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650A - 하부 스트럿 바 - Google Patents

하부 스트럿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650A
KR20090120650A KR1020080046563A KR20080046563A KR20090120650A KR 20090120650 A KR20090120650 A KR 20090120650A KR 1020080046563 A KR1020080046563 A KR 1020080046563A KR 20080046563 A KR20080046563 A KR 20080046563A KR 20090120650 A KR20090120650 A KR 2009012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trut
strut bar
vehicle
bar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규
Original Assignee
임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규 filed Critical 임봉규
Priority to KR102008004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650A/ko
Publication of KR2009012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스트럿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바닥면에 차폭을 이루는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스트럿 바로서, 배기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바닥면에 파손되지 않으면서 자동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럿 바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흔들림, 마운팅, 모자 형상, 지지바, 스트럿 바, 배기관, 바닥면

Description

하부 스트럿 바{Lower strut bar}
본 발명은 하부 스트럿 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내구성을 강화하며 주행 중 자동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스트럿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바디(차체) 및 섀시(Chassis)로 이루어진다. 바디는 자동차의 승차 공간 및 엔진 부품 등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한편 바디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Monocoque body)와 프레임 바디로 구분된다. 모노코크 바디는 별도의 프레임 없이 바디 자체가 프레임 역할을 하는 일체형 구조이며, 프레임 바디는 차량의 골격 역할을 하는 프레임 위에 바디 및 섀시 부품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모노코크 바디의 경우 바디의 바닥면은 플로어 패널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프레임 바디의 경우 사이드 프레임이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을 가로질러 소정 멤버가 체결되면서 바닥면을 형성한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서스펜션, 스테빌라이저 바와 같이 충격 또는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제공되고 있으나, 차선 변경 시, 급 정차 시 등 의 경우 자동차가 관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즉, 초기 자동차는 운행하는데 주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근래에 사용자는 단지 운행 측면뿐만 아니라 운행 중 핸들 조작에 의한 자동차의 좌우 흔들림(롤링)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보다 개선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는 스트럿 바(100) 또는 서스펜션의 양단을 스트럿 바로 연결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만으로 자동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는 자동차 바디의 상측 또는 섀시에 포함되는 서스펜션 측에 바를 제공하여 승차감을 개선하고자 하였을 뿐 차량의 바닥면에 소정 기구를 제공하여 자동차의 강성을 강화하면서도 차량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제공되지 않았다.
자동차의 주행 중 바닥면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기 때문에 바닥면에 흔들림 방지 등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에는 바닥면에 머플러와 같이 각종 구성요소가 복잡하게 배치되며 또한 자동차 운행 중 파손의 우려 때문에 바닥면에 흔들림 방지 또는 강성 강화를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행 시 자동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스트럿 바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바닥면에 배치된 구성요소와 충돌하지 않으며 또한 자동차의 주행 중 파손의 우려가 없이 주행 중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스트럿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바닥면에 차폭을 이루는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스트럿 바로서, 배기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하부 스트럿 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강성을 높이면서도, 주행 중 자동차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 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장착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20)는 지지바(21) 및 지지바(21)의 양 끝단에 형성된 모자 형상의 마운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21)는 중간 부분이 휘어진 만곡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만곡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1)가 도로 측에 대향하게 배기관(26)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 중에 지지바(21)가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팅부(22)는 하부 스트럿 바(20)를 자동차의 바닥면의 차폭을 이루는 영역, 바람직하게는 배기관(26)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소정 영역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바(21)의 양 끝단에 용접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22)는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돌출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볼록하게 돌출된 크라운부(23)를 포함하며, 크라운부(23)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24)이 형성된다.
마운팅부(22)가 모자 형상을 가지면서 자동차 바닥면에 체결되는 경우, 자동차 운행 중 마운팅부(22)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운팅부(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팅부(22)를 자동차의 바닥면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는 별개로 제공되지 않으며 자동차 바닥면에 제공된 볼트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체결공(24)은 해당 볼트(25)가 관통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 또는 프레임 바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모노코크 바디의 경우, 자동차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플로어 패널은 소정 마운팅부를 이용하여 엔진 등을 지지하기 위한 프론트 크로스멤버에 연결된다.
이때, 플로어 패널과 프론트 크로스멤버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상의 스테이(27)가 배기관(26)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쌍으로 제공되며, 상기한 스테이(27)에 하나 이상의 볼트가 삽입됨으로써 플로어 패널과 크로스멤버의 체결이 완료된다.
여기서, 스테이(27)는 서로 다른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테이(27)가 연결부, 연결판과 같은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20)의 마운팅부(22)는 상기와 같 이 쌍으로 제공된 스테이(27)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테이(27)에 적용된 볼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27)는 자동차에 따라 모양이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8)을 갖는 넓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부(22)는 상기와 같이 위로 볼록한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턱(28)에 방해를 받는 일 없이 스테이(27)에 일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플로어 패널과 프론트 크로스멤버의 연결 부위에 마운팅부(22)가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프레임 바디인 경우 사이드 프레임 및 프론트 크로스멤버에 마운팅부(22)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 장착도이다.
도 4는 도 2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 스테이에 하부 스트럿 바의 마운팅부(22)가 장착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40)는 플로어 패널(41) 및 프론트 크로스멤버(42)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스테이(40)의 볼트가 삽입되는 영역(41)은 자동차의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하부 스트럿 바(20)의 마운팅부(22)를 상기한 볼트 삽입 영역과 동일한 형상(크라운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공한다.
스테이(40)의 일면 및 마운팅부(22)의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마운팅부(22)가 상기한 볼트 삽입 영역에 포개진 상태에서 장착되며 이에 따라 하부 스트럿 바(20) 가 자동차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플로어 패널과 프론트 크로스멤버를 체결하는 부위에 하부 스트럿 바의 마운팅부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자동차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구성요소의 체결을 위해 볼트가 사용되는 영역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가 제한 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는 자동차의 바닥면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는 기본적으로 지지바(21) 및 지지바(21)의 양 끝단에 형성된 마운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1)는 자동차 바닥면 상의 구조물과 충돌하지 않기 위해 곡선 형상 또는 배기관(26)을 회피하기 위한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스트럿 바(20)는 지지바(21)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21)는 일단에 수나사부(52)가 형성된 제1 지지바(50) 및 제2 지지바(51)를 포함하며, 각 지지바(50,51)의 수나사부(52)는 원통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53)에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지지바(50) 및 제2 지지바(51)의 길이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53)는 제1 및 제2 지지바(50,51)의 중간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지지바에 치우친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암나사부(70,71)가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20)는 세 개의 분리된 지지바(72 내지 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20)는 자동차의 바닥면에 이미 제공되는 볼트를 그대로 이용하며, 이에 따라 하부 스트럿 바(20)의 마운팅부(22) 장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20)는 암나사 및 수나사 구조를 이용하여 지지바(21)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종류에 관계 없이 자동차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21)와 마운팅부(22)가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경우, 지지바(21)와 마운팅부(22)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80)가 하나 이상 추가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부 스트럿 바의 장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장착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장착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트럿 바의 사시도.
도 8은 서브 바를 포함하는 하부 스트럿 바의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1: 지지바 22: 마운팅부
23: 크라운부 24: 체결공
25: 볼트 26: 배기관
27: 스테이

Claims (7)

  1. 자동차 바닥면에 차폭을 이루는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스트럿 바로서,
    배기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하부 스트럿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플로어 패널 및 프론트 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의 일면에 장착되는 하부 스트럿 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사이드 프레임 및 프론트 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스테이의 일면에 장착되는 하부 스트럿 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스테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크라운부 및 상기 스테이에 제공된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하부 스트럿 바.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스테이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에 포개지면서 장착되는 하부 스트럿 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및 마운팅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바를 더 포함하는 하부 스트럿 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의 대향 타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2 지지바;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하부 스트럿 바.
KR1020080046563A 2008-05-20 2008-05-20 하부 스트럿 바 KR20090120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63A KR20090120650A (ko) 2008-05-20 2008-05-20 하부 스트럿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63A KR20090120650A (ko) 2008-05-20 2008-05-20 하부 스트럿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650A true KR20090120650A (ko) 2009-11-25

Family

ID=4160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563A KR20090120650A (ko) 2008-05-20 2008-05-20 하부 스트럿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6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1822U1 (ru) * 2017-10-31 2018-07-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убГТУ") Автомобильная распорка
KR102205193B1 (ko) * 2020-07-23 2021-01-20 권영륵 Nvh 및 r&h 향상을 위한 차량용 언더바 및 그 제조 방법
FR3104532A1 (fr) * 2019-12-13 2021-06-18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barre de liaison entre deux supports de suspension avant
KR102275100B1 (ko) * 2020-12-28 2021-07-09 이진태 차량용 스트럿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1822U1 (ru) * 2017-10-31 2018-07-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убГТУ") Автомобильная распорка
FR3104532A1 (fr) * 2019-12-13 2021-06-18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barre de liaison entre deux supports de suspension avant
KR102205193B1 (ko) * 2020-07-23 2021-01-20 권영륵 Nvh 및 r&h 향상을 위한 차량용 언더바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5100B1 (ko) * 2020-12-28 2021-07-09 이진태 차량용 스트럿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820B2 (ja) 小型フレーム車両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マウンティング装置
JP4774976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20090120650A (ko) 하부 스트럿 바
JP5353372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04098874A (ja) スタビライザ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CN110588798A (zh) 后缓震座及汽车
KR101509669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US7370871B2 (en) Vehicle frame with shock absorbing system
JP5452683B1 (ja)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
KR100878177B1 (ko) 프레임 지지 장치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JP4290675B2 (ja) ダッシュボードアッパ組立体
KR100535043B1 (ko) 모노코크바디 타입 차량의 현가장치
JP2010076541A (ja) ロアロッド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125394B1 (ko) 볼 조인트
JP4580532B2 (ja) 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2010003899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20070094086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보강구조
JP2005178492A (ja) 車輪独立懸架装置
JP200431466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526400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유닛
KR100362078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