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895A -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 Google Patents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895A
KR20090099895A KR1020080025156A KR20080025156A KR20090099895A KR 20090099895 A KR20090099895 A KR 20090099895A KR 1020080025156 A KR1020080025156 A KR 1020080025156A KR 20080025156 A KR20080025156 A KR 20080025156A KR 20090099895 A KR20090099895 A KR 20090099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iquor
skim
seed
tea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선
Original Assignee
오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민 filed Critical 오재민
Priority to KR102008002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895A/ko
Publication of KR2009009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89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술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기름을 짜고 남은 차씨의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에 관한 것이다.
차씨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각종 약리효과가 탁월한 사포닌과 카테킨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그중 차 특유의 성분인 카테킨은 차씨의 내과피와 종피에 집중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차씨를 발효시킨 술에 관한 것이다. 차씨의 종자는 다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서, 그 자체로는 술을 제조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므로, 기름을 짜고 남은 차씨 탈지박을 이용하여 술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인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한 차씨의 각종 유효성분, 특히 사포님과 카테킨이 다량 함유된 술로서, 이들 유효성분들의 약리효과가 있고, 특히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차씨 술은 차 특유의 풍미와 빛깔을 띠고 있다.
차, 차씨, 탈지박, 술, 누룩, 발효, 사포닌, 카테킨

Description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Alcoholic Drinks Fermented from Tea Plant Seed}
본 발명은 술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기름을 짜고 남은 차씨의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에 관한 것이다.
차나무는 쌍떡잎식물로서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또는 관목인 나무이다. 차나무의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고, 원산지는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의 산악 지대이며, 열대, 아열대, 그리고 온대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 높이가 2m 내지 3m이고, 인도의 대엽종은 높이가 15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차나무의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품종에 따라 잎 빛깔의 진하고 엷음에 차이가 있고 주름에도 변화가 있으며, 빛깔도 녹색·자주색·황색·갈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어린잎이나 어린 싹의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이 차나무의 잎을 가공하여 기호 음료로 마시는 것이 차(茶)인데, 가공방법에 따라 녹차, 홍차 등으로 구분된다.
차나무의 꽃은 10월 내지 11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1개 내지 3개가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둥글며 길이가 1cm내지 2cm이다. 차나무의 열매는 익으면 외과피(外果皮)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삭과이고, 씨는 둥글며 모가 졌고 다음해 봄부터 자라기 시작하여 가을에 익기 때문에 꽃과 열매를 같은 시기에 볼 수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갈색의 단단한 씨가 나온다. 씨는 갈색의 단단한 골질인 내과피(內果皮)로 쌓여있고, 내과피의 내부에는 흑갈색 막질의 종피(種皮)가 있으며, 종피의 내부에 백색 또는 담황색의 종자가 들어있다.
차나무종자는 천식이나 뇌명 등에 효과가 있어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기름이 풍부하여 중국에서는 차나무종자로 기름을 짠 차나무종자유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중약대사전(1978년 10월, 중국 강소신의학원 발행)에는 차나무종자인 다자심으로 짠 다유(茶油)가 각종 피부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차나무 종자의 일반 성분을 보면, 수분 6.3%, 조단백질 18.4%, 탄수화물 37.2%, 지방 34.6%, 기타 미량 성분 3.5%로 지방성분이 많아 식물유지 자원으로 유용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리고 차나무 종자의 조사포닌 함량은 122g/kg으로, 사포닌을 비교적 많이 함유한 콩(Soy Bean)보다 3배가량 많다.(나요한 외, 녹차종자의 일반성분, 한국농화학회지, 35(4), pp272~275, 1992)
사포닌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의 비당부분(애글리콘)이 여러 고리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의 총칭하는데, 당부분은 D-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 L-아라비노오스 등이 잘 알려져 있고, 메틸펜토오스, 우론산, 디옥시당 등도 있다. 사 포닌은 어느 것이나 세포에 대해서는 표면 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사포닌은 강심제나 이뇨제로서 강한 작용이 있어 옛날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사포닌을 물어 녹여 휘저으면 거품이 생기는 계면활성 작용이 있다. 사포닌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세정제 또는 생약성분으로 사용하여 왔다.
차씨는 다량의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다. 카테킨은 차의 떫은맛을 내는 성분으로 타닌이라고도 하는데, 차의 탄닌은 커피의 타닌산이나 클로르겐산, 감의 타닌과는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최근에는 카테킨이라고 부르고 있다. 카테킨은 플라보노이드 그룹에 속하는 폴리페놀 일종으로 차의 떫은맛 성분이다. 카테킨은 발암억제, 동맥경화, 혈압상승 억제, 혈전예방, 항바이러스, 항비만, 항당뇨, 항균, 해독작용, 소염작용, 충치예방, 구갈방지, 장내 세균총 정상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카테킨의 항산화 작용과 노화의 근본적 요소인 자유래디컬 제거기능은 비타민C와 비타민E에 비해 강력한 활성산소제거에 강력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산화와 같은 심혈관계보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카테킨은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군집의 생산과 개시를 멈추거나 느리게 하며, DNA 손상을 야기하는 것들을 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카테킨은 발암억제, 동맥경화, 혈압상승 억제, 혈전예방, 항바이러스, 항비만, 항당뇨, 항균, 해독작용, 소염작용, 충치예방, 구갈방지, 장내 세균총 정상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차의 카테킨은 성분구조상 수산기(-OH)를 여러 개 함유하고 있어 중금속이나 독성분, 니코틴 등의 흡착에 의한 해독 효과와 함께 항산화 효과 도 강하다. 스트레스나 과격한 운동을 할 때 많이 발생되는 활성산소는 세포를 산화시켜 과산화 지질을 만드는데, 피부의 멜라닌 색소를 산화시켜 기미, 주근깨가 많아지게 한다. 이와 같은 약리작용으로 녹차의 카테킨은 체내 특히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다.
술은 탄수화물이 알코올발효를 하여 에틸알코올이 생성되어 물과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사람이 음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술은 탄수화물, 즉 녹말 또는 당분을 다량 함유한 곡물 또는 과일에 효모균을 첨가하여 알코올발효를 시켜 제조한다. 술은 물과 에틸알코올의 혼합물이므로 물과 알코올이 용매로 작용하여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과 색소들을 용출시켜,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서 다양한 맛과 효능 그리고 빛깔을 내게 한다.
현재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감에 따라 상기와 같이 건강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차나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또는 기호성 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차나무의 잎을 가공한 녹차 또는 차의 잎에서 추출한 물질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차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차씨유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녹차씨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녹차씨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차씨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된 차씨의 껍질인 내과피와 종피 그 자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고, 특히 차씨를 발효시킨 술에 관한 연구는 없다.
상기와 같이 차씨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각종 약리효과가 탁월한 사포닌과 카테킨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그중 차 특유의 성분인 카테킨은 차씨의 내과피와 종피에 집중되어 있는바, 차씨의 내과피와 종피에 많이 함유된 성분인 사포닌과 카테킨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차씨를 발효시킨 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씨, 특히 차씨의 내과피와 종피에는 인체에 유용한 사포닌과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바, 차씨를 발효시켜 술을 제조하였다.
차씨의 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서, 그 자체로는 술을 제조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므로, 기름을 짜고 남은 차씨 탈지박을 이용하여 술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인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한 차씨의 각종 유효성분, 특히 사포님과 카테킨이 다량 함유된 술로서, 이들 유효성 분들의 약리효과가 있고, 특히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차씨 술은 차 특유의 풍미와 빛깔을 띠고 있다.
본 발명인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은 압착식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차씨의 탈지박을 누룩과 함께 배합하여 발효를 시켜 술을 제조한 것이다.
차씨유는 깨, 해바라기씨 등 지방성분이 많은 식물종자유를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한데, 섭씨 50도 내지 150도의 온도에서 씨를 볶는 단계, 볶은 차씨를 롤러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녹차씨 분쇄물을 증기로 찌는 증숙단계, 증숙된 차씨 분쇄물을 압착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압착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차씨에서 차씨유를 추출하면, 차씨 종자 중의 지방성분이 대부분 추출되고, 탄수화물과 단백질 그리고 기타 미량성분이 남은 탈지박이 남는다.
차씨 탈지박을 이용하여 술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술 제조방법과 동일한데, 탈지박을 발효제인 누룩 또는 누룩의 유효성분인 효모와 함께 소량의 물로 배합하여 항아리 등의 용기에 담아 실온에서 발효를 시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발효과정에서 차씨 탈지박 중의 탄수화물이 효모의 작용에 의하여 알코올 발효를 하여 에틸알코올이 생성되는데, 이와 같이 물과 알코올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에틸알코올의 혼합물이 술이다.
발효제로 누룩을 사용할 경우 누룩의 량은 발효시간, 술의 알코올 도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는데, 탈지박의 3% 내지 150%의 중량비로 한다. 누룩의 량을 탈지박의 3% 중량비로 하면 발효에 100일 가량이 걸리면서 차씨의 유효성분이 많이 추출되어 나오고, 누룩의 량을 탈지박의 100% 중량비로 하면 7일 가량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차씨 탈지박을 누룩과 함께 발효시켜 술을 제조하면, 차씨의 종자와 종피에 함유된 사포닌과 카테킨을 포함한 각종 유효성분들이 술에 용출되어, 이들 유효성분들에 의한 약리효과가 있는, 특히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좋은 효능이 있는 술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차씨 술은 차 특유의 풍미와 빛깔을 띠고 있다.
발효가 종료되면 용기에 용수를 박고 용수 안에 걸러진 술을 떠내어 그대로 음용할 수도 있고, 이를 수일간 숙성시켜 음용할 수 있다. 증류주를 제조하려면 숙성된 술을 증류기인 소주고리에 넣고 가열하여, 알코올이 물과 함께 기화하여 응결된 증류주를 받는다.
본 발명인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을 제조할 때는 차씨 탈지박과 함께 통상적인 술의 주원료인 쌀, 찹쌀, 밀, 보리, 귀리, 조, 옥수수, 수수, 기장, 율무, 호박, 고구마, 감자 등 탄수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물 또는 식품을 혼합하여 술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을 추가할 경우, 곡물의 탄수화물이 알코올발효를 하여 함께 술이 되므로 적은 량의 차씨 탈지박으로 많은 량의 술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술을 제조할 때 식용으로 할 수 있는 각종 과실, 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첨가하여, 이들 첨가물들이 가지는 특유의 맛, 향, 그리고 빛깔을 내는 술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은 기능성 술의 제조에 이용된다.

Claims (2)

  1. 압착식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차씨 탈지박을 누룩 또는 효모과 함께 발효시켜 제조한,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은,
    차씨 탈지박에 쌀, 찹쌀, 밀, 보리, 귀리, 조, 옥수수, 수수, 기장, 율무, 호박, 고구마, 감자, 식용으로 할 수 있는 과실, 꽃, 잎, 줄기, 그리고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KR1020080025156A 2008-03-19 2008-03-19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KR20090099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56A KR20090099895A (ko) 2008-03-19 2008-03-19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56A KR20090099895A (ko) 2008-03-19 2008-03-19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895A true KR20090099895A (ko) 2009-09-23

Family

ID=4135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156A KR20090099895A (ko) 2008-03-19 2008-03-19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8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2738A (zh) * 2010-11-18 2012-03-21 会泽县绿色科普兴农示范园乌蒙山黑粮酒厂 黑玉米酒及生产方法
CN106221990A (zh) * 2016-07-15 2016-12-14 李云峰 一种具有花茶功效的水果酒及其制备方法
CN107779335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乾天酒业有限公司 一种芝清白酒生产工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2738A (zh) * 2010-11-18 2012-03-21 会泽县绿色科普兴农示范园乌蒙山黑粮酒厂 黑玉米酒及生产方法
CN106221990A (zh) * 2016-07-15 2016-12-14 李云峰 一种具有花茶功效的水果酒及其制备方法
CN107779335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乾天酒业有限公司 一种芝清白酒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47B1 (ko)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338278B1 (ko) 전통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20090099895A (ko)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KR101971857B1 (ko)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양배추즙의 제조방법
KR20180075357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소스 조성물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2002080B1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2073393B1 (ko)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20200128998A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3217A1 (ja) 糖取り込み促進剤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27B1 (ko) 황칠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130085576A (ko) 인삼열매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930362B1 (ko) 황칠나무 추출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KR102009442B1 (ko) 약용식물을 이용한 발효액, 발효주 및 힐링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74046B1 (ko)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1544543B1 (ko)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500805B2 (ja) ウコギ科低木の果実を原料とする発酵酒、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