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648A -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648A
KR20090104648A KR1020090011300A KR20090011300A KR20090104648A KR 20090104648 A KR20090104648 A KR 20090104648A KR 1020090011300 A KR1020090011300 A KR 1020090011300A KR 20090011300 A KR20090011300 A KR 20090011300A KR 20090104648 A KR20090104648 A KR 2009010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fan
detec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734B1 (ko
Inventor
켄이치 카토
히로유키 요코타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9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85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1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7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9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900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체에 뒤틀림이 발생해도 커버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전기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략 상자체를 이루고, 단면(3a)을 개구하고 있는 케이스(3)와, 당해 케이스(3)의 상기 단면을 덮는 덮개면(5a)을 가지는 커버(5)와, 상기 케이스(3)와 상기 커버(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3)와 상기 커버(5)가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4)와, 상기 케이스(3)와 상기 커버(5)의 닫힘 상태를 보지하는 걸어맞춤부(12)를 가지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12)는 상기 케이스(3) 내에 설치되고, 그 축부가 상기 케이스(3)의 내면(3b)에 대략 직교되는 축 부재(9), 당해 축 부재(9)의 선단(9a)이 축 부재 누름부(10)의 가이드공 단면(10a)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에서 고정하는 축받이 부재(11)로 이루어지는 걸림부(7)와, 상기 커버(5)에 장착되는 장착편(23)과 당해 장착편(23)의 단부에 연접하여 대략 긴 구멍 형상의 절결부(25)를 연통시키는 대략 'コ'자 형상부(27)를 구비하는 결합 부품(20)으로 이루어지는 걺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광체, 커버, 전기 기기, 걸어맞춤부, 개폐

Description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ELECTRIC INSTRUMENT AND SMOK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벽면 등에 장착하는 화재 수신기 등의 전기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기기의 케이스(case)와 커버(cover)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공기 중에 부유하는 연기 등의 오염 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면 등에 장착하는 화재 수신기의 광체(筐體)와 윗문짝의 개폐 구조에 있어서는, 당해 광체의 문짝을 닫힘 상태에서 보지(保持)할 때, 잠금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 잠금 기구는 당해 광체 및 문짝에 설치되고, 문짝을 닫았을 때에 끼워맞춰져 잠기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화재 예방이나 연기 발생시의 검지 시스템으로서, 혹은 일정한 환경 보전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장이나 식품 공장 등에 있어서 연기 감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연기 감지기는 감시 구역으로부터 샘플링(sampling) 관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장치와, 흡인 장치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도입되어, 그 도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연기 입자를 검출하는 검연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종래 의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검연 장치와 흡인 장치는 연기 감지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있고, 양자는 긴 배관을 통하여 연통되고, 연기 감지기의 광체 내에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 검연 장치와 흡인 장치는 제어 기판(제어 장치)과 동일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52004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714926호 공보
종래에 있어서는, 광체(筐體)의 문짝을 개폐할 때에, 당해 광체나 문짝이 휘어져 있으면, 잠금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끼리가 어긋나기 때문에 완전하게 끼워맞춰질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장기적으로 잠금 기구 자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변형이나 파손을 발생시키고, 문짝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근년 들어 화재 수신기 등의 경량화가 요구되어, 휘기 쉬운 수지 재료의 광체가 이용되므로, 상기 문제는 더욱 더 심각한 것으로 된다.
이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광체에 뒤틀림이 발생해도 커버(cover)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또,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연기 감지기의 광체 내에 있어서 검연 장치부와 흡인 장치부가 긴 배관을 통하여 연통되고, 광체 내에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자 간에 긴 배관과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배관 부품 비용을 저감화할 수 없고, 또 연기 감지기의 광체를 소형화할 수도 없었다.
이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배관 부품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고, 또 광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또,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연기 감지기의 광체 내에 있어서 검연 장치부와 흡인 장치부가 제어 기판과 동일 공간에 수납되어 있고, 양자 간에는 칸막이가 하등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연기 감지기가 구동 중에 제어 기판의 전원부로부터의 열이 검연 장치나 흡인 장치에 전해져 버리거나, 흡인 장치의 진동이 제어 기판에 전해져 버리거나 하여, 서로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었다. 또, 흡인 장치는 그 배기구가 연기 감지기의 광체의 측벽에 설치되지만, 광체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면, 그것이 배관 부품을 통하여 흡인 장치나 검연 장치에 전해져 버려,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었다.
이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검연 장치나 흡인 장치와 제어 기판 사이에서 열이나 진동 등이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또 광체에 가해지는 충격 등이 검연 장치나 흡인 장치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는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1의 발명은 대략 상자체를 이루고, 단면(端面)을 개구하고 있는 케이스(case)와, 당해 케이스의 상기 단면을 덮는 덮개면을 가지는 커버(cover)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hinge portion)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닫힘 상태를 보지(保持)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그 축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대략 직교되는 축 부재, 당해 축 부재의 선단이 축 부재 누름부의 가이드(guide)공 단면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에서 고정하는 축받이 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장착편과 당해 장착편의 단부에 연접하여 대략 긴 구멍 형상의 절결부를 연통시키는 대략 'コ'자 형상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걺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의 선단측 내 면과 상기 가이드공 단면, 그리고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의 후단측 외면과 상기 케이스 내면이 각각 맞춰지고, 또한 상기 절결부에 상기 걸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진다.
이 제2의 발명은 대략 상자 형상의 광체(筐體) 내에, 샘플링(sampling)용 배관으로부터 샘플링 공기를 흡인시키는 팬(fan)과, 당해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의 샘플링 공기가 도입되는 연기 검출 유닛(unit)을 구비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당해 광체에 당해 팬과 당해 연기 검출 유닛을 근접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여 수납하는 수납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이다.
또, 이 발명은 당해 연기 감지기로서, 당해 수납실이 덮개체로 봉지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이다.
이 제3의 발명은 대략 상자 형상의 광체 내에,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 샘플링 공기를 흡인시키는 팬과, 당해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의 샘플링 공기가 도입되는 연기 검출 유닛을 구비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당해 광체에 당해 팬 또는 당해 연기 검출 유닛을 수납하는 수납실을 설치하고, 당해 광체의 회로 기판 수납부에 소정의 간격을 띄워 늘어서 있는 당해 수납실의 측벽을 이중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이다.
또, 이 발명은 당해 연기 감지기로서, 당해 광체의 측벽을 이중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결합 부품의 대략 'コ'자 형상부가 커버의 닫힘시에 케이 스의 휨을 교정하므로, 항상 케이스와 커버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커버의 개폐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품이 파손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커버의 개폐를 원활히 할 수가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광체에 설치한 수납실 내에 팬과 연기 검출 유닛이 근접하여, 상하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팬과 연기 검출 유닛을 접속하는 배관 부품을 삭감할 수가 있고, 배관 부품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조립 비용도 저감할 수가 있고, 또 팬과 연기 검출 유닛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고, 광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팬 또는 연기 검출 유닛과 회로(제어) 기판 수납부는 수납실의 이중 구조의 측벽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어 기판의 전원부로부터의 열이 연기 검출 유닛이나 팬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열에 의해 연기 검출 유닛 내의 광원이나 팬의 회전 날개 등이 손상을 받는 것을 막을 수가 있고, 또 팬의 진동이 제어 기판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진동에 의해 제어 기판이 오동작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광체의 측벽을 이중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케이스의 측벽에 외력이 가해져도 충격이 팬이나 연기 검출 유닛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충격에 의해 팬이나 연기 검출 유닛이 손상을 받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를 도 1∼도 4에 의해 설명한다.
전기 기기, 예를 들면 화재 수신기(1)는 케이스(case)(광체(筐體))(3)와, 당 해 케이스(3)에 힌지부(hinge portion)(4)를 통하여 연결된 커버(cover)(덮개체)(5)와, 잠금 기구인 걸어맞춤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12)는 걺부(19)와 걸림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대략 상자체를 이루고, 그 단면(3a)은 개구하고 있다. 당해 케이스(3)에는 걸림부(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7)는 상기 케이스(3)의 측면(3s)에 뚫어설치한 관통공(8)과, 당해 관통공(8)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축 부재, 예를 들면 나사(9)와, 당해 나사(9)에 나사 결합되는 축받이 부재, 예를 들면 너트(nut)(11)와, 당해 나사(9)의 선단(9a)측이 삽입되는 가이드(guide)공(도시 생략)을 가지는 축 부재 누름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9)는 케이스(3)의 내면(3b)에 직교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상기 너트(11)는 상기 나사(9)의 선단(9a)이 축 부재 누름부(10)의 가이드공 단면(10a)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에서 나사(9)를 고정한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케이스(3)의 상기 단면(3a)을 덮는 덮개면(5a)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5)에는 상기 걸림부(7)에 걸어맞춰지는 걺부(19)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걺부(19)로서 결합 부품(20)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결합 부품(20)은 단면(斷面)이 대략 ‘d’자 형상을 이루고, 도 2에 나타내듯이, 장착공(21)을 가지는 장착편(23)과, 당해 장착편(23)의 단부에 연접하여 대략 긴 구멍 형상의 절결부(25)를 연통시키는 대략 'コ'자 형상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결부(25)의 선단측의 긴 구멍(25a)은 나사(9)의 나사부에 밀착하여 끼워맞춰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또 그 후단측의 긴 구멍(25b)은 너트(nut)(11)가 밀착하여 끼워맞춰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9)의 직경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없앨 수가 있다.
제1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버(5)를 닫았을 때(덮개 닫힘시),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27)의 선단측 내면(27a)과 상기 가이드공 단면(10a), 그리고 그 후단측 외면(27b)과 상기 케이스(3)의 내면(3b)이 각각 맞춰지고, 또한 상기 절결부(25)에 상기 걸림부(7)를 통과시킬(끼워맞춰 보지(保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실시의 형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덮개 닫힘 상태시에 있어서, 커버(5)를 들어올려 화살표 A5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 도 4에 나타내듯이, 걺부의 결합 부품(20)이 걸림부(7)의 나사(9)로부터 떨어지고, 양자의 끼워붙임(걸어맞춤)은 해제되고, 덮개 열림 상태로 되므로, 케이스(3)의 수납 부품은 노출된다. 이때, 커버(5)는 힌지부(4)를 통하여 케이스(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양자는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커버(5)를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걺부(19)의 결합 부품(20)이 걸림부(7)의 나사(9)에 점차 가까워지고, 절결부(25)는 나사(9)에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이때, 결합 부품(20)의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27)의 선단측 내면(27a)과 상기 가이드공 단면(10a), 그리고 그 후단측 외면(27b)과 상기 케이스(3)의 내면(3b)이 각각 맞춰지고, 또한 상기 절결부(25)에 상기 걸림부(7)가 통과된다(끼워맞춰 보지한다).
제1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의 케이스(3)와 같이, 일반적으로 대형으로 두께가 얇은 상자체는 각 측면의 단부 부근이 안쪽 방향으로 휘기 쉽고, 특히 측면이 중앙 으로 모일수록 그 경향이 크다. 또, 수지 재료는 금속 재료보다 강도가 낮은데다가, 성형 조건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커버(5)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케이스(3)의 측면(3s)에서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커버(5)를 닫을 때는, 결합 부품(20)의 대략 'コ'자 형상부(27)의 후단부 외면(27b) 옆의 곡선부가 케이스(3)의 내면(3b)을 미끄러지면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밀어 원활히 끼워맞춰진다. 즉, 닫힘시에 케이스(3)의 측면(3s)의 휨은 원래대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결합 부품(20)의 대략 'コ'자 형상부(27)가 커버(5)의 닫힘시에 케이스(3)의 측면(3s)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휨을 교정하므로, 항상 케이스(3)와 커버(5)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커버(5)의 개폐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는 2개소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 축받이 부재로서 너트(nut)를 이용하는 대신에, 축 부재 누름부(10)의 가이드(guide)공에 암나사를 내고, 이것에 나사(9)를 나사 결합시켜도 좋다.
또한, 축 부재는 그 축부가 상기 케이스(3)의 내면(3b)에 대략 직교되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평행 핀(pin) 등을 가이드공에서 내면(3b)까지 밀어넣어도 좋다. 이 경우, 케이스(3)의 측면(3s)에 축 부재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미관이 좋게 된다.
이 발명의 제2실시의 형태를 도 5 내지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이 발명의 연기 감지기의 주요한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위와 같은 팬(fan)과 연기 검출 유닛(unit)을 조립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a)가 상면측을 나타내고, (b)가 하면측을 나타낸다), 도 7은 위와 같은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위와 같은 팬과 연기 검출 유닛 등이 조립되어 광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연기 감지기(101)에는 어둠 상자(121)를 가지는 연기 검출 유닛(102)과, 감시 구역에 부설된 도시하지 않은 샘플링(sampling)용 배관으로부터 유입부(140)를 통하여 유입하는 공기(AIR)를 감지 대상으로 되는 샘플링 에어(sampling air)(SA)로 하여 도입로(104)를 통하여 연기 검출 유닛(102)으로 보내는 팬(fan)(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 내에 설치한 발광 소자(111)와,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등의 수광 소자(112)와, 팬(103)이나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air flow sensor)(113)와, 발광 소자(111)와 수광 소자(112)와 에어 플로우 센서(113)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4)와, 수광 소자(112)에 접속시킨 화재 판별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입로(104)는 팬(103)의 2차측으로부터 유로 분기부(133)에 있어서 분기하고, 연기 검출 유닛(102)으로부터 샘플링 에어(SA)를 환류시키는 환류로(106)가 팬(103)의 2차측의 유로 합류부(132)에 있어서 합류하고 있고, 유로 합류부(132)와 유로 분기부(133) 사이에 생기는 차압(유로 합류부(132)에 있어서의 유속을 유로 분기부(133)에 있어서의 유속보다도 빠른 것으로 함으로써 양자 간에 차압을 생기게 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유로 합류 부(132)를 팬(103)의 회전 날개의 주연(周緣)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고, 유로 분기부(133)를 회전 날개의 주연으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양자 간에 차압을 생기게 할 수가 있다)에 의해, 샘플링 에어(SA)가 도입로(104)로부터 필터(filter)(105)로 여과된 다음 연기 검출 유닛(102)을 통과하고, 그리고 환류로(106)로부터 팬(103)의 2차측으로 환류되게 되어 있다.
연기 검출 유닛(102)의 어둠 상자(121)의 중앙부에는 검연부(125)가 설치되고, 이 검연부(125)를 샘플링 에어(SA)가 통과하고, 그때에 광학적으로 연기 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123은 차광부(122)에 설치한 광 트랩(trap), 124는 집광 렌즈(lens), 126은 애퍼처(aperture)이다.
또, 화재 판별부(115)는 수광 소자(112)의 출력 신호(S)를 증폭하는 증폭 회로와, 그 증폭 회로를 검출 레벨(level)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검출 레벨이 미리 설정된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화재로 판별하는 비교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설명상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을 이간시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6 내지 8에 나타내듯이, 양자는 근접하고, 상하로 부분적으로 포개어져,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팬(103)이 대좌(臺座)(130)의 상면(130a)에 장착되고, 대략 ‘L’자 형상의 연기 검출 유닛(102)은 대좌(130)의 하면(130b)에 장착되어 있고, 양자는 근접하고, 대좌(130)를 개재하여 상하로 부분적으로 포개어져, 상하 2단으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은 상하로 부분적으로 포개어져 있지만, 팬(103)의 중앙의 흡기구(103a)가 있는 위치에 있어서는 양자는 포개어지지 않게 배치되어 있고, 팬(103)의 흡기구(103a)와 대좌(130)를 개재하여 상하로 포개어지는 위치에는, 연기 검출 유닛(102)의 측방에 인접하여 유입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유입부(140)에는 대좌(130)를 관통하여, 팬(103)의 흡기구(103a)에 대향하고, 유입부(140)와 흡기구(103a)를 연통시키는 개구(14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대좌(130)에 설치된 연기 검출 유닛(102)과 팬(103)은 광체(150)와 일체로 형성된 수납실(145) 내에 상기와 같은 배치로 수납되어 있다. 수납실(145)의 상부 개구는 수납실 커버(덮개체)(146)로 패킹(packing)(147)을 개재하여 봉지되고, 광체(150)의 상부 개구는 개폐가 자유로운 광체 커버(151)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연기 검출 유닛(10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유입부(140)는 그것을 하측으로부터 덮는 수납실(145)의 일부에 의해 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 구역에 부설되는 도시하지 않은 샘플링 관으로부터의 공기는 유입부(140)를 통하여 팬(103)에 의해 흡인되고, 팬(103)의 배기구(103b)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가 분류(分流)되고, 샘플링 에어(SA)로서 연기 검출 유닛(102)의 유입구(102a) 및 유출구(102b)를 통하여 어둠 상자(121) 내의 검연부(125)를 통과하고, 거기서 광학적으로 연기 검지가 이루어지고 나서, 팬(103)의 2차측으로 환류되게 되어 있다. 또한, 팬(103)의 배기구(103b)는 광체(150)의 외부로 샘플링 에어를 배기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관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광체(150)를 소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대 략 ‘L’자 형상의 연기 검출 유닛(102)의 측방의 간극에 팬(103)의 흡기구(103a)로 통하는 유입부(140)를 배치하였다. 또, 대좌(130)가 연기 검출 유닛(102)의 커버와 팬(103)의 흡기 부분의 덮개를 겸용하였다. 또한, 연기 검출 유닛(102)의 유입구(102a)와 유출구(102b)를 팬(103)의 배기구(103b)에 가까운 위치로 한 것 등이다. 이것에 의해, 팬(103)의 배기구(103b)로부터 유로 분기부(133), 유로 분기부(133)로부터 연기 검출 유닛(102)의 유입구(102a), 연기 검출 유닛(102)의 유출구(102b)로부터 유로 합류부(132)에 필요한 배관의 합계 길이는 약 200mm 정도만으로 좋게 된다. 또, 수납실(145)이 필요한 공간은 예를 들면, 세로가 약 140∼160mm, 가로가 100∼120mm, 높이가 약 50∼70mm이면 좋게 되고, 광체(150)를 충분히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의 연기 감지기(101)에 있어서는, 연기 검출 유닛(102)과 팬(103)을 상하로 부분적으로 포개면서, 높이가 다른 배치로 근접하여 광체(150)의 수납실(145) 내에 수납할 수가 있으므로, 연기 검출 유닛(102)과 팬(103) 사이의 배관 부품을 짧게 할 수가 있고, 또 광체(150)를 소형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수납실(145)은 수납실 커버(덮개체)(146)를 장착할 때에, 판 형상의 패킹(packing)(147)으로 봉지되어 있으므로 침수되지 않는다. 또한, 연기 검출 유닛(102) 및 팬(103)에 각각 방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이상, 이 발명의 연기 감지기(101)를 팬(103)을 연기 검출 유닛(102)의 상류 측에 설치하면서,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을 상하로 근접시켜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팬(103)을 연기 검출 유닛(102)의 하류측에 설치하면서,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을 상하로 배치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발명의 제3실시의 형태를 도 9 내지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는 이 발명의 연기 검지기의 광체의 사시도((a)가 상면측을 나타내고, (b)가 하면측을 나타낸다), 도 10은 위와 같은 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위와 같은 도 10과는 다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9∼도 11에 나타내듯이,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을 수납하는 수납실(145)은 그 제어 기판(155)의 제어 기판 수납부(156)에 소정의 간격을 띄워 늘어서 있는 측벽(157)이 내측벽(157a)과 외측벽(157b)의 이중 구조의 측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3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실(145)의 이중 구조의 측벽(157)과는 반대측의 광체(150)의 측벽(159)도 내측벽(159a)과 외측벽(159b)의 이중 구조의 측벽으로 되어 있다. 수납실(145)은 광체(1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수납실(145)의 이중 구조의 측벽(157) 및 광체(150)의 이중 구조의 측벽(159)은 일체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입부(140) 및 배기구(160)를 가지는 측벽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납실(145)의 상부 개구는 수납실 커버(덮개체)(146)로 패킹(147)을 개재하여 봉지되고, 광체(150)의 상부 개구는 개폐가 자유로운 광체 커버(151)로 막혀 있다. 또, 연기 검출 유닛(10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유입부(140)는 그것을 하측으로부터 덮는 수납실(145)의 일부에 의해 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 구역에 부설되는 도시하지 않은 샘플링 관으로부터의 공기는 유입부(140)를 통하여 팬(103)에 의해 흡인되고, 그 일부가 분류(分流)되고, 샘플링 에어(SA)로서 연기 검출 유닛(102)의 도시하지 않은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하여 어둠 상자(121) 내의 검연부(125)를 통과하고, 거기서 광학적으로 연기 검지가 이루어지고 나서, 팬(103)의 2차측으로 환류되게 되어 있다.
또한, 팬(103)의 2차측은 광체(150)의 외부로 샘플링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구(160)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발명의 연기 감지기(101)에 있어서는, 팬(103)과 연기 검출 유닛(102)과 제어 기판 수납부(156)는 수납실(145)의 이중 구조의 측벽(157)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어 기판(155)의 전원부로부터의 열이 연기 검출 유닛(102)이나 팬(103)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열에 의해 연기 검출 유닛(102) 내의 광원이나 팬(103)의 회전 날개 등이 손상을 받는 것을 막을 수가 있고, 또 팬(103)의 진동이 제어 기판(155)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진동에 의해 제어 기판(155)이 오동작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광체(150)의 측벽(159)을 이중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광체(150)의 측벽(159)에 외력이 가해져도 충격이 팬(103)이나 연기 검출 유닛(102)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고, 충격에 의해 팬(103)이나 연기 검출 유닛(102)이 손상을 받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사방의 이중 구조의 외측벽 중에서 측벽(157)만은 광체(150) 내에서 제어 기판 수납부(156)와 이격시킴과 아울러, 나머지의 이중 구조의 외측벽은 광 체(150)의 둘레의 벽으로 겸용함으로써 광체(150)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연기 검출 유닛(102)과 팬(103)과 제어 기판(155)의 칸막이가 한 방향만으로 되어 서로 간섭을 받기 어렵다. 또한, 광체(150)의 네 귀퉁이의 장착공(161)을 이중 구조의 외측벽의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후에 벽면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광체(150)의 외측벽은 뒤틀리지만 내측벽은 뒤틀리지지 않기 때문에, 팬(103)이나 연기 검출 유닛(102)이 손상을 받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결합 부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cover)의 덮개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커버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연기 감지기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연기 검지기의 주요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의 팬(fan)과 연기 검출 유닛(unit)을 조립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로, (a)가 상면측을 나타내고, (b)가 하면측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위와 같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팬과 연기 검출 유닛 등이 조립되어 광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연기 감지기의 광체의 사시도로, (a)가 상면측을 나타내고, (b)가 하면측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연기 감지기의 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위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연기 감지기의 광체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0과는 다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재 수신기 3: 케이스(case)
4: 힌지부(hinge portion) 5: 커버(cover)
7: 걸림부 12: 걸어맞춤부
19: 걺부 101: 연기 감지기
102: 연기 검출 유닛(unit) 103: 팬(fan)
145: 수납실 150: 광체
157: 측벽

Claims (6)

  1. 대략 상자체를 이루고, 단면을 개구하고 있는 케이스와, 당해 케이스의 상기 단면을 덮는 덮개면을 가지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닫힘 상태를 보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그 축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대략 직교되는 축 부재, 당해 축 부재의 선단이 축 부재 누름부의 가이드공 단면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에서 고정하는 축받이 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장착편과 당해 장착편의 단부에 연접하여 대략 긴 구멍 형상의 절결부를 연통시키는 대략 'コ'자 형상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걺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의 선단측 내면과 상기 가이드공 단면, 그리고 상기 대략 'コ'자 형상부의 후단측 외면과 상기 케이스 내면이 각각 맞춰지고, 또한 상기 절결부에 상기 걸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3. 대략 상자 형상의 광체 내에,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 샘플링 공기를 흡인시 키는 팬과, 당해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의 샘플링 공기가 도입되는 연기 검출 유닛을 구비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당해 광체에 당해 팬과 당해 연기 검출 유닛을 근접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여 수납하는 수납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당해 수납실은 덮개체로 봉지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
  5. 대략 상자 형상의 광체 내에,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 샘플링 공기를 흡인시키는 팬과, 당해 샘플링용 배관으로부터의 샘플링 공기가 도입되는 연기 검출 유닛을 구비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당해 광체에 당해 팬 또는 당해 연기 검출 유닛을 수납하는 수납실을 설치하고, 당해 광체의 회로 기판 수납부에 소정의 간격을 띄워 늘어서 있는 당해 수납실의 측벽을 이중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당해 광체의 측벽을 이중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
KR1020090011300A 2008-03-31 2009-02-12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 KR101529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1049 2008-03-31
JP2008089472A JP4828562B2 (ja) 2008-03-31 2008-03-31 煙感知器
JPJP-P-2008-089472 2008-03-31
JP2008091049A JP4727685B2 (ja) 2008-03-31 2008-03-31 電気機器の開閉構造
JPJP-P-2008-089473 2008-03-31
JP2008089473A JP4885900B2 (ja) 2008-03-31 2008-03-31 煙感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48A true KR20090104648A (ko) 2009-10-06
KR101529734B1 KR101529734B1 (ko) 2015-06-17

Family

ID=4082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00A KR101529734B1 (ko) 2008-03-31 2009-02-12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5656B2 (ko)
EP (3) EP2474959A1 (ko)
KR (1) KR101529734B1 (ko)
CN (1) CN102496233B (ko)
AU (1) AU2009200920B2 (ko)
TW (2) TWI4993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47A1 (ko) * 2014-06-02 2015-12-10 에너바이오텍(주) 연기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6464B (zh) 2009-10-22 2015-09-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对准来自标本的有序堆叠的图像
US8907802B2 (en) 2012-04-29 2014-12-09 Valor Fire Safety, Llc Smoke detector with external sampling volume and ambient light rejection
US8952821B2 (en) 2012-04-29 2015-02-10 Valor Fire Safety, Llc Smoke detector utilizing ambient-light sensor, external sampling volume, and internally reflected light
US9140646B2 (en) 2012-04-29 2015-09-22 Valor Fire Safety, Llc Smoke detector with external sampling volume using two different wavelengths and ambient light detection for measurement correction
US9007222B2 (en) 2012-09-21 2015-04-14 Google Inc. Detector unit and sensing chamber therefor
EP3063747B1 (en) 2013-10-30 2019-07-24 Valor Fire Safety, LLC Smoke detector with external sampling volume and ambient light rejection
US9726579B2 (en) * 2014-12-02 2017-08-08 Tsi,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particle monitoring using low cost particle sensors
US9679454B2 (en) 2015-02-06 2017-06-13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using control signals
US9794522B2 (en) 2015-02-06 2017-10-17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by optimizing component layout
US9396633B1 (en) 2015-06-14 2016-07-19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by optimizing component layout
US9543998B2 (en) 2015-06-14 2017-01-10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using bypass circuitry
US9792793B2 (en) * 2015-07-13 2017-10-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moke detector
CN105396858A (zh) * 2015-11-16 2016-03-16 马玉荣 一种废气排气板
US10613213B2 (en) 2016-05-13 2020-04-07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 with smart devices
US10687184B2 (en) 2016-05-13 2020-06-16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based touch interfaces
US10281118B2 (en) * 2016-11-22 2019-05-07 David Nowak Tool-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lighting enclosure cover
WO2018230225A1 (ja) * 2017-06-14 2018-12-20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装置
CN111307217A (zh) * 2020-03-11 2020-06-19 兰州中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测温测振系统的机械状态变送仪器
CN111307192A (zh) * 2020-04-09 2020-06-19 南京顺升自动化有限公司 一种提供5g网来采集现场仪表信号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8969A (en) * 1970-02-09 1974-08-13 Plastic Forming Co Plastic container
JPS60346A (ja) 1983-06-16 1985-01-05 Nohmi Bosai Kogyo Co Ltd 火災検出装置
JP2520046B2 (ja) 1990-10-19 1996-07-31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用機器
JP3254245B2 (ja) 1992-07-13 2002-02-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320232A (en) * 1992-10-15 1994-06-14 Maguire Paul R Positive-sealing bottle cap
JP2594508Y2 (ja) * 1992-10-16 1999-04-26 ホーチキ株式会社 カバー組み込み装置
DE29518042U1 (de) 1995-11-14 1996-01-25 Wagner Alarm Sicherung Branddetektor
JP4086383B2 (ja) 1998-11-04 2008-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壁掛型防災アンプ
CA2299919A1 (en) * 1999-03-04 2000-09-04 George A. Schoenfelder Duct detector
JP2001031169A (ja) * 1999-07-16 2001-02-06 Fuji Photo Film Co Ltd ケース
JP2001202576A (ja) * 2000-01-19 2001-07-27 Nittan Co Ltd 光電式分離型感知器
TW483651U (en) * 2000-11-10 2002-04-11 Hon Hai Prec Ind Co Ltd Rotating device of computer panel
US6595605B1 (en) * 2000-11-14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ring loaded latching for system enclosure panels
JP3889983B2 (ja) * 2002-03-20 2007-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14926B2 (ja) 2002-08-22 2005-11-09 ホーチキ株式会社 サンプリング管式煙検知器
TWM261343U (en) * 2004-04-16 2005-04-11 Universal Hardware Corp Fastener structure of tool box
JP4225499B2 (ja) * 2004-07-16 2009-02-18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検出装置
TWM304833U (en) * 2006-08-17 2007-01-11 Jon Yei E Tech Co Ltd Flip-type handle used on decoration cover of electric cabi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47A1 (ko) * 2014-06-02 2015-12-10 에너바이오텍(주) 연기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9351B1 (en) 2013-04-24
EP2109351A3 (en) 2011-03-30
US20090241697A1 (en) 2009-10-01
CN102496233A (zh) 2012-06-13
KR101529734B1 (ko) 2015-06-17
TW200950641A (en) 2009-12-01
EP2474959A1 (en) 2012-07-11
AU2009200920A1 (en) 2009-10-15
TWI499368B (zh) 2015-09-01
TWI499365B (zh) 2015-09-01
CN102496233B (zh) 2015-03-25
EP2474958A1 (en) 2012-07-11
TW201442591A (zh) 2014-11-01
EP2109351A2 (en) 2009-10-14
AU2009200920B2 (en) 2014-03-13
US8225656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648A (ko) 전기 기기 및 연기 감지기
JP7416879B2 (ja) 警報装置
CN112185055A (zh) 警报装置
JP5993253B2 (ja) 煙感知器
TWI475519B (zh)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TW200902950A (en)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CN107435978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JP2007071604A (ja) ガス検出装置
TW201108162A (en) Fire detector
JP5519168B2 (ja) 火災感知器
JP5643522B2 (ja) 煙感知器
JP4885900B2 (ja) 煙感知器
JP4828562B2 (ja) 煙感知器
KR200333726Y1 (ko) 광학식 공기오염검출장치
CN209802922U (zh) 激光颗粒物传感器
KR102412048B1 (ko) 전자장치용 가스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4035097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5236547B2 (ja) 火災感知器
JP2023096283A (ja) 煙感知器
CA3171649A1 (en) Gas sensor devices and housings
JP2005172349A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8002879A (ja) 流量メータ用超音波センサ取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