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182A -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182A
KR20090116182A KR1020080041959A KR20080041959A KR20090116182A KR 20090116182 A KR20090116182 A KR 20090116182A KR 1020080041959 A KR1020080041959 A KR 1020080041959A KR 20080041959 A KR20080041959 A KR 20080041959A KR 20090116182 A KR20090116182 A KR 2009011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coil assembly
field coi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014B1 (ko
Inventor
박태영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14B1/ko
Priority to JP2009110356A priority patent/JP5099715B2/ja
Priority to DE102009002781.5A priority patent/DE102009002781B4/de
Priority to CN2009101370984A priority patent/CN101599336B/zh
Priority to US12/435,837 priority patent/US8013705B2/en
Publication of KR2009011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8Encapsulating, encasing or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20)는 코어(22)에 설치되고 와이어(W)가 권선되어 형성되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이에 결합되는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코어(22)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터미널(50)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50)의 연결부분에는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50)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50)과 코일의 연결부분이 수분이나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터미널(50)과 코일 사이에 갈바닉부식에 의한 단선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압축기, 전자클러치, 필드코일 어셈블리, 갈바닉부식

Description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The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본 발명은 압축기용 전자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에 구비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는 전원 공급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풀리의 마찰면측으로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가 흡인되어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의 구동력을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하게 하는 전기장치이고, 상기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요부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구동벨트(미도시)에 의해 연결 되고 측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풀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풀리에 내장되고 압축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됨과 아울러 전원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어셈블리(1)와 상기 필드코일어셈블리(1)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인자속을 이용하여 디스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2)의 내부에는 링형으로 전자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몸체부(2)의 일측에는 커넥터(10)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터미널(15)을 통해 상기 몸체부(2)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가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의 타단에는 터미널(15)이 그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다이오드(D) 및 저항(R)과 같은 전장물이 설치된다.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은 상기 커넥터(10) 내에서 서지흡수회로(surge absorbing circuit)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0)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터미널(15)이 상기 하우징(1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인서트사출한다. 즉, 금형조립체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15)을 삽입한 상태로 하우징(11)을 사출하여 하우징(11)에 터미널(15)이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와 저항(R)은 상기 터미널(15)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에폭시수지(E)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몸체부(2)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W)와 연결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15)의 선단에 형상된 결합부(15')에 와이어(W)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5')를 조여 와이어(W)가 상기 결합부(15')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몸체부(2) 내부에 구비된 코일(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코일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15)의 연결부분에는 커버(C)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C)는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15)의 연결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별개물로 구성되어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15)의 연결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15)과 와이어(W)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1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와이어(W)를 통해 코일로 전달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와이어(W)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즉, 상기 와이어(W)의 재질로 상기 터미널(15)의 재질과 같은 구리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가볍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W)의 재질이 터미널(15)의 재질과 서로 달라지면, 이종금속접촉부식, 즉 갈바닉부식(galvanic corrision)이 상기 터미널(15)과 와이어(W) 사이에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갈바닉부식은 외기에 노출되어 있는 두 개의 이종금속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두 금속 사이의 전위차가 크거나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 더 쉽게 발생된다.
이때, 구리와 알루미늄 사이는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크고, 상기 필드코일어셈블리는 산소가 용이하게 공급되고 온도 및 습도가 비교적 높은 환경인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므로 상기 터미널(15)과 와이어(W) 사이에는 갈바닉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5)과 와이어(W)의 결합부분을 별도의 커버(C)로 차폐할 수도 있으나, 상기 커버(C)는 별개물로서, 상기 커버(C)와 커넥터(10)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여 터미널(15)과 와이어(W) 사이에 갈바닉부식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갈바닉부식은 터미널(15)과 와이어(W) 사이에 단선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동작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이에 연결되는 코일의 와이어 사이에 보호코팅부가 형성된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코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권선되어 형성되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코팅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코팅부는 자외선경화도료 또는 에폭시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알루미늄 재질로,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차폐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 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서트사출을 통해 내부에 터미널이 구비된 상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의 선단의 결합부분에 보호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와 상기 코일이 결합된 상태로 수지재로 몰딩하여 차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자외선경화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에폭시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터미널과 코일의 연결부분 사이에 보호코팅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과 코일의 연결부분이 수분이나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터미널과 코일 사이에 갈바닉부식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에 차폐부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코팅부와 함께 이중으로 터미널과 코일의 연결부분을 차폐하게 되므로 이러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신뢰성 및 내구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만들기 위한 기 존의 제조과정에 보호코팅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더 추가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제조공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큰 추가 없이 터미널과 코일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이에 연결된 코일의 와이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용 전자 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코어(22)에는 보빈(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보빈에는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고정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상기 코일을 지지한다.
상기 코일은 그 내부에 와이어(W)가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의 일측에는 서로 다른 극을 갖게 되는 두 가닥의 와이어(W)가 각각 인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출된 와이어(W)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30)의 터미널(5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는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코어(22)의 일측에는 커넥터(30)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30)는 일종의 전기연결구로서, 상대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코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커넥터(3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의 외면에는 사출홈(3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사출홈(35)은 상기 하우징(31)의 사출과정에서 그 내부에 조립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물(60,7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출금형에는 상기 사출홈(35)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에 의해 상기 전장물(60,7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에는 상기 사출홈(35)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31)의 상면 및 하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1)의 일측에는 고정돌기(3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7)는 상기 커넥터(30)가 필드코일 어셈블리(20)의 코어(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돌기(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후단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터미널(50)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50)은 외부의 전원을 필드코일 어셈블리(20)의 내부에 권선된 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50)은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50)은 구리 또는 합동과 같은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50)의 골격은 바형상의 몸체(51)가 형성하고, 그 양단(52,55)은 각각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및 코일의 와이어(W)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50)의 몸체(51)에는 결합슬롯(5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56)은 몸체(51)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슬롯(56)은 상기 몸체(51)의 일부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결합슬롯(56)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51)의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결합슬롯(56)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슬롯(56)의 일측에는 슬롯브릿지(57)가 구비된다. 상기 슬롯브릿지(57)는 상기 결합슬롯(56)이 절결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슬롯(56)을 가로질러 구비된다. 즉, 상기 결합슬롯(56)과 상기 슬롯브릿지(57) 사이에는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이 통과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50)의 일단에는 결합부(5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8)는 상기 와이어(W)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그 사이에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58)에 와이어(W)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58)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터미널(5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50)에는 전장물(60,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장물(60,70)은 상기 커넥터(30)에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방전소자(60)와 잔류자장제거소자(7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전소자(60) 와 잔류자장제거소자(70)는 각각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서지흡수회로는 다이오드(6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은 각각 상기 쌍을 이루는 터미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에는 리드선(62,72)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선(62,72)은 상기 터미널(5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드선(62,72)의 선단(65,75)이 상기 터미널(50)의 슬롯브릿지(57)에 의해 결합슬롯(5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과 터미널(5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50)의 결합부(58)와 상기 와이어(W)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코팅부(80)는 상기 터미널(50)의 결합부(58)와 와이어(W)를 감싸는 일종의 막으로서,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연결부분이 수분이나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코팅부(80)는 자외선경화도료(UV도료)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경화도료는 일정 파장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도막이 경화되는 도료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외선경화도료를 이용한 코팅은 작업속도가 빠르고, 내부식성 및 절연성 그리고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물론, 상기 보호코팅부(80)는 반드시 자외선경화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지 않고, 실리콘이나 에폭시계 수지도료를 비롯한 기타 다양한 핫멜트(hot-melt)계열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8032264616-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실험 데이터>
이러한 보호코팅부(80)에 의한 부식 방지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본 결과가 상기 도표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험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48시간 동안 침수시킨 후에, 누설전류를 측정한 값을 종래 기술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와 비교한 것이다.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방수성 및 절연성이 우수할수록 상기 누설전류값이 작아질 것이므로, 이를 통해 보호코팅부(80)의 효과를 알아볼 수 있다. 본 실험은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 기술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 즉 상기 보호코팅부(80)가 구비되지 않은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경우에 비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누설전류가 평균적으로 1/30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방수성 및 절연성이 보호코팅부(80)가 구비되지 않은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비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보호코팅부(80)에 의해 와이어(W) 및 터미널(50)의 연결부분이 보다 확실하게 보호되고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50)과 상기 와이어(W)의 결합부분에 해당하는 하우징(31)의 일측에는 차폐부(90)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90)는 상기 터미널(50)과 상기 와이어(W)가 결합되고, 그 사이에 상기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된 후에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노출된 상태이던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결합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이는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절연하고, 수분이나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필드코일 어셈블리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상기 하우징(31)을 사출성형하기에 앞서 상기 터미널(50)과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전장물(60,70)을 결합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다이오드(60)와 저항(70)의 리드선(62,72)을 각각 터미널(50)의 결합슬롯(56)에 정렬시킨다. 상기 결합슬롯(56)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선(62,72)이 다수개의 결합슬롯(56)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정렬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50)의 슬롯브릿지(57)를 상기 리드 선(62,72) 방향으로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킨다. 이때, 상기 슬롯브릿지(57)를 변형시키는 공정은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롯브릿지(57)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키면, 상기 리드선(62,72)은 상기 슬롯브릿지(57)와 결합슬롯(56) 사이에 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과 상기 터미널(50)의 조립체를 사출금형 내부에 위치시킨 후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하우징(31)을 제조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50) 및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전장물(60,70)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31)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조립체 내의 캐비티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커넥터(30)를 제조하는 것이다.(S100)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의 코어(20)에 구비된 코일에 연결시킨다. 즉, 상기 터미널(50)의 결합부(58)를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와이어(W)의 인출된 선단과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터미널(50)의 결합부(58)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58)를 소성변형시켜 상기 와이어(W)가 터미널(50)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50)과 상기 와이어(W)의 결합부분에 자외선경화도료를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경화도료가 도포된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도료를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자외선경화도료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경화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50)과 상기 와이어(W)의 결합부분에는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된다.(S120)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보호코팅부(80)에 의해 상기 터미널(50)과 상기 와이 어(W)의 결합부분이 감싸지므로, 결합부분에 수분이 침투하거나 외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50)의 재질이 서로 다르더라도, 둘 사이에 갈바닉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넥터(30)와 코일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서트사출(몰딩)을 통해 상기 커넥터(30)의 일측에 차폐부(90)를 성형한다. 상기 차폐부(90)는 상기 커넥터(30)의 터미널(50)과 코일의 와이어(W)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코팅부(80)와 함께 이중으로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S130)
이와 같이 조립된 필드코일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커넥터(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즉, 상기 커넥터(30)의 터미널(50)과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터미널(50)은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전원이 코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W)와 상기 터미널(50)은 서로 다른 재질, 즉 알루미늄과 구리로 만들어지나 상기 와이어(W)와 터미널(50)의 연결부분에는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되어 둘 사이에 갈바닉부식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차폐부(90)역시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연결부분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함께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전원이 상기 코일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권선된 코일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하여 풀리의 마찰면측으로 압축기 구동측의 허브 디스크가 흡인되어 동력적으로 연결된 다. 이와 같이 되면,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의 구동력이 압축기에 전달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두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커넥터(30)를 각각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드코일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코일과 연결되는 기타 다양한 형상의 커넥터(3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이에 연결된 코일의 와이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필드코일 어셈블리 22: 코어
30: 커넥터 31: 하우징
50: 터미널 51: 몸체
52,55: 선단 56: 결합슬롯
57: 슬롯브릿지 60: 다이오드
62: 리드선 70: 저항
80: 보호코팅부 90: 차폐부
W: 와이어

Claims (7)

  1.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는
    코어(22)에 설치되고 와이어(W)가 권선되어 형성되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어(22)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터미널(50)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W)의 일단과 상기 터미널(50)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코팅부(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부(80)는 자외선경화도료 또는 에폭시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W)는 알루미늄 재질로, 그리고 상기 터미널(50)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W)의 일단과 상기 터미널(50)의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30)의 일측에는 차폐부(9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5.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서트사출을 통해 내부에 터미널(50)이 구비된 상기 커넥터(30)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W)의 일단의 결합부분에 보호코팅부(8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30)와 상기 코일이 결합된 상태로 수지재로 몰딩하여 차폐부(9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부(80)를 형성하는 단계는, 자외선경화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부(80)를 형성하는 단계는, 에폭시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080041959A 2008-05-06 2008-05-0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KR10115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9A KR101152014B1 (ko) 2008-05-06 2008-05-0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JP2009110356A JP5099715B2 (ja) 2008-05-06 2009-04-30 圧縮機用電磁クラッチのフィールドコイ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02781.5A DE102009002781B4 (de) 2008-05-06 2009-05-04 Feldspulenbaugruppe einer elektromagnetischen Kupplung für einen Kompresso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2009101370984A CN101599336B (zh) 2008-05-06 2009-05-04 压缩机电磁离合器的励磁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US12/435,837 US8013705B2 (en) 2008-05-06 2009-05-05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9A KR101152014B1 (ko) 2008-05-06 2008-05-0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82A true KR20090116182A (ko) 2009-11-11
KR101152014B1 KR101152014B1 (ko) 2012-06-08

Family

ID=412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959A KR101152014B1 (ko) 2008-05-06 2008-05-0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13705B2 (ko)
JP (1) JP5099715B2 (ko)
KR (1) KR101152014B1 (ko)
CN (1) CN101599336B (ko)
DE (1) DE10200900278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9196B1 (en) 2009-12-22 2015-11-04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61391B1 (ko) * 2010-06-15 2014-02-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CN101834049B (zh) * 2010-04-27 2011-12-07 东莞国亮电机有限公司 漆包铝线绕组及其制备方法
JP5765706B2 (ja) * 2011-04-28 2015-08-19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DE102011106553A1 (de) * 2011-07-05 2013-01-10 Robert Bosch Gmbh Magnetspulenanordnung und Kollektion von Magnetspulenanordnungen
JP2013222586A (ja) * 2012-04-16 201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ー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57301A1 (ja) * 2013-03-29 2014-10-02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CN103219127A (zh) * 2013-04-25 2013-07-24 艾通电磁技术(昆山)有限公司 交直流转化电磁铁线圈连接结构
CN103219125A (zh) * 2013-04-25 2013-07-24 艾通电磁技术(昆山)有限公司 交直流电磁铁的pcb板组装结构
JP6427333B2 (ja) * 2014-04-16 2018-11-21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の成形方法
JP6286617B2 (ja) * 2015-10-28 2018-02-28 デンソートリム株式会社 内燃機関用回転電機
DE102016216021A1 (de) 2016-08-25 2018-03-01 Seg Automotive Germany Gmbh Abschirmelement zur Abschirmung einer Kontaktstelle eines elektrischen Rotors und elektrischer Rotor
CN107696992B (zh) * 2017-09-26 2023-07-25 鹤壁天海环球电器有限公司 一种铜铝端子及其共压注塑的方法
JP6845992B2 (ja) * 2018-03-22 2021-03-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付き機器
JP6846398B2 (ja) 2018-11-19 2021-03-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センサ組立体及びドアロック装置
JP7347366B2 (ja) 2020-08-07 2023-09-20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モータ用配線材
US11915866B2 (en) * 2021-07-29 2024-02-27 Woodward, Inc. Enhanced safety coil for SOGAV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0754A (en) * 1965-06-29 1967-12-26 Wagner Electric Corp Transformer having reduced differential impedances between secondary portions
US3537677A (en) * 1967-10-17 1970-11-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apsulating electrical windings
US3566008A (en) * 1969-07-15 1971-02-23 Gen Electric Mechanical and electrical joint between copper and aluminum members and method of making such joint
US4381464A (en) * 1979-07-23 1983-04-26 Emerson Electric Co. Extended life, moisture resistant electric motor
JPS5742537U (ko) * 1980-08-22 1982-03-08
US5307038A (en) * 1989-03-28 1994-04-26 Ogura Clutch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US5015948A (en) * 1989-04-24 1991-05-14 Cadillac Gage Textron Inc. Transducer for providing a position signal and transducer temperature
US5508671A (en) * 1994-08-09 1996-04-16 Qgura Clutch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JP3069044B2 (ja) * 1996-05-07 2000-07-24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3250488B2 (ja) * 1996-09-26 2002-0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
JP2001317564A (ja) * 2000-02-29 2001-11-16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JP3422971B2 (ja) * 2000-05-25 2003-07-07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US6420773B1 (en) * 2000-10-04 2002-07-16 Winbond Electronics Corp. Multi-level spiral inductor structure having high inductance (L) and high quality factor (Q)
JP2002340035A (ja) * 2001-05-22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車用空調装置圧縮機の電磁クラッチ
JP2004536723A (ja) * 2001-06-19 2004-12-09 エムアールエム アクイジ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フレキシブル回路を含むptf積層体用紫外線硬化性インキ
JP3980463B2 (ja) * 2002-11-05 2007-09-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耐アーク性端子及び耐アーク性端子対並びに自動車用コネクタ類
KR100547042B1 (ko) * 2003-03-27 2006-01-31 우리산업 주식회사 방전소자부의 내장형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A2523559A1 (en) * 2003-05-06 2004-11-18 Yasuhiro Mori Method for surface preparation of solid substances and surface-prepared solid substances
KR101104274B1 (ko) 2004-10-08 2012-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1067249B1 (ko) 2006-05-03 2011-09-2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WO2008032942A1 (en) * 2006-09-11 2008-03-2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Hermetic compressor
CN101102068B (zh) * 2007-08-08 2010-12-29 江门市汉宇电器有限公司 排水泵永磁同步电机
TW200932082A (en) * 2008-01-04 2009-07-16 Asustek Comp Inc Case with fragran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coating layer on the case
US20090189475A1 (en) * 2008-01-29 2009-07-30 Lg Electronics Inc. Motor,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home applianc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014B1 (ko) 2012-06-08
JP5099715B2 (ja) 2012-12-19
US8013705B2 (en) 2011-09-06
CN101599336B (zh) 2012-11-14
CN101599336A (zh) 2009-12-09
JP2009273354A (ja) 2009-11-19
DE102009002781A1 (de) 2009-11-26
US20090278640A1 (en) 2009-11-12
DE102009002781B4 (de)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1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KR101152051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KR100677736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 구조
US8274275B2 (en) Angle sensor
KR10110427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8562313B2 (en) Pump assembly
EP3051637B1 (en) Motor
CN111755890B (zh) 连接器装置
KR20200030595A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US20140001914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EP2775514B1 (en) Resin-sealed electronic device
CN109416976B (zh) 电抗器及电抗器的制造方法
KR101339811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379628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759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EP2775623B1 (en) Electronic devi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15201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8546B1 (ko) 모터용 방수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GB1560610A (en) Electrically-driven fuel feed apparatus
JPS6246861Y2 (ko)
JP2018081963A (ja) バスバー接合構造及びリアクトル
KR20070111613A (ko)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전원 연결 커넥터
JP2006054999A (ja) モールドモータ
JP2023141845A (ja) モールドコイル及びリアクトル
CN116092790A (zh) 电磁阀线圈结构及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