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654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654A
KR20090098654A KR1020080108236A KR20080108236A KR20090098654A KR 20090098654 A KR20090098654 A KR 20090098654A KR 1020080108236 A KR1020080108236 A KR 1020080108236A KR 20080108236 A KR20080108236 A KR 20080108236A KR 20090098654 A KR20090098654 A KR 2009009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unit
document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547B1 (ko
Inventor
사토루 도리마루
아츠유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17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 G03G2215/0018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 G03G2215/00189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moving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를 적재하는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로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기록 매체가 적재되는 기록 매체 적재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기록 매체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를 갖는다. 상기 기록 매체 적재부가 상기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 배출부 사이에 설치된다.
Figure P1020080108236
화상 형성 장치, 원고 반송로, 기록 매체 적재부, 원고 적재부, 원고 배출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2006-343393호 공보에 개시되는 복사기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6-343393호 공보에 개시되는 복사기(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原稿) 화상의 판독 등을 행하는 상방 하우징(1a)과, 상방 하우징(1a)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용지(기록지)에 화상의 인쇄를 행하는 하방 하우징(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사기(1)는 상방 하우징(1a)과 하방 하우징(1b) 사이에, 기기의 오른쪽 전방에서부터 수평으로 내측(깊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공간부(1c)를 갖고 있고, 그 공간부(1c)에는 하방 하우징(1b)으로부터 배출(동체 내 배출)되는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동체 내 배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상방 하우징(1a)은 원고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원고 판독부(10)와, 원고 판독부(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저(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지시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표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복사기(1)에서는 조작 표시부(20)의 이면(裏面) 측에 동체 내 배출부(6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 판독부(10)의 상부에는 원고를 자동적으로 1매씩 원고 판독부(10)에 반송하는 원고 급송부(ADF : 원고 자동 이송 장치)(10a)가 원고 판독부(10)의 윗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원고 판독부(10)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동시에, 그 원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원고 판독부(10)는 광학적으로 취득한 원고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및 노광 램프 등을 구비한 스캐너(도시하지 않음)와, 스캐너의 윗면에 배치된 원고 판독용의 콘택트 글래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원고 판독부(10)는 콘택트 글래스 위에 재치(載置)된 원고나, 원고 급송부(10a)에 의해 콘택트 글래스에 접촉하도록 하여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방 하우징(1b)은 용지(기록지)에 인쇄를 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40)와, 화상 형성부(40)에 대하여 용지의 급지를 행하기 위한 급지부(5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40)는 원고 판독부(10)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급지부(5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기(인쇄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 화상 형성부(4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주위에 설치된 대전부, 레이저 주사 유닛, 현상부, 전사 롤러 및 클리닝부와, 감광체 드럼의 하류측에 배치된 유도 가열 방식의 화상 정착부와, 용지를 화상 형성부(40)로부터 동체 내 배출부(60)에 반송하기 위 한 용지 반송로를 포함하는 주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급지부(50)는 각 사이즈(예를 들면, A3, A4, B4 및 B5 등)의 용지를 수납 가능한 상하 한 쌍의 급지 카세트(51)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급지 카세트(51)로부터 반송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화상 형성부(40)에 용지를 반송한다.
본 발명은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함과 동시에,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원고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한 화상 판독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판독된 원고와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처한다(착수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원고를 적재하는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로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기록 매체가 적재되는 기록 매체 적재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기록 매체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를 갖고, 상기 기록 매체 적재부가 상기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로와,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 치되어 있는 원고의 판독면에 대하여, 상기 화상 판독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기록 매체 반송로와,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원고의 판독면에 대하여, 상기 화상 판독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가 반송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와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원고 배출부 및 상기 기록 매체 배출부는 상기 화상 판독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와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각각의 배출부로부터 취출(取出)할 때에,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화상 판독부가 방해되기 어렵고, 원고 및 기록 매체를 취출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종래 구성의 동체 내 배출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하여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원고 배출부 및 상기 기록 매체 배출부는 상기 화상 판독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커버에 화상 판독부가 수용된 경우에서, 화상 판독부의 아래쪽에 책 등의 원고가 위치되었을 때에,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있은 경우에 비해, 상기 커버를 연 채로, 원고의 판독, 작상(作像)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화상 판독부에서 보아 상기 원고가 있는 측(화상 판독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고 반송로가 반송하는 원고가 수용된 원고 수용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화상 판독부에서 보아 상기 원고가 있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가 수용된 기록 매체 수용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원고 수용부에 원고를 수용할 때의 조작성 및 기록 매체 수용부에 기록 매체를 수용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는 상기 화상 기록부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상기 화상 판독부에 반송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화상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화상을 판독 가능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화상 기록부에서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원고 반송로는 상기 화상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를 반전하여 상기 화상 기록부에 반송하고, 상기 화상 기록부는 상기 화상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이면에 화상을 기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화상 판독부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을 그 원고의 이면에 기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함과 동시에,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원고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한 화상 판독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판독된 원고와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 및 이하에 나타낸 도면은 도면 중에 화살표로 장치의 상하 방향(천지(天地)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장치 본체(11)와, 장치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장치 본체(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플래튼 커버(platen cover; 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기구(12)와, 용지 등의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기구(14)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화상 판독 기구(12)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판독 기구(12)는 원고가 수용되는 원고 수용부(16)와,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18)와,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함과 동시에 원고 반송부(18)에서 반송되는 원고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한 화상 판독부(20)와, 원고 반송부(18)에서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수용부(16)는 원고를 위치시키기 위한 거치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거치대(22)에, 판독 대상으로 되는 판독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원고가 위치되고, 원고가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다.
원고 반송부(18)는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를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송출하는 송출 롤(24)을 구비하고 있다. 송출 롤(24)의 하류측에는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송출된 원고를 1매씩 분리하는 분리 기구(30)가 배치되어 있다. 분리 기구(30)는 송출 롤(24)로 송출된 원고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반송 롤(26)과, 송출 롤(24)로 송출된 원고에 그 이면측으로부터 반송 저항을 부여하는 분리 패드(2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고 수용부(16)로부터 복수의 원고가 중첩되어 송출된 경우에는, 반송 롤(26)이 상측의 원고(1매째의 원고)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한편, 하측의 원고(2매째 이후의 원고)는 분리 패드(28)에 의해 반송 저항이 부여되어, 원고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송출 롤(24)과 분리 패드(28)에 의해, 중첩된 원고가 풀려서 1매씩 급송된다.
원고 반송부(18)에는 분리 기구(30)에 의해 분리된 원고를 원고 배출부(32)에 반송하기 위한 U자 형상의 반송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로(34)에는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롤(36) 및 원고 배출부(32)에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롤(39)이 배치되어 있다.
원고 배출부(32)는 배출 롤(39)에 의해 배출된 원고가 위치되는 거치대(42)를 구비하고 있고, 배출 롤(39)에 의해 배출된 원고는 판독면이 하측을 향하게 되고 거치대(42)에 위치되어 원고 배출부(32)에 수용된다.
또한, 원고의 수용이나 기록 매체의 보급, 배출 후의 원고, 배출 후의 기록 매체 등을 취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원고 배출부(32)는 원고 수용부(16)에 대하여 원고의 폭 방향(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 원고 배출부(32) 및 원고 수용부(16)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가 원고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원고를 취급하는 자가 대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판독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가 원고의 폭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쪽에 원고 배출부(32)가 원고 수용부(16)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또한, 원고 배출부(32)는 원고 수용부(16)에 대하여 반송 방향을 따라 어긋 나서 계단 형상으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원고 배출부(32)는 원고 수용부(16)에 대하여 도 1에서의 우측에 배치된다.
한편, 화상 판독부(20)는 광원(도시 생략)과, 미러나 결상 렌즈 등의 광학계(도시 생략)와,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판독 소자(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20)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유리판 등의 투명 부재(이하 플래튼 글래스 A로 칭한다)(38)가 반송로(34)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래튼 글래스 A(38)는 반송로(34)의 반송로 면을 이루고 있어, 플래튼 글래스 A(38)가 배치된 위치가 반송로(34)에서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위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34)에서 반송되는 원고에 화상 판독부(20)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고, 원고에서 반사한 반사광이 광학계를 통해서 화상 판독 소자에 인도되어, 화상 판독 소자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다. 이 때, 화상 판독부(20)는 플래튼 글래스 A(38)의 아래쪽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된 상태에 있다.
화상 판독부(20)에는 제어부(43)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3)는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을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한 화상 신호를 화상 기록부(54)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기구(12)에서는, 한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를 반전시켜 다시 판독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반전로(44)가 반송로(34)에 연결되어 있다. 한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는 배출 롤(39)에 의해 반전되고, 반전 로(44)에서 반송되어 다시 판독 위치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판독 기구(12)는 플래튼 커버(13)의 아래쪽에, 화상 판독부(20)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유리판 등의 투명 부재(40)(이하 플래튼 글래스 B로 칭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래튼 글래스 B(40)에는, 플래튼 커버(13)를 개방하고나서, 판독면을 아래쪽으로 한 상태로 원고가 위치된다. 원고는 플래튼 글래스 B(40) 위의 소정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고정 위치에 설치된다.
화상 판독부(20)는 플래튼 글래스 B(40) 위에 위치된 원고에 대하여 플래튼 글래스 B(4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본 설명에서는 플래튼 글래스 A(38)와 플래튼 글래스 B(40)는 별체(別體)로 표기하고 있지만, 양쪽 플래튼 글래스판의 사이즈 범위를 커버하는 1매의 투명 평판(글래스 등)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화상 기록 기구(14)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기록 기구(14)는 용지 등의 기록 매체(P)가 수용되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와,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기록 매체 반송부(52)와,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 반송부(52)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 가능한 화상 기록부(54)와, 기록 매체 반송부(52)에 의해 반송된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기록 매체(P)를 위치시키기 위한 거치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거치대(58)에 기록 매체(P)가 위치되고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 용된다. 또한,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원고 수용부(16)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기록 매체 반송부(52)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하는 송출 롤(60)을 구비하고 있다. 송출 롤(60)의 하류측에는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P)를 1매씩 분리하는 분리 기구(62)가 배치되어 있다. 분리 기구(62)는 송출 롤(60)로 송출된 기록 매체(P)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반송 롤(64)과, 송출 롤(60)로 송출된 기록 매체(P)에 그 이면측으로부터 반송 저항을 부여하는 분리 패드(66)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복수의 기록 매체(P)가 중첩되어 송출된 경우에는, 반송 롤(64)이 상측의 기록 매체(P)(1매째의 기록 매체(P))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한편, 하측의 기록 매체(P)(2매째 이후의 기록 매체(P))는 분리 패드(66)에 의해 반송 저항이 부여되어, 기록 매체(P)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송출 롤(60)과 분리 패드(66)에 의해, 중첩된 기록 매체(P)가 풀려서 1매씩 급송된다.
기록 매체 반송부(52)에는 분리 기구(62)에 의해 분리된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반송하기 위한 U자 형상의 반송로(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로(68)에는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 롤(74)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기록 매체(P)를 배출하는 배출 롤(70)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8)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와 화상 기록부(54) 사이에서 반송로(34)와 교차하고 있다. 반송로(34)는 원고 수용부(16)와 화상 판독부(20) 사이에서 반 송로(68)와 교차하고 있다.
또한, 반송로(68)는 플래튼 글래스 A(38)가 설치된 판독 위치의 부분에서, 반송로(34)와 공용화되어 있고,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도 판독 위치로 반송되어, 화상 판독부(20)에 의해 화상이 판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판독 위치의 하류측에서는, 반송로(68)와 반송로(34)는 분기되어 있고, 각각 기록 매체 배출부(56)와 원고 배출부(32)에 접속되어 있다. 반송로(68)와 반송로(34)의 분기에는 기록 매체(P) 및 원고를 인도하는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부재(67)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 부재(67)의 선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반송로(68)를 폐쇄하고, 반송로(34)를 개방함으로써, 원고 또는 기록 매체(P)는 배출 롤(39) 및 원고 배출부(32)에 인도된다. 스위칭 부재(67)의 선단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반송로(34)를 폐쇄하고, 반송로(68)를 개방함으로써, 원고 또는 기록 매체(P)는 배출 롤(70)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인도된다.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배출 롤(70)에 의해 배출된 기록 매체(P)가 위치되는 거치대(72)를 구비하고 있고, 배출 롤(70)에 의해 배출된 기록 매체(P)는 거치대(72)에 위치되어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수용된다. 또한, 원고의 수용이나 기록 매체의 보급, 배출 후의 원고, 배출 후의 기록 매체 등을 취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원고 배출부(32)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기록 매체(P)의 폭 방향(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 기록 매체 배출부(56) 및 기록 매체 수용부(50)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가 원고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원고를 취급하는 자가 대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판독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가 원고의 폭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쪽에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또한,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반송 방향을 따라 어긋나서 계단 형상으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도 1에서의 우측에 배치된다.
한편, 화상 기록부(54)는 액적을 토출하는 액적 토출 헤드의 일례로서,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젯 기록 헤드(53)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는 잉크젯 기록 헤드(53) 아래의 화상 기록 위치로 반송된 기록 매체(P)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위쪽에는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아래쪽에는 토출면에 대향하여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메인터넌스 부재(57)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부재(57)는 토출면을 덮는 캡,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토출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 재, 노즐 내의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장치 등을 갖고 있다.
또한, 화상 기록 기구(14)에서는 한 면에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를 반전시켜 다시 화상 기록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반전로(65)가 반송로(68)에 연결되어 있다. 한 면에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는, 배출 롤(70)이 정전(正轉) 시에는 그대로 배출부에 반송되지만, 배출 롤(70)의 직전에 원 웨이(one way)의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이면 인자시에는 배출의 완료 직전에 배출 롤(70)을 역전(逆轉)시킴으로써, 반전로(65)에 반송되어 다시 화상 기록 위치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송출 롤(24), 분리 기구(30), 기록 매체 수용부(50), 기록 매체 배출부(56), 송출 롤(60) 및 분리 기구(62)가 플래튼 커버(13)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이 플래튼 커버(13)와 일체로 개폐된다. 플래튼 커버(13)는 축부(1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플래튼 커버(13)가 들어올려져 열림으로써, 플래튼 글래스 B(40)의 윗면이 개방되어, 책 등의 원고를 플래튼 글래스 B(40)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튼 커버(13)는 자동 개폐를 채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센서에 손을 가져다 대면 플래튼 커버(13)가 들려서 개방되는 구성이나,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 후에 자동으로 플래튼 커버(13)가 개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개폐 방식은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플래튼 커버(13)에 화상 판독 기구(12)의 각 부 및 화상 기록 기 구(14)의 각 부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지는 임의이고, 플래튼 커버(13)를 열었을 때에 플래튼 글래스 B(40)의 윗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싶은 경우는, 조작자는 플래튼 글래스 B(40) 위에 원고를 위치시키거나, 원고 수용부(16)에 원고를 수용한다.
화상 판독부(20)는 플래튼 글래스 B(40) 위에 위치된 원고에 대하여는 이동하여, 그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에 대하여는 플래튼 글래스 A(38)에 마주 대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원고 반송부(18)에 의해 원고가 이동함으로써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조작자는 원고의 화상이 판독된 후는 플래튼 글래스 B(40) 위에 위치된 원고를 플래튼 글래스 B(40) 위로부터 취출하거나 또는 원고 배출부(32)로 배출된 원고를 원고 배출부(32)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원고의 화상을 복사하고 싶은 경우는, 조작자는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한다. 화상 기록부(54)는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기록 매체(P)에 화상이 기록된 후는 조작자가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배출된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배출부(56)로부터 취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판독부(20)에서 보아 플래튼 글래스 B(40)에 위치되는 원고측, 즉 화상 판독부(20)의 위쪽에,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수용부(50),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집약되어 있고, 플래튼 글래스 B(40) 위에 원고를 위치시키는 작업, 원고 수용부(16)에 원고를 수용하는 작업, 원고 배출부(32)로부터 원고를 취출하는 작업,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기록 매체(P)를 수용하는 작업, 기록 매체 배출부(56)로부터 기록 매체(P)를 취출하는 작업 모두가 화상 판독부(20)의 위쪽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원고 및 기록 매체(P)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화상 판독부(20)의 위쪽으로부터 원고 및 기록 매체(P)를 시인할 때에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화상 판독부(20)의 하측의 장치 공간의 축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이 판독된 원고를 스위칭 부재(67)에 의해 배출 롤(70)에 인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원고를 배출 롤(70)에 의해 반전하고, 반전로(65)에 반송되어서 화상 기록 위치에 원고를 보내고,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을 원고의 이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원고의 이면이란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도 판독 위치로 반송되어, 화상 판독부(20)에 의해 화상이 판독 가능해지고, 잉크젯 기록 헤드(53)가 기록한 화상을 판독하여 제어부(43)에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를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화상 기록에 피드백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에 결손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해서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노즐 막힘을 검출하거나, 화상 농도나 기입 위치(토출 위치)를 각 색 사이에서 평가하여, 각 색 사이에서의 화상 농도 및 기입 위치의 조정을 행하거나, 기록 매체(P)의 표면과 이면에 기록된 화상의 위치 어긋남을 평가해서 위치맞춤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제어부(43)가 원고 및 기록 매체(P)의 송출이나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원고가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보다도 우선하여 송출되도록 하고, 기록 매체(P)에의 화상 기록에 앞서 원고의 화상 판독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고의 송출과 기록 매체(P)의 송출을 1매 또는 복수마다 스위칭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원고의 수용이나 기록 매체의 보급, 배출 후의 원고, 배출 후의 기록 매체를 취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기록 매체 수용부(50)가 원고 수용부(16)에 대하여 기록 매체(P)의 폭 방향으로 어긋나고, 원고 배출부(32)가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기록 매체(P)의 폭 방향으로 어긋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원고 배출부(32)에 대하여 기록 매체(P)의 폭 방향으로 어긋나서,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의 어긋나는 방향은 반송 방향에 따른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플래튼 글래스 B(40)와 화상 판독부(20)를 포함하는 유닛(케이싱)(21)이 장치 본체(11)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플래튼 커버(13)를 개방하지 않고, 투명 부재(40)에 원고를 위치시켜서 그 원고의 화상을 판 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래튼 글래스 B(40)와 화상 판독부(20)를 포함하는 유닛(케이싱)(21)이 장치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유닛을 장치 본체(11)로부터 떼어내서, 화상을 기록만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수용부(16)와 원고 배출부(32) 사이에 기록 매체 수용부(50)와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설치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원고는 거치대(22)로부터 송출 롤(24) 및 반송 롤(26)에 의해 반송되어, 투명 부재(38), 화상 판독부(2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한 후, 스위칭 부재(67)에 의해 원고 배출부(32)로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기록 매체는 거치대(58)로부터 송출 롤(60) 및 반송 롤(64)에 의해 반송되어,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후, 투명 부재(38)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한 후, 스위칭 부재(67)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예)
다음에,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상기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각 부의 배치 위치를 바꾼 변형예이다. 또한, 상기한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기능을 갖는 각 부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장치 본체(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 화상 판독부(20), 플래튼 글래스 A(38) 및 플래튼 글래스 B(40)를 포함하는 유닛(케이싱)(21) 그 자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책 등의 원고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투명 부재(40)의 아래쪽에 위치됨으로써, 그 원고의 화상이 판독된다.
한편, 장치 본체(11)에는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수용부(50)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수용부(50)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아래에서부터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변형예에서는 화상 판독부(20)에서 보아 플래튼 글래스 B(40) 아래에 위치되는 원고측, 즉 화상 판독부(20)의 아래쪽에,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수용부(50),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집약되어 있고, 플래튼 글래스 B(40) 아래에 원고를 위치시키는 작업, 원고 수용부(16)에 원고를 수용하는 작업, 원고 배출부(32)로부터 원고를 취출하는 작업,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기록 매체(P)를 수용하는 작업, 기록 매체 배출부(56)로부터 기록 매체(P)를 취출하는 작업 모두가 화상 판독부(20)의 아래쪽에서 행해진다.
이에 따라, 원고 및 기록 매체(P)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화상 판독부(20)의 상측의 장치 공간의 축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플래튼 글래스 B(40) 아래에 책 등의 원고를 위치시킨 경우에, 플래튼 커버(13)를 연 채로, 화상 판독부(20)에 의한 판독, 작상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예)
다음에,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각 부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 기능을 갖는 각 부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원고 반송부와 기록 매체 반송부의 반송 기구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과, 원고 혹은 기록 매체의 배출 롤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분리 패드(28)를 대신하여, 분리 롤(12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송출 롤(24) 및 반송 롤(26)을 대신하여, 송출 롤(124)이 설치되어 있다. 송출 롤(124)은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원고를 송출하는 동시에 분리 롤(126)과 협동하여, 중첩된 원고를 풀어서(분리해서) 1매씩 급송하도록 되어 있다.
원고 혹은 기록 매체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용부에 분리해서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분리 롤(12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원고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기록 매체가 송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원고 반송부와 기록 매체 반송부의 반송 기구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일례이며, 예를 들면 전술한 기록 매체 반송부의 반송 기구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 수용부의 기록 매체 위에 원고를 배치하고, 반송 기구를 공통으로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다만, 이 경우, 반송되는 매체가 원고인지 기록용 매체인지를 검지하는 수단(예를 들면 원고와 기록 매체 사이에 포토 센서 등으로 원고의 유무를 검지하는 구성)을 설치하고,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원고가 있는 경우는 반송처를 화상 판독부에, 없는 경우는 화상 기록부에 보내도록 스위칭할 필요가 생긴다.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반송로(34)와 반송로(68)는 투명 부재(38)가 설치된 판독 위치의 부분 및 그 판독 위치의 하류측(판독 위치로부터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까지)의 반송로가 공용화되어 있고, 하나의 반송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롤(39) 및 배출 롤(70)이 공용화되어 있고,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는 한 쌍의 배출 롤(139)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 롤(139)의 하류에는 기록 매체(P) 및 원고를 인도하는 배출부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부재(137)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 부재(137)의 선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폐쇄하고, 원고 배출부(32)를 개방함으로써, 원고 또는 기록 매체(P)는 원고 배출부(32)에 인도된다. 스위칭 부재(137)의 선단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원고 배출부(32)를 폐쇄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개방함으로써, 원고 또는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인도된다.
또한, 반전로(44) 및 반전로(65)도 공용화되어 있고, 하나의 반전로(165)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롤(139)에 의해 반전된 원고 또는 기록 매체(P)는 반송로(68)로 보내진다.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송출 롤(124), 분리 롤(128), 기록 매체 수용부(50), 기록 매체 배출부(56), 송출 롤(60), 배출 롤(139) 및 스위칭 부재(137)가 플래튼 커버(13)에 설치되어 있어, 이들이 플래튼 커버(13)와 일체로 개폐된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부품수 저감에 의해 더욱 컴팩트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기록부(54)의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76)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11)의 측부에, 반송로(76)에서 반송된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P)가 만곡되지 않고, 평면(平面)인 상태를 유지하여 반송로(76)에서 반송되어, 기록 매체 배출부(78)에 배출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도 6에서의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기록 매체(P)가 반송되지만, 기록 매체 배출부(78)에 기록 매체(P)를 수용하여, 그 수용한 기록 매체(P)를 도 6에서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반송하고,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2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기록부(54)에 더하여, 더 추가로 화상 기록부(94)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화상 기록부(94)는 화상 기록부(54)와 마찬가지로 잉크젯 기록 헤드(73) 및 메인터넌스 부 재(7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의해 표면에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는 반송로(68)에서 반전하고, 잉크젯 기록 헤드(73)에 의해 이면에 화상이 기록되어,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배출된다.
또한, 화상 기록부(94)는 한 면에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P)의 이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이하의 구성과 같이, 기록 매체(P)의 한 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는 화상 기록부(54) 및 화상 기록부(94)에 의해 동시에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화상 기록부(94)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P)를 횡 방향으로 잉크젯 기록 헤드(73)에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80)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11)의 측부에, 반송로(80)로 보내지는 기록 매체(P)가 수용되는 기록 매체 수용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기록 매체 수용부(82)에 수용된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P)가 만곡되지 않고, 평면인 상태를 유지하여 반송로(80)에서 반송되어, 잉크젯 기록 헤드(7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후,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배출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도 7에서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기록 매체(P)가 반송되지만,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기록 매체(P)를 수용하여, 그 수용한 기록 매체(P)를 도 7에서의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반송하고, 기록 매체 수용부(82)에 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2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의 하부에 기록 매체 수용부(84)를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 수용부(84)는 옵션으로서 장치 본체(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8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화상 기록부(94)가 설치되어 있고, 기록 매체 수용부(84)에 수용된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되고, 화상 기록부(94)의 잉크젯 기록 헤드(73)에 의해 화상이 기록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배출된다. 화상 기록부(94)를 갖지 않고, 화상 기록부(54)만의 구성에서는 화상 기록부(54)에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송로(80) 및 기록 매체 배출부(78)를 갖는 도 6에 나타낸 구성, 화상 기록부(94)를 추가하는 도 7에 나타낸 구성, 기록 매체 수용부(84)를 갖는 도 8에 나타낸 구성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 뿐만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화상 기록부로서 잉크젯 기록 헤드를 이용한 화상 형성 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기록부 등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의 상기 기술은 예시와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개시된 그 형태에 철저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변형과 변경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임은 명백하다. 대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와 그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설명되었고, 그에 따라 이 기술분야의 다른 자가 다양한 실시예와 예기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예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항과 그 동등물에 의해 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플래튼 커버(platen cover)가 열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플래튼 커버가 열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구비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 2 화상 기록부를 추가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장치 본체의 하부에 기록 매체 수용부를 부착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원고 수용부와 원고 배출부 사이에 기록 매체 수용부와 기록 매체 배출부가 배열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200 : 화상 형성 장치 11 : 장치 본체
12 : 화상 판독 기구 13 : 플래튼 커버(platen cover)
14 : 화상 기록 기구 16 : 원고 수용부
18 : 원고 반송부 20 : 화상 판독부
22, 42, 58, 72 : 거치대 24, 60, 124 : 송출 롤
26, 36, 64, 74 : 반송 롤 28, 66 : 분리 패드
30, 62 : 분리 기구 32 : 원고 배출부
34, 68, 76, 80 : 반송로 38 : 플래튼 글래스 A
39, 70, 139 : 배출 롤 40 : 플래튼 글래스 B
50, 82, 84 : 기록 매체 수용부 52 : 기록 매체 반송부
53, 73 : 잉크젯 기록 헤드 54, 94 : 화상 기록부
56, 78 : 기록 매체 배출부 67, 137 : 스위칭 부재

Claims (16)

  1. 원고(原稿)를 적재하는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로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기록 매체가 적재되는 기록 매체 적재부와,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기록 매체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부와,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서 반송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를 갖고,
    상기 기록 매체 적재부가 상기 원고 적재부와 상기 원고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반송로는 상기 원고의 반송을 개시하는 원고 반송 개시 위치와 상기 화상 판독부 사이에서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와 교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는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개시하는 기록 매체 반송 개시 위치와 상기 화상 기록부 사이에서 상기 원고 반송로와 교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의 위쪽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적재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가, 원고 적재부, 기록 매체 적재부, 원고 배출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의 순으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적재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가, 원고 적재부, 기록 매체 적재부, 기록 매체 배출부 및 원고 배출부의 순으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적재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가, 기록 매체 배출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및 원고 적재부의 순으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적재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가, 원고 배출부, 기록 매체 배출부, 기록 매체 적재부, 원고 적재부의 순으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가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원고를 판독하는 위치와 고정 위치에 위치된 원고를 판독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로와,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 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원고의 판독면에 대하여, 상기 화상 판독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고 반송로에서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기록 매체 반송로와,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의 화상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원고의 판독면에 대하여, 상기 화상 판독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가 반송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배출부 및 상기 기록 매체 배출부는 원고의 판독면의 위쪽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배출부 및 상기 기록 매체 배출부는 원고의 판독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화상 판독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고 반송로가 반송하는 원고가 수용된 원고 적재부와,
    상기 고정 위치에 설치된 원고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화상 판독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가 반송하는 기록 매체가 수용된 기록 매체 적재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는 상기 화상 기록부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상기 화상 판독부에 반송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화상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화상을 판독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반송로는 상기 화상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를 반전하여 상기 화상 기록부에 반송하고,
    상기 화상 기록부는 상기 화상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이면에 화상을 기록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108236A 2008-03-14 2008-11-03 화상 형성 장치 KR10113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6491A JP4618309B2 (ja) 2008-03-14 2008-03-14 画像形成装置
JPJP-P-2008-00066491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54A true KR20090098654A (ko) 2009-09-17
KR101134547B1 KR101134547B1 (ko) 2012-04-13

Family

ID=4106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236A KR101134547B1 (ko) 2008-03-14 2008-11-0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4757B2 (ko)
JP (1) JP4618309B2 (ko)
KR (1) KR101134547B1 (ko)
CN (1) CN101533238B (ko)
AU (2) AU2008212047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2006331T5 (de) 2012-04-26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Aufnahmefläche
JP6198443B2 (ja) * 2013-04-25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88359B2 (en) * 2013-12-16 2016-03-15 Xerox Corporation Integrated platen scanner and document handler for a copier, multifunctional printer or standalone scanning device
US9781283B1 (en) 2016-05-25 2017-10-03 Xerox Corporation Document handler having integrated platen and fully internal CVT path
US11310385B1 (en) * 2021-03-01 2022-04-19 Xerox Corporation Portable cassette locker for document handl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488A (en) * 1994-09-12 1995-10-24 Motorola, Inc. Computerized facsimile (FAX)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5596399A (en) * 1994-09-12 1997-01-21 Xerox Corporation Compact document measuring system for electronic document imaging
US5848320A (en) * 1995-03-29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original having protruding portion
US5669056A (en) * 1996-03-25 1997-09-16 Xerox Corp Duplex document handling system
JPH09304986A (ja) * 1996-05-13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US5946527A (en) * 1998-04-13 1999-08-31 Xerox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of different sizes of document sheets in an electronic imaging system
JP2001235918A (ja) * 2000-02-23 2001-08-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6674983B2 (en) 2000-11-20 2004-01-06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er
JP2003005473A (ja) 2001-06-22 2003-01-08 Canon Inc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9741B2 (ja) 2001-09-07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01237B2 (en) * 2002-06-05 2005-05-3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40998A (ja) * 2003-11-06 2005-06-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複写装置
JP2005311627A (ja)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354454A (ja) 2004-06-11 2005-12-22 Canon Inc 画像読取記録装置
JP4746355B2 (ja) 2005-06-07 2011-08-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51005A (ja) * 2005-07-19 2007-03-01 Ricoh Co Ltd 自動原稿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27026B2 (en) 2011-09-15
KR101134547B1 (ko) 2012-04-13
CN101533238B (zh) 2012-01-25
AU2008212047B2 (en) 2010-11-11
AU2008212047A1 (en) 2009-10-01
JP4618309B2 (ja) 2011-01-26
JP2009222916A (ja) 2009-10-01
CN101533238A (zh) 2009-09-16
US20090231642A1 (en) 2009-09-17
AU2010227026A1 (en) 2010-10-28
US8134757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95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560657B2 (ja) 画像形成装置
CN104339884B (zh) 打印装置、信息处理装置以及打印装置控制方法
JP4492657B2 (ja)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8864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7010949A (ja) 画像形成装置
KR10113454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70864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930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1721827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039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61615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기기
JP2018174519A (ja) 画像形成装置
US73950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8168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6429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757997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0913072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83449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27473B2 (ja) 画像形成装置
JP5218265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58398B2 (ja) ロック機構付きシート体供給装置
JP2011090266A (ja) 複合画像形成装置
JP2006272711A (ja) 画像記録装置
JPH0513450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