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47B1 -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47B1
KR101871247B1 KR1020160009440A KR20160009440A KR101871247B1 KR 101871247 B1 KR101871247 B1 KR 101871247B1 KR 1020160009440 A KR1020160009440 A KR 1020160009440A KR 20160009440 A KR20160009440 A KR 20160009440A KR 101871247 B1 KR101871247 B1 KR 10187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weight
parts
distillat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259A (ko
Inventor
이숙영
황춘하
안훈
임민지
정이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순천송광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순천송광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순천송광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은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은 매실의 방향 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므로 매실 고유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은 물론, 매실 고유의 기능성 성분에 의한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함과 아울러, 풍부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정상세포 증식에 대한 저해 활성은 없으나 인체 구강암 세포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지며, 황산화활성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고, 본질적으로 무설탕 제형이므로 설탕 섭취로 인한 폐해가 없다.

Description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GRAIN SYRUP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 고유의 향미와 기능성 및 맛을 보유하며 설탕에 비하여 당 농도가 낮아 건강 친화적이고 웰빙 지향적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로서 원산지인 중국 이외에도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알칼리 식품으로써 해독, 소화 기능, 피로회복, 빈혈, 변비 등에 효과가 있으며,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로서, 국내에서는 주로 덜 익은 청매 상태에서 수확하여 장아찌, 청, 과실주 등의 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매실의 기호성분 중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신선하고 상쾌하며 새콤한 매실 특유의 향이나 이러한 매실 특유의 향은 발효액 제조과정이나 열수 추출 등의 과정에서 제거되어져 매실 추출물이 함유된 식품에서 매실 특유의 향은 거의 느낄 수가 없다.
매실의 향기성분은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5-메틸-2-풀푸랄(5-methyl-2-furfural), 2,3-디메틸 말레인산 무수물(2,3-dimethyl maleic anhydride) 등(Kameoka 등의 보고)이며, 권 등은 매실의 휘발성 성분은 총 72종이며 이들 중 알코올류가 10종, 터펜(terpene)과 터펜 알코올(terpene alcohol)류가 14종, 알데히드와 케톤류가 9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기성분은 벤즈알데히드가 62.4%, 벤질알코올이 3.9%, 터피넨-4-올이 3.9%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매실 향은 매실의 성숙도에 따라 함량과 종류도 달라지며 성숙도가 높아질수록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도 증가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근래 들어서는 설탕의 폐해가 널리 알려져 설탕 첨가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피 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설탕은 포도당과 과당의 중합분자로서 소화 과정에서 바로 흡수되므로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므로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를 유발하고 과도하게 분비된 인슐린은 2차적으로 성인병을 유발함과 아울러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의 저하는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설탕은 매우 높은 칼로리를 지니므로 지방으로 전화되어 몸에 축적되어 비만을 일으킴과 아울러, 충치 발생에도 깊은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설탕의 폐해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가 있는 전통 발효식품으로서의 조청(造淸, grain syrup)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기한 조청은 찌거나 삶아 호화(糊化)시킨 곡물의 전분질에 엿기름을 섞고 가온 상태를 유지하여 삭혀 당화(糖化)시킨 후 짜낸 단물을 조려 농축하여 얻어지는 전통 감미료이다.
매실 조청에 관한 전형적인 종래기술로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0353호(2015.02.26. 공개)의 조청 및 그 제조방법을 들 수 있으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무설탕 매실엑기스 3kg과, 부추엑기스 3kg과, 약쑥엑기스 3kg과, 양파엑기스 3kg과, 도라지엑기스 3kg과, 둥글레엑기스 3kg과, 생강엑기스 3kg을 용기에 넣고 100℃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이에 식혜맥아즙 45kg과 당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허브의 일종인 천연스테비오사이드 200g을 넣고, 혼합한 상태에서 100℃가 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타지 않도록 저어 주면서 12시간 가열하여 제조되는 매실 조청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가열 과정에서 매실 고유의 방향 향미 성분이 소실되어 매실 특유의 풍미를 간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2589호(2009.08.10.일 등록)는 매실과 설탕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6 개월 숙성시키고, 숙성된 매실을 분쇄하여 제조한 매실액 60~80 중량부와 분쇄한 솔잎 70 중량부를 물 혹은 느릅나무 껍질 또는 뿌리껍질을 물에 끓여 우려낸 물 30 중량부에 투입하여 비등점까지 끓여서 제조한 솔잎액 또는 송순액 20~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등점까지 끓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솔잎 또는 매실-송순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한 조성물은 설탕, 조청, 올리고당 등과 혼합하여 잼을 제조하거나 건조시킨 혼합 분말로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역시 가열 과정에서 매실 고유의 방향 향미 성분이 소실되어 매실 특유의 풍미를 간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매실과 등(等)중량으로 설탕을 과량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0353호(2015.02.26.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2589호(2009.08.10.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당 농도를 지녀 설탕이나 꿀 등과 같은 감미료를 기피하는 소비자나 환자에게 높은 선호도를 부여할 수가 있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매실 고유의 기능성을 살린 매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웰빙 지향적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매실 추출물과 함께 매실 고유의 향이 첨가된 우수한 맛과 풍미를 지니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 aspect)에 따르면,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로 구성되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이 제공된다.
특정하게는 상기한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은 65~9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8중량부 및 55~75 Brix의 매실 농축액 1~6중량부로 구성되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매실은 냉동 또는 비냉동의 청매실 또는 황매실일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매실 증류액은 파쇄 또는 비파쇄 매실을 100~110℃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중량비로 증류액:증류수=1:0.2~0.8의 희석액일 수 있으며, 상기한 매실 농축액은 실온에서 80% 에틸알코올 중에서 12~36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하면서 침출(leaching)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농축액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파쇄 또는 비파쇄 매실을 100~110℃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매실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중량비로 상기한 매실 증류액:증류수=1:0.2~0.8로 희석한 희석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한 단계 (A)와는 별개로 상기한 매실 농축액은 실온에서 80% 에틸알코올 중에서 12~36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하면서 침출(leaching)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희석된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상기한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를 혼합하고 균질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은 매실의 방향 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므로 매실 고유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은 물론, 매실 고유의 기능성 성분에 의한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함과 아울러, 풍부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정상세포 증식에 대한 저해 활성은 없으나 인체 구강암 세포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지며, 황산화활성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고, 본질적으로 무설탕 제형이므로 설탕 섭취로 인한 폐해가 없으며,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서의 매실 증류액의 향 관능검사 결과 그래프도이다.
도 2는 시험예 3에서의 매실향 함유 증류액과 조청의 배합에 따른 관능 검사 결과 그래프도이다.
도 3은 시험예 4에서의 단순 착즙 추출물과 80% 주정 에탄올 추출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 시험 사진이다.
도 4는 시험예 4에서의 80% 주정 에탄올 침출 시 초음파 처리 유무와 황매실 초음파 무처리에 따른 추출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 시험 사진이다.
도 5는 시험예 5에서의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비교 그래프도이다.
도 6은 시험예 5에서의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의 비교 그래프도이다.
도 7은 시험예 6에서의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정상 세포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8은 시험예 6에서의 주정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초음파 처리 유무와 황매실 초음파 무처리에 따른 정상 세포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9는 시험예 7에서의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조골세포 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10은 시험예 8에서의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구강암 세포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11은 시험예 9에서의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시험예 9에서의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에 대한 세포내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비교한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시험예 11에서의 매실 증류액과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매실향 인지도 평가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도이다.
도 14는 시험예 11에서의 매실 증류액과 매실 농축액과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매실향 인지도 평가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도이다.
도 15는 시험예 11에서의 매실 증류액과 매실 농축액과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조청의 풍미(맛)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은, 45~105 Brix, 바람직하게는 65~9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8중량부, 및 35~85 Brix, 바람직하게는 55~75 Brix의 매실 농축액 1~8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청은 쌀 조청, 옥수수 조청, 무 조청, 도라지 조청, 현미 조청, 작두콩 조청, 수수 조청 등과 같은 다양한 곡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바람직하게는 쌀 조청이 빛이 맑고 향과 맛이 진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조청의 당도는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인 45~105 Brix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진한 맛과 향을 보유하는 65~95 Brix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상업적으로 다양한 회사의 완제품으로서 구입가능하다.
상기한 조청의 당도가 45 Brix 미만인 경우에는 단 맛이 열등하여 관능성이 불만족스럽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105 Brix를 초과하는 것은 점조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사용성 내지 섭식성이 열등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에 매실 고유의 향과 풍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매실 증류액으로서는 파쇄 또는 비파쇄의 매실을 100~110℃의 온도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증류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매실 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에는 중량비로 상기한 증류액:증류수=1:0.2~0.8의 희석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정유 추출기를 이용한 추출 온도가 100℃ 미만에서는 추출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110℃를 초과하더라도 추출 효율 측면에서 그에 따른 현저한 상승은 없으며 열에너지 비용이 증가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부연하면, 2Kg/cm2의 압력 하에 100~110℃의 온도에서 파쇄 매실 10kg에 대한 4시간 동안의 정유 추출량은 12ℓ 정도이나, 동일 조건 하 90℃의 온도에서의 정유 추출량은 350㎖에 불과하여 약 2.9% 정도 밖에 되지 않으므로 정유 추출 최적 온도는 100~110℃이다.
정유 추출 압력은 1.0~3.0Kg/cm2의 압력 조건이 사용되며, 1.0Kg/cm2 미만의 추출 압력 조건에서는 추출 효율이 현저히 열등하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3.0Kg/cm2의 추출 압력 조건은 그 초과분에 따른 추출 효율의 증가가 미약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추출 시간은 3~9시간 정도이며, 3시간 미만에서는 추출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9시간을 초과하더라도 추출 효율에 대한 영향이 미약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유 추출된 매실 증류액의 사용량은 상기한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8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상기한 매실 증류액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에서는 매실향의 인지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청 제형의 점도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우려가 증가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매실 증류액 중의 향기 성분은 매실의 새콤한 향을 부여하는 아세트알데히드 성분과, 상기한 새콤한 향에 조화되어 매실 고유의 자극적인 느낌을 부여하는 에탄올 성분과, 휘발성 향류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의 관능성을 강화하는 n-헥산 성분과, 매실씨의 너트에 함유되어 아몬드향을 나타내는 벤즈알데히드 성분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한 매실 농축액은 다양한 당도 값을 가지도록 농축한 다양한 종류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35~85 Brix, 바람직하게는 55~75 Brix의 매실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35 Brix 미만의 매실 농축액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점도를 지나치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85 Brix를 초과하는 것은 제형화를 위한 취급 및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매실 농축액의 사용량은 상기한 조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중량부의 범위이다.
매실 농축액의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에서는 매실의 풍미가 지나치게 약화될 우려가 있어 그 첨가 의의를 상실하게 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역으로 8중량부를 초과하면 매실의 풍미가 지나치게 강하게 되어 관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매실 농축액은 단순히 착즙기로 착즙하는 것은 수율이 낮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파쇄 매실을 실온에서 80% 주정 알코올에 침적시키고 침출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온에서 80% 주정 알코올 중에서 12~36 시간, 특정하게는 24 시간 초음파 처리 하여 침출시킨 경우의 추출물 수율은 단순 착즙한 경우에 비하여 약 4배 이상의 수율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매실은 냉동 또는 비냉동의 청매실 또는 황매실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매실 증류액 수득 단계:
파쇄 또는 비파쇄 매실을 100~110℃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매실 증류액을 수득한다.
(B) 희석액 제조 단계:
선택적 단계로서, 상기한 매실 증류액의 매실 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에는, 중량비로 상기한 매실 증류액:증류수=1:0.2~0.8로 희석한 희석액을 만든다.
(C) 매실 농축액 수득 단계:
상기한 단계 (A)와는 별개로 파쇄 매실을 실온에서 80% 에틸알코올 중에서 12~36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하면서 침출(leaching)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을 수득한다.
(D)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제조 단계: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희석된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상기한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를 혼합하고 균질화한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매실 증류액의 제조
각각 10kg의 파쇄 매실을 정유 추출기의 탱크에 넣은 후 반응온도를 80, 90, 100, 110℃ 범위로 각각 설정하여 2.0Kg/cm2의 압력에서 4시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증류액의 용량을 비교하였다.
온도별로 수득된 매실 증류액의 용량 비교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구분 파쇄 냉동매실(10kg)
80℃, 4h
파쇄 냉동매실 (10kg)
90℃, 4h
파쇄 냉동매실 (10kg)
100℃, 4h
파쇄 냉동매실 (10kg)
110℃, 4h
수득량 350 mL 350 mL 12 L 12 L
상기한 표 1의 결과로부터 90℃ 이하에서는 350mL이 수득되어졌으며 100℃ 및 110℃에서는 각각 12ℓ이 수득되어졌으므로, 매실 정유의 추출 최적온도는 100~110℃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매실 증류액의 향 관능 검사
100℃의 온도 및 2.0Kg/cm2의 압력 조건 하에서, 각각 비파쇄 매실을 4시간 추출, 파쇄 매실을 4시간 및 8시간 추출하여 얻은 3종류의 추출 증류액을 0, 20, 40, 60, 80, 100%의 비율로 증류수와 배합한 후, 매실 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파쇄 4시간 처리군에서 60% 증류액(증류수 40% 포함 희석액)이 지나치지도 않고 미약하지도 않은 가장 최적의 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2: 매실 증류액의 매실향 성분에 대한 GC-MS 분석
향기성분의 분석은 Takeoka 등의 방법에 준하여, 플라스크에 증류액을 넣고 동량의 NaCl 포화용액을 가한 다음, 내부 표준물질로 0.02% 1,2-디클로로에탄 3 mL를 첨가하여 30℃의 항온수조에서 15분간 정치한 다음, 질소를 분당 30mL를 유입시켜 향기성분 흡착제로 Tenax GC를 충진시킨 트랩에 향기성분을 추출 흡착시켰다.
Tenax GC 트랩에 흡착된 향기성분을 1.5mL의 에테르로 녹여 탈착하고 0℃에서 질소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것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및 가스 질량 크로마토그라피의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1차적으로 매실의 향기 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벤즈알데히드를 중심으로 아세트알데히드, 에탄올, 헥산이 증류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시료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 결과를 하기의 표 2 및 표 3에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16008585108-pat00001
* A : 80 ℃, 4시간 증류, B : 90 ℃, 4시간 증류, C : 100 ℃, 4시간 증류, D : 110 ℃, 4시간 증류
Figure 112016008585108-pat00002
헥사날은 매화의 휘발성 향기 성분으로 품종에 관계없이 검출되는 성분으로 주로 풀의 상쾌한 향을 나타내며, 벤즈알데히드는 복숭아 씨, 살구나무 싹의 정유에 주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유기산과 관련된 성분으로 매화와 그의 열매인 매실의 핵 내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아몬드 향기가 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도데카락톤은 케톤류 성분으로 과일향과 같은 달콤한 냄새를 나타내며, 매실이 성숙할수록 매실 내의 도데카락톤 성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2: 매실 농축액의 제조
(1) 착즙기를 이용한 추출
생매실 400g을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다음, 독성물질인 아미그달린이 함유되어 있는 종자를 분리 제거한 후, 착즙기에 넣어 신선한 즙을 착즙하였다.
이 추출액을 미세망에 여과한 후 중탕법으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9.95g을 수득하였다.
(2) 주정 알코올 침출 및 초음파처리 추출
매실 400g을 수세한 후, 독성물질인 아미그달린이 함유되어 있는 종자를 분리 제거한 다음, 파쇄한 상태로 80% 식용 알코올에 침적시킨 후, 매실로부터 유효물질이 신속히 용출될 수 있도록 실온에서 24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3반복 실시)한 후, 여과한 다음, 진공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알코올 성분을 최대한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40.27g의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추출 수율 대비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다.
추출방법 추출물의 수율
착즙기 9.95g
주정 알콜 40.27g
시험예 3: 매실향 함유 증류액과 조청의 배합에 따른 관능 검사
100℃의 온도 및 2.0Kg/cm2의 압력 조건 하에서, 각각 비파쇄 매실을 4시간 추출, 파쇄 매실을 4시간 및 8시간 추출하여 얻은 3종류의 추출 증류액에 대하여 각각 0, 20, 40, 60, 80%의 중량 비율로 쌀조청 또는 매실 조청과 혼합한 후, 향과 맛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비파쇄 매실 4시간 처리 증류액과 쌀조청을 혼합한 경우가 향에 있어 지나치게 강하지도 않고 미약하지도 않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실 증류액 60중량% + 쌀조청 40%를 혼합한 것이 향에 있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양자를 함께 고려 시 비파쇄 매실 4시간 처리 증류액 60중량% + 쌀조청 40중량%의 경우가 매실향에 있어서 최적한 결과를 타나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상기한 도 2의 결과로부터, 파쇄 매실 4시간 처리 증류액과 쌀조청을 혼합한 경우가 맛에 있어 지나치게 강하지도 않고 미약하지도 않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실 증류액 20중량% + 쌀조청 80%를 혼합한 것이 맛에 있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양자를 함께 고려 시 파쇄 매실 4시간 처리 증류액 20중량% + 쌀조청 80중량%의 경우가 맛에 있어서 최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4: 매실 추출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 시험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1) 착즙 추출물과 실시예 2의 (2) 주정 알코올 추출물에 대하여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3종의 구강유해균(S. mutans, S. sobrinus, C. albicans)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순수 분리된 각 균주의 단일집락을 취해 10 ㎖의 균 생육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각각 균주의 생육적온에서 18~24 시간씩 3 회 배양한 후 항균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항균성 시험용 평판배지의 조제는 각각 균주의 1.5%의 한천이 첨가된 생육배지를 멸균하여 Petri dish에 15 ㎖씩 분주하여 기층용 배지를 응고시키고,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600 ㎚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OD) 값이 0.4(106 CFU/mL)가 되게 한 후 1.5% 한천이 첨가된 중층용 배지에 무균상태로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기층용 배지 위에 분주한 다음 고르게 응고시켜 2 중의 균 접종 중층배지를 만들었다.
충분히 굳은 고체배지 위에 멸균된 8 ㎜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은 후, 조성물의 농도에 따라 45 ㎕씩 디스크에 흡수시킨 다음 37℃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 디스크 주변의 증식 억제 투명대(clear zone)를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C.albicans, S.mutans, S.sobrinus 는 주정 및 착즙 추출액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 억제 투명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농도범위(1~100mg/mL)에서 주정 알코올 추출물이 더 우수한 억제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50~100mg/mL의 농도에서는 균의 증식 억제 투명대가 2.0~6.5mm로 나타남으로써 매실추출물이 자체적으로 상당한 구강유해균에 대한 증식억제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매실 추출 시, 단순 착즙법 보다는 주정 알코올 추출법이 매실 내의 유효성분 용출에 더욱 효율적임을 아울러 확인하였다.
상기한 결과를 하기의 표 5 및 도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08585108-pat00003
한편, 청매실의 80% 알코올 주정에서의 실온 12시간 침출 시 초음파 처리 유무와, 초음파 무처리 황매실 추출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증식억제능에 대하여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 및 도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08585108-pat00004
시험예 5: 매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정량 시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항산화물질의 복합체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매실 추출물에 증류수와 요산에 의해 환원되어 청색으로 발색하는 폴린-데니스(Folin-Denis) 시약을 첨가하여 3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겼다. 반응시킨 후, 10% Na2CO3 포화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시키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함과 아울러,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추출 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결과를 하기의 표 7 및 도 6에 나타낸다.
표 7에서 RT(room temperature)는 실온을 나타낸다.
총 폴리페놀 함량(㎍/mL)
착즙 냉동 매실
(100 ㎎/㎖)
주정 냉동 매실
(100 ㎎/㎖)
12h RT 청매실
(100 ㎎/㎖)
12h sonication 청매실
(100 ㎎/㎖)
황매실
(100 ㎎/㎖)
207.0±12.3 783.6±58.5 686.5±27.1 1071.2±158 1692.8±113.9
상기한 표 7의 폴리페놀 함량 결과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정 알코올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보다는 훨씬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하였고,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이,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한 표 7의 결과로부터, 착즙 추출물에는 추출물 100㎎/mL 당, 약 600㎍/mL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고, 주정알콜 추출물에는 1,400㎍/mL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결과는 주정 알코올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 보다는 훨씬 많은 량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함을 나타낸다.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매실 추출물에 디에틸렌 글리콜과 1N NaOH를 첨가하여 잘 혼합시킨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반응 후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함과 아울러, 추출 조건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 및 도 5에 나타낸다.
표 8에서 RT(room temperature)는 실온을 나타낸다.
추출 조건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L)
착즙 냉동 매실
(100 ㎎/㎖)
주정 냉동 매실
(100 ㎎/㎖)
12h RT 청매실
(100 ㎎/㎖)
12h sonication 청매실
(100 ㎎/㎖)
황매실
(100 ㎎/㎖)
223.6±14.4 390.3±28.2 1311.4±283.6 1561.2±551.8 391.1±8.3
상기한 표 8의 결과에 따르면, 착즙 추출물에는 추출물 100㎎/mL 당, 약 80㎍/mL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주정 알코올 추출물에는 200㎍/mL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결과는 폴리페놀 함량분석에서처럼 주정 알코올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보다는 훨씬 많은 량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함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한 표 8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결과로부터, 주정 알코올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보다 훨씬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하였고,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에서 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매실 추출물이 정상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ATCC, Manassans, VA, USA)로부터 인체 정상세포를 분양받아 본 실험실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KB세포를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Gibco BRL, Grand Island, NY, USA)과 10% FBS(Gibco, Grand Island, NY, USA)가 함유된 DMEM (Welgene)을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정상세포는 96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5x104 cells/mL이 되도록 100 ㎕씩 분주하였다. 다음 날, 주정 및 착즙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5-디피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검정을 위하여 MTT 시약 5 mg을 1ㅧPBS 1 mL로 녹인 후,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배양종료 후 생성된 포마잔(formazan) 결정을 용해시키기 위해 DMSO를 100 ㎕ 타이터로 분주하여 5분간 반응시켜 ELISA 판독기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로 추출한 시료는 모든 농도범위에서 정상세포증식에 대하여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며, 세포에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간(1~500ug)에도 유의할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이어서, 주정 알코올 추출 시 초음파 처리한 청매실의 경우와 황매실의 경우에 있어서의 인체 정상세포 증식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시험예 7: 매실 추출물이 인체 조골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로부터 인체 조골세포(MG-63)를 분양받아 본 실험실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MG-63 세포를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Gibco BRL, Grand Island, NY, USA)과 10% FBS(Gibco, Grand Island, NY, USA)가 함유된 DMEM (Welgene)을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조골세포를 96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5x104 cells/mL이 되도록 100 ㎕씩 분주하였다. 다음날, 주정 및 착즙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5-디피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검정을 위하여 MTT 시약 5 mg을 1×PBS 1 mL로 녹인 후,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배양종료 후 생성된 포마잔 결정을 용해시키기 위해 DMSO를 100 ㎕ 타이터로 분주하여 5분간 반응시켜 ELISA 판독기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법으로 추출한 시료는 모든 농도범위에서 조골세포증식에 대하여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며, 세포에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간(1~500ug)에도 유의할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시험예 8: 매실 추출물이 인체 구강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로부터 인체 구강암세포(KB)를 분양받아 본 실험실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KB세포를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Gibco BRL, Grand Island, NY, USA)과 10% FBS(Gibco, Grand Island, NY, USA)가 함유된 MEM (Welgene)을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구강암세포를 96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5x104 cells/mL이 되도록 100 ㎕씩 분주하였다. 다음 날, 주정 및 착즙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5-디피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검정을 위하여 MTT 시약 5 mg을 1ㅧPBS 1 mL로 녹인 후,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배양종료 후 생성된 포마잔 결정을 용해시키기 위해 DMSO를 100 ㎕ 타이터로 분주하여 5분간 반응시켜 ELISA 판독기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강암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분석결과를 착즙법과 주정 알코올법으로 추출한 시료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착즙 추출물은 모든 농도범위에서 구강암세포증식을 전혀 억제하지 않았으며, 주정 알코올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처리농도 1~500ug에서는 구강암세포를 거의 억제하지 않았으나 농도 1mg의 처리군에서는 80% 이상의 세포치사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시험예 9: 매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
(1) 항산화효소활성(SOD) 분석
- 효소액의 조제: 생체시료를 추출 완충용액(50mM 인산 완충용액, pH 7.0;1% Tritox X-100; 1% PVP-40)에 1:4의 비율로 혼합한 후 균질화시키고 12000rpm에서 20분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취하여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알부민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CA 단백질 검정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측정: SOD 활성은 Beauchamp and Fridovich(197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50 mM 카본산 완충용액(pH 10.2), 0.1 mM EDTA, 0.1mM 잔틴, 0.025mM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NBT), 효소액이 포함된 용액을 25ㅀ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잔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3.3x10-6mM)를 참가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SOD 활성 측정은 550nm에서 30초 단위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실험결과: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125~1000 ug/mL)로 SOD 유사활성을 분석한 결과(표 10), 500~1,000 ug/mL의 농도범위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SOD-유사 활성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낸다.
SOD-유사 활성(%)
추출물 농도(ug/mL)
125 250 500 1000
6.1±0.9 13.9±1.9 28.3±0.0 32.3±0.1
(2)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항산화활성 검색은 DPPH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Blois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x10-4M DPPH와 농도별 추출물을 각각 100 ㎕씩 취하여 혼합한 30분간 암상태에서 방치한 후 잔존 라디칼 농도를 ELISA 판독기(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측정하였다.
매실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농도(31.3~1000 ug/mL)에서 유의할만한 활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낸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추출물 농도(ug/mL)
31.3 62.5 125 250 500 1000
매실 16.20±0.8 21.9±1.6 22.8±2.5 24.6±1.9 32.7±3.5 41.4±1.1
이어서, 하기의 다양한 매실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소거하는 활성이 있었고, 특히 하기의 표 1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숙한 황매실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추출물 농도(g/mL)
10 50 100 200
착즙 냉동매실 13.3 15.2 17.2 22.8
주정 냉동매실 11.7 16.5 18.1 20.9
RT 12h 청매실 14.0 18.8 20.7 28.0
Sonication 12h 청매실 10.0 15.8 17.2 23.4
RT 12h 황매실 16.3 18.3 27.7 32.0
시험예 10: 매실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능 분석
(1) 시험관 내(in vitro)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
매실 추출물을 3 종류의 농도(0.1~1%)로 처리하여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 활성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실 추출물의 시험관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낸다.
종류 추출물 농도(%)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
매실 1 28.8
0.5 27.5
0.1 11.7
비타민 C 1 62.9
0.5 62.6
0.1 61.0
(2) 세포내 멜라닌 생성 억제능 분석
멜라닌 정량은 Hosei등 (Hosoi et al., 1985)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멜라닌 세포인 B16 흑색종세포를 배양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세포를 1x104 cell/well로 각각의 세포생존율에 따라 농도를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각 웰을 PBS로 세척한 후 1%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고,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양은 합성 멜라닌을 사용하여 작성된 표준 직선에서 구하고,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대조군의 멜라닌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추출물의 농도인 100ug/mL에서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한 결과, 생성된 멜라닌의 함량은 82.89%로, 세포내에서 약 17.11% 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하기의 표 13 및 도 12에 나타낸다.

대조
알부틴
매실
100/
멜라닌 함량(%) 100 99.89 82.60
시험예 11: 매실 증류액 및 매실 농축액과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매실향 인지도 평가
(1) 매실 증류액과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매실향 인지도 평가
쌀조청에 매실 증류액을 배합하여 매실향 인지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10kg의 파쇄 매실을 정유 추출기의 탱크에 넣은 후 반응온도 100℃, 2.0Kg/cm2의 압력에서 4시간 추출한 매실 증류액과 쌀조청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 시료 A : 매실 증류액 10g(약 3.3중량부) + 쌀조청 300g(100중량부)
- 시료 B : 매실 증류액 20g(약 6.7 중량부) + 쌀조청 300g(100중량부)
- 시료 C : 매실 증류액 30g(10중량부) + 쌀조청 300g(100중량부)
매실 증류액이 첨가되지 않은 쌀조청과 100% 매실 증류액의 향을 먼저 인지한 후, 각 시료에 대한 매실향의 인지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매실향 인지도 시험 결과, 매실 증류액 30g + 쌀조청 300g이 첨가된 시료 C가 매실향이 가장 잘 인지되었지만, 조청에 매실 증류액을 많이 첨가할수록 조청의 제형이 묽어지므로 조청 자체의 제형에도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매실향에 대한 인지도도 높은 매실 증류액 20g + 쌀조청 300g이 첨가된 시료 B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2) 매실 증류액과 매실 농축액의 조청의 배합비에 따른 관능 검사
상기한 매실 증류액이 첨가된 조청의 매실향 인지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매실 증류액 20g이 첨가된 300g의 쌀조청에 각각 다른 양의 매실 농축액을 첨가하여 매실향에 대한 인지도 평가와 맛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매실 증류액, 매실 농축액과 쌀조청의 함량은 중량비로 다음과 같다.
- 시료 A : 매실증류액 20g + 매실농축액 10g + 쌀조청 300g
- 시료 B : 매실증류액 20g + 매실농축액 20g + 쌀조청 300g
- 시료 C : 매실증류액 20g + 매실농축액 30g + 쌀조청 300g
매실 조청의 매실 향과 맛에 대한 관능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각각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된 매실향 인지도는 매실 증류액 20g이 첨가된 300g의 쌀조청에 매실 농축액 30g을 넣은 매실 조청에서 매실의 향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된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매실증류액 20g이 첨가된 300g의 쌀조청에 10g의 매실 농축액을 넣은 매실 조청에서 매실의 맛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매실향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던 시료 C와 관능검사 결과 맛의 평가가 가장 좋았던 시료 A를 토대로 매실 조청으로는 시료 B가 가장 적합하며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Claims (5)

  1.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매실 증류액이 파쇄 또는 비파쇄 매실을 100~110℃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증류액의 희석액으로서, 중량비로 증류액:증류수=1:0.2~0.8의 희석액이고;
    상기한 매실 농축액이 종자를 제거한 파쇄 매실을 실온에서 80% 에틸알코올 중에서 12~36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하면서 침출(leaching)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농축액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이 65~9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증류액 5~8중량부 및 55~75 Brix의 매실 농축액 1~6중량부로 구성되는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실이 냉동 또는 비냉동의 청매실 또는 황매실인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4. 삭제
  5.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매실 함유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A) 파쇄 또는 비파쇄 매실을 100~110℃에서 1.0~3.0Kg/cm2의 압력 하에 3~9시간 정유 추출기로 추출하여 매실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중량비로 상기한 매실 증류액:증류수=1:0.2~0.8로 희석한 희석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한 단계 (A)와는 별개로, 종자를 제거한 파쇄 매실을 실온에서 80% 에틸알코올 중에서 12~36시간 초음파처리(sonication)하면서 침출(leaching)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35~85 Brix의 매실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45~105 Brix의 조청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희석된 매실 증류액 5~10중량부 및 상기한 매실 농축액 1~8중량부를 혼합하고 균질화하는 단계.










KR1020160009440A 2016-01-26 2016-01-26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87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40A KR101871247B1 (ko) 2016-01-26 2016-01-26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40A KR101871247B1 (ko) 2016-01-26 2016-01-26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259A KR20170089259A (ko) 2017-08-03
KR101871247B1 true KR101871247B1 (ko) 2018-06-27

Family

ID=5965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40A KR101871247B1 (ko) 2016-01-26 2016-01-26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680B1 (ko) * 2018-02-02 2019-11-04 광양시 황매실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황매실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KR102027679B1 (ko) * 2018-02-02 2019-10-01 광양시 황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채소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KR102027678B1 (ko) * 2018-02-02 2019-10-01 광양시 청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냉동과일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CN111388550B (zh) * 2020-03-23 2021-11-26 长江师范学院 一种李子抗癌活性多酚的制备方法
KR102579952B1 (ko) * 2020-12-09 2023-09-25 대한민국 알코올 및 자당 함량이 저감된 과일 당침액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95B1 (ko) * 2002-02-19 2008-05-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매실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912589B1 (ko) 2009-01-28 2009-08-17 은무일 매실-솔잎 혼합조성물 및 매실-송순 혼합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US9814749B2 (en) * 2010-10-04 2017-11-14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
KR20150020353A (ko) 2013-08-12 2015-02-26 우창근 조청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259A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47B1 (ko)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2041A (ko) 한방 미곡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9126B1 (ko) 건강 다이어트용 저염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7610B1 (ko) 석이버섯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이버섯 발효주
KR101338278B1 (ko) 전통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5357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소스 조성물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2151573B1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0663B1 (ko) 맨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997B1 (ko) 매실 당침출액을 첨가한 복분자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Gallo et al. An overview of natural beverages
Puranik et al. Development of herbal functional RTS beverage
KR100998246B1 (ko) 어성초와 삼백초 추출액을 함유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012070A (ko)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양파초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20180128598A (ko) 황칠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1610737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으름열매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열매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9012086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1795B1 (ko)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