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39B1 -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39B1
KR101958439B1 KR1020180142501A KR20180142501A KR101958439B1 KR 101958439 B1 KR101958439 B1 KR 101958439B1 KR 1020180142501 A KR1020180142501 A KR 1020180142501A KR 20180142501 A KR20180142501 A KR 20180142501A KR 101958439 B1 KR101958439 B1 KR 10195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weight
water
aga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주
Original Assignee
태웅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웅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웅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헛개나무에 주정을 첨가한 후 1차 추출 및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Hovenia dulcis beverage product comprising Hovenia dulcis mixed concentrate}
본 발명은 헛개나무 농축액,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영지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백석목, 목밀, 현포리, 호깨나무 또는 허리깨나무라고도 불리며, 헛개나무의 꼭지가 달린 열매 또는 씨를 지구자라고 하고, 높이 10~20 m 및 직경 40~80 cm 내외까지 자란다. 일본, 중국 및 동북아 지역에서도 동속의 호베니아 둘시스(Hovenia dulcis) 및 호베니아 토멘토사(Hovenia tomentosa)가 자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특산종은 과경의 크기, 종자, 꽃 색깔 등에서 다르게 나타난다고 기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 오대산, 지리산 및 한라산 등지에서 주로 자라며 중북부 지방보다는 온화한 남쪽지방에서 잘 생육한다. 과병 및 줄기는 단맛과 향을 나타내므로 식용, 특히 과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용으로는 주독 제거를 위하여 상용되고 있다.
헛개나무에 대한 연구는 해외를 중심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로부터 헛개나무의 많은 화학성분이 알려졌으며 이들에 대한 용도 및 효능들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사포닌(Saponins) 계열의 호베노사이드 Ⅰ~Ⅶ(Hovenoside Ⅰ~Ⅶ), 호바세르보사이드 A1(Hovacerboside A1), 호베니둘시오사이드 A1, A2, B1 및 B2(Hovenidulcioside A1, A2, B1 및 B2), 호두로사이드 Ⅲ(Hoduloside Ⅲ) 등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퀘세틴(Quercetin), 캄페롤(Kaempferol), 암페로신(Ampelosin), 호베니틴 Ⅰ~Ⅲ(Hovenitin Ⅰ~Ⅲ), 호베노둘리놀(Hovenodulinol) 등이 분리되어, 이들의 구조 및 기능이 연구되었다. 또한, 헛개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학성분의 단맛억제(Antisweeting) 효과, 간세포 보호효과, 알코올에 의한 근육이완 억제효과, 이뇨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및 당뇨치료 효과 등이 알려졌다. 근래에 이르러 우리나라에서도 헛개나무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간 해독, 숙취작용 및 알코올 분해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수피, 목부, 열매 및 열매의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의 간암 세포주(hep-3B) 및 유방암 세포주(MCF-7)에 대해 높은 항암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헛개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유래된 바닐릭산(Vanillic acid) 및 페룰릭산(Ferulic acid)이 14종의 균주와 2개의 효모균에서 항균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952877호에는 헛개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418948호에는 헛개나무 추출물의 농축액과 나무수액을 혼합한 천연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헛개나무를 주재료로 하여 헛개나무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식물 소재를 최적화하여 선택하고, 헛개나무 및 식물 각각 고유한 유용 성분들이 숙성, 추출 및 농축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용출되어 선택된 재료들의 효능과 기능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은 적고 맛이 부드러워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적합할 수 있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헛개나무에 주정을 첨가한 후 1차 추출 및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은 헛개나무와 식물 각각 고유한 유용 성분들이 추출 및 농축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용출되어 선택된 재료들의 효능과 기능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이 적고 맛이 부드러워 소비자들이 거리낌없이 섭취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헛개나무 및 식물들의 고유의 향과 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지고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 형태로 포장하여 휴대성과 섭취 편의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품질이 우수한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헛개나무에 주정을 첨가한 후 1차 추출 및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헛개나무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0.8~1.2 kg에 60~80%(v/v) 주정 8~12 L를 첨가한 후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1차 추출 및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8~12배(v/v) 첨가하여 85~95℃에서 20~2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1 kg에 70%(v/v) 주정 10 L를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차 추출 및 45℃에서 60 brix로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10배(v/v) 첨가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추출 효율이 높고 헛개나무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은 저감되면서 부드러운 맛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우수한 헛개나무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숙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설탕과 물을 0.8~1.2:1.8~2.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0.8~1.2:0.4~0.6:0.4~0.6 중량비율 혼합한 후 20~25℃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설탕과 물을 1: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1:0.5:0.5 중량비율 혼합한 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7~33℃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30℃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하여 95℃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5)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 내지 (5)단계에 거쳐 인진쑥, 숙지황, 영지, 대추, 당귀 및 두릅을 전처리, 추출 및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영지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식물 각각 고유한 유용 성분들이 추출 및 농축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용출되어 선택된 재료들의 효능과 기능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특유의 풋내 및 이취는 제거되고 관능적인 특성이 향상된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6)단계의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농축액 36~41 중량%, 인진쑥 농축액 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14 중량%, 영지 농축액 2~3 중량%, 대추 농축액 9~11 중량%, 당귀 농축액 12~14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4.5~16.5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농축액 38.47 중량%, 인진쑥 농축액 7.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82 중량%, 영지 농축액 2.56 중량%, 대추 농축액 10.26 중량%, 당귀 농축액 12.82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5.38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및 배합비로 농축액들을 혼합하는 것이 식물의 향과 맛이 잘 어우러지면서 면역 활성이 더욱 증진된 혼합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헛개나무 0.8~1.2 kg에 60~80%(v/v) 주정 8~12 L를 첨가한 후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1차 추출 및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8~12배(v/v) 첨가하여 85~95℃에서 20~2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과 물을 0.8~1.2:1.8~2.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0.8~1.2:0.4~0.6:0.4~0.6 중량비율 혼합한 후 20~25℃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7~33℃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6~41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14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3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9~11 중량%, 당귀 농축액 12~14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4.5~16.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헛개나무 1 kg에 70%(v/v) 주정 10 L를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차 추출 및 45℃에서 60 brix로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10배(v/v) 첨가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과 물을 1: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1:0.5:0.5 중량비율 혼합한 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30℃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하여 95℃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8.47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7.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82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56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10.26 중량%, 당귀 농축액 12.82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5.38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헛개 음료는, 구체적으로는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78~82 중량%, 액상과당 8~10 중량%, 카라멜색소 0.2~0.4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0.03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26~0.46 중량%, 타우린 0.04~0.06 중량%, L-아스파라긴 0.01~0.03 중량%, 함수구연산 0.04~0.06 중량% 및 정제수 9~11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80.05 중량%, 액상과당 9 중량%, 카라멜색소 0.3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368 중량%, 타우린 0.05 중량%, L-아스파라긴 0.02 중량%, 함수구연산 0.05 중량% 및 정제수 10.137 중량%를 혼합한 헛개 음료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제조
(1) 헛개나무(지구목) 1 kg에 70%(v/v) 주정 10 L를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한 다음, 농축액에 정제수를 10배(v/v) 첨가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Petasites japonicus) 분말을 1:0.5:0.5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30℃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정제수를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5) 대추, 당귀, 두릅(Aralia elata)에 정제수를 각각 5배(v/v)씩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8.47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7.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82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56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10.26 중량%, 당귀 농축액 12.82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5.38 중량%를 혼합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배합비(중량%)
농축액 종류 제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헛개나무 농축액 38.47 43.85 35.91 34.47
인진쑥 농축액 7.69 9.69 2.69 11.69
숙지황 농축액 12.82 14.82 10.82 10.82
영지 농축액 2.56 4.56 1.56 5.56
대추 농축액 10.26 12.26 8.26 7.26
당귀 농축액 12.82 14.82 10.82 16.82
두릅 농축액 15.38 - 13.38 13.38
구기자 농축액 - - 5.52 -
유근피 농축액 - - 5.52 -
오가피 농축액 - - 5.52 -
제조예 2.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제품화
상기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게 제품화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과 정제수를 3.9:96.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헛개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제조한 헛개나무 혼합 추출액 80.05 중량%, 액상과당 9 중량%, 카라멜색소 0.3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368 중량%, 타우린 0.05 중량%, L-아스파라긴 0.02 중량%, 함수구연산 0.05 중량% 및 정제수 10.137 중량%를 혼합한 헛개 음료를 파우치에 70 mL씩 담고 밀봉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되, (6)단계의 혼합 시 상기 표 1의 배합비로 농축액을 배합하여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제조
(1) 헛개나무(지구목) 1 kg에 70%(v/v) 주정 10 L를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인진쑥, 숙지황, 영지, 대추, 당귀, 두릅에 정제수를 각각 5배(v/v)씩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영지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3)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8.47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7.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82 중량%, 영지 농축액 2.56 중량%, 대추 농축액 10.26 중량%, 당귀 농축액 12.82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5.38 중량%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5.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제조
(1) 숙지황 1 kg에 70%(v/v) 주정 10 L를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한 다음, 농축액에 정제수를 10배(v/v) 첨가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숙지황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갈색 설탕과 증류수를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설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Petasites japonicus) 분말을 1:0.5:0.5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헛개나무, 대추, 당귀, 두릅을 각각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30℃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헛개나무 숙성액, 대추 숙성액, 당귀 숙성액, 두릅 숙성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숙성액, 대추 숙성액, 당귀 숙성액, 두릅 숙성액에 정제수를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5) 인진쑥 및 영지에 정제수를 각각 5배(v/v)씩 첨가한 후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5℃에서 60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6)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지황 농축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과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상기 표 1의 제조예 1의 배합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세포독성
실험에 사용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독성 측정은 MTT assay로 측정하였으며, 배양된 세포주를 5×104 cell/well의 농도로 조정하여 96 웰-플레이트에 100 ㎕씩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고, 이후 새로운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g/mL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Aldrich Co.) 용액을 각 웰 10 ㎕씩 첨가하고 다시 4시간 동안 배양하여 포르마잔을 형성시켰다. 이후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10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켜 포르마잔을 녹인 후 ELISA 리더(UVM-340, ASYS Co.)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과 비교예들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농축액을 0.5~10 ㎍/mL로 처리하였을 때 10 ㎍/mL의 농도까지 유의적인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NO 및 TNF -α 생성량
NO는 면역계에서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 전달 물질로 NOS(nitric oxide synthase)의 작용에 의해 L-아르기닌이 L-시트룰린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대부분의 조직세포에 영향을 미쳐 순환기계에서는 혈관 이완 물질로, 중추신경계에서는 신경 전달 물질로, 면역계에서는 방어 물질로 알려져 있다. TNF-α는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에 대한 숙주의 방어에 관여하며, 또한 IL-1, IL-6, IFNs과 같은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NO 분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질산 이온(NO2 -)의 농도는 NaNO2를 기준으로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발색정도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ATCC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TM)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웰 당 1×105씩 분주하고, 각각 10 ㎍/㎖ 농도의 농축액을 처리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100 ㎕의 세포 배양 상층액에 동량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0.1%(w/v)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 1% (w/v) sulfanilamide in 5%(v/v)phosphoric acid)을 넣고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두었으며, 그 후 울트로스펙 4000 스펙트로포토메터(Pharmacia Biotech사, Uppsala, Sweden)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조건에서 50 ㎕의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염증 매개물질(inflammatory mediator)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ELISA 검사를 실시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에서의 NO 및 TNF-α 생성 효과
구분 NO 농도(uM) TNF-α 농도(ng/ml)
음성 대조군 7.1 9.0
LPS 처리 25.5 25.6
제조예 1 19.6 21.3
비교예 1 15.5 17.1
비교예 2 14.2 15.0
비교예 3 17.6 18.0
비교예 4 12.5 13.1
비교예 5 16.0 17.5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W264.7 세포에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처리 시 산화질소(NO) 및 TNF-α 분비를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처리 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Lipopolysaccharide) 단독 처리군과 유사한 증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관능검사
제조예 1과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관능검사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7점 평점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채점 기준은 매우 좋다; 7점, 좋다; 6점, 좋은편이다; 5점, 보통; 4점, 조금 나쁘다; 3점, 나쁘다; 2점, 아주 나쁘다; 1점으로 하였고, 2시간 간격으로 시료의 번호를 바꾸어 같은 패널로 3회 반복하였으며, 각 반복 시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하고 평균 득점을 구하였다.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관능검사
시료 전체적인 기호도
제조예 1 5.9 6.4 6.2
비교예 1 5.2 5.6 5.3
비교예 2 5.0 5.2 5.0
비교예 3 5.6 5.9 5.6
비교예 4 4.4 5.0 4.8
비교예 5 5.4 5.8 5.5
그 결과,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비교예 2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제조예 1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이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예 1의 재료 종류, 전처리, 배합비, 추출 조건 등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풍미가 증가하고 쓴맛은 감소하여 기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1) 헛개나무에 주정을 첨가한 후 1차 추출 및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혼합한 후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6~41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14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3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9~11 중량%, 당귀 농축액 12~14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4.5~16.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1) 헛개나무 0.8~1.2 kg에 60~80%(v/v) 주정 8~12 L를 첨가한 후 1차 추출 및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8~12배(v/v) 첨가하여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과 물을 0.8~1.2:1.8~2.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0.8~1.2:0.4~0.6:0.4~0.6 중량비율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6~41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14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3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9~11 중량%, 당귀 농축액 12~14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4.5~16.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1) 헛개나무 0.8~1.2 kg에 60~80%(v/v) 주정 8~12 L를 첨가한 후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1차 추출 및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한 농축액에 물을 8~12배(v/v) 첨가하여 85~95℃에서 20~28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한 후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헛개나무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설탕과 물을 0.8~1.2:1.8~2.2 중량비율로 혼합한 설탕물에 오미자 착즙액과 머위 분말을 0.8~1.2:0.4~0.6:0.4~0.6 중량비율 혼합한 후 20~25℃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인진쑥, 숙지황, 영지를 각각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7~33℃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숙성액, 숙지황 숙성액, 영지 숙성액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 숙지황 농축액 및 영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대추, 당귀 및 두릅에 물을 각각 4~6배(v/v)씩 첨가한 후 90~10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50℃에서 55~65 brix로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 당귀 농축액 및 두릅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헛개나무 농축액 36~41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인진쑥 농축액 6~9 중량%, 숙지황 농축액 12~14 중량% 및 영지 농축액 2~3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대추 농축액 9~11 중량%, 당귀 농축액 12~14 중량% 및 두릅 농축액 14.5~16.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
  6. 제5항의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KR1020180142501A 2018-11-19 2018-11-19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KR10195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01A KR101958439B1 (ko) 2018-11-19 2018-11-19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01A KR101958439B1 (ko) 2018-11-19 2018-11-19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439B1 true KR101958439B1 (ko) 2019-03-15

Family

ID=6576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01A KR101958439B1 (ko) 2018-11-19 2018-11-19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292A (ko) * 2020-10-05 2022-04-12 태웅식품 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467A (ko) *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25618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한약재 추출물이 혼합된 발효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20110005474A (ko) * 2009-07-10 2011-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467A (ko) *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25618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한약재 추출물이 혼합된 발효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20110005474A (ko) * 2009-07-10 2011-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292A (ko) * 2020-10-05 2022-04-12 태웅식품 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74046B1 (ko) * 2020-10-05 2022-12-06 태웅식품 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359B1 (ko) 숨쉬는 산야초 효소의 제조방법
KR102005790B1 (ko)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KR20190085339A (ko) 무농약 인삼 농축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70113036A (ko) 증진된 기호성과 생리활성물질을 갖는 산야초, 기능성 채소 및 사탕수수 당밀의 혼합발효 조성물
KR101827873B1 (ko) 오자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1958439B1 (ko)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KR20180118361A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960037B1 (ko) 홍삼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스틱 형태의 홍삼 제품의 제조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825813B1 (ko) 자소, 어성초 및 녹차를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160052824A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101937761B1 (ko) 약용식물을 이용한 식물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089045B1 (ko) 발효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4046B1 (ko)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717909B1 (ko) 저알콜 산양산삼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산양산삼 리큐르주
KR102330932B1 (ko) 피로회복 면역증진 천연자연차
KR102592903B1 (ko) 홍삼 농축액과 대나무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