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501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501A
KR20090125501A KR1020080051644A KR20080051644A KR20090125501A KR 20090125501 A KR20090125501 A KR 20090125501A KR 1020080051644 A KR1020080051644 A KR 1020080051644A KR 20080051644 A KR20080051644 A KR 20080051644A KR 20090125501 A KR20090125501 A KR 2009012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ignal
wiring
liquid crystal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901B1 (ko
Inventor
윤진모
공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01B1/ko
Priority to CN2008101851570A priority patent/CN101598875B/zh
Priority to US12/318,297 priority patent/US8023090B2/en
Publication of KR2009012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게이트 인 패널 타입(Gate In Panel Type)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며,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외부의 직류신호 및 교류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교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포함하는 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배선과 연결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직류신호 및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에 공급하는 회로블럭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하는 씰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게이트 인 패널 타입(Gate In Panel Type: GIP Type)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발전함에 따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 중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해상도, 컬러표시, 화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상기 두 전극이 서로 대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재배열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되고 광원으로 이용되는 백라이트, 그리고 액정패널 외곽에 위치하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구동회로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에 구현되며, 이러한 구동회로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배선과 연결되어 게이트신호 등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부와,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데이터신호 등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부는, 액정패널의 일측면 또는 2측면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tape carrier package : TCP)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하지만, 게이트 구동회로부 및 데이터 구동회로부 각각을 실장하면 액정표시장치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므로, 게이트 구동회로부의 일부 회로를 액정패널의 스위칭소자 제조 시 함께 형성하고, 게이트 구동회로부의 나머지 회로와 데이터 구동회로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액정패널의 일측면에만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10)는 하부의 제1기판(20)과, 상부의 제2기판(50)과, 상기 두 기판(20, 50)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1기판(20)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각종 회로 및 배선 등이 형성되어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기판(20)의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22) 및 데이터 배선(24)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고,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배선(22) 및 데이터 배선(24)과 연결되며, 화소 전극(45)은 박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다.
또한, 제1기판(2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패드(42), 데이터 패드(44), 게이트 회로블럭(30), 데이터링크배선(48), 게이트링크배선(46), 연결배선(32)이 형성된다. 데이터 패드(44)는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배선(24)의 연장부인 데이터링크배선(48)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게이트 패드(42)는 게이트링크배선(46)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링크배선(46)은 연결패턴(34)을 통하여 연결배선(32)과 연결된다. 연결배선(32)은 게이트 회로블럭(30)과 연결되며, 게이트 회로블럭(30)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배선(22)의 일끝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0)에서, 외부의 구동회로부는 게이트 패드(42) 및 데이트 패드(44)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데, 게이트 제어신호는 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 스타트신호(VST), 리셋신호(RESET)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회로블럭(30)은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하는데, 연결 배선(32)을 통하여 외부의 구동회로부로부터 공급받은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Tr)를 턴-온(turn-on)하는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22)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기판(20, 50)은 씰패턴(80)을 이용하여 합착되는데, 씰패턴(80)은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 쪽에 형성된다. 즉, 씰패턴(80)은 제2기판(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좌우로는 게이트링크배선(46)의 외곽부에 형성되고 상하로는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형성된다.
씰패턴(80)의 폭(W)은 약 1.2 mm이고 씰패턴(80)으로부터 게이트 회로블럭(30)까지의 거리는 약 2 mm인데, 씰패턴(80)이 형성되는 부분은 영상을 표시하거나 영상표시에 필요한 회로를 형성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액정표시장치 제조 후 프레임 등으로 가려지게 된다. 이러한 부분을 베젤(bezel)이라고 부르는데, 액정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씰패턴(80)을 게이트링크배선(46)과 연결배선(32)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할 경우 게이트링크배선(46) 및 연결배선(32) 각각이 씰패턴(80)을 유전체로 한 기생커패시터(parasitic capacitor)로 작용하여 게이트링크배선(46) 및 연결배선(32)을 통하여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에 지연(delay) 등의 불량을 발생시킨다.
도 2는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신호의 지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신호의 오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에서 씰패턴을 클럭신호가 전달되는 게이트링크배선(도 1의 46) 상부에 형성할 경우 기생용량에 의한 RC지연(resistance-capacitance delay)에 의하여 클럭신호가 왜곡되고, 게이트 회로블럭(도 1의 30)이 왜곡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정상적인 게이트 신호(G1)의 상승시간(rising time) 및 하강시간(falling time)이 각각 지연되어 왜곡된 게이트 신호(G2)가 게이트 배선으로 공급되어 화질을 악화시킨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회로블럭(도 1의 30)이 왜곡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정상적인 게이트 하이전압이 생성되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하기도 한다.
게이트링크배선(도 1의 46)에 의하여 전달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는 다수의 직류(DC)신호 및 다수의 교류(AC)신호를 포함하는데, 이 신호들은 전압값과 주기 등 형태면에서 서로 상이하다. 다양한 형태의 게이트 제어신호는 동일한 기생용량에 대해서 상이한 지연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게이트링크배선(46)의 위치별로 기생용량에 의한 신호왜곡의 편차를 유발하고, 그 결과 게이트 하이전압 생성에서 오동작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씰패턴을 게이트링크배선 외곽에 형성하게 되는데, 영상 표시에 필요하지 않은 씰패턴 형성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여야 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외관의 품위가 저하되고 액정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링크배선이 기생용량에 의한 신호왜곡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된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며,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외부의 직류신호 및 교류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교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포함하는 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배선과 연결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직류신호 및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에 공급하는 회로블럭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하는 씰패턴을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고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노출하거나,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을 노출하고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거나,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 및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은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신호는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의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신호는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의 스타트신호(VST),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한다.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 패드와 상기 데이터 배선을 연결하는 데이터 링크배선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기판의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둘레의 비표시 영역에, 외부의 직류신호 및 교류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교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포함하는 게이트링크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링크배선과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직류신호 및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에 공급하는 회로블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을 상기 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하는 씰패턴을 이용하여 제2기판과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 또는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을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씰패턴을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 및/또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씰패턴을 위한 별도의 형성 영역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생용량의 신호 왜곡 및 신호 왜곡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정상적인 게이트 신호를 생성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키고 베젤(bezel)의 폭을 감소시키며, 액정표시장치의 외관 품위를 개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제어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110)는 하부의 제1기판(120)과, 상부의 제2기판(150)과, 상기 두 기판(120, 150)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1기판(120)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각종 회로 및 배선 등이 형성되어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기판(120)의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배선(122), 데이터 배선(124), 박막트랜지스터(Tr) 및 화소전극(145)이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122) 및 데이터 배선(124)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고,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배선(122) 및 데이터 배선(124)과 연결되며, 화소 전극(145)은 박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다.
또한, 제1기판(12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패드(142), 데이터 패드(144), 게이트 회로블럭(130), 데이터링크배선(148), 게이트링크배선(146), 연결배선(132)이 형성된다. 데이터 패드(144)는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배선(124)의 연장부인 데이터링크배선(148)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게이트 패드(142)는 게이트링크배선(146)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링크배선(146)은 연결패턴(134)을 통하여 연결배선(132)과 연결된다. 연결배선(132)은 게이트 회로블럭(130)과 연결되며, 게이트 회로블럭(130)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배선(122)의 일끝단과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Tr)는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도전성물질의 게이트전극, 절연성물질의 게이트절연막, 반도체물질의 활성층, 도전성물질의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고, 박막트랜지스터(Tr) 상부에는 유기 또는 무기절연물질의 보호층이 형성된다. 보호층에는 드레인전극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이 형성되며, 투명도전성물질의 화소전극(145)은 드레인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에 연결된다.
게이트링크배선(146)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배선(132)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패턴(134)은 화소전극(145)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기판(150) 하부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 하부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판(120, 15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145)과 공통전극이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10)에서, 외부의 구동회로부는 게이트 패드(142) 및 데이트 패드(144)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데, 게이트 제어신호는 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 스타트신호(VST), 리셋신호(RESET)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회로블럭(130)은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단(shift register stage)로 구성되는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하는데, 연결배선(132)을 통하여 외부의 구동회로부로부터 공급받은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Tr)를 턴-온(turn-on)하는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122)에 공급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 제어신호는,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를 포함하는 다수의 직류(DC)신호와, 스타트신호(VST),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하는 다수의 교류(AC)신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링크배선(146)은 다수의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과 다수의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제2게이트링크배선(146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은 각각 직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게이트링크배선(146b)은 각각 교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기저전압신호(VSS)는 게이트 회로블 럭(130)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압이며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게이트 회로블럭의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교번 사용되는 직류전압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하이레벨 전압이고 기저전압신호(VSS)와 제1전원전압신호(VDD1)는 로우레벨 전압이다. 한편, 스타트신호(VST)는 각 프레임의 시작에 동기(synchronization)하여 게이트 회로블럭(130)의 구동을 시작하게 하는 교류전압이며,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는 게이트 회로블럭(130)의 게이트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며, 리셋신호(RESET)는 게이트 회로블럭(130)의 리셋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10)의 제1기판(120)에는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group)을 이루고,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146b)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을 이룬다.
제1 및 제2기판(120, 150)은 씰패턴(180)을 이용하여 합착되는데, 이 때 씰패턴(180)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씰패턴(180)은 제2기판(1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형성되는데,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액정표시장치(110)의 좌측부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씰패턴(18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을 덮으면서 형성된다.
씰패턴(180)을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과 중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씰패턴(180)을 위한 별도의 형성영역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110)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액정표시장치(110)의 표시 영역(DA)의 비율을 확대할 수 있다.
씰패턴(180)이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 상부에 형성되어 기생용량이 생성된다. 그러나 기생용량에 의한 상승시간 지연 및 하강시간 지연 등으로 직류신호가 왜곡되는 정도는 미미하므로, 기생용량에 의한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으로 전달되는 직류신호의 왜곡은 최소화되고, 그 결과 게이트 회로블럭(130)이 생성하는 게이트 신호에서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회로블럭이 생성한 게이트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도 4의 110)에서는,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도 4의 146a)이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씰패턴(180)이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146a) 상부에 형성되므로, 직류신호의 왜곡은 최소화되고, 게이트 회로블럭(도 4의 130)은 오동작이 없는 정상적인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도 4의 122)에 공급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키고 베젤(bezel)을 감소시킴으로써 외관의 품위를 개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210)는 하부의 제1기판(220)과, 상부의 제2기판(250)과, 상기 두 기판(220, 250)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1기판(220)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각종 회로 및 배선 등이 형성되어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기판(220)의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배선(222), 데이터 배선(224), 박막트랜지스터(Tr) 및 화소전극(245)이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222) 및 데이터 배선(224)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고,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배선(222) 및 데이터 배선(224)과 연결되며, 화소 전극(245)은 박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다.
또한, 제1기판(22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패드(242), 데이터 패드(244), 게이트 회로블럭(230), 데이터링크배선(248), 게이트링크배선(246), 연결배선(232)이 형성된다. 데이터 패드(244)는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배선(224)의 연장부인 데이터링크배선(248)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게이트 패드(242)는 게이트링크배선(246)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링크배선(246)은 연결패턴(234)을 통하여 연결배선(232)과 연결된다. 연결배선(232)은 게이트 회로블럭(230)과 연결되며, 게이트 회로블럭(230)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배선(222)의 일끝단과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Tr)는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도전성물질의 게이트전극, 절연성물질의 게이트절연막, 반도체물질의 활성층, 도전성물질의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고, 박막트랜지스터(Tr) 상부에는 유기 또는 무기절연물질의 보호층이 형성된다. 보호층에는 드레인전극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이 형성되며, 투명도전성물질의 화소전극(245)은 드레인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에 연결된다.
게이트링크배선(246)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배선(232)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패턴(234)은 화소전극(245)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기판(250) 하부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 하부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판(220, 25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245)과 공통전극이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210)에서, 외부의 구동회로부는 게이트 패드(242) 및 데이트 패드(244)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데, 게이트 제어신호는 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 스타트신호(VST), 리셋신호(RESET)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회로블럭(230)은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단(shift register stage)로 구성되는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하는데, 연결배선(232)을 통하여 외부의 구동회로부로부터 공급받은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Tr)를 턴-온(turn-on)하는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222)에 공급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는,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를 포함하는 다수의 직류(DC)신호와, 스타트신호(VST),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하는 다수의 교류(AC)신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링크배선(246)은 다수의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제1게이트링크배선(246a)과 다수의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게이트링크배선(246a)은 각각 직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은 각각 교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기저전압신호(VSS)는 게이트 회로블럭(330)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압이며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게이트 회로블럭의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교번 사용되는 직류전압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하이레벨 전압이고 기저전압신호(VSS)와 제1전원전압신호(VDD1)는 로우레벨 전압이다. 한편, 스타트신호(VST)는 각 프레임의 시작에 동기(synchronization)하여 게이트 회로블럭(230)의 구동을 시작하게 하는 교류전압이며,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는 게이트 회로블럭(230)의 게이트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며, 리셋신호(RESET)는 게이트 회로블럭(230)의 리셋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210)의 제1기판(220)에는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246a)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group)을 이루고,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을 이룬다.
제1 및 제2기판(220, 250)은 씰패턴(280)을 이용하여 합착되는데, 이 때 씰패턴(280)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씰패턴(280)은 제2기판(2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형성되는데,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액정표시장치(210)의 좌측부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씰패턴(28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을 덮으면서 형성된다.
씰패턴(280)을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과 중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씰패턴(280)을 위한 별도의 형성영역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210)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액정표시장치(210)의 표시 영역(DA)의 비율을 확대할 수 있다.
씰패턴(280)이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 상부에 형성되어 기생용량이 생성된다. 그러나 씰패턴(280)이 중첩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으로는 모두 교류신호가 전달되므로 기생용량에 의한 상승시간 지연 및 하강시간 지연 등의 정도가 각 배선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기생용량에 의한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246b)으로 전달되는 교류신호의 왜곡의 편차는 최소화되고, 그 결과 게이트 회로블럭(230)은 오동작이 없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222)에 공급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키고 베젤(bezel)을 감소시킴으로써 외관의 품위를 개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310)는 하부의 제1기판(320)과, 상부의 제2기판(350)과, 상기 두 기판(320, 350)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1기판(320)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각종 회로 및 배선 등이 형성되어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기판(320)의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배선(322), 데이터 배선(324), 박막트랜지스터(Tr) 및 화소전극(345)이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322) 및 데이터 배선(324)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고,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배선(322) 및 데이터 배선(324)과 연결되며, 화소 전극(345)은 박 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다.
또한, 제1기판(32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패드(342), 데이터 패드(344), 게이트 회로블럭(330), 데이터링크배선(348), 게이트링크배선(346), 연결배선(332)이 형성된다. 데이터 패드(344)는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배선(324)의 연장부인 데이터링크배선(348)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게이트 패드(342)는 게이트링크배선(346)의 일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링크배선(346)은 연결패턴(334)을 통하여 연결배선(332)과 연결된다. 연결배선(332)은 게이트 회로블럭(330)과 연결되며, 게이트 회로블럭(330)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배선(322)의 일끝단과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Tr)는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도전성물질의 게이트전극, 절연성물질의 게이트절연막, 반도체물질의 활성층, 도전성물질의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고, 박막트랜지스터(Tr) 상부에는 유기 또는 무기절연물질의 보호층이 형성된다. 보호층에는 드레인전극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이 형성되며, 투명도전성물질의 화소전극(345)은 드레인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에 연결된다.
게이트링크배선(346)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배선(332)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패턴(334)은 화소전극(345)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기판(350) 하부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적 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 하부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판(320, 35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345)과 공통전극이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310)에서, 외부의 구동회로부는 게이트 패드(342) 및 데이트 패드(344)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데, 게이트 제어신호는 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 스타트신호(VST), 리셋신호(RESET)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회로블럭(330)은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단(shift register stage)로 구성되는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하는데, 연결배선(332)을 통하여 외부의 구동회로부로부터 공급받은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Tr)를 턴-온(turn-on)하는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322)에 공급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는,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를 포함하는 다수의 직류(DC)신호와, 스타트신호(VST),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하는 다수의 교류(AC)신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링크배선(346)은 다수의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과 다수의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은 각각 직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은 각각 교류신호를 전달하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기저전압신호(VSS)는 게이트 회로블럭(330)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압이며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게이트 회로블럭의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교번 사용되는 직류전압으로, 전원전압신호(VDD)와 제2전원전압신호(VDD2)는 하이레벨 전압이고 기저전압신호(VSS)와 제1전원전압신호(VDD1)는 로우레벨 전압이다. 한편, 스타트신호(VST)는 각 프레임의 시작에 동기(synchronization)하여 게이트 회로블럭(330)의 구동을 시작하게 하는 교류전압이며,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는 게이트 회로블럭(330)의 게이트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며, 리셋신호(RESET)는 게이트 회로블럭(330)의 리셋에 사용되는 교류전압이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10)의 제1기판(320)에는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group)을 이루고,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하나의 군을 이룬다.
제1 및 제2기판(320, 350)은 씰패턴(380)을 이용하여 합착되는데, 이 때 씰패턴(380)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씰패턴(380)은 제2기판(3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형성되는데, 직류신호를 전달하는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및 교류신호를 전달하는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액정표시장치(310)의 좌측부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씰패턴(38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및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을 덮으면서 형성된다.
씰패턴(380)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및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과 중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씰패턴(380)을 위한 별도의 형성영역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310)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액정표시장치(310)의 표시 영역(DA)의 비율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및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을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씰패턴(380)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및 제2기판(320, 350)의 합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씰패턴(380)이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 및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 상부에 형성되어 기생용량이 생성된다. 그러나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346a)으로는 전달되는 직류신호는 기생용량에 의하여 왜곡되는 정도가 미미하고,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346b)으로 전달되는 교류신호는 이웃하여 형성되므로 기생용량에 의한 왜곡의 편차가 최소화된다. 그 결과 게이트 회로블럭(330)은 오동작이 없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배선(322)에 공급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키고 베젤(bezel) 을 감소시킴으로써 외관의 품위를 개선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클럭신호의 지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신호의 오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제어신호의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회로블럭이 생성한 게이트 신호의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액정표시장치 120: 제1기판
150: 제2기판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130: 게이트 회로블럭
132: 연결배선 146: 게이트링크배선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며,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외부의 직류신호 및 교류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교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포함하는 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배선과 연결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직류신호 및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에 공급하는 회로블럭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하는 씰패턴
    을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고,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노출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을 노출하고,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 및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은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쉬프트레지스터인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신호는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의 전원전압신호(VDD), 기저전압신호(VSS), 제1전원전압신호(VDD1), 제2전원전압신호(VDD2)를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신호는 상기 게이트 회로블럭의 스타트신호(VST), 제1 내지 제4클럭신호(CLK1, CLK2, CLK3, CLK4),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드와 상기 데이터 배선을 연결하는 데이터 링크배선을 더욱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9. 제1기판의 표시 영역에,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 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둘레의 비표시 영역에, 외부의 직류신호 및 교류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과, 상기 교류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을 포함하는 게이트링크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링크배선과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직류신호 및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에 공급하는 회로블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을 상기 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하는 씰패턴을 이용하여 제2기판과 합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씰패턴은, 상기 다수의 제1게이트링크배선 또는 상기 다수의 제2게이트링크배선과 중첩되는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80051644A 2008-06-02 2008-06-02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4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44A KR101248901B1 (ko) 2008-06-02 2008-06-02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08101851570A CN101598875B (zh) 2008-06-02 2008-12-11 液晶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12/318,297 US8023090B2 (en) 2008-06-02 2008-12-2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44A KR101248901B1 (ko) 2008-06-02 2008-06-02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01A true KR20090125501A (ko) 2009-12-07
KR101248901B1 KR101248901B1 (ko) 2013-04-01

Family

ID=4137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644A KR101248901B1 (ko) 2008-06-02 2008-06-02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23090B2 (ko)
KR (1) KR101248901B1 (ko)
CN (1) CN10159887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154A (ko) * 2013-11-07 2015-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1368A (ko) * 2015-05-31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5779A (ko) * 2018-05-14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10079069B2 (en) 2015-04-01 2018-09-18 Shanghai Avic Opto Electronics Co., Ltd.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81B1 (ko) * 2010-07-01 2014-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M404379U (en) * 2010-10-19 2011-05-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Test structure for GIP panel
KR101859711B1 (ko) 2011-09-22 2018-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932993B1 (ko) * 2012-04-16 2018-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96377B1 (ko) * 2012-10-12 2018-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베젤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소자
KR102046444B1 (ko) 2013-07-01 2019-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4698711B (zh) * 2015-04-01 2018-06-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102275190B1 (ko) * 2015-04-20 2021-07-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14258B2 (en) * 2015-05-31 2018-10-30 Lg Display Co., Ltd. Narrow bezel display device
CN104977740A (zh) * 2015-07-29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652538A (zh) * 2016-03-15 2016-06-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工艺
CN107728393B (zh) * 2017-11-07 2023-08-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Hva焊垫共用结构
US10330996B2 (en) 2017-11-07 2019-06-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Common structure of high vertical alignment pads
KR20200052486A (ko) *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232755B2 (en) 2019-10-23 2022-01-25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49B1 (ko) * 2002-04-29 200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JP4178090B2 (ja) * 2003-09-19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極配線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20060001702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부식방지를 위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6527B1 (ko) * 2005-11-30 2012-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인 패널 구조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101161B2 (ja) 2006-06-21 2012-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326246B1 (ko) * 2006-12-12 2013-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325311B2 (en) * 2008-07-07 2012-12-04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154A (ko) * 2013-11-07 2015-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0079069B2 (en) 2015-04-01 2018-09-18 Shanghai Avic Opto Electronics Co., Ltd.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160141368A (ko) * 2015-05-31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5779A (ko) * 2018-05-14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8875A (zh) 2009-12-09
US8023090B2 (en) 2011-09-20
KR101248901B1 (ko) 2013-04-01
US20090296038A1 (en) 2009-12-03
CN101598875B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90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422869B2 (ja) アレイ基板、表示パネル、スプライシング表示パネル、及び表示駆動方法
EP3477626B1 (en) Oled display panel and oled display device
US9753346B2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327660B (en) Display device
KR10200938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4365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91900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190233A1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35044B1 (ko) 표시 장치
KR20140147932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201101341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gate-in-panel structure
JP2003172944A (ja) 表示装置
CN109387986B (zh) 显示装置
KR10193124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8290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line on glass typ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2460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200B1 (ko) 표시장치
JP2005301308A (ja)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604492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510610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038318A (ko) 어레이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02336A (ko) 액정표시장치
JP200403795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202207875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