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810A -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810A
KR20090125810A KR1020097020849A KR20097020849A KR20090125810A KR 20090125810 A KR20090125810 A KR 20090125810A KR 1020097020849 A KR1020097020849 A KR 1020097020849A KR 20097020849 A KR20097020849 A KR 20097020849A KR 20090125810 A KR20090125810 A KR 2009012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resin
weight
prepreg
inorganic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729B1 (ko
Inventor
다다스케 엔도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7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containing additives, e.g.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08G59/0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 C08G59/08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from phenol-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08G59/621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1Using chemical substances, e.g. colored or fluorescent, for facilitating optical or visual insp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Abstract

보존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는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얼룩없이 착색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그리고 열충격 시험 등의 신뢰성 시험에서 우수한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수지 조성물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무기 충전재, (D) 착색제를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및 (C)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RESIN COMPOSITION, PREPREG, LAMINATED BOAR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4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07-10313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반도체 탑재용 패키지 등의 용도에 이용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흑색을 기조로 하는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흑색으로 하는 방법의 하나로,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구성하는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조성물에 카본 블랙, 스플릿 블랙 등의 카본계 안료, 아조계 금속 착염 흑색 염료, 또는 유기 흑색 염료 등의 착색제를 배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착색제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은 보존성이 저하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나, 또는 프레프레그 제조시의 경화 반응을 저해하여 제작 후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했을 경우, 절연성 신뢰성이나 내땜납 내열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외관에 얼룩이 없는 흑색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함유량을 늘렸을 경우, 이온성 불순물의 증가로 인하여 절연 신뢰성 시험 등 신뢰성 시험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착색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착색제의 분해 온도, 혹은 승화 온도가 낮아, 착색제를 포함하는 적층판은 땜납 내열성 시험에 있어서 팽창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1-12306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1-3624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2000-7296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보존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는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얼룩없이 착색된 프리프레그, 적층판, 열충격 시험 등의 신뢰성 시험에서 우수한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은 하기 (1)~(1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무기 충전재, (D) 착색제를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및 (C)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상기 (D) 착색제는 그 성분에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적어도 1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인 (1)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상기 (D) 착색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의 0.1~4 중량%인 청구항 (1) 또는 (2)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D) 착색제는 260℃에서의 승화 또는 분해에 따른 중량 감소가 10%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C) 무기 충전재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탈크, 소성 탈크,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6) 상기 (C)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의 20~80 중량%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7) 상기 수지 조성물은 시아네이트 또는/및 그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8)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는 수지 조성물 전체의 5~42 중량%인 (7)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시켜 이루어진 프리프레그.
(10) (9)에 기재된 프리프레그를 1매 이상 성형하여 이루어진 적층판.
(11) (10)에 기재된 프리프레그 및/또는 (9)에 기재된 적층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다층 프린트 배선판.
(12) (11)에 기재된 다층 프린트 배선판에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보존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은 얼룩없이 착색되며, 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는 열충격 시험 등의 신뢰성 시험에서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무기 충전재 및 (D) 착색제를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및 (C)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보존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외관에 착색 얼룩이 없는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그리고 열충격 시험 등의 신뢰성 시험에서 우수한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과 그들의 프리폴리머를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페닐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메틸렌 결합을 가지는 노볼락형 에폭시가 내열성, 난연성, 흡수성의 점에서 뛰어나며, 그 중에서도 비페닐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흡습 땜납 내열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페닐 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란 반복 단위 중에 하나 이상의 비페닐 알킬렌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크실릴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 디메틸렌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페닐 디메틸렌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비페닐 디메틸렌형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61080165-PCT00001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비페닐 디메틸렌형 에폭시 수지의 평균 반복 단위 n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이 바람직하고, 특히 2~5가 바람직하다. 평균 반복 단위 n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비페닐 디메틸렌형 에폭시 수지는 결정화하기 쉬워져서 범용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비교적 저하하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평균 반복 단위 n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 불량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제1 수지 조성물 전체의 1~65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5~40 중량%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얻어지는 제품의 내습성이 저하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 5.0×102~2.0×104가 바람직하고, 특히 8.0×102~1.5×104가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프리프레그에 점착성(tackiness)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프리프레그 제작시 기재에 대한 함침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표준 물질:폴리스티렌 환산)로 측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 조성물은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층판을 얇게(두께 0.4㎜ 이하) 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판의 저열팽창화를 향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B) 경화제는 페놀 수지 등의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화합물, 혹은 이미다졸 등의 에폭시기끼리의 반응을 촉진하는 경화촉진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페놀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페놀 노볼락 수지, 크레졸 노볼락 수지, 비스페놀 A 노볼락 수지, 아릴 알킬렌형 노볼락 수지 등의 노볼락형 페놀 수지, 미변성 레졸 페놀 수지, 동유, 아마인유, 호두유 등으로 변성한 기름 변성 레졸 페놀 수지 등의 레졸형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과 그들의 프리폴리머를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아릴 알킬렌형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흡습 땜납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나프텐산아연, 나프텐산코발트, 옥틸산주석, 옥틸산코발트,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코발트(II),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코발트(III) 등의 유기 금속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의 3급 아민류,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에틸-4-에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벤질-2-페닐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2-페닐-4-메틸-5-히드록시이미다졸, 2-페닐-4,5-디히드록시이미다졸, 2,3-디히드로-1H-피롤로(1,2-a)벤즈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페놀, 비스페놀 A, 노닐페놀 등의 페놀 화합물, 아세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 등 또는 이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유도체도 포함하여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유도체도 포함하여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경화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금속염, 이미다졸류의 경화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 전체의 0.05~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페놀 화합물, 유기산 등의 경화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 전체의 3~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보다 적으면 수지의 경화 반응이 충분히 완결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보다 많으면 프리프레그를 성형하여 적층판을 제조할 때에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또 프리프레그의 보존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C) 무기 충전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탈크, 소성 탈크, 소성 클레이 미소성 클레이 마이카, 유리 등의 규산염, 산화티탄, 알루미나, 실리카, 용융 실리카 등의 산화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탄산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수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황산칼슘 등의 황산염 또는 아황산염, 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붕산알루미늄, 붕산칼슘, 붕산나트륨 등의 붕산염,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탄소 등의 질화물,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등의 티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C) 무기 충전재로서 이들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용융 실리카, 탈크, 소성 탈크, 알루미나가 바람직하고, 특히 용융 실리카가 저열팽창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형상은 파쇄상, 구상이 있지만 섬유기재에 대한 함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내리기 위해서는 구상 실리카를 사용하는 등 그 목적에 맞춘 사용 방법이 채용된다.
또 상기 (C) 무기 충전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균 입자 지름이 단분산인 무기 충전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평균 입자 지름이 다분산인 무기 충전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이 단분산 및/또는 다분산인 무기 충전재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상기 (C) 무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5~10㎛가 바람직하고, 특히 0.01~2㎛가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지름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바니시의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프리프레그 제작시의 작업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바니시 중에서 무기 충전제의 침강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 5.0㎛ 이하의 구상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평균 입자 지름 0.01~2㎛의 구상 용융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무기 충전재의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어 입도 분포계(HORIBA제, LA-5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C)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 전체의 20~80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30~75 중량%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특히 저열팽창성, 저흡수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D) 착색제는 유기안료, 유기염료 등의 수지 조성물을 착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기여하지 않는 것이다.
경화 작용을 가지는 착색제를 이용했을 경우 수지 조성물의 보존성이 저하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착색제가 경화 저해 요인이 되는 경우에는 프레프레그 제조시의 경화 반응을 저해하여 프리프레그 제작 후에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에 이용했을 경우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성 신뢰성이나 내땜납 내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착색제의 경화 촉진 작용, 혹은 경화 저해는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차가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크 온도의 차가 5℃보다 커지면 보존성이 저하하는 경우나 경화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경화 발열 피크 온도는 JIS K7121의 방법에 준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D) 착색제는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적어도 1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예로는 Kayaset Black A-N(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G(일본화약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D) 착색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 전체의 0.1~4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2 중량%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외관에 얼룩이 있고, 상기 중량부보다 많으면 경화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D) 착색제는 260℃에서의 승화 혹은 분해에 따른 중량 감소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층판의 중량 감소를 적게 할 수 있어 내땜납 내열성이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한, 260℃에서의 중량 감소는 TGA(열 중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시료를 10℃/분으로 온도를 상승시켰을 때의 260℃에서의 중량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이외에 열경화 성 수지(실질적으로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어 우레아(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트리아진환을 가지는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벤조옥사진환을 가지는 수지, 시아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과 그들의 프리폴리머를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시아네이트 수지(시아네이트 수지의 프리폴리머를 포함함)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리프레그의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리프레그의 전기 특성(저유전율, 저유전정접), 기계강도 등도 뛰어나다.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 시안 화합물과 페놀류를 반응시켜 필요에 따라서 가열 등의 방법으로 프리폴리머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 비스페놀 A형 시아네이트 수지, 비스페놀 E형 시아네이트 수지, 테트라메틸비스페놀 F형 시아네이트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시아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교 밀도 증가에 의한 내열성이 향상하고, 또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향상된다. 특히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는 경화 반응 후에 트리아진환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하여 벤젠환의 비율이 높고 탄화하기 쉽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프리프레그를 두께 0.5㎜ 이하로 했을 경우라도 프리프레그를 경화시켜 제작한 적층판은 뛰어난 강성을 갖는다. 특히 가열시에서의 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반도체 소자 실장시의 신뢰성도 특히 뛰어나다.
상기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어 식 (2)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1080165-PCT00002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의 평균 반복 단위 n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이 바람직하고, 특히 2~7이 바람직하다. 평균 반복 단위 n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는 내열성이 저하하여, 가열시에 저분자량 성분이 탈리, 휘발하는 경우가 있다. 또, 평균 반복 단위 n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프리프레그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 5.0×102~4.5×103이 바람직하고, 특히 6.0×102~3.0×103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프리프레그를 제작했을 경우에 점착성이 생겨 프리프레그끼리 접촉했을 때 서로 부착하거나 수지의 전사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반응이 지나치게 빨라져서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했을 경우에 성형 불량이 발생하여 절연층 사이의 박리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표준 물질:폴리스티렌 환산)로 측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과 그들의 프리폴리머를 병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수지 조성물 전체의 5~42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10~40 중량%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열팽창율이 높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내습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실란 커플링제, 양이온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및 실리콘 오일형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무기 충전재의 계면과의 습윤성을 높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C) 무기 충전재 100 중량부에 대해 0.05~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0.1~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무기 충전재를 충분히 피복할 수 없기 때문에 내열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반응에 영향을 주어 굽힘 강도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도체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페녹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도체 회로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밀착성이 뛰어나고 경화 반응 속도에 주는 영향이 적다고 하는 점에서 페녹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골격을 가지는 페녹시 수지, 노볼락 골격을 가지는 페녹시 수지, 나프탈렌 골격을 가지는 페녹시 수지, 비페닐 골격을 가지는 페녹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러한 골격을 복수 종류 가진 구조의 페녹시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발포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이온 포착제 등의 상기 성분 이외의 첨가물을 첨가해도 좋다.
다음에 프리프레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의해 유전 특성, 고온다습하에서의 기계적, 전기적 접속 신뢰성 등의 각종 특성이 뛰어난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프리프레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 직포, 유리 부직포 등의 유리 섬유기재, 폴리아미드 수지 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섬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섬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섬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섬유, 폴리이미드 수지 섬유, 불소 수지 섬유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합성 섬유기재, 크라프트지, 코튼 린터지, 린터와 크라프트 펄프의 혼초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종이 기재 등의 유기 섬유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리 섬유기재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리프레그의 강도, 흡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프리프레그의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리 섬유기재를 구성하는 유리는 예를 들어 E 유리, C 유리, A 유리, S 유리, D 유리, NE 유리, T 유리, H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E 유리, 또는 T 유리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유리 섬유기재된 고탄성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열팽창 계수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여, 기재를 수지 바니시에 침지하는 방법, 각종 코터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 스프레이에 의해 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를 수지 바니시에 침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섬유기재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함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기재를 수지 바니시에 침지하는 경우, 통상의 함침 도포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바니시에 이용되는 용매는 상기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성분에 대해서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빈용매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용매는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에틸렌글리콜, 셀로솔브계, 카비톨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바니시의 고형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50~80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60~78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지 바니시의 섬유기재에 대한 함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기재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소정 온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0~220℃ 등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프리프레그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적층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판은 상기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1매 혹은 복수매 적층하였으나, 상하 양면에 금속박을 겹치고 가열, 가압함으로써 적층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0~230℃가 바람직하고, 특히 150~210℃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압하는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MPa가 바람직하고, 특히 2~4MPa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유전특성, 고온다습화에서의 기계적, 전기적 접속 신뢰성이 뛰어난 적층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속박은 예를 들어 구리 및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계 합금, 은 및 은계 합금, 금 및 금계 합금, 아연 및 아연계 합금, 니켈 및 니켈계 합금, 주석 및 주석계 합금, 철 및 철계 합금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다층 프린트 배선판에 대해 설명한다.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적층판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양면에 구리박을 가지는 구리 부착 적층판을 이용하고, 드릴기로 소정의 곳을 구멍을 뚫고, 무전해 도금에 의해 내층 회로 기판의 양면의 도통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구리박을 에칭함으로써 내층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내층 회로 부분은 흑화 처리 등의 조화 처리한 것을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개구부는 도체 페이스트, 또는 수지 페이스트로 적절히 메울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 또는 필름부착 절연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내층 회로를 덮도록 적층하고, 절연층을 형성한다. 적층(라미네이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진공 프레스, 상압(常壓) 라미네이터 및 진공하에서 가열 가압하는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공하에서 가열 가압하는 라미네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 후 상기 절연층을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킨다. 경화시키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250℃의 범위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0℃~200℃에서 경화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절연층에 탄산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마련하고, 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 절연층 표면에 외층 회로 형성을 실시하여, 외층 회로와 내층 회로의 도통을 도모한다. 또한, 외층 회로는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접속용 전극부를 마련한다.
그 후 최외층에 솔더레지스트를 형성하고, 노광·현상에 의해 반도체 소자를 실장할 수 있도록 접속용 전극부를 노출시키고, 니켈금 도금 처리를 실시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수지 바니시의 조제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4.0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10.8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24.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4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2) 프리프레그의 제조
상술한 수지 바니시를 유리 직포(두께 94㎛, 닛토방적제, WEA-2116)에 함침하고, 150℃의 가열로에서 2분간 건조하여 프리프레그 중의 바니시 고형분이 약 50 중량%인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3) 적층판의 제조
상술한 프리프레그를 양면에 18㎛의 구리박을 겹치고, 압력 4MPa, 온도 200℃에서 2시간 가열가압 성형함으로써 두께 0.1㎜의 양면이 구리 부착된 적층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1.2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8.6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19.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59.7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3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4.0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10.8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24.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4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G)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4)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1.2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8.7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19.8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59.7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3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3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 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5)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1.0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8.4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19.4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59.7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3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1.2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6)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4.0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10.8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24.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소성 탈크(후지 탈크사제, ST-100) 4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7)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5.5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11.9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42.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2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8)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 3000) 10.7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7.8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5.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74.6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4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9)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27.9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21.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4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 (D) 착색제로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일본화약사제, Kayaset Black A-N)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1)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4.1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10.9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25.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49.8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2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2)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1.2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8.6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19.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59.7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3 중량부, 착색제(츄오합성화학사제, Sudan Black 141)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 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3)
수지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A)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일본화약사제, NC-3000) 11.2 중량부, (B) 경화제로서 비페닐디메틸렌형 페놀 수지(일본 화약 주식회사제, GPH-103) 8.6 중량부, 노볼락형 시아네이트 수지(론자 재팬 주식회사제, 프리마세트 PT-30) 19.6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C) 무기 충전재로서 구상 용융 실리카(아드마텍스사제·「SO-25R」, 평균 입경 0.5㎛) 59.7 중량부와 커플링제(일본 유니카사제, A187) 0.3 중량부, 착색제(츄오합성화학사제, Oil Black S)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고형분 50 중량%의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3은 바니시 조정시에 겔화가 일어나, 그 후 프리프레그를 제작할 수 없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내용을 항목과 함께 나타낸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9061080165-PCT00003
1. 수지 조성물의 DSC 발열 피크 온도차
수지 바니시를 조제 후 PET(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사제, SFB-38)상에 도공하고, 170℃에서 건조하여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수지 필름을 시차주사 열량계 DSC(세이코 인스트루먼트(주)제)를 이용하여, 질소 기류하에서 온도상승 속도 10℃/min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DSC 측정 데이터로부터 JIS K 7121의 방법에 준하여 경화 발열 피크 온도를 산출하였다.
표 1에는 비교예 1과 실시예1~9, 및 비교예 2와의 온도차를 절대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은 바니시 조정시에 겔화했기 때문에 측정하지 않았다.
2. 바니시 보존성
바니시 조제 후 25℃의 환경에서 방치하고, 1주간마다 적층판을 제작하고, 얻어진 적층판으로부터 50㎜ 정사각형으로 샘플을 잘라내어, 3/4 에칭하고, D-2/100 처리 후 260℃의 땜납 중에 30초 침지시켜 팽창 유뮤를 관찰하여, 팽창하지 않을 때까지의 기간을 수명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였다.
3. 적층판의 외관 관찰
얻어진 구리 부착 적층판을 에칭하고, 장소에 따른 색의 농담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의 농담이 보이지 않으면 ○, 농담이 보이지 않으면 ×로 하였다.
또, 에칭한 적층판을 색차계를 이용하여 L값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L값은 작을수록 착색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4. 착색제의 260℃에서의 중량 감소율
사용한 착색제를 TG/DTA를 이용하여, 10℃/분의 속도로 450℃까지 올리고, 100℃부터 260℃에서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5. 적층판의 300℃에서의 중량 감소율
얻어진 적층판의 구리박을 에칭하고, TG/DTA를 이용하여 10℃/분의 속도로 450℃까지 승온시켜, 100℃부터 300℃에서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6. 땜납 내열성
얻어진 적층판으로부터 50㎜ 정사각형으로 샘플을 잘라내어, 3/4 에칭하고, D-2/100 처리 후 260℃의 땜납 중에 30초 침지시켜 팽창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9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이며, 얼룩없이 착색된 것이었다. 또 실시예 1~9의 수지 조성물의 DSC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5℃ 이내이며, 보존성도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착색제를 이용하지 않은 예로, 외관이 착색되지 않으며, 비교예 2는 발열 피크 온도가 5℃ 이상이며, 보존성이 저하되었다. 또 260℃에서의 중량 감소율이 10%를 넘는 착색제를 이용한 예이지만 적층판에 있어서 300℃에서의 중량 감소가 0.30%가 되어, 실시예의 수준보다도 중량 감소가 커지는 결과가 되었다. 땜납 내열성에서 불량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착색제의 첨가량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불량의 발생이 염려된다. 비교예 3은 착색제의 촉매 활성이 강하고, 바니시 제작중에 겔화되어 버려 프리프레그, 적층판을 제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보존성이 뛰어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구성하는 내층 회로 기판 및 절연층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무기 충전재
    (D) 착색제
    를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 피크 온도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및 (C)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의 발열 피크 온도의 ±5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착색제는 그 성분에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적어도 1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인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 착색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의 0.1~4 중량%인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 착색제는 260℃에서의 승화 또는 분해에 의한 중량 감소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 무기 충전재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탈크, 소성 탈크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의 20~80 중량%인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시아네이트 또는/및 그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아네이트 수지는 수지 조성물 전체의 5~42 중량%인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시켜서 이루어 지는 프리프레그.
  10. 청구항 9에 기재된 프리프레그를 1매 이상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판.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프리프레그 및/또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적층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다층 프린트 배선판에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
KR1020097020849A 2007-04-10 2008-04-07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KR101173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3132 2007-04-10
JP2007103132 2007-04-10
PCT/JP2008/056878 WO2008126825A1 (ja) 2007-04-10 2008-04-07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810A true KR20090125810A (ko) 2009-12-07
KR101173729B1 KR101173729B1 (ko) 2012-08-13

Family

ID=3986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849A KR101173729B1 (ko) 2007-04-10 2008-04-07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94268B2 (ko)
JP (1) JP5293598B2 (ko)
KR (1) KR101173729B1 (ko)
CN (1) CN101652425B (ko)
MY (1) MY148660A (ko)
TW (1) TWI449744B (ko)
WO (1) WO2008126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7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ic 패키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5222B2 (ja) * 2008-12-25 2014-07-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樹脂シート、金属張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TWI424021B (zh) * 2009-06-30 2014-01-21 Elite Material Co Ltd 熱固性樹脂組成以及銅箔層合板
KR101708941B1 (ko) * 2009-10-14 2017-02-21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에폭시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 부착 적층판,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JP2010174242A (ja) * 2009-12-28 2010-08-12 Sumitomo Bakelite Co Ltd ビフェニルアラルキル型シアン酸エステル樹脂、並びにビフェニルアラルキル型シアン酸エステル樹脂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を用いてなるプリプレグ、積層板、樹脂シート、多層プリント配線板、並びに半導体装置
JP5493948B2 (ja) * 2010-02-08 2014-05-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樹脂シート、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半導体装置
KR101433556B1 (ko) * 2011-05-27 2014-08-22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WO2013025303A2 (en) * 2011-08-18 2013-02-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urable resin compositions
CN105778505B (zh) * 2014-12-25 2019-04-30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硅树脂组合物以及使用它的白色预浸料和白色层压板
CN105778506B (zh) * 2014-12-25 2019-04-30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硅树脂组合物及使用它的预浸料、层压板、覆铜板以及铝基板
CN107151308B (zh) * 2016-03-04 2019-06-14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卤热固性树脂组合物及使用它的预浸料、印制电路用层压板
WO2018212116A1 (ja) * 2017-05-15 2018-11-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リソグラフィー用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膜形成用組成物、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589172B1 (ja) * 2019-01-11 2019-10-16 吉川工業株式会社 積層鉄心
US20230212384A1 (en) * 2019-09-10 2023-07-06 Shenzhen Institutes Of Advanced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High-temperature-resistant insulating coating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019298A (zh) * 2019-12-27 2020-04-17 广东全宝科技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和高耐热金属基覆铜板
TWI823569B (zh) * 2022-09-16 2023-11-21 長春人造樹脂廠股份有限公司 樹脂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412A (ja) 1985-02-15 1986-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黒色顔料含有エポキシ樹脂
JP2598585B2 (ja) * 1991-07-12 1997-04-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半導体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5449427A (en) 1994-05-23 1995-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ing low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for high speed electronics
JPH1143547A (ja) * 1997-07-29 1999-02-16 Toray Ind Inc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H11172114A (ja) * 1997-12-08 1999-06-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遮断性に優れた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0072969A (ja) * 1998-08-28 2000-03-07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1036243A (ja) 1999-07-22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内層回路入り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32558B2 (ja) * 1999-09-17 2005-03-2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装置
JP2001123069A (ja) 1999-10-28 2001-05-08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1121534A (ja) * 1999-10-28 2001-05-08 Hitachi Chem Co Ltd 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2100843A (ja) 2000-09-26 2002-04-05 Victor Co Of Japan Ltd プリント配線板用絶縁材料、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6141B2 (ja) * 2000-12-27 2007-06-0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
JP4738622B2 (ja) * 2001-04-13 2011-08-0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耐熱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03238768A (ja) * 2002-02-20 2003-08-27 Toray Ind Inc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US20040170923A1 (en) * 2003-02-27 2004-09-02 3D Systems, Inc. Colored stereolithographic resins
JP2004269649A (ja) * 2003-03-07 2004-09-30 Kyocera Chemical Corp 封止用樹脂組成物及び樹脂封止型電子部品装置
WO2006090662A1 (ja) * 2005-02-25 2006-08-3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エポキシ樹脂、それを含有する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02604512A (zh) * 2005-03-15 2012-07-25 日本化药株式会社 环氧树脂、环氧树脂组合物、使用该环氧树脂的预浸渍体及叠层板
JP5114854B2 (ja) * 2005-04-05 2013-01-09 東レ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耐熱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4737749B2 (ja) 2005-08-09 2011-08-03 株式会社ダンレイ 湯水混合弁に水又は湯を供給する配管
US8198381B2 (en) * 2005-10-21 2012-06-1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henol aralkyl epoxy resin with secondary hydroxyl groups
JP5303826B2 (ja) * 2006-08-11 2013-10-0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2008133412A (ja) 2006-10-26 2008-06-12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張り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7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ic 패키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6825A1 (ja) 2008-10-23
MY148660A (en) 2013-05-15
CN101652425B (zh) 2012-08-29
KR101173729B1 (ko) 2012-08-13
JPWO2008126825A1 (ja) 2010-07-22
US8294268B2 (en) 2012-10-23
JP5293598B2 (ja) 2013-09-18
TW200914527A (en) 2009-04-01
TWI449744B (zh) 2014-08-21
US20100044090A1 (en) 2010-02-25
CN101652425A (zh)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729B1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KR101141902B1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반도체 장치, 절연 수지 시트,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US9206308B2 (e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prepreg, prepreg,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US8357859B2 (en) Insulating resin sheet laminate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insulating resin sheet laminate
JP520660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樹脂シート、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CN108485182B (zh) 一种高频树脂组合物及使用其制作的半固化片和层压板
KR20110091458A (ko) 프리프레그, 적층판, 프린트 배선판 및 반도체 장치
TWI433773B (zh) 積層板,電路板及半導體裝置
JP5428232B2 (ja) プリプレグ、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WO2006059363A1 (ja) プリプレグ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プリプレグ、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5157103B2 (ja) プリプレグ、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JP3821728B2 (ja) プリプレグ
JP2008244189A (ja) 回路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US6544652B2 (en) Cyanate ester-containing insulating composition, insulating film made therefrom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he film
JP5169155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428212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2009067852A (ja) ガラス繊維織布入り絶縁樹脂シート、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JP2009070891A (ja) 半導体装置
JP2013057065A (ja) プリプレグ、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CN114672165B (zh) 一种无卤阻燃型树脂组合物及其制成的预浸料和印制电路用层压板
JP5029291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JP2010080609A (ja) 半導体装置
JP2008166322A (ja) 絶縁樹脂組成物、基材付き絶縁樹脂シート、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JP2015120890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652174B1 (ko)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박 적층판 및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