로 혼합되어야 전해질의 성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은 리튬염을 포함하며, 상기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 +1SO2)(CyF2x +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및 LiSO3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6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0.7 내지 1.6M 범위가 바람직하다. 리튬염의 농도가 0.6M 미만이면 전해액의 전도가 낮아져 전해액 성능이 떨어지고, 2.0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음극 및 양극의 사이에 개재하여 적층하거나, 또는 적층 후 권취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다음, 캔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넣은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된 이차 전지의 외형은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pouch)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도전제로서 카본을 92:4:4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로 인조 흑연, 바인더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96:2: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물에 분산시켜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15㎛의 구리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극들 사이에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이를 권취 및 압축하여 원통형 캔에 삽입하였다.
이때,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로 하였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로 하였다.
상기 원통형 캔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다공막의 두께를 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다공막의 두께를 6㎛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6㎛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다공막의 두께를 2㎛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2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다공막의 두께를 8㎛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다공막의 두께를 6㎛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6]
다공막의 두께를 6㎛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를 1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6의 리튬 전지를 0.5C 충방전 속도로 4.2V, CC-CV 방식으로 컷-오프 충전한 후, 이를 1C 충방전속도로 3V, CC 방식으로 컷-오프 방전하는 것을 100회 실시 후, 100회째의 용량유지율을 계산하여 100회 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6의 리튬 전지를 충돌특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충돌특성은 표준충전 상태의 리튬 전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리튬 전지를 평편한 철판에 수평으로 놓고, 일정 직경(15.8mm)의 환봉을 축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전지 위에 놓은 후, 환봉 위에 일정 질량(9.1kg)의 추가 일정 높이(610±25mm)에서 자유낙하하여 환봉과 전지의 충돌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때, 전지 하단에 열전쌍 온도계를 붙여 충돌 후 전지의 표면 온도 변화 및 전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충돌 특성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L1 수준 이하를 유지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기준은 L0는 변화가 없는 상태이고, L1은 누액이 일어나는 정도이며, L2는 표면온도가 200℃미만이면서, 연기가 발생하는 정도이고, 또한, L3는 표면온도가 200℃이상이면서, 연기가 발생하는 정도이고, L4는 발화가 발생하는 정도, L5는 폭발, 파열이 일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충돌 특성을 측정하여 L1 수준 이하인 경우는 "OK", L2 수준 이상인 경우는 "NG"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6의 리튬 전지의 열노출 특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열노출 특성은 표준충전상태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챔버에 넣은 후 온도를 상온에서 130℃까지 분당 5℃의 온도상승속도로 온도를 증가시키고, 1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키면서 전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열노출 특성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130℃에서 10분이 지나도록 L1 수준 이하를 유지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L0는 외관상 변화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누액이 없고 섬광만 있는 경우, 또는 전지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시험 중의 충격에 의하여 변형된 경우를 포함한다. L1은 전해액과 같은 내부 구성물의 일부가 손실되어 초기 전지무게의 0.1%이상감소한 경우, 또는, 벤트 등 전지 설계상 파괴될 수 있는 부분이 파괴된 경우, 또는, 육안확인시 전지 외관에 전해액 등이 분출된 흔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누액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시험후 무게를 측정 하여 초기 무게와 비교하여야 하나, 안전성 시험 항목의 경우에는 이를 생략할 수 있다. 발연, 개스(Gas)분출, 발화를 동반하지 않고 시험 중의 충격에 의해 전지의 기구물이 파괴되어 내부의 전해액이 누출된 경우를 포함한다. L2는 열폭주를 동반하지 않는 연기 발생하고 전지표면온도가 200℃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지내부로부터의 증기발생 등의 경우를 말한다. L3는 열폭주를 동반하는 연기가 발생하고 전지표면온도가 200℃를 초과하며 격렬히 개스가 방출되는 상태 혹은 외관상 연기 발생 흔적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열폭주에 의해 전지표면온도가 200℃를 초과하는 상태를 말한다. L4는 전지의 내용물이 자기발화하여 불꽃이 나오고 타는 상태로 격렬히 불꽃이 발생 되어 지속되는 상태 또는 외장재에 탄 흔적이 남아 발화로 추정되는 상태를 말한다. L5는 전지내부로부터의 압력으로 인해 내부구조물이 방출되고 전지 케이스가 전지 설계상 파괴될 수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이 파괴되어 파편이 방출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열노출 특성을 측정하여 L1 수준 이하인 경우는 "OK", L2 수준 이상인 경우는 "NG"로 표시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다공막 두께(㎛)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두께(㎛) 초기 용량 대비 100회 용량(%) 충돌특성 열노출특성
실시예1 4 12 93 OK OK
실시예2 4 16 92 OK OK
비교예1 2 20 89 NG OK
비교예2 4 10 94 OK NG
비교예3 4 18 87 OK OK
실시예3 6 12 92 OK OK
실시예4 6 16 91 OK OK
비교예4 8 10 85 OK NG
비교예5 6 10 93 OK NG
비교예6 6 18 86 OK OK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1과 비교예1을 비교시 다공막 두께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두께의 합은 비교예1이 더 두껍지만 충돌 특성은 실시예1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 이로부터 다공막 두께가 4um이상이 되어야 충돌 특성에 의한 기계적 안전성 효과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1과 비교예2를 비교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두께가 너무 얇으면(10um이하) 열노출 특성 저하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온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멜팅되면서 흡열을 하게 되는데 두께가 얇으면 흡열반응이 적어지고 이러한 이유로 열노출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시예2와 비교예3을 비교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너무 두꺼우면(18um이상) 저항층이 두꺼워져 수명특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4와 비교예5를 비교시 다공막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두께의 합은 실시예4가 더 두껍지만 수명특성은 비교예5의 경우가 더 좋지 않은데, 이는 다공막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에 비해 저항이 크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시예3과 비교예6을 비교시 실시예1과 비교예2의 비교 때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가 10um 이하가 되면 열노출 특성이 저하되는데, 이 는 고온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멜팅되면서 흡열을 하게 되는데 두께가 얇으면 흡열반응이 적어지고 이러한 이유로 열노출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다공막층의 두께가 두꺼워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4와 비교예7을 비교시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이 너무 두꺼우면(18um이상) 저항층이 두꺼워져 수명특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막인 세라믹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인 필름상의 세퍼레이터는 12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세퍼레이터와 필름상의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한정함으로써, 전지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지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36)

  1. 제1전극;
    제2전극; 및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 내지 6㎛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 내지 16㎛이며,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은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 활물질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다공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공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폴리에틸렌(PE) 단층막, 폴리프로필렌(PP) 단층막 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세라믹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의 세라믹물질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 및 지르코늄, 알루미늄, 실리콘, 티타늄 각각의 절연성 질화물, 수산화물, 케톤화물,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라텍스,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라텍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 라텍스,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및 변성 폴리오가노실록산계 중합체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공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2 내지 10개의 가교점을 갖는 3차원 가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 바인더는 주사슬 분자의 1만 분자량 단위에 대해 4 내지 5개의 가교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는 메톡시메틸아크릴레이트(methoxymethyl acrylate),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methoxyethyl acrylate)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thoxyethyl acrylate),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buthoxyethylacrylate), 메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thoxyethoxyethyl acrylate), 디사이클로펜테닐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dicyclopentenyloxyeth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alkoxyalkyl acrylate); 비닐메타크릴레이트(vinyl methacrylate), 비닐아크릴레이트(vinyl acrylate), 알릴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메타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아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acrylate), 3,3-디메틸부텐일메타크 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methacrylate), 3,3-디메틸부텐일 아크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켄일 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이타코네이트(divinyl itaconate), 디비닐 말레이트(divinyl maleate)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디카복실산에스테르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ester); 비닐 1,1-디메틸프로펜일 에테르(vinyl 1,1-dimethylpropenyl ether), 비닐 3,3-디메틸부텐일 에테르(vinyl 3,3-dimethylbuten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비닐기 함유 에테르; 1-아크릴로일록시-1-페닐에텐(1-acryloyloxy-1-phenylethen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옥틸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중에서 선택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vinyl chloroacetate), 아크릴 클로로아세테이트(acryl chloroacet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클로로아세테이트(alkenyl chloroacetate);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비닐글리시딜에테르(vinylglycidyl ether), 아크릴글리시딜에테르(acryl glycid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시딜기 함유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카복실산;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2-chloroehtyl vinyl ether); 클로로메틸스티렌(chloromethyl styrene); 및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6. 제1전극;
    제2전극;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 포함하고,
    상기 다공막의 두께는 4 내지 6㎛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의 두께는 12 내지 16㎛이며,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은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 활물질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코팅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다공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공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 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은 폴리에틸렌(PE) 단층막, 폴리프로필렌(PP) 단층막 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세라믹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의 세라믹물질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 및 지르코늄, 알루미늄, 실리콘, 티타늄 각각의 절연성 질화물, 수산화물, 케톤화물,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바인더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라텍스,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라텍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 라텍스,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및 변성 폴리오가노실록산계 중합체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공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는 2 내지 10개의 가교점을 갖는 3차원 가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고무 바인더는 주사슬 분자의 1만 분자량 단위에 대해 4 내지 5개의 가교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는 메톡시메틸아크릴레이트(methoxymethyl acrylate),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methoxyethyl acrylate)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thoxyethyl acrylate),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buthoxyethylacrylate), 메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thoxyethoxyethyl acrylate), 디사이클로펜테닐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dicyclopentenyloxyeth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alkoxyalkyl acrylate); 비닐메타크릴레이트(vinyl methacrylate), 비닐아크릴레이트(vinyl acrylate), 알릴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메타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methacrylate), 1,1-디메틸프로펜일아크릴레이트(1,1-dimethylpropenyl acrylate), 3,3-디메틸부텐일메타크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methacrylate), 3,3-디메틸부텐일 아크릴레이트(3,3-dimethylbuten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켄일 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이타코네이트(divinyl itaconate), 디비닐 말레이트(divinyl maleate)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디카복실산에스테르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ester); 비닐 1,1-디메틸프로펜일 에테르(vinyl 1,1-dimethylpropenyl ether), 비닐 3,3-디메틸부텐일 에테르(vinyl 3,3-dimethylbuten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비닐기 함유 에테르; 1-아크릴로일록시-1-페닐에텐(1-acryloyloxy-1-phenylethen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옥틸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중에서 선택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vinyl chloroacetate), 아크릴 클로로아세테이트(acryl chloroacetate)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클로로아세테이트(alkenyl chloroacetate);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glycidyl acrylate), 비닐글리시딜에테르(vinylglycidyl ether), 아크릴글리시딜에테르(acryl glycid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시딜기 함유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카복실산;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2-chloroehtyl vinyl ether); 클로로메틸스티렌(chloromethyl styrene); 및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부틸 에테르 및 폴리메틸비닐 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카보네이트계 용매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의 부피비가 1:1 내지 3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x+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SO3CF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6 내지 2.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7 내지 1.6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90033234A 2008-06-13 2009-04-16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090129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29708P 2008-06-13 2008-06-13
US61/061,297 2008-06-13
US12/276,237 US8518577B2 (en) 2008-06-13 2008-11-21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2/276,237 2008-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37A true KR20090129937A (ko) 2009-12-17

Family

ID=4085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234A KR20090129937A (ko) 2008-06-13 2009-04-16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518577B2 (ko)
EP (1) EP2133941A1 (ko)
JP (1) JP5534718B2 (ko)
KR (1) KR200901299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28A1 (ko) * 2011-12-14 2013-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150059573A (ko) * 2013-11-22 2015-06-01 란양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신규한 리튬 이온 배터리
KR20180066893A (ko) * 2016-11-14 2018-06-1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나 및 이것을 함유하는 슬러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알루미나 다공막, 적층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8577B2 (en) * 2008-06-13 2013-08-27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JP5462016B2 (ja) * 2010-02-08 2014-04-02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二次電池耐熱保護層用バインダーおよび耐熱保護層用組成物
US20110217585A1 (en) * 2010-03-02 2011-09-08 Applied Materials, Inc. Integrated composite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ies
US8703313B2 (en) 2010-04-19 2014-04-22 Chun Shig SOHN Separator for battery
JP5961922B2 (ja) 2010-05-31 2016-08-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7935B1 (ko) * 2011-07-28 2018-09-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다공질 필름의 제조 방법
CN102324553B (zh) * 2011-09-02 2014-03-12 江西省福斯特新能源有限公司 一种安全锂离子电池
JP6155638B2 (ja) * 2012-12-28 2017-07-05 株式会社リコー 非水電解液蓄電素子
US9899649B2 (en) * 2013-03-26 2018-02-20 Nissan Motor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4377328B (zh) * 2013-08-14 2019-09-13 三星Sdi株式会社 可再充电锂电池
CN106471646B (zh) * 2014-10-31 2019-04-19 株式会社Lg 化学 二次电池用电极、其制造方法、包含其的二次电池及线缆型二次电池
JP2017212040A (ja) * 2016-05-23 2017-11-30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826875B1 (en) * 2016-07-22 2020-11-03 Servicenow,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mmunicating requests
CN110546806B (zh) * 2017-04-25 2022-11-25 日本电气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
KR102440243B1 (ko) * 2019-02-21 2022-09-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WO2023228520A1 (ja) * 2022-05-27 2023-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組成物、電極組成物、固体電解質シートの製造方法、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CN115975550B (zh) * 2023-02-14 2023-06-2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粘结剂组合物、电化学装置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4288A (en) 1929-10-05 1932-06-21 Burt Machine Company Inc Can labeling machine
JP3371301B2 (ja) 1994-01-31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432586B1 (en)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JP2004014127A (ja) 2002-06-03 2004-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耐熱性セパレータ及び二次電池
KR100470314B1 (ko) 2003-06-17 2005-02-07 (주)삼신크리에이션 전기화학소자용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JP4593566B2 (ja) 2003-06-17 2010-12-08 ナノフィ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化学素子用複合膜、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JP3953026B2 (ja) 2003-12-12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極板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739958B2 (ja) 2004-01-09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790280B1 (ko) * 2004-03-30 2008-01-0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액 2차 전지
DE102004018930A1 (de) 2004-04-20 2005-11-17 Degussa Ag Verwendung eines keramischen Separators in Lithium-Ionenbatterien, die einen Elektrolyten aufweisen, der ionische Flüssigkeiten enthält
JP5061417B2 (ja) 2004-04-23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599602B1 (ko) 2004-10-28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986009B2 (ja) 2005-04-04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659854B1 (ko) 2005-04-28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770105B1 (ko) 2005-07-06 2007-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686816B1 (ko) 2005-07-22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07123237A (ja) 2005-09-29 2007-05-17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及びこの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EP1947710A1 (en) 2005-09-29 2008-07-23 Sanyo Electric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those
TWI330136B (en) * 2005-11-28 2010-09-11 Lg Chemical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membrane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JP4151852B2 (ja) 2005-12-08 2008-09-1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5196780B2 (ja) 2005-12-22 2013-05-15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多層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24073A (ja) 2006-06-05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その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8678B2 (ja) 2006-10-16 2013-03-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KR20090111342A (ko) 2007-05-10 2009-10-26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71345B1 (ko) * 2007-10-08 2010-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8518577B2 (en) * 2008-06-13 2013-08-27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28A1 (ko) * 2011-12-14 2013-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9741986B2 (en) 2011-12-14 2017-08-22 Lg Chem, Ltd.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059573A (ko) * 2013-11-22 2015-06-01 란양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신규한 리튬 이온 배터리
US9263762B2 (en) 2013-11-22 2016-02-16 Lanyang Energy Technology Co., Ltd. Lithium ion batteries
KR20180066893A (ko) * 2016-11-14 2018-06-1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나 및 이것을 함유하는 슬러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알루미나 다공막, 적층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3941A1 (en) 2009-12-16
US20090311588A1 (en) 2009-12-17
JP2009302051A (ja) 2009-12-24
US8795871B2 (en) 2014-08-05
US20130316220A1 (en) 2013-11-28
US8518577B2 (en) 2013-08-27
JP5534718B2 (ja)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4718B2 (ja) 電極組立体、および二次電池
KR100659854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947072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0770105B1 (ko) 리튬 이차 전지
US7659036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 porous membrane separator formed of ceramic secondary particles and a binder
KR100686848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70483B1 (ko) 리튬 이차 전지
US818294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10021974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1042675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73315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0778975B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22204968A1 (zh)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WO2022205110A1 (zh)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KR101491805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54591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19672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438696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0686849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428710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0670484B1 (ko) 이차 전지용 음극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90088637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090063442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