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888A -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888A
KR20090097888A KR1020097012733A KR20097012733A KR20090097888A KR 20090097888 A KR20090097888 A KR 20090097888A KR 1020097012733 A KR1020097012733 A KR 1020097012733A KR 20097012733 A KR20097012733 A KR 20097012733A KR 20090097888 A KR20090097888 A KR 2009009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receiving
wi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578B1 (ko
Inventor
크리스또프 데살드
디디에 뛸롱
이보닉 마르삭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9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3Special insulation
    • Y10S439/936Potting material or coating, e.g. grease, insulative coating, sealant or, adhesive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위한 연결 용품이 제공된다. 이 연결 용품은 홀더, 홀더 내에 배치되며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전방에 배치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수용 개구는 소정의 단면을 형성하고, 안내 수단은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와이어를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내로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는 대향하는 말단부 및 기단부를 포함하며,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한다.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갖는다.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연결 용품, 홀더, 커넥터, 안내 수단, 보호 쉘, 봉지재

Description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CONNECTION ARTICLE FOR A CABLE, HOLDER FOR A CONNECTOR OF SUCH A CONNECTION ARTICLE, AND KIT FOR CONNECTING CABLE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연결 용품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용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 연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여러 적용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결할 케이블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적용예로는 교통 신호등, 거리 또는 공공 장소를 조명하기 위한 가로등, 또는 상대적으로 강성의 와이어를 갖는 케이블이 사용되는 다른 전기 부하(electrical load)를 위한 전력선이다. 특히, 단면적이 큰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은 복수의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 내에 배치된 커넥터 내로 삽입하기가 어렵다. 개별 와이어의 강성(stiffness)은 모든 와이어를 동시에 커넥터의 개별 수용 개구 내에 적절하게 삽입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요건은 개별 커넥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을 유지하면서 홀더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연결 용품은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보호 쉘(shell)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이어서 개별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에서의 개별 와이어의 종단 후에, 홀더가 보호 쉘 내로 삽입되고, 홀더 주위에서 보호 쉘 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봉지재(encapsulant material)가 보호 쉘 내로 도입된다. 봉지재가 개별 와이어와 커넥터를 인접 케이블과 인접 커넥터 사이의 최소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결 조립체용 와이어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8-0 372 936호 및 미국 특허 제6,099,345호에 알려져 있다. 이들 와이어 스페이서는 개별 케이블 또는 와이어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로서 설계된다. 전기 커넥터용으로 알려진 와이어 스페이서의 사용은 다소 복잡한데, 그 이유는 개별 커넥터들이 와이어 스페이서 주위에 배치되어야 하며 이는 시간 소모적이고 어느 정도의 훈련 및 경험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결 용품의 정합 커넥터 요소를 정렬하기 위한 안내 수단이 기본적으로 알려져 있다. 알려진 이들 연결 조립체는 연결될 각각의 케이블에 대해 2개의 커넥터 요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 커넥터 요소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연결 용품의 일 예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7132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시스템은 정합 커넥터 요소에서 연결될 와이어의 종단을 필요로 하며, 이는 와이어가 그 단면의 크기로 인해 다소 강성이 되는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다시 야기한다.
유럽 특허 EP-8-1 180 823호로부터, 하나의 정합 커넥터 요소의 개별 핀이 다른 정합 커넥터 요소 내에 고정 배치된 케이블의 와이어의 개별 평행 도체 섬유 들 사이를 통과하는 케이블 연결 용품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개별 케이블의 핀과 도체 섬유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신뢰할 수 없는 위험성이 있게 된다.
전기 커넥터의 수용 개구 내로의 와이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 용품에 삽입 안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연결 용품의 일 예가 유럽 특허 EP-B-0 763 873호에 개시되어 있다. 알려진 삽입 안내 수단은, 원뿔 형상을 갖고 커넥터 수용 개구를 향해 테이퍼진 안내 통로를 포함한다. 그러나, 알려진 연결 용품에 있어서, 개별 와이어가 커넥터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커넥터 내로 삽입될 필요가 여전히 있다. 즉, 그렇지 않으면 개별 와이어가 개별 커넥터의 수용 개구 주위에서 에지와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강성 와이어의 경우에 특히 예상됨)이 여전히 있다.
독일 특허 DE-A-32 02 747호로부터, 케이블의 와이어를 플러그의 접촉 핀에 연결하기 위한 깔대기형 삽입 통로(insertion funnel passage)를 포함하는 플러그가 알려져 있다.
다중-와이어 케이블 연결 용품에 대한 다른 요건은 개별 커넥터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특히, 커넥터가 아주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는 소형 연결 용품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때, 체결 수단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은 여전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용이한 방식으로 전술한 요건을 달성하고 조작이 용이한 개선된 연결 용품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연결 용품을 제공하며, 이 연결 용품은
- 홀더;
- 홀더 내에 배치되고,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내 수단 - 여기서, 상기 제1 수용 개구는 소정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와이어를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내로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는 대향하는 말단부 및 기단부를 포함하고,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며,
-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고,
-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제1 수용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다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수용 개구를 포함하며,
- 제2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다른 안내 수단이 제2 수용 개구 전방에 배치되고,
- 2개의 안내 수단이 수용 공간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용 홀더가 제공되며, 이 홀더는,
-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 및
-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는 안내 수단 - 여기서, 상기 안내 통로는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수용 공간을 향해 안내 통로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수용 공간과 정렬됨 - 을 포함하며,
-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는 대향하는 말단부 및 기단부를 포함하고, 기단부는 수용 공간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며,
- 기단부는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용품은 와이어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을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개구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커넥터는 예컨대 커넥터의 대향 단부들에 2개의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그러한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관형 형상을 가지며 와이어를 커넥터에 클램핑함으로써 연결될 와이어와 결합하도록 커넥터의 내측 중공 공간 내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체결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홀더의 수용 공간 및 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전방에는,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내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이 배치된다. 안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는데, 안내 통로는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와 정렬된다. 안내 통로는 2개의 대향 단부들, 즉 말단부(distal end)와 기단부(proximal end)를 포함하며,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예를 들어, 홀더의 수용 공간)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며, 이에 따라 커넥터를 향해 그리고 커넥터 내로 안내될 와이어를 수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내 통로의 말단부는 안내 통로의 기단부에서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수단의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배치는 안내 통로, 특히 안내 통로와 커넥터 사이의 계면이 임의의 숄더(shoulder), 에지, 또는 안내 통로의 말단 개구를 향하는 표면이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안내 수단, 및 안내 통로의 말단부 및 기단부에서의 단면과 커넥터의 수용 개구의 단면 사이의 관계는 연결될 와이어의 삽입을 보조한다. 이러한 삽입 보조는 전형적으로 관련 커넥터와 정렬되지 않지만 개별 커넥터를 유지하는 홀더의 전방에 배치된 안내 수단의 안내 통로에 의해 커넥터와 자동으로 정확하게 정렬되는 다소 강성인 와이어를 갖는 다중-와이어 케이블에 특히 아주 유용하다.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홀더의 경우 개별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홀더는 전형적으로 전기 절연재로 제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홀더는 또한 다른 재료, 특히 개별 커넥터들이 홀더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홀더를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함과 동시에, 개별 커넥터와 홀더 사이에 절연재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는 홀더에서 고정된 상대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는 또한 개별 커넥터를 서로 분리시켜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터 스페이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용품의 각 커넥터는 연결될 2개의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통상 서로의 반대쪽에 제1 및 제2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형적으로 하나의 안내 수단이 각각의 수용 개구의 전방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안내 수단의 안내 통로는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이다. 통상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주변 연장부의 360°를 따르는 내측 벽에서의 안내 통로는 말단부로부터 기단부로 테이퍼진다. 또한, 안내 수단의 내측 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내측 면은 안내 수단의 내측 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 또는 릿지(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홀더는 복수의 커넥터를 유지하는데, 즉 홀더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제공되며, 각각의 안내 수단은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고, 이때 각각의 안내 통로는 복수의 커넥터의 제1 개구들 중 각각의 개구와 정렬된다. 그러한 연결 용품에 있어서, 홀더의 종방향 축선에 등거리로 커넥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배치는 개별 커넥터의 체결 수단이 약 270°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80°이하의 원주방향 각도 내에서 홀더의 외측 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홀더 내에 커넥터를 배치함으로써, 모든 커넥터의 모든 체결 수단으로의 접근이 360°미만으로 확장되는 홀더 주위의 영역 내에 주어져, 예를 들어 홀더 아래로부터 체결 수단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케이블을 체결하기 위해 커넥터를 조작하는 데 편리하다. 즉, 접속될 케이블이 커넥터 내로 삽입되자마자, 특히 강성 케이블의 경우에, 홀더의 외측 면의 하부에서 체결 수단과 결합하도록 홀더를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즉 와이어가 커넥터에 삽입된 홀더는 그 주위로 회전 또는 선회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어떠한 체결 수단도 홀더의 아래로부터 조작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연결 용품은 2개의 케이블의 외측 재킷(jacket)들 사이의 영역을 연결(bridging)하는 보호 쉘에 의해 둘러싸인다. 홀더와 보호 쉘 사이에서 홀더 주위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홀더 및/또는 각각의 안내 수단에 외측 스페이서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외측 스페이서 돌출부는 보호 쉘 내에서 연결 용품이 중심 설정될 수 있게 하여, 봉지재 (예를 들어,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로부터 상표명 스카치캐스트(SCOTCHCAST)로 구매가능한 2성분 수지)가 연결 용품과 보호 쉘 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보호 쉘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안전상 이유로, 전력 케이블에는 케이블의 일 군의 와이어 주위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외측 재킷의 외측 절연층에 의해 둘러싸이는 케이블 실드(shield) 또는 스크린(screen)이 제공된다. 연결될 2개의 케이블의 케이블 실드가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 및/또는 각각의 안내 수단은 케이블 실드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각각 포함하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되며, 이 키트는
- 전술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연결 용품,
- 연결 용품을 둘러싸기 위한 보호 쉘, 및
- 보호 쉘 내에 배치될 때 연결 용품 주위에 위치되는 보호 쉘 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봉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키트는
- 전술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홀더,
- 홀더 내에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 홀더를 둘러싸기 위한 보호 쉘, 및
- 보호 쉘 내에 배치될 때 홀더 주위에 위치되는 보호 쉘 내의 스페이서를 충전하기 위한 봉지재를 포함한다.
키트에 대한 양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용품 주위의 보호 쉘 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봉지재가 제공된다. 봉지재는 전형적으로 보호 쉘 내의 구멍을 통해 도입된다. 연결 용품 주위의 보호 쉘 내의 공간을 채운 후, 보호 쉘 내의 구멍이 폐쇄된다. 봉지재는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경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수지 또는 젤 또는 폼(foam)(바람직하게는, 물이 폼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개방 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용품에는 일 부품 또는 별도의 요소로서 홀더 및 안내 수단을 형성하는 본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및 안내 수단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홀더 및 안내 수단은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한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들)는 연결 용품을 형성하기 전에 주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홀더 및 각각의 안내 수단은 개별 요소를 형성한 후에 함께 끼워져 조립되는 별도의 요소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전력선 케이블의 개별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용품용 보호 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개별 요소들이 서로 조립되어 있는 연결 용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연결 용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방향 V로 본 연결 용품의 단부도.
도 6은 도 2의 선 VI-VI을 따라 취한 연결 용품의 부분 단면도.
도 1은 2개의 전력선 케이블(16, 18)의 개별 와이어(12, 1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용품(10)을 도시한다. 연결 용품(10)은, 케이블(16, 18)을 둘러싸고 예를 들어 유향수지(mastic) 재료(25)에 의해 케이블에 밀봉되는 2개의 대향 단부(22, 24)를 갖는 외측 보호 쉘(20) 내에 배치된다. 개별 와이어(12, 14) 주위 뿐만 아니라 연결 용품(10) 주위의 보호 쉘(20) 내의 공간(26)은 수지와 같은 봉지재로 채워진다. 이러한 재료는 덮개(30)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28)를 통해 보호 쉘(20) 내로 채워진다.
연결 용품(10)의 디자인 및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연결 용품(10)의 개별 요소 및 부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연결 용품(10)은 홀더(32)와, 홀더(32)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 삽입 안내 요소(34, 36)를 포함한다. 홀더(32)는, 종방향 연장부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관형인 전기 커넥터(4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40)을 포함하는 본체(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32)의 본체(38)는 5개의 커넥터(42)가 내부에 배치되는 5개의 수용 공간(40)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42)는 커넥터(42)의 수용 개구(48, 50) 내로 삽입되는 전기 와이어(12, 14)를 클램핑하기 위한 2개의 체결 나사(46)를 갖는 전기 전도성 슬리브(44)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참조).
본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40)은 홀더(32)의 본체(38)의 대향 단부(52, 54)를 향해 개방된다. 그러므로, 커넥터(42)는 대향 단부(52, 54) 중 하나로부터 수용 공간(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수용 공간(40)에는 본체(38)의 원주 방향 외측 면에 슬릿형 개구(56)가 제공된다. 커넥터(42)가 수용 공간(40) 내로 삽입된 조립 상태에서, 체결 나사(46)는 슬릿형 개구(56)를 통해 연장되어, 체결 나사(46)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관형 커넥터(42)가 수용 공간(40)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홀더(32)의 원주 방향 외측 면으로부터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체결 나사(46)가 그 위치를 유지하게 하며, 이는 특히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 나사(46)를 조이기 전에 도움이 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요소(34, 36)에는 수용 공간(40)과, 그래서 홀더(32)의 본체(38)의 커넥터(42)와 개수가 동일한 복수의 안내 통로(58)가 제공된다. 각각의 안내 통로(58)에는 입구 개구(60) 및 출구 개구(62)가 제공된다 (또한, 도 5 참조). 출구 개구(62)는 각각 커넥터(42)의 수용 개구(48, 5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반면, 입구 개구(60)는 커넥터(42)로부터 말단에 위치된다. 더욱이, 각각의 안내 통로(58)에는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이거나 또는 테이퍼진 섹션(64) 및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섹션(66)이 제공된다. 테이퍼진 섹션(64)은 안내 통로(58)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섹션(66)이 종단되는 출구 개구(62)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입구 개구(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내 통로(58)의 내측 면(68)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통로(58)의 출구 개구(62)의 단 면은 커넥터(42)의 수용 개구(48, 50)에서의 단면보다 작다. 일반적으로, 출구 개구(62)의 단면은 커넥터(42)의 수용 개구(48, 50)의 단면보다 크지 않다. 이러한 디자인은 입구 개구(60)를 통해 안내 통로(58) 내로 진입 또는 삽입되는 와이어(12, 14)가 커넥터(42) 내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안내 통로(58) 내에도 그리고 커넥터(42)에 대한 계면에서도 내측 돌출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커넥터(42)의 수용 개구(48, 50) 및 안내 통로(58)에는 연결될 와이어(12, 14)에 대한 어떠한 장애물 또는 정지부도 없기 때문이다.
홀더(32)의 본체(38)뿐만 아니라 안내 요소(34, 36)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는 임의의 습기가 홀더(32)와 봉지재 사이의 계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습기에 대한 밀봉을 위해 보호 쉘(20) 내에서 연결 용품(10) 주위에 배치되는 봉지재에 대한 충분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38)의 플라스틱 재료는 또한 개별 커넥터(42)의 전기 절연에 기여한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안내 요소(34, 36)에는 종방향(75)을 따라 홀더(32)의 본체(38)를 통해 연장되는 수용 채널(74)의 대향 단부에 삽입되는 돌출 탭(70, 72)이 제공된다. 수용 채널(74) 내에는, 홀더(32)의 대향 단부(52, 54)에서 안내 요소(34, 36)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2개의 탭(70, 72)이 스냅 끼움(snap-fit)된다. 안내 요소(34, 36)를 홀더(32)에 부착시키는 다른 기술 방안으로 예를 들어 접착, 나사 결합 등이 가능하다.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커넥터(42)의 나사(46)는 180°미만의 원주방향 각도 내에서 홀더(32)의 본체(38)의 외측 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하 다. 이는 홀더(3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배치되고 지지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하며, 도 4에서는 2개의 최하단 커넥터(42)의 나사(46)에 접근하기 위해 홀더(32)를 주위로 회전시키지 않고도 모든 나사(46)에 대한 접근성이 주어진다.
더욱이,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넥터(42)의 슬리브(44)에는, 각 커넥터(42) 내에 적절하게 삽입되도록, 연결될 와이어(12, 14)를 검사 및 관측하기 위해 커넥터(42)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된 관측 구멍(76)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연결 용품(10)은 보호 쉘(20) 내에 중심이 맞춰지고 2개의 안내 요소(34, 36) 주위에 배치되는 몇몇의 스페이서 돌출부(78)에 의해 보호 쉘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는 보호 쉘(20) 내에서 연결 용품(10) 주위로 모든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공간은 봉지재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로부터, 연결 용품(10)이 케이블(16, 18)의 금속성 보호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 와이어(82)를 클램핑 및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안내 요소(34, 36)의 외측 면의 클램핑 홈(80)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 용품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34, 36) 및 홀더(42)는 연결 용품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조립되는 개별 요소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들 모든 요소는 하나의 일체형 부분 또는 부품, 예를 들어, 안내 요소 중 하나로서 삽입 성형(insert-molded)될 수 있으며 홀더의 본체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도록 의도된다.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어지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경들을 본 발명 내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0)

  1. - 홀더;
    - 홀더 내에 배치되고,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내 수단 - 여기서, 상기 제1 수용 개구는 소정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와이어를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내로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는 대향하는 말단부 및 기단부를 포함하고,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며,
    - 기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제1 수용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다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수용 개구를 포함하며,
    - 제2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다른 안내 수단이 제2 수용 개 구 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연결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절연된 복수의 커넥터가 홀더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안내 통로가 상기 안내 수단 또는 각각의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며, 각각의 안내 통로가 복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들 중 각각의 수용 개구와 정렬되는 연결 용품.
  3. - 연결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 및
    -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는 안내 수단 - 여기서, 상기 안내 통로는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고 수용 공간을 향해 안내 통로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수용 공간과 정렬됨 - 을 포함하며,
    - 적어도 하나의 안내 통로는 대향하는 말단부 및 기단부를 포함하고, 기단부는 수용 공간 쪽으로 향하고 말단부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며,
    - 기단부는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제1 수용 개구의 단면보다 크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 말단부는 기단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고,
    - 2개의 안내 수단이 수용 공간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용 홀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안내 통로가 말단부로부터 기단부로 테이퍼지는 연결 용품 또는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안내 수단의 안내 통로가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인 연결 용품 또는 홀더.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복수의 안내 통로는 각각의 안내 수단을 통해 연장되며, 각각의 통로는 수용 공간들 중 각각의 수용 공간과 정렬되는 홀더.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커넥터 또는 수용 공간은 본체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등거리로 배치되는 연결 용품 또는 홀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 또는 본체 및/또는 각각의 안내 수단은 보호 쉘 내의 홀더 또는 본체 및 각 안내 수단의 위치를 보호 쉘로부터 이격되게 유지하기 위한 외측 스페이서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 용품 또는 홀더.
  9. -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결 용품,
    - 연결 용품을 둘러싸기 위한 보호 쉘, 및
    - 보호 쉘 내에 배치될 때 연결 용품 주위에 위치되는 보호 쉘 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봉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각각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키트.
  10. -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홀더,
    - 홀더 내에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 홀더를 둘러싸기 위한 보호 쉘, 및
    - 보호 쉘 내에 배치될 때 홀더 주위에 위치되는 보호 쉘 내의 스페이서를 채우기 위한 봉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각각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키트.
KR1020097012733A 2006-12-20 2007-11-30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KR101327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6733.2 2006-12-20
EP06126733A EP1936746A1 (en) 2006-12-20 2006-12-20 Connection article for a cable, holder for a connector of such a connection article, and kit for connecting cables
PCT/US2007/085995 WO2008079588A1 (en) 2006-12-20 2007-11-30 Connection article for a cable, holder for a connector of such a connection article, and kit for connecting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888A true KR20090097888A (ko) 2009-09-16
KR101327578B1 KR101327578B1 (ko) 2013-11-12

Family

ID=3811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733A KR101327578B1 (ko) 2006-12-20 2007-11-30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89718B2 (ko)
EP (1) EP1936746A1 (ko)
JP (1) JP5102845B2 (ko)
KR (1) KR101327578B1 (ko)
CN (1) CN101569061B (ko)
BR (1) BRPI0720479A2 (ko)
CA (1) CA2673292A1 (ko)
MX (1) MX2009006610A (ko)
RU (1) RU2399127C1 (ko)
WO (1) WO2008079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1206B (zh) * 2013-07-19 2016-06-08 包钢集团巴润矿业有限责任公司 电缆快速接头
US9048555B2 (en) * 2013-09-12 2015-06-02 Ming-Yi Chou Wire connector
CN204067664U (zh) * 2014-08-12 2014-12-3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6048374A1 (en) 2014-09-26 2016-03-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eceptacle for connecting a multi-lane or one-lane cable
WO2016059065A1 (en) * 2014-10-17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electrical contacts in electrical device
WO2016059073A1 (en) * 2014-10-17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electrical contacts in electrical device
JP6172127B2 (ja) * 2014-11-28 2017-08-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6133499A1 (en) 2015-02-18 2016-08-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ull-tabs for disengaging a cable assembly from a receptacle
US10741963B2 (en) * 2015-02-27 2020-08-1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able assembly with conjoined one-lane cable assemblies
US10389068B2 (en) 2015-04-29 2019-08-2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ple cable housing assembly
DE102015210336A1 (de) * 2015-06-03 2016-12-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alteblock und modularer Steckereinsatz
TWM551769U (zh) * 2017-07-28 2017-11-11 Amphenol Fiber Optic Tech (Shenzhen) 電源適配裝置
FR3086808B1 (fr) * 2018-10-02 2021-10-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nnecteur
RU2710028C1 (ru) * 2019-02-06 2019-12-24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Проход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US10950968B2 (en) * 2019-02-21 2021-03-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 holder having transverse openings to receive fasteners
CN112566079B (zh) * 2020-10-26 2023-06-02 四川华体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泊车系统中的停车诱导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575A (en) * 1974-02-21 1975-04-22 Bell Telephone Labor Inc Encapsulating compound and closure
JPS51139377U (ko) * 1975-04-30 1976-11-10
JPS5392487A (en) * 1977-01-25 1978-08-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nector
JPS5619576Y2 (ko) * 1977-07-25 1981-05-09
JPS5452093U (ko) * 1978-08-20 1979-04-11
DE3202747C3 (de) 1982-01-28 1995-03-23 Krups Fa Robert Netzstecker
US4458976A (en) * 1982-10-14 1984-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ables
JPH0357025Y2 (ko) * 1984-11-13 1991-12-25
DE3875994D1 (de) * 1987-03-30 1992-12-24 Rxs Schrumpftech Garnituren Klemm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bzweiges an leitern eines spannungskabels und herstellung eines solchen abzweiges.
DE3826343C1 (en) * 1988-08-03 1989-09-07 Phoenix Elektrizitaetsgesellschaft H. Knuemann Gmbh & Co Kg, 4933 Blomberg, De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especially a transformer protective-earth conductor terminal
US4902252A (en) * 1988-10-31 1990-02-20 Signeon Corporation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GB2226189B (en) 1988-12-09 1993-02-17 Bowthorpe Hellermann Ltd Cable jointing
JPH0745893Y2 (ja) * 1990-03-20 1995-10-18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電線接続体
US5106319A (en) * 1991-02-11 1992-04-21 Julian Electric, Inc. Battery cable termination
US5033982A (en) * 1990-05-31 1991-07-23 Sun Microstamping, Inc. Electrical connector
JPH0447348U (ko) * 1990-08-28 1992-04-22
CH683370A5 (de) * 1992-04-10 1994-02-28 Zumbach Electroni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Abmessung eines Objekts.
DE4430406A1 (de) * 1994-08-26 1996-02-29 Arcus Elektrotech Schraubverbinder für Kabel, insbesondere für Mittelspannungs-Verbindungsmuffen
JPH08149679A (ja) 1994-11-25 1996-06-0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ケーブル用導体接続装置
FR2729506A1 (fr) * 1995-01-12 1996-07-19 Simel Jonction pour le raccordement permanent de cables electriques
EP0763873B1 (de) * 1995-09-18 1999-04-28 Electro-Terminal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mindestens eines elektrischen Anschlussdrahtes eines von einem Gehäuse umgebenen elektrischen Gerätes mit einer entsprechenden Leitungsader eines ausserhalb des Gehäuses befindlichen elektrischen Kabels
US5821463A (en) * 1996-06-14 1998-10-13 The Whitaker Corporation Mechanical connector splice for cable
US5683273A (en) * 1996-07-24 1997-11-04 The Whitaker Corporation Mechanical splice connector for cable
JP2985146B2 (ja) * 1996-08-19 1999-11-29 中部電力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部材
US5695369A (en) * 1996-10-03 1997-12-09 Swenson, Sr.; Roger M. Quick multiple connect electrical connector
JP3430842B2 (ja) * 1997-03-10 2003-07-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端末の保護具
US5885104A (en) * 1997-05-28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JP3551773B2 (ja) * 1997-12-16 2004-08-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保持具
DE19825570C1 (de) 1998-06-08 1999-11-11 Porsche Ag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Scheinwerfereinstellung
JP2000115980A (ja) * 1998-10-05 2000-04-2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電力ケーブル用差込形接続部
US6099245A (en) * 1998-10-30 2000-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Tandem airfoils
US6071145A (en) * 1999-02-01 2000-06-06 Toly; Elde V. Contact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01008352A (ja) * 1999-04-23 2001-01-12 Central Japan Railway Co 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
US6099345A (en) 1999-04-23 2000-08-08 Hubbell Incorporated Wire spacers for connecting cables to connectors
JP2000353567A (ja) * 1999-06-10 2000-12-19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US6364721B2 (en) * 1999-12-27 2002-04-02 Stewart, Iii Kenneth G. Wire connector
EP1180823B1 (de) * 2000-08-09 2004-06-0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belanschluss- oder -verbindungseinrichtung
US6627818B2 (en) * 2000-10-02 2003-09-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protector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E60042553D1 (de) * 2000-11-10 2009-08-27 Nexans Kabelverbindung mit einem halbleitenden rohrförmigen Zusammenbau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latt abgeschirmten Verbinders
US6814630B1 (en) * 2001-10-05 2004-11-09 Swenco Products, Inc. No-crimp reus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DE102004009207A1 (de) * 2004-02-25 2005-09-08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Kabelverbinder-Block
JP4354338B2 (ja) 2004-06-07 2009-10-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多心光コネクタ組立体
EP1622424A1 (de) * 2004-07-28 2006-02-01 Thermon Europe B.V. Verbindungsmuffe für Heizle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6610A (es) 2009-06-30
CN101569061B (zh) 2014-06-25
EP1936746A1 (en) 2008-06-25
US20100022119A1 (en) 2010-01-28
RU2399127C1 (ru) 2010-09-10
JP2010514408A (ja) 2010-04-30
US7789718B2 (en) 2010-09-07
CN101569061A (zh) 2009-10-28
KR101327578B1 (ko) 2013-11-12
BRPI0720479A2 (pt) 2014-01-14
WO2008079588A1 (en) 2008-07-03
JP5102845B2 (ja) 2012-12-19
CA2673292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578B1 (ko)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US6817910B2 (en) Thermoplastic molded set screw connector assembly
US7568943B2 (en) Sealing and retaining cable attachment for telecommunications closures
US6881901B2 (en) Connection cover
CN102668245B (zh) 电气分配装置
US7959475B2 (en) Cable-arraying for connectors
KR20070057159A (ko)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RU2005110992A (ru) Узел блок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нергии
US4314094A (en) Cable seal splice enclosure
US6591055B1 (en) Sheath bonding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 splices
US6969284B2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compact servomotor
US5691508A (en) Enclosure for spliced multiconductor cable
US5846101A (en)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electrical equipment
EP1569302B1 (en) Cable-junction block
US4159159A (en) Terminal module with dual binding post terminals
US6299485B1 (en) Armor stop for metal clad cable connector
US6347956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US4434569A (en) Connector housing for neon tubing
US10535964B1 (en) Power cable adaptor
US6294737B1 (en) Reusable closure for wire splices
AU2022205178A1 (en) Cable Terminator
US20060030210A1 (en) Sealed cartridge electrical interconnect
JPH0521104A (ja) 電線接続装置
JPH09147992A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