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853A - 다층 필름 및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853A
KR20090110853A KR1020097016982A KR20097016982A KR20090110853A KR 20090110853 A KR20090110853 A KR 20090110853A KR 1020097016982 A KR1020097016982 A KR 1020097016982A KR 20097016982 A KR20097016982 A KR 20097016982A KR 20090110853 A KR20090110853 A KR 2009011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iner
propylene
random copolymer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374B1 (ko
Inventor
후지오 이노우에
이사무 다테이시
야스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Publication of KR2009011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10T428/1359Three or more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4Including polyene mono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용기의 수용액에 대한 첨가제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과, 이 다층 필름을 이용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 제1층(1), 제2층(2), 제3층(3), 제4층(4), 및 제5층(5)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1층(1)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형성하고, 제2층(2) 및 제4층(4)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형성하며, 제3층(3)을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형성하고, 제5층(5)을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90:10∼10:9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로 형성한다. 이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1층(1)이 외층이 되고, 제5층(5)이 내층이 되도록 하여 용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다층 필름 및 용기{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본 발명은 다층 필름 및 용기에 관한 것이며, 자세히는 의료분야에서 약제, 혈액 등을 수용하는 용도에 이용되는 다층 필름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액 백(bag) 등의 의료용 용기의 형성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의료용 용기 분야에서는 복수 성분의 분리 수용과, 사용시의 상기 복수 성분의 용기 내의 혼합 처리가 가능한 복실(複室) 용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실 용기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수용부 사이를 격리하기 위한 약(弱) 시일부에 대해서, 그 박리 용이 시일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층 필름의 층 구성은 다층 필름의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가열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이나, 다층 필름으로부터 용기 수용액중으로의 첨가제의 용출 방지(내오염성) 등의 관점에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 및 다층 필름을 이용한 용기로서, 특허문헌 1에는 최내층인 제1층을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제2층을 변성 폴리올레핀, 제3층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4층을 변성 폴리올레핀, 최외층인 제5층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및 이 다층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액 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히트 시일 가능한 시일층과, 시일층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유연층과, 제1 유연층 표면에 형성되는 보강층과, 보강층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유연층과, 제2 유연층 표면에 형성되는 최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층이 결정 융점이 135℃∼145℃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코폴리머와, 결정 융점이 160℃를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유연층 및 제2 유연층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코폴리머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코폴리머, 폴리 환상 올레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상기 최외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코폴리머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플라스틱 필름, 및 이 가요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제1층 및 제5층이 밀도 0.930 g/㎝3∼0.950 g/㎝3인 직쇄상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제2층 및 제4층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밀도 0.860 g/㎝3∼0.920 g/㎝3인 직쇄상 초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단독,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밀도 0.860 g/㎝3∼0.920 g/ ㎝3인 직쇄상 초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밀도 0.955 g/㎝3∼O.970 g/㎝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 비율이 전체의 1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혼합한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며, 제3층이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5층 필름, 및 이 5층 필름을 이용한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448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150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79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다층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용기에서는, 예컨대 항생 물질 등을 함유하는 약액을 수용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중의 첨가제가 상기 약액중에 용출한다는(내오염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및 3과 같이,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폴리 환상 올레핀」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층을 중간층에 구비하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용기에서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약액중에의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폴리 환상 올레핀을 중간층에 갖는 다층 필름이나, 그것을 이용한 용기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2 및 3에 기재한 다층 필름 및 용기와 동등 이상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용기의 수용액에 대한 첨가제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과, 그것을 이용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적층되는 제2층과, 상기 제2층에 적층되는 제3층과, 상기 제3층에 적층되는 제4층과, 상기 제4층에 적층되는 제5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 및 제4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90:10∼10:9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다층 필름의 중간층이 되는 제3층에는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에 의하면, 이 다층 필름의 제5층(내층)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의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층에 폴리 환상 올레핀을 포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다층 필름을 통한 수분(특히 수증기)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층(중간층)은 폴리 환상 올레핀 단독이 아니라,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에 의하면, 제3층과, 제3층과 서로 인접하는 제2층 및 제4층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가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필름에 있어서, 용기를 형성할 때의 외층이 되는 제1층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가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으로 용기를 형성할 때의 가공성이 양호하고, 용기의 둘레 가장자리부나 약 시일부의 히트 시일시에서의 다층 필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필름에 있어서, 용기를 형성할 때의 내층이 되는 제5층에는 서로 융점이 상이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상기한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융점차를 이용함으로써, 박리 용이성이 우수한 약 시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1층(외층)과 제3층(중간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2층[중외(中外)층]이나, 제5층(내층)과 제3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4층[중내(中內)층]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에 의하면, 제3층과 제2층 및 제3층과 제4층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나, 상기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필름에 의하면, 다층 필름 전체의 투명성, 층간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나, 증기 멸균, 열수 멸균 등의 고온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제3층을 형성하는 혼합물이, 상기 폴리 환상 올레핀을 전체의 50 중량%∼95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 및/또는
상기 제2층 및 제4층을 형성하는 혼합물이, 상기 α-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전체의 30 중량%∼6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의 적합 양태에 의하면, 제3층(중간층)과, 이 제3층과 서로 인접하는 제2층(중외층) 및 제4층(중내층)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가 한층 더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한층 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제2층 및 제4층에 함유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가,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가 0.5 g/10분 이상 5 g/10분 미만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g/10분)가 5 g/10분 이상 10 g/10분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적합 양태에 의하면, 다층 필름의 성형성이나 투명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층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는, 제2층의 두께가 제4층의 두께의 0.8배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층의 두께가, 상기 제4층의 두께의 1.2배 이하인 것이 더 적합하다.
상기 적합 양태에 의하면, 제2층 및 제4층을 설치하는 것에 수반하는 다층 필름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 효과를 유지하면서, 제5층(내층)과 접촉하는 약액 등으로의 첨가제의 용출 억제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서는, 제2층과 제4층의 두께의 합이 전체 두께의 5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한 적합 양태에 의하면,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한층 더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한층 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층이 외층이 되고, 상기 제5층이 내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용기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적층되는 제2층과, 상기 제2층에 적층되는 제3층과, 상기 제3층에 적층되는 제4층과, 상기 제4층에 적층되는 제5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 및 제4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90:10∼10:9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층이 외층이 되고, 상기 제5층이 내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 의하면, 상기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박리 용이성이 우수한 약 시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에 의하면, 투명성이 양호하고, 층간 강도, 충격에 대한 강도[예컨대 낙판(落板)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며, 증기 멸균, 열수 멸균 등의 고온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이 양호하고, 더 나아가서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약액에의 다층 필름중의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용기에 의하면, 우수한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고, 용기의 수용액에 대한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예컨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용기에 있어서, 특히 항생 물질을 수용하는 용도나, 고온 멸균 처리를 요하는 용도에 있어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제1층, 2: 제2층, 3: 제3층, 4: 제4층, 5: 제5층, 6: 용기(단실 백), 10: 용기(복실 백).
발명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에서의 다층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 다층 필름은 제1층(1)과, 제1층(1)에 적층되는 제2층(2)과, 제2층(2)에 적층되는 제3층(3)과, 제3층(3)에 적층되는 제4층(4)과, 제4층(4)에 적층되는 제5층(5)을 구비하고 있다.
제1층(1)은 다층 필름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는 층으로서, 후술하는 용기의 외층을 형성하는 층이다.
제1층(1)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부터 형성된다. 즉, 제1층(1)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부터 형성되거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폴리프로필렌폴리머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모두 1종의 (코)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 범주로 분류되지만, 예컨대 융점, 용융 흐름 속도, 밀도 등의 물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코)폴리머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다층 필름의 물성으로서, 투명성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상기 혼합물중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함유 비율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 열성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상기 혼합물중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함유 비율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제1층(1)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가 이용되기 때문에, 용기를 형성할 때의 가공성이 양호하고, 용기의 둘레 가장자리부나 약 시일부의 히트 시일시에서의 다층 필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프로필렌 단위가 연속된 블록과, 에틸렌 단위가 연속된 블록이 랜덤으로 배열된 공중합체이다. 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에틸렌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1 몰%∼5 몰%이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융점(T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STM D790에 의한 측정값으로, 바람직하게는 130℃∼14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140℃이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용융 흐름 속도(MFR; ASTM D1238)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 g/10분∼10 g/10분(2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10분∼8 g/10분(230℃)이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시리즈(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랜덤 코폴리머 그레이드, 품번: F327, B241, B205 등.)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 렌, 및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이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융점(T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STM D790에 의한 측정값으로, 바람직하게는 160℃∼16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163℃이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용융 흐름 속도(MFR; ASTM D1238)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 g/10분∼5 g/10분(2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10분∼4 g/10분(230℃)이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시리즈(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호모폴리머 그레이드, 품번: J104WT, J103, J102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층(1)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함께, 다른 폴리머를 혼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층(1)은 다층 필름에 요구되는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α-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등의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또한, α-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로서 입수할 수 있다.
제1층(1)중에서의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3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10 중량% 이하이다.
제1층(1)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12%이다.
제2층(2)은 제1층(1)과 후술하는 제3층(3) 사이에 배치되는 층으로서, 후술하는 용기의 중외층을 형성하는 층이다.
제2층(2)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나, α-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모두 1종의 코폴리머나 엘라스토머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범주로 분류되지만, 예컨대 융점, 용융 흐름 속도, 밀도 등의 물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코폴리머나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제2층(2)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이 이용되기 때문에, 제2층(2)과 제3층(3)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나,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 등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에틸렌 함량, 및 융점(Tm)은 제1층(1)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에 대한 기재와 동일하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제2층(2)에 이용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상호 MFR이 상이한 2종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가 0.5 g/10분 이상 5 g/10분 미만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g/10분)가 5 g/10분 이상 10 g/10분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제2층(2)의 강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지만, 투명성이나 성형성이 양호하다. 이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MFR은, 상기 범위 중에서도 특히, 6 g/10분∼8 g/10분(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제2층(2)의 투명성이나 성형성이, 상기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제2층(2)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MFR는, 상기 범위 중에서도 특히, 0.5 g/10분∼3 g/10분(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2)에 이용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가, 상기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상기 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경우에,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40:60∼70:3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5:55∼60:4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이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α-올레핀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부텐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STM D1505에 의한 측정값으로, 바람직하게는 0.880 g/㎝3∼0.910 g/㎝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0 g/㎝3∼O.900 g/㎝3이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용융 흐름 속도(MFR; ASTM D1238)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 g/10분∼6 g/10분(1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g/10분∼3 g/10분(190℃)이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품명 「타프마(등록상표)」시리즈(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품번: A0585 등.)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 비율은, 예컨대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나, 제2층(2)과 제3층(3)의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층(2)을 형성하는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 비율을 30 중량%∼6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5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층(2)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 α-올레핀 엘라스토머와 함께, 다른 폴리머를 혼합할 수 있다.
제2층(2)의 두께는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지만, 예컨대 다층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이다.
또한, 제2층(2)의 두께는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후술하는 제4층(4)에서의 α-올레핀 코폴리머의 양을 적게 하고, 제5층(5)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의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제4층(4)의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8∼5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8∼1.2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4층(4)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3층(3)은 제2층(2)을 사이에 두고, 제1층(1)과 대향 배치되는 층으로서, 후술하는 용기의 중간층을 형성하는 층이다.
제3층(3)은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폴리 환상 올레핀은 환상 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머(환상 올레핀 폴리머; COP) 또는 코폴리머(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COC)이다.
또한, 폴리 환상 올레핀은 모두 1종의 (코)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범주로 분류되지만, 예컨대 융점, 용융 흐름 속도, 밀도 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코)폴리머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제3층(3)에,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과의 혼합물이 이용되기 때문에, 다층 필름을 통과한 수분(특히 수증기)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2층(2)이나 제4층(4)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나,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며,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COP)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의 개환 중합체,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의 개환 중합체, 노르보넨계 화합물의 개환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디시클로펜타디엔, 2, 3-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노르보넨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노르보넨, 5-메틸-2-노르보넨, 5, 5-디메틸-2-노르보넨, 5-에틸-2-노르보넨, 5-부틸-2-노르보넨, 5-에틸리덴-2-노르보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COC)로서는, 예컨대 2종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의 개환 공중합체, 2종 이상의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의 개환 공중합체, 2종 이상의 노르보넨계 화합물의 개환 공중합체, 및 이들 수소 첨가물, 예컨대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및 노르보넨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및 이 수소 첨가물, 예컨대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및 노르보 넨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및 노르보넨계 화합물은,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과,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쇄상 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쇄상 올레핀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폴리 환상 올레핀의 글라스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 7121에 의한 측정값으로,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50℃이다.
폴리 환상 올레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클로헥산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에 의해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Mn>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만∼1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만∼5만이다.
또한, 폴리 환상 올레핀의 분자쇄중에 잔류하는 불포화 결합을 수소 첨가에 의해 포화시키는 경우의 수소 첨가율(수첨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9%∼100%이다.
폴리 환상 올레핀은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품명「아펠(등록상표)」시리즈(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품번: APL6011T, APL6013T 등.), 상품명 「제오노아(등록상표)」시리즈(니혼제온주식회사제, 품번: 102OR, 750R 등 .), 상품명 「토파스」시리즈(티코나 GmbH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상기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 전체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직쇄상의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밀도(ASTM D1505) 0.930 g/㎝3∼0.965 g/㎝3인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으로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모두, 1종의 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범주로 분류되지만, 예컨대 융점, 용융 흐름 속도, 밀도, 분자쇄의 구조, 제조 방법 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머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속도(MFR; ASTM D1238)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 g/10분∼20 g/10분(1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10분∼10 g/10분(190℃)이다.
폴리에틸렌의 융점(T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STM D2117에 의한 측정값으로, 바람직하게는 120℃∼1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131℃이다.
폴리에틸렌은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품명 「울트젝스(등록상표)」시리즈(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품번: UZ4020B 등.), 상품명 「네오젝스(등록상표)」시리즈(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품번: NZ65150 등.) 등을 들 수 있다.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비율은, 예컨대 다층 필름을 통한 수분(특히 수증기)의 투과성, 제5층(내층)(5)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 대한 내오염성(첨가제의 용출 억제 효과), 제2층(2)이나 제4층(4)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제3층(3)을 형성하는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폴리 환상 올레핀의 혼합 비율을, 50 중량%∼95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9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3층(3)에는 폴리 환상 올레핀, 및 폴리에틸렌과 함께, 다른 폴리머를 혼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층(3)은 다층 필름에 요구되는 유연성, 제2층(2)이나 후술하는 제4층(4)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α-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로서는, 상기와 같다.
제3층(3)중에서의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3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10 중량% 이하이다.
제3층(3)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12%이다.
제4층(4)은 제3층(3)을 사이에 둔 제2층(2)과 대향 배치되는 층으로서, 후술하는 용기의 중내층을 형성하는 층이다.
제4층(4)은 제2층(2)과 마찬가지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제4층(4)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이 이용되기 때문에, 제4층(4)과 제3층(3) 사이의 접착 강도(층간 강도)나, 다층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후술하는 용기에 대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 등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 α-올레핀 엘라스토머에 대한 종류, 물성 및 그 적합 범위, 시판품의 명칭 등은 모두 제2층(2)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4층(4)에 이용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가, 상기 고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상기 저MFR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경우에, 양자의 함유 비율은 제2층(2)의 경우와 동일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 비율은, 예컨대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나, 제4층(4)과 제3층(3)의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제4층(4)을 형성하는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 비율을, 30 중량%∼6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5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4층(4)의 두께는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고, 예컨대 다층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한 비율은 제2층(2)의 경우와 같다.
또한, 제4층(4)의 두께는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4층(4)에서의 α-올레핀코폴리머의 양을 적게 하고, 제5층(5)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의 첨가제의 용출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제2층(2)의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1.25배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6∼1.25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층(2)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2층(2)의 두께와, 제4층(4)의 두께를, 상기 비율로 설정함으로써,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층 필름중의 첨가제가 후술하는 제5층(내층)(5)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 용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층(2)의 두께와, 제4층(4) 두께의 합은 다층 필름이나,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다층 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제5층(5)은 다층 필름의 다른쪽 표면에 배치되는 층으로서, 후술하는 용기의 내층을 형성하는 층이다.
제5층(5)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모두 1종의 (코)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범주로 분류되지만, 예컨대 융점, 용융 흐름 속도, 밀도 등의 물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코)폴리머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제5층(5)에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의 혼합물이 이용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융점차를 이용함으로써, 박리 용이성이 우수한 약 시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에 대한 종류, 물성, 시판품의 명칭 등은 모두 상기와 동일하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 비율은, 예컨대 상기 다층 필름을 이용하여 용기를 형성할 때의, 약 시일부의 박리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의 중량비가 90:10∼10:90이고, 바람직하게는 80:20∼20:8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40:60이다.
또한, 제5층(5)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함께, 다른 폴리머를 혼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5층(5)은 다층 필름에 요구되는 유연성, 후술하는 용기의 둘레 가장자리부(강 시일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시일성, 용기의 약 시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박리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α-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α-올레핀 엘라스토머로서는, 상기와 같다.
제5층(5)중에서의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3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10 중량% 이하이다.
제5층(5)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다층 필름의 용도,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액 백(예컨대 내용량이 500 mL 정도까지의 것), 혈액 백, 경장(經腸) 영양용 백, 유동(流動) 식용 백 등의 의료용 용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일반적으로 100 ㎛∼3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22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200 ㎛이다.
상기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냉식 또는 공랭식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T다이법,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층 필름의 특성, 특히 투명성이나, 다층 필름 제조시의 경제성, 다층 필름의 위생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및 공압출 T다이법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어느 방법에서도, 다층 필름의 제조는 각 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로 실시해야 하지만, 제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지의 일부가 열분해되어 분해 생성물에 의한 성능의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의 제조 온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200℃이다. 또한,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다층 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MFR의 차이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층 필름은 우수한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 제5층(내층)(5)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 대한 내오염성(첨가제 의 용출 억제 효과)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다층 필름은, 예컨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용기의 형성 재료로서 적합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용기(6)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층 필름의 제1층(1)을 외층으로 하고, 제5층(5)을 내층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용기(6)는 2장의 다층 필름을 각각 제5층(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그 둘레 가장자리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일부(7)는 다층 필름을, 그 제5층(5)이 내측이 되도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주머니형 또는 튜브형으로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주머니형 또는 튜브형의 다층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용기(6)의 수용부(8)는, 상기 시일부(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용기(6)는 내부에 하나의 수용부(8)를 구비하는 단실(單室)백이다.
또한, 시일부(7)의 일부에는, 수용부(8)와 용기(6)의 외부 사이에서 약액 등을 유출입시키기 위한 통 부재(9)가 2장의 다층 필름으로 끼워진 상태로 용착되어 있다.
시일부(7)의 형성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20℃∼160℃이다. 또한 다층 필름의 두께가, 예컨대 180 ㎛ 정도인 경우에, 시일부(7)는, 상기한 온도 범위에서, 시일 시간을 0.5∼5초로 설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이 용기(10)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층 필름의 제1층(1)을 외층으로 하고, 제5층(5)을 내층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용기(10)는 2장의 다층 필름을 각각 제5층(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로, 그 둘레 가장자리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부(11)를 구비하고 있고, 시일부(11)의 일부에서 2장의 다층 필름에 끼워진 상태로 용착되는 통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부(11)는 도 2에 도시하는 용기(6)의 시일부(7)와 동일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일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10)는 그 내부에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수용부(13, 14)를 구비하는 복실 백(복실 용기)으로서, 이 2개의 수용부(13, 14)는 박리 용이성을 갖는 약 시일부(1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약 시일부(12)는 2장의 다층 필름의 제5층(5)끼리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약 시일부(12)의 시일 강도는 2개의 수용부(13, 14) 중 한 쪽을 압박하여, 그 수용부에 의한 액압을 약 시일부(12)에 대하여 부가했을 때에, 용이하게 개열(開裂)되는 정도로 설정된다.
약 시일부(12)의 히트 시일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10℃∼130℃이다. 또한 다층 필름의 두께가, 예컨대 180 ㎛ 정도인 경우에, 약 시일부(12)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시일 시간을 0.5∼5초로 설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통 부재(9)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통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 통 부재(9)는 용기(6, 10)의 수용부(8, 13, 1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약액을, 용기(6, 10)의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또는 용기(6, 10)의 외부에서 수용부(8, 13, 14) 내로 약액을 유입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통상 그 내부에 통 부재(9)를 밀 봉하기 위한, 중공 침 등에 의해 천자(穿刺) 가능한 밀봉체(예컨대 고무 마개 등.)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에서, 수용부 내에 약액, 그 외의 수용물을 수용하고, 밀폐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층이 외층이 되고, 상기 제5층이 내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박리 용이 시일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멸균 처리에 대한 내열성, 제5층(내층)과 접촉하는 약액 등에 대한 내오염성(첨가제의 용출 억제 효과)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용기는, 예컨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용기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용기가 복실 용기인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시에 혼합하는 2종 이상의 수액을 분리하여 수용, 보존하기 위한 수액 백이나, 예컨대 항생제와 그 용해액을 분리하여 수용, 보존하기 위한 항생제 키트로서 적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다층 필름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 그 기재 번호와, 성상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R-PP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융점(Tm)(ASTM D790) 137℃, 밀도(ASTM D1505) 0.90 g/㎝3, 용융 흐름 속도(MFR; ASTM D1238) 7.0 g/10분(230℃),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F327」,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R-PP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융점(Tm)(ASTM D790) 139℃, 밀도(ASTM D1505) 0.90 g/㎝3, MFR(ASTM D1238) 0.5 g/10분(230℃),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B241」,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R-PP3: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융점(Tm)(ASTM D790) 155℃, 밀도(ASTM D1505) 0.910 g/㎝3, MFR(ASTM D1238) 1.0 g/10분(230℃),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B205」,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H-PP: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융점(Tm)(ASTM D790) 162℃, 밀도(ASTM D1505) 0.91 g/㎝3, MFR(ASTM D1238) 3.2 g/10분(230℃),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J104WT」,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ASTM D1505) 0.94 g/㎝3, MFR(ASTM D1238) 2.1 g/10분(190℃), 상품명 「울트젝스(등록상표) 4020 B」,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제
·α-OE1: α-올레핀 엘라스토머(접착성 폴리올레핀), 융점(Tm) 71℃, 밀도(ASTM D1505) 0.885 g/㎝3, MFR(ASTM D1238) 0.5 g/10분(190℃), 상품명「타프마(등록 상표) A0585T」,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α-OE2: α-올레핀 엘라스토머(접착성 폴리올레핀), 융점(Tm) 71℃, 밀 도(ASTM D1505) 0.885 g/㎝3, MFR(ASTM D1238) 4.0 g/10분(190℃), 상품명「타프마(등록상표) A4085」,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COP: 폴리 환상 올레핀(환상 올레핀 폴리머), 글라스 전이 온도(Tg)(JIS K 7121) 105℃, 비중(ASTM D792) 1.01, 상품명 「제오노아(등록상표)1020R」, 일본제온주식회사제
<다층 필름 및 용기의 제조>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총 두께 180 ㎛의 다층 필름을,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각 층의 형성 재료를 하기의 표 1에 도시한다. 표 1의 「제1층(외층)」, 「제2층」, 「제3층」, 「제4층」 및 「제5층(내층)」의 각 란에서는, 해당하는 층의 형성 재료의 기재 번호를 상단에 표시하고, 2종 이상의 수지 재료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혼합 비율(중량 비율)을 중단에 표시하였다. 또한, 해당하는 층의 두께를 하단에 표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3에서, 각 층의 두께는 제1층(외층)(1)이 20 ㎛, 제2층(중외층)(2)이 85 ㎛, 제3층(중간층)(3)이 20 ㎛, 제4층(중내층)(4)이 25 ㎛, 및 제5층(내층)(5)이 30 ㎛였다.
이어서, 얻어진 다층 필름 2장을, 각각의 제5층(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이용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2개의 수용부(13, 14)를 갖는 용기(복실 백)(10)를 제조하였다. 용기(10)의 둘레 가장자리부(강 시일부)(11)의 시일 조건은 185℃, 3 초간으로 하고, 약 시일부(12)의 시일 조건은 146℃, 3초간으로 하였다.
또한, 용기(10)의 수용부(13)는 최대 수용량을 약 300 mL로 하고, 1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한편, 수용부(14)는 최대 수용량을 약 500 mL로 하며, 3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3
다층 필름의 각 층의 형성 재료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복실 백)(10)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1
<특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및 용기(복실 백)(10)에 대해서, 하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1) 투명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마다 복수의 용기(복실 백)(10)를 준비하고, 121℃, 20분간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한 용기(10)에 대해서, 용기(10)를 형성하는 다층 필름을 잘라내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파장 450 ㎚의 수중에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용 샘플은 3개의 용기(10)로부터 각 6개(합계 18개)를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는 측정용 샘플 18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용기(복실 백)(10)의 투명성은 고압 증기 멸균 처리 후에 광투과율이 90% 이상일 때를 매우 양호(A+)로 하고, 85% 이상 90% 미만일 때를 양호(A)로 하며, 80% 이상 85% 미만일 때를 약간 불충분(B)으로 하고, 80%를 하회할 때를 불량(C)으로 하였다.
(2) 층간 강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부터, 각각 15 ㎜ 폭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제2층(중외층)(2)과 제3층(중간층)(3) 사이에서,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시험편의 길이 방향)에 부분적으로 노치를 넣었다. 이어서, 상기 노치 부분에 제1층(1) 및 제2층(2)의 적층체와, 제3층(3)부터 제5층(5)까지의 적층체를, 각각 인장 시험기로 잡은 상태로 하고, 상호 90˚의 각도로 인장함으로써(인장 속도 200 ㎜/분), 다층 필름의 제2층과 제3층이 박리하는 데 요하는 힘(층간 강도, 단위: N)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합계 5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이 층간 강도는 4.0 N 이상일 때를 매우 양호(A+)로 하고, 3.0 N 이상 4.0 N 미만일 때를 양호(A)로하며, 2.4 N 이상 3.0 N 미만일 때를 대략 양호(A-)로 하고, 2.0 N 이상 2.4 N 미만일 때를 약간 불충분(B)으로 하며, 2.0 N 미만일 때를 불량(C)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3) 낙판 강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각 2장을 이용하여, 각각 폭 130 ㎜, 길이 250 ㎜의 사방 주머니(상기 다층 필름의 사방에, 시일폭 5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한 것.)를 샘플로서 제작하였다. 상기 사방 주머니 내부에는 약 50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이어서, 5℃의 분위기 하에서, 평평한 작업대 위에 상기 사방 주머니를 설치하고, 그 위쪽에서 무게 6.4 kg의 철판(폭 30 ㎝, 길이 32 ㎝)을 수평으로 낙하시켰다. 또한, 철판의 낙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상기 사방 주머니가 찢어졌을 때의 상기 철판의 낙차(㎝)를 측정하고, 찢어졌을 때의 낙차(㎝)를 낙판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합계 10개의 샘플에 대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낙판 강도는, 상기 낙차가 10 ㎝ 이상일 때를 양호(A)로 하고, 5 ㎝ 이상 10 ㎝ 미만일 때를 약간 불충분(B)으로 하며, 5 ㎝ 미만일 때를 불량(C)으로 하여, 낙판 강도를 평가하였다.
(4) 박리 용이성
상기 용기(10)의 제작시에, 약 시일부(12)에서의 히트 시일 온도를, 1℃마다 변경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용기(10)에 대해서, 약 시일부(12)를 개열시켜 박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 시일부(12)에서의 히트 시일 온도가 145℃∼147℃인 경우 전체에서, 약 시일부(12)의 박리 용이성이 양호한 경우를 A(양호)로 하고, 박리 용이성에 지장을 발생시키는 시일 온도가 있던 경우를 C(불량)로 하여 박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5) 내열성
낙판 강도의 측정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사방 주머니(약 500 mL의 증류수를 충전한 것.)에 대하여, 121℃, 20 분간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압 증기 멸균 처리 후의 사방 주머니에 대해서, 변형, 찢어짐 및 시일 누설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다층 필름의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A(양호): 변형, 찢어짐 및 시일 누설이 전혀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변형을 받은 흔적이 약간 관찰되었지만, 찢어짐 및 시일 누설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어느 경우도 내열성이 양호했다.
C(불량): 변형을 받은 흔적이 관찰되고, 찢어짐이나 시일 누설도 관찰되었다.
(6) 내오염성
낙판 강도의 측정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사방 주머니(약 500 mL의 증류수를 충전한 것.)에 대하여, 121℃, 20분간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압 증기 멸균 처리 후의 사방 주머니에 수용된 증류수에 포함되는 성분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다층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용출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다층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첨가제로서는 항산화제, 블로킹 방지제, 및 윤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석의 결과, 상기 첨가제의 용출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의 총 합(이하, 동일)으로서, 그 농도가 1 ppm 미만인 경우]를, 내오염성이 양호(A)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1 ppm 이상인 경우를, 내오염성이 불량(C)인 것으로 하였다.
상기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층간 강도, 낙판 강도), 약 시일부의 박리 용이성, 내열성, 및 내오염성(용출물의 억제 효과) 중 어느 평가 항목에 대해서도 우수했다.
한편, 제3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1은 내오염성이 뒤떨어져 있고,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2는 기계적 강도(층간 강도, 낙판 강도)가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2층 및 제4층이 α-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에서는 기계적 강도(층간 강도, 낙판 강도)가 매우 낮아졌다.
<다층 필름 및 용기의 제조>
실시예 3
도 1에 도시하는 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총 두께 180 ㎛의 다층 필름을,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각 층의 형성 재료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제1층(외층)」, 「제2층」, 「제3층」, 「제4층」 및 「제5층(내층)」의 각 란에서는, 해당하는 층의 형성 재료의 기재 번호를 상단에 표시하고, 2종 이상의 수지 재료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혼합 비율(중량 비율)을 중단에 표시하였다. 또한, 해당하는 층의 두께를 하단에 표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다층 필름 2장을, 각각 제5층(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이용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2개의 수용부(13, 14)를 갖는 용기(복실 백)(10)를 제조하였다. 용기(10)의 둘레 가장자리부(강 시일부)(11)의 시일 조건은 185℃, 3초간으로 하고, 약 시일부(12)의 시일 조건은 146℃, 3초간으로 하였다.
또한, 용기(10)의 수용부(13)는 최대 수용량을 약 300 mL로 하고, 1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한편, 수용부(14)는 최대 수용량을 약 500 mL로 하고, 3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실시예 4∼5, 비교예 4∼6
다층 필름의 각 층의 형성 재료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복실 백)(10)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3
<특성 평가>
실시예 3∼5 및 비교예 4∼6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및 용기(복실 백)(10)에 대해서, 하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1) 투명성
상기 실시예 3∼5 및 비교예 4∼6마다 복수의 용기(복실 백)(10)를 준비하고, 일부의 용기(10)에 대하여, 121℃, 20분간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용기(10)와, 상기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한 용기(10)에 대해서, 각각 용기(10)를 형성하는 다층 필름을 잘라내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파장 450 ㎚의 수중에서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용 샘플은 3개의 용기(10)로부터 각 6개(합계 18개)를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는 고압 증기 멸균 처리 전 및 고압 증기 멸균 처리 후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측정용 샘플 18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용기(복실 백)(10)의 투명성은 고압 증기 멸균 처리 전 및 고압 증기 멸균 처리 후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2) 층간 강도
실시예 3∼5 및 비교예 3∼6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부터, 각각 15 ㎜ 폭의 시험편을 잘라낸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다층 필름의 제2층(중외층)(2)과 제3층(중간층)(3)이 박리하는 데 요하는 힘(층간 강도, 단위: N)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합계 5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층간 강도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 낙판 강도
실시예 3∼5 및 비교예 4∼6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각 2장을 이용하여 사방 주머니를 제작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사방 주머니가 찢어졌을 때의 낙판 강도(철판의 낙차, 단위: ㎝)를 구하였다.
낙판 강도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5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층간 강도, 낙판 강도) 중 어느 평가 항목에 대해서도 우수했다.
한편,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4나,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5는, 투명성 및 층간 강도가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6은 낙판 강도가 뒤떨어져 있었다.
<다층 필름 및 용기의 제조>
실시예 6∼10
도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을,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각 층의 형성 재료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낸다. 표 5의 「제1층(외층)」, 「제2층」, 「제3층」, 「제4층」 및 「제5층(내층)」의 각 란에서는, 해당하는 층의 형성 재료의 기재 번호를 상단에 표시하고, 2종 이상의 수지 재료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혼합 비율(중량 비율)을 중단에 표시하였다. 또한, 해당하는 층의 두께를 하단에 표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다층 필름 2장을, 각각의 제5층(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이용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2개의 수용부(13, 14)를 갖는 용기(복실 백)(10)를 제조하였다. 용기(10)의 둘레 가장자리부(강 시일부)(11)의 시일 조건은 185℃, 3초간으로 하고, 약 시일부(12)의 시일 조건은 146℃, 3초간으로 하였다.
또한, 용기(10)의 수용부(13)는 최대 수용량을 약 300 mL로 하고, 1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한편, 수용부(14)는 최대 수용량을 약 500 mL로 하고, 35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5
<특성 평가>
실시예 1 및 6∼10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및 용기(복실 백)(10)에 대해서, 하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1) 투명성
실시예 1 및 6∼10마다 복수의 용기(복실 백)(10)를 준비하고, 123℃, 13분간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실시한 용기(10)에 대해서, 용기(10)를 형성하는 다층 필름을 잘라내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파장 450 ㎚의 수중에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용 샘플은, 3개의 용기(10)로부터 각 6개(합계 18개)를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는, 측정용 샘플 18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용기(복실 백)(10)의 투명성은 전술의 경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2) 층간 강도
실시예 1 및 6∼10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부터, 각각 15 ㎜ 폭의 시험편을 잘라낸 것 이외는, 전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다층 필름의 제2층(중외층)과 제3층(중간층)이 박리하는 데 요하는 힘(층간 강도, 단위: N)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합계 5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층간 강도는, 전술의 경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 낙하 시험
실시예 1 및 6∼10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각 2장을 이용하여, 각각 폭 130 ㎜, 길이 250 ㎜의 사방 주머니(상기 다층 필름의 사방에, 시일 폭 5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한 것.)를 제작하였다. 상기 사방 주머니의 내부에는 약 500 mL의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이어서, 상기 사방 주머니 10개를 0℃의 분위기 하에서 2일간 보관하고, 그 후, 상기 사방 주머니 10개를, 겹쳐 쌓은 상태로 1.2 m의 높이로부터 수평으로 낙하시켰다. 이 낙하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고, 상기 사방 주머니가 찢어졌을 때의 상기 낙하 조작의 횟수를 카운트하였다.
상기 사방 주머니가 찢어지기까지의 낙하 조작 횟수는 많을수록 바람직하고, 실용상 바람직하게는 5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회 이상이다.
상기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659073-PCT00006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10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투명성이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 1에 비해, 층간 강도 및 낙하 시험의 결과가 우수했다.
또한,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예컨대 용기의 형성 재료로서 적합하고, 특히, 예컨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용기의 형성 재료로서 적합하며, 본 발명의 용기는, 예컨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용기로서 적합하다.

Claims (8)

  1.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적층되는 제2층과, 상기 제2층에 적층되는 제3층과, 상기 제3층에 적층되는 제4층과, 상기 제4층에 적층되는 제5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 및 제4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90:10∼10:9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을 형성하는 혼합물이, 상기 폴리 환상 올레핀을 전체의 50 중량%∼95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및 제4층을 형성하는 혼합물이, 상기 α-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전체의 30 중량%∼6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및 제4층에 함유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가,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가 0.5 g/10분 이상 5 g/10분 미만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230℃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속도(g/10분)가 5 g/10분 이상 10 g/10분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가, 상기 제4층의 두께의 0.8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2층의 두께가, 상기 제4층의 두께의 1.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4층의 두께의 합이 전체 두께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8.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적층되는 제2층과, 상기 제2층에 적층되는 제3층과, 상기 제3층에 적층되는 제4층과, 상기 제4층에 적층되는 제5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 및 제4층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이 폴리 환상 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층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90:10∼10:9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층이 외층이 되고, 상기 제5층이 내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97016982A 2007-02-23 2008-02-18 다층 필름 및 용기 KR101406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44067 2007-02-23
JP2007044067 2007-02-23
PCT/JP2008/052668 WO2008102733A1 (ja) 2007-02-23 2008-02-18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853A true KR20090110853A (ko) 2009-10-22
KR101406374B1 KR101406374B1 (ko) 2014-06-12

Family

ID=3971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82A KR101406374B1 (ko) 2007-02-23 2008-02-18 다층 필름 및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84958B2 (ko)
EP (1) EP2127866B1 (ko)
JP (1) JP5340909B2 (ko)
KR (1) KR101406374B1 (ko)
CN (1) CN101657328B (ko)
AU (1) AU2008218065B2 (ko)
EG (1) EG25397A (ko)
TW (1) TWI432323B (ko)
WO (1) WO2008102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345A (ko) * 2017-12-08 2020-08-03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200802769B (en) * 2005-09-29 2009-09-30 Alcon Inc Dual-chamber solution packaging system
EP1840164A1 (en) * 2006-03-30 2007-10-03 SOLVAY INDUSTRIAL FOILS MANAGEMENT AND RESEARCH (Société Anonyme) Retortable composition
EP2266521B1 (en) * 2008-03-14 2013-08-28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Plastic ampule
JP5462694B2 (ja) * 2010-04-26 2014-04-0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容器
JP5462697B2 (ja) * 2010-04-28 2014-04-0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容器
AU2011260914B2 (en) * 2010-05-31 2015-02-05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ultilayer film and bag formed from multilayer film
JP5720202B2 (ja) * 2010-11-26 2015-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吸着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袋
USD699343S1 (en) 2011-12-20 2014-02-11 Alcon Research, Ltd. Irrigation solution bag
JP6018754B2 (ja) * 2012-01-06 2016-11-0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レトルトパウチ用包装材料
IN2014DN09629A (ko) * 2012-05-15 2015-07-31 Otsuka Techno Corp
FR2995789A1 (fr) * 2012-09-25 2014-03-28 Pharmadyne Utilisation d'une poche preremplie en perfusion ambulatoire
JP6195102B2 (ja) 2013-02-28 2017-09-1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
JP7047528B2 (ja) * 2018-03-28 2022-04-05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高強度易引裂性多層フィルム並びに包装袋及びストレッチフィルム
CN115335230A (zh) * 2020-06-12 2022-11-11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层膜、包装材料及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924A (ja) 1989-11-13 1991-07-03 Sutaarubber Kogyo Kk 多数の突状物を形成された発泡シートの製法及びその装置
DE19515254C2 (de) 1995-04-26 1998-06-04 Fresenius Ag PVC-frei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deren Verwendung
DE69713661T2 (de) 1996-04-11 2003-02-13 Mitsui Chemicals Inc Mehrschichtfolie und Verpackunsgmaterial
CN1110514C (zh) * 1996-05-06 2003-06-04 蒙特尔技术有限公司 可控剥离强度可热封膜的聚烯烃组合物
JP3339033B2 (ja) * 1996-08-01 2002-10-2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TW400341B (en) * 1997-05-22 2000-08-01 Chisso Corp Propyene polymer blends, processes of producing the same, an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FI980342A0 (fi) * 1997-11-07 1998-02-13 Borealis As Polymerroer och -roerkopplingar
JP4571328B2 (ja) 2001-04-04 2010-10-27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MY134275A (en) * 2002-05-17 2007-11-30 Otsuka Pharma Co Ltd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JP4242216B2 (ja) * 2002-06-28 2009-03-25 三井化学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4460372B2 (ja) 2004-07-09 2010-05-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輸液バッグ
EP1803552B1 (en) 2004-10-18 2014-01-2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Gas barrier film for medical use and medical bags made by using the same
JP2006224482A (ja) 2005-02-18 2006-08-31 Chuei Products Co Ltd 多層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345A (ko) * 2017-12-08 2020-08-03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US11833109B2 (en) 2017-12-08 2023-12-05 Fujimori Kogyo Co., Ltd.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7866A4 (en) 2011-08-31
KR101406374B1 (ko) 2014-06-12
EG25397A (en) 2011-12-27
AU2008218065B2 (en) 2011-09-29
JPWO2008102733A1 (ja) 2010-05-27
TWI432323B (zh) 2014-04-01
CN101657328B (zh) 2012-12-26
TW200843953A (en) 2008-11-16
AU2008218065A1 (en) 2008-08-28
EP2127866A1 (en) 2009-12-02
EP2127866B1 (en) 2014-10-15
WO2008102733A1 (ja) 2008-08-28
US20100143627A1 (en) 2010-06-10
JP5340909B2 (ja) 2013-11-13
CN101657328A (zh) 2010-02-24
US8784958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374B1 (ko) 다층 필름 및 용기
KR101450368B1 (ko) 약제 용기 및 다층 필름
EP1894851B1 (en) Duplex-chamber package
KR101091528B1 (ko)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AU2010309023B2 (en) Plastic film and infusion bag
KR101195707B1 (ko)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JPWO2007015415A1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2011230380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容器
JP7240435B2 (ja) 積層体及び容器
TW201505837A (zh) 易開封性積層薄膜及其用途
JP2005193609A (ja) 多層フィルム
WO2013172235A1 (ja) 多層フィルム、薬液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8503B2 (ja) 自立性袋及び自立性袋を減容化する方法
KR100347072B1 (ko) 의료용 다층 필름
JP698700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CN113677605B (zh) 容器用多层膜及包含该容器用多层膜的容器
JP2023066723A (ja) 積層体及びプラスチック容器
JP2023066722A (ja) 積層体及びプラスチック容器
JP2023023035A (ja) 成形品および容器
JP2023148790A (ja) 積層体及び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235080Y1 (ko) 의료용 다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