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906A -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906A
KR20090121906A KR1020080048059A KR20080048059A KR20090121906A KR 20090121906 A KR20090121906 A KR 20090121906A KR 1020080048059 A KR1020080048059 A KR 1020080048059A KR 20080048059 A KR20080048059 A KR 20080048059A KR 20090121906 A KR20090121906 A KR 2009012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eiling
elastic bar
shaped elastic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198B1 (ko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8004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19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separate reta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7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liding or pivoting locking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수직 관통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과, 횡 방향 양측에 안착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절곡면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를 구비한 천장패널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와; 판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나사의 하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에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하여 삽·탈 되는 날개부를 구비한 T형 탄성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에 의하면, 천장패널 사이의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천장패널을 교체시공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갖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프레임, 천장패널, 고정나사, 탄성바

Description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bar}
본 발명은 천장패널 사이의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로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천장패널들은, 지하철 역사나 일반 건물의 로비 등에 설치하여 그 상층의 구조물, 배관, 배선 등을 은폐하거나, 천장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천장패널들을 사용하여 천장의 마감하는 시공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장패널들의 조립구조는, 천장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된 공지의 행거수단 및 고정수단 등으로 천장과 소정 거리를 갖도록 고정된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틀을 만든다.
이후, 상기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틀 내부에 소정 판 형상의 천장패널을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천장의 마감시공을 하고 있다.
상기 천장 프레임 공법은, 지하철 역사의 천장과 같이 외풍이 많이 발생 되 는 곳이나 진동, 충격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할 경우, 천장패널이 위치가 변경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일일이 천장패널을 다시 교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천장패널이 풍압 등에 이탈될 경우 낙하에 의한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장패널의 상층 구조물에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천장패널을 탄력 지지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천장패널의 하부를 통해 나사, 볼트 등을 체결하여 상층 지지구조물에 천장패널을 고정하는 방법들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장패널의 상층 지지구조물을 통해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방법은, 천장패널의 상층 지지구조물에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체결 및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특히, 석고와 같이 강도가 약한 천장패널을 분리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상기와 같은 천장패널 고정 방법은, 천장의 누수 보수와 덕트, 통신선로, 전기선로 등과 같은 배관 및 배선의 유지관리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장소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천장패널의 하부를 통해 나사, 볼트 등을 체결하는 방법은, 천장패널 의 외부로 나사, 볼트 등이 노출될 뿐 아니라 천장패널을 분리한 후 다시 체결할 때 체결 부위에 자국이 남게 되어 천장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천장패널의 체결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쉽게 천청용 패널의 체결 및 분리를 이룰 수 있는 기술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천장패널 사이의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천장패널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수직 관통된 하나 이상의 고정나 사체결공과, 횡 방향 양측에 안착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절곡면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를 구비한 천장패널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와; 판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나사의 하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에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하여 삽·탈 되는 날개부를 구비한 T형 탄성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천장패널 사이의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로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발명으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빠르게 천장패널을 교체시공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함은 물론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가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T형 탄성바가 길이를 갖는 일자 형태를 갖기 때문에 하부에서 바라볼 때 잠금 및 풀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나사와 T형 탄성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준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는,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수직 관통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120)과, 횡 방향 양측에 안착부(110)가 구비된 프레임(100)과;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220)과, 상기 절곡면(220)에 형성된 걸림공(220a)과, 상기 절곡면(22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230)를 구비한 천장패널(200)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20)을 통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300)와; 판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부(410)와,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220a)에 손잡이부(410)의 회동에 의하여 삽·탈 되는 날개부(430)를 구비한 T형 탄성바(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호 연결에 의해 틀을 이루며, 천장에 고정된 공지의 행거수단(미도시) 및 고정수단(미도시) 등에 의해 천장과 거리를 갖는 상태로 설치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암·수 대응 연결 방법뿐 아니라 공지의 나사 및 볼트 등 다양한 체결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길이를 갖는 빔 형상을 갖는 것으로, 횡 방향 양측에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프레임(100)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12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C형상의 프레임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횡 방향 양측에 천장패널(200)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 부위가 있어야 한다.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20)은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후술 될 고정나사(300)가 나사 체결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나사체결공(120)의 내부 면에 나사를 형성시켜 고정나사(300)가 대응되게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천장패널(200)은 석고,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소정 넓이와 형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200)은 프레임(100)의 안착부(110)에 안착 되는 안착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10)의 끝단에서 수직 절곡된 절곡면(220)이 형 성되는데, 상기 절곡면(220) 종 방향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공(2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천장패널(200)에는 상기 절곡면(22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패널부(230)는 절곡면(2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나사(300)는 상부에는 상부나사부(310)가 형성되고, 고정나사(300)의 하부에는 하부나사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나사부(310)와, 상기 하부나사부(320) 사이에는 회전축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나사부(310)는 프레임(100)의 고정나사체결공(120)과 나사체결되어 고정나사(300)가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나사부(320)는 프레임(100)의 고정나사체결공(120)에 체결될 때와 후술 될 탄성바(400)의 회전축삽입공(420) 내부로 진입할 때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축부(330)는 후술 될 T형 탄성바(400)의 회전축삽입공(420)에 대응 체결되는 것으로, 회전축삽입공(420)과 동일한 직경 또는 더 작은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부나사부(320)의 상단이 후술 될 손잡이(410)의 확장부(410b)를 통과할 때 탄성 수축되는 회전축삽입공(420)에 상기 회전축부(330)가 결합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나사(300)는 프레임(100)의 고정나사체결공(120)을 통해 나사 체결되며,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부나사부(420)와 회전축부(430)가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회전축부(330)에 T형 탄성바(400)가 축 체결되어 수평 회동 될 수 있도록 한다.
T형 탄성바(400)는 판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나사(300)의 회전축부(430) 및 하부나사부(420)에 축 체결되는 손잡이부(410)가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220a)에 수평 회동에 의하여 삽·탈 되는 날개부(430)가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10)는 상부 중앙에 상기 고정나사(3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부나사부(420)가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회전축삽입공(4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측 부위는 회전축삽입공(420)을 중심으로 양측이 용접된 용접부(500)를 형성시켜 상기 고정나사(300)가 상기 회전축삽입공(420)에 체결될 때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측 부위가 양측으로 과도하게 벌어지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삽입공(420)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확장부(410b)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410b)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삽입공(420)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공간부(410a)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410)는 회전축삽입공(420)이 형성된 상부보다 날개부(430) 양측으로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공간부(410a)와 회전축삽입공(420)의 넓이 차이로 인해 단턱 형상의 확장부(410b)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부(410b)는 고정나사(300)의 하부나사부(420)의 상부가 걸려 고정나사(300)가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T형 탄성바(400)의 회전축삽입공(420)에 고정나사(300)의 회전축부(330)가 삽입된 상태에서 T형 탄성바(400)가 회전축부(330)를 중심으로 수평 회동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나사부(320)의 상단이 상기 공간부(410a)의 확장부(410b)를 통과할 때 탄성 수축되는 회전축삽입공(420)에 고정나사(300)의 회전축부(330)가 결합 된다.
한편, 회전축삽입공(420)이 형성되는 손잡이부(410)의 외부로는 회전축삽입공(420)의 직경에 대응하여 손잡이(41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410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410c)를 형성시킴으로써 얇은 손잡이부(410)의 상부 밀착 면 사이에 고정나사(300)를 체결하기 위한 회전축삽입공(420)이 형성될 수 있는 직경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먼저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이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1절곡부(430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430a)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2절곡부(430b)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제2절곡부(430b)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3절곡부(430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부(430c)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4절곡부(430d)가 형성된다.
또다시, 상기 제4절곡부(430d)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5절곡부(430e)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날개부(430)는 상기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이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하향 절곡되고, 이 절곡된 양측 단부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향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양측이 타원형으로 하향 되되, 양측 단부에서 경사지게 상향 절곡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430)의 종 방향 양측을 하향 되게 절곡 또는 타원형으 로 형성시킨 이유는, 양측 단부가 천장패널(200)의 상부를 하부로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날개부(430)는 양측 종 방향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431)가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431)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 전·후 방향 중 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 테이퍼부(431)는 양측이 각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부(431)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T형 탄성바(400)를 역으로 수평 회동시켜 천장패널(200)의 걸림공(220a)에서 분리시킬 때 T형 탄성바(400)의 테이퍼부(431)가 걸림공(220a)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T형 탄성바(400)를 수평으로 회동시킬 때 천장패널(200)의 절곡면(220)에 T형 탄성바(400)의 양측 단부가 탄성적으로 휘면서 밀착되고, 양측 단부가 걸림공(220a)을 만나 삽입되면 T형 탄성바(400)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설치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고정나사체결공(120)을 통해 고정나사(300)를 수직으로 관통 체결하고, 프레임(100)의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하부나 사부(320)를 T형 탄성바(400)의 회전축삽입공(420)을 통해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T형 탄성바(400)의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하부나사부(320)가 회전축삽입공(420)을 통해 손잡이부(410)의 공간부(410a)에 위치하게 되는데, 고정나사(300)의 회전축부(330)가 손잡이부(410)의 회전축삽입공(42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나사부(320)의 상부가 공간부(410a)의 확장부(410b)에 걸려 상부로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T형 탄성바(400)의 회전축삽입공(420) 내에 회전축부(330)가 결합 된 상태가 됨으로써, T형 탄성바(400)가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T형 탄성바(400)의 종 방향을 프레임(100)의 종 방향으로 회동시켜 놓은 후, 프레임(100)의 안착부(110)에 천장패널(200)의 안착면(210)을 안착시킨다.
이후, T형 탄성바(400)를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회동시켜 T형 탄성바(400)의 양측에 있는 날개부(430)의 단부를 양측의 절곡부(220)에 형성된 걸림공(220a)에 삽입시킨다. 이때, T형 탄성바(400)의 제2절곡부(430b)의 하부가 상기 걸림공(220a)에 걸려 천장패널(200)을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T형 탄성바(400)가 회동 될 때 양측에 있는 날개부(430)의 단부가 절곡면(220)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어 걸림공(220a)에 체결되는 것으로, 제1절곡부(430a) 내지 제5절곡부(430e)가 형성된 날개부(430)가 T형 탄성바(40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 되면서 상기 제2절곡부(430b)의 하향 된 하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가 고정나사(300)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 되어 상기 천장패널(200)의 걸림공(220a)에 직각 또는 거의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걸리게 된다.
이때, T형 탄성바(400)가 천장패널(200)을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 천장패널(200)의 안착면(210)이 프레임(100)의 횡 방향 상부 양측의 안착부(110)와 밀착된 상태로 천장패널(200)이 유동 없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천장패널(200) 사이의 프레임(100)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T형 탄성바(400)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200)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천장패널(200)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200)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나사와 T형 탄성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준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안착부
120… 고정나사체결공 200… 천장패널
210… 안착면 220... 절곡면
220a… 걸림공 230... 수평패널부
300… 고정나사 310... 상부나사부
320... 하부나사부 330... 회전축부
400… T형 탄성바 410... 손잡이부
410a... 공간부 410b... 확장부
410c... 돌출부 420… 회전축삽입공
430... 날개부 430a… 제1절곡부
430b… 제2절곡부 430c… 제3절곡부
430d… 제4절곡부 430e… 제5절곡부
431... 테이퍼부 500... 용접부

Claims (9)

  1.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수직 관통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120)과, 횡 방향 양측에 안착부(110)가 구비된 프레임(100)과;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220)과, 상기 절곡면(220)에 형성된 걸림공(220a)과, 상기 절곡면(22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230)를 구비한 천장패널(200)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20)을 통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300)와;
    판재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부(410)와,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220a)에 손잡이부(410)의 회동에 의하여 삽·탈 되는 날개부(430)를 구비한 T형 탄성바(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는,
    상기 손잡이부(410)의 상부 중앙에 상기 고정나사(300)보다 작은 직경을 가 지고 상기 고정나사(300)가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회전축삽입공(420)과, 상기 회전축삽입공(420)의 하부에 형성된 확장부(410b)와, 상기 확장부(410b)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삽입공(420)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공간부(410a)를 가지고,
    상기 고정나사(300)는,
    상부나사부(310), 하부나사부(320) 및 상기 상부나사부(310)와 상기 하부나사부(320) 사이에 상기 회전축삽입공(42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회전축부(3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나사부(320)의 상단이 상기 공간부(410a)의 확장부(410b)를 통과할 때 탄성 수축되는 회전축삽입공(420)에 상기 회전축부(3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하향 절곡되고, 양측 단부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양측 단부 종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4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양측 종 방향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4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1절곡부(430a)와, 상기 제1절곡부(430a)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2절곡부(430b)와, 상기 제2절곡부(430b)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3절곡부(430c)와, 상기 제3절곡부(430c)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4절곡부(430d)와, 상기 제4절곡부(430d)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5절곡부(430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이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1절곡부(430a)와, 상기 제1절곡부(430a)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2절곡부(430b)와, 상기 제2절곡부(430b)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3절곡부(430c)와, 상기 제3절곡 부(430c)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4절곡부(430d)와, 상기 제4절곡부(430d)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5절곡부(430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을 따라 타원형으로 하향 되되, 양측 단부에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형 탄성바(400)의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종 방향 양측을 따라 타원형으로 하향 되되, 양측 단부에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20080048059A 2008-05-23 2008-05-23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096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59A KR100964198B1 (ko) 2008-05-23 2008-05-23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59A KR100964198B1 (ko) 2008-05-23 2008-05-23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06A true KR20090121906A (ko) 2009-11-26
KR100964198B1 KR100964198B1 (ko) 2010-06-17

Family

ID=4160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59A KR100964198B1 (ko) 2008-05-23 2008-05-23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20B1 (ko) * 2008-05-06 2010-10-13 서울메트로 천장 씨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CN109256738A (zh) * 2018-11-27 2019-01-22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在天棚玻璃幕墙上固定设置机电线管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9115U (ko) * 1989-01-26 1990-08-07
JPH0375211U (ko) * 1989-11-24 1991-07-2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20B1 (ko) * 2008-05-06 2010-10-13 서울메트로 천장 씨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CN109256738A (zh) * 2018-11-27 2019-01-22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在天棚玻璃幕墙上固定设置机电线管的装置及方法
CN109256738B (zh) * 2018-11-27 2024-04-26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在天棚玻璃幕墙上固定设置机电线管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198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205B1 (ko)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케이블 설치기구
JP5757744B2 (ja) 前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100987820B1 (ko) 천장 씨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2006028863A (ja) 仮設建築物用シートの取付装置
JP5455699B2 (ja) 吊り金具取付用補助具
KR100964199B1 (ko) 천장 티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0802330B1 (ko) 건축물의 천정 부속용 행거
JP3127864U (ja) 柱鉄筋への親綱取付用具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3971420B2 (ja) ベランダ手摺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JPH10292621A (ja) 足場つなぎ構造
JP3966706B2 (ja) 排水桝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JP2002054227A (ja) 下面被覆板の取付構造
JP3198433U (ja) 配管支持金具
JP7422002B2 (ja) 浴室天井固定構造
JP2018139984A (ja) 親綱支柱用治具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KR20110045730A (ko) 배관 고정장치
JP5185163B2 (ja) トンネル用内装パネルおよびトンネル覆工内面への内装パネル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