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765A - 아크식 증발원 - Google Patents

아크식 증발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765A
KR20090116765A KR1020097018146A KR20097018146A KR20090116765A KR 20090116765 A KR20090116765 A KR 20090116765A KR 1020097018146 A KR1020097018146 A KR 1020097018146A KR 20097018146 A KR20097018146 A KR 20097018146A KR 20090116765 A KR20090116765 A KR 2009011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arc
ring
tapered ring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00B1 (ko
Inventor
카츠히로 츠지
카즈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닛신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닛신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ublication of KR2009011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32Vacuum evaporation by explosion; by evaporation and subsequent ionisation of the vapours, e.g. ion-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32Vacuum evaporation by explosion; by evaporation and subsequent ionisation of the vapours, e.g. ion-plating
    • C23C14/325Electric arc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02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using supplementary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5Magnet arrangements in particular for cathodic sputtering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과제] 아크 스폿이 캐소드 증발면 이외의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아크식 증발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자장에 의해 제어되는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22)의 캐소드 물질을 증발시키는 아크식 증발원으로서, 캐소드 선단의 증발면(22a) 부근에 캐소드 중심축(Ax)에 평행한 성분이 강한 자장(M)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캐소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자장형성기구(42)와, 캐소드를 지지하는 지지기구(26)와, 캐소드를 냉각하는 냉각기구(61)와, 원추대 형상을 이루고 그 축방향으로 캐소드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고, 또한 캐소드의 증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배치되는 테이퍼 링(64)을 구비하고, 테이퍼 링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사용시에 테이퍼 링의 선단(64a)이 캐소드의 증발면과 동일 면 또는 증발면보다 다소 후퇴하도록 위치한다.
아크 스폿, 증발원, 증발면, 자장, 캐소드, 테이퍼 링

Description

아크식 증발원{ARC EVAPORATION SOUR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구, 금형, 장식품, 기계부품 등의 기재 외부 표면에, 내마모성 향상이나 마찰 손실의 저감, 혹은 색채를 부가하기 위한 경질탄소피막을 형성시키는 아크(arc)식 증발원(蒸發原)에 관한 것이다.
기재(基材)의 외부 표면에 피막(被膜)을 형성하여,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의 향상, 마찰 손실의 저감, 나아가서는 표면 형상 등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하여,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cathode) 물질을 용융하여 증발시키는 아크식 증발원이 사용되고 있다. 아크식 증발원에서는,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 전방의 공간에 형성되는 아크 플라즈마(arc plasma)에 의해, 증발한 캐소드 물질의 대부분은 이온화된다. 그리고, 아크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피성막 기재(被成膜 基材)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온화된 캐소드 물질을 기재로 끌어당겨, 기재 표면에 피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아크식 증발원을 사용한 아크 이온 플레이팅(arc ion plating)법은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 물질을 용융시킴으로써, 캐소드 물질의 증기를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막속도가 빠르고, 피막과 기재 사이의 밀착성도 뛰어나다. 따라서, 이 방법을 적용한 성막장치는 생산성이 뛰어나므로, 기계부품이나 절삭공구 등의 표면에 금속이나 그 탄화물, 질화물 등의 피막형성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크식 증발원은 자석이나 코일(coil)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磁場)을 이용하여, 아크 방전에 의한 아크 스폿(spot)이 캐소드 전방의 증발면에 오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발적으로 아크 스폿이 캐소드 증발면으로부터 벗어난 장소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아크 스폿의 이행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캐소드 증발면의 둘레를 둘러싸고, 적어도 전부(前部)에 원추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끝이 가는 링(ring)을 구비한 아크식 증발원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의 도 1∼도 3). 이 기술은 자력선(磁力線) 중에서의 아크 스폿이 자력선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角)이 예각(銳角)인 방향으로 진행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에 의해 캐소드 증발면에 거의 수직하게 생긴 자력선(M')은 끝이 가는 링(64')의 원추 형상의 경사면(64'a)과 예각(
Figure 112009053439603-PCT00001
)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성질에 의해, 캐소드 증발면으로부터 벗어나서 끝이 가는 링 경사면으로 이동한 아크 스폿은 도 5의 궤적(A')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성막 재료인 재료 로드(rod)의 주위에 두께가 얇은 링 형상의 내측층을 형성하고, 이 내측층을 자성체로 구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2의 도 3). 이렇게 하면, 자성체로부터 내측층으로 자력선이 끌어 당겨져, 플라즈마 빔(beam)을 넓히므로, 재료 로드의 상면이 비교적 균일하게 가열되어, 안정된 성막 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캐소드의 주위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캐소드 실드(shield)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3의 제1도).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2001-181829호 공보(도 1∼도 3, 단락 0020)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개 2002-30422호 공보(도 3, 단락 0033)
특허문헌3: 일본실용신안공개 평02-38463호 공보(제1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술의 경우, 끝이 가는 링이 캐소드와 같은 전위(電位)의 도전성(導電性)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소드 증발면으로부터 벗어난 아크 스폿이 끝이 가는 링의 원추 형상 경사면으로 이행하면, 경사면(특히, 캐소드 증발면에 가까운 경사면 선단(先端))이 아크 방전에 의해 증발하여 소모된다. 끝이 가는 링의 경사면이 소모되면, 경사면과 자력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되지 않고,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에, 링의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아크 방전 전류가 큰 경우나, 캐소드로서 탄소계 혹은 Cr계 고융점재료를 사용한 경우, 캐소드로부터 용융한 고온의 미소입자(드롭렛(droplet))가 비산하는 경우가 있다. 드롭렛은 플라즈마 안을 통과할 때에 전자가 부착되어 음의 전하를 띠지만, 질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운동하여, 끝이 가는 링 표면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드롭렛은 고온에서 음으로 대전(帶電)하고 있기 때문에, 끝이 가는 링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고, 대전한 전자가 끝이 가는 링측으로 방전하여, 아크 방전을 시작할 때에 사용하는 트리거(trigger)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아크 방전이 불연속적으로 장소를 바꿔서 운동하는 현상이 생기며, 끝이 가는 링을 설치하여도, 드롭렛이 끝이 가는 링을 넘어서 캐소드와 같은 전위의 임의의 장소로 비산하여, 아크 방전을 이행시켜버린다. 그 결과, 캐소드 구성물질이 캐소드의 측면이나 끝이 가는 링의 표면에 비교적 약한 부착력으로 퇴적된 후, 다시 박리되고 비산하여, 피막의 표면에 부착되어 막두께 과소부(過小部)를 형성하거나, 피막 속으로 들어가 피막표면의 평활성(平滑性)이나 피막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박리, 비산한 퇴적물이 성막장치의 구성부품에 부착되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술은 음극인 플라즈마원이 증발원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양극인 막 재료에 플라즈마 빔을 도입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빔이 음극으로부터 양극으로 직접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막 재료를 캐소드측에 인가하는 특허문헌1 기재의 기술과는 달리, 아크 스폿이 막 재료의 증발면의 바깥으로 이행되는 문제는 애당초 생기지 않으므로, 아크 스폿의 이행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2 기재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3에는, 캐소드의 주위에, 강자성체에 의해 구성된 캐소드 실드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문헌에는, 캐소드 실드 표면에 캐소드와 같은 재질의 피복재를 피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캐소드 실드에 아크 방전이 이행하여 부분적으로 용융·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렇지만, 이 기술의 경우, 캐소드 실드가 캐소드면에 평행하기 때문에 이행한 아크 방전에 의해 피복재가 소모되어, 정기적으로 부품 교환이나 재(再)피복을 위한 공정수나 비용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성막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은 아크 스폿이 캐소드 증발면 이외의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아크식 증발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자장에 의해 제어되는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의 캐소드 물질을 증발시키는 아크식 증발원으로서, 상기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 선단(先端)의 증발면 부근에 캐소드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자장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캐소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자장형성기구와, 상기 캐소드를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캐소드를 냉각하는 냉각기구와, 원추대(圓錐臺) 형상을 이루고 그 축방향에 상기 캐소드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고, 또한 상기 캐소드의 증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배치되는 테이퍼 링(taper ring)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링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사용시에 상기 테이퍼 링의 선단이 상기 캐소드의 증발면과 동일 면 또는 상기 증발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테이퍼 링이 강자성체이기 때문에 자력선이 구부려져서, 캐소드 외주면 근방에는, 외측으로 퍼지는 자력선이 형성됨과 아울러, 테이퍼 링 선단에서의 자속밀도가 높아지고,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높아져 아크 스폿의 테이퍼 링의 원추면으로의 이행을 억제한다.
상기 테이퍼 링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퍼 링의 원추면보다 전방에, 상기 캐소드를 그 축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자성체(常磁性體)의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주위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링 형상의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고온에서 음으로 대전한 드롭렛이 비산하여, 테이퍼 링의 원추면(경사면) 근방에 도달하여도, 원추면을 테이퍼 링 커버나 절연체가 덮고 있다. 그 때문에, 드롭렛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가 방전하여도 트리거로서 기능하지 않고, 아크 방전의 이행은 발생하지 않아, 원추면이 소모되지 않는다.
상기 자장형성기구는 코일, 축방향에 자극(磁極)을 갖는 원통형의 영구자석,또는 철심과 코일을 갖는 전자석 중 어느 것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소드를 그 축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캐소드송출기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 스폿이 캐소드 증발면 이외의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링의 원추면보다 전방에 커버를 설치한 경우는 아크 스폿이 캐소드 증발면 이외의 부분으로 이동하여도 부재의 소모가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아크식 증발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아크식 증발원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 및 아크 스폿의 이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아크식 증발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아크식 증발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아크식 증발원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 및 아크 스폿의 이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 진공챔버(진공용기벽)
15 아크 스폿
16 드롭렛
17 캐소드 구성물질의 흐름
19 아크 방전 전류전원
22 캐소드
26 지지기구
42, 81, 93 자장형성기구(코일, 원통형 자석)
61, 99 냉각기구
64 테이퍼 링
64a 테이퍼 링(64)의 원추 형상 경사면의 선단
65 테이퍼 링 커버
66 절연체 피복
67 캐소드송출기구
101, 103, 105 아크식 증발원
M 자력선
Ax 캐소드 중심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크식 증발원의 제1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크식 증발원(101)은 진공챔버(11)(도면에서는, 일부의 용기벽만 기재)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전체로서 아크식 증착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아크식 증발원(101)은 자장형성기구(코일)(42), 원주 형상의 캐소드(22)를 지지하는 봉(棒) 형상의 지지기구(26), 캐소드송출기구(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67), 캐소드를 냉각하는 냉각기구(61),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링(64)을 포함한다. 링 형상의 코일(42)은 코일(42)보다 약간 큰 링 형상의 코일수납용기(46)에 수용되어 있고, 코일수납용기(4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전위전극으로서도 작용한다.
냉각기구(61)는 코일수납용기(46)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냉각기구(61)의 개구단(開口端)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플랜지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기구(61)의 개구단에, 냉각기구(61)와 같은 직경의 원추대 형상의 테이퍼 링(6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냉각기구(61)의 개구단에는, 테이퍼 링(64)의 저면(평면)측이 대향하고, 테이퍼 링(64)의 원추면(경사면)은 냉각기구(61)의 선단으로부터 끝이 가늘어지도록 돌출하여 있다. 한편, 냉각기구(61)의 저면의 중심에는, 지지기구(26)를 삽입 통과시키는 중심구멍이 개구되며, 중심구멍보다 외측에는, 냉각기구(61)의 내부공간에 냉매(49)를 출입시키기 위한 입구(61b) 및 출구(61c)가 형성되어 있다.
냉매(49)는 캐소드(22) 및 테이퍼 링(64)에 직접 접촉하여 이들을 냉각한다. 캐소드(22) 및 테이퍼 링(64)을 냉각하면, 이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성막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막의 막두께 재현성이 향상된다. 특히, 냉매(49)가 캐소드(22) 및 테이퍼 링(64)에 직접 접촉하면, 상기한 효과가 더 한층 발휘된다.
테이퍼 링(64)은 그 축방향에 캐소드(22)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고, 이 관통구멍으로부터 캐소드(22)가 냉각기구(61)의 내부에 삽입되어, 냉각기구(61)의 저면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지지기구(26)의 선단이 캐소드(22)의 후단면(後端面)에 동축(同軸)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캐소드(22)는 테이퍼 링(64)의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부와, 지지기구(26)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기구(26)의 타단은 캐소드송출기구(67)에 부착되어, 캐소드송출기구(67)의 진퇴에 따라, 지지기구(26) 및 캐소드(22)가 냉각기구(61) 안을 축방향으로 진퇴한다.
또한, 냉매(49)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기구(26)와 냉각기구(61)의 중심구멍 사이의 슬라이딩 부분, 냉각기구(61)의 개구단과 테이퍼 링(64)의 저면과의 접합 부분, 및 캐소드(22)와 테이퍼 링(64)의 관통구멍 사이의 슬라이딩 부분에는, 각각 O링(51, 53, 55)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테이퍼 링(64)의 관통구멍의 직경이 원추대의 상면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면, 테이퍼 링(64)의 원추 형상 경사면의 선단(64a)이 날카롭게 돌출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아크 스폿 이행의 제어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링(64)의 테이퍼 형상의 원추면보다 전방에, 테이퍼 링(64)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관통구멍을 갖는 우산 형상의 테이퍼 링 커버(65)가 배치되어, 관통구멍으로부터 캐소드(22)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테이퍼 링 커버(65)는 도시하지 않은 세라믹스(ceramics)제 부시(bush)를 통하여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에 부착되고, 주위(테이퍼 링(64), 캐소드(22), 및 아크식 증발원(101)의 구성부품이나 진공챔버(11) 등)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 있다. 또한, 테이퍼 링 커버(65)의 관통구멍의 직경은 테이퍼 링(64)의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테이퍼 링 커버(65)는 상자성체의 SUS304로 이루어지지만, 상자성체의 금속 또는 합금이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링(64)과 테이퍼 링 커버(65)를 설치하는 절연체로서는, 알루미나, 질화규소, 지르코니아 등 절연 특성이 높은 세라믹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막작업시에는, 테이퍼 링(64)의 선단(64a)이 캐소드의 증발면(22a) 과 동일 면 또는 증발면(22a)보다 다소 후퇴하는 위치로 되도록, 캐소드(22)의 위치를 진퇴시킨다. 이는, 테이퍼 링(64)의 선단(64a)이 캐소드의 증발면(22a)보다 전방(진공챔버 내부측)에 위치하면, 아크 방전이 캐소드가 아니라 테이퍼 링에서 유지되어, 피막의 막질(膜質)에 문제를 일으킬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테이퍼 링 커버(65)가 캐소드(22)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증발 물질의 커버에의 퇴적 및 박리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 테이퍼 링(64), 커버(65)는 모두 캐소드 증발면(22a)보다 후방에 있다.
또한, 장기 사용에 따라 캐소드는 소모하고, 증발면(22a)이 진공챔버의 외측방향으로 후퇴하므로, 그 만큼을 예측하여 캐소드송출기구(67)를 사용하여 캐소드(22)를 전방으로 송출하여, 증발을 안정시켜, 성막속도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성막처리 시간이 짧은 경우나, 방전 전류가 적어 캐소드의 소모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캐소드송출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성막처리 시에 있어서 캐소드 증발면(22a)을 테이퍼 링(64)의 선단보다 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크식 증발원(101)의 진공챔버(11)로의 고정은 예를 들면, 먼저 코일수납용기(46)의 축방향의 한 쪽 단연(端椽)에 절연 링(48)을 바깥쪽에서 끼우고, 절연 링(48)을 코일수납용기(46)의 단연과 진공챔버(11)의 개구연(開口椽)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코일수납용기(46)를 진공챔버(11)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냉각기구(61)의 플랜지부(61a)에 절연 링(63)을 바깥쪽에서 끼우고, 절연 링(63)을 플랜지부(61a)와 코일수납용기(46)의 내벽의 단연 사이에 개재한 상 태에서, 상기한 냉각기구(61)를 포함하는 조립체(캐소드(22), 지지기구(26), 테이퍼 링(64), 테이퍼 링 커버(65) 및 캐소드송출기구(67)를 조립한 것)를, 냉각기구(61)의 축방향이 코일수납용기(46)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코일수납용기(46)의 내부에 수용하여, 아크식 증발원(10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링(48, 63)은 절연 및 진공 씰(Seal)로서 기능한다.
진공챔버(11)에 설치된 아크식 증발원(101)에 있어서, 캐소드의 증발면(22a)은 진공챔버(11)의 내벽면이나 아크식 증발원(101)을 구성하는 자장형성기구 등의 구조물(예를 들면, 코일수납용기(46) 전단면(前端面))보다 전방(진공챔버 내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증발면(22a)보다 전방에 상기한 벽면이나 구조물이 존재하면, 아크 방전에 의해 증발한 캐소드 구성물질(도 1의 부호 17은 증발 또는 이온화한 캐소드 구성물질의 흐름을 나타냄)이 벽면이나 구조물의 표면에 퇴적하는 경우가 있디. 그리고, 퇴적한 캐소드 구성물질은 그 내부응력 등에 의해 성막작업 중에 박리·비산하여, 피성막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피막형성을 방해하거나, 피막 속으로 혼입하여 피막품질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아크식 증발원(101)을 사용하여 성막을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크 방전 전류전원(19)의 음극은 전기도전성을 갖는 지지기구(2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지기구(26)는 캐소드(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아크 방전 전류전원(19)의 양극측, 및 진공챔버(11)는 어스(earth)(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도전성을 갖는 코일수납용기(46)는 저항기(21)를 통하여 어스(2)에 접속되어, 중간전위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캐소드(22)와 진공챔버(11) 사이, 캐소드(22)와 코일수납용기(46) 사이에서 아크 방전이 생기고, 증발·이온화한 캐소드 구성물질이 캐소드의 증발면(22a)으로부터 소정의 애노드(anode)(어스(2)에 접속되어 있음) 방향으로 튀어 나와, 진공챔버(11) 안의 기판표면(도시하지 않음)에 피막이 형성된다.
한편, 코일(42)은 여자(勵磁)전원(44)에 접속되어, 코일수납용기(46)의 축방향(= 캐소드(22)의 중심축(Ax))에 평행한 자계를 발생하여,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22a)으로 이행시킨다.
캐소드(22)로서는, 속이 찬 원주 형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22)로서 강자성체가 아닌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면, 캐소드의 돌출량이나 캐소드 길이가 변화하여도 테이퍼 링(64) 선단에 형성되는 자장 배위(配位)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캐소드(22)의 재료로서는, 금속, 합금, 탄소 등의 반(半)금속 재료, InAs 등의 반도체 재료를 들 수 있다. 특히, 강자성체가 아닌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는 금속탄화물, 금속질화물, 금속붕화물, 금속황화물 중 1종 이상에 의해 구성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금속으로서는, Ti, V, Cr, Al, Nb, Zr, Mo, W, Hf, Ta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테이퍼 링(64)은 예를 들면, 철, 니켈, 코발트나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 입수의 용이성이나 가공 비용면에서, 테이퍼 링(64)으로서는 강자성을 갖는 철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장형성기구를 「원통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 형상이면, 예를 들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인 것이어도 좋다. 한편, 캐소드의 형상도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원주 형상 이외에, 다각형 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자장형성기구의 통의 단면 형상과, 캐소드의 단면 형상은 서로 비슷하여도 달라도 좋지만, 통상, 형성되는 자장의 대칭성 등의 점에서, 양자(兩者)의 단면 형상은 서로 비슷(예를 들면, 자장형성기구를 원통으로 하는 경우는 캐소드도 원주 형상으로 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장형성기구의 축심(軸心)과, 캐소드의 축심은 같은 축이어도 달라도 좋지만, 형성되는 자장의 대칭성 등의 점에서, 양자의 축심이 같은 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링에 의한 작용>
본 발명에 있어서 강자성의 테이퍼 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강자성체가 아니라 단지 도전성(상자성)의 테이퍼 링을 사용한 경우의 작용은 도 5에서 설명한 대로이며, 상기한 특허문헌1에 그 작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자성의 테이퍼 링을 사용하면, 캐소드 증발면으로부터 벗어난 아크 스폿이 끝이 가는 링의 원추 형상 경사면으로 이행한 경우에, 경사면(특히 캐소드 증발면에 가까운 경사면 선단)이 아크 방전에 의해 증발하여 소모하는 것은 이미 기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끝이 가는 링의 경사면이 소모하면, 경사면과 자력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되지 않아,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에, 링의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강자성의 테이퍼 링을 사용함으로써 자력선의 방향을 변하게 하고, 또한, 테이퍼 링 선단에서의 자속밀도를 높게 하여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를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아크 스폿이 테이퍼 링의 원추면으로 이행하는 것 자체를 억제한다.
강자성체 재료를 퀴리(curie)점보다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자장 중에 배치하면, 상자성체 재료와 달리, 자장과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자력선을 끌어당기는 특성을 가짐이 알려져 있다. 또한, 강자성체 재료가 자력선 방향으로 예각의 선단을 갖는 경우에는, 그 선단부에서의 자속밀도가 커진다. 본 발명은 이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자력선의 방향을 바꾼다.
도 2는 강자성의 테이퍼 링(64)을 사용한 경우의 자력선의 방향과 아크 스폿의 이행을 나타낸다. 상기한 특성에 의해, 캐소드 축(Ax)에 평행하게 입사한 자력선은 강자성의 테이퍼 링에 의해 구부려진다. 이 때, 캐소드 외주면에는, 캐소드 전방 외주방향으로 퍼지는 자력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캐소드 측면과 자력선이 가장 예각으로 되는 방향, 즉 캐소드 전방에서 가장 예각(β)으로 되고, 아크 스폿이 캐소드면과 자력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의 방향으로 진행되는 성질에 의해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특허문헌1)의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력 선(M')과 테이퍼 링 표면과의 전방에서 이루는 예각(
Figure 112009053439603-PCT00002
)에 의해, 아크 스폿이 캐소드면과 자력선이 이루는 예각방향으로 진행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아크 스폿을 증발면으로 되돌리고 있다. 한편, 테이퍼 링 중 캐소드 외주에 인접하는(캐소드 외주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주목하면,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캐소드의 축에 평행한 자력선(M')과 캐소드 외주 근방 부분은 기본적으로 각도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아크 스폿을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작용은 하지 않고, 아크 스폿이 예각방향으로 진행되는 특성에 기여하는 부분은 상자성체성(常磁性體性)의 테이퍼 링의 경사면과 자력선(M')이 전방측에 형성하는 예각(
Figure 112009053439603-PCT00003
)만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강자성의 테이퍼 링으로 자력선을 외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캐소드 외주에 인접하는(캐소드 외주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 캐소드 외주와 자력선이 전방에서 예각(β)을 이루며, 이 부분에서 아크 스폿이 캐소드면과 자력선이 이루는 예각 방향으로 진행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아크 스폿을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크다. 즉, 아크 스폿이 경사면으로 이행하기 전에 캐소드 외주 근방에서 아크 스폿을 증발면으로 되돌리게 되고,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아크 스폿을 증발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도, 테이퍼 링의 경사면에 의한 효과도 생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캐소드 선단부와 인접하는 강자성의 테이퍼 링의 선단이 뾰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강자성 테이퍼 링 선단부 부근의 자속밀도가 증가하여, 이온 생성 지점의 자장보다 강한 자장 강도로 된다. 전자나 이온은 보다 강한 자장 강도의 영역으로 자력선을 따라 이동함이 억제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테이퍼 링 선단부 부근의 자장이 강해지면, 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아크 스폿의 이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상승 효과로 아크 스폿을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를 더 한층 향상시킨다. 즉, 캐소드 증발면(22a)측으로 되돌리는 힘이 종래의 상자성체의 링을 사용한 경우보다 강하게 작용하여 아크 스폿을 테이퍼 링에 도달하기 전에 캐소드 증발면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보다 강해진다. 이 힘은 테이퍼 링(64)의 선단에 근접할수록 자속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강해진다.
상기한 2가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아크 스폿(15)은 테이퍼 링(64)에 도달하기 전에 캐소드 증발면(22a)으로 되돌려져, 캐소드 측면으로의 아크 스폿의 이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테이퍼 링 표면으로의 아크 스폿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테이퍼 링 선단이 아크 방전으로 소모하는 경우가 적고, 테이퍼 링의 형상이 장기에 걸쳐 유지되어, 캐소드 측면으로의 아크 스폿 이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링의 구성 재료가 아크 방전에 의해 증발하여 피막에 혼입하는 결함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는 아크 방전을 행하는 진공용기의 진공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캐리어(carrier) 가스를 도입하지 않는 분위기 하에서의 아크 방전이라도, 가스를 도입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퍼 링 커버에 의한 작용>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테이퍼 링 커버(65)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작용은 아래 와 같이 된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온에서 음으로 대전한 드롭렛(16)이 비산하고, 테이퍼 링(64)의 원추면(경사면) 근방에 도달하여도, 원추면을 테이퍼 링 커버(65)가 덮고 있기 때문에, 드롭렛(16)은 테이퍼 링 커버(65) 표면에 부착된다. 그런데, 테이퍼 링 커버(65)는 주위로부터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드롭렛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는 방전하는 경우가 없어, 아크 방전 시작의 트리거로서 기능할 수 없다.
또한, 만일, 캐소드 구성물질이 테이퍼 링 커버(65) 표면을 피복하였다고 하더라도, 테이퍼 링(64)과 테이퍼 링 커버(65)의 전기적 절연성은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테이퍼 링 커버(65)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테이퍼 링(64)과 간극을 형성하여 테이퍼 링 커버(65)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크 방전에 의해 형성된 고온 플라즈마로부터 열이 테이퍼 링(64)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링(64)의 투자율(透磁率)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링 커버(65) 대신에, 후술하는 실시형태 3과 같이 테이퍼 링(64) 표면에 절연체를 도금이나 용사(溶射)에 의해 피복한 경우나, 접착제나 절연성 나사에 의해 장착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절연체는 전기전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도 낮으므로, 상기한 고온 플라즈마로부터의 테이퍼 링으로의 열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다.
<제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아크식 증발원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자장형성기구로서, 코일(42) 대신에 원통형 전자석(81)을 사용하고, 테이퍼 링 커버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코일(42)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수납용기(46)가 없고, 그대로는 진공챔버(11)의 개구에 아크식 증발원(103)을 설치할 수 없다. 그래서, 코일수납용기(46)와 외경 및 내경이 동일한 링 형상의 부착판(중간전위전극)(85)을 사용하여, 이 부착판(85)의 외연(外緣) 및 내연(內緣)에 각각 절연 링(48, 63)을 끼움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설치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코일(42)이 없기 때문, 여자전원(44)이 불필요하다.
원통형 자석(81)은 전체가 자석으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을 캐소드(22)와 동축으로 되도록 하여 캐소드(22)의 외측에 배치하고, 이 원통의 후방에 동축으로 링 형상(원통 형상)자석 또는 원반 형상 자석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원통(원반) 형상 자석에 의해, 그 전방의 강자성체의 단부(端部)에 자장이 생기고, 또한 강자성체의 타단에 자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원반) 형상 자석의 단부와, 강자성체의 단부가 전체로서 원통형 자석과 거의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원통형 자석(81)의 외주 및/또는 후방에 도시하지 않은 자석를 추가 함으로써 자장 강도를 조절하여도 좋다. 그리고, 원통형 자석은 탈착이 용이하도 록 2개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는 구조이어도 좋고, 소형의 원주형이나 각주(角柱)형의 막대자석을 두르는 형상으로 배치하여 전체가 원통 형상의 자석군(群)으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영구자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석용 전류원인이 불필요하여 증발원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비교적 소형의 자석으로 강한 자장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컴팩트하게 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경우, 전자석의 전류를 제어하면, 아크 방전이 안정되도록 자장 강도의 조정이 용이하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아크식 증발원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자장형성기구로서, 원통형 전자석(81) 대신에 코일(93)을 사용하고,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체(66)가 피복되어 있는 것 이외는 제2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코일(93)을 사용함에 따라, 여자전원(91)이 설치되어 있다.
절연체(66)로서는, 내열성이 높은 알루미나나 질화규소 등의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66)는 용사 등의 방법에 의해,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의 표면에 피복할 수 있다. 절연체(66)를 피복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타일(tile) 형상의 세라믹을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의 표면에 접착하거나, 세라믹제 나사로 고정하여도 좋다.
테이퍼 링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체를 피복하는 효과는 테이퍼 링 커버를 사용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단순한 코일이 아니라, 냉각기구(99)가 원통형 철심으로서 기능하는 점이 다르다. 냉각기구(99)는 그 구조는 냉각기구(61)와 동일하지만,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경우, 냉각기구를 강자성체 철심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보다 강한 자장을 얻을 수 있다.
냉각기구(99)의 모든 구성 재료를 강자성체로 하지 않아도 좋고, 냉각기구의 일부(예를 들면, 외면)를 강자성체제로 하여도 좋다. 또한, 냉각기구(99) 자체는 강자성체가 아니라, 냉각기구(99)를 강자성체제의 원통 안에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냉매(49)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캐소드 냉각기구 자체는 녹이 발생하기 어려운(비자성의) 스테인레스강(SUS304)으로 구성하여, 캐소드 냉각기구를 강자성체제(强磁性體製)의 원통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로서는, 철,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료는 비교적 열전도도가 높고, 테이퍼 링을 냉각함에 효과적이다.
또한, 자장강도는 코일(93)에 흐르는 전류를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의한 아크식 증발원에 따르면, 아크 방전을 캐소드의 증발면으로 규제하므로, 캐소드 증발면 이외의 장소로의 아크 방전 이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테이퍼 링의 원추면에 절연체를 피복하거나, 테이퍼 링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아크 방전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플라즈마에 테이퍼 링이 접하여 온도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퍼 링의 투자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크 방전의 이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아크식 증발원(101)을 사용하고, 캐소드(22)로서 직경 50mm, 길이 120mm 의 Cr(순도 99.9%)을 부착하고, 캐소드(22) 증발면 후방의 위치에는, 내경 50.5mm, 외경 90mm, 원추면의 경사각이 45도인 SS400 강재제(鋼材製)(JIS G3101)의 테이퍼 링(64)을 동축으로 설치하였다. 테이퍼 링 커버(65)로서 두께 1.5mm의 SUS304제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 증발원(101)을 아크식 이온 플레이팅 성막장치에 설치하여 질화크롬 피막의 성막을 행하였다. 피성막 기재로서, 표면 조도(산술 평균 조도 Ra) 0.02㎛이하로 연마한 고속도 공구강(SKH재)을 사용하였다.
먼저, 성막에 앞서 이온 봄버드(bombard) 처리공정을 실시하여, 피성막 기재 표면의 청정화를 행하였다. 이온 봄버드 처리공정은 도시하지 않은 진공배기펌프에 의해, 진공용기(성막장치) 안을 2.7×10-3Pa(2×10-5Torr) 이하로 배기한 후, 도 시하지 않은 가스도입구멍으로부터 Ar가스를 유량 1.7×10-2Pa m3/s(10sccm(standard cc/min))으로 도입하고, 진공용기 안을 약 1.3Pa(10mTorr)로 유지하여 행하였다. 그리고, 피성막 기재에, 도시하지 않은 임피던스(impedance) 정합기(整合器)를 통하여 주파수 13.56MHz, 전력 100W의 고주파 전력을 10분간 인가하여, 고주파 플라즈마 방전을 행하였다. 피성막 기재는 플라즈마로부터의 전자 부착에 의해 음의 자기(自己) 바이어스(bias)가 작용하고, 양 이온인 Ar이온이 가속되어 그 기재 표면을 스퍼터링하여, 표면이 청정화된다.
이온 봄버드 처리공정에 이어서, 성막공정을 실시하였다. 진공용기 내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진공용기 내를 2.6Pa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캐소드에 아크 전류 100A를 흘려보내, 아크 방전을 행함과 동시에, 피성막 기재에 직류전압(-20V)을 인가하였다. 이 상태를 유지하여, 60분간 성막을 행하였다.
이 공정을 피성막 기재의 교환을 행하면서 20회 반복 실시하고, 20회째에 성막된 피성막 기재에 대하여 막질의 평가 및 테이퍼 링(64) 표면에서의 아크 방전의 흔적의 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막장치 및 아크식 증발원(101)의 유지보수는 20회의 성막 실시중, 아크식 증발원에 설치된 캐소드(22)의 교환 이외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아크식 증발원(101) 대신에, 도 3에 도시하는 아크식 증발원(103)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만, 테이퍼 링(64)의 재질을 S50C강제(JIS G4051)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아크식 증발원(101) 대신에, 도 4에 도시하는 아크식 증발원(105)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만,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 세라믹으로서, 알루미나를 두께 0.2mm로 용사한 것을 피복하였다.
실시예 4
캐소드(22)로서 Cr 대신에 이와 동일 치수의 탄소(그라파이트(graphite); 순도 99.9%)를 사용하여 경질탄소(DLC)피막의 성막을 행하고, 테이퍼 링(64)의 재질을 SS400강으로 대체함과 아울러, 캐소드(22)를 도시하지 않은 두께 1mm의 SUS304제 원통에 수용하여 캐소드가 냉각수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간접 냉각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만, 성막공정에서의 도입 가스를 Ar가스로 대체함과 아울러 진공용기 내 압력을 0.02Pa로 바꾸고, 피성막 기재에 인가하는 직류전압을 -100V로 바꿨다.
실시예 5
아크식 증발원(101) 대신에, 도 3에 도시하는 아크식 증발원(103)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만, 성막공정에서 Ar가스는 도입하지 않았다.
실시예 6
아크식 증발원(101) 대신에, 도 4에 도시하는 아크식 증발원(105)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만, 테이퍼 링 커버(65)을 사용하지 않고, 테이퍼 링(64)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체로서 두께 1.5mm의 질화규소제 타일을 알루미나제 나사로 고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성막공정에서 Ar가스는 도입하지 않았다.
<비교예 1>
테이퍼 링(64)의 재질을 상자성(常磁性)의 Cr(순도 99 .9%)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테이퍼 링(64)의 재질을 상자성의 탄소(그라파이트(graphite); 순도 99.9%)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성막을 행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피성막물 표면에 형성된 질화크롬 피막 및 경질탄소 피막에 대하여, 아래에 나타내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1. 표면 조도(십점 평균 조도): Rz(JIS-BO601)
촉침식(觸針式) 조도계를 사용하여, 피막 표면의 표면 조도 Rz의 측정을 JIS-BO601을 따라 행하였다. 계측 위치를 바꾸어 5회 실시하여, 그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2. 막 두께 균일성
피막 표면의 각각 0.5mm×0.5mm 각(角)의 영역을 임의로 5개소 선정하고, 레이저 간섭식의 삼차원 형상측정장치(올림푸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OLI1100)를 사용하여 표면 형상을 관찰하였다. 얻어진 프로파일(profile)에서, 크기(최대 길이부)가 0.05mm 이상의 막 두께 과소부나 막 두께 과대부의 총수를 집계하였다. 여기에서, 막 두께 과소부(막 두께 과대부)란, 평균 막 두께에 대하여 20%를 초과하는 단차(段差)가 형성된 영역을 가리킨다. 크기 0.05mm 이상의 막 두께 과소부나 막 두께 과대부가 생기면, 이것을 기점으로 하여 박리가 발생할 염려가 커지거나, 상대재 공격성이 늘어, 상대재의 마모가 진행할 염려가 증가한다.
또한, 평균 막 두께는 피막 표면의 임의의 10개소에 대하여, 구면(球面)연마법(볼(ball) 연마법)에 의해 막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평균 막 두께로 한다. 상기 막 두께 과소부나 막 두께 과대부는 그 밖의 부분(평균 막 두께부)과는 명확한 단차를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 형상의 프로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테이퍼 링 표면의 아크 방전의 흔적 관찰
육안으로 테이퍼 링 표면을 관찰하여, 아크 방전의 흔적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439603-PCT00004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경우, 피막의 표면 조도(Rz)가 작아, 막 두께 과소부 및 과대부가 확인되지 않고 막 두께 균일성도 양호하였다.
특히, 테이퍼 링의 전방에 테이퍼 링 커버를 설치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4, 및 테이퍼 링의 원추면의 표면을 절연물로 피복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의 경우, 테이퍼 링 원추면으로의 아크 이행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2 및 실시예5의 경우, 테이퍼 링의 원추면에 아크 방전의 흔적이 수 개소 확인되었지만, 이 개소는 비교예 1, 2에 비하여 대폭 감소하였다.
한편, 상자성체의 테이퍼 링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피막의 표면 조도(Rz)가 증대하고, 또한, 피막 표면에 막 두께 과소부나 과대부가 확인되어, 테이퍼 링의 원추면으로의 아크 방전의 흔적이 실시예에 비하여 수 배로 늘어났다.
또한, 각 비교예에서, 테이퍼 링의 원추면, 특히 테이퍼 링의 선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아크 방전이 일시적으로 이행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테이퍼 링의 선단부로부터 떨어진 원추면에서도 아크 흔적이 다수 확인되었다. 후자의 아크 흔적은 테이퍼 링 선단부의 아크 흔적과 연결되지 않고, 양자는 따로따로 이행한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5)

  1. 자장에 의해 제어되는 아크 방전에 의해 캐소드(cathode)의 캐소드 물질을 증발시키는 아크식 증발원으로서, 상기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 선단(先端)의 증발면 부근에 캐소드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자장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캐소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자장형성기구와, 상기 캐소드를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캐소드를 냉각하는 냉각기구와, 원추대 형상을 이루고 그 축방향으로 상기 캐소드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고, 또한 상기 캐소드의 증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배치되는 테이퍼 링(taper ring)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링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사용시에 상기 테이퍼 링의 선단이 상기 캐소드의 증발면과 동일 면 또는 상기 증발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식 증발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링의 원추면의 표면에 절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식 증발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링의 원추면보다 전방에, 상기 캐소드를 그 축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자성체(常磁性體)의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주위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링 형상의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식 증발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형성기구는 코일, 축방향에 자극(磁極)을 갖는 원통형의 영구자석,또는 철심과 코일을 갖는 전자석 중 어느 것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식 증발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를 그 축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캐소드송출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식 증발원.
KR1020097018146A 2007-03-02 2008-02-15 아크식 증발원 KR101685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2550A JP5063143B2 (ja) 2007-03-02 2007-03-02 アーク式蒸発源
JPJP-P-2007-052550 2007-03-02
PCT/JP2008/052506 WO2008108149A1 (ja) 2007-03-02 2008-02-15 アーク式蒸発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765A true KR20090116765A (ko) 2009-11-11
KR101685700B1 KR101685700B1 (ko) 2016-12-12

Family

ID=3973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146A KR101685700B1 (ko) 2007-03-02 2008-02-15 아크식 증발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7682B2 (ko)
EP (1) EP2116630B1 (ko)
JP (1) JP5063143B2 (ko)
KR (1) KR101685700B1 (ko)
CN (1) CN101636519B (ko)
WO (1) WO2008108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143B2 (ja) 2007-03-02 2012-10-31 株式会社リケン アーク式蒸発源
CN101824596B (zh) * 2010-03-30 2011-12-14 东莞宏威数码机械有限公司 自动冷却式供电装置
UA101443C2 (ru) * 2011-11-29 2013-03-25 Национ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Харьковский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Анодный УЗЕЛ вакуумно-дугового ИСТОЧНИКа катодной ПЛАЗМЫ
JP5946337B2 (ja) * 2012-06-20 2016-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ーク式蒸発源
SG11201505685SA (en) * 2013-01-22 2015-09-29 Nissin Electric Co Ltd Plasma device, carbon thin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coating method using plasma device
CN110158038B (zh) * 2014-03-18 2022-01-18 佳能安内华股份有限公司 沉积装置
WO2017196622A2 (en) 2016-05-11 2017-11-16 Veeco Instruments Inc. Ion beam materials processing system with grid short clearing system for gridded ion beam source
SG10201705059TA (en) 2016-06-24 2018-01-30 Veeco Instr Inc Enhanced cathodic arc source for arc plasma deposition
JP7134980B2 (ja) * 2017-02-14 2022-09-12 エリコン サーフェ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ーゲー、 プフェフィコン 所定のカソード材料除去を伴うカソードアーク蒸発
SE542687C2 (en) * 2018-06-27 2020-06-23 Impact Coatings Ab Publ Arc source system for a cathode
US10923311B1 (en) * 2019-11-11 2021-02-16 Xia Tai Xin Semiconductor (Qing Dao) Ltd. Cathode for ion source comprising a tapered side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463U (ko) * 1988-08-30 1990-03-14
JPH08199346A (ja) * 1995-01-23 1996-08-06 Nissin Electric Co Ltd アーク式蒸発源
JP2001181829A (ja) * 1999-12-28 2001-07-03 Nissin Electric Co Ltd アーク式蒸発源
JP2002030422A (ja) * 2000-07-11 2002-01-31 Sumitomo Heavy Ind Ltd 成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949A (en) 1988-06-20 1990-01-23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quinacridone solid solutions
JP3104701B1 (ja) * 1999-08-18 2000-10-30 日新電機株式会社 アーク式蒸発源
JP2005126737A (ja) 2003-10-21 2005-05-19 Riken Corp アーク式蒸発源
JP5063143B2 (ja) 2007-03-02 2012-10-31 株式会社リケン アーク式蒸発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463U (ko) * 1988-08-30 1990-03-14
JPH08199346A (ja) * 1995-01-23 1996-08-06 Nissin Electric Co Ltd アーク式蒸発源
JP2001181829A (ja) * 1999-12-28 2001-07-03 Nissin Electric Co Ltd アーク式蒸発源
JP2002030422A (ja) * 2000-07-11 2002-01-31 Sumitomo Heavy Ind Ltd 成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1947A1 (en) 2010-04-29
EP2116630A4 (en) 2013-02-20
US8337682B2 (en) 2012-12-25
CN101636519A (zh) 2010-01-27
CN101636519B (zh) 2011-04-20
EP2116630A1 (en) 2009-11-11
KR101685700B1 (ko) 2016-12-12
JP5063143B2 (ja) 2012-10-31
JP2008214685A (ja) 2008-09-18
EP2116630B1 (en) 2013-09-25
WO2008108149A1 (ja)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6765A (ko) 아크식 증발원
US7879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odic arc ion plasma deposition
EP2788522B1 (en) Filtered cathodic arc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US4407712A (en) Hollow cathode discharge source of metal vapor
US6126793A (en) Method of forming films over inner surface of cylindrical member
RU2550502C2 (ru) Модифицируемая конфигурация магнитов для электродуговых испарителей
CN109937613B (zh) 等离子体喷镀装置和喷镀控制方法
WO2006020582A2 (en) Cylinder magnetron with self cleaning target and collar
CN107227445A (zh) 一种沉积管内壁涂层的电弧离子镀设备
JP4827235B2 (ja) アーク式蒸発源及び成膜体の製造方法
US5965217A (en) Method of forming DLC films over inner surface of cylindrical member
TWI568870B (zh) 包含保護裝置的管狀靶
WO2008013469A1 (fr) Procédé d&#39;application à plasma d&#39;ions de revêtements de film à composants multiples et installation correspondante
EP1081248A2 (en) ARC type evaporation source
US20160099134A1 (en) Arc evaporation coating source having a permanent magnet
JP4502116B2 (ja) 高密度プラズマ表面被覆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3065417A (ja) プラズマガ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膜装置
JP2017174514A (ja) アーク式蒸発源、成膜装置及び成膜体の製造方法
US10151043B1 (en) Methods of producing coated locator pins and locator pins made therefrom
JP2005023403A (ja) 硬質カーボン膜の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5054230A (ja) 真空アーク蒸着装置
US10854436B2 (en) Connector piece for a tubular target
JP2001181829A (ja) アーク式蒸発源
EP4368742A1 (en) Arc evaporation source
KR20190007878A (ko) 비철재료용 가공공구의 표면에 ta-C 코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05

Effective date: 201511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2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14

Effective date: 201608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