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373A -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 Google Patents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373A
KR20090100373A KR1020097013133A KR20097013133A KR20090100373A KR 20090100373 A KR20090100373 A KR 20090100373A KR 1020097013133 A KR1020097013133 A KR 1020097013133A KR 20097013133 A KR20097013133 A KR 20097013133A KR 20090100373 A KR20090100373 A KR 20090100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icroprotein
ultrafine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100B1 (ko
Inventor
가즈아키 오하시
가즈히로 사또
마사후미 도야마
무네노리 료
시게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solid metal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22F1/102Metallic powder coated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는,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기산과 금속 간의 결합으로 유래하는 1518 cm-1 부근에 적외 흡수 피크를 가지며, 수지의 특성 및 성형성을 손상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미소 단백질을 불활성화할 수 있으며, 수지 조성물 또는 코팅제의 형태로 우수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MICROPROTEIN-INACTIVATING ULTRAFINE METAL PARTICLE}
본 발명은,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알레르겐 물질이나 바이러스, 세균 등의 제거 곤란한 미소 단백질을 면역적으로 불활성화할 수 있는 금속 초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집먼지 중에 포함되는 알레르겐 물질은, 일반적으로 삼목 꽃가루 등의 식물성 단백, 진드기나 그 배설물, 곰팡이 등의 동물성 단백이고, 이들 알레르겐 물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카펫이나 커튼, 침구 등에 부착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중에 부유하여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알레르겐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청소기나 공기청정기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배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에서는 미소한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알레르겐 물질을 면역적으로 불활성화시킬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티오글리콜산, 2-머캅토에탄올, 폴리페놀 화합물 등의 알레르겐 단백질의 디술피드 결합을 환원 내지는 개열(開裂)할 수 있는 물질의 유효량과 용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레르겐 중화 조성물이나(특허문헌 1), 또는 은 및/또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고 알레르겐성 금속 성분을 함유하는 알레르겐 불활성화제(특허문헌 2)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항균성 금속 이온이 담지된 무기 다공질 결정을 친수성 고분자 내부에 함유하는 무기 다공결정-친수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소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074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4143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103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알레르겐 물질을 불활성화시키는 물질에서는, 알레르겐 물질을 불활성화하는 물질을 함유시킨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이것을 카펫이나 커튼 또는 의류 등에 분무 또는 도포, 또는 함침시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을 가한 물체에의 정착성이 충분하지 않고, 그 효과의 지속성의 점에서 아직 충분히 만족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미리 성형된 성형체에 상기 물질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성형체를 구성하는 수지에 배합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 생산성이나 효과의 지속성 등의 점에서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미소 단백질을 불활성화할 수 있고, 수지 조성물 또는 코팅제의 형태로 우수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있어서는,
1. 유기산과 금속 간의 결합으로 유래하는 1518 cm-1 부근에 적외 흡수 피크를 포함하는 것,
2. 유기산이 지방산인 것,
3. 금속이 금, 은, 구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상기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상기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용액이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의하면,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된 금속 초미립자인 것, 및 이러한 금속 초미립자가 유기산과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미소 단백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불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의하면, 성형체에 분무, 도포 등이 가능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용액 외에, 수지 또는 코팅액중에 금속 초미립자가 나노 분산된 수지 조성물 또는 코팅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금속 초미립자를 수지 성형체, 도포 막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에 의하면,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효과를 갖는 성형체 및 도포 막을 직접 성형할 수 있고, 이러한 성형체 및 도포 막은 미리 성형된 성형품에 항균 효과 또는 알레르겐 물질 불활성화 효과를 갖는 물질을, 분무, 도포, 함침시킨 것과 같이, 항균 효과 또는 알레르겐 물질 불활성화 효과를 갖는 물질(금속 초미립자)의 정착성의 문제도 없기 때문에, 효과의 지속성의 점에서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의하면, 전술한 세균, 알레르겐 물질 외, 세균, 진균, 아미노산 배열에 의해 특정한 입체 구조를 갖는 효소, 또는 DNA 또는 RNA(핵산)와 소수의 단백 분자로 이루어지는 입자형 물질인 바이러스 등의 미소 단백질도, 유효하게 불활성화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나노 분산을 확인하기 위한 분광 투과율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필름 단면의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9에서 얻어진 필름 단면의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필름 표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는,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종래부터, 은 등의 금속 이온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삼목 꽃가루 등의 알레르겐 물질이나 진드기나 바퀴벌레 등의 배설물이나 사해(死骸)에서 유래하는 알레르겐 물질인 미소 단백질을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입자 직경이 1000 ㎚ 이하의 금속 초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미소 단백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불활성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즉, 입자 직경이 1000 ㎚ 이하의 금속 초미립자는 통상의 금속 입자와 그 특성이 크게 상이하고, 특히 그 표면 활성이 높고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미소 단백질에 대한 반응성이 우수하며, 통상의 금속 입자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미소 단백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미소 단백질에 대한 우수한 불활성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금속 초미립자는 표면 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수지 중에 이것이 함유되어 있으면 수지의 분해를 촉진하고, 수지의 성형성을 현저히 저해한다고 하는 불이익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금속 초미립자 표면에 유기산 성분을 존재시킴으로써, 금속 표면과 수지와의 직접 접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지의 분해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수지의 분자량 저하 등을 저감할 수 있고, 성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금속 초미립자 표면에 유기산 성분이 존재함으로써, 금속 단체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우수한 미소 단백질의 불활성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예상 외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금속 초미립자가,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는, 적외 흡수 피크를 조사함으로써 명백하고, 본 발명에서는, 1518 cm-1 부근에 유기산과 금속 사이의 결합(COO-M)으로 유래하는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것에 의해, 금속 초미립자가,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고 있는 것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의 전술한 우수한 효과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하다.
즉, 평균 입자 직경 4.5 ㎛의 은 입자 단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있어서는,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효소의 불활성화율 및 항균 효과 모두 충분히 만족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고(비교예 2 및 비교예 5),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100 ㎚와, 본 발명의 금속 초미립자와 동일한 범위에 있는 은초미립자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있어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4.5 ㎛의 것과 비교하면 효소 불활성화율이 개선되어 있지만,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및 항균 효과의 점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큰 은 입자 단체를 함유시킨 것과 동일한 결과밖에 얻을 수 없었음에 반하여(비교예 3 및 비교예 6), 금속 초미립자 표면에 유기산 성분이 존재하는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서는,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효소 불활성화율 및 항균 효과 모두 매우 우수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실시예 1∼20).
또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서는, 수지 중에서 직접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기 금속염이, 수지의 가열 성형 가공 공정 또는 도포 막의 형성 공정에서, 자기 환원 또는 열 분해함으로써 금속 초미립자가 되는 것을 발견하고, 유기 금속염을 수지에 배합하여 압출기 등으로 혼련 또는 코팅제를 소성함으로써, 유기 금속염이 열 분해에 의해 나노 입자화되고, 또한 재응집하지 않고 나노 분산되어, 성형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지 중에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하고, 예컨대 실시예 7 및 19에 의해 얻어진 필름 단면의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인 도 2 및 도 3으로부터, 필름중에 금속 초미립자(검은 부분)가 형성(나노 입자화)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며, 또한 실시예 13에 의해 얻어진 필름 표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인 도 4로부터, 금속 초미립자(흰 부분)가 균일하게 미분산(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이러한 금속 초미립자가 수지 중에서 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은, 나노 입자의 플라즈몬 흡수의 존재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 0.5 중량%를 함유시키고, 270℃로 2축 압출하여 평균 입자 직경 30 ㎚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필름에 대한 분광 투과율 곡선을 도시하는 것으로, 이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체 A에서는, 피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데 대하여, 미리스트산은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에서는, 400 ㎚∼450 ㎚ 부근에 피크가 얻어지고 있어, 은 입자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중에서 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평균 입자 직경이란, 금속과 금속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것을 하나의 입자로 하고, 그 평균을 취한 것을 말한다.
(금속 초미립자)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에 있어서, 금속 초미립자의 금속 성분은, Cu, Ag, Au, In, Pd, Pt, Fe, Ni, Co, Nb, Ru, Rh, Sn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Au, Ag, Cu가 적합하다. 이들 금속 성분은, 단체, 혼합물, 합금 등이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금속이 유기산과 결합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고, 1518 cm-1 부근에 유기산과 금속 사이의 결합에서 유래하는 적외 흡수 피크를 갖고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n-데칸산, 파라톨루엔산, 호박산, 말론산, 타르타르산, 말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초산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프탈산, 말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안식향산, 나프텐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하는 유기산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틴산 등의 고급 지방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분기를 갖고 탄소수가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 초미립자의 적합한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미리스트산은, 스테아르산은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1 ㎛ 내지 500 ㎛, 특히 10 ㎛ 내지 2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는,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불활성 가스분위기로 열 처리함으로써, 금속 초미립자 단체를 생성할 수 있지만, 적합하게는, 유기산 금속염을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하고, 열 처리를 경유하는 것에 의해, 수지 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된 금속 초미립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금속 초미립자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가열 조건은, 이용하는 유기산 금속염에 따라서도 상위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규정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120℃ 내지 350℃, 특히 170℃ 내지 300℃의 온도로, 30초 내지 1800초, 특히 120초 내지 600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초미립자는, 그 최대 직경이 1 ㎛ 미만으로, 그 평균 입자 직경은 특히 1 ㎚ 내지 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은,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유기산 금속염을 열 처리하여 얻어진 금속 초미립자를 수지 중에 배합한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전술한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은,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시의 열 처리에 의해, 수지 성형품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되어, 수지 성형품중에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로서는, 용융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이면 종래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저-,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텐-1,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에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나일론 6,나일론 6, 6, 나일론 6, 10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에서는,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에서는, 그 용도에 따라서, 그 자체 공지의 각종 배합제, 예컨대 충전제, 가소제, 균등제, 증점제, 감점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공지의 처방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지 100 중량부당 유기산 금속염을 0.0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충분한 불활성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한편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금속 입자가 응집하여, 나노 분산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은, 2롤법,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의 종래 공지의 용융 성형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최종 성형품의 용도에 따른 형상, 예컨대 입상, 팰릿상, 섬유상, 필름상, 시트상, 용기상 등의 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수지 성형품에의 성형 온도는, 성형 방법이나 이용하는 수지 및 유기산 금속염의 종류에 의해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이용하는 수지의 열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또한 유기 금속염이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는 전술한 온도 범위 내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은, 그 단독으로 수지 성형품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른 수지와의 조합으로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수지 성형품은, 삼목 꽃가루 등의 식물성 단백질 알레르겐 물질이나 효소, 또는 바이러스 등을 유효하게 불활성화할 수 있고, 또한 성형 가공과 동시에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이 가능하며, 생산성이 우수하다.
(코팅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코팅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도포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유기산 금속염을 열 처리하여 얻어진 금속 초미립자를 도료 성분중에 배합한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전술한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코팅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은, 도포 막의 소성시의 열 처리에 의해, 도료 성분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되어, 도포 막중에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기산 금속염 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도료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미소 단백질을 충분히 불활성화시킬 수 없으며, 한편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금속 초미립자가 응집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도료 성분으로서는, 가열에 의해 도포 막 형성이 가능한 것이면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도료, 에폭시계 도료, 페놀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알키드 수지 도료 등의 종래 공지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제에서도, 수지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그 용도에 따라서, 그 자체 공지의 각종 배합제, 예컨대 균등제, 증점제, 감점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등을 공지의 처방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코팅제의 열 처리 조건은, 이용하는 도료 성분 및 유기산 금속염의 종류에 의해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이용하는 도료 성분의 열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유기산 금속염이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는 전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60 내지 600 초간 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코팅제로부터 얻어진 도포 막은, 우수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도포 막의 형성과 동시에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
(용액)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용액은, 전술한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용액이고, 상, 벽면, 커튼, 카펫 등의 주택 관련 부재, 공조 기기, 직포, 부직포 등의 섬유 제품, 마스크, 필터 등의 여과 부재에, 분무, 도포, 함침 등을 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함유 용액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산 금속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열 처리하여, 미리 금속 초미립자를 생성하고, 이것을 용매중에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금속 초미립자는 0.001 내지 20 중량%, 특히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용액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미소 단백질의 불활성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시키는 용매로서는, 종래 이 종류의 용액에 이용되고 있던 공지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 이온 교환수 등의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메탄올 변성, 벤졸 변성, 트리올 변성, 메틸에틸케톤 변성, 안식향산 디나토늄 변성, 향료 변성 등의 일반 변성 알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탄산디에틸, 초산에틸, 프로피온산에틸, 부티르산에틸, 헥산, 공업용 에틸에테르 등의 변성 알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등의 글리콜계 용제 등의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에탄올 농도가 특히 1% 내지 30%인 에탄올 수용액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 입자 직경의 측정
실시예 1∼9, 11∼19 및 비교예 1∼7에 의해 얻어진 필름 또는 실시예 10, 20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의 프라이머 도포 막을 단면 슬라이스하고,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써 관찰한 금속 초미립자의 TEM 사진을 얻는다(또한, 대표예로서 실시예 7 및 19의 TEM 사진을 도 2 및 3에 도시했다). 사진에 찍힌 금 속 초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화상 해석식 입자 분포 측정 소프트웨어: mac-view로써 측정하였다.
(평가 방법)
II.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의 확인 방법(진드기 스캔)
진드기 스캔(아사히푸드 앤드 헬스케어사제)을 이용하여, Der f I(아사히푸드 앤드 헬스케어사제)(진드기 충체에 포함되는 알레르겐)에 대한 불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불활성화 효과의 확인은, 진드기 항원의 존재의 확인, 수지 중에 금속 미립자를 함유한 필름 및 프라이머 도포 필름과 항원과의 접촉·침지를 각각 행하고, 하기에 기재한 진드기 스캔의 판정 기준에 따라, 진드기 알레르겐의 불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진드기 알레르겐의 존재의 확인
(1) 진드기 항원 용액: PP 튜브(BIO-BIK사제)에 Der f I 용액 20 ㎕(진드기항원량 2 ㎍)를 첨가하고, 37℃로 2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2) 진드기 항원의 존재의 확인: 인큐베이트 후, 용액을 진드기 스캔 측정부에 적하하고, 하기 기재의 C 라인과 T 라인의 착색량에 의해 상기 진드기 항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2.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의 확인
(1) 필름 샘플: 실시예 1∼9, 11∼19 및 비교예 1∼7에 의해 얻어진 필름 또는 실시예 10, 20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폭 5 ㎜ 길이 100 ㎜의 단책상(短冊狀)으로 채취하여 필름 샘플로 하였다.
(2) 접촉·침지: PP 튜브(BIO-BIK사제)에 Der f I용액 20 ㎕(항원량 2 ㎍)를 첨가하고, 필름 샘플을 삽입하여 접촉·침지시켜, 37℃로 2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3) 판정: 인큐베이트 후, 필름 샘플을 제거하고, 용액을 진드기 스캔 측정부에 적하하며, 하기 기재의 C 라인과 T 라인의 착색량에 의해 불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3. 진드기 스캔의 판정 기준
1: 진드기 알레르겐의 오염은 없다(C 라인 착색, T 라인 착색 전혀 없음)
2: 진드기 알레르겐으로 약간 오염되어 있다(C 라인 착색 > T라인 착색)
3: 진드기 알레르겐으로 오염되어 있다(C 라인 착색 = T 라인 착색)
4: 진드기 알레르겐으로 매우 오염되어 있다(C 라인 착색 < T 라인 착색)
III. 효소 불활성화 효과의 확인 방법
β-갈락토시다아제를 이용하여 효소의 불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불활성화 효과의 확인은, 효소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니셜 값으로 하고, 한편, 수지 중에 금속 미립자를 함유시킨 필름과의 접촉·침지시켜 샘플 값으로 하며, 하기에 기재하는 효소 불활성화율을 산출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효소의 활성 측정에는 리포터 용해 완충액(Reporter Lysis Buffer)을 갖는 β-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검정 시스템(Enzyme Assay System)(Promega사제)을 이용하고, β-갈락토시다아제는 첨부품을 이용하였다.
1. 이니셜의 효소의 존재의 확인
(1) 효소 용액 조정: β-갈락토시다아제의 농도가 0.1 ㎕/1 mL가 되도록 1× 리포터 용해 완충액으로 희석한다.
(2) 전처리: β-갈락토시다아제 용액(0.1 ㎕/1 mL) 50 ㎕를 PP 튜브(BIO-BIK사제)에 첨가하고, 37℃로 2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그 후, 1×리포터 용해 완충액를 100 ㎕ 혼합하였다.
(3) 발색 반응: 검정 완충액(Assay Buffer)을 150 ㎕ 적하하고, 혼합 후 37℃ 온수욕 중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4) 반응 정지: 1M 탄산나트륨 500 ㎕ 혼합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5) 흡광도 측정: 용액의 420 ㎚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니셜 값으로 하였다.
2. 샘플의 효소 불활성 효과의 확인
(1) 효소 용액 조정: β-갈락토시다아제의 농도가 0.1 ㎕/1 mL가 되도록 1×리포터 용해 완충액으로 희석한다.
(2) 접촉·침지: β-갈락토시다아제 용액(0.1 ㎕/1 mL) 100 ㎕를 PP 튜브에 첨가하고, 샘플 필름(폭 3 ㎜ 길이 20 ㎜)을 PP 튜브 내에 삽입하여 용액에 접촉·침지시켜, 37℃로 2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필름을 제거한 후 용액 50 ㎕를 채취하고, 1×리포터 용해 완충액 100 ㎕로 혼합하였다.
(3) 발색 반응: 검정 완충액을 150 ㎕ 적하하고, 혼합 후 37℃ 온수욕 중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4) 반응 정지: 30분 후 1M 탄산나트륨 500 ㎕ 혼합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5) 흡광도 측정: 용액의 420 ㎚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샘플 값으로 하였다.
3. 효소 불활성화율의 산출
측정한 이니셜 값과 샘플 값을 이용하여 하기식으로부터, 샘플의 효소 불활성화율을 구했다.
(효소 불활성화율) = (1-샘플 값/이니셜 값)×100(%)
IV. 항균 효과의 확인 방법
실시예 1∼9, 11∼19 및 비교예 1∼7에 의해 얻어진 필름 또는 실시예 10, 20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JIS Z 2801에 의해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균종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이용하였다. 무가공 필름의 배양 후 균 수를 항균 가공 필름의 배양 후 균 수로 나눈 수의 대수 값을 항균 활성 값으로 하고, 항균 효과는 항균 활성 값이 2.0 이상인 경우를 ○, 2.0 미만인 경우를 ×로 하였다. 또한, 항균 효과의 확인에 대해서 황색 포도구균(S.aureus)에는 행하고 있지 않지만,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V.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실시예 1∼9, 11∼19 및 비교예 1∼7에 의해 얻어진 필름 또는 실시예 10, 20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의 프라이머 도포 막에 대해서, 수지 중에 금속 미립자를 함유시킨 필름을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 광도계[(주)디지래버·재팬제]에 의해 상법인 전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 기인하는 1518 cm-1 부근의 적외 흡광 피크를 확인하였다.
VI. 외관 평가
실시예 1∼9, 11∼19 및 비교예 1∼7에 의해 얻어진 필름 또는 실시예 10 및 20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에 대해서, 육안으로 입자의 응집의 유무를 확인하여, 응집이 없고 외관이 우수한 것을 ○, 응집이 있고 외관이 불량인 것을 ×로 하였다.
[실시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5 kg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1.5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하고, 압출 성형 온도 220℃로 2축 압출기[(주) 도요 정기 제작소제]로써 압출하여 두께 50 ㎛의 필름을 작성하였다.
전술한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효소 불활성화 효과,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를 확인 및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1.0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0.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4]
압출 성형 온도를 25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 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5]
압출 성형 온도를 27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6]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7]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0.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8]
압출 성형 온도를 25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9]
압출 성형 온도를 27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0]
고분자량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레졸형) 용액 및, 경화 촉매(인산),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을 46:46:3:5의 수지분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혼합용제(시클로헥사논: MIBK:MEK = 1:1:1)로 도료 수지분 농 도가 20%가 되도록 프라이머를 조정하였다. 두께 50 ㎛의 2축 배향 PET/I(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88/1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프라이머를 건조 중량으로 O.6 g/m2가 되도록 도포, 180℃에서 건조하여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제작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kg을 압출 성형 온도 220℃로 2축 압출기[(주) 도요 정기 제작소제]로써 압출하여 두께 50 ㎛의 필름을 작성하고, 전술한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효소 불활성화 효과,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를 확인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2]
평균 입자 직경 4.5 ㎛의 은을 0.5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은을 0.5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4]
공지의 방법으로 생성한 스테아르산은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온도 250℃로 가열하여 얻어진 입자 직경 1 ㎚∼100 ㎚인 스테아르산은을 0.5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 정,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상기한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 효소 불활성화 효과,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외관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가, 알레르겐, 바이러스 등의 미소 단백질에 대한 불활성화에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조성 (출발원료) 입자 함유량 (중량%) 압출 성형 온도 (℃) 압출 성형 후의 평균 입자 직경 (㎚) 진드기 알레르겐 불활성화 효과의 판정 산소 불활성 화율 (%) 1518 cm-1 부근에 적외 흡수 피크의 확인 외관 평가
실시예 1 스테아르산은 1.5 220 12 1 99
실시예 2 스테아르산은 1.0 220 15 1 99
실시예 3 스테아르산은 0.5 220 11 1 99
실시예 4 스테아르산은 1.5 250 15 1 99
실시예 5 스테아르산은 1.5 270 20 1 99
실시예 6 미리스트산은 1.5 220 8 1 99
실시예 7 미리스트산은 0.5 220 12 1 99
실시예 8 미리스트산은 1.5 250 15 1 99
실시예 9 미리스트산은 1.5 270 20 1 99
실시예 10 미리스트산은 1.0 180 (건조온도) 100 1 80
비교예 1 없음 0 220 - 3 0.4 × ×
비교예 2 0.5 220 5000 3 1 × ×
비교예 3 0.5 220 1000 3 10 × ×
비교예 4 스테아르산은 0.5 220 150 3 40 × ×
[실시예 11]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kg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0.1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하고, 압출 성형 온도 220℃로 2축 압출기[(주)도요 정기 제작소제]로써 압출하여 두께 50 ㎛의 필름을 작성하여, 전술한 항균 활성 값의 산출, 항균 효과의 유무,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를 확인 및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0.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3]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1.0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4]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1.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5]
압출 성형 온도를 20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6]
압출 성형 온도를 27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7]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8]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O.1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19]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1.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실시예 20]
고분자량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레졸형) 용액 및, 경화 촉매(인산),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46:46:3:5의 수지분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혼합용제(시클로헥사논: MIBK:MEK=1:1:1)로 도료 수지분 농도가 20%가 되도록 프라이머를 조정하였다. 두께 50 ㎛의 2축 배향 PET/I(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88/1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프라이머를 건조 중량으로 O.6 g/m2가 되도록 도포, 180℃로 건조하여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제작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5]
평균 입자 직경 4.5 ㎛의 은을 1.0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6]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은을 1.O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확인, 평가하였다.
[비교예 7]
공지의 방법으로 생성한 스테아르산은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온도 250℃로 가열하여 얻어진 입자 직경 1∼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0.5 중량%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상기한 항균 활성 값, 항균 효과, 1518 cm-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및 외관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조성 (출발원료) 입자 함유량 (중량%) 압출 성형 온도 (℃) 압출 성형 후의 평균 입자 직경 (㎚) 대장균 1518 cm-1 부근에 적외 흡수 피크의 확인 외관 평가
항균 활성 값
실시예 11 스테아르산은 0.1 220 8 2.1
실시예 12 스테아르산은 0.5 220 11 2.5
실시예 13 스테아르산은 1.0 220 15 4.0
실시예 14 스테아르산은 1.5 220 8 6.0 이상
실시예 15 스테아르산은 1.5 200 10 6.0 이상
실시예 16 스테아르산은 1.5 270 20 6.0 이상
실시예 17 스테아르산은 0.1 220 10 2.1
실시예 18 미리스트산은 0.1 220 10 2.1
실시예 19 미리스트산은 1.5 220 9 6.0 이상
실시예 20 스테아르산은 1.0 180 (건조온도) 100 2.2
비교예 5 1.0 220 5000 1.0 × × ×
비교예 6 1.0 220 1000 1.0 × × ×
비교예 7 스테아르산은 0.5 220 150 1.5 × × ×

Claims (7)

  1. 유기산 성분과 금속 사이에서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과 금속 간의 결합으로 유래하는 1518 cm-1 부근에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지방산인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중 적어도 하나인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5. 제1항에 기재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기재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
  7. 제1항에 기재한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용액.
KR1020097013133A 2006-12-08 2007-11-26 미소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KR101532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2077 2006-12-08
JPJP-P-2006-332077 2006-12-08
PCT/JP2007/072736 WO2008069034A1 (ja) 2006-12-08 2007-11-26 微小蛋白質不活性化金属超微粒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373A true KR20090100373A (ko) 2009-09-23
KR101532100B1 KR101532100B1 (ko) 2015-06-26

Family

ID=3949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133A KR101532100B1 (ko) 2006-12-08 2007-11-26 미소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6228B2 (ko)
EP (1) EP2098315B1 (ko)
JP (1) JP4448551B2 (ko)
KR (1) KR101532100B1 (ko)
CN (1) CN101600526A (ko)
WO (1) WO2008069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9250A1 (en) * 2008-01-15 2011-08-04 George John Green approach in metal nanoparticle-embedded antimicrobial coatings from vegetable oils and oil-based materials
JP5629428B2 (ja) * 2008-11-17 2014-11-1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WO2009107721A1 (ja) 2008-02-29 2009-09-03 東洋製罐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JP5629425B2 (ja) * 2008-02-29 2014-11-1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JP5693974B2 (ja) * 2009-02-09 2015-04-0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912273B2 (ja) * 2010-03-19 2016-04-27 株式会社Nbcメッシュテック 抗ウイルス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1152467A1 (ja) 2010-06-01 2013-08-0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銀超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
WO2012033071A1 (ja) * 2010-09-08 2012-03-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レルゲン不活性化剤、アレルゲン不活性化剤組成物、コーティング処理物、空気浄化フィルタ、及び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
JP5319844B2 (ja) 2011-02-15 2013-10-16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樹脂組成物
JP6106380B2 (ja) * 2012-08-14 2017-03-2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マスターバ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6262493B2 (ja) * 2013-10-30 2018-01-17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ブルーライト波長吸収材
CN103602019B (zh) * 2013-11-15 2015-12-02 三河市京纳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大规模制备高透明塑料用含银无机抗菌母粒的方法
WO2015076385A1 (ja) 2013-11-22 2015-05-2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を有する硬化性樹脂組成物
JP6270440B2 (ja) * 2013-11-29 2018-01-3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を有する成形体
JP6452296B2 (ja) * 2014-03-20 2019-01-16 住化エンバイロメンタル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アレルゲン低減化組成物
RU2720239C1 (ru) * 2015-10-02 2020-04-28 Этикон, Инк.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едицинских устройств и текучих сред
WO2018163823A1 (ja) * 2017-03-10 2018-09-13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ニッケル粉及びニッケルペースト
JP7103810B2 (ja) * 2017-03-23 2022-07-20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硫黄成分に対してアクティブバリア性を有する成形体
JP7141216B2 (ja) * 2018-01-11 2022-09-2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銅含有マスターバ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39094A1 (ja) * 2018-01-11 2019-07-1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銅含有マスターバッチ及び銅超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534A (en) * 1977-05-03 1981-09-15 Graham Magnetics, Inc. Metal powder paint composition
JP3205793B2 (ja) 1996-12-19 2001-09-04 株式会社巴製作所 超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20284B2 (en) 2001-12-03 2010-10-26 C.R. Bard Inc. Microbe-resistant medical device, microbe-resistant polymeric coating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2004210741A (ja) 2003-01-08 2004-07-29 B Road:Kk アレルゲン中和用組成物
US20050112155A1 (en) * 2003-08-11 2005-05-26 Franck Girou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ssivated and optionally coated metal particles
WO2005085358A1 (ja) * 2004-03-03 2005-09-15 Kaneka Corporation 超微粒子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256576B2 (ja) 2004-10-29 2013-08-07 東洋紡株式会社 アレルゲン不活化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
JP2006291031A (ja) 2005-04-11 2006-10-26 Rengo Co Ltd 微小たんぱく質不活化素材
JP4820416B2 (ja) * 2006-09-01 2011-11-24 東洋製罐株式会社 吸着性金属超微粒子含有吸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8315A1 (en) 2009-09-09
JPWO2008069034A1 (ja) 2010-03-18
US20100317883A1 (en) 2010-12-16
EP2098315A4 (en) 2010-11-17
JP4448551B2 (ja) 2010-04-14
WO2008069034A1 (ja) 2008-06-12
KR101532100B1 (ko) 2015-06-26
EP2098315B1 (en) 2021-02-24
US8106228B2 (en) 2012-01-31
CN101600526A (zh)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0373A (ko) 미소 단백질 불활성화 금속 초미립자
JP5777337B2 (ja) 抗菌性材料
US11172676B2 (en)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US10045536B2 (en) Antimicrobial polymer systems using multifunctional organometallic additives for polyurethane hosts
EP2988794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tierten mischoxids für einen verbundwerkstoff und verbundwerkstoff mit einem solchen mischoxid
DE202014011236U1 (de) Antimikrobiell wirksamer Verbundwerkstoff
JPH11263705A (ja) 抗菌剤及び抗菌性樹脂組成物
WO201208407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lbernanopartikelhaltigen dispersion sowie verwendung einer silbernanopartikelhaltigen mischung als beschichtungsmittel
KR20130016362A (ko) 은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
JP5266516B2 (ja) 樹脂成形体
JP5656541B2 (ja) 銀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656540B2 (ja) 銀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0098309A1 (ja) 銀ナノ微粒子含有の組成物、銀ナノ微粒子含有の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824189B1 (ko) 아연 카르복실산염의 수화물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아연 카르복실산염의 수화물 및 상기 아연 카르복실산염의 수화물을 포함한 향균 플라스틱 소재
JPH11228306A (ja) Ag系抗菌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抗菌性樹脂組成物
JP6106380B2 (ja) 抗菌性マスターバ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EP264768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nanopartikeldispersionen und Produkte daraus
KR20230102821A (ko) 금속이온이 선택적으로 흡착된 항균물질을 이용한 항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WO2018078171A1 (de) Biozide zusammensetzung enthaltend ceroxide und damit hergestellte produkte
CN115058107A (zh) 一种抗菌防霉可生物降解聚乳酸塑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02

Effective date: 2015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