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177B1 - 프레임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177B1
KR100878177B1 KR1020070128985A KR20070128985A KR100878177B1 KR 100878177 B1 KR100878177 B1 KR 100878177B1 KR 1020070128985 A KR1020070128985 A KR 1020070128985A KR 20070128985 A KR20070128985 A KR 20070128985A KR 100878177 B1 KR100878177 B1 KR 10087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bracket
frame
coupl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규
Original Assignee
임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규 filed Critical 임봉규
Priority to KR102007012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pinched frame type, i.e. formed of at least two longitudinal frame sections connected by other longitudinal frame sections of lesser transverse dim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프레임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를 통해 자동차의 강성을 강화하고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 사이드 프레임, 브라켓, 멤버, 길이 조정, 만곡, 흔들림

Description

프레임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내구성을 강화하며 자동차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바디(차체) 및 섀시(Chassis)로 이루어진다. 바디는 자동차의 승차 공간 및 엔진 부품 등의 장착을 위한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차 바닥면의 양측에는 차폭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한편 바디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Monocoque body)와 프레임 바디로 구분된다. 모노코크 바디는 별도의 프레임 없이 바디 자체가 프레임 역할을 하는 일체형 구조이며, 프레임 바디는 차량의 골격 역할을 하는 수행하는 프레임 위에 바디 및 섀시 부품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모노코크 바디의 경우 사이드 프레임은 바디에 포함되며, 프레임 바디의 경우 사이드 프레임은 바디와 별개로 제공된다.
사이드 프레임은 자동차 바닥면의 기본 골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차폭을 이루면서 기본적으로 승차감의 유지,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 한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서스펜션, 스테빌라이저 바와 같이 충력 또는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제공되고 있으나, 점차적으로 차선 변경 시, 급 정차 시 등의 경우 자동차가 관성에 의해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의 승차감 개선만을 중요시할 뿐 자동차 주행 시 사이드 프레임을 지지하여 자동차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차량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제공되지 않는 실정이다.
즉 근래에는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운행 시 자동차의 강성을 높이면서도 자동차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행 시 자동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바닥면의 양측에 차폭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강성을 높이면서도, 차선 변경과 같은 상황에서 자동차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10)는 지지바(11), 지지바(11)의 양 끝단에 형성된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11)는 중간 부분이 휘어진 만곡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만곡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프레임(20)에서 연장되는 지지바(11)가 도로 측에 대향하게 배기관(21)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 중에 지지바(11)가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은 프레임 지지 장치(10)를 사이드 프레임 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바(11)의 양 끝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된 멤버 고정 브라켓(2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멤버 고정 브라켓(22)은 사이드 프레임(20)과 자동차의 내연 기관이 장착되는 멤버(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12)에는 제1 체결공(14)이 형성되며, 제1 체결공(14)에는 메인 브라켓(12)을 멤버 고정 브라켓(22)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된다.
여기서 메인 브라켓(12)을 멤버 고정 브라켓(22)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는 별개로 제공되지 않으며 멤버 고정 브라켓(22)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제1 체결공(14)은 해당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멤버 고정 브라켓(22)과 메인 브라켓(12) 사이에는 프레임 지지 장치(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 패킹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브라켓(12)의 중앙 영역은 볼록하게 돌출된 크라운부(15)를 가지며, 상기한 크라운부(15)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은 프레임 지지 장치(10)의 체결 시 멤버 고정 브라켓(22)측을 향한다.
서브 브라켓(13)은 지지바(11)의 끝단을 기준으로 상기한 메인 브라켓(1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서브 브라켓(13) 역시 멤버 고정 브라켓(22)에 체결되며, 멤버 고정 브라켓(22)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볼트가 관통하는 제2 체결공(17)을 포함한다.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을 이용하여 프레임 지지 장치(10)를 서로 대향하는 사이드 프레임(20)에 고정하는 경우, 차량의 충격이 의해 특히 큰 하 중을 받는 메인 브라켓(12)이 지지바(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브라켓(12)의 일측에는 보조 플레이트(16)가 제공된다.
보조 플레이트(16)의 일단은 나사 결합을 통해 메인 브라켓(12)에 결합되며, 타단은 용접을 통해 지지바(11)의 일측에 결합된다.
그러나 보조 플레이트(16)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프레임 지지 장치(10)는 자동차의 바닥면에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종류마다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10)는 다른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길이를 갖는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정부를 더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30)의 만곡 형상의 지지바(31) 및 길이 조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 형상의 지지바(31) 양 끝단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길이 조정부(32)의 지지바(31) 끝단 측으로는 상기한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33) 및 너트(34)가 제공된다.
길이 조정부(32)의 삽입 갈이는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20) 길이에 따라 조 정된다.
한편 길이 조정부(32)의 대향면에는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이 형성된다.
메인 브라켓(12)과 서브 브라켓(13)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플레이트(16)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메인 브라켓(12)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보조 플레이트(16)의 일측이 메인 브라켓(12)과 나사 결합되는 경우, 보조 플레이트(16)의 타측이 지지바(31)에 용접 결합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보조 플레이트(16)의 피벗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32)의 삽입 길이는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데, 삽입 길이에 연동하여 보조 플레이트(16)가 지지바(31) 및 메인 브라켓(12)에 결합된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메인 브라켓(12)이 지지바(31)에 이탈되는 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는 서로 분리되는 두 개의 지지바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40)는 일단에 메인 브라켓(12), 서브 브라켓(13) 및 보조 플레이트(16)가 형성되는 제1 지지바(41) 및 제2 지지바(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1 지지바(41)의 타단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지지바(42)의 타단에는 상기한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43)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을 멤버 고정 브라켓(22)에 결합하기 전에 작업자는 제2 지자바(42)의 나사부(43) 삽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는 만곡 형상을 갖는 메인 지지바(51) 및 메인 지지바(51)의 양 단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지지바(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바(51)의 중앙 영역은 만곡 형상을 가지며, 양 단에는 나사부(5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메인 지지바(51)의 양 단에 제공되는 서브 지지바(52)의 일단에는 브라켓(12,13)이 제공되며, 타단에는 상기한 메인 지지바(51)에 삽입 길이가 조정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서브 지지바(52)는 삽입 길이가 조정되면서 메인 지지바(51)에 체결될 수 있어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길이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메인 지지바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서브 지지바에 나사산을 갖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지지바의 소정 영역 중 일부에 길이 조정을 위한 구성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프레임 지지 장치의 지지바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길이 조정을 위한 구성을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1 및 제2 지지바의 일단에 메인 브라켓(12) 및 서브 브라켓(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지지바(42)의 일단에 도 3과 같이 메인 브라켓 및 서브 브라켓이 형성된 길이 조정부가 제공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도 5와 같이 메인 지지바(51)와 서브 지지바(52)가 제공되는 경우에 서브 지지바(52)는 도 3과 같이 브라켓(12,13) 측으로 길이 조정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길이 조정을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경우, 작업자는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의 길이에 따라 프레임 지지 장치의 길이를 보다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장착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31: 지지바 12: 메인 브라켓
13: 서브 브라켓 14: 제1 체결공
15: 크라운부 16: 보조 플레이트
17: 제2 체결공 20: 사이드 프레임
21: 배기관 22: 멤버 고정 브라켓
32: 길이 조정부 33,43: 나사부
41: 제1 지지바 42: 제2 지지바

Claims (10)

  1. 자동차 바닥면의 양측에 차폭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며, 도로면에 대향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배기관을 감싸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멤버를 결합하는 멤버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레임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은,
    상기 멤버 고정 브라켓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크라운부 및 상기 멤버 고정 브라켓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관통하는 제1 체결공을 구비하는 메인 브라켓; 및
    상기 멤버 고정 브라켓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관통하는 제2 체결공을 구비하면서 상기 메인 브라켓에 대향 배치되는 서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이 메인 브라켓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지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일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양 끝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 조정부의 상기 양 끝단 측에는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지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일단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며, 타단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지지바; 및
    일단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양 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중앙 영역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지지바; 및
    일단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메인 지지바에 대해 삽입 길이가 조정되면서 결합되는 서브 지지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지지 장치.
KR1020070128985A 2007-12-12 2007-12-12 프레임 지지 장치 KR10087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85A KR100878177B1 (ko) 2007-12-12 2007-12-12 프레임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85A KR100878177B1 (ko) 2007-12-12 2007-12-12 프레임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177B1 true KR100878177B1 (ko) 2009-01-12

Family

ID=4048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985A KR100878177B1 (ko) 2007-12-12 2007-12-12 프레임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1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762A (ja) * 1991-09-19 1993-03-30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クロスメンバ結合構造
KR19980051888A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JP2004291708A (ja) * 2003-03-26 2004-10-21 Honda Motor Co Ltd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762A (ja) * 1991-09-19 1993-03-30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クロスメンバ結合構造
KR19980051888A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JP2004291708A (ja) * 2003-03-26 2004-10-21 Honda Motor Co Ltd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070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部を備える車両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JP2000072077A (ja) 二輪車のハンドル支持構造
JP6866749B2 (ja) リヤクッション装置
KR20090120650A (ko) 하부 스트럿 바
KR100878177B1 (ko) 프레임 지지 장치
US7458594B2 (en)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KR200492941Y1 (ko) 스테빌라이저 보강장치
JP3195437U (ja) トーション振動吸収構造
KR20100056707A (ko) 마운팅 부시유닛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101940045B1 (ko) 진동저감 사이드 미러
JP2003011680A (ja) ラジエータの支持構造
JP4543802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のマウント構造
KR100992815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0868606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JP2010076541A (ja) ロアロッド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KR100402116B1 (ko)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멤버 구조
JP2005178492A (ja) 車輪独立懸架装置
JP2006327445A (ja) ダッシュボードアッパ組立体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2008005481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JPH061443Y2 (ja) サスペンションのリーフスプリング装置
JP200624824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