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658A - 방수형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형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658A
KR20090091658A KR1020090014370A KR20090014370A KR20090091658A KR 20090091658 A KR20090091658 A KR 20090091658A KR 1020090014370 A KR1020090014370 A KR 1020090014370A KR 20090014370 A KR20090014370 A KR 20090014370A KR 20090091658 A KR20090091658 A KR 2009009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wire
housing
co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미 시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9009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 높은 방수성을 갖는 방수형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메인하우징(110)에 있어서의 감합철부(112)의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로 확장되는 헤드부(11)가 전선(20)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수용부(1110)를 갖는다. 또한, 그 헤드부(111)를 덮는 덮개하우징(120)이 전선단수용부(111)를 덮는 전선단덮개부(1210)를 갖는다. 그리고 그 전선단수용부(1110)가 이 전선단수용부(1110)의 저부에서 당해 전선단수용부(1110)에 수용되는 전선(20)의 일단의 덮개하우징(120)측에까지 돌출하고 전선(20)의 일단과 전선단덮개부(1210)와의 사이에 확장되는 전선계지부(1112)를 갖는다.
방수형 전기커넥터, 메인하우징, 덮개하우징, 감합철부, 감합요부, 헤드부, 전선, 전선단수용부, 전선단덮개부, 전선계지부, 핫멜트부재

Description

방수형 전기커넥터{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에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형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의 접속부분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백장치는 점화장치에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폭발을 일으키고, 폭발로 발생한 가스를 에어백에 충전하는 것이다. 에어백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전선은 전기커넥터를 통해 점화장치 측의 상대커넥터에 접속된다. 최근, 에어백장치는 차량 실내의 스테어링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커튼에어백이나 사이드에어백으로서 도어의 내부에도 설치되고 있다. 실내에 비해 결로 등이 발생하기 쉬운 도어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에는 물이 직접 스며드는 가능성을 대비하는 수밀성뿐 아니라 전기커넥터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기밀성도 겸하여 대비한 방수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출되는 전선을 끼운 상태의 절연하우징의 외측을 금형 성형에 의해 핫멜트부재로 덮음으로써 절연하우징과 일체로 핫멜트 부재가 성형 된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제안된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절연하우징이 함께 절연성 합성수지로 성형 된 메인하우징 및 덮개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메인하우징은 전선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수용부를 갖는다. 전선단수용부의 양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하우징은 메인하우징의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에 확장되는 부분(이하 이 부분을 헤드부라고 칭함)을 덮는 것으로 메인하우징의 전선단수용부를 덮는 전선단덮개부를 갖는다. 전선단덮개부의 양단에는 잠금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는 헤드부를 덮은 덮개하우징이 그 헤드부로 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절연하우징은 메인하우징의 전선단수용부와 덮개하우징의 전선단덮개부에서 콘택트의 전선접속부 및 전선을 끼워 유지한다.
핫멜트부재는 메인하우징과 덮개하우징과의 경계부분 및 전선을 끼운 부분의 쌍방을 포함하는 메인하우징의 일부와 덮개하우징의 전면을 덮고 있다. 즉 전선의 절연피복은 핫멜트부재로 메인하우징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방수형 전기커넥터에서의 저배화의 요청에 의해 덮개하우징이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된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저배화의 요청에 의해 덮개하우징이 얇은 두께로 되어 있고 이 덮개하우징을 이탈방지하는 잠금부재가 전선단덮개부의 양단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전선이 인장 되는 등으로 인해 전선에 전선을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면 덮개하우징이 휘어버린다. 또한, 이 휨의 양이 크면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덮개하우징이 떨어져 나갈 염려가 있다. 덮개하우징이 휘어버리거나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덮개하우징이 떨어져 나가면 절연하우징으로부터 핫멜트부재가 벗겨질 염려가 있다. 그리고 핫멜트부재가 벗겨져 버리면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방수성을 상실해 버린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핫멜트부재의 벗겨짐 방지는, 덮개하우징의 강성을 높이기도 하고 접착면적을 증대하여 접착력을 높임으로써 대처가능하고 이에 따라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높은 방수성을 갖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대처법으로는 방수형 전기커넥터의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 높은 방수성을 갖는 방수형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되는 감합철부와, 이 감합철부의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로 확장되는 헤드부를 갖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도출되는 절연피복된 전선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감합철부에 수용되는 콘택트와,
상기 헤드부를 덮는 덮개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덮개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전선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수용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덮개하우징이 상기 전선단수용부를 덮는 전선단덮개부를 갖고 상기 전선의 일단이 상기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전선단덮개부에 덮여 해당 전선단수용부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단수용부가 해당 전선단수용부의 저부로부터 해당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의 상기 덮개하우징측에까지 돌출하여 해당 전선의 일단과 상기 전선단덮개부와의 사이로 확장되고, 해당 전선에 해당 전선을 해당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때에, 해당 전선단수용부 내의 전선의 일단을 계지하여 해당 전선의 일단의 들어올림을 방지하는 전선계지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메인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철부의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로 확장되는 헤드부가 전선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수용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그 헤드부를 덮는 덮개하우징이 전선단수용부를 덮는 전선단덮개부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수 형 전기커넥터는 그 전선단수용부가 그 전선단수용부의 저부로부터 해당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의 덮개하우징측에까지 돌출하여 전선의 일단과 전선단덮개부의 사이로 확장되는 전선계지부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에 의하면 전선에 해당 전선을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도 전선계지부에 의해 전선단수용부 내의 전선의 일단이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단수용부 내에서 전선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전선의 일단의 들어올림이 방지된다. 즉 그 힘이 작용하더라도 그 힘이 덮개하우징에 직접 전달되어 덮개하우징이 휘어버리는 것이 회피되고 핫멜트부재의 벗겨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높은 방수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전선에 해당 전선을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면 이 힘은 전선계지부가 설치된 전선단수용부에 전달되고, 나아가 전선단수용부를 통해 해당 전선단수용부를 덮는 전선단덮개부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감합철부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그 힘이 전선단수용부 내에서 전선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전선의 일단이 들어올려질 만큼 강한 힘인 경우에는 전선단수용부 및 전선단덮개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전선단수용부와 전선단덮개부와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는 일체로 되어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려지게 되는 전선단수용부 및 전선단덮개부의 쌍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절연하우징으로부터 핫멜트부재가 벗겨지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방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상기 전선단덮개부가 상기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과 상기 전선계지부와의 사이에 파고들고 해당 전선에 해당 전선을 상기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때에 상기 전선단덮개부의 들어올림을 방지하는 손톱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과 전선계지부와의 사이에 파고드는 손톱부에 따라서 해당 전선에 해당 전선을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전선단덮개부의 들어올려짐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감합철부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그 힘이 전선단수용부 내에서 전선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전선의 일단이 들어올려 질만큼 강한 힘인 경우에는 전선단수용부 및 전선단덮개부가 확실하게 일체가 되어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핫멜트부재가 보다 더 벗겨지지 어렵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상기 전선단수용부 및/또는 상기 전선단덮개부가 관통공을 갖고,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덮개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유입하여 전선단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 주위에 충전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스퀴브커넥터는 이러한 충전이 행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절연하우징으로부터 핫멜트부재가 벗겨져 버린 때에, 전선단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 주위에 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와 같은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관통공으로부터 유입하여 전선단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 주위에 충전된 핫멜트 부재에 의해 방수형 전기커넥터의 방수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전선단수용부 및 상기 전선단덮개부를 덮는 제1부분과 상기 헤드부 내의 상기 전선단수용부를 제외하는 부분 및 상기 덮개하우징 내의 상기 전선단덮개부를 제외하는 부분을 덮는 제2부분을 갖고,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감합철부와 상기 헤드부와의 경계부분에 상기 전선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핫멜트부재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의 경계부분의 표면에 나타난 돌출벽을 갖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핫멜트부재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의 경계부분의 표면에서의 핫멜트부재에 의한 엣지부가 해소된다. 그 때문에 전선에 해당 전선을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해도 돌출벽 근방의 핫멜트부재에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핫멜트부재가 보다 더 벗겨지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당해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상기 전선을 차량에어백의 점화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스퀴브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높은 방수성을 갖기 때문에 결로를 발생시키기 쉬운 부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튼에어백이나 사이드에어백의 스퀴브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높은 방수성을 갖는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의 일 실시형태인 스퀴브(Squib)커넥터(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은 스퀴브커넥터(1)를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스퀴브커넥터(1)를 감합면에 대한 반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스퀴브커넥터(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4-4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의 6-6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의 6-6선은 전선(20)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나타난 스퀴브커넥터(1)에 핫멜트부재(50)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8은 그 상태에서의 감합면에 대한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 도 8에 나타난 상태에서 덮개하우징(120)을 떼어내어 페라이트코어(40)를 철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메인하우징(110)의 외관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 (e)는 감합면에 대한 반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스퀴브커넥터(1)는 차량에어백의 점화장치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상대커넥터에 전선(20)을 접속하는 것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브커넥터(1)는 절연하우징(10), 씰부재(60) 및 핫멜트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하우징(10)은 상대커넥터의 감합 요부에 감합하는 감합요부(11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브커넥터(1)의 절연하우징(10) 내부에는 절연피복된 전선(20)의 일단에 접속된 콘택트(30)와 노이즈흡수를 위한 페라이트코어(40)도 구비되어 있다. 콘택트(30) 및 페라이트코어(40)는 절연하우징(10)의 감합철부(112) 내에 형성된 콘택트수용실(1124)에 수용되어 있다. 감합철부(112)의 선단(1122)에는 콘택트수용실(1124)을 외부로 연통하는 접속공(1125)이 형성되어 있다. 스퀴브커넥터(1)가 상대커넥터에 접속되는 때에는 상대커넥터의 수형커넥터가 이 접속공(1125)을 관통해 콘택트수용실(1124)에 삽입되어 콘택트(30)에 접한다.
다음으로, 스퀴브커넥터(1)를 구성하는 부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콘택트(3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대커넥터의 수형콘택트와 감합하는 암형콘택트이며 금속판을 타발가공, 굴곡가공 및 도금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다. 콘택트(30)는 대략 L자형의 개략적인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대커넥터의 수형콘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31) 및 전선(20)의 일단에 접속되는 전선접속부(32)로 이루어진다. 전선접속부(32)는 전선(20)의 심선을 압착하는 심선압착부(321) 및 전선(20)의 절연피복을 압착하는 절연피복압착부(322)를 갖고 있다.
절연하우징(10)은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메인하우징(110) 및 덮개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절연하우징(10)의 메인하우징(110)은 도 6~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되는 원주상의 감합철부(112)와, 감합철부(112)의 상대커 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로 확장되는 헤드부(111)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부(111)에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도출되는 전선(20)의 일단에 접속된 전선접속부(32)가 수용되고 감합철부(112)에 콘택트(30)의 접촉부(31)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11)는 전선(20)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선단수용부(1110)를 갖는다. 전선단수용부(1110)의 양 측면에는 돌기(1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3에도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의 감합철부(112)의 외주면(1123)에는 잠금부(1121)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1121)는 감합철부(112)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때에 이탈방지하는 것으로 메인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하우징(10)의 덮개하우징(120)은 도 6~도 9에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의 헤드부(111)를 덮는 것이다. 또한, 덮개하우징(120)은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를 덮는 전선단덮개부(1210)를 갖는다. 전선단덮개부(1210)의 양단에는 잠금부재(1211)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1121)는 헤드부(111)를 덮은 덮개하우징(120)이 헤드부(1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절연하우징(10)은 도 4~도 8에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와 덮개하우징(120)의 전선단덮개부(1210)로 콘택트(30)의 전선접속부(32) 및 전선(20)을 끼워넣어 유지한다. 즉 전선(20)의 일단이 전선단수용부(1110)에 수용되어 전선단덮개부(1210)에 덮여 전선단수용부(1110)에서 도출된다.
또한,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는 도 5~도 10에 나타낸 것 같 이 이 전선단수용부(1110)의 저부에서 당해 전선단수용부(1110)에 수용되는 전선(20)의 일단의 덮개하우징(120)측에까지 돌출하고 전선(20)의 일단과 덮개하우징(120)의 전선단덮개부(1210)와의 사이에 확장되는 전선계지부(1112)를 갖는다. 따라서 전선(20)에 전선(20)을 덮개하우징(120)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해도, 즉 전선(20)이 상향(도 5, 6에서의 화살표A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전선(20)에 상향(도 5, 6에서의 화살표A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전선계지부(1112)에 의해 전선단수용부(1110) 내의 전선(20)의 일단이 계지되기 때문에 전선단수용부(1110) 내에서 전선계지부(1112)에 의해 계지된 전선(20)의 일단의 들어올림이 방지된다. 즉, 그 힘이 작용하더라도 그 힘이 덮개하우징(120)에 직접 전달되어 덮개하우징(120)이 휘어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덮개하우징(120)의 전선단덮개부(1210)는 도 6, 도 9에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에 수용되는 전선(20)의 일단과 전선계지부(1112)와의 사이에 파고드는 손톱부(1212)를 갖는다. 이 손톱부(1212)는 잠금부재(1211)와 협동하여 덮개하우징(120)이 헤드부(1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선(20)에 상향(도 5, 6에서의 화살표A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때에 전선단덮개부(1210)의 들어올림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는 도 5~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것 같이 핫멜트부재(50)가 형성되기 전, 더욱이 전선단수용부(1110)에 콘택트(30)의 전선접속부(32) 및 전선(20)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전선접속부(32)의 심선압착부(321)가 노출하는 위치에 관통공(1113)을 갖는다. 또한, 메인하우징(110)은 도 7~도 10에 나타낸 것 같이 감합철부(112)와 헤드부(111)와의 경계부분에 전선(20)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벽(113)을 갖는다. 그리고 관통공(1113) 및 돌출벽(113)에 대해서는 핫멜트부재(5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핫멜트부재(50)는 금형성형에 의해 절연하우징(10)과 일체화하도록 성형된다. 핫멜트부재(50)는 도 1~도 6에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과 덮개하우징(120)과의 경계부분 및 도출되는 전선(20)을 끼워넣은 부분의 쌍방을 포함하는 메인하우징(110)의 일부와 덮개하우징(120)의 전면을 덮고 있다. 즉 전선(20)의 절연피복은 핫멜트부재(50)로 절연하우징(10)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핫멜트부재(5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핫멜트나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가 이용된다. 또한, 핫멜트부재(50)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금형성형에 의해 절연하우징(10)과 일체화하도록 성형가능하며 저압으로 단시간에 성형가능하고 절연하우징(10)을 구성하는 수지재료와의 친화성이 높고 금형에 부착하지 않는 재료이면 좋다.
또한, 핫멜트부재(50)는 도 5, 도 6에 나타낸 것 같이 메인하우징(110)의 전선단수용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1113)으로부터 유입하여 전선단수용부(1110) 내에 수용되는 전선접속부(32)의 심선압착부(321)를 포함하는 전선(20)의 일단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다. 종래의 스퀴브커넥터는 이러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절연하우징으로부터 핫멜트부재가 벗겨진 때에 전선접속부의 심선압착부를 포함하는 전선의 일단의 주위에 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퀴브커넥터(1)에 의하면 관통공(1113)으로부터 유입하여 전선단수용부(1110) 내에 수용되 는 전선(20)의 일단의 주위에 충전된 핫멜트부재(50)에 의해 스퀴브커넥터(1)의 방수성이 유지된다.
또한, 핫멜트부재(50)는 도 1~도 6에 나타낸 것 같이 전선단수용부(1110) 및 전선단덮개부(1210)를 덮는 제1부분(51)과, 메인하우징(110)의 헤드부(111) 내의 전선단수용부(1110)를 제외하는 부분 및 덮개하우징(120) 내의 전선단덮개부(1210)를 제외하는 부분을 덮는 제2부분(52)을 갖는다. 그리고 메인하우징(110)의 감합철부(112)와 헤드부(111)와의 경계부분에 돌출한 돌출벽(113)이 핫멜트부재(50)의 제1부분(51)과 제2부분(52)과의 경계부분의 표면에 나타내어져 있다. 따라서 핫멜트부재(50)의 제1부분(51)과 제2부분(52)과의 경계부분의 표면에서의 핫멜트부재(50)에 의한 엣지부가 해소된다. 그로 인해 전선(20)에 상향(도 5, 6에서의 화살표A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돌출벽(113) 근방의 핫멜트부재(50)에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절연하우징(10)으로부터 핫멜트부재(50)가 벗겨지기 어렵다.
씰부재(60)는 감합철부(112)의 선단(1122) 근방의 외주면(1123)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씰부재(60)는 형성완료된 메인하우징(110)의 외주면(1123)에 실리콘고무를 예를 들면 인서트몰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고무는 인서트몰드공정으로 메인하우징(110)에 접착하고, 메인하우징(110)과 일체인 씰부재(60)가 된다. 그리고 씰부재(60)는 2색 형성에 의해 메인하우징(110)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씰부재(60)는 외주면(1123)의 일부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최외주에는 리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부(61)는 외주면(1123) 보다도 돌출되어 있고 씰부재(60)의 외경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즉 씰부재(60)는 감합철부(112)가 감합요부에 삽입된 때에 감합요부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퀴브커넥터(1)의 제조는 우선 페라이트코어(40)와 전선(20)에 접속된 콘택트(30)가 메인하우징(110)의 콘택트수용실(1124)에 수용되고 이어서 메인하우징(110)에 덮개하우징(120)이 장치되어 절연하우징(10)의 외측에 핫멜트부재(50)가 형성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스퀴브커넥터(1)는 전선(20)에 상향(도 5, 6에서의 화살표A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이 힘은 전선계지부(1112)가 설치된 전선단수용부(1110)에 전달된다. 더욱이 전선단수용부(1110)를 통해 당해 전선단수용부(1110)를 덮음과 동시에 손톱부(1212)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 전선단덮개부(1210)에 전달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스퀴브커넥터(1)의 감합철부(112)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그 힘이 전선단수용부(1110) 내에서 전선계지부(1112)에 의해 계지된 전선(20)의 일단이 들어올려질만틈 강한 힘인 경우에는 전선단수용부(1110) 및 전선단덮개부(1210)가 일체가 되어 덮개하우징(120)측에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11은 전선단수용부(1110) 및 전선단덮개부(1210)가 일체로 되어 덮개하우징(120)측에 들어올려진 상태의 스퀴브커넥터(1)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12-12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스퀴브커넥터(1)의 감합철부(112)가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도 11, 도 12에 나타내듯이 전선(20)에 작용하는 상향(도 11, 도 12 에서의 화살표A방향)의 힘이 전선단수용부(1110) 내에서 전선계지부(1112;도 6, 도 8 ~ 도 10 참조)에 의해 계지된 전선(20)의 일단이 들어올려 질만큼 강한 힘인 경우에 전선단수용부(1110)와 전선단덮개부(1210)와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50)는 일체가 되어 상향(도 11, 도 12에서의 화살표A방향)에 들어올려지게 되는 전선단수용부(1110) 및 전선단덮개부(1210)의 쌍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서도 핫멜트부재가 벗겨지기 어렵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퀴브커넥터(1)에 의하면,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전선(20) 일단의 들어올림이 방지됨과 함께 절연하우징(10)으로부터 핫멜트부재(50)가 벗겨지기 어렵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스퀴브커넥터(1)는 저배화가 방해되거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높은 방수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스퀴브커넥터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에 적용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커넥터는 결로를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도 사용가능하므로 차량에어백의 점화장치에 접속하는 스퀴브커넥터에 적용되는 경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튼에어백 또는 사이드에어백의 스퀴브커넥터로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하우징의 전선단수용부가 관통공을 갖는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선단수용부 및/또는 전선단덮개부가 관통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단, 덮개하우징의 전선단덮개부에 관통공을 설치하면 전선단덮개부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메인하우징의 전선단수용부에 관통 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스퀴브커넥터를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스퀴브커넥터를 감합면에 대한 반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스퀴브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 도 3의 4-4단면도이다.
도 5 도 3의 5-5단면도이다.
도 6 도 2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도 1~도 6에 나타내는 스퀴브커넥터에 핫멜트부재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그 상태에서의 감합면에 대한 반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도 7,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덮개하우징을 떼내어 페라이트코어를 철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메인하우징의 외관도이다.
도 11 전선단수용부 및 전선단덮개부가 일체로 되어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려진 상태의 스퀴브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2 도 11의 12 -12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퀴브커넥터(방수형 전기커넥터) 10 : 절연하우징
110 : 메인하우징 111 : 헤드부
1110 : 전선단수용부 1111 : 돌기
1112 : 전선계지부 1113 : 관통공
112 : 감합철부 1121 : 잠금부재
1122 : 선단 1123 : 외주면
1124 : 콘택트수용실 1125 : 접속공
113 : 돌출벽 120 : 덮개하우징
1210 : 전선단덮개부 1211 : 잠금부재
1212 : 손톱부 20 : 전선
30 : 콘택트 31 : 접촉부
32 : 전선접속부 321 : 심선압착부
322 : 절연피복압착부 40 : 페라이트코어
50 : 핫멜트부재 51 : 제1부분
52 : 제2부분 60 : 씰부재
61 : 리프부

Claims (5)

  1. 상대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되는 감합철부와, 해당 감합철부의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의 후부로 확장되는 헤드부를 갖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도출되는 절연피복된 전선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감합철부에 수용되는 콘택트와, 상기 헤드부를 덮는 덮개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덮개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전선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수용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덮개하우징이 상기 전선단수용부를 덮는 전선단덮개부를 갖고 상기 전선의 일단이 상기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전선단덮개부에 덮여 해당 전선단수용부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단수용부가 해당 전선수용부의 저부로부터 해당 전선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의 상기 덮개하우징측에까지 돌출하여 해당 전선의 일단과 상기 전선단덮개부와의 사이에 확장되고, 해당 전선에 해당 전선을 해당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때에, 해당 전선단수용부 내의 전선의 일단을 계지하여 해당 전선의 일단의 들어올림을 방지하는 전선계지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단덮개부가 상기 전선단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과 상기 전 선계지부와의 사이에 파고들고, 해당 전선에 해당 전선을 상기 덮개하우징측에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때에 상기 전선단 덮개부의 들어올림을 방지하는 손톱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단수용부 및/또는 상기 전선단 덮개부가 관통공을 갖고,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덮개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유입하여 전선단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단 주위에 충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전선단수용부 및 상기 전선단 덮개부를 덮는 제1부분과 상기 헤드부 중의 상기 전선단수용부를 제외하는 부분 및 상기 덮개하우징 중의 상기 전선단덮개부를 제외하는 부분을 덮는 제2부분을 갖고,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감합철부와 상기 헤드부와의 경계부분에 상기 전선이 도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핫멜트부재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의 경계부분의 표면에 나타난 돌출벽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당해 방수형 전기커넥터가 상기 전선을 차량에어백의 점화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스퀴브커넥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커넥터.
KR1020090014370A 2008-02-25 2009-02-20 방수형 전기커넥터 KR20090091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3314A JP5173485B2 (ja) 2008-02-25 2008-02-25 防水型電気コネクタ
JPJP-P-2008-043314 2008-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658A true KR20090091658A (ko) 2009-08-28

Family

ID=4089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370A KR20090091658A (ko) 2008-02-25 2009-02-20 방수형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0164B2 (ko)
JP (1) JP5173485B2 (ko)
KR (1) KR20090091658A (ko)
DE (1) DE102009009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206B2 (ja) * 2010-03-24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照明器具
JP5559635B2 (ja) 2010-08-09 2014-07-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電気コネクタ、防水型電気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5689000B2 (ja) 2011-03-16 2015-03-25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コネクタ、電子機器のプラグ及び電子機器の防水構造
CN103959572B (zh) * 2011-10-20 2016-04-20 德尔福国际业务卢森堡公司 安全气囊连接器系统
WO2014147761A1 (ja) 2013-03-19 2014-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US11239601B2 (en) * 2019-12-04 2022-02-01 Kiekert Ag Housing for use in motor vehicles
US11688959B2 (en) * 2021-08-11 2023-06-2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sitive lock sealed termin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319B2 (ja) 1992-07-13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JP3247932B2 (ja) * 1996-12-27 2002-01-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点火管コネクタ
US6981895B2 (en) * 1999-08-23 2006-01-03 Patrick Potega Interface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JP2001076808A (ja) * 1999-09-09 2001-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699078B2 (en) * 2001-12-21 2004-03-02 Emerson Electric Co. Connector block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for a terminal assembly
JP4267518B2 (ja) 2004-05-13 2009-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6221920A (ja) * 2005-02-09 2006-08-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7122941A (ja) * 2005-10-26 2007-05-17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4713380B2 (ja) * 2006-03-24 2011-06-2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スクイブコネクタ
DE202006008838U1 (de) * 2006-06-03 2007-10-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teckerteil und einem Buchsenteil
US7481584B2 (en) * 2006-06-30 2009-01-27 Ocean Design, Inc. Dry mate connector
DE202007001070U1 (de) * 2007-01-18 2007-03-29 Schmitt, Fred R. Elektrische Verkab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0164B2 (en) 2010-03-02
JP2009200010A (ja) 2009-09-03
DE102009009930A1 (de) 2009-08-27
JP5173485B2 (ja) 2013-04-03
US20090215300A1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1658A (ko) 방수형 전기커넥터
KR101332041B1 (ko) 방수형 전기 커넥터
US9190767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US20100178805A1 (en) Shielding connector
US8529278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ethod
JP5242112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CN109088223B (zh) 包含树脂的密封件和防水连接器
JP539083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コネクタ
JP2009165216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
WO2012032823A1 (ja) 防水コネクタ
JP2014013657A (ja)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端子の止水方法
WO2007097394A1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防水構造
JP2009032589A (ja) 電気器具、及び該電気器具の製造方法
KR20140052037A (ko)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54804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7967625B2 (en) Packing protection cap and connector
CN111628364B (zh) 连接器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JP5157830B2 (ja) ダミーコネクタ
CN210806164U (zh) 一种摄像头防水车载连接器
JPH11329564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06179377A (ja) 電気信管点火装置用コネクタ
KR20100000261U (ko) 커넥터
JP2009093935A (ja) 防水ソケット
JP2004356013A (ja) 圧接端子及びシール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