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799A -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 Google Patents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799A
KR20090102799A KR1020097014721A KR20097014721A KR20090102799A KR 20090102799 A KR20090102799 A KR 20090102799A KR 1020097014721 A KR1020097014721 A KR 1020097014721A KR 20097014721 A KR20097014721 A KR 20097014721A KR 20090102799 A KR20090102799 A KR 2009010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mer
fiber
fibers
inter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763B1 (ko
Inventor
홍 펭
홍유 첸
유엔-유엔 치우
쉬-여 라이
에디 가르시아-메이틴
찰스 디엘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10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6Crosslinking by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33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natural or synthetic rubber matrix
    • Y10T428/249938Composite or conjugate fiber [e.g., fiber contains more than one chemically different material in monofilament or multifilament form,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08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13Including an elastic str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섬유는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 (여기서, 탄성 회복률 및 밀도는 관계식 Re > 1481-1629(d)를 만족시킴)를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성중합체는 다른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제조된 섬유는 비교적 높은 탄성 회복률 및 비교적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섬유는 목적하는 경우 가교될 수 있다. 제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물이 상기 섬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본 발명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전형적으로 그의 직경에 따라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섬유는 개별 섬유 직경이 필라멘트당 약 15 데니어 초과, 통상적으로는 약 30 데니어 초과인 것으로 정의된다. 미세 데니어 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필라멘트당 약 15 데니어 미만인 섬유를 지칭한다. 마이크로데니어 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섬유로서 정의된다. 또한, 섬유는 제조 공정에 따라 모노필라멘트, 연속 권취된 미세 필라멘트, 스테이플 또는 쇼트 컷 섬유, 스펀본드(spun bond) 및 멜트블로운(melt blown) 섬유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의류 및 가구류와 같은 수많은 내구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직물의 제조를 위해 탁월한 탄성을 갖는 섬유가 필요하다. 탄성은 성능을 나타내는 성질이며, 착용자의 신체 또는 물건의 골조에 순응하는 직물의 능력을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은 (직물의 세탁 및 건조 동안에 경험되는 것과 같이) 체온 및 기타 승온에서 반복적으로 사용, 신장 및 수축되는 동안에 그것의 순응적 적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섬유는 전형적으로, 바이어싱력(biasing force)이 적용된 후에 높은 % 탄성 회복률 (즉, 낮은 % 영구변형률)을 갖는다면 탄성으로 분류된다. 이상적으로는 탄성 재료는 하기 3가지의 중요한 성질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i) 낮은 % 영구변형률, (ii) 변형시 낮은 응력 또는 하중, 및 (iii) 낮은 % 응력 또는 하중 완화. 달리 말하자면, 탄성 재료는 하기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재료의 신장에 낮은 응력 또는 하중이 요구됨; (ii) 일단 재료가 신장되고 나면 응력 완화 또는 제하 (unloading)가 없거나 낮음; (iii) 신장, 바이어싱 또는 변형이 중단된 후 원래의 치수를 완전히 또는 고도로 회복함.
스판덱스는 거의 이상적인 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된 세그먼트화 폴리우레탄 탄성 재료이다. 그러나, 스판덱스는 많은 용도에서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또한, 스판덱스는, 특히 수분 존재 하에서, 오존, 염소 및 고온에 대한 환경적 내성이 낮다. 이러한 성질, 특히 염소에 대한 내성의 결핍으로 인해, 스판덱스는 염소 표백제 존재 하에서 바람직하게 세탁된 백색 의류 및 수영복과 같은 의류 용도에서 뚜렷한 단점을 갖게 된다.
다양한 섬유 및 직물은, 열가소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전형적으로 고압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고도 분지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선형 불균질 분지화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지글러(Ziegler) 촉매작용을 사용하여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선형 불균질 분지화 폴리에틸렌의 블렌드, 선형 불균질 분지화 폴리에틸렌의 블렌드, 및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어 왔다.
당업계에서 진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연하고 신체 움직임에 순응하는 폴리올레핀-기재 탄성 섬유가 계속 요구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섬유는 비교적 높은 탄성 회복률을 갖고 비교적 높은 생산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성가신 가공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여전히 점착성이 없고 유연하고 안락한 직물을 제공하는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전술된 필요성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의해 충족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와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가교 전 하기 성질들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a)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를 갖고, Tm과 d의 수치는 하기 관계식
Tm > -2002.9 + 4538.5(d) - 2422.2(d)2
에 상응하거나; 또는
(b) 약 1.7 내지 약 3.5의 Mw/Mn을 갖고, 용융열 ΔH (J/g), 및 최고 DSC 피크와 최고 CRYSTAF 피크의 온도차로서 정의되는 차이량 ΔT (℃)를 특징으로 하며, ΔT와 ΔH의 수치는 하기 관계식
ΔH가 0을 초과하고 130 J/g 이하인 경우, ΔT > -0.1299(ΔH) + 62.81,
ΔH가 130 J/g을 초과하는 경우, ΔT ≥ 48 ℃,
에 상응하고,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갖는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이거나; 또는
(c)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을 사용하여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를 가지며, Re와 d의 수치는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갖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Re > 1481-1629(d)
을 충족하거나; 또는
(d)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된 분자 분획물을 갖고, 상기 분획물은 동일한 온도에서 용출된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갖는 것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갖고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e) 25 ℃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25 ℃), 및 100 ℃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100 ℃)를 가지며, 여기서 G'(25 ℃) 대 G'(100 ℃)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0:1이거나; 또는
(f)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된 하나 이상의 분자 분획물을 갖고, 상기 분획물은 0.5 이상 약 1 이하의 블록 지수 및 약 1.3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g) 0 초과 내지 약 1.0 이하의 평균 블록 지수 및 약 1.3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를 가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에틸렌과 C3-C20 α-올레핀의 1종 이상의 혼성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혼성중합체는 밀도가 약 0.860 g/cc 내지 약 0.895 g/cc이고, 70 ℃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은 약 70% 미만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70 ℃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은 약 60% 미만, 또는 약 50% 미만, 또는 약 40% 미만, 또는 약 30% 미만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혼성중합체는 하기 관계식을 충족한다:
Re > 1491-1629(d); 또는
Re > 1501-1629(d); 또는
Re > 1511-1629(d).
다른 실시양태에서, 혼성중합체는 ASTM D-1238 조건 190 ℃/2.16 ㎏에 따라 측정한 용융 지수가 약 0.1 내지 약 2000 g/10분, 약 1 내지 약 1500 g/10분, 약 2 내지 약 1000 g/10분, 약 5 내지 약 500 g/10분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Mw/Mn이 1.7 내지 3.5이고, 하나 이상의 경질 블록 및 하나 이상의 연질 블록을 포함하는 랜덤 블록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밀도가 약 0.86 내지 약 0.96 g/cc 또는 약 0.86 내지 약 0.92 g/cc 범위이다.
본원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혼성중합체"에서 용어 "α-올레핀"은 C3 및 보다 고급의 α-올레핀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α-올레핀은 스티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고, 디엔은 노르보르넨, 1,5-헥사디엔,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다.
섬유는 탄성 또는 비탄성이다. 때때로, 섬유는 가교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광자 조사, 전자빔 조사 또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가교 중합체의 %는, 형성된 겔의 중량%에 의해 측정시, 20% 이상,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80%, 또는 약 35% 내지 약 50%이다. 때때로, 섬유는 이성분 섬유이다. 이성분 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 구조; 씨-아일랜드(sea-island) 구조;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구조; 매트릭스-피브릴(matrix-fibril) 구조; 또는 세그먼트화 파이(segmented pie) 구조이다. 섬유는 스테이플 섬유 또는 결합제 섬유일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마찰계수가 약 1.2 미만이고, 이 때 혼성중합체는 임의의 충전제와 혼합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직경이 약 0.1 데니어 내지 약 1000 데니어 범위이고, 혼성중합체는 용융 지수가 약 0.5 내지 약 2000이며 밀도가 약 0.865 g/cc 내지 약 0.955 g/cc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직경이 약 0.1 데니어 내지 약 1000 데니어 범위이고, 혼성중합체는 용융 지수가 약 1 내지 약 2000이고 밀도가 약 0.865 g/cc 내지 약 0.955 g/cc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직경이 약 0.1 데니어 내지 약 1000 데니어 범위이고, 혼성중합체는 용융 지수가 약 3 내지 약 1000이고 밀도가 약 0.865 g/cc 내지 약 0.955 g/cc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직물은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겔 방사; 용액 방사된 것 등일 수 있다. 직물은 탄성 또는 비탄성의 제직물, 부직물 또는 편직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직물은 100% 변형시 MD 회복률 (%)이 50% 이상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카디드 웹(carded web) 또는 얀(yarn)에 관한 것이다. 얀은 피복되거나 피복되지 않을 수 있다. 얀은 피복되는 경우, 면사 또는 나일론사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와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블렌드를 용융시키고; 상기 블렌드를 섬유로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섬유는 용융방사; 스펀본딩; 멜트블로우잉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섬유로부터 형성된 직물은 실질적으로 로핑(roping)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혼성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신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특성 및 성질은 하기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랜덤 공중합체 (원형으로 나타냄) 및 지글러-나타 공중합체 (삼각형으로 나타냄)와 비교한 본 발명 중합체 (마름모형으로 나타냄)에 대한 융점/밀도 관계식을 도시한다.
도 2는 각종 중합체에 대한 DSC 용융 엔탈피의 함수로서 델타 DSC-CRYSTAF의 플롯을 도시한다. 마름모형은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사각형은 중합체 실시예 1 내지 4를 나타내고; 삼각형은 중합체 실시예 5 내지 9를 나타내며; 원형은 중합체 실시예 10 내지 19를 나타낸다. "X" 부호는 중합체 실시예 A* 내지 F*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사각형 및 원형으로 나타냄) 및 전형적인 공중합체 (삼각형으로 나타냄, 각종 어피니티(AFFINITY, 등록상표) 중합체 (Dow Chemical Company)임)로부터 제조된 비배향 필름의 탄성 회복에 대한 밀도의 효과를 도시한다. 사각형은 본 발명의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원형은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5 중합체 분획물 (원형으로 나타냄) 및 비교예 중합체 E 및 F 분획물 ("X" 부호로 나타냄)의 TREF 용출 온도에 대한 TREF 분별된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분획물의 옥텐 함량의 플롯이다. 마름모형은 전형적인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5 중합체 분획물 (곡선 1) 및 비교예 F 분획물 (곡선 2)의 TREF 용출 온도에 대한 TREF 분별된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분획물의 옥텐 함량의 플롯이다. 사각형은 실시예 F*를 나타내고; 삼각형은 실시예 5를 나타낸다.
도 6은 비교예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곡선 2)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곡선 3) 및 상이한 양의 사슬 이동제로 제조된 2개의 본 발명의 에틸렌/1-옥텐 블록 공중합체 (곡선 1)의 온도 함수로서 저장 모듈러스의 로그 그래프이다.
도 7은 일부 공지된 중합체와 비교한 본 발명의 몇몇 중합체 (마름모형으로 나타냄)의 굴곡 모듈러스에 대한 TMA (1 mm)의 플롯을 도시한다. 삼각형은 각종 버시파이(VERSIFY, 등록상표) 중합체 (다우 케미칼 캄파니)를 나타내고; 원형은 각종 랜덤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사각형은 각종 어피니티(등록상표) 중합체 (다우 케미칼 캄파니)를 나타낸다.
도 8은 DSC 피크 용융 온도 또는 ATREF 피크 온도의 역함수로서 랜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한 자연 로그 에틸렌 몰분율의 플롯이다. 채워진 사각형은 ATREF에서 랜덤 균질 분지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데이타 점들을 나타내고; 빈 사각형은 DSC에서 랜덤 균질 분지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데이타 점들을 나타낸다. "P"는 에틸렌 몰분율이고, "T"는 켈빈(Kelvin) 온도이다.
도 9는 "블록 지수"의 정의를 예시하기 위한 랜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한 플로리(Flory)식을 기초로 하여 그린 플롯이다. "A"는 완전한 랜덤 공중합체 전체를 나타내고; "B"는 순수한 "경질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C"는, 공단량체 함량이 "A"와 동일한 완전한 블록 공중합체 전체를 나타낸다. A, B 및 C는 대부분의 TREF 분획물이 속하는 삼각형 영역을 한정한다.
도 10은 동적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가교 중합체 실시예 19A, 실시예 19B,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의 동력학적 열 반응을 도시한다. "19A"로 표기된 곡선은 중합체 실시예 19A를 나타내고; "19B"로 표기된 곡선은 중합체 실시예 19B를 나타내고; "19K"로 표기된 곡선은 어피니티(등록상표) EG8100 수지 (다우 케미칼 캄파니)를 나타내며; "19L"로 표기된 곡선은 40 데니어 XLA(등록상표) 섬유 (다우 케미칼 캄파니) 제품을 나타낸다.
도 12는 말단상의 풀림 인장 장치 (end-on unwind tension setup)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a) 21 ℃에서 1일 동안 저장 및 b) 40 ℃에서 12시간 동안 저장 후 본 발명 및 비교 실시예로부터 유래하는 섬유들의 말단상의 풀림 거동을 도시한다. "풀림 장력"의 단위는 그램힘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흡기기/이동 스크린 시스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부직물 실시예에서 수득된 각종 웹의 사진이다. A는 중합체 실시예 19I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B는 중합체 실시예 19O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C는 중합체 실시예 19N으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은 100% 변형률에서 히스테리시스 시험된 각종 섬유에 대한 순간 변형률을 도시한다.
도 17은 100% 변형률에서 히스테리시스 시험된 각종 섬유에 대한 60% 변형률에서의 보유 하중을 도시한다.
도 18은 섬유 1, 섬유 4 및 섬유 5의 DSC 가열 거동을 도시한다.
도 19는 섬유 1, 섬유 4 및 섬유 5의 DSC 냉각 거동을 도시한다.
도 20은 섬유 1 CL, 섬유 4 CL 및 섬유 5 CL의 동력학적 열 반응을 도시한다.
도 21은 수직 절단된 섬유 4 샘플의 약 3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2는 종방향 절단된 섬유 4 샘플의 약 3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5는 표면 수준에서의 섬유 4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6은 중심 수준에서의 섬유 4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7은 수직 절단된 섬유 5 샘플의 약 3000O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8은 종방향 절단된 섬유 5 샘플의 약 3000Ox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9는 두 중합체 조성물에 대한 용융 강도 대 연신성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30은 내마모성 시험 후의 실시예 20으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도시한다.
도 31은 내마모성 시험 후의 실시예 20과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도시한다.
도 32는 세가지 섬유에 대한 TMA 시험 결과를 도시한다.
일반적 정의
"섬유"란 길이 대 직경 비율이 약 10을 초과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섬유는 전형적으로 직경에 따라 분류된다. 필라멘트 섬유는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당 약 15 데니어 초과, 통상적으로는 약 30 데니어 초과의 개별 섬유 직경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미세 데니어 섬유는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당 약 15 데니어 미만의 직경을 갖는 섬유를 지칭한다. 마이크로데니어 섬유는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당 약 100 마이크로미터 데니어 미만의 직경을 갖는 섬유로서 정의된다.
"필라멘트 섬유" 또는 "모노필라멘트 섬유"란 특정 길이를 갖는 재료의 불연속 스트랜드 (즉, 소정 길이의 세그먼트로 절단 또는 달리 분할된 스트랜드)인 "스테이플 섬유"와는 대조적으로, 불특정 (즉, 예정되지 않은) 길이를 갖는 재료의 연속 스트랜드를 의미한다.
"탄성"이란 섬유가 1차로 잡아당겨진 후 및 4차로 100% 변형률 (자신의 길이의 2배)로 잡아당겨진 후 자신의 신장된 길이의 약 50% 이상을 회복함을 의미한다. 탄성은 섬유의 "영구 변형률"에 의해 기술될 수도 있다. 영구 변형률은 탄성의 역이다. 섬유는 특정 지점까지 신장된 후 신장 전의 원래의 위치로 이완되고, 이어서 다시 신장된다. 섬유가 하중을 잡아당기기 시작하는 시점이 % 영구 변형률로서 표시된다. "탄성 재료"는 당업계에서 "엘라스토머" 및 "엘라스토머성"이라고도 지칭된다. 탄성 재료 (때로는 탄성 물품이라고도 지칭됨)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 그 자체 뿐만 아니라, 섬유, 필름, 스트립, 테이프, 리본, 시트, 코팅, 성형품 등의 형태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탄성 재료는 섬유이다. 탄성 재료는 경화 또는 비(非)경화, 조사 또는 비(非)조사, 및/또는 가교 또는 비(非)가교된 것일 수 있다.
"비탄성 재료"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탄성이 아닌 재료, 예를 들어 섬유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가교된" 및 유사 용어는 성형된 또는 물품 형태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가 70 중량% 이하 (즉, 30 중량% 이상의 겔 함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즉, 60 중량% 이상의 겔 함량)의 크실렌 추출가능물질 (extractable)을 가짐을 의미한다. 크실렌 추출가능물질 (및 겔 함량)은 ASTM D-2765에 따라 결정된다.
"호모필 섬유 (homofil fiber)"란 (이성분 섬유처럼) 임의의 다른 상이한 중합체 영역을 갖지 않는, 단일 중합체 영역 또는 도메인을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이성분 섬유"란 둘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 영역 또는 도메인을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이성분 섬유는 복합 또는 다성분 섬유로서도 공지되어 있다. 둘 이상의 성분들은 동일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중합체들은 통상적으로 서로 상이하다. 중합체는 이성분 섬유의 횡단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상이한 대역에 배열되어 있고, 통상적으로는 이성분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신장된다. 이성분 섬유의 구조는 예를 들어 (하나의 중합체가 또다른 중합체에 의해 둘러싸인) 시스/코어 배열, 사이드-바이-사이드 배열, 파이 배열 또는 "아일랜드-인-더 씨" 배열일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미국 특허 제6,225,243호, 동 제6,140,442호, 동 제5,382,400호, 동 제5,336,552호 및 동 제5,108,820호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복수의 미세한, 통상적으로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이러한 실 또는 필라멘트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렴 고속 기체 스트림 (예를 들어 공기) 내로 압출시켜 형성된 섬유이다. 이어서 필라멘트 또는 실을 고속 기체 스트림으로써 운반하여 수집면에 침착시킴으로써, 평균 직경이 일반적으로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불규칙적으로 분산된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용융방사 섬유"는, 1종 이상의 중합체를 용융시킨 다음, 섬유를 용융된 상태에서 다이 직경 (또는 다른 횡단면 형상)보다 작은 직경 (또는 다른 횡단면 형상)이 되도록 연신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이다.
"스펀본드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방사구의 복수의 미세한, 통상적으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필라멘트로서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이다.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급격하게 감소시킨 후, 필라멘트를 수집면에 침착시킴으로써, 평균 직경이 일반적으로 약 7 내지 약 30 마이크로미터인 불규칙적으로 분산된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부직물"이란, 개별 섬유 또는 실이, 편직물의 경우에서처럼 규정가능한 방식이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서로 얽혀진 구조를 갖는 웹 또는 직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는 탄성 섬유는 부직 구조물 뿐만 아니라 비탄성 재료와 탄성 부직물의 복합 구조물을 제조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얀"이란 직물 또는 편직물 및 기타 물품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꼬이거나 달리 얽힌 필라멘트의 연속적 길이를 의미한다. 얀은 피복되거나 피복되지 않을 수 있다. 피복된 얀은 또다른 섬유 또는 재료, 전형적으로는 면 또는 모와 같은 천연 섬유로 된 외부 피복물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진 얀이다.
"중합체"란 동일 또는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 화합물을 의미한다. "중합체"라는 총칭은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혼성중합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란 5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중합체 화합물을 의미한다.
"혼성중합체"란 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혼성중합체"라는 총칭은 (두 가지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중합체" 용어 뿐만 아니라 (세 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삼원공중합체" 용어를 포함한다. 또한, 이것은 네 가지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포괄한다.
용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과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대부분의 몰분율을 차지하며, 즉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약 50 몰% 이상으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약 60 몰% 이상, 또는 약 70 몰% 이상, 또는 약 80 몰% 이상으로 포함되며, 전체 중합체의 실질적인 나머지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인 하나 이상의 다른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다수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경우, 바람직한 조성은 전체 중합체의 약 80 몰% 초과의 에틸렌 함량 및 전체 중합체의 약 10 내지 약 15 몰%,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 몰%의 옥텐 함량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저수율로 또는 소량으로 또는 화학 공정의 부산물로서 생성된 것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종 이상의 중합체와 블렌딩될 수 있지만, 제조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순수하고, 흔히는 중합 공정의 반응 생성물의 주요 성분으로 포함된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α-올레핀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멀티블록 또는 세그먼트에 의해 특징화된다. 즉,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블록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용어 "혼성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B)n
식 중, n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초과의 정수, 예컨대 2, 3, 4, 5,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또는 이보다 큰 정수이고, "A"는 경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B"는 연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A 및 B는 실질적으로 분지형 또는 실질적으로 별형 방식과 대비되는 실질적으로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블록 및 B 블록은 중합체 쇄를 따라 불규칙하게 분포된다. 다시 말하자면, 블록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지 않는다.
AAA---AA-BBB---BB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상이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제3 유형의 블록을 갖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A 및 블록 B 각각은 블록 내에서 실질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되는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갖는다. 다시 말하자면, 블록 A 및 블록 B 모두는 상이한 조성의 2개 이상의 서브-세그먼트 (또는 하위-블록), 예컨대 블록의 나머지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조성을 갖는 팁 세그먼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멀티블록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양의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경질" 세그먼트는 에틸렌이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98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된 단위의 블록을 지칭한다. 다시 말하자면, 경질 세그먼트 중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 이외의 단량체의 함량)은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경질 세그먼트는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 에틸렌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연질" 세그먼트는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 이외의 단량체의 함량)이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8 중량% 초과, 또는 약 10 중량% 초과, 또는 약 15 중량% 초과인 중합된 단위의 블록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연질 세그먼트 중의 공단량체 함량은 약 20 중량% 초과, 약 25 중량% 초과, 약 30 중량% 초과, 약 35 중량% 초과, 약 40 중량% 초과, 약 45 중량% 초과, 약 50 중량% 초과, 또는 약 60 중량% 초과일 수 있다.
연질 세그먼트는 종종 블록 혼성중합에서 블록 혼성중합체 총 중량의 약 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블록 혼성중합체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약 15 중량% 내지 약 85 중량%,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약 3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약 4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45 중량% 내지 약 55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경질 세그먼트는 이와 역으로 유사한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연질 세그먼트 중량% 및 경질 세그먼트 중량%는 DSC 또는 NMR로부터 수득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및 계산은 2006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1/376,835호 (이의 개시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개시되어 있다.
용어 "결정질"은, 사용되는 경우,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1차 전이 온도 또는 결정 융점 (Tm)을 갖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이 용어는 용어 "반결정질"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비결정질"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결정 융점이 없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용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세그먼트화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구역 또는 세그먼트 ("블록"이라고도 지칭됨)를 포함하는 중합체, 즉 펜던트 또는 그래프트 방식이라기 보다는 중합된 에틸렌 관능기에 대하여 말단 대 말단 연결된 화학적으로 차별화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블록은 그 안에 혼입된 공단량체의 양 또는 유형, 밀도, 결정화의 양, 이러한 조성의 중합체에 기인하는 미세결정 크기, 입체 규칙성(tacticity)의 유형 또는 정도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 자리(regio)-규칙성 또는 자리-불규칙성, 장쇄 분지화 또는 초-분지화(hyper-branching)를 비롯한 분지화의 양, 균질성, 또는 임의의 다른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하다.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특이한 공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인한 특이한 다분산 지수 (PDI 또는 Mw/Mn)의 분포, 블록 길이 분포 및/또는 블록 수 분포에 의해 특징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식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 중합체는 1.7 내지 2.9,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1의 PDI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회분식 또는 반-회분식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 중합체는 1.0 내지 2.9,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PDI를 갖는다.
하기 설명에서, 본원에 개시된 모든 수치는, 그와 관련하여 용어 "약" 또는 "대략"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근사치이다. 이러한 값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맥락에 따라,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이들은 1%, 2%, 5%, 또는 때로는 10 내지 20%만큼 다를 수 있다. 하한 (RL) 및 상한 (RU)을 갖는 수치 범위가 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범위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 특히, 범위내의 하기 수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 R = RL + k*(RU-RL) (여기서, k는 1% 증분의 1% 내지 100% 범위의 변수이다. 즉, k는 1%, 2%, 3%, 4%, 5%,..., 50%, 51%, 52%,..., 95%, 96%, 97%, 98%, 99% 또는 100%임). 또한,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2개의 R 수치로 정의되는 임의의 수치 범위 역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 특정 참고문헌이 언급되는 경우 (예를 들어, 특허문헌 또는 저널 기사), 그러한 참고문헌은 용어가 그와 관련하여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전문으로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고유한 성질을 갖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섬유, 및 이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 및 기타 제품을 제공한다. 이 섬유는 우수한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높은 사용 온도 상한; 높은 회복력/수축력; 낮은 응력 완화 (고온 및 저온); 유연한 연신; 높은 파단 신장률; 불활성; 내약품성; 및/또는 UV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섬유는 비교적 높은 방사 속도 및 보다 저온에서 용융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이 섬유는 덜 점착성이어서 보다 우수한 풀림(unwind) 성능 및 보다 우수한 저장 수명을 갖고, 이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로핑 (즉, 섬유 다발화)이 실질적으로 없다. 섬유는 보다 높은 방사 속도에서 방사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의 생산량은 높다. 또한, 이러한 섬유는 넓은 형성 범위 및 넓은 가공 범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라고도 지칭됨)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α-올레핀 공단량체를 중합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의 멀티블록 또는 세그먼트 (블록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를 특징으로 한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하기 하나 이상의 양태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완충 네트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여기서 이들 변수의 수치는 하기 관계식에 상응한다.
Tm > -2002.9 + 4538.5(d) - 2422.2(d)2,
바람직하게는 Tm ≥ -6288.1 + 13141(d) - 6720.3(d)2,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 858.91-1825.3(d) + 1112.8(d)2.
이러한 융점/밀도 관계를 도 1에 예시하였다. 밀도의 감소에 따라 융점이 낮아지는 에틸렌/α-올레핀의 전형적인 랜덤 공중합체와 달리,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마름모로 나타냄)는, 특히 밀도가 약 0.87 g/cc 내지 약 0.95 g/cc일 때 밀도에 대해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융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러한 중합체의 융점은 밀도가 0.875 g/cc 내지 약 0.945 g/cc일 때 약 110 ℃ 내지 약 130 ℃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중합체의 융점은 밀도가 0.875 g/cc 내지 약 0.945 g/cc일 때 약 115 ℃ 내지 약 125 ℃ 범위이다.
다른 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α-올레핀을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최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피크의 온도 - 최고 결정화 분석 분별 ("CRYSTAF") 피크의 온도로서 정의되는 ΔT (℃), 및 용융열 ΔH (J/g)에 의해 특징화되며, ΔT와 ΔH는 130 J/g 이하의 ΔH에 대해 하기와 같은 관계식을 만족한다.
ΔT > -0.1299 (ΔH) + 62.81,
바람직하게는 ΔT ≥ -0.1299 (ΔH) + 64.38,
보다 바람직하게는 ΔT ≥ -0.1299 (ΔH) + 65.95.
또한, ΔH가 130 J/g를 초과하는 경우, ΔT는 48 ℃ 이상이다.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즉,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나타내어야 함),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가질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이고, ΔH는 용융열 (J/g)의 수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고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10% 이상을 함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합체 뿐만 아니라 비교예에 대해 플롯팅한 데이타를 도시한다. 적분 피크 면적 및 피크 온도는 기기 제작사에 의해 공급된 컴퓨터화 도면 프로그램으로 계산한다. 랜덤 에틸렌 옥텐 비교 중합체에 대해 나타낸 대각선은, 수학식 ΔT = -0.1299 (ΔH) + 62.81에 상응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온도 상승 용출 분별 ("TREF")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은 공단량체 몰 함량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함유하고 블록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Mw/Mn 또한 블록 혼성중합체의 Mw/Mn의 10% 이내이고/이거나,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총 공단량체 함량이 블록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중량% 이내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된 필름 상에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에 의해 특징화되고,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여기서 Re 및 d의 수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포함하지 않을 때 하기 관계식을 만족한다.
Re > 1481-1629(d);
바람직하게는 Re ≥ 1491-1629(d);
보다 바람직하게는 Re ≥ 1501-1629(d);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e ≥ 1511-1629(d).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혼성중합체 및 통상의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비배향 필름에 대한 탄성 회복률에 대한 밀도의 효과를 도시한다. 동일한 밀도에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보다 높은 탄성 회복률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0 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바람직하게는 11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고/갖거나, 11 cm/분의 크로스헤드 분리 속도에서 6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가장 매우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의 파단 신장률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 ℃)/G'(100 ℃)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고/이거나; (2) 7O ℃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특히 60% 미만, 50% 미만, 또는 40% 미만에서 0%까지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70 ℃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70% 미만, 60% 미만, 또는 50%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혼성중합체의 70 ℃ 압축 영구변형률이 40% 미만, 30% 미만, 20% 미만이고, 약 0%까지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85 J/g 미만의 용융열을 갖고/갖거나, 100 lb/ft2 (4800 Pa)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lb/ft2 (2400 Pa) 이하, 특히 5 lb/ft2 (240 Pa) 이하, 또한 0 lb/ft2 (0 Pa)만큼 낮은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50 몰% 이상의 에틸렌을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70 ℃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또는 6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미만이며 0%에 가깝게 감소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프와송(Poisson) 분포보다는 슐츠-플로리(Schultz-Flory) 분포에 맞는 PDI를 갖는다. 공중합체는 다분산 블록 분포 및 다분산 블록 크기 분포 양쪽 모두를 가지며, 가장 가능한 블록 길이 분포를 갖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말단 블록을 비롯하여 4개 이상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함유하는 것들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말단 블록을 포함한 5개, 10개 또는 20개 이상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공단량체 함량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핵 자기 공명 ("NMR") 분광법을 기초로 한 기술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넓은 TREF 곡선을 갖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의 경우에는, 먼저 TREF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각각 용출 온도 범위가 10 ℃ 이하인 분획물로 분별한다. 즉, 각각의 용출된 분획물은 10 ℃ 이하의 수집 온도 창을 갖는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바,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상응하는 분획물보다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분획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옥텐의 혼성중합체의 경우, 블록 혼성중합체는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2013)T + 20.07의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이다 (여기서, T는 ℃로 측정된,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피크 용출 온도의 수치임).
도 4는, 에틸렌과 1-옥텐의 블록 혼성중합체의 실시양태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며, 여러 비교용 에틸렌/1-옥텐 혼성중합체 (랜덤 공중합체)의 TREF 용출 온도에 대한 공단량체 함량의 플롯을 (-0.2013)T + 20.07을 나타내는 선 (실선)에 맞추었다. 수학식 (-0.2013)T + 21.07의 선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에틸렌/1-옥텐 블록 혼성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분획물에 대한 공단량체 함량을 도시하였다. 모든 블록 혼성중합체 분획물이 동등한 용출 온도에서의 선에 비해 현저히 높은 1-옥텐 함량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의 특징이며, 이는 결정질 및 비정질 본성 모두를 갖는 중합체 사슬내의 차별화된 블록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도 5는, 하기에서 논의되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F의 중합체 분획물에 대한 TREF 곡선 및 공단량체 함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두 중합체에 대해 40 ℃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95 ℃에서 용출되는 피크를 세 부분으로 분별하였으며, 각 부분은 10 ℃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었다. 실시예 5에 대한 실제 데이타를 삼각형으로 나타내었다. 당업자라면 상이한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혼성중합체에 대한 적절한 보정 곡선을 구축할 수 있고, 동일한 단량체를 갖는 비교용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또는 다른 균질한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획득된 TREF 값에 맞는 비교용으로 사용된 선일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TREF 용출 온도에서 보정 곡선으로부터 측정된 값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큰 공단량체 몰 함량에 의해 특징화된다.
본원에 기재된 상기한 양태 및 성질들 이외에, 본 발명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특성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에 의해 특징화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은 공단량체 몰 함량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15%, 20% 또는 25%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이며,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Mw/Mn 또한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Mw/Mn의 10% 이내이고/이거나,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총 공단량체 함량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중량% 이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성중합체는, 특히 전체 중합체 밀도가 약 0.855 내지 약 0.935 g/cm3이고, 보다 특별하게는 중합체가 약 1 몰% 초과의 공단량체를 갖고, 블록화된 혼성중합체는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1356)T + 13.89의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56)T + 14.93의 양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인,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혼성중합체이다 (여기서, T는 ℃로 측정된,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피크 ATREF 용출 온도의 수치임).
바람직하게는, 특히 전체 중합체 밀도가 약 0.855 내지 약 0.935 g/cm3인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혼성중합체, 보다 특별하게는 약 1 몰% 초과의 공단량체를 갖는 중합체의 경우, 블록화된 혼성중합체는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2013)T + 20.07의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이다 (여기서, T는 ℃로 측정된,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피크 ATREF 용출 온도의 수치임).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에 의해 특징화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공단량체 함량이 약 6 몰% 이상인 모든 분획물이 약 100 ℃ 초과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단량체 함량이 약 3 몰% 내지 약 6 몰%인 분획물에 대하여, 모든 분획물은 약 110 ℃ 이상의 DSC 융점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의 공단량체를 갖는 상기 중합체 분획물은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DSC 융점을 갖는다.
Tm ≥ (-5.5926)(분획물 중 공단량체의 몰%) + 135.90.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에 의해 특징화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ATREF 용출 온도가 약 76 ℃ 이상인 모든 분획물이 DSC에 의해 측정시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용융 엔탈피 (용융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융열 (J/g) ≤ (3.1718)(ATREF 용출 온도 (℃)) -136.58.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40 ℃ 내지 약 76 ℃ 미만의 ATREF 용출 온도를 갖는 모든 분획물이 DSC에 의해 측정시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용융 엔탈피 (용융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융열 (J/g) ≤ (1.1312)(ATREF 용출 온도 (℃)) + 22.97.
적외선 검출기에 의한 ATREF 피크 공단량체 조성 측정
TREF 피크의 공단량체 조성은 폴리머 차르(Polymer Char,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IR4 적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http://www.polymerchar.com/).
검출기의 "조성 모드"에는 측정 센서 (CH2) 및 조성 센서 (CH3) (2800 내지 3000 cm-1 영역내의 고정된 좁은 밴드 적외선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측정 센서는 중합체 상의 메틸렌 (CH2) 탄소 (이는 용액 중의 중합체 농도와 직접 관련됨)를 검출하며, 조성 센서는 중합체의 메틸 (CH3) 기를 검출한다. 조성 신호 (CH3)를 측정 신호 (CH2)로 나눈 것의 수학적 비율은 측정된 용액 중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에 감응성이고, 그의 반응은 공지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표준물에 의해 보정된다.
검출기는 ATREF 기기와 함께 사용시, TREF 공정 동안 용출된 중합체의 농도 (CH2) 및 조성 (CH3) 신호 반응 둘 모두를 제공한다. 중합체 특이적 보정은, 공지된 공단량체 함량 (바람직하게는 NMR에 의해 측정됨)에 의해 중합체의 CH3 대 CH2의 면적비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중합체의 ATREF 피크의 공단량체 함량은, 개별 CH3 및 CH2 반응에 대한 면적비의 기준 보정 (즉,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면적비 CH3/CH2)을 적용함으로써 산정할 수 있다.
피크의 면적은, 적절한 기준선을 적용하여 TREF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의 개별 신호 반응을 적분한 후 반치전폭 (FWHM) 계산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반치전폭 계산은 ATREF 적외선 검출기로부터의 메틸 대 메틸렌 반응 면적의 비율 [CH3/CH2]을 기초로 하며, 여기서 최고 (최대) 피크를 기준선으로부터 확인한 다음, FWHM 면적을 측정한다. ATREF 피크를 사용하여 측정된 분포에서, FWHM 면적은 T1과 T2 사이의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T1 및 T2는 ATREF 피크 높이를 2로 나눈 후 기준선에 수평인 선 (ATREF 곡선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로지름)을 그음으로써 ATREF 피크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해 정해지는 점들이다.
이러한 ATREF-적외선 방법에서 중합체 중의 공단량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법을 적용하는 것은, 하기 참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GPC/FTIR 시스템의 경우와 원칙적으로 유사하다: 문헌 [Markovich, Ronald P.; Hazlitt, Lonnie G.; Smith, Linley; "Development of gel-permeation chromatography-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or characterization of ethylene-based polyolefin copolymers", Polymeri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1), 65, 98-100.]; 및 [Deslauriers, P.J.; Rohlfing, D.C.; Shieh, E.T.; "Quantifying short chain branching microstructures in ethylene-1-olefin copolymers using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EC-FTIR)", Polymer (2002), 43, 59-170.] (이들 두 문헌 모두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 초과 약 1.0 이하의 평균 블록 지수 (ABI), 및 약 1.3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에 의해 특징화된다. 평균 블록 지수 (ABI)는 5 ℃ 증분으로 20 ℃ 내지 110 ℃에서 분취 TREF에서 얻어진 각각의 중합체 분획물에 대한 블록 지수 ("BI")의 중량평균이다.
식 중, BIi는 분취 TREF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i번째 분획물에 대한 블록 지수이고, wi는 i번째 분획물의 중량%이다.
각각의 중합체 분획물에 대해, BI는 하기 2개의 수학식 (두 식 모두 동일한 BI값을 제공함) 중 하나로 정의된다.
식 중, TX는 i번째 분획물에 대한 분취 ATREF 용출 온도 (바람직하게는 켈빈으로 나타냄)이고, PX는 상기와 같이 NMR 또는 I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i번째 분획물에 대한 에틸렌 몰분율이다. PAB는, 또한 NMR 또는 I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전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분별전)의 에틸렌 몰분율이다. TA 및 PA는 순수한 "경질 세그먼트" (혼성중합체의 결정질 세그먼트를 지칭함)에 대한 ATREF 용출 온도 및 에틸렌 몰분율이다. 1차 어림셈으로, "경질 세그먼트"에 대한 실제 값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TA 및 PA 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에 대한 값으로 설정된다. 본원에서 수행된 계산의 경우, TA는 372 , PA는 1이다.
TAB는, 에틸렌 몰분율이 PAB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ATREF 용출 온도이다. TAB는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Ln PAB = α/TAB + β
식 중, α 및 β는 다수의 공지된 랜덤 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한 보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2개의 상수이다. α 및 β는 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관심있는 중합체 조성에 의해 그리고 또한 분획물에 대한 유사한 분자량 범위로 보정 곡선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약간의 분자량 효과가 존재한다. 보정 곡선이 유사한 분자량 범위로부터 얻어지는 경우, 이러한 효과는 본질적으로 무시할만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랜덤 에틸렌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을 만족한다.
Ln P = -237.83/TATREF + 0.639
TXO는, 에틸렌 몰분율이 PX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ATREF 온도이다. TXO는, LnPX = α/TXO + β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역으로, PXO는, ATREF 온도가 TX (이는 Ln PXO = α/TX + β로부터 계산할 수 있음)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몰분율이다.
각각의 분취 TREF 분획물에 대한 블록 지수 (BI)가 얻어지면, 전체 중합체에 대한 중량평균 블록 지수 (ABI)를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BI는 0 초과 약 0.3 미만이거나, 또는 약 0.1 내지 약 0.3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3 초과 약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ABI는 약 0.4 내지 약 0.7, 약 0.5 내지 약 0.7, 또는 약 0.6 내지 약 0.9의 범위여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3 내지 약 0.9, 약 0.3 내지 약 0.8, 약 0.3 내지 약 0.7, 약 0.3 내지 약 0.6, 약 0.3 내지 약 0.5, 또는 약 0.3 내지 약 0.4의 범위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4 내지 약 1.0, 약 0.5 내지 약 1.0, 약 0.6 내지 약 1.0, 약 0.7 내지 약 1.0, 약 0.8 내지 약 1.0, 또는 약 0.9 내지 약 1.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또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분취 TREF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내지 약 1.0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가 약 1.3 초과인 1종 이상의 중합체 분획물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약 0.6 초과 약 1.0 이하, 약 0.7 초과 약 1.0 이하, 약 0.8 초과 약 1.0 이하, 또는 약 0.9 초과 약 1.0 이하의 블록 지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약 1.0 이하, 약 0.2 초과 약 1.0 이하, 약 0.3 초과 약 1.0 이하, 약 0.4 초과 약 1.0 이하, 또는 약 0.4 초과 약 1.0 이하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약 0.5 이하, 약 0.2 초과 약 0.5 이하, 약 0.3 초과 약 0.5 이하, 또는 약 0.4 초과 약 0.5 이하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2 초과 약 0.9 이하, 약 0.3 초과 약 0.8 이하, 약 0.4 초과 약 0.7 이하, 또는 약 0.5 초과 약 0.6 이하이다.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 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7 이상, 2.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6 이상, 최대치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치 3.5 이하, 특히 최대치 2.7 이하의 PDI; (2) 80 J/g 이하의 용융열; (3) 50 중량% 이상의 에틸렌 함량; (4) -2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 (Tg), 및/또는 (5) 하나의, 또한 단일의 Tm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100 ℃의 온도에서 log (G')가 400 k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Pa 이상이 되도록 저장 모듈러스 (G')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성질과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0 내지 100 ℃ 범위에서 온도의 함수로서의 비교적 균일한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도 6에 나타냄), 이는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으로, 올레핀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3-8 지방족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대해 지금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비교적 균일한"은 log G' (Pa)가 5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에서 한 자리 범위 미만으로 감소함을 의미함).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90 ℃ 이상의 온도에서 1 mm의 열기계 분석 침투 깊이 및 3 kpsi (20 MPa) 내지 13 kpsi (90 MPa)의 굴곡 모듈러스를 추가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104 ℃ 이상의 온도에서 1 mm의 열기계 분석 침투 깊이 및 3 kpsi (20 MPa) 이상의 굴곡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90 mm3 미만의 내마모도 (부피 손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다른 공지된 중합체와 비교된 본 발명의 중합체의 굴곡 모듈러스에 대한 TMA (1 mm)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다른 중합체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가요성-내열성 균형을 갖는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01 내지 20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0 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 g/10분, 특히 0.01 내지 100 g/10분의 용융 지수 (I2)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01 내지 10 g/10분, 0.5 내지 50 g/10분, 1 내지 30 g/10분, 1 내지 6 g/10분, 또는 0.3 내지 10 g/10분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의 용융 지수는 1 g/10분, 3 g/10분 또는 5 g/10분이다.
중합체는 1,000 g/몰 내지 5,0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1000 g/몰 내지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g/몰 내지 500,000 g/몰, 특히 10,000 g/몰 내지 300,000 g/몰의 분자량 (Mw)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밀도는, 0.80 내지 0.99 g/cm3,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경우 0.85 g/cm3 내지 0.97 g/cm3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의 밀도는 0.860 내지 0.925 g/cm3 또는 0.867 내지 0.910 g/cm3 범위이다.
중합체의 제조 공정은 하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가출원 제60/553,906호 (2004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662,937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662,939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5662938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PCT 출원 제PCT/US2005/008916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PCT/US2005/008915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및 동 제PCT/US2005/008917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이들 모두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 예를 들어, 이러한 한가지 방법은, 에틸렌 및 임의로는 에틸렌 이외의 하나 이상의 부가 중합성 단량체를 부가 중합 조건 하에,
(A) 높은 공단량체 혼입 지수를 갖는 제1 올레핀 중합 촉매,
(B) 촉매 (A)의 공단량체 혼입 지수의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공단량체 혼입 지수를 갖는 제2 올레핀 중합 촉매, 및
(C) 사슬 이동제
를 배합하여 형성된 혼합물 또는 반응 생성물
을 함유하는 촉매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대표적 촉매 및 사슬 이동제는 하기와 같다.
촉매 (A1):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429,024 (2003년 5월 2일자 출원) 및 WO 04/24740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이소프로필페닐)(α-나프탈렌-2-디일(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촉매 (A2):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429,024 (2003년 5월 2일자 출원) 및 WO 04/24740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메틸페닐)(1,2-페닐렌-(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촉매 (A3): 비스[N,N'"-(2,4,6-트리(메틸페닐)아미도)에틸렌디아민]하프늄 디벤질.
촉매 (A4): 실질적으로 US-A-2004/0010103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비스((2-옥소일-3-(디벤조-1H-피롤-1-일)-5-(메틸)페닐)-2-페녹시메틸)시클로헥산-1,2-디일 지르코늄(IV) 디벤질.
촉매 (B1): 1,2-비스-(3,5-디-t-부틸페닐렌)(1-(N-(1-메틸에틸)이미노)메틸)(2-옥소일) 지르코늄 디벤질.
촉매 (B2): 1,2-비스-(3,5-디-t-부틸페닐렌)(1-(N-(2-메틸시클로헥실)-이미노)메틸)(2-옥소일) 지르코늄 디벤질.
촉매 (C1):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6,268,444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메틸(3-N-피롤릴-1,2,3,3a,7a-η-인덴-1-일)실란티탄 디메틸.
촉매 (C2): 실질적으로 US-A-2003/004286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4-메틸페닐)(2-메틸-1,2,3,3a,7a-η-인덴-1-일)실란티탄 디메틸.
촉매 (C3): 실질적으로 US-A-2003/004286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4-메틸페닐)(2-메틸-1,2,3,3a,8a-η-s-인다센-1-일)실란티탄 디메틸.
촉매 (D1):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s)로부터 입수가능한 비스(디메틸디실록산)(인덴-1-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이동제: 사용된 이동제로는 디에틸아연, 디(i-부틸)아연, 디(n-헥실)아연,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트리에틸갈륨,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산),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트리메틸실릴)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디(피리딘-2-메톡시드), 비스(n-옥타데실)i-부틸알루미늄, i-부틸알루미늄 비스 (디(n-펜틸) 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2,6-디-t-부틸페녹시드, n-옥틸알루미늄 디(에틸(l-나프틸) 아미드), 에틸알루미늄 비스(t-부틸디메틸실록시드), 에틸알루미늄 디(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에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l-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l-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시드, 에틸아연 (2,6-디페닐페녹시드) 및 에틸아연 (t-부톡시드)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정은, 상호전환이 불가능한 다수의 촉매를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 특히 멀티블록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단량체, 보다 특히 에틸렌과 C3-20 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 가장 특별하게는 에틸렌과 C4-20 α-올레핀의 선형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형성을 위한 연속식 용액 공정의 형태를 취한다. 즉, 촉매는 화학적으로 상이한 것이다. 연속식 용액 중합 조건 하에, 공정은 높은 단량체 전환율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이들 중합 조건 하에, 사슬 이동제로부터 촉매로의 이동은 사슬 성장에 비해 유리해져서, 멀티블록 공중합체, 특히 선형 멀티블록 공중합체가 고효율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종래의 랜덤 공중합체, 중합체들의 물리적 블렌드, 및 순차적 단량체 부가, 유동성 촉매, 음이온 또는 양이온 리빙 중합 기술에 의해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와 차별화될 수 있다. 특히, 동등한 결정화도 또는 모듈러스에서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함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보다 우수한 (보다 높은) 내열성 (융점에 의해 측정됨), 보다 높은 TMA 침투 온도, 높은 고온 인장 강도 및/또는 높은 고온 비틀림 저장 모듈러스 (동력학적적 분석에 의해 측정됨)를 갖는다.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함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특히 승온에서 보다 낮은 압축 영구변형률, 보다 낮은 응력 완화율, 보다 높은 내크립성, 보다 높은 인열 강도, 보다 높은 블록화 내성, 보다 높은 결정화 (고화) 온도로 인한 보다 빠른 셋업, 보다 높은 회복률 (특히 승온에서), 보다 우수한 내마모성, 보다 높은 수축력, 및 보다 우수한 오일 및 충전제 허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또한, 특이한 결정화 및 분지화 분포 관계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특히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수준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의 물리적 블렌드, 예컨대 동등한 전체 밀도에서의 고밀도 중합체와 저밀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비해, 용융열의 함수로서의 CRYSTAF 및 DSC를 사용하여 측정한 최고 피크 온도 사이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의 특이한 특징은 중합체 주쇄내의 블록 중의 특이한 공단량체 분포로 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상이한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교호 블록 (단일중합체 블록을 포함함)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밀도 또는 공단량체 함량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의 수 및/또는 블록 크기에 있어 슐츠-플로리형 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중합체 밀도, 모듈러스 및 모폴로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특이한 피크 융점 및 결정화 온도 프로파일을 또한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의 미세결정의 질서는, 심지어 1.7 미만, 또는 1.5 미만, 또한 1.3 미만까지의 PDI 값에서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구별가능한 특징적 구과(spherulites) 및 라멜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블록화의 정도 또는 수준 (즉, 특정 분획물 또는 전체 중합체의 블록 지수 크기)에 영향을 주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촉매 및 이동제의 비율 및 유형 뿐만 아니라 중합 온도, 및 다른 중합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중합체 블록 또는 세그먼트의 길이 및 공단량체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놀라운 이점은, 블록화 정도가 증가됨에 따라 생성된 중합체의 광학 특성, 인열 강도 및 고온 회복 특성이 향상된다는 것의 발견이다. 특히, 중합체 중 평균 블록수가 증가함에 따라 투명도, 인열 강도 및 고온 회복 특성이 증가되면서, 헤이즈가 감소한다. 목적하는 사슬 이동능 (낮은 수준의 사슬 종결에서의 높은 이동 비율)을 갖는 이동제와 촉매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중합체 종결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공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서는 존재하더라도 매우 적은 β-수소화물 제거가 나타나고, 생성된 결정질 블록은 장쇄 분지를 갖지 않거나 거의 갖지 않으며, 고도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선형이다.
고도의 결정질 사슬 말단을 갖는 중합체를,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용도에서, 비결정질 블록에 의해 종결된 중합체의 상대적 양을 감소시키면 결정질 영역 상의 분자간 희석 효과가 감소한다. 이러한 결과는 수소 또는 다른 사슬 종결제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갖는 사슬 이동제 및 촉매를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도의 결정질 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촉매가, (예컨대 많은 공단량체 혼입, 자리-오류 또는 아택틱 중합체 형성을 통해) 보다 덜 결정질인 중합체 세그먼트를 생성시키는 촉매에 비해, (예컨대 수소의 사용에 의한) 사슬 종결에 대해 보다 영향받기 쉬운 경우, 고도의 결정질 중합체 세그먼트가 중합체의 말단 부분을 우세하게 차지한다. 생성된 말단기가 결정질일 뿐만 아니라, 종결에 따라 고도로 결정질인 중합체 형성 촉매 자리가 다시 한번 중합체 형성의 재개시를 위해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초기에 형성된 중합체는 고도로 결정질인 또다른 중합체 세그먼트이다. 따라서, 생성된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양쪽 말단 모두가 우세하게 고도로 결정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에틸렌 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3-C20 α-올레핀의 혼성중합체이다. 에틸렌과 C3-C20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혼성중합체는 C4-C18 디올레핀 및/또는 알케닐벤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과 중합하기에 유용한 적합한 불포화 공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공액 또는 비공액 디엔, 폴리엔, 알케닐벤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단량체의 예로는, C3-C20 α-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이 포함된다. 1-부텐 및 1-옥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단량체로는, 스티렌, 할로- 또는 알킬-치환된 스티렌, 비닐벤조시클로부탄, 1,4-헥사디엔, 1,7-옥타디엔 및 나프텐계 성분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및 시클로옥텐)이 포함된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바람직한 중합체이지만, 다른 에틸렌/올레핀 중합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올레핀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화합물류를 지칭한다. 촉매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올레핀을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올레핀은, 비닐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C3-C20 지방족 및 방향족 화합물, 및 환식 화합물, 예컨대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노르보르넨 (5번 및 6번 위치에서 C1-C20 히드로카르빌 또는 시클로히드로카르빌 기로 치환된 노르보르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이다. 상기 올레핀들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C4-C40 디올레핀 화합물과 상기 올레핀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올레핀 단량체의 예로는,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및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4,6-디메틸-1-헵텐, 4-비닐시클로헥센, 비닐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나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옥텐, C4-C40 디엔 (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기타 C4-C40 α-올레핀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다. 비닐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탄화수소를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할 수 있으나, 단량체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아짐에 따라 단량체 유용성, 비용 및 생성된 중합체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편리하게 제거하는 능력과 같은 실용적 문제가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중합 공정은, 스티렌, o-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t-부틸스티렌 등을 비롯한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를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에 아주 적합하다. 특히, 에틸렌 및 스티렌을 함유하는 혼성중합체는 본원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임의로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에틸렌, 스티렌 및 C3-C20 알파 올레핀을 함유하고, 임의로는 C4-C20 디엔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비공액 디엔 단량체는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탄화수소 디엔일 수 있다. 적합한 비공액 디엔의 예로는, 직쇄 비환식 디엔, 예컨대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분지쇄 비환식 디엔, 예컨대 5-메틸-1,4-헥사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7-옥타디엔 및 디히드로미리센과 디히드로옥시넨의 혼합 이성질체, 단일 고리 지환식 디엔, 예컨대 1,3-시클로펜타디엔; 1,4-시클로헥사디엔; 1,5-시클로옥타디엔 및 1,5-시클로도데카디엔, 및 다중 고리 지환식 융합 및 다리결합 고리 디엔, 예컨대 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 테트라히드로인덴,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 알케닐, 알킬리덴, 시클로알케닐 및 시클로알킬리덴 노르보르넨, 예컨대 5-메틸렌-2-노르보르넨 (MNB); 5-프로페닐-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4-시클로펜테닐)-2-노르보르넨, 5-시클로헥실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2-노르보르넨 및 노르보르나디엔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EPDM 제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디엔 중,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1,4-헥사디엔 (HD),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ENB), 5-비닐리덴-2-노르보르넨 (VNB), 5-메틸렌-2-노르보르넨 (MNB)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DCPD)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ENB) 및 1,4-헥사디엔 (HD)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중합체의 한 부류는, 에틸렌, C3-C20 α-올레핀, 특히 프로필렌,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디엔 단량체의 엘라스토머 혼성중합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α-올레핀은 화학식 CH2=CHR* (식 중, R*은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임)로 표시된다. 적합한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은 프로필렌이다.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EP 또는 EPDM 중합체라 지칭된다. 이러한 중합체, 특히 멀티블록 EPDM형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디엔으로는, 4 내지 20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공액 또는 비공액, 직쇄 또는 분지쇄, 환식 또는 다환식 디엔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디엔으로는,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및 5-부틸리덴-2-노르보르넨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이다.
디엔 함유 중합체는, 보다 많은 또는 적은 양의 디엔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함) 및 α-올레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함)을 함유하는 교호 세그먼트 또는 블록을 함유하기 때문에, 후속적인 중합체 특성의 손실 없이 디엔 및 α-올레핀의 총량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디엔 및 α-올레핀 단량체는 중합체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또는 불규칙적으로 혼입되기보다는 한가지 유형의 중합체 블록내에 우세하게 혼입되기 때문에, 이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이어서 중합체의 가교 밀도가 보다 잘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가능 엘라스토머 및 경화물은 보다 높은 인장 강도 및 보다 우수한 탄성 회복성을 비롯한 유리한 성질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이한 양의 공단량체가 혼입된 2종의 촉매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그에 의해 형성된 블록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이다. 엘라스토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0%의 에틸렌 함량, 0.1 내지 10%의 디엔 함량 및 10 내지 80%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엘라스토머 중합체는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0%의 에틸렌 함량, 0.1 내지 10%의 디엔 함량 및 10 내지 40%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0,000 내지 약 2,5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50,000이고, 다분산도가 3.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이고, 무니(Mooney) 점도 (ML (1+4) 125 ℃)가 1 내지 250인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중합체는 65 내지 75%의 에틸렌 함량, 0 내지 6%의 디엔 함량 및 20 내지 35%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그의 중합체 구조내에 1개 이상의 관능기가 혼입됨으로써 관능화될 수 있다. 관능기의 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일관능성 및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에틸렌계 불포화 일관능성 및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무수물,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에 그래프팅될 수 있거나, 또는 에틸렌 및 임의의 추가의 공단량체와 공중합되어 에틸렌, 관능성 공단량체 및 임의로는 다른 공단량체(들)의 혼성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상에 관능기를 그라프팅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62,890호, 동 제4,927,888호 및 동 제4,950,54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의 개시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특히 유용한 하나의 관능기는 말레산 무수물이다.
관능성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관능기는 전형적으로, 약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 중량% 이상의 양으로 공중합체형 관능화된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할 수 있다. 관능기는 전형적으로, 약 4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 미만의 양으로 공중합체형 관능화된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한다.
블록 지수에 대한 추가사항
랜덤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를 충족한다. 문헌 [P. J. Flory, Trans. Faraday Soc., 51, 848 (1955)]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을 참조하기 바란다.
수학식 1에서, 결정성 단량체의 몰분율 (P)은,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Tm) 및 순수한 결정성 단일중합체의 용융 온도 (Tm 0)와 연관된다. 상기 수학식은, 에틸렌과 올레핀의 각종 균질 분지형 공중합체에 대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REF 용출 온도 ()의 역함수로서 에틸렌 몰분율의 자연 로그에 대한 관계식과 유사하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종 균질 분지화 공중합체의 DSC 용융 온도 및 ATREF 피크 용출 온도에 대한 에틸렌 몰분율의 관계식은 플로리식과 유사하다. 유사하게, 거의 모든 랜덤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블렌드의 분취 TREF 분획물 역시 작은 분자량 효과를 제외하고는 상기 선에 해당한다.
플로리에 따르면, 에틸렌 몰분율 (P)가, 하나의 에틸렌 단위가 다른 에틸렌 단위의 앞 또는 뒤에 있을 조건부 확률과 동일할 경우, 상기 중합체는 랜덤이다. 반면에 임의의 2개의 에틸렌 단위가 순차적으로 존재하는 조건부 확률이 P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조건부 확률이 P 미만인 나머지 경우는 교호 공중합체이다.
랜덤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의 몰분율은 주로, 주어진 온도에서 최소 평형 결정 두께에 의해 결정화 거동이 좌우되는 에틸렌 세그먼트의 특정 분포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의 TREF 결정화 및 공중합체 용융 온도는 도 8의 랜덤 관계식으로부터의 편차 크기와 관계가 있고, 이러한 편차는 "블록화" 소정 TREF 분획물이 그의 랜덤 등가 공중합체 (또는 랜덤 등가 TREF 분획물)와 어느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정량하는 유용한 방식이다. 용어 "블록화"란 특정 중합체 분획물 또는 중합체가, 중합된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의 블록을 포함하는 정도를 지칭한다. 2가지 랜덤 등가물이 존재한다 (하나는 일정한 온도에 상응하고, 하나는 일정한 에틸렌 몰분율에 상응함). 이들은 도 9에 나타낸 직각 삼각형 변을 형성하고, 이는 블록 지수의 정의를 예시한다.
도 9에서, 점 (Tx, Px)는 분취 TREF 분획물을 나타낸다 (여기서, ATREF 용출 온도 (Tx) 및 NMR 에틸렌 몰분율 (Px)는 측정 수치임). 또한, 전체 중합체의 에틸렌 몰분율 (PAB)는 NMR로 측정한다. "경질 세그먼트" 용출 온도 및 몰분율 (TA, PA)은, 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 단일중합체의 용출 온도 및 몰분율로 산정되거나 또는 설정될 수 있다. TAB 값은, 측정된 PAB를 기초로 계산된 랜덤 공중합체 등가 ATREF 용출 온도에 해당한다. 측정된 ATREF 용출 온도 (Tx)로부터, 상응하는 랜덤 에틸렌 몰분율 (PXo)을 또한 계산할 수 있다. 블록 지수의 제곱은 (Px, Tx) 삼각형과 (TA, PAB) 삼각형의 면적 비율로 정의된다. 직각 삼각형들은 유사하기 때문에, 면적 비율은 또한 (TA, PAB) 및 (Tx, Px)에서 무작위 선까지의 거리 비율의 제곱이다. 또한, 직각 삼각형의 유사함은, 상응하는 변들 중 어느 하나의 길이의 비율이 면적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장 완전한 블록 분포는 점 (TA, PAB)에서의 단일 용출된 분획물을 갖는 전체 중합체에 상응할 것인데, 이는 이러한 중합체가 "경질 세그먼트"에서 에틸렌 세그먼트 분포를 유지하면서 모든 가용 옥텐을 함유 (실시예에서 연질 세그먼트 촉매에 의해 생성되는 것들과 거의 동일한 것을 가정함)하기 때문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연질 세그먼트"는 ATREF (또는 분취 TREF)에서 결정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합성을 예시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가 제공된다. 일부 현존하는 중합체로 특정 비교예가 제조된다.
시험 방법
하기 실시예에서는, 하기 분석 기술을 이용하였다.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에 대한 GPC 방법
160 ℃로 설정된 가열된 니들이 장착된 자동화 액체-취급 로봇을 사용하여, 300 ppm 이오놀(Ionol)에 의해 안정화된 충분한 1,2,4-트리클로로벤젠을 각각의 건조된 중합체 샘플에 첨가하여 30 mg/mL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 작은 유리 교반 막대를 각각의 튜브내에 배치하고, 샘플을 250 rpm으로 회전하는 가열된 회전식 진탕기에서 160 ℃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자동화 액체-취급 로봇 및 160 ℃로 설정된 가열된 니들을 사용하여 중합체 농축액을 1 mg/ml로 희석하였다.
시믹스 래피드 GPC 시스템(Symyx Rapid GPC system)을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에 대한 분자량 데이타를 측정하였다. 2.0 ml/분의 유속으로 설정된 길슨(Gilson) 350 펌프를 사용하여, 300 ppm 이오놀에 의해 안정화된 헬륨 퍼징된 1,2-디클로로벤젠을, 직렬로 배치된 3개의 Plgel 10 마이크로미터 (㎛) 혼합-B 300 mm x 7.5 mm 컬럼을 통해 이동상으로서 펌핑하고, 160 ℃로 가열하였다. 폴리머 랩스 ELS 1000 검출기(Polymer Labs ELS 1000 Detector)를 250 ℃로 설정된 이베퍼레이터(Evaporator), 165 ℃로 설정된 네뷸라이저(Nebulizer), 및 60 내지 80 psi (400 내지 600 kPa) N2의 압력에서 1.8 SLM으로 설정된 질소 유속과 함께 사용하였다. 중합체 샘플을 160 ℃로 가열하고, 액체-취급 로봇 및 가열된 니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250 ㎕의 루프에 주입하였다. 스위칭된 2개의 루프를 사용한 일련의 중합체 샘플 분석 및 중복 주입을 사용하였다. 시믹스 에포치(Symyx Epoch, 상표명)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샘플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피크를 수동 적분하고, 분자량 정보는 폴리스티렌 표준 보정 곡선에 대하여 보정되지 않은 상태로 기록하였다.
표준 CRYSTAF 방법
폴리머차르(PolymerChar)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에서 시판되는 CRYSTAF 200 유닛을 사용하여 결정화 분석 분별 (CRYSTAF)에 의해 분지화 분포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160 ℃에서 1시간 동안 1,2,4-트리클로로벤젠 중에 용해시키고 (0.66 mg/mL), 95 ℃에서 45분 동안 안정화시켰다. 0.2 ℃/분의 냉각 속도에서 샘플링 온도는 95 내지 30 ℃의 범위였다. 적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합체 용액 농도를 측정하였다. 온도를 감소시키며 중합체를 결정화시킬 때 누적 가용 농도를 측정하였다. 누적 프로파일의 분석 미분치는 중합체의 단쇄 분지화 분포를 반영한다.
CRYSTAF 피크 온도 및 면적은 CRYSTAF 소프트웨어 (버젼 2001.b, 폴리머차르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에 포함된 피크 분석 모듈에 의해 확인하였다. CRYSTAF 피크 확인 루틴에 의해 dW/dT 곡선에서 최대치로서의 피크 온도, 및 미분 곡선에서 확인된 피크의 각 측면 상의 최대의 양의 굴곡부 사이의 면적을 확인하였다. CRYSTAF 곡선을 계산하기 위해, 바람직한 가공 파라미터는 온도 한계를 70 ℃로 하여 0.1의 온도 한계 초과 및 0.3의 온도 한계 미만의 파라미터 평탄화를 수행한 것이다.
DSC 표준 방법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 제외)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의 결과는, RCS 냉각 부속품 및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TAI 모델 Q1OOO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0 ml/분의 질소 퍼징 기체 유동을 사용하였다. 샘플을 박막내에 압착시키고, 약 175 ℃에서 프레스내에서 용융시킨 후, 실온 (25 ℃)으로 공냉시켰다. 이어서, 3 내지 10 mg의 재료를 6 mm 직경의 디스크로 절단하고, 정확히 칭량하고, 경량 알루미늄 팬 (약 50 mg)에 넣은 후, 크림핑 차단하였다. 하기 온도 프로파일로 샘플의 열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샘플을 180 ℃로 급속히 가열하고, 3분 동안 등온 유지하여, 이전의 임의의 열적 이력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 ℃/분의 냉각 속도로 -40℃까지 냉각시키고, -40 ℃에서 3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 ℃/분의 가열 속도로 150 ℃로 가열하였다.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
DSC 용융 피크는, -30 ℃와 용융 종결점 사이에 나타낸 선형 기준선에 대하여 열 유량 (W/g)의 최대치로서 측정하였다. 용융열은, 선형 기준선을 사용하여 -30 ℃와 용융 종결점 사이의 용융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측정하였다.
GPC 방법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 제외)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은, 폴리머 래보러토리즈(Polymer Laboratories) 모델 PL-210 또는 폴리머 래보러토리즈 모델 PL-220 기기로 구성되었다. 컬럼 및 캐로우셀(carousel) 구획을 140 ℃에서 작동시켰다. 3개의 폴리머 래보러토리즈 10-마이크로미터 혼합-B 컬럼을 사용하였다. 용매는 1,2,4-트리클로로벤젠이었다. 샘플을,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200 ppm을 함유하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의 중합체 0.1 그램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160 ℃에서 2시간 동안 가볍게 교반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주입 부피는 100 마이크로리터였고, 유속은 1.0 ml/분이었다.
개별 분자량 사이에서 10개 이상 분리된 6종의 "칵테일(cocktail)" 혼합물 중에 배열된, 분자량이 580 내지 8,400,000의 범위인 21종의 좁은 분자량 분포의 폴리스티렌 표준물에 의해 GPC 컬럼 세트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표준물은 폴리머 래보러토리즈 (영국 쉬롭샤이어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분자량이 1,000,000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 0.025 그램으로, 또한 분자량이 1,000,000 미만인 것에 대해서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 0.05 그램으로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30분 동안 온화한 교반과 함께 80 ℃에서 용해시켰다. 좁은 표준물 혼합물을 먼저, 그리고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고 분자량 성분부터 감소시키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수학식: M폴리에틸렌 = 0.431(M폴리스티렌)을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표준 피크 분자량을 폴리에틸렌 분자량으로 전환하였다 (문헌 [Williams and Ward, J. Poym. Sci., Polym. Let., 6, 621 (1968)]에 기재됨).
비스코텍 트리SEC(Viscotek TriSEC) 소프트웨어 버젼 3.0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등가 분자량을 계산하였다.
압축 영구변형률
ASTM D 395에 따라 압축 영구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두께가 3.2 mm, 2.0 mm 및 0.25 mm인 직경 25.4 mm의 원형 디스크를 총 두께가 12.7 mm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시킴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디스크를 하기 조건 하에 고온 프레스로 성형된 12.7 cm x 12.7 cm 압축 성형된 플라크로부터 절단하였다. 190 ℃에서 3분 동안 압력 0, 그 후 190 ℃에서 2분 동안 86 MPa, 그 후 86 MPa에서 냉각수를 흘려 프레스내에서 냉각시켰다.
밀도
ASTM D 1928에 따라 밀도 측정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ASTM D792, 방법 B를 사용하여 샘플 가압 1시간내에 측정하였다.
굴곡/시컨트 모듈러스/저장 모듈러스
ASTM D 1928을 사용하여 샘플을 압축 성형하였다. ASTM D-790에 따라 굴곡 및 2% 시컨트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ASTM D 5026-01 또는 동등한 기술에 따라 저장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광학 특성
고온 프레스 (카르버(Carver) 모델 #4095-4PR1001R)를 사용하여 0.4 mm 두께의 필름을 압축 성형하였다. 펠렛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사이에 배치하고, 55 psi (380 kPa)에서 3분 동안, 그 후 1.3 MPa에서 3분 동안, 이어서 2.6 MPa에서 3분 동안 190 ℃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필름을 1.3 MPa에서 1분 동안 냉각수가 흐르는 프레스내에서 냉각시켰다. 압축 성형된 필름을 광학 측정, 인장 거동, 회복률 및 응력 완화율에 사용하였다.
ASTM D 1746에 명시된 바와 같이 BYK 가드너 헤이즈-가드(BYK Gardner Haze-gard)를 사용하여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ASTM D-2457에 명시된 바와 같이 BYK 가드너 글로스미터 마이크로글로스(BYK Gardner Glossmeter Microgloss) 45°를 사용하여 45°광택을 측정하였다.
ASTM D 1003 절차 A를 기초로 한 BYK 가드너 헤이즈-가드를 사용하여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필름 표면에 광유를 도포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제거하였다.
기계적 특성 - 인장,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및 인열
ASTM D 1708 미세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단축 장력에서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21 ℃에서 500%/분으로 인스트론(Instron)에 의해 신장시켰다. 5개의 시험편의 평균으로부터 인장 강도 및 파단 신장률을 기록하였다.
인스트론(상표명) 기기에 의해 ASTM D 1708 미세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100% 및 300% 변형률에 대한 순환 로딩으로부터 100% 및 300% 히스테리시스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21 ℃에서 3 사이클 동안 267%/분으로 로딩 및 언로딩하였다. 환경 챔버를 사용하여 300% 및 80 ℃에서의 순환 실험을 수행하였다. 80 ℃ 실험에서, 샘플을 시험하기 전에 시험 온도에서 45분 동안 평형화하였다. 21 ℃, 300% 변형률 순환 실험에서, 제1 언로딩 사이클로부터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을 기록하였다. 로딩이 기준선으로 되돌아가는 변형률을 이용하여 제1 언로딩 사이클로부터 모든 실험에서의 회복률 (%)을 계산하였다. 회복률 (%)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식 중, εf는 순환 로딩에 대해 얻어진 변형률이고, εs는 제1 언로딩 사이클 동안 로딩이 기준선으로 되돌아가는 변형률이다.
환경 챔버가 장착된 인스트론(상표명) 기기를 사용하여 50% 변형률 및 37 ℃에서 12시간 동안 응력 완화율을 측정하였다. 게이지 기하구조는 76 mm x 25 mm x 0.4 mm였다. 환경 챔버내에서 37 ℃에서 45분 동안 평형화한 후, 샘플을 333%/분으로 50% 변형률까지 신장시켰다. 응력을 12시간 동안 시간의 함수로서 기록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12시간 후 응력 완화율 (%)을 계산하였다.
식 중, L0은 0 시간에서 50% 변형률에서의 로딩이고, L12는 12시간 후 50% 변형률에서의 로딩이다.
인스트론(상표명) 기기를 사용하여 0.88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샘플로 인장 노칭된 인열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하구조는, 시험편 길이의 절반에서 샘플내로 2 mm 노치 컷을 갖는 76 mm x 13 mm x 0.4 mm의 게이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21 ℃에서 508 mm/분으로 신장시켰다. 인열 에너지를, 최대 로딩에서의 변형률까지의 응력-신장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계산하였다. 3개 이상의 시험편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TMA
5분 동안 180 ℃ 및 10 MPa 성형 압력에서 형성된 후 공기 켄칭된, 직경 30 mm x 두께 3.3 mm의 압축 성형된 디스크에서 열적 기계적 분석 (침투 온도)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TMA 7 (퍼킨-엘머(Perkin-Elmer)로부터 입수가능한 브랜드)이었다. 시험에서는, 반경 1.5 mm의 팁을 갖는 프로브 (P/N N519-0416)를 1 N의 힘으로 샘플 디스크 표면에 적용하였다. 온도를 25 ℃로부터 5 ℃/분으로 상승시켰다. 프로브 침투 거리를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프로브가 샘플내로 1 mm 침투되었을 때 실험을 종결하였다.
DMA
180 ℃ 및 10 MPa 압력에서 5분 동안 고온 프레스내에서 형성되고, 이어서 프레스내에서 90 ℃/분으로 수냉각시킨, 압축 성형된 디스크에서 동력학적 분석 (DMA)을 수행하였다. 비틀림 시험을 위해 이중 캔틸레버 고정물이 장착된 ARES 제어된 변형률 레오미터 (TA 기기)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1.5 mm 플라크를 압착하고 32 x 12 mm 치수의 막대로 절단하였다. 샘플을 10 mm 간격 (그립 간격 (ΔL))의 고정물 사이에서 양쪽 말단을 클램핑하고, -100 ℃에서 200 ℃까지의 후속 온도 단계 (단계 당 5 ℃)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10 rad/s의 각 주파수로 비틀림 모듈러스 (G')를 측정하였고, 토크가 충분하고 측정치가 선형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변형률 진폭을 0.1% 내지 4%로 유지하였다.
10 g의 초기 정적 힘을 유지하여 (자동 인장 모드) 열 팽창 발생시 샘플에서의 늘어짐을 방지하였다. 그 결과, 그립 간격 (ΔL)이, 특히 중합체 샘플의 용융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에서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최대 온도에서, 또는 고정물 사이의 간극이 65 mm에 도달할 때 시험을 중지하였다.
용융 지수
ASTM D 1238, 조건 190 ℃/2.16 kg에 따라 용융 지수 또는 I2를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 1238, 조건 190 ℃/10 kg에 따라 용융 지수 또는 I10을 측정하였다.
ATREF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798,081호 및 문헌 [Wilde, L.; Ryle, T.R.; Knobeloch, D.C.; Peat, I.R.; Determination of Branching Distributions in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J. polym. Sci., 20, 441-455 (198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분석용 온도 상승 용출 분별 (ATREF)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하고자 하는 조성물을 트리클로로벤젠에 용해시키고, 0.1 ℃/분의 냉각 속도로 온도를 20 ℃까지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불활성 지지체 (스테인레스강 쇼트)를 함유하는 컬럼내에서 결정화시켰다. 컬럼에는 적외선 검출기가 장착되었다. 이어서, 용출 용매 (트리클로로벤젠)의 온도를 1.5 ℃/분의 속도로 20 ℃에서 120 ℃까지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결정화된 중합체 샘플을 컬럼으로부터 용출시켜 ATREF 크로마토그램 곡선을 얻었다.
13 C NMR 분석
테트라클로로에탄-d2/오르쏘디클로로벤젠의 50/50 혼합물 (대략 3 g)을 10 mm NMR 튜브내 0.4 g의 샘플에 첨가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튜브 및 그의 내용물을 150 ℃로 가열함으로써 샘플을 용해시키고 균질화하였다. 100.5 MHz의 13C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JEOL 이클립스(JEOL Eclipse, 상표명) 400MHz 분광계 또는 배리언 유니티 플러스(Varian Unity Plus, 상표명) 400MHz 분광계를 사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6초 펄스 반복 지연하며 데이타 파일 당 4000 트랜지언트(transient)를 사용하여 데이타를 얻었다. 정량 분석을 위해 최소의 신호 대 잡음을 얻기 위해, 다수의 데이타 파일을 함께 추가시켰다. 32K 데이타 포인트의 최소 파일 크기에서 분광폭은 25,000 Hz였다. 샘플을 10 mm 광폭 밴드 프로브에서 130 ℃에서 분석하였다. 랜달의 3원 방법(Randall's triad method)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 [Randall, J.C.; JMS-Rev. Macromol. Chem. Phys., C29, 201-317 (1989)])을 이용하여 공단량체 혼입을 측정하였다.
TREF에 의한 중합체 분별
중합체 15 내지 20 g을 16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2 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대규모 TREF 분별을 수행하였다. 중합체 용액을, 30 내지 40 메쉬 (600 내지 425 ㎛) 구형의 공업용 유리 비드 (미국 76801 텍사스주 브라운우드 HC 30 박스 20 소재의 포터스 인더스트리즈(Potters Industries)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직경 0.028" (0.7 mm)의 컷 와이어 쇼트의 스테인레스강 (미국 14120 뉴욕주 노쓰 토나완다 인더스트리얼 드라이브 63 소재의 펠렛츠 인코포레이티드(Pellets, Inc.)로부터 입수가능함)의 60:40 (v:v) 혼합물로 패킹된 3 인치 x 4 피트 (7.6 cm x 12 cm) 강철 컬럼 상에 15 psig (100 kPa)의 질소에 의해 가하였다. 컬럼을 열적으로 제어된 오일 재킷내에 침적시키고, 초기에 160 ℃로 설정하였다. 먼저 컬럼을 급속히 125 ℃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0.04 ℃/분으로 20 ℃로 서서히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온도를 0.167 ℃/분으로 증가시키며 새로운 TCB를 약 65 ml/분으로 도입하였다.
분취 TREF 컬럼으로부터의 대략 2000 ml 부분의 용출물을 16개 구역의 가열된 분획물 수집기에서 수집하였다. 중합체를 약 50 내지 100 ml의 중합체 용액이 남아있을 때까지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분획물내에서 농축시켰다. 농축액을 밤새 방치한 후, 과량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여과시키고, 헹구었다 (최종 헹굼액을 포함하여 대략 300 내지 500 ml의 메탄올). 여과 단계는, 5.0 ㎛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된 여과지 (오스모닉스 인코포레이티드(Osmonics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Cat# Z50WP04750)를 사용하여 3개 위치 진공 보조 여과 구역에서 수행하였다. 여과된 분획물을 60 ℃에서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키고, 분석용 저울에서 칭량한 후, 추가로 시험하였다.
촉매
용어 "밤새"가 사용된 경우, 이는 대략 16 내지 18시간의 시간을 지칭하고, 용어 "실온"은 20 내지 25 ℃의 온도를 지칭하며, 용어 "혼합 알칸"은 엑손모빌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상표명 이소파르 E(Isopar E, 등록상표)로 입수가능한 C6-9 지방족 탄화수소의 시판되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화합물 명칭이 그의 구조 표시와 맞지 않는 경우, 구조 표시가 관리하게 된다. 모든 금속 착물의 합성 및 모든 스크리닝 실험의 준비는 건조 박스 기술을 이용하여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모든 용매는 HPLC 등급이었고, 이들을 건조시킨 후 사용하였다.
MMAO는 액조-노블 코포레이션(Akzo-Noble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는, 개질된 메틸알루목산,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개질된 메틸알루목산을 지칭한다.
촉매 (B1)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a) (1-메틸에틸)(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메틸이민의 제조
3,5-디-t-부틸살리실알데히드 (3.00 g)를 이소프로필아민 10 mL에 첨가하였다. 용액이 급속히 밝은 황색으로 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여 밝은 황색의 결정질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97%).
b) 1,2-비스-(3,5-디-t-부틸페닐렌)(1-(N-(1-메틸에틸)이미노)메틸)(2-옥소일) 지르코늄 디벤질의 제조
5 mL 톨루엔 중의 (1-메틸에틸)(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이민 (605 mg, 2.2 mmol)의 용액을 50 mL 톨루엔 중의 Zr(CH2Ph)4 (500 mg, 1.1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암황색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을 적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촉매 (B2)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a) (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민의 제
2-메틸시클로헥실아민 (8.44 mL, 64.0 mmol)을 메탄올 (90 mL)에 용해시키고, 디-t-부틸살리실알데히드 (10.00 g, 42.6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12시간 동안 -25 ℃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황색 고체 침전물을 여과 수집하고, 저온 메탄올 (2 x 15 mL)로 세척한 후,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황색 고체 11.17 g을 수득하였다. 1H NMR은 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목적 생성물과 일치하였다.
b) 비스-(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미노)지르코늄 디벤질의 제조
200 mL 톨루엔 중의 (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민 (7.63 g, 23.2 mmol)의 용액을 600 mL 톨루엔 중의 Zr(CH2Ph)4 (5.28 g, 11.6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암황색 용액을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680 mL 톨루엔으로 추가로 희석하여 농도가 0.00783 M인 용액을 수득하였다.
보조촉매 1: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5,919,983호,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쇄 트리알킬아민 (아르민(Armeen, 상표명) M2HT, 액조-노벨, 인코포레이티드(Akzo-Nobel,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HCl 및 Li[B(C6F5)4]를 반응시켜 제조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메틸디(C14-18 알킬)암모늄염 (이하, 아르미늄 보레이트)의 혼합물.
보조촉매 2: 미국 특허 제6,395,671,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한, 비스(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만)-2-운데실이미다졸리드의 혼합 C14-18 알킬디메틸암모늄염.
이동제: 사용된 이동제는 디에틸아연 (DEZ, SA1), 디(i-부틸)아연 (SA2), 디(n-헥실)아연 (SA3), 트리에틸알루미늄 (TEA, SA4), 트리옥틸알루미늄 (SA5), 트리에틸갈륨 (SA6),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산) (SA7),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트리메틸실릴)아미드) (SA8), n-옥틸알루미늄 디(피리딘-2-메톡시드) (SA9), 비스(n-옥타데실)i-부틸알루미늄 (SA1O),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n-펜틸)아미드) (SA11), n-옥틸알루미늄 비스(2,6-디-t-부틸페녹시드) (SA12), n-옥틸알루미늄 디(에틸(1-나프틸)아미드) (SA13), 에틸알루미늄 비스(t-부틸디메틸실록시드) (SA14), 에틸알루미늄 디(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SA15), 에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SA16), n-옥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SA17), n-옥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시드(SA18), 에틸아연 (2,6-디페닐페녹시드) (SA19) 및 에틸아연 (t-부톡시드) (SA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A 내지 C
일반적 고처리량 평행 중합 조건
시믹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Symyx Technologi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고처리량 평행 중합 반응기 (PPR)를 사용하여 중합을 수행하고,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6,248,540호, 동 제6,030,917호, 동 제6,362,309호, 동 제6,306,658호 및 동 제6,316,663호에 따라 작업하였다. 사용된 전체 촉매를 기준으로 1.2 당량의 보조촉매 1 (MMAO가 존재하는 경우 1.1 당량)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에틸렌으로 130 ℃ 및 200 psi (1.4 MPa)에서 에틸렌 공중합을 수행하였다. 예비칭량된 유리 튜브가 고정되어 있는 6 x 8 정렬의 48개의 개별 반응기 셀이 함유된 평행 압력 반응기 (PPR)에서 일련의 중합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반응기 셀에서의 작업 부피는 6000 ㎕였다. 각각의 셀을 개별 교반 패들에 의해 교반하며 온도 및 압력 조절하였다. 단량체 기체 및 켄칭 기체를 PPR 유닛내에 직접 연관(plumbing)하고, 자동 밸브에 의해 조절하였다. 액체 시약을 시린지에 의해 각각의 반응기 셀에 로봇으로 첨가하였고, 저장용기 용매는 혼합 알칸이었다. 첨가 순서는, 혼합 알칸 용매 (4 ml), 에틸렌, 1-옥텐 공단량체 (1 ml), 보조촉매 1 또는 보조촉매 1/MMAO 혼합물, 이동제, 및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이었다. 보조촉매 1과 MMAO의 혼합물 또는 2종의 촉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약을 반응기에 첨가하기 직전에 작은 바이알에서 예비혼합하였다. 시약이 실험에서 생략되는 경우, 상기 첨가 순서는 다른 방식으로 유지하였다. 중합은, 소정의 에틸렌 소비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1 내지 2분 동안 수행하였다. CO로 켄칭한 후, 반응기를 냉각시키고, 유리 튜브를 언로딩하였다. 튜브를 원심분리/진공 건조 유닛으로 옮기고, 60 ℃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튜브를 칭량하고, 이 중량과 용기 중량의 차이로부터 중합체의 알짜 수율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및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 비교예 화합물은 별표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는, DEZ가 존재하는 경우, 매우 좁은 MWD, 본질적으로 모노모달(monomodal) 공중합체, 또한 DEZ의 부재 하에서의 바이모달(bimodal)의 넓은 분자량 분포의 생성물 (별도로 제조된 중합체의 혼합물)의 형성에 의해 입증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선형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을 나타낸다. 촉매 (A1)은 촉매 (B1)에 비해 보다 많은 옥텐을 도입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본 발명의 생성된 공중합체의 상이한 블록 또는 세그먼트는 분지화 또는 밀도를 기초로 하여 구별가능하다.
1 탄소 1000개 당 C6, 또는 보다 높은 사슬 함량
2 바이모달 분자량 분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는 이동제의 부재 하에서 제조된 중합체보다 비교적 좁은 다분산도 (Mw/Mn) 및 더 큰 블록 공중합체 함량 (삼원공중합체, 사원공중합체, 또는 그 이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표 1의 중합체에 대한 추가의 특성화 데이타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DSC 및 ATREF 결과는 하기와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58.1 J/g의 용융열과 115.7 ℃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4.5 ℃에서의 최고 피크와 52.9%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81.2 ℃였다.
실시예 2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214.0 J/g의 용융열과 109.7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6.2 ℃에서의 최고 피크와 57.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63.5 ℃였다.
실시예 3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60.1 J/g의 용융열과 120.7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66.1 ℃에서의 최고 피크와 71.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54.6 ℃였다.
실시예 4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0.7 J/g의 용융열과 104.5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 ℃에서의 최고 피크와 18.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74.5 ℃였다.
비교예 A에 대한 DSC 곡선은 86.7 J/g의 용융열과 90.0 ℃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8.5 ℃에서의 최고 피크와 29.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낮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1.8 ℃였다.
비교예 B에 대한 DSC 곡선은 237.0 J/g의 용융열과 129.8 ℃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2.4 ℃에서의 최고 피크와 83.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높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7.4 ℃였다.
비교예 C에 대한 DSC 곡선은 143.0 J/g의 용융열과 125.3 ℃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1.8 ℃에서의 최고 피크와 34.7%의 피크 면적 뿐만 아니라 52.4 ℃에서의 보다 낮은 결정 피크를 나타내었다. 두 피크 사이의 간격은 고결정질 및 저결정질 중합체의 존재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3.5 ℃였다.
실시예 5 내지 19, 비교예 D 내지 F, 연속식 용액 중합, 촉매 A1/B2 + DEZ
내부 교반기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연속식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파르 (상표명) E), 2.70 lb/시간 (1.22 kg/시간)의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된 경우)를 내부 열전쌍 및 온도 조절용 재킷이 장착된 3.8 L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로의 용매 공급을 유량 조절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변 속도 격막 펌프로 반응기로의 용매 유속 및 압력을 조절하였다. 펌프 배출시, 측류를 취하여 촉매 및 보조촉매 1 주입 라인 및 반응기 교반기를 위한 플러쉬 유동을 제공하였다. 이들 유동을 마이크로-모션(Micro-Motion)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고, 조절 밸브에 의해 또는 니들 밸브의 수동 조정에 의해 조절하였다. 나머지 용매를 1-옥텐, 에틸렌 및 수소 (사용된 경우)와 배합하여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필요한 경우 유량 조절기를 사용하여 수소를 반응기로 전달하였다.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용매/단량체 용액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상기 스트림을 반응기 저부에 도입하였다. 펌프 및 유량계를 사용하여 촉매 성분 용액을 계량하고, 촉매 플러쉬 용매와 배합하고, 반응기의 저부내로 도입하였다. 반응기에서 격렬한 교반과 함께 500 psig (3.45 MPa)에서 액체 충전을 수행하였다. 반응기 상부에서 출구 라인을 통해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반응기로부터의 모든 출구 라인을 증기 추적하고 단열시켰다. 임의의 안정화제 또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출구 라인내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정적 혼합기로 통과시킴으로써 중합을 중지시켰다. 이어서, 생성물 스트림을 열 교환기로 통과시켜 가열한 후, 탈휘발화시켰다. 탈휘발화 압출기 및 수 냉각된 펠렛화기를 사용하여 압출에 의해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하였다. 상세 공정 및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선택된 중합체 특성을 표 3에 기재하였다.
*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님)
1 표준 cm3/분
2 [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이소프로필페닐)(α-나프탈렌-2-디일(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3 비스-(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미노) 지르코늄 디벤질
4 반응기내 몰비
5 중합체 생성 속도
6 반응기에서의 에틸렌 전환율 (%)
7 효율, kg 중합체/g M (여기서, g M = g Hf + g Zr)
생성된 중합체를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DSC 및 ATREF로 시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5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0 J/g의 용융열과 119.6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7.6 ℃에서의 최고 피크와 59.5%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0 ℃였다.
실시예 6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4 J/g의 용융열과 115.2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4.2 ℃에서의 최고 피크와 62.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1.0 ℃였다.
실시예 7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9.1 J/g의 용융열과 121.3 ℃의 융점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9.2 ℃에서의 최고 피크와 29.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1 ℃였다.
실시예 8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7.9 J/g의 용융열과 123.5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0.1 ℃에서의 최고 피크와 12.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3.4 ℃였다.
실시예 9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73.5 J/g의 용융열과 124.6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0.8 ℃에서의 최고 피크와 16.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3.8 ℃였다.
실시예 10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7 J/g의 용융열과 115.6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0.9 ℃에서의 최고 피크와 52.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4.7 ℃였다.
실시예 11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70.4 J/g의 용융열과 113.6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9.6 ℃에서의 최고 피크와 25.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4.1 ℃였다.
실시예 12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8.9 J/g의 용융열과 113.2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 ℃ 이상에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추가의 계산을 위해 Tcrystaf를 30 ℃로 설정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3.2 ℃였다.
실시예 13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9.4 J/g의 용융열과 114.4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3.8 ℃에서의 최고 피크와 7.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4.4 ℃였다.
실시예 14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27.9 J/g의 용융열과 120.8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2.9 ℃에서의 최고 피크와 92.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7.9 ℃였다.
실시예 15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36.2 J/g의 용융열과 114.3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2.3 ℃에서의 최고 피크와 9.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2.0 ℃였다.
실시예 16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4.9 J/g의 용융열과 116.6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8.0 ℃에서의 최고 피크와 65.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68.6 ℃였다.
실시예 17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7.0 J/g의 용융열과 116.0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3.1 ℃에서의 최고 피크와 56.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9 ℃였다.
실시예 18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41.8 J/g의 용융열과 120.5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0.0 ℃에서의 최고 피크와 94.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50.5 ℃였다.
실시예 19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4.8 J/g의 용융열과 124.8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9.9 ℃에서의 최고 피크와 87.9%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5.0 ℃였다.
비교예 D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31.6 J/g의 용융열과 37.3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 ℃ 이상에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낮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3 ℃였다.
비교예 E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9.3 J/g의 용융열과 124.0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9.3 ℃에서의 최고 피크와 94.6%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높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4.6 ℃였다.
비교예 F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90.4 J/g의 용융열과 124.8 ℃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7.6 ℃에서의 최고 피크와 19.5%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두 피크 사이의 간격은 고결정질 및 저결정질 중합체 양쪽 모두의 존재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7.2 ℃였다.
물성 시험
중합체 샘플을, TMA 온도 시험, 펠렛 블록화 강도, 고온 회복률, 고온 압축 영구변형률 및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 ℃)/G'(100 ℃))에 의해 나타나는 고온 내성 등의 물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여러 시판되는 중합체가 시험에 포함되었다. 비교예 G*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등록상표))였고, 비교예 H*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엘라스토머 공중합체(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등록상표) EG8100)였고, 비교예 I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등록상표) PL1840)였고, 비교예 J는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크라톤 폴리머즈(KRATON Polymers)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KRATON, 상표명) G1652)였고, 비교예 K는 열가소성 가황물 (TPV, 가교된 엘라스토머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블렌드)이었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에서, 비교예 F (이는 촉매 A1 및 B1을 사용한 동시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2종의 중합체의 물리적 블렌드임)는 약 70 ℃의 1 mm 침투 온도를 갖는 반면, 실시예 5 내지 9는 100 ℃ 이상의 1 mm 침투 온도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10 내지 19는 모두 85 ℃ 초과의 1 mm 침투 온도를 가졌으며, 대부분 90 ℃ 초과 또는 100 ℃를 훨씬 초과하는 1 mm TMA 온도를 가졌다. 이는 신규한 중합체가 물리적 블렌드에 비해 보다 고온에서 보다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J (시판되는 SEBS)는 약 107 ℃의 우수한 1 mm TMA 온도를 가졌으나, 약 100%의 매우 불량한 (고온 70 ℃) 압축 영구변형률을 가졌고, 이는 또한 고온 (80 ℃) 300% 변형 회복 동안 회복에 실패하였다 (샘플 파단). 따라서, 예시된 중합체는 일부 시판되는 고성능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서도 얻을 수 없는 특이한 특성의 조합을 가졌다.
유사하게, 표 4는, 본 발명의 중합체의 경우 6 이하의 낮은 (우수한)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 ℃)/G'(100 ℃))을 나타내는 반면, 물리적 블렌드 (비교예 F)는 저장 모듈러스 비율이 9이고, 유사한 밀도의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비교예 G)는 한 자리 범위만큼 큰 저장 모듈러스 비율 (89)을 가짐을 보여준다. 중합체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은 가능한 한 1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는 온도에 의해 비교적 영향받지 않으며, 이러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제품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저장 모듈러스 비율 및 온도 독립성의 특징은, 감압성 접착제 제형과 같은 엘라스토머 용도에서 특히 유용하다.
표 4의 데이타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가 향상된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가짐을 입증한다. 특히, 실시예 5는 0 MPa의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갖고, 이는 상당한 블록화를 나타내는 비교예 F 및 G에 비해 시험 조건 하에 자유 유동함을 의미한다. 큰 블록화 강도를 갖는 중합체의 벌크 수송으로 인해 생성물이 저장 또는 적하시 함께 클럼핑(clumping) 또는 부착되어 불량한 취급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블록화 강도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고온 (70 ℃) 압축 영구변형률은 일반적으로 우수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약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70% 미만, 특히 약 60% 미만임을 의미한다. 반면, 비교예 F, G, H 및 J는 모두 100% (가능한 최대치로, 회복성이 없음을 나타냄)의 70 ℃ 압축 영구변형률을 가졌다. 우수한 고온 압축 영구변형률 (낮은 수치)는 개스킷, 윈도우 프로파일, o-링 등과 같은 용도에서 특히 필요하다.
1. 51 cm/분으로 테스트함.
2. 38 ℃에서 12시간 동안 측정함.
표 5에는, 새로운 중합체 뿐만 아니라 각종 비교 중합체의 주변 온도에서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ISO 4649에 따라 시험시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약 90 mm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80 mm3 미만, 특히 약 50 mm3 미만의 부피 손실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험에서, 높은 수치는 높은 부피 손실을, 또한 결과적으로 낮은 내마모성을 나타낸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의 인장 노치 인열 강도에 의해 측정된 인열 강도는 일반적으로 1000 mJ 이상이었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인열 강도는 3000 mJ만큼, 심지어 5000 mJ만큼 높을 수 있다. 비교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750 mJ 이하의 인열 강도를 가졌다.
표 5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일부 비교예 샘플에 비해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이 보다 우수함 (보다 높은 수축 응력값에 의해 입증됨)을 보여준다. 비교예 F, G 및 H는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값이 400 kPa 이하인 반면, 본 발명의 중합체는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값이 500 kPa (실시예 11) 내지 약 1100 kPa (실시예 17)이었다. 150%보다 높은 수축 응력값을 갖는 중합체는 탄성 섬유 및 직물, 특히 부직물과 같은 탄성 용도에 매우 유용하다. 다른 용도는, 기저귀, 위생용품 및 의료용 가먼트 허리밴드 용품, 예컨대 탭 및 탄성 밴드를 포함한다.
표 5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교예 G에 비해 (50% 변형률에서의) 응력 완화율이 향상됨 (낮음)을 보여준다. 낮은 응력 완화율은, 중합체가 체온에서 장시간에 걸친 탄성의 유지가 목적하는 기저귀 및 기타 가먼트와 같은 용도에서 보다 우수한 효력을 가짐을 의미한다.
광학 시험
표 6에 기록된 광학 특성은 실질적으로 배향되지 않은 압축 성형된 필름을 기초로 한 것이다. 중합체의 광학 특성은, 중합에 사용된 사슬 이동제의 양의 변화에 기인하는 미세결정 크기 변화로 인해 폭넓은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추출
실시예 5, 7 및 비교예 E의 중합체에 대한 추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중합체 샘플을 유리 프릿화 추출 골무내로 칭량 첨가하고, 구마가와(Kumagawa)형 추출기내에 배치하였다. 샘플이 있는 추출기를 질소 퍼징하고, 50O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디에틸 에테르 350 mL로 충전시켰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추출기에 고정시켰다. 에테르를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에테르가 골무내로 응축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기록하고, 추출을 24시간 동안 질소 하에 진행시켰다. 이 때, 가열을 중지하고, 용액을 냉각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에테르를 다시 플라스크로 복귀시켰다. 플라스크내의 에테르를 주변 온도에서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질소 퍼징 건조시켰다. 임의의 잔류물을 헥산 연속 세척을 이용하여 칭량된 병으로 옮겼다. 이어서, 합쳐진 헥산 세척액을 추가의 질소 퍼징에 의해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40 ℃에서 밤새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에테르를 질소 퍼징 건조시켰다.
이어서, 헥산 35O mL로 충전된 두번째 투명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추출기에 연결시켰다. 헥산을 교반과 함께 환류 가열하고, 헥산이 먼저 골무내로 응축되는 것이 관찰된 후 24시간 동안 환류에서 유지하였다. 이어서, 가열을 중지하고, 플라스크를 냉각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헥산을 다시 플라스크로 옮겼다. 헥산을 주변 온도에서 진공 하에 증발시켜 제거하고, 플라스크에 남아있는 임의의 잔류물을 헥산 연속 세척을 이용하여 칭량된 병으로 옮겼다. 플라스크내의 헥산을 질소 퍼징에 의해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40 ℃에서 밤새 진공 건조시켰다.
추출 후 골무에 남아있는 중합체 샘플을 골무로부터 칭량된 병으로 옮기고, 40 ℃에서 밤새 진공 건조시켰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추가의 중합체 실시예 19A 내지 J, 연속식 용액 중합, 촉매 A1/B2 + DEZ
실시예 19A-I에 대하여
컴퓨터 제어된 효과적 혼합 반응기에서 연속식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케미칼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파르(상표명) E),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된 경우)를 배합하여 27 갤런의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로의 공급을 유량 조절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공급물 스트림의 온도를 글리콜 냉각된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제어한 후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펌프 및 유량계를 사용하여 촉매 성분 용액을 계량하였다. 반응기에서 대략 550 psig 압력에서 액체 충전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며, 물 및 첨가제를 중합체 용액내에 주입하였다. 물에 의해 촉매를 가수분해시켜 중합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2단계 탈휘발화의 준비를 위해 후(post) 반응기 용액을 가열하였다. 탈휘발화 공정 동안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중합체 용융물을 수 중 펠렛 절단을 위한 다이로 펌핑하였다.
실시예 19J에 대하여
내부 교반기가 장착된 컴퓨터 제어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연속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케미칼 컴파니에서 시판하는 이소파르(상표명) E), 2.70 lbs/시간 (1.22 kg/시간)의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되는 경우)를 내부 열전쌍 및 온도 조절용 자켓이 장착된 3.8 L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에 공급된 용매를 유량 조절기로 측정하였다. 가변 속도 격판 펌프로 반응기에 대한 압력 및 용매 유속을 제어하였다. 펌프의 방출시, 측류를 사용하여 촉매 및 보조촉매 주입 라인 및 반응 교반기를 위한 플러쉬 유동을 제공하였다. 이들 유동을 마이크로-모션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고, 제어 밸브 또는 니들 밸브의 수동 조정에 의해 제어하였다. 잔류 용매를 1-옥텐, 에틸렌, 및 수소 (사용되는 경우)와 합하여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유량 조절기는 필요한 경우 수소를 반응기에 전달하는데 사용하였다. 용매/단량체 용액의 온도를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조절한 후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스트림을 반응기 저부에 투입하였다. 촉매 성분 용액을 펌프 및 유량계를 사용하여 계량하고, 촉매 플러쉬 용매와 합하여 반응기 저부에 도입하였다. 반응기를 격렬한 교반과 함께 500 psig (3.45 MPa)에서 액체 충전을 수행하였다. 생성물을 반응기의 상부에서 출구 라인을 통해 제거하였다. 반응기로부터의 모든 출구 라인을 증기 추적하고 절연시켰다. 소량의 물을 임의의 안정화제 또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배출 라인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정적 혼합기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중합을 중단시켰다. 이어서, 생성물 스트림을 열 교환기를 통해 통과시켜 가열한 후 탈휘발화하였다. 중합체 생성물을 탈휘발화 압출기 및 수냉각 펠렛화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회수하였다.
상세 공정 및 결과가 하기 표 8에 포함되어 있다. 선택된 중합체 특성은 하기 표 9A 내지 9B에 제공된다.
하기 표 9B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9F 및 19G는 500% 신장 후 변형률 약 65 내지 70%의 낮은 순간변형률을 나타낸다.
1 표준 cm3/분
2[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이소프로필페닐)(α-나프탈렌-2-디일(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3 비스-(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미노) 지르코늄 디메틸
4 질량 수지에 의해 계산된 최종 생성물 중 ppm
5 중합체 생성 속도
6 반응기에서의 에틸렌 전환율 (중량%)
7 효율, kg 중합체/g M (여기서, g M = g Hf + g Z)
1 각종 중합체의 블록 지수 계산에 관한 추가 정보는 콜린 엘.피. 샨, 로니 하츠리트 등의 이름으로 2006년 3월 15일에 출원되고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에 양도된 명칭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의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공지될 경우 삽입) (이의 개시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개시됨.
2 Zn/C2*1000 = (Zn 공급 유동*Zn 농도/1000000/Zn의 Mw)(총 에틸렌 공급 유동*(1-분획 에틸렌 전환율)/에틸렌 Mw)*1000. "Zn/C2*1000"에서 "Zn"은 중합 공정에 사용된 디에틸 아연 ("DEZ")에서의 아연 양을 나타내고, "C2"는 중합 공정에 사용된 에틸렌 양을 나타냄을 주목하기 바람.
섬유 및 제품
스테이플 섬유, 스펀본드 섬유 또는 멜트블로운 섬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동 제4,663,220호, 동 제4,668,566호 또는 동 제4,322,0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 및 겔 방사 섬유(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13,110호에 개시된 시스템을 사용)를 포함하는, 다양한 호모필 섬유가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 (이하에서 "공중합체(들)"로도 지칭됨)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는 추가의 연신 없이 직접 최종 섬유 직경이 되도록 용융방사될 수 있거나, 보다 큰 직경으로 용융방사된 후 통상적인 섬유 연신 기술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직경으로 고온 또는 저온 연신될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성분 섬유는 섬유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시스/코어 이성분 섬유 (즉 시스가 코어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섬유)에서,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와의 블렌드는 시스 또는 코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블렌드는 이성분 섬유의 시스 성분이지만, 이것이 코어 성분인 경우, 시스 성분은 코어의 가교를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즉 시스 성분은 충분한 자외선이 시스 성분을 통과하여 코어 중합체를 실질적으로 가교시킬 수 있도록 자외선을 투과 또는 반투과한다. 상이한 공중합체들이, 동일한 섬유 내에서 시스 및 코어로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두 성분 모두 탄성이고, 특히 시스 성분은 코어 성분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갖는다. 기타 유형의 이성분 섬유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며, 이것은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 섬유 (예를 들어, 중합체의 개별 영역을 갖는 섬유로서, 여기서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는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함)와 같은 구조를 포함한다.
섬유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섬유는 원형인 횡단면 형상을 갖지만, 때로는 섬유는 삼각단면(trilobal) 형상 또는 편평 (즉 "리본"과 유사한) 형상과 같은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 개시된 섬유는 섬유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섬유 직경을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 직경을 데니어/필라멘트로서 측정한다. 데니어는 9000 미터의 섬유 길이 당 섬유의 그램으로서 정의되는 텍스타일 용어이다. 모노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당 데니어가 15 초과, 통상적으로는 30 초과인 압출 스트랜드를 지칭한다. 미세 데니어 섬유는 일반적으로 약 15 데니어 이하의 섬유를 지칭한다. 마이크로데니어 (아카(aka) 마이크로섬유)는 일반적으로 약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을 갖는 섬유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의 경우, 직경은, 섬유의 탄성이 거의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의 데니어를 완성된 제품의 성능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섬유의 데니어는 바람직하게는 멜트블로운의 경우 약 0.5 내지 약 30 데니어/필라멘트; 스펀본드의 경우 약 1 내지 약 30 데니어/필라멘트; 및 연속 권취된 필라멘트의 경우 약 1 내지 약 20,000 데니어/필라멘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는, 데니어는 4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이러한 값이 바람직한 이유는 전형적으로 내구성 의류가 약 40 초과의 데니어를 갖는 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탄성 공중합체는 탄성 필름, 코팅, 시트, 스트립, 테이프, 리본 등으로 성형 또는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필름, 코팅 및 시트는, 블로운 버블 공정 (예를 들어 단순 버블 뿐만 아니라 트랩 버블, 더블 버블 및 텐터 프레이밍과 같은 이축 배향 기술), 캐스트 압출, 사출 성형 공정, 열성형 공정, 압출 코팅 공정, 프로파일 압출, 및 시트 압출 공정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단순 블로운 버블 필름 공정은 예를 들어 문헌 [The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Kirk-Othmer,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1, Vol. 16, pp. 416-417 및 Vol. 18, pp.191-192]에 기술되어 있다. 캐스트 압출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 [Modern Plastics Mid-October 1989 Encyclopedia Issue, Volume 66, Number 11, pages 256-257]에 기술되어 있다. 사출 성형, 열성형, 압출 코팅, 프로필 압출 및 시트 압출 공정은 예를 들어 문헌 [Plastics Material and Processes, Seymour S. Schwartz and Sidney H. Goodma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New York, 1982, pp. 527-563, pp. 632-647, pp. 596-602]에 기술되어 있다.
탄성 스트립, 테이프 및 리본을, 직접 압출 가공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 또는 후-압출 슬리팅, 절단 또는 스탬핑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프로파일 압출은 테이프, 밴드, 리본 등의 제조에 특히 적합한 주요 압출 공정의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를 PET, 나일론, 면, 케블라(Kevlar, 상표명) 등과 같은 다른 섬유와 함께 사용하여 탄성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부가 이점으로서, 특정 섬유의 내열성 (및 내수성)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PET 섬유가 통상적인 PET 염색 조건에서 염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특히 스판덱스 (예를 들어 라이크라(Lycra, 상표명))는 성질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덜 가혹한 PET 염색 조건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직물, 부직물 및 편직물 (환편직물, 경편직물 및 횡편직물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부직물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485,706호 및 동 제4,939,0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펀레이스 (또는 수력학적으로 얽힌) 직물, 카딩 및 열결합 스테이플 섬유; 하나의 연속 작업으로 스펀본딩 연속 섬유; 또는 섬유를 직물이 되도록 멜트블로우잉 또는 방사시킨 후 생성된 웹을 캘린더링 또는 열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섬유이다. 이러한 다양한 부직물 제작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그 개시내용이 임의의 특정 방법으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신규한 섬유와 기타 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면)의 블렌드를 포함하여, 이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된 기타 구조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용액 방사 또는 플래시 방사시킴으로써 수득한 섬유로부터 부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액 방사는 습식 방사 및 건식 방사를 포함한다. 두 방법 모두에서, 중합체의 점성 용액을 필터를 통해 펌핑시킨 후 방사구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통과시킨다. 이어서 용매를 제거하고 섬유만 남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로부터 섬유를 플래시 방사시키고 시트를 형성하는데 하기 공정을 사용한다. 기본 시스템은 본원에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3,860,369호 및 동 제6,117,801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공정을, 때로는 방사셀이라고 지칭되는, 증기-제거 포트 및 공정에서 제조된 부직 시트 재료가 빠져나가는 개구를 갖는 챔버에서 수행한다. 중합체 용액 (또는 방사액)은 승온 및 승압에서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제조되고 도관을 통해 방사셀에 제공된다. 용액의 압력은, 중합체가 방사제에 완전히 용해되어 균질 단일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가장 낮은 압력인 운점 (cloud-point) 압력보다 크다.
단일상 중합체 용액은 저감용 오리피스를 통해 저압 (또는 저감용) 챔버로 보내진다. 저압 챔버에서, 용액은 2상 액체-액체 분산액으로 분리된다. 분산액의 한 상은 주로 방사제를 포함하는 방사제-풍부 상이고 분산액의 또다른 상은 대부분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풍부 상이다. 이러한 2상 액체-액체 분산액은 강제로 방사구를 통해 더욱 더 낮은 압력 (바람직하게는 대기압)의 영역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방사제는 매우 신속하게 증발하며 (플래싱되며), 중합체는 방사구로부터 얀 (또는 플렉시필라멘트(plexifilament))로서 빠져나온다. 얀은 터널 내에서 신장되고 회전 배플과 충돌하도록 배향된다. 회전 배플은 얀을 폭이 약 5 내지 15 ㎝인 편평한 웹이 되도록 변형시키고 피브릴을 분리시켜 웹을 개방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회전 배플은 또한 넓은 후방 및 전방 스와쓰(swath)를 생성하도록 충분한 진폭을 갖는 전방 및 후방 왕복 운동을 부여한다. 웹은 방사구 아래 약 50 ㎝ 지점에 위치한 움직이는 와이어 레이다운 벨트 상에 놓이고, 전방 및 후방 왕복 운동이 일반적으로 벨트를 가로질러 이루어짐으로써 시트가 형성된다.
웹은 움직이는 벨트로 가는 도중에 배플에 의해 편향됨에 따라, 고정식 멀티-니들 이온 건 (multi-needle ion gun)과 접지된 회전 과녁판 (target plate) 사이의 코로나 대전 대역에 들어간다. 멀티-니들 이온 건은 적합한 전압 공급원에 의해 DC 전위로 대전된다. 대전된 웹은 고속 방사제 증기 스트림에 의해, 전방부 및 후방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확산기를 통해 운반된다. 확산기는 웹의 확장을 조절하며 그것을 감속시킨다. 확산기의 후방부는 고정식이고 과녁판과 이격될 수 있거나, 과녁판과 일체형일 수 있다. 후방부와 과녁판이 일체형인 경우, 이것들은 함께 회전한다. 움직이는 웹이 확산기 후방부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움직이는 웹과 확산기 후방부 사이의 기체의 적당한 유동을 보장하도록 확산기의 후방부에는 흡기구가 뚫려 있다. 움직이는 벨트는, 대전된 웹이 벨트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롤을 통해 접지된다. 움직이는 벨트 상에 수집되어 거기에서 정전기력에 의해 고정된 중첩 웹 스와쓰는 벨트 속도에 의해 두께가 제어되는 시트로 형성된다. 시트는 벨트와 압밀 (consolidation) 롤 사이에서 압축되어 챔버 외부에서 취급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구조를 갖게 된 후 챔버 외부에서 권취롤 상에서 수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질 중합체 플래시-방사된 플렉시필라멘트 재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약 0.1 내지 약 50 g/10분 또는 약 0.4 내지 약 10 g/10분의 용융 지수 및 약 0.85 내지 약 0.95 g/cc 또는 약 0.87 내지 약 0.90 g/cc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혼성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약 1 초과 내지 약 4 미만이다. 더욱이, 플래시-방사된 플렉시필라멘트 재료는 약 2 ㎡/g 초과 또는 약 8 ㎡/g 초과의 BET 표면적을 갖는다. 연질 플래시-방사된 부직 시트 재료는 연질 중합체 플래시-방사된 플렉시필라멘트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연질 플래시-방사된 부직 시트 재료는 스펀본딩, 면결합 또는 점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와 블렌딩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질 중합체 플래시-방사된 플렉시필라멘트 재료를 제공하며, 여기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약 0.4 내지 약 10 g/10분의 용융 지수, 약 0.87 내지 약 0.93 g/cc의 밀도, 및 약 4 미만의 분자량 분포를 갖고, 상기 플렉시필라멘트 재료는 약 8 ㎡/g 초과의 BET 표면적을 갖는다. 연질 플래시-방사된 부직 시트는 85%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다.
상기 공정 또는 유사 공정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방사된 부직 시트는, 건축 용도에서 공기 침투 장벽, 항공특송용 봉투와 같은 포장재, 의료용 포장재, 현수막, 보호성 의류 및 기타 용도에서, 타이벡(Tyvek, 등록상표) 스펀본딩 올레핀 시트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 및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제품은 탄성부를 갖는 탄성 복합 물품 (예를 들어 기저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는 전형적으로 기저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저귀 허리 밴드부 및 누수를 방지하는 다리 밴드부로서 구성된다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381,781호에 나타남). 종종, 탄성부는 안락감과 신뢰성의 우수한 조합을 위해 보다 우수한 신체 맞춤 및/또는 조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 및 직물은 탄성과 함께 통기성을 갖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섬유, 직물 및/또는 필름은 미국 가출원 제60/083,784호 (1998년 5월 1일자 출원)에 개시된 구조물 내로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물의 라미네이트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의류, 기저귀, 병원용 가운, 위생용품, 가구용 직물 등과 같은 내구재 및 일회용 소비재와 같은 소비재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필름 및 직물은 미국 특허 제2,957,51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에 기술된 구조물의 층 (50) (즉 탄성 성분)은, 특히 편평한, 주름잡힌, 크레이프 가공된, 권축 등이 된 비탄성 재료가 탄성 구조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섬유 및 직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및/또는 직물을 용융결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비(非)섬유, 직물 또는 기타 구조물에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 전 (미국 특허 제2,957,512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탄성 성분을 주름잡거나, 부착 전 탄성 성분을 예비-신장시키거나, 부착 후 탄성 성분을 열수축시킴으로써, 개더드(gathered) 또는 셔티드(shirted) 탄성 구조물을 본 발명의 섬유 및/또는 직물 및 비탄성 성분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는 스펀레이스 (또는 수력학적으로 얽힌) 공정에서 신규한 구조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01,482호에는 현재 본원에 기술된 신규한 섬유/필름/직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탄성 시트 (12)가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연속적 탄성 필라멘트는, 높은 탄력성이 요구되는 직물 또는 편직물 용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037,416호에는 탄성 리본 (미국 특허 제5,037,416호의 부재 (19)를 참고)을 사용하는 신체 맞춤 상면 시트의 이점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섬유는 미국 특허 제5,037,416호의 부재 (19) 기능을 수행하거나, 목적하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직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981,747호 (Morman)에서,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섬유 및/또는 직물은, 가역적으로 네킹된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탄성 재료를 형성하는 탄성 시트 (122)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는, 미국 특허 제4,879,170호의 도면의 도면부호 (6)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멜트블로운 탄성 성분일 수도 있다.
탄성 패널도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섬유 및 직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940,464호의 부재 (18, 20, 14 및/또는 26)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섬유 및 직물은 복합 측부 패널의 탄성 성분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의 층 (86))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탄성 재료는, 천공, 슬리팅, 마이크로천공, 섬유 또는 발포체와의 혼합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투과성 또는 "통기성"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미국 특허 제3,156,242호 (Crowe, Jr.), 미국 특허 제3,881,489호 (Hartwell), 미국 특허 제3,989,867호 (Sisson) 및 미국 특허 제5,085,654호 (Buell)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는 섬유는 피복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복된 섬유는 코어 및 커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코어는 하나 이상의 탄성 섬유를 포함하고, 커버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섬유를 포함한다. 피복된 섬유를 제조할 때, 각각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는 코어 섬유보다 더 길고, 전형적으로는 훨씬 더 길다. 커버는 전형적으로 나선형 랩 구조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코어를 둘러싼다. 피복되지 않은 섬유는 커버를 갖지 않는 섬유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디드(braided) 섬유 또는 얀 (즉 각각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섬유 스트랜드 또는 필라멘트들 (탄성 및/또는 비탄성)이 서로 감기거나 꼬인 것으로 이루어진 섬유)은 피복된 섬유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얀은 피복된 섬유의 코어와 커버 중 하나 또는 둘 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피복된 섬유는 탄성 커버로 감싸진 탄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 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에 부여된 완전한 또는 실질적인 열변형 신장의 가역성(reversibility)은 유용한 성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복된 섬유가 염색 및/또는 제직 전에 열변형될 수 있는 경우, 섬유가 권취 작업 동안에 신장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염색 및/또는 제직 공정이 보다 효율적이다. 이는 또한 섬유를 우선 스풀 상에 권취하는 염색 및 제직 작업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일단 염색 및/또는 제직이 완료되면, 피복된 섬유 또는 피복된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은 이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특정 제직 작업에 필요한 섬유의 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후속적인 수축으로부터 보호할 것이다. 이러한 가역성 열변형 탄성 섬유, 및 이러한 섬유 및 이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제품의 제조 방법이, 본원에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507,230호 (US 20050165193으로서 공개됨)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가역성 열변형 탄성 섬유, 직물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비활성화 (preactivated) 제품이, 본원에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226,992호, 동 제4,981,747호 (KCC, Morman) 및 동 제5,354,597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고강인도 (high tenacity) 섬유가, 본원에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113,656호, 동 제5,846,654호 및 동 제5,840,234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마이크로데니어 섬유를 포함하는 저-데니어 섬유가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섬유의 바람직한 용도는 직물 및 부직물 둘 다의 직물 형성에 있다. 섬유로부터 형성된 직물은 우수한 탄성 특성을 가져 다수의 의복 용도에 적합하다고 밝혀졌다. 이들은 또한 양호한 드레이프성을 갖는다.
섬유 및 직물의 바람직한 특성 중 일부는 인장 모듈러스 및 영구변형률의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스펀본딩 직물의 경우, 수득된 바람직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장 모듈러스 (g) (ASTM-1682) (100% 신장, 6 사이클, 기계 방향(MD)): 바람직하게는 9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및/또는
인장 모듈러스 (g) (50% 신장, 6 사이클, MD): 바람직하게는 7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및/또는
인장 모듈러스 (g) (100% 신장, 6 사이클, 횡방향(TD)): 바람직하게는 6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및/또는
인장 모듈러스 (g) (50% 신장, 6 사이클, TD): 바람직하게는 37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 및/또는
영구변형률 (%) (신장이 직물 손상 내내 계속되기보다는 순환되는 ASTM D-1682의 변형을 사용하여 수득됨) (50% 신장, 6 사이클, MD):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미만; 및/또는
영구변형률 (%) (50% 신장, 6 사이클, TD):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 및/또는
영구변형률 (%) (100% 신장, 6 사이클, MD):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및/또는
영구변형률 (%) (100% 신장, 6 사이클, TD):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5%; 및/또는
결합 온도 (℃): 1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105,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이들 특성은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모든 직물에 대한 유용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기본 중량이 약 70 내지 약 80 g/㎡, 바람직하게는 약 70 g/㎡인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 및 직경이 약 25 내지 28 ㎛인 섬유로부터 형성된 직물에 의해 입증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멜트블로운 직물의 경우, 바람직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영구변형률 (%) (50% 신장, 6 사이클, MD):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및/또는
영구변형률 (%) (50% 신장, 6 사이클, TD): 바람직하게는 약 2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및/또는
인장 모듈러스 (g) (50% 신장, 6 사이클, MD):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300; 및/또는
인장 모듈러스 (g) (50% 신장, 6 사이클, TD): 바람직하게는 약 3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50; 약 150; 및/또는
총 핸드(Hand) (g): 바람직하게는 약 7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이들 특성은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조된 특정 직물에 대한 유용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8 내지 10 ㎛ 직경의 섬유로부터 제조된, 약 70 g/㎡의 공칭 기본 중량을 갖는 멜트블로운 직물에 의해 입증된다.
또다른 중합체와의 블렌딩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적어도 또다른 섬유 제조용 중합체, 예컨대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딩될 수 있다. 이 제2 중합체는 조성물 내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와 (공단량체 유형, 공단량체 함량 등), 구조, 특성, 또는 둘 다의 조합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블록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동일량의 공단량체를 갖는 경우라도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상이하다. 블록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든지 또는 동일한 공단량체 함량을 갖든지 여부에 상관없이 에틸렌/부탄 공중합체와 상이하다. 또한, 2개의 중합체는 동일한 구조 및 조성을 갖는 경우라도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다면 상이하다고 여겨진다.
폴리올레핀은 2종 이상의 올레핀 (즉 알켄)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이다. 올레핀 (즉 알켄)은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탄화수소이다. 올레핀은 모노엔 (즉 탄소-탄소 이중결합 하나를 갖는 올레핀), 디엔 (즉 탄소-탄소 이중결합 두 개를 갖는 올레핀), 트리엔 (즉 탄소-탄소 이중결합 세 개를 갖는 올레핀), 테트라엔 (즉 탄소-탄소 이중결합 네 개를 갖는 올레핀), 및 기타 폴리엔일 수 있다. 올레핀 또는 알켄, 예컨대 모노엔, 디엔, 트리엔, 테트라엔 및 기타 폴리엔은 3개 이상의 탄소 원자, 4개 이상의 탄소 원자, 6개 이상의 탄소 원자, 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은 3 내지 약 100 개의 탄소 원자, 4 내지 약 100 개의 탄소 원자, 6 내지 약 100 개의 탄소 원자, 8 내지 약 100 개의 탄소 원자, 3 내지 약 50 개의 탄소 원자, 3 내지 약 25 개의 탄소 원자, 4 내지 약 25 개의 탄소 원자, 6 내지 약 25 개의 탄소 원자, 8 내지 약 25 개의 탄소 원자, 또는 3 내지 약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은 2 내지 약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식 또는 비환식 모노엔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알켄은 부타디엔 및 1,5-헥사디엔과 같은 디엔이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알켄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알킬 또는 아릴로써 치환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알켄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노르보르넨, 1-데센, 부타디엔, 1,5-헥사디엔, 스티렌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다.
섬유 제조를 위한 중합체 블렌드 내의 폴리올레핀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5 내지 약 99 중량%, 약 10 내지 약 90 중량%, 약 20 내지 약 80 중량%, 약 30 내지 약 70 중량%, 약 5 내지 약 50 중량%, 약 50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 중량%일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폴리올레핀이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일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 삼원공중합체, 올레핀 사원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들 중 하나는 올레핀 단일중합체이다. 올레핀 단일중합체는 1종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올레핀 단일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올레핀 단일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초저-, 저-, 선형 저-, 중간-, 고- 및 초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예를 들어 폴리부텐-1), 폴리펜텐-1, 폴리헥센-1, 폴리옥텐-1, 폴리데켄-1,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1,5-헥사디엔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비-제한적 예는 폴리프로필렌 (LDPP),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HDPP), 고용융강도 폴리프로필렌 (HMS-PP),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HIPP),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sPP)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블렌드 내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5 내지 약 99 중량%, 약 10 내지 약 90 중량%, 약 20 내지 약 80 중량%, 약 30 내지 약 70 중량%, 약 5 내지 약 50 중량%, 약 2.5 내지 약 20 중량%, 약 5 내지 약 15 중량%, 약 50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 중량%일 수 있다.
가교
섬유는, 가교 촉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전자빔 조사, 베타 조사, 감마 조사, 코로나 조사, 실란, 과산화물, 알릴 화합물 및 자외선 조사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803,014호 및 동 제6,667,351호에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빔 조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고에너지, 이온화 전자, 자외선, x-선, 감마선, 베타 입자 등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는 70 메가래드 이하의 조사량으로서 사용된다. 조사선 공급원은, 목적하는 조사량을 공급할 수 있는 출력을 갖는, 약 150 킬로볼트 내지 약 6 메가볼트에서 작동하는 임의의 전자빔 발생기일 수 있다. 전압을, 예를 들어 100,000, 300,000, 1,000,000 또는 2,000,000 또는 3,000,000 또는 6,000,000 또는 그 이상 또는 이하일 수 있는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를 조사시키는 많은 기타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조사를 통상적으로는 약 3 내지 약 35 메가래드,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20 메가래드의 조사량에서 수행한다. 더욱이, 비록 실온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예를 들어 0 ℃ 내지 약 60 ℃의 온도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편리하게는 실온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품을 성형 또는 제작한 후에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프로-래드(pro-rad) 첨가제를 사용하여 혼입된 섬유에 약 8 내지 약 20 메가래드에서 전자빔을 조사한다.
가교 촉매를 사용하여 가교를 촉진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일반적으로 유기 염기, 카르복실산, 유기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유기 티탄산염, 납, 코발트, 철, 니켈, 아연 및 주석의 착물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 주석 아세테이트, 주석 옥토에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아연 카프릴레이트,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주석 카르복실레이트, 특히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가 특히 효과적이다. 촉매 (또는 촉매의 혼합물)는 전형적으로 약 0.015 내지 약 0.035 phr의 촉매량으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프로-래드 첨가제는 아조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및 다관능성 비닐 또는 알릴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글루타르알데히드,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디프로파르길 말레에이트, 디프로파르길 모노알릴 시아누레이트,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퍼벤조에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 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토에이트,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라우릴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아세테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틸 니트라이트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프로-래드 첨가제는 C=C, C=N 또는 C=O와 같은 다관능성 (즉 2 이상 관능성)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를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 중합체에 도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프로-래드 첨가제를, 에틸렌 혼성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본 수지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농축물을 통해 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배치를 위한 프로-래드 첨가제의 농도는 비교적 높아서, 예를 들어 (농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를 임의의 유효량으로 중합체에 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 도입량은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약 1 중량%이다.
전자빔 조사 외에도, 가교를 자외선 조사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6,709,742호에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교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섬유의 형성 전, 동안 또는 후에, 광가교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광개시제를 중합체와 혼합하고, 이어서 중합체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가교시키기에 충분한 자외선에 섬유와 광개시제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방향족 케톤, 예를 들어 1,2-디케톤의 모노아세탈 또는 벤조페논이다. 모노아세탈의 주요 광반응은 α-결합을 균일 분해하여 아실 및 디알콕시알킬 라디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α-분해는 노리쉬 타입 I(Norrish Type I) 반응이라고 공지되어 있고, 이것은 문헌 [W.Horspool and D.Armesto, Organic Photochemistry: A Comprehensive Treatment, Ellis Horwood Limited, Chichester, England, 1992]; 문헌 [J.Kopecky, Organic Photochemistry: A Visual Approach, VCH Publishers, Inc., New York, NY 1992]; 문헌 [N.J.Turro et al, Acc. Chem. Res., 1972, 5, 92] 및 문헌 [J.T.Banks et al, J.Am.Chem.Soc., 1993, 115, 2473]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방향족 1,2-디케톤의 모노아세탈 Ar-CO-C(OR)2-Ar'의 합성이 미국 특허 제4,190,602호 및 Ger. Offen. 2,337,813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부류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시바-가이기(Ciba-Geigy)에서 이르가큐어(Irgacure) 651로서 시판되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C6H5-CO-C(OCH3)2-C6H5이다. 광개시제로서 유용한 기타 방향족 케톤의 예는 시바-가이기에서 입수가능한 이르가큐어 184, 369, 819, 907 및 2959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광개시제는 광가교제와의 조합으로서 사용된다. 자유 라디칼의 발생시 주쇄와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둘 이상의 올레핀 중합체 주쇄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임의의 광가교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광가교제는 다관능성이어서, 즉 이것은 활성화시 공중합체의 주쇄 상의 한 자리와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자리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광가교제는 다관능성 비닐 또는 알릴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디프로파르길 말레에이트, 디프로파르길 모노알릴 시아누레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광가교제는 다관능성 (즉 2 이상 관능성)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광가교제는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TAC)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TAIC)이다.
특정 화합물이 광개시제와 광가교제 둘 다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자외선광에 노출시 둘 이상의 반응성 종 (예를 들어 자유라디칼, 카르벤, 니트렌 등)을 생성하는 능력 및 이어서 두 중합체쇄와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능력에 의해 특징화된다.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대표적인 화합물은 미국 특허 제6,211,302호 및 동 제6,284,842호에 기술된 술포닐 아지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공중합체를 2차 가교, 즉 광가교가 아닌 가교 및 광가교 이외의 가교에 적용시킨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광개시제를 비-광가교제, 예를 들어 실란과 조합으로 사용하거나, 공중합체를 2차 가교 절차, 예를 들어 E-빔 방사선에의 노출에 적용시킨다. 실란 가교제의 대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5,824,718호에 기술되어 있고, E-빔 방사선에의 노출을 통한 가교는 미국 특허 제5,525,257호 및 동 제5,324,57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광가교제의 사용은 임의적이다.
1종 이상의 광첨가제, 즉 광개시제 및 임의적인 광가교제를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에 도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광첨가제(들)를 공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본 수지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농축물을 통해 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배치를 위한 광첨가제의 농도는 비교적 높아서, 예를 들어 (농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이다.
하나 이상의 광첨가제를 임의의 유효량으로 공중합체에 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광첨가제 도입량은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약 1 중량%이다.
광개시제(들) 및 임의적인 광가교제(들)를 섬유 또는 필름 제조 공정의 상이한 단계 동안에 첨가할 수 있다. 광첨가제가 압출 온도를 견딜 수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첨가제를 마스터배치 첨가를 통해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올레핀 중합체 수지를 첨가제와 혼합할 수 있다. 별법으로, 첨가제를 슬롯 다이 직전의 압출기에 도입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압출 전 성분들의 효율적인 혼합이 중요하다. 또다른 방법에서, 올레핀 중합체 섬유를 광첨가제 없이 연신시킬 수 있고, 광개시제 및/또는 광가교제를, 키스-롤(kiss-roll), 분무, 첨가제를 함유하는 용액에의 침지, 또는 후처리를 위한 기타 산업적 방법의 사용을 통해, 압출된 섬유에 도포할 수 있다. 이어서, 광첨가제가 도포된 섬유를 연속식 또는 회분식 공정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통해 경화시킨다. 광첨가제를, 일축 및 이축 압출기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컴파운딩 장비를 사용하여 올레핀 중합체와 블렌딩시킬 수 있다.
전자기 방사선의 출력 및 조사 시간을, 중합체 열화 및/또는 치수 결함 없이 효율적인 가교를 허용하는 것으로 선택한다. 바람직한 공정은 EP 0 490 854 B1에 기술되어 있다. 충분한 열안정성을 갖는 광첨가제(들)을 올레핀 중합체 수지와 예비혼합하고, 섬유로 압출시키고,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 또는 여러개의 장치가 일렬로 연결된 것을 사용하여 연속식 공정에서 조사한다. 스풀 상에 수집된 섬유 또는 편직물의 시트를 경화시키는데 있어 회분식 공정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연속식 공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이점을 갖는다.
조사를 자외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100 J/㎠의 강도로 사용한다. 방사선 공급원은, 목적하는 조사량을 공급할 수 있는 출력을 갖는, 약 50 와트 내지 약 25000 와트에서 작동하는 임의의 자외선광 발생기일 수 있다. 와트량을, 예를 들어 1000 와트 또는 4800 와트 또는 6000 와트 또는 그 이상 또는 이하일 수 있는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를 자외선 조사시키는 많은 기타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조사를 통상적으로는 약 3 J/㎠ 내지 약 500 J/㎠, 바람직하게는 약 5 J/㎠ 내지 약 100 J/㎠의 조사량에서 수행한다. 더욱이, 비록 실온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약 60 ℃의 온도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편리하게는 실온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광가교 공정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보다 신속하게 진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물품을 성형 또는 제작한 후에 조사를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광첨가제를 사용하여 혼입된 공중합체에 약 10 J/㎠ 내지 약 50 J/㎠에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기타 첨가제
성형 또는 제작 작업 동안의 부당한 열화를 방지하고/하거나 그라프팅 또는 가교의 정도를 보다 잘 제어하기 위해서 (즉 과도한 겔화를 막기 위해서),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이르가포스(Irgafos) 168, 이르가녹스(Irganox) 1010, 이르가녹스 3790 및 키마소르브(Chimassorb) 944를 에틸렌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공정내 첨가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칼슘, 물, 플루오르화 중합체 등을, 잔여 촉매의 불활성화 및/또는 개선된 가공성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시바-가이기의) 티누빈(Tinuvin) 770을 광안정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충전형 또는 비(非)충전형일 수 있다. 충전형인 경우, 존재하는 충전제의 양은 승온에서 내열성 또는 탄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양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충전제가 존재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충전제의 양은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또는 공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기타 중합체의 블렌드의 경우,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80 중량%이다. 대표적인 충전제는 카올린 점토,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실리카 및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충전제가 존재하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충전제는, 충전제가 가교 반응을 방해할 수도 있는 임의의 경향을 방해 또는 저해하는 재료로 코팅된다. 스테아르산은 이러한 충전제 코팅의 예이다.
섬유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텍스타일유(textile oil)에 분산된 금속성 비누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039,895호 또는 동 제6,652,599호 참고), 기유(base oil) 중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US 공개 2003/0024052 참고) 및 폴리알킬실록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296,063호 또는 동 제4,999,120호 참고)과 같은 다양한 방사 마감재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 제 10/933,721 호 (US20050142360으로서 공개됨)는 사용가능한 방사 마감재 조성물을 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을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양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모든 수치는 근사값이다. 수치 범위가 주어진 경우,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양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각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섬유
실시예 11, 실시예 17 및 비교예 G로부터의 중합체 샘플을 24개의 25 x 1 mm 방사구가 장착된, 스핀 헤드 온도 260 ℃, 용융 온도 302 ℃ 및 와인더 속도 70 m/분의 섬유 방사 라인 (포르네(Fourne))에서 둥근 횡단면을 갖는 24개 섬유의 멀티필라멘트 다발로 방사하였다. 다른 방사 조건은 하기 표 10에 열거하였다. 얻어진 다발의 데니어는 대략 95 내지 100 데니어였다 (g/9000 m).
섬유를 1회 통과시 32 KGy의 전자빔 조사량으로 작동하여 192 KGy의 총 조사량을 제공하는 전자빔 가교기를 통해 6회 통과시켜 가교시켰다. 각 통과 사이에, 섬유를 -10 ℃로 냉각시켰다.
얻어진 비가교 및 가교 섬유의 인장 거동을 베어 탄성사(Bare Elastic Yarns)에 대한 BISFA 시험 방법, 챕터 6: 옵션 C 클램프 및 옵션 A 시험 속도를 사용하는 인장 특성에 따라 측정하였다. 강인도 및 파단 신장률을 5회 반복의 평균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가교 섬유의 회복 거동을 베어 탄성사에 대한 BISFA 시험 방법, 챕터 7: 섬유에 300% 변형률을 주기적으로 가하는 점탄성 특성 절차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구변형률 (%)을 시험 방법에서 명시된대로 여섯번째 사이클의 초기에 계산하였다.
가교 섬유의 응력 완화를 21 ℃와 40 ℃의 교대 온도에서 10% 변형률로부터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324 mm의 원주를 갖는 섬유 다발의 13개 루프를 2개의 후크에 의해 인스트론(Instron) 시험 기기에 적재하여 162 mm의 게이지 길이를 생성하였다. 샘플을 21 ℃에서 분 당 100% 신장률로 10% 변형률로 신장시킨 다음, 1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수조 내 40 ℃에서 10분, 공기 중 21 ℃에서 10분, 수조 내 40 ℃에서 10분, 및 공기 중 21 ℃에서 10분 열 처리하였다. 수조와 공기 냉각실 사이에 샘플을 이동시키는 시간은 6초였다. 전 공정 동안, 하중을 모니터링하였다. 35분에서의 하중과 45분에서의 하중의 하중 변화율을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식 중, L(t=35분) 및 L(t=45분)은 각각 마지막 40 ℃ 수조 및 21 ℃ 공기 노출의 중간 기간에 해당하는 35분 및 45분에서의 하중이다. 또한, 섬유 특성을 하기 표 11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G 중합체 둘 다로부터 제조된 섬유에서, 가교는 신장의 일부 손실로 강인도의 증가를 초래했다. 두 실시예 모두 대략 135%의 유사한 영구변형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은 비교예 G보다 낮은 응력 완화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저감온성을 나타내었다. 40 ℃ (35분)와 21 ℃ (35분) 사이의 하중 변화율을 상기 표 9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11로부터 제조된 섬유는 단지 4%의 하중 변화율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G의 섬유는 25%의 변화율을 나타내었다. 응력 완화에서 저감온성은 섬유 보빈(bobbin)의 긴 저장 수명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응력 완화에서 고감온성은 섬유가 온도 변화에 따라 번갈아 이완 및 수축되기 때문에 기후 제어가 되지 않는 저장 시설에서 저장되는 동안 보빈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섬유의 후속 하류 가공에서 불량한 섬유 풀림 거동 및 섬유 파손과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섬유 제조
40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섬유를 2.7 x 0.9 mm 둥근 방사구를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 및 비교에 19K (다우 어피니티(등록상표) EG8100)를 사용하여 100 내지 300 g 보빈에 용융 방사하였다.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와 유사한 밀도 및 용융 지수를 갖는 실시예 19K는 ASTM D-792에 의해 측정된 밀도 0.870 g/cc 및 ASTM D-1238, 조건 190 ℃/2.16 kg에 따라 측정된 1 MI를 갖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였다. 방사 온도는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의 경우 280 ℃ 내지 290 ℃의 범위였다. 저온에서 방사하는 경우 과도한 섬유 파손으로 인하여 실시예 19K를 단지 290 ℃ 및 300 ℃에서만 방사하였다. 방사구와 테이크업 롤러(takeup roller) 사이에 섬유 응고를 위한 길이 2 m의 냉기 켄칭실이 존재하였다. 루롤(Lurol) 8517 (고울스톤 테크놀로지즈(Goulston Technologies))의 실리콘 기재 방사 마감재를 섬유가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후 방사 마감재 도포기를 통해 섬유 표면에 2 중량%로 도포하였다. 그 후, 섬유를 400 내지 600 m/분의 속도로 보빈에 감았다. 방사 온도 및 권취 속도는 생성된 섬유의 인장 반응을 맞추는데 사용되는 가공 변수이다. 방사 전에, 각 실시예로부터의 수지를 산화방지제로서 3000 ppm의 시아녹스(Cyanox) 1790 (사이텍 인더스트리즈(Cytec Industries)) 및 3000 ppm의 키마소르브(Chimasorb) 944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와 컴파운딩하였다.
실시예 1: 기계적 특성
실시예 19A, 실시예 19B, 및 실시예 19K로부터 방사된 섬유의 인장 거동을 베어 탄성사에 대한 BISFA 시험 방법, 챕터 6: 인장 특성 옵션 A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섬유를 100 mm 게이지 길이로 500 mm/분에서 시험하였다. 공압식 클램프 (모델 2712-001, 인스트론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였다. 강인도, 파단 신장률, 및 300% 신장에서의 하중을 5회 반복의 평균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섬유의 회복 거동을 베어 탄성사에 대한 BISFA 시험 방법, 챕터 7: 섬유에 300% 변형률을 주기적으로 가하는 점탄성 특성 절차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구변형률 (%)을 시험 방법에서 명시된 대로 로딩 곡선에서 첫번째 및 다섯번째 사이클 후에 계산하였다. 또한, 비교로서, 상업용 가교 40 데니어 다우 XLA(등록상표) 섬유를 인장 및 회복 거동에 대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9A, 실시예 19B, 비교예 19K, 및 비교예 19L (40 데니어 다우 XLA(등록상표) 섬유 상품)로부터 방사된 섬유의 기계적 특성을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파단 신장률이 실시예 19L의 상품에 필적하도록 실시예 19A, 실시예 19B, 및 실시예 19K에 대한 방사 조건을 선택하였다. 데이타는 유사한 파단 신장률을 얻기 위해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가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보다 낮은 온도 및 높은 속도에서 방사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 잠재적으로 생산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종종, 보다 높은 장력이 하류 섬유 가공에 요구된다. 섬유가 양성으로 풀리는 (일정한 연신비 하에서 풀리는) 용도에서, 섬유가 각종 가이드 및 요소를 통해 통과할 때 마찰로 인해 선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섬유는 선장력이 지나치게 낮게 감소되는 경우 기계에서 파손될 수 있다. 하기 표 12는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가 유사한 파단 신장률을 유지하면서 300% 변형률에서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 보다 높은 하중을 가짐을 나타낸다. 특히, 실시예 19A는 300%에서 유의하게 높은 하중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9A의 경우 10.2 g인 반면 실시예 19L의 경우 7.0 g).
탄성 섬유의 경우, 신장 후 높은 회복률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 둘 다는 비교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보다 낮은 영구변형률 (높은 회복률)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9B는 유의하게 낮은 영구변형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9B의 경우 5 사이클 후 48%인 반면 실시예 19L의 경우 117%).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탄성 섬유의 경우, 예를 들어 약 2.5 초과 및 약 5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4 정도의 보다 높은 Mw/Mn을 갖는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가 약 2.5 미만의 Mw/Mn을 갖는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보다 낮은 영구변형률을 위해 바람직하다. 보다 높은 Mw/Mn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이들 섬유의 1 히스테리시스 사이클 후 300% 신장에서의 영구변형률은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하이며, 0%만큼 낮을 수 있다. 이동제로서 사용되는 디에틸 아연은 Mw/Mn와 상관되므로 멀티-블록 중합체를 중합하는데 사용되는 보다 많은 양의 디에틸 아연이 보다 좁은 Mw/Mn 및 보다 높은 영구변형률을 초래함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세라믹 및 금속 핀을 이용한 동적 마찰
마찰 특성을 전자 일정 장력 전달기(Electronic Constant Tension Transporter) 또는 ECTT (로손 헴필(Lawson Hemphil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장치의 개략도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ECTT 구성은 컴퓨터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공급 롤 (1) 및 테이크-업 롤 (2)로 이루어졌다. 섬유를 공급기 부속물 (3) (모델 KTF1OOHP, BTSR)을 사용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하였고, 다른 말단에서 100 m/분으로 감았다. 마찰 핀 (4) 전 및 후의 장력을 2개의 25 cN 하중셀 (페르마 텐스(Perma Tens) 100p/100cN, 로칠드(Rothschild))로 측정하였다. 하중셀 사이에서, 섬유를 90°접촉각 (wrap angle)으로 6.4 mm 직경 마찰 핀을 가로질러 통과시켰다. 2개의 상이한 마찰 핀을, 섬유가 방사후 가공 동안 만날 수 있는 표면의 범위를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하였다. 제1 유형은 0.32 ㎛ Ra의 표면 조도를 갖는 세라믹 핀 (R.250S P2, 헤니 인더스트리(Heany Industries))이었다. 제2 유형의 핀은 니켈 도금 연마 강철로부터 제조된 Ra 0.14 ㎛의 상당히 더 평탄한 핀이었다. 마찰계수를 하기 오일러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었다:
식 중, μ는 마찰계수이고, T2는 핀 뒤의 장력이고, T1은 핀 앞의 장력이고, θ은 접촉각 (π/2)이다.
동적 마찰계수 (COF) 결과를 하기 표 13에 열거하였다. 데이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가 세라믹 및 강철 핀에서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보다 낮은 마찰을 가짐을 나타낸다. 높은 마찰은 종종 제직 및 편직 적용에서 섬유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COF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섬유의 경우, 연마 금속과의 COF는 약 1.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및 약 0.8 정도로 비교적 낮을 수 있다. 하기 표 13의 데이타는 모든 섬유가 동일한 양 및 유형의 방사 마감재를 갖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섬유가 비교 섬유보다 낮은 COF를 가짐을 나타낸다.
실시예 3: 가교
방사 후, 섬유를 질소 하에서 포장하고 전자빔 (e-beam)을 통해 가교시켜 고온 내성을 부여하였다. 방사 섬유를 각 통과 동안 조사량이 32 KGy인 전자빔 라인 (이온메드(Ionmed), 스페인)을 통한 일련의 6회 통과에 의해 조사량 192 KGy로 조사하였다. 전자빔 공정 동안 가열로 인해, 각 통과 사이에 섬유를 -10 ℃로 냉각시켰다.
동력학적 분광법 (DMS)을 RSA III 신장 레오미터 (TA 기기) 상에서 수행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40-데니어 섬유 60개의 다발의 양 말단을 10 mm로 분리된 고정구 사이에 클램핑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단계마다 3 ℃로 25 ℃에서 200 ℃까지 후속 온도 단계 처리하였다. 각 온도에서 저장 모듈러스 E'를 10 rad/s의 변형 빈도 및 0.1% 내지 5%의 변형 진폭 주기에서 측정하였다. 초기 정적하중 5 g을 적용하여 샘플의 느슨함을 방지하였다. 온도가 200 ℃에 도달하였을 때 시험을 종료하였다.
도 11은 가교 실시예 19A, 실시예 19B, 실시예 19K 및 실시예 19L의 동력학적 열 반응을 도시한다. 플롯은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B가 75 ℃ 내지 110 ℃에서 실시예 19L보다 10배 높은 모듈러스를 가짐을 나타낸다. E'(25 ℃)/E'(100 ℃)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을 하기 표 14에 나열하였다. 본 발명 중합체의 섬유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은 3 이하인 반면, 비교예들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은 10 이상이었다. 섬유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은 가능한한 1에 근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는 비교적 온도에 의해 영향을 덜 받을 것이며, 저장 및 전자빔 조사 동안 개선된 내열성과 같은 성능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풀림 거동
탄성 섬유에 대한 중요한 성능 특성은 섬유가 보빈으로부터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풀려야 한다는 것이다. 풀림 장력, 그의 변화, 및 보빈 내에서의 장력 구배는 얀 및 텍스타일 단위 작업에서 보빈에 풀림 성능을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CTT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 m/분 테이크업 속도로 말단상의 풀림 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풀림 장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된 스캔의 마지막 3분의 데이타와 함께 5분의 기간 동안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보빈 300 g을 두 개의 저장 조건으로 시험 동안 사용하였다. 이들을 방사 후 21 ℃에서 약 하루 동안 저장하거나 또는 가속 시효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오븐 내 40 ℃에서 12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풀림 장력을 스풀의 세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표면, 섬유의 약 절반이 스트립핑된 0.5 cm, 및 섬유의 대부분이 스트립핑된 0.5 cm.
풀림 장력이 스풀 크기에 대해 플롯팅된 도 13에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13a는 21 ℃에서의 저장시 실시예 19A 및 실시예 19L 둘 모두가 스풀 크기에 대해 비교적 일정한 풀림 장력을 가지며, 실시예 19A는 약 1.6 g으로 실시예 19L의 약 1.0 g에 비해 보다 높은 장력을 가짐을 도시한다. 40 ℃에서 12시간 동안 저장시킨 후, 두 실시예의 풀림 장력은 실시예 19L이 보다 큰 정도로 증가하였다 (도 13b). 실시예 19A에 대한 풀림 장력은 2.0 내지 2.3 g으로 스풀 크기에 대해 비교적 일정하였다. 실시예 19L의 경우, 표면의 풀림 장력은 표면에서 1.4 g이고, 1.5 cm 스풀 크기에서 거의 3.0 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다 높은 용융 온도 때문에 풀림 성능은 저장 동안 덜 감온성이며, 잠재적으로는 비교예보다 긴 저장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부직물
하기 표에 나열된 수지를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방사 조건
섬유 샘플을 힐스 바이콤포넌트 파이버 라인(Hills Bi-component Fiber Line)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섬유 방사 라인은 2개의 1" 단일 스크류 압출기, 2개의 제니쓰(Zenith) 기어 펌프, 이용가능한 구멍을 72개로 감소시키는 차단판이 장착된 144개 구멍의 방사구, 섬유 켄칭 캐비넷, 및 권취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졌다. 방사구의 모세관 구멍은 직경이 0.65 m이고 L/D 비가 3.85:1이었다. 용융 온도를 245 ℃로 설정하였다. 처리량은 1 분 당 1 구멍 당 0.6 그램이었다. 섬유를 두 가지 상이한 방법, 공기 연신 및 와인더를 사용하는 기계 연신에 의해 방사하여 특성 시험을 위한 섬유 패키지를 수집하였다.
스틱포인트(Stickpoint) 결정
"스틱포인트"는 섬유가 물체에 달라붙지 않도록 충분히 고체인 방사라인에서의 지점으로 정의된다. 스틱포인트는 통상 고정 속도 (예를 들어, 1000, 2000, 3000 m/분)로 섬유를 조율한 다음 켄칭 캐비넷의 바닥에서 섬유 다발의 전방에 대해 유리 막대를 눌러 측정되었다. 유리 막대는 섬유가 막대에 달라붙을 때까지 천천히 상승되었다. 방사구에서 유리 막대가 섬유에 달라붙는 캐비넷에서의 지점까지 거리를 스틱포인트로서 기록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각 방사 속도에서 3회 반복하고, 스틱포인트를 평균내었다. 스틱포인트를 측정하거나 또는 일성분 탄성 섬유를 수집하는 경우, 단지 A-측 압출기만을 섬유 압출에 사용하였다.
로핑(roping) 연구를 위한 흡기기/이동 스크린 장치
도 14는 로핑이 발생할 수 있는 스펀본드 라인에서의 조건을 시뮬레이션하는 개략적인 구성의 도해이다. 이는 흡기기 (3)를 통해 섬유 (1A)를 공기 연신시키기 위해 제작된 흡기기 (3)/이동 스크린 (4) 장치이다. 흡기기 (3)을 통해 통과한 후 섬유 (1B)는 섬유 웹 (2)를 형성한다. 이 장치는 1.625 인치 직경의 개구를 갖는 흡기기 (3) (에어 엠플리파이어(Air Amplifier), 모델 ITW 보텍스(Vortex) 912/952, 트랜스벡터 인코포레이션(Transvector Incoporation))을 사용한다. 이는 섬유 (1B)가 배출되는 다이 면 (도시되지 않음) 아래 60 인치 (약 150 cm)에 위치한다. 또한, 흡기기 (3)이 예상되는 방사 라인의 스틱포인트 (표적 데니어의 경우 약 35 인치로 추정됨) 아래에 존재하도록 한다. 0.3 ghm 처리량의 경우 100 psi의 입구 압력이 사용된다.
흡기기 (3)으로부터 약 10 인치 아래 수동 이동 스크린 및 랙 시스템 (4)가 섬유 웹 (2)을 연속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는 와이어 또는 웹 형성기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흡기기 (3)에서, 갇힌 공간 및 난기류는 높은 섬유-섬유 접촉 가능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섬유가 차단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충돌하며 유의하게 접착되지 않는 섬유 (1B)는 흡기기 출구에서의 감속시 분리될 기회를 갖는다. 반대로, 섬유가 흡기기 (3)을 통해 연신되는 경우 충분한 강도의 접착 결합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섬유 축을 따라 연속적인 결합을 생성하여 로프라고 알려진 구조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순간변형률 및 보유 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100% 히스테리시스 시험
72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섬유 스트랜드를 제조하고, 3" 게이지 길이로 인스트론에 고정하였다. 크로스헤드 속도를 분당 10인치로 설정하였다. 크로스헤드를 100%의 변형률이 적용될 때까지 상승시킨 다음, 크로스헤드를 동일한 크로스헤드 속도로 0% 변형률로 복귀시켰다. 0% 변형률로 복귀시킨 후, 크로스헤드를 본래 3 인치 길이에 대해 계산된 100% 변형률로 분당 10인치로 신장시켰다. 하중의 시작을 순간변형률로서 취하였다.
감소된 하중을 30% 변형률에서 샘플의 제1 신장 및 제1 수축 동안 측정하였다. 유지된 하중은 제1 수축 동안 30% 변형률에서의 감소된 하중을 제1 신장 동안 30% 변형률에서의 감소된 하중으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계산되었다.
스틱포인트 측정
스틱포인트는 연신 동안 응력 유도된/증대된 결정화 하에서 형성된 용융 냉각점을 나타낸다. 보다 낮은 스틱포인트 (다이에 보다 밀접함)가 로핑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웹 형성에 대한 가시적 순위 시험에서, 가장 적은 로핑을 갖는 A가 최상인 반면, 가장 많은 로핑을 갖는 C가 최악이였다. 도 15는 실시예 19I, 실시예 19N, 실시예 19O에 대한 세 가지 웹의 사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물은 유사한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물 (예를 들어,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보다 낮은 정도의 로핑을 가질 것이다. 유사하다는 것은 용융 지수 및 밀도가 서로의 10% 내에 있으며, 각 공중합체가 동일한 단량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개선된 로핑은 최소한의 수의 필라멘트/섬유 집합체 (다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필라멘트 집합체는 함께 병렬 배향 융합된 다수의 필라멘트들로 이루어져 있다. 양호한 형성 (최소 로핑)을 갖는 직물을 정량하기 위해, 2 cm 길이당 필라멘트 집합체의 수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필라멘트 집합체는 길이가 섬유 폭의 10배 이상이었다. 2 cm 길이에서 열 및 압력 결합점을 포함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랜덤 방향으로 2 cm 길이에 걸쳐, 필라멘트 집합체의 선형 라인을 계수하였다. 양호한 웹 형성을 위해, 필라멘트 집합체의 수는 30/2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2 cm 미만이고, 약 5/2 cm, 바람직하게는 약 1/2 cm, 특히 0/2 cm (즉, 로프 부재) 만큼 적을 수 있다.
순간변형률 및 보유 하중
도 16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된 섬유가 100% 변형률에서 1 히스테리시스 사이클로 시험된 후 낮은 순간변형률을 나타낼 수 있음을 도시한다. 순간변형률은 20%, 바람직하게는 약 10% 만큼 낮을 수 있으며, 특히 약 0.9 g/㎤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89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9 g/㎤ 이하, 및 약 0.85 g/㎤ 만큼 낮을 수 있는 밀도를 가진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의 경우 0% 만큼 낮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가 어피니티 (등록상표) 및 버시파이 (등록상표) 섬유보다 낮은 순간변형률을 가짐을 도시한다. 예상한 바와 같이, 보다 높은 밀도의 섬유가 보다 높은 순간변형률을 나타내었다. 60% 변형률에서, 본 발명의 섬유는 도 17 및 하기 표 17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어피니티 (등록상표) 및 버시파이 (등록상표) 보다 높은 보유 하중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섬유가 보다 낮은 신장력을 갖기 때문이다.
추가 실시예
중합체 실시예 20
컴퓨터 제어된 효과적-혼합 반응기에서 연속식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파르 (상표명) E),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된 경우)를 배합하여 40 갤런의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로의 공급을 유량 조절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공급물 스트림의 온도를 글리콜 냉각된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제어한 후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펌프 및 유량계를 사용하여 촉매 성분 용액을 계량 투입하였다. 반응기에서 대략 725 psig 압력에서 액체 충전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며, 물 및 첨가제를 중합체 용액에 주입하였다. 물에 의해 촉매를 가수분해시켜 중합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2단계 탈휘발화의 준비를 위해 후(post) 반응기 용액을 가열하였다. 탈휘발화 공정 동안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중합체 용융물을 수중 펠렛 절단을 위한 다이로 펌핑하였다. 반응기 조건을 표 18에 나타내었다.
안정한 반응기 조건 하에 주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몇 시간 후, 생성물 샘플은 용융 지수 또는 밀도의 실질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르가녹스 (등록상표) 1010, 이르가녹스 (등록상표) 1076 및 이르가녹스 (등록상표) 176의 혼합물로 생성물을 안정화시켰다.
1 표준 cm3/분
2[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이소프로필페닐)(α-나프탈렌-2-디일(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3 비스-(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닐)이미노) 지르코늄 디메틸
4 질량 수지에 의해 계산된 최종 생성물 중 ppm
5 중합체 생성 속도
6 반응기에서의 에틸렌 전환율 (중량%)
7 효율, kg 중합체/g M (여기서, g M = g Hf + g Z)
상기 절차에 사용된 두 촉매 (즉, 촉매 Al 및 A2)의 구조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중합체 실시예 20은 복합물 1-옥텐 함량이 11.1 몰% (33 중량%)이고 복합물 밀도가 0.880 g/cc이고 DSC 피크 융점이 123 ℃이며 DSC 측정을 기초로 한 경질 세그먼트 수준이 0.4 몰% (1.6 중량%)이고 ATREF 결정화 온도가 91 ℃이고 수 평균 분자량이 43,600 g/몰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9,900 g/몰이고 190 ℃, 2.16 Kg에서의 용융 지수가 약 1 dg/분인 에틸렌/1-옥텐 블록 공중합체였다.
40d, 70d 및 140d의 중합체 실시예 20으로부터 각각 섬유 1, 2 및 3을 제조하였다. 약 300 ℃의 방사 온도에서 0.8 mm 둥근 방사구를 사용하여 100 내지 300 g 보빈에 모노필라멘트 섬유를 용융 방사하였다. 방사구와 테이크업 롤러(takeup roller) 사이에 섬유 응고를 위한 길이 2 m의 냉기 켄칭실이 존재하였다. 루롤(Lurol) 8517 (고울스톤 테크놀로지즈(Goulston Technologies))의 실리콘 기재 방사 마감재를 섬유가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후 방사 마감재 도포기를 통해 섬유 표면에 2 중량%로 도포하였다. 그 후, 섬유를 400 내지 600 m/분의 속도로 보빈에 감았다. 방사 온도 및 권취 속도는 생성된 섬유의 인장 반응을 맞추는데 사용되는 가공 변수였다. 방사 전에, 각 실시예로부터의 수지를 산화방지제로서 3000 ppm의 시아녹스(Cyanox) 1790 (사이텍 인더스트리즈(Cytec Industries)) 및 3000 ppm의 키마소르브(Chimasorb) 944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와 컴파운딩하였다.
중합체 실시예 20과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로부터의 섬유
PPl은, 230 ℃, 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38 dg/분이고 DSC 융점이 164 ℃이며 밀도가 0.90 g/cc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PP2는, 230 ℃, 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9.5 dg/분이고 DSC 융점이 164 ℃이며 밀도가 0.90 g/cc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PP3은, 230 ℃, 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8.0 dg/분이고 DSC 융점이 166 ℃이며 밀도가 0.90 g/cc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PP4는, 230 ℃, 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35 dg/분이고 DSC 융점이 166 ℃이며 밀도가 0.90 g/cc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표 19 내지 2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과 중합체 실시예 20의 각종 블렌드로부터 섬유를 방사하였다.
중합체 실시예 20 및 그의 폴리프로필렌과의 블렌드의 섬유 특성
표 19 내지 21에 열거된 제형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블렌딩시킨 후 섬유 방사하였다. 블렌드를 텀블 혼합한 후 컴파운딩하였다. 다음 조건 하에서, 폴리프로필렌 블렌드를 컴파운딩하기에 적합한 표준 스크류 설계를 사용하여 ZSK-25 (25 mm) 반대방향회전하는 트윈 압출기 상에서 용융 블렌딩을 수행하였다: 스크류의 길이 대 직경 비율 (L/D) = 35, 다이 온도 = 235 ℃, 스크류 속도 = 300 rpm, 및 토크 수준 = 65 내지 70%.
약 300 ℃에서 0.8 mm 둥근 프로파일 다이를 사용하여 섬유 4 및 5를 방사하였다. 약 290 ℃에서 0.8 mm 둥근 프로파일 다이를 사용하여 섬유 6 내지 8을 방사하였다. 290 ℃에서 5:1 직사각형 다이를 사용하여 섬유 9 및 10을 방사하였다. 추가 조건을 하기 표 22에 열거하였다.
176 KGy의 총 조사량을 제공하는 전자빔 가교기를 통해 6회 통과시켜 섬유 1, 4 및 5를 가교시켰다. 각 통과 사이에, 섬유를 -10 ℃로 냉각시켰다. 가교 섬유들을 각각 섬유 1 CL, 섬유 4 CL 및 섬유 5 CL이라 지칭한다.
겔 함량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ASTM D2765-95a에 따른 크실렌 추출 방법에 의해 가교 섬유의 겔 함량 (%)을 측정하였다. 블렌드 섬유인 섬유 4 및 5는, 전자빔 하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주된 사슬-분할 반응으로 인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섬유 1보다 겔 함량이 더 낮았다. 그러나, 섬유 4의 블렌드는, 섬유 5보다 섬유 1과 비교해서 겔 함량 감소가 더 작았고, 이러한 겔 감소 수준은 물리적 블렌딩 비율보다 작았다. 이는, 폴리프로필렌의 일부 부분이 가교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겔 함량을 표 23에 나타내었다.
열적 거동
섬유 1, 4 및 5의 열적 거동을 DSC를 통해 연구하였다. 도 18 및 19는 각각 가열 및 냉각 거동을 나타낸다. 도 18에서, 164 ℃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용융 피크는 블렌드 섬유에서 명확히 유지되었다. 폴리프로필렌의 보다 높은 용융 온도는, 요구되는 염색 온도가 130 ℃인 PET/면 CSY를 사용한 콘(cone) 염색 공정에서 블렌드 섬유가 개선된 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고 생각된다. 도 19에서, 125 ℃에서의 원래의 폴리프로필렌 결정화 피크는 블렌드 냉각 공정에서 사라짐을 알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과냉각 효과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결정화 피크가 블렌드 내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인장 거동
비(非)가교 섬유의 인장 거동을 102 mm 게이지 길이로 508 mm/분에서 인스트론 유니버살 테스터(Instron Universal Tester)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립 압력 60 psi (약 413 kPa)의 공압식 클램프 (모델 2712-001, 인스트론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였다. 강인도, 파단 신장률, 및 300% 신장에서의 하중을 5회 반복의 평균으로 기록하였다. 23 ℃에서의 인장 데이타를 하기 표 24 내지 27에 나타내었다.
환경 챔버 내의 인스트론에서 승온에서의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섬유를 테플론(Teflon) 시트 상에서 주어진 드래프트 비율 (예를 들어 3X)로 신장시킨 다음, 소정 온도 (예를 들어 95 ℃)에서 10분 동안 열 처리하여 스트리밍 공정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어서, 신장된 섬유 상에 판지 윈도우 (길이 1인치)를 배치하였다. 코어 방사 얀에서의 섬유 신장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섬유가 수축하지 않도록 3M 스카치(Scotch) 테이프를 사용하여 섬유를 판지에 고정시켰다. 이어서, 섬유와 판지를 클램핑하였다. 인장 신장 전에, 윈도우의 허리부를 절단하여 섬유를 신장시켰다. 콘 염색 온도 (예를 들어 95 ℃)에서 섬유 특성을 시험하였다.
금속 핀을 이용한 동적 마찰
마찰 특성을 전자 일정 장력 전달기(Electronic Constant Tension Transporter) 또는 ECTT ST200 (로손 헴필(Lawson Hemphil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 12에 도시하였다. ECTT ST200은 컴퓨터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공급기 (EYF) (1) 및 테이크-업 롤 (2)로 이루어졌다. 1.5X의 드래프트 (테이크-업 선 속도 및 EYF 선 속도 사이의 비율)를 적용하였다. 이 드래프트 값은, 시판되는 와핑 기계로부터 유래되는 이력 드래프트 구획 데이타로부터 얻어지는 참고치이다. 시판되는 표준 크릴 유형 23E-1100 82 mm LIBA 풀림 롤 (LIBA 마쉬넨파브릭 게엠베하(LIBA Maschinenfabrik GmbH))의 단편을 EYF와 테이크-업 롤 사이 (마찰 요소)에 배치하였다. 장력을 단일 10 cN 하중 셀 (페르마 텐스(Perma Tens) 100p/50cN, 로칠드)로 측정하였다.
동일한 1.5X 속도 비율 하에 다음의 두가지 ECTT 구성을 사용하여 LIBA 동적 COF를 계산하였다:
a) 필라멘트 실-라인이 마찰 요소 (도 12에서의 불연속 라인)를 포함하지 않음. 하중 셀의 장력을 T0로 표시함 (즉, 마찰 요소 이전의 장력으로 간주됨);
b) 필라멘트를 마찰 요소 상에서 180°감쌈. 하중 셀 상에서 판독된 장력은 Ti, 즉 마찰 요소 후의 장력 ("사용가능 장력"이라고도 지칭)임.
마찰계수를 하기 오일러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었다:
식 중, μ는 마찰계수이다.
동적 마찰계수 (COF) 결과를 하기 표 28에 열거하였다. 높은 마찰은 종종 제직 및 편직 적용에서 섬유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COF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섬유의 경우, 연마 금속과의 COF는 약 0.6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 및 약 0.3 정도로 비교적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OF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동력학적 분광법 (DMS)을 RSA III 신장 레오미터 (TA 기기) 상에서 수행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40-데니어 섬유 60개의 다발의 양쪽 말단을 10 mm로 분리된 고정구 사이에 클램핑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단계마다 3 ℃로 25 ℃에서 200 ℃까지 연속 온도 단계로 처리하였다. 각 온도에서 저장 모듈러스 E'를 10 rad/s의 변형 빈도 및 0.1% 내지 5%의 변형 진폭 주기에서 측정하였다. 초기 정적하중 5 g을 적용하여 샘플의 느슨함을 방지하였다. 온도가 200 ℃에 도달하였을 때 시험을 종료하였다.
도 20은 섬유 1 CL, 섬유 4 CL 및 섬유 5 CL의 동력학적 열 반응을 도시한다. 플롯은 섬유 4 CL 및 섬유 5 CL의 저장 모듈러스가 섬유 1 CL의 저장 모듈러스보다 높음을 나타낸다.
중합체 실시예 20과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로부터 유래하는 섬유의 모폴로지
루테늄 염색을 통해 투과 전자 현미경 (TEM)을 사용하여 섬유의 모폴로지를 연구하였다. 루테늄 염색은 폴리프로필렌은 염색시키지 않았다. 섬유를 면도날로 트리밍하여 관심있는 영역을 단리하였다. 수직 단면에 대해서는, 섬유를 평탄한 개재 성형물 내에 배치하고, 에포픽스(Epofix) 에폭시 수지로 충전시키고, 40 ℃에서 16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종단면에 대해서는, 섬유 스트랜드를 먼저 메탄올 중에서 초음파처리한 후 염색하였다. 섬유를 건조시키고,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유리 슬라이드 상에 배치하여 섬유가 테이프 반대쪽에 자유롭게 매달려 있게 하였다. 섬유를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RuO4 증기로 예비염색시켰다. 염색 용액은, 스크류 뚜껑이 있는 유리 병 내에 염화루테늄(III) 수화물 (RuCl3·H2O) 0.2 g을 칭량 첨가하고, 병에 5.25% 수성 차아염소산나트륨 10 ml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염색 용액보다 약 1인치 위쪽에 섬유가 떨어져 매달려 있도록 섬유를 함유하는 유리 슬라이드를 염색 병에 넣었다.
염색 후, 섬유를 병에서 꺼내고, 탈이온수 비이커에 넣고, 대략 2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임의의 잔여 RuO4를 샘플에서 제거하였다. 영역들이 종방향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섬유를 배향하기 위해, 염색된 섬유의 작은 단편을 대략 3 mm의 길이로 절단하고, 평탄한 개재 성형물에 배치하였다. 양면 테이프 단편을 성형물 팁에 배치하고, 섬유를 테이프에 부착시켜 개재 공정 동안에 움직이지 못하게 하였다. 단일 섬유에 에포픽스 에폭시를 개재시키고, 38 ℃에서 16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되면, 개재 성형물에서 블록을 제거하고, 성형물 팁에서 양면 테이프를 박리시켜 단일 섬유를 노출시켰다. 블록을 개재 에폭시 중심에서 섬유와 함께 대략 약 0.l mm 내지 0.3 mm 트리밍하였다.
명시야(Bright Filed) TEM 이미지를 가탄(Gatan) 791 및 794 디지탈 카메라를 사용하여 10O kV의 가속화 전압에서 작동하는 JEOL JEM 1230 상에 수집하였다. 이미지를 아도베 포토샵(Adobe Photoshop) 7.0을 사용하여 후가공하였다.
도 21 및 22는 각각 섬유 배향에 대해 수직 및 종방향 절단된 섬유 4 샘플의 저배율 (약 3,000X)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예상치 못하게, 블렌드 중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TEM 이미지에서 백색 영역으로 보여짐)은 수직 방향의 나노-실린더 및 종방향의 긴 막대처럼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도 23 및 24는 보다 높은 배율 (약 30,000X)의 상응하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들 이미지로부터 블렌드 중의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나노-규모 (<50 ㎛)임을 추가로 알 수 있다. 상기 나노-규모 중합체 블렌드 구조물은 신규하고, 임의의 특정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이는 개선된 특성의 원인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25 및 26은 섬유 배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된 섬유 4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TEM 이미지를 도시하고, 각각 폴리프로필렌 도메인 분산액의 표면 및 중심 영역의 모폴로지를 비교한다. 이들 이미지로부터, 섬유 표면 상에 농축 폴리프로필렌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섬유 단면의 표면 및 중심 영역간 모폴로지 차이가 없었다.
도 27 및 28은 각각 수직 및 종방향으로 절단된 섬유 5 샘플의 약 30,000X 배율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보다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나노-규모 폴리프로필렌 상이 여전히 관찰됨을 알 수 있다.
섬유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과의 블렌드 및 중합체 실시예 20의 특성
200 ℃에서의 용융 강도 및 연신성
섬유 6, 9 및 10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과의 블렌드 및 중합체 실시예 20의 용융 강도 및 연신성을 200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9에 나타내었다. 블렌드는 중합체 실시예 20보다 높은 용융 강도를 나타냈고, 연신성은 필적할 만하였다.
마모 시험
섬유 5에서 사용된 블렌드 샘플 및 중합체 실시예 20의 샘플을 직경 2.5 mm의 막대로 압출시켰다. 구리 와이어를 막대 상에 압착시키고, 1시간 동안 8000 사이클로 반복적으로 표면을 스크래치하였다. 스크래치된 막대 샘플 표면을 도 30 및 31에 나타내었다. 두 샘플 모두 내마모성을 일부 나타내었지만,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샘플은 단지 중합체 실시예 20만의 샘플보다 더 적은 표면 손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MA 만입 결과
압축 성형된 가교 플라크 상에서 TMA 만입을 측정하였다. 섬유 1, 4 및 5에 대하여 온도에 대한 일정 하중에 대한 침투 깊이를 도 32에 나타내었다. 세가지 섬유 모두 우수하게 작동하지만, 섬유 4 및 5는 개선된 만입 내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콘 염색과 같은 공정에서의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섬유가 경질 얀과의 접촉으로 인한 스크래치 및 파손에 대해 보다 내성일 수 있음).
상기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고유한 멀티-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제공한다. 이 섬유는 하나 이상의 하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한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높은 사용 온도 상한; 높은 회복력/수축력; 낮은 응력 완화 (고온 및 저온); 유연한 연신; 높은 파단 신장률; 불활성; 내화학성; UV 내성. 이 섬유는 비교적 높은 방사 속도 및 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 방사될 수 있다. 이 섬유는 전자빔 또는 다른 조사 방법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또한, 이 섬유는 덜 점성이어서 보다 양호한 풀림 성능 및 보다 양호한 저장 수명을 초래하며, 실질적으로 로핑 (즉, 섬유 다발화)이 없다. 섬유가 보다 높은 방사 속도로 방사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의 생산량이 높다. 또한, 상기 섬유는 광범위한 형성 범위 및 광범위한 가공 범위를 가진다.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이 한정된 수의 실시양태에 대하여 기재되었지만, 한 실시양태의 구체적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기인하지 않을 것이다. 단일 실시양태가 본 발명의 모든 양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또는 방법은 수많은 본원에 언급되지 않은 다수의 화합물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또는 방법은 본원에 열거되지 않은 임의의 화합물 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가 "적어도" 하나의 성분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다른 실시양태는 하나 및 단지 그 성분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양태로부터의 변경 및 변형이 존재한다. 수지의 제조 방법은 많은 행위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이들 단계 또는 행위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 또는 차례로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숫자는 단어 "약" 또는 "대략"이 그 숫자를 기재하는데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대략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상기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1/376,873호 (2006년 3월 15일자 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또한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1/376,835호 (2006년 3월 15일자 출원)를 우선권 주장하는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11/654,349호 (2007년 1월 16일자 출원)을 우선권으로 한다. 미국 특허법 관행상, 이들 출원들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Claims (46)

  1. (a)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 여기서 Tm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Tm > -2002.9 + 4538.5(d) - 2422.2(d)2
    에 대응하거나, 또는
    (b)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용융열 ΔH (J/g), 및 가장 큰 DSC 피크와 가장 큰 CRYSTAF 피크 사이의 온도 차이로 정의되는 차이량 ΔT (℃), 여기서 ΔT 및 ΔH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0 초과 130 J/g 이하의 ΔH의 경우 ΔT > -0.1299 (ΔH) + 62.81,
    130 J/g 초과의 ΔH의 경우 ΔT ≥ 48 ℃
    을 가지며,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갖는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이거나, 또는
    (c)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 여기서 Re 및 d의 수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갖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Re > 1481-1629(d)
    을 충족하거나, 또는
    (d)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 상기 분획물은 동일 온도 구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짐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갖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성질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를 특징으로 하며, 탄성 회복률 및 밀도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갖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Re > 1481-1629(d)
    을 충족하는 것인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를 갖고, 상기 변수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Tm > -2002.9 + 4538.5(d) - 2422.2(d)2
    에 대응하며, 혼성중합체의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인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약 1.7 내지 약 3.5의 Mw/Mn을 갖고, 혼성중합체가 용융열 ΔH (J/g) 및 가장 큰 DSC 피크와 가장 큰 CRYSTAF 피크 사이의 차이로 정의되는 차이량 ΔT (℃)을 특징으로 하며, ΔT 및 ΔH가 하기 관계식
    0 초과 130 J/g 이하의 ΔH의 경우 ΔT > -0.1299 (ΔH) + 62.81,
    130 J/g 초과의 ΔH의 경우 ΔT ≥ 48 ℃,
    을 충족하고,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갖는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인 것인 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혼성중합체의 밀도가 약 0.860 g/cc 내지 약 0.895 g/cc이고 70 ℃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이 약 70% 미만인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스티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인 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섬유.
  9. 제8항에 있어서, 광자 조사, 전자빔 조사, 또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섬유.
  10. 제8항에 있어서, 가교 중합체의 백분율이 형성된 겔의 중량 백분율로 측정시 20% 이상인 섬유.
  11.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고도의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인 섬유.
  12. 제1항에 있어서, 이성분 섬유인 섬유.
  13. 제1항에 있어서, 마찰계수가 약 0.6 미만이고, 상기 혼성중합체가 임의의 충전제와 혼합되지 않은 것인 섬유.
  14. 제1항에 따른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에 의해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시트인 직물.
  16. 제14항에 있어서, 탄성인 직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제직된 직물.
  18. 제14항에 있어서, 편직된 직물.
  19. 제18항에 있어서, 환편직, 경편직 또는 횡편직된 직물.
  20. 제14항에 있어서, MD % 회복률이 100% 변형에서 50% 이상인 직물.
  21. 제1항에 따른 섬유를 포함하는 얀.
  22. 제21항에 있어서, 피복된 얀.
  23. 제22항에 있어서, 면사 또는 나일론사에 의해 피복된 얀.
  24. (a)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1종 이상의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이 0.5 이상 약 1 이하의 블록 지수 및 약 1.3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b) 평균 블록 지수가 0 초과 약 1.0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약 1.3 초과인
    성질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수득가능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섬유.
  25. 제24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스티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인 섬유.
  26. 제24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섬유.
  27. 제24항에 있어서, 가교된 섬유.
  28. 제27항에 있어서, 광자 조사, 전자빔 조사, 또는 가교제에 가교된 섬유.
  29. 제27항에 있어서, 가교 중합체의 백분율이 형성된 겔의 중량 백분율로 측정시 20% 이상인 섬유.
  30. 제24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고도의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인 섬유.
  31. 제24항 있어서, 이성분 섬유인 섬유.
  32. 제24항에 있어서, 마찰계수가 약 0.6 미만이고, 혼성중합체가 임의의 충전제와 혼합되지 않은 것인 섬유.
  33. 제24항에 따른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에 의해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시트인 직물.
  35. 제33항에 있어서, 탄성인 직물.
  36. 제33항에 있어서, 제직된 직물.
  37. 제33항에 있어서, 편직된 직물.
  38. 제37항에 있어서, 환편직, 경편직 또는 횡편직된 직물.
  39. 제33항에 있어서, MD % 회복률이 100% 변형에서 50% 이상인 직물.
  40. 제24항에 따른 섬유를 포함하는 얀.
  41. 제40항에 있어서, 피복된 얀.
  42. 제41항에 있어서, 면사 또는 나일론사에 의해 피복된 얀.
  43.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블렌드를 용융 혼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렌드를 섬유로 압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a)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 여기서 Tm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Tm ≥ 858.91 - 1825.3(d) + 1112.8(d)2
    에 대응하거나, 또는
    (b)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용융열 ΔH (J/g), 및 가장 큰 DSC 피크와 가장 큰 CRYSTAF 피크 사이의 온도 차이로 정의되는 차이량 ΔT (℃), 여기서 ΔT 및 ΔH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0 초과 130 J/g 이하의 ΔH의 경우 ΔT > -0.1299 (ΔH) + 62.81,
    130 J/g 초과의 ΔH의 경우 ΔT ≥ 48 ℃
    을 가지며,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갖는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이거나, 또는
    (c)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 여기서 Re 및 d의 수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갖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Re > 1481-1629(d)
    을 충족하거나, 또는
    (d)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 상기 분획물은 동일 온도 구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짐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성질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섬유로부터 실질적으로 로핑(roping)이 없는 직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a)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하나 이상의 융점 Tm (℃), 및 밀도 d (g/㎤), 여기서 Tm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Tm > -2002.9 + 4538.5(d) - 2422.2(d)2
    에 대응하거나, 또는
    (b) 약 1.7 내지 약 3.5의 Mw/Mn, 용융열 ΔH (J/g), 및 가장 큰 DSC 피크와 가장 큰 CRYSTAF 피크 사이의 온도 차이로 정의되는 차이량 ΔT (℃), 여기서 ΔT 및 ΔH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
    0 초과 130 J/g 이하의 ΔH의 경우 ΔT > -0.1299 (ΔH) + 62.81,
    130 J/g 초과의 ΔH의 경우 ΔT ≥ 48 ℃
    을 가지며,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갖는 경우 CRYSTAF 온도는 30 ℃이거나, 또는
    (c)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 및 밀도 d (g/㎤), 여기서 Re 및 d의 수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갖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Re > 1481-1629(d)
    을 충족하거나, 또는
    (d)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 상기 분획물은 동일 온도 구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짐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성질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46. 제45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 중합체가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KR1020097014721A 2007-01-16 2008-01-10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421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54,349 2007-01-16
US11/654,349 US7695812B2 (en) 2005-09-16 2007-01-16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PCT/US2008/050720 WO2008089031A2 (en) 2007-01-16 2008-01-10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99A true KR20090102799A (ko) 2009-09-30
KR101421763B1 KR101421763B1 (ko) 2014-07-22

Family

ID=3963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721A KR101421763B1 (ko) 2007-01-16 2008-01-10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695812B2 (ko)
EP (1) EP2059631B1 (ko)
JP (1) JP5265574B2 (ko)
KR (1) KR101421763B1 (ko)
CN (1) CN101663424B (ko)
AR (1) AR064911A1 (ko)
AT (1) ATE546574T1 (ko)
AU (1) AU2008206511A1 (ko)
BR (1) BRPI0802609B8 (ko)
CA (1) CA2646102A1 (ko)
TW (1) TW200902781A (ko)
WO (1) WO20080890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7504347B2 (en) * 2004-03-17 2009-03-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α-olefins
US7622179B2 (en) * 2004-03-17 2009-11-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random looped structure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and uses thereof
US20080289156A1 (en) * 2007-05-25 2008-11-27 Mitchell Lewis Zipper construction
US8569422B2 (en) * 2007-07-13 2013-10-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atalytic olefin block copolymers with controlled block sequence distribution and at least one low crystallinity hard block
WO2009032622A1 (en) * 2007-09-04 2009-03-1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EP2285569A1 (en) * 2008-05-05 2011-02-23 Novameer B.V. Polymeric fibers coated with an olefin block copolymer containing resin and laminates comprising polymeric fibers in a resin of olefin block copolymers
CA2727437A1 (en) * 2008-06-18 2009-12-2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es to control fouling and improve compositions
US8664129B2 (en)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10161063B2 (en)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US9498932B2 (en)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1628792B1 (ko) * 2008-10-03 2016-06-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갖는 중합체 블렌드
EP2401144A1 (en) 2009-02-27 2012-01-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 nonwoven in situ laminat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US8668975B2 (en)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2791917B (zh) * 2010-03-12 2014-11-05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制备耐热无纺织物的方法
EP2374917B1 (en) 2010-04-07 2013-02-1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rtificial turf yarn
US8907030B2 (en) * 2010-09-29 2014-12-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suitable for use in fiber applications, and fibers made therefrom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DK2720862T3 (en) 2011-06-17 2016-09-19 Fiberweb Inc Vapor permeable, water impervious TOTAL MAJOR MULTI-LAYER ARTICLE
WO2012174422A2 (en) 2011-06-17 2012-12-20 Berry Plastics Corporation Insulated container with molded brim
WO2012174567A2 (en) 2011-06-17 2012-12-20 Berry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ed container having artwork
JP6235466B2 (ja) 2011-06-17 2017-11-22 ベリー プラスチ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断熱容器
KR20140044369A (ko) 2011-06-17 2014-04-14 베리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컵용 단열 슬리브
US10369769B2 (en) 2011-06-23 2019-08-06 Fiberweb, In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EP2723568B1 (en) 2011-06-23 2017-09-27 Fiberweb, LLC Vapor permeable, substantially water 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US9765459B2 (en) 2011-06-24 2017-09-19 Fiberweb, Ll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RU2605398C2 (ru) 2011-08-31 2016-12-20 Берри Пластикс Корпорейшн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CN103958548B (zh) 2011-12-02 2016-05-18 住友化学株式会社 使用多种过渡金属催化剂的烯烃嵌段聚合物的制造方法
US8840758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US9771473B2 (en) 2012-02-24 2017-09-26 Kraton Polymers U.S. Llc High flow,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and applications
US20130225020A1 (en) * 2012-02-24 2013-08-29 Kraton Polymers Us Llc High flow,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nd applications
CN103361767B (zh) * 2012-03-29 2016-09-28 彭宏 一种低成本的聚烯烃弹性纤维及其制造方法
CA2879564A1 (en) 2012-08-07 2014-02-13 Berry Plastics Corporation Cup-forming process and machine
EP2912142A4 (en) 2012-10-26 2016-03-16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AR093943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Reborde de un envase termico
US9840049B2 (en) 2012-12-14 2017-12-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AR093944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Troquelado para envase
US9957365B2 (en) 2013-03-13 2018-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CN105246676B (zh) 2013-03-14 2018-11-02 比瑞塑料公司 容器
US9303357B2 (en) 2013-04-19 2016-04-05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US9522213B2 (en) * 2013-06-18 2016-12-20 H.B. Fuller Company Pressure-sensitiv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propyle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EP3033208A4 (en) 2013-08-16 2017-07-05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BR122020002319B1 (pt) * 2013-10-29 2021-06-15 Braskem S.A. Método e sistema contínuo para a produção de pelo menos um fio polimérico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MX2016012449A (es) 2014-03-28 2017-01-06 Mitsui Chemicals Inc Resina de olefina y metodo para producirla.
US9758655B2 (en) 2014-09-18 2017-09-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US9670346B2 (en) 2014-12-09 2017-06-06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WO2016118838A1 (en) 2015-01-23 2016-07-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CN109937237A (zh) * 2016-09-29 2019-06-2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发泡体用掺合物、由其制造的发泡体和包括其的物品
CA3013585A1 (en) 2017-08-08 2019-02-08 Berry Global, Inc. Insulated container
JP6998818B2 (ja) * 2018-03-30 2022-01-18 Kbセーレン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複合繊維およびオレフィン系複合繊維の製造方法
WO2020088822A1 (en) * 2018-10-31 2020-05-07 Adfil N.V. Fiber for concrete reinforcement
CN113727852A (zh) 2019-04-17 2021-11-30 日东电工株式会社 多层共挤出膜和包括该多层共挤出膜的制品
WO2021120146A1 (en) * 2019-12-20 2021-06-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cleansing wipe formed from a nonwoven including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CN114149258B (zh) * 2021-12-29 2023-03-24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叠层结构的压电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642A (en) * 1961-02-20 1975-03-25 Avisun Corp Crystalline olefin block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US3485706A (en) 1968-01-18 1969-12-23 Du Pont Textile-like patterned nonwoven fabrics and their production
US4692371A (en) * 1985-07-30 1987-09-08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method of making elastomeric materials and materials obtained thereby
EP0274906B1 (en) 1986-12-26 1993-02-17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rosslinked olefinic block copolymers
US4939016A (en) 1988-03-18 1990-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entangled nonwoven elastomeric web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GB2241244B (en) * 1990-02-22 1994-07-06 James C W Chien Thermoplastic elastomers
TW275076B (ko) 1992-12-02 1996-05-01 Hoechst Ag
GB9310235D0 (en) * 1993-05-18 1993-06-30 Raychem Ltd Heat-shrinkable article
JPH0790035A (ja) * 1993-07-27 1995-04-04 Ube Ind Ltd 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5594080A (en) * 1994-03-24 1997-01-14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Thermoplastic elastomeric olefin polymers, method of production and catalysts therefor
CN1070201C (zh) * 1994-04-06 2001-08-29 埃克森化学专利公司 乙烯α-烯烃嵌段共聚物以及它们的制备方法
DE69506860T2 (de) 1994-04-06 1999-06-10 Exxon Chemical Patents Inc Ethylen-alpha-olefin-block-copolymere und verfahren zu iherer herstellung
DE4425408A1 (de) * 1994-07-13 1996-01-18 Hoechst Ag Cycloolefinpolymere
US6114457A (en) * 1997-02-07 2000-09-05 Exxon Chemical Patents Inc. High melt strength polyethylene compositions
KR100564499B1 (ko) 1997-02-07 2006-03-2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분지된 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H10298824A (ja) 1997-04-22 1998-11-10 Chisso Corp 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WO1999035171A1 (en) 1998-01-09 1999-07-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High-melting polyolefin copolymer elastomers, catalysts and methods of synthesis
ID22889A (id) * 1998-03-10 1999-12-16 Mitsui Chemicals Inc Komposisi kopolimer etilena dan penggunaannya
AR018359A1 (es) * 1998-05-18 2001-11-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rticulo resistente al calor , configurado, irradiado y reticulado, libre de un agente de reticulacion de silano
EP1159351A1 (en) * 1998-12-08 2001-12-05 The Dow Chemical Company Melt-bondable polypropylene/ethylene polymer fiber and composition for making the same
JP4860819B2 (ja) 1998-12-21 2012-01-25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分岐した半結晶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組成物
WO2001073174A1 (en) * 2000-03-27 2001-10-04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propylene fabric having high strain rate elong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2206007A (ja) 2000-11-08 2002-07-2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オレフィ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法
WO2002066540A2 (en) 2001-01-10 2002-08-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Block co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7022766B2 (en) * 2001-05-31 2006-04-04 Mitsui Chemicals, Inc. Olefin block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 for lubricating oils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SG120869A1 (en) 2001-05-31 2006-04-26 Mitsui Chemicals Inc Olefin block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 for lubricating oils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7087686B2 (en) 2001-08-06 2006-08-08 Bp Chemicals Limited Chain growth reaction process
EP1453994B1 (en) 2001-11-06 2007-05-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 fib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MXPA04008844A (es) * 2002-03-11 2004-12-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ras elasticas, termoendurecibles, reversibles y metodo de elaboracion y articulos hechos de las mismas.
JP2004204058A (ja) 2002-12-25 2004-07-22 Mitsui Chemicals Inc オレフィ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
JP2005060895A (ja) * 2003-08-14 2005-03-10 Japan Polyolefins Co Ltd ステープルファイバ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US7803728B2 (en) * 2004-03-17 2010-09-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AR048104A1 (es) 2004-03-17 2006-03-2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cion catalizadora que comprende un agente de enlace para la formacion de copolimeros superiores de olefina en bloques multiples
US7504347B2 (en) * 2004-03-17 2009-03-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α-olefins
JP5227162B2 (ja) * 2005-03-17 2013-07-03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の共重合体由来のポリマーブレンド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可撓性成形品
MX2007011323A (es) * 2005-03-17 2007-11-0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ras hechas de copolimeros de etileno/alfa-olefi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02609A2 (pt) 2011-08-30
CN101663424A (zh) 2010-03-03
US20070202330A1 (en) 2007-08-30
KR101421763B1 (ko) 2014-07-22
JP2010515841A (ja) 2010-05-13
US7695812B2 (en) 2010-04-13
BRPI0802609B1 (pt) 2018-05-22
WO2008089031A3 (en) 2008-11-27
CN101663424B (zh) 2015-05-27
BRPI0802609A8 (pt) 2018-04-10
US20090247033A1 (en) 2009-10-01
TW200902781A (en) 2009-01-16
US8119237B2 (en) 2012-02-21
JP5265574B2 (ja) 2013-08-14
BRPI0802609B8 (pt) 2019-05-14
WO2008089031A2 (en) 2008-07-24
CA2646102A1 (en) 2008-07-24
AR064911A1 (es) 2009-05-06
EP2059631A2 (en) 2009-05-20
EP2059631B1 (en) 2012-02-22
AU2008206511A1 (en) 2008-07-24
ATE546574T1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763B1 (ko)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319131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US8067319B2 (en)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KR101373926B1 (ko) 올레핀 블록 중합체의 신축성 포 및 가먼트
JP2010502857A (ja) オレフィンブロックインターポリマーを含むニット織物
JP2010511802A (ja) オレフィンブロックインターポリマーの成形された織物品
JP2010511800A (ja) 防皺性を有する伸縮性布地のためのオレフィンブロック組成物
KR20070110519A (ko)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JP2010533246A (ja) 繊維に適するオレフィンブロックインターポリマー組成物
JP2010516909A (ja) オレフィンブロック組成物の染色堅牢性布地および衣料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