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46B1 -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46B1
KR102474046B1 KR1020200127815A KR20200127815A KR102474046B1 KR 102474046 B1 KR102474046 B1 KR 102474046B1 KR 1020200127815 A KR1020200127815 A KR 1020200127815A KR 20200127815 A KR20200127815 A KR 20200127815A KR 102474046 B1 KR102474046 B1 KR 10247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entrate
prepared
wat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292A (ko
Inventor
장현주
Original Assignee
태웅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웅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웅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농축액, 독활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Hovenia dulcis beverage for eliminating hangover and improving blood circulation}
본 발명은 헛개나무 농축액,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영지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에 관한 것이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백석목, 목밀, 현포리, 호깨나무 또는 허리깨나무라고도 불리며, 헛개나무의 꼭지가 달린 열매 또는 씨를 지구자라고 하고, 높이 10~20 m 및 직경 40~80 cm 내외까지 자란다. 일본, 중국 및 동북아 지역에서도 동속의 호베니아 둘시스(Hovenia dulcis) 및 호베니아 토멘토사(Hovenia tomentosa)가 자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특산종은 과경의 크기, 종자, 꽃 색깔 등에서 다르게 나타난다고 기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 오대산, 지리산 및 한라산 등지에서 주로 자라며 중북부 지방보다는 온화한 남쪽지방에서 잘 생육한다. 과병 및 줄기는 단맛과 향을 나타내므로 식용, 특히 과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용으로는 주독 제거를 위하여 상용되고 있다.
헛개나무에 대한 연구는 해외를 중심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로부터 헛개나무의 많은 화학성분이 알려졌으며 이들에 대한 용도 및 효능들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사포닌(Saponins) 계열의 호베노사이드 Ⅰ~Ⅶ(Hovenoside Ⅰ~Ⅶ), 호바세르보사이드 A1(Hovacerboside A1), 호베니둘시오사이드 A1, A2, B1 및 B2(Hovenidulcioside A1, A2, B1 및 B2), 호두로사이드 Ⅲ(Hoduloside Ⅲ) 등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퀘세틴(Quercetin), 캄페롤(Kaempferol), 암페로신(Ampelosin), 호베니틴 Ⅰ~Ⅲ(Hovenitin Ⅰ~Ⅲ), 호베노둘리놀(Hovenodulinol) 등이 분리되어, 이들의 구조 및 기능이 연구되었다. 또한, 헛개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학성분의 단맛억제(Antisweeting) 효과, 간세포 보호효과, 알코올에 의한 근육이완 억제효과, 이뇨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및 당뇨치료 효과 등이 알려졌다. 근래에 이르러 우리나라에서도 헛개나무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간 해독, 숙취작용 및 알코올 분해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수피, 목부, 열매 및 열매의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의 간암 세포주(hep-3B) 및 유방암 세포주(MCF-7)에 대해 높은 항암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헛개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유래된 바닐릭산(Vanillic acid) 및 페룰릭산(Ferulic acid)이 14종의 균주와 2개의 효모균에서 항균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독활(Aralia continentalis)은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 땅에서 나는 두릅이라 하여 땅두릅이라도 하는데 봄에 돋아나는 순이 흡사 두릅(Aralia elata SEEM)과 같다. 우리나라 산간지역에서 자라고 있으며, 특히 울릉도전역에 집단적으로 야생하고 있으며, 60~70 ㎝ 까지 자라며 백색으로 굵고, 섬유가 많은 육질이다. 봄의 대표적인 산나물의 하나로 향기가 뛰어나고 씹히는 맛이 사각거려서 상쾌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일품이며, 영양가가 풍부하여 고급요리에 이용되고 있다. 성분으로 리모넨(limonene), 사비넨(sabinene) 등의 정유, 스테아린산, 수지, 살리실산, 구리, 망간, 니켈 등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52877호에는 헛개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418948호에는 헛개나무 추출물의 농축액과 나무수액을 혼합한 천연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헛개나무를 주재료로 하여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이 증진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재료 전처리, 숙성, 추출 및 배합 등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숙취해소와 혈행 개선에 도움을 주면서, 재료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은 적고 맛이 부드러워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적합할 수 있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설탕물에 아마란스 잎, 감껍질, 고욤잎 및 수리취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독활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은 숙취해소와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재료들이 맛과 향이 조화를 이루고 쓴맛은 저감되어 소비자들이 손쉽게 섭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는 헛개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 유래 영양성분을 포함하면서 파우치 형태로 포장하여 보관 및 섭취가 용이하고, 소비자들이 더욱 선호하는 맛과 향을 지니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설탕물에 아마란스 잎, 감껍질, 고욤잎 및 수리취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독활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숙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45~55 중량%에 아마란스 잎 18~22 중량%, 감껍질 8~12 중량%, 고욤잎 8~12 중량% 및 수리취 8~12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50 중량%에 아마란스 잎 20 중량%, 감껍질 10 중량%, 고욤잎 10 중량% 및 수리취 1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3)단계에 거쳐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추출 효율이 높고 재료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은 저감되면서 부드러운 맛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우수한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4~6배(v/w)씩 첨가하여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5배(v/w)씩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재료 고유한 유용 성분들이 추출 및 농축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용출되어 선택된 재료들의 효능과 기능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특유의 풋내 및 이취는 제거되고 관능적인 특성이 향상된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5)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농축액 7~8 mL, 독활 농축액 2~3.5 mL, 숙지황 농축액 2~3 mL, 당귀 농축액 2~3 mL, 대추 농축액 1.8~2.2 mL, 사철쑥 농축액 1.3~1.7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4~0.6 mL와 물을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농축액 7.5 mL, 독활 농축액 2.5~3 mL, 숙지황 농축액 2.5 mL, 당귀 농축액 2.5 mL, 대추 농축액 2 mL, 사철쑥 농축액 1.5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5 mL와 물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및 배합비로 농축액들을 혼합하는 것이 식물의 향과 맛이 잘 어우러지면서 면역 활성이 더욱 증진된 혼합 추출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45~55 중량%에 아마란스 잎 18~22 중량%, 감껍질 8~12 중량%, 고욤잎 8~12 중량% 및 수리취 8~12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4~6배(v/w)씩 첨가하여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7~8 mL, 독활 농축액 2~3.5 mL,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2~3 mL, 당귀 농축액 2~3 mL, 대추 농축액 1.8~2.2 mL, 사철쑥 농축액 1.3~1.7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4~0.6 mL와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50 중량%에 아마란스 잎 20 중량%, 감껍질 10 중량%, 고욤잎 10 중량% 및 수리취 1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5배(v/w)씩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7.5 mL, 독활 농축액 2.5~3 mL,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2.4 mL, 당귀 농축액 2.5 mL, 대추 농축액 2 mL, 사철쑥 농축액 1.5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5 mL와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79~81 중량%, 액상과당 8~10 중량%, 카라멜색소 0.2~0.4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0.03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3~0.4 중량%, 타우린 0.04~0.06 중량%, L-아스파라진 0.01~0.03 중량%, 구연산 0.04~0.06 중량% 및 물 9~1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80.05 중량%, 액상과당 9 중량%, 카라멜색소 0.3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368 중량%, 타우린 0.05 중량%, L-아스파라진 0.02 중량%, 구연산 0.05 중량% 및 물 10.137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 음료 제조 시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치커리 1.3~1.7 중량%, 대추 1.3~1.7 중량%, 칡뿌리 1~1.5 중량%, 사철쑥 0.9~1.3 중량%, 뽕나무잎 0.6~0.9 중량%, 천궁 0.4~0.6 중량%, 참당귀 0.4~0.6 중량%, 황기 0.2~0.3 중량%, 모창출 0.2~0.3 중량%, 영지버섯 0.2~0.3 중량%, 작약뿌리 0.2~0.3 중량%, 오미자 0.18~0.22 중량% 및 물 91~93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33~37 중량% 및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농축액 0.8~1.2 중량%와 이소말토올리고당 48~52 중량%, 벌꿀 5~7 중량%, 카라멜색소 0.6~0.8 중량%, 잔탄검 0.6~0.8 중량%, 헛개향 0.35~0.5 중량%, 타우린 0.18~0.22 중량%, 구연산 0.15~0.19 중량%, L-아스파라진 0.05~0.07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08~0.012 중량% 및 물 5~7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치커리 1.5 중량%, 대추 1.5 중량%, 칡뿌리 1.25 중량%, 사철쑥 1.13 중량%, 뽕나무잎 0.75 중량%, 천궁 0.5 중량%, 참당귀 0.5 중량%, 황기 0.25 중량%, 모창출 0.25 중량%, 영지버섯 0.25 중량%, 작약뿌리 0.25 중량%, 오미자 0.2 중량% 및 물 91.67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95℃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35 중량% 및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농축액 1 중량%와 이소말토올리고당 50 중량%, 벌꿀 6 중량%, 카라멜색소 0.7 중량%, 잔탄검 0.7 중량%, 헛개향 0.42 중량%, 타우린 0.2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06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1 중량% 및 물 5.74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 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제조
(1)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2)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설탕물 50 중량%에 아마란스 잎 20 중량%, 감껍질 10 중량%, 고욤잎 10 중량% 및 수리취 1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정제수를 각각 5배(v/w)씩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5)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정제수를 각각 5배(v/w)씩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6)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7.5 mL, 독활 농축액 2.5 mL,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2.5 mL, 당귀 농축액 2.5 mL, 대추 농축액 2 mL, 사철쑥 농축액 1.5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5 mL를 혼합하여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7) 상기 (6)단계의 제조한 혼합 농축액 19 mL에 정제수 81 mL를 혼합하였다.
제조예 2.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제조
(1) 제조예 1의 (1) 내지 (5)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헛개나무 농축액, 독활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1.5 mL, 독활 농축액 0.6 mL, 숙지황 농축액 0.5 mL, 당귀 농축액 0.5 mL, 대추 농축액 0.4 mL, 사철쑥 농축액 0.3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1 mL를 혼합하여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혼합 농축액 3.9 mL에 정제수 96.1 mL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1.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1)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설탕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이용하여 제조예 1의 (4) 내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1)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2)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설탕물 50 중량%에 아마란스 잎 30 중량% 및 감껍질 2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을 이용하여 제조예 1의 (3) 내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1)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2)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설탕물 50 중량%에 고욤잎 25 중량% 및 수리취 2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을 이용하여 제조예 1의 (3) 내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헛개 음료
(1)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건조 치커리 1.5 중량%, 대추 1.5 중량%, 칡뿌리 1.25 중량%, 사철쑥 1.13 중량%, 뽕나무잎 0.75 중량%, 천궁 0.5 중량%, 참당귀 0.5 중량%, 황기 0.25 중량%, 모창출 0.25 중량%, 영지버섯 0.25 중량%, 작약뿌리 0.25 중량%, 오미자 0.2 중량% 및 정제수 91.67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농축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상기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35 중량%,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농축액 1 중량%와 이소말토올리고당 50 중량%, 벌꿀 6 중량%, 카라멜색소 0.7 중량%, 잔탄검 0.7 중량%, 헛개향 0.42 중량%, 타우린 0.2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06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1 중량% 및 정제수 5.74 중량%를 혼합하고, 파우치에 밀봉하였다.
제조예 4. 헛개 음료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제조예 2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80.05 중량%, 액상과당 9 중량%, 카라멜색소 0.3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368 중량%, 타우린 0.05 중량%, L-아스파라진 0.02 중량%, 구연산 0.05 중량% 및 정제수 10.137 중량%를 혼합하고, 파우치에 밀봉하였다.
실시예 1.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LDH(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은 아세트알데히드 키트(Cat. No. 10 668 613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0.8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1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 0.6 mL에 용해시킨 ALDH(4U/each) 0.025 mL를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L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ALDH 활성
구분 ALDH 활성(%)
제조예 1 26.9±1.4
비교예 1 16.2±1.3
비교예 2 21.3±2.0
비교예 3 22.4±1.6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DH(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에탄올 키트(Cat. No. 10 176 290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4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05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ADH(7000U/1.6 mL) 용액을 0.025 mL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ADH 활성
구분 ADH 활성(%)
제조예 1 58.8±2.8
비교예 1 32.6±1.0
비교예 2 44.8±2.7
비교예 3 49.1±1.7
체내 알코올 대사 1차 관여 효소인 ADH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추출액이 비교예들의 추출액에 비해 높은 ADH 활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은 숙취 해소 기능을 갖는 음료 개발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혈중 지방성분 변화
4주령 C56BL/6 마우스를 (주)중앙실험동물(대한민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적절한 온도(22±2℃)와 습도(50±5%)를 유지하여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하면서 1주간 적응을 시켰다. C56BL/6 마우스를 각 실험군 당 5마리씩 나누고 표준식이군(normal control), 고지방식이군(HF control, 45% fat calories), 고지방식이와 추출액을 투여하는 군으로 각각 나누고 고지방식이와 아피게닌(apigenin) 투여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사육하였다. 추출액은 각각 200 mg/kg 체중(body weight)으로 10 ml/kg씩 매일 경구 투여용 존대를 사용하여 투여하였고 아피게닌(apigenin)은 10 mg/kg 체중(body weight)씩 투여하였다. 표준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은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혈액은 실험이 종료되는 12주째 12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마취하고 안하정맥에서 혈액을 채혈하고, 채혈한 혈액은 2,500 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혈청의 생화학적 분석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혈청 지질 농도(lipid profile) 분석을 위해 키트(AM 202-K, AM 203KTC, AM 157S-K, Asan Pham, Co., 서울, 대한민국)로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및 TG(중성지방, triglyceride)를 측정하였다. LDL 함량은 Friedewald 등의 공식에 의해 {TC-HDL-(TG/5)}으로 계산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혈중 지방성분 변화
구분 중성지방 LDL HDL
표준식이군 95.6 17.1 54.7
고지방식이군 170.2 88.7 72.6
아피게닌투여군 128.1 54.3 96.8
고지방식이+제조예 1 130.2 61.5 82.0
고지방식이+비교예 1 155.8 76.2 77.3
고지방식이+비교예 2 150.7 72.7 78.0
고지방식이+비교예 3 146.8 68.1 80.2
각각의 추출액 투여에 따른 12주 후 혈중 중성지방(TG), HDL 및 LDL 함량의 변화는 표 3과 같이, 추출액 투여로 인해 중성지방 및 LDL 함량이 감소하고 HDL 함량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조예 1의 추출액 투여군이 가장 높은 HDL 증가 효과를 보이면서 중성지방 및 LDL 함량 감소 효과가 우수하여,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은 중성지방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헛개 음료 의 관능검사
제조예 3과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식물 혼합물 및 헛개 음료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헛개 음료(비교예 4 및 5)를 가지고 관능검사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7점 평점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채점 기준은 매우 좋다; 7점, 좋다; 6점, 좋은편이다; 5점, 보통; 4점, 조금 나쁘다; 3점, 나쁘다; 2점, 아주 나쁘다; 1점으로 하였고, 2시간 간격으로 시료의 번호를 바꾸어 같은 패널로 3회 반복하였으며, 각 반복 시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하고 평균 득점을 구하였다.
Figure 112020104487921-pat00001
그 결과,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비교예들에 비해 제조예 3의 헛개 음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제조예 3의 조건으로 재료들을 배합하여 헛개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재료들의 맛과 향이 조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헛개 음료의 관능검사
시료 전체적인 기호도
제조예 3 6.2 6.5 6.3
비교예 4 5.1 5.4 5.2
비교예 5 5.5 5.6 5.6

Claims (7)

  1.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45~55 중량%에 아마란스 잎 18~22 중량%, 감껍질 8~12 중량%, 고욤잎 8~12 중량% 및 수리취 8~12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독활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설탕물 45~55 중량%에 아마란스 잎 18~22 중량%, 감껍질 8~12 중량%, 고욤잎 8~12 중량% 및 수리취 8~12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줄기 및 독활을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0~25℃에서 3~4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및 독활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및 독활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4) 숙지황, 당귀, 대추, 사철쑥 및 영지버섯에 물을 각각 4~6배(v/w)씩 첨가하여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 당귀 농축액, 대추 농축액, 사철쑥 농축액 및 영지버섯 농축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7~8 mL, 독활 농축액 2~3.5 mL,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2~3 mL, 당귀 농축액 2~3 mL, 대추 농축액 1.8~2.2 mL, 사철쑥 농축액 1.3~1.7 mL 및 영지버섯 농축액 0.4~0.6 mL와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5. (1)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치커리 1.3~1.7 중량%, 대추 1.3~1.7 중량%, 칡뿌리 1~1.5 중량%, 사철쑥 0.9~1.3 중량%, 뽕나무잎 0.6~0.9 중량%, 천궁 0.4~0.6 중량%, 참당귀 0.4~0.6 중량%, 황기 0.2~0.3 중량%, 모창출 0.2~0.3 중량%, 영지버섯 0.2~0.3 중량%, 작약뿌리 0.2~0.3 중량%, 오미자 0.18~0.22 중량% 및 물 91~93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농축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제4항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33~37 중량% 및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농축액 0.8~1.2 중량%와 이소말토올리고당 48~52 중량%, 벌꿀 5~7 중량%, 카라멜색소 0.6~0.8 중량%, 잔탄검 0.6~0.8 중량%, 헛개향 0.35~0.5 중량%, 타우린 0.18~0.22 중량%, 구연산 0.15~0.19 중량%, L-아스파라진 0.05~0.07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08~0.012 중량% 및 물 5~7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6.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제4항의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79~81 중량%와 액상과당 8~10 중량%, 카라멜색소 0.2~0.4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0.03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3~0.4 중량%, 타우린 0.04~0.06 중량%, L-아스파라진 0.01~0.03 중량%, 구연산 0.04~0.06 중량% 및 물 9~1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7. 제5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 음료.
KR1020200127815A 2020-10-05 2020-10-05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7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5A KR102474046B1 (ko) 2020-10-05 2020-10-05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5A KR102474046B1 (ko) 2020-10-05 2020-10-05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2A KR20220045292A (ko) 2022-04-12
KR102474046B1 true KR102474046B1 (ko) 2022-12-06

Family

ID=811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15A KR102474046B1 (ko) 2020-10-05 2020-10-05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39B1 (ko) * 2018-11-19 2019-03-15 태웅식품 주식회사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JP2019523775A (ja) * 2016-06-15 2019-08-29 オーハイ エナジェティクス ピービーシー 酸化ストレス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995A (ko) * 2001-04-23 2002-10-30 (주)드리고 배합 식품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제조방법.
KR101156767B1 (ko) * 2009-10-14 2012-06-18 재단법인 전주생물소재연구소 혈전용해 활성을 갖는 산야초 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3775A (ja) * 2016-06-15 2019-08-29 オーハイ エナジェティクス ピービーシー 酸化ストレス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101958439B1 (ko) * 2018-11-19 2019-03-15 태웅식품 주식회사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2A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43B2 (ja) 枇杷酒及びその製造方法
US8637098B2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260466B1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KR101416960B1 (ko) 숙취 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413132B1 (ko) 항산화 고활성 수수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JP2017189160A (ja) アケビ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抽出物を用いた機能性食品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102474046B1 (ko)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Ma et al. Nutritional valu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mulberry fruit products
KR101409168B1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0337740B1 (ko) 섬오갈피 건강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8439B1 (ko)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KR101866308B1 (ko)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KR20090099895A (ko) 차씨 탈지박으로 제조한 술
KR101930362B1 (ko) 황칠나무 추출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KR101742010B1 (ko)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KR101717909B1 (ko) 저알콜 산양산삼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산양산삼 리큐르주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583705B1 (ko) 자일리톨 당침 및 코팅액을 이용한 흑홍삼 정과의 제조방법
KR102009442B1 (ko) 약용식물을 이용한 발효액, 발효주 및 힐링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