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913A -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913A
KR20090090913A KR1020080016472A KR20080016472A KR20090090913A KR 20090090913 A KR20090090913 A KR 20090090913A KR 1020080016472 A KR1020080016472 A KR 1020080016472A KR 20080016472 A KR20080016472 A KR 20080016472A KR 20090090913 A KR20090090913 A KR 2009009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memory unit
uni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290B1 (ko
Inventor
이승권
서진만
최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290B1/ko
Priority to US12/240,710 priority patent/US8073355B2/en
Priority to CN201410709715.4A priority patent/CN104360587B/zh
Priority to CNA2008101667657A priority patent/CN101515134A/zh
Priority to RU2008148632/28A priority patent/RU2420775C2/ru
Priority to BRPI0805360-0A priority patent/BRPI0805360B1/pt
Priority to EP09152590.7A priority patent/EP2101226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카트리지의 상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가지는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매체;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현상장치는, 현상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제를 상기 현상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현상제카트리지;를 포함하며, 현상제카트리지는 현상제카트리지가 현상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교체, CRUM, 상태, 메모리, 노출, 장착, 토너통.

Description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MEMORY UNIT,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원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현상카트리지에 대해 교체 가능한 메모리부를 가지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린터, 복사기, 팩스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로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기능을 거듭함에 따라 현상제가 소모됨으로써, 현상제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는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교체될 경우, 교체가 필요한 현상제 뿐만 아니라 현상카트리지에 내장되는 현상동작을 위한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 등도 함께 교체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현상카트리지에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유무, 현상제 잔량 판단 및/또는 인쇄정보 판단 등을 위해 소정 정보가 저장되는 예컨대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과 같은 메모리수단이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현상카트리지에는 내장된 부품들과 이 부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장착되며, 이러한 부품들과 구동수단의 장착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상기 CRUM이 화상형성장치와 신호 교환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CRUM의 설치를 위한 소정영역이 현상카트리지에 요구되며, 이는 현상카트리지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그러므로, 상기 CRUM이 현상카트리지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화상형성장치와 안정적으로 신호교환 할 수 있는 적소에 CRUM을 설치하여 소형화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현상카트리지에 대해 교체 가능한 현상제카트리지의 노출면(동력전달부 반대면)에 메모리부를 부착하여 현상제카트리지 소형화 및 안정된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소정 깊이를 가지는 장착홈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장착홈을 통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장착홈을 통해 상기 현상카트리지로부터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회전축을 가지는 복수의 현상제이송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장착홈을 통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홈에는 장착방향과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는 상기 장착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측 으로 돌출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축을 가지고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현상제 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자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단자에 비해 길이가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단자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자들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 1 단자는 전압 인가 단자이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마련된 제 4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4 단자 중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저면과 인접한 하측의 제 4 단자는 다른 단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4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단자는 각각 데이터 전송 단자와 해당 클럭 단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경사면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 리부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매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장치는,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제를 상기 현상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현상제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상제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카트리지 본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현상제 이동부재; 상기 현상제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전달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현상제카트리지는,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카트리지 본체; 및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메모리부는, 제 1 유닛에 제 1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2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유닛에 제 2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3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닛과 제 3 유닛을 상호 신호 교환시키는 메모리부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 3 유닛이 상기 제 2 유닛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 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유닛에 대한 상기 제 2 유닛의 장착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내장된 현상제카트리지만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현상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현상카트리제에 장착된 현상제카트리지의 노출면에 현상제카트리지의 상태 판단을 위한 메모리부가 설치됨으로써, 메모리부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안정된 접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부가 현상제카트리지 내부의 현상제 이동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전달부의 반대면에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현상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일련의 부품들 예컨대, 급지장치, 정착장치, 이송장치 등이 내장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내장되는 인쇄동작을 위한 부품들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현상장치(100)는 도 2와 같이 현상카트리지(110)와 현상제카트리 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10)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내부가 커버(11)와 같은 개폐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상기 현상카트리지(110)가 A1방향으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치홈(12)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의 용이한 장착을 위해,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112)가 마련된다. 이 손잡이(112)는 상기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된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110) 측으로 접혀지고, 상기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현상카트리지(110)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도 3a 및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손잡이(112)의 일단은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에 고정되는 고정단이며, 타단은 고정단에 대해 회전 가능한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10)는 도 2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의 내부에는 감광매체(20), 감광매체(20)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13) 및 현상롤러(113)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14)가 지지된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113) 및 공급롤러(114)는 양축이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의 양측 내벽에 지지되는 회전축(113a)(114a)들을 각각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광매체(20)가 현상카트리지(110)에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감광매체(20)가 현상카 트리지 본체(111)가 아닌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110)는 상기 현상롤러(113) 및 공급롤러(114)의 회전축(113a)(114a)들과 직교하는 방향인 A1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치홈(12)에 진입하여 장착된다. 이로써,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의 양측 외측면은 설치홈(12)과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사이의 단차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에는 후술할 현상제카트리지(120)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소정매수의 인쇄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소정량의 현상제가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는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에는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17)은 도 3a와 같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가 현상롤러(113) 및 공급롤러(114)들의 회전축(113a)(114a)들과 평행한 방향인 B1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A1)을 제 1 방향으로 지칭할 경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가 현상카트리지(110)에 장착되는 방향(B1)은 제 2 방향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17)에는 도 3a와 같이,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장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의 장착가이드홈(117a)(117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에는 장착홈(117)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장착가이드홈(117a)(117b)에 대응되는 장착가이드(124)(12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117)의 양측면에 2개의 장착가이드홈(117a)(117b)이 형성되고, 현상제카트리지(120)에는 2개의 장착가이드홈(117a)(117b)에 대응되는 2개의 장착가이드(124)(1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의 현상제가 장착홈(117)을 통해 외부로 누출됨을 차단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장착홈(117)과 대응되는 막음부재가 장착홈(117)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를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로 공급시키는 현상제 이송부재(1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의 하면에 형성된 현상제 공급홀(123)(도 2 참고)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의 현상제 수용실(121)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부재(122)에 의해 현상제 공급홀(123) 측으로 이송되어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로 공급된 후, 공급롤러(114)와 현상롤러(113)를 차례로 거쳐 감광매체(20)의 정전잠상을 현상시킨다. 이때,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에는 현상제 공급홀(123)을 통해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로 공급된 현 상제를 공급롤러(114)로 공급시키기 이전에 교반시켜 골고루 공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교반부재(115)(1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카트리지(110)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113), 공급롤러(114), 제 1 및 제 2 교반부재(115)(116)은 현상카트리지(110)의 현상제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현상제이송수단들이다.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는 도 4와 같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가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에 장착됨으로써, 구동력을 현상카트리지(110)로부터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의 구동력 전달은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삽입방향(B)을 기준으로 장착홈(117) 측으로 먼저 삽입되는 일단(120a)(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단"이라고 지침함)을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의 종동축(122a)이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선단(120a)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종동축(122a)과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의 구동축(110a)과 연결됨으로써, 현상제 이송부재(122)가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는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의 현상롤러(113) 및/또는 공급롤러(114)들의 구동력을 도시되지 않은 기어열을 통해 전달받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에는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모리부(130)가 설치된다. 이 메모리부(130)는 현상카트리지(110)에 대한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장착유무 판단, 현상제 소모량 판단 및/또는 인쇄정보 판단 을 위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신호 교환 가능한 부재이다.
이러한 메모리부(130)는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현상제카트리지(120) 중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외부로 노출되는 측에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안정된 접점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130)는 도 3a 및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의 장착홈(11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인 장착방향(B1)을 기준으로 현상제카트리지(120)의 후단(120b)에 설치된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되는 A1방향과 평행한 소정 길이를 가지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마련되는 접점부(13)와 접촉되는 다수의 단자들(131)(132)(133)(134)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접점부(13)는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의 장착방향과 나란한 소정 길이를 가지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치홈(12) 측으로 돌출된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은 단자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단자들(131)(132)(133)(134)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134)는 다른 단자들(131)(132)(133)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이 긴 단자(134)는 접지단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단자들(131)(132)(133)(134)를 도 3a 및 도 3b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측부터 하측까지 각각 제 1 내지 제 4 단자(131)(132)(133)(134)로 각각 지칭할 경우, 제 1 단자(131)는 전압(VCC) 인가 단자, 제 2 단자(132)는 데이터 전송 단자, 제 3 단자(133)는 해당 클럭(Cluck) 단 자, 그리고, 제 4 단자(134)는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이다. 이러한 단자들(131)(132)(133)(134) 중 제 1 내지 제 3 단자(131)(132)(133)들 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아래쪽에 마련되는 제 4 단자(134)는 현상카트리지(110)의 장착과정 중 가장 먼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부착된 접접부(13)의 단자와 접촉되기 위해, 장착방향(A1) 측으로 타 단자들((131)(132)(133)에 비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현상카트리지(110)가 장착될 경우, 메모리부(130)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접점부(13) 사이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경사면(135)이 장착방향(A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35)는 현상카트리지(110)의 장착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과도한 장착력에 의한 단자들(131)(132)(133)(134)과 접점부(13) 사이의 접촉 충격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상카트리지(110)의 장착방향(A1)을 기준으로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될 때, 상기 경사면(135)이 경사각도에 의해 판스프링과 같이 설치홈(12) 측으로 돌출된 접점부(13)을 점차 가압시킴으로써, 경사면(135)에 가압된 접점부(13)와 메모리부(130)가 안정되게 접점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면(135)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현상카트리지(110)가 장착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마련된 접점부(13)를 점차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35)은 상기 장착방향(A1)을 기준으로, 메모리부(130)보다 전측에 마련되어 메모리부(130)가 접점부(13)와 접점되기 이전에 접점부(13) 를 가압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가 장착된 현상카트리지(1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현상제카트리지(120)의 메모리부(13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접점부(13)와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정되게 접점되어 신호 교환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는 메모리부(130)는 소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메모리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CRUM(Custer Replaceable Unit Monitor)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교체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내부의 현상제가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도 1과 같이, A2방향으로 현상카트리지 본체(111)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치홈(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도 3a와 같이 B2방향으로 현상제가 소진된 현상제카트리지(120)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현상제카트리지(120)를 도 3a의 B1방향으로 장착홈(117)을 따라 현상카트리지 본체(111)로 삽입시킨다.
상기 장착홈(117)에 현상제카트리지(120)가 완전히 장착되면, 도 3b와 같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의 후단(120b)에 설치된 메모리부(130)는 장착홈(117)을 통해 현상카트리지 본체(111)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장착홈(117)을 따라 삽입된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선단(120a)으로부터 돌출된 현상제 이송부재(122)의 종동축(122a)이 현상카트리지 본체(111)의 구동축(110a)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122)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현상제카트리지(120)로 교체된 현상카트리지(110)는 도 1의 A1방향으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치홈(1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의 메모리부(130)는 현상카트리지(110)의 삽입방향(A1)와 나란한 소정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접점부(13)와 안정된 점접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130)와 접점부(13)의 접점에 의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120)의 장착유무, 현상제 잔량 및/또는 인쇄정보와 같은 현상제카트리지(120)와 관련된 정보들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현상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현상카트리지에 현상제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현상카트리지에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형성장치 본체 12: 설치홈
13: 접점부 100: 현상장치
110: 현상카트리지 111: 현상카트리지 본체
120: 현상제카트리지 121: 현상제 수용실
122: 현상제 이송부재 130: 메모리부

Claims (39)

  1. 소정 깊이를 가지는 장착홈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장착홈을 통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장착홈을 통해 상기 현상카트리지로부터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회전축을 가지는 복수의 현상제이송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장착홈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는 장착방향과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는 상기 장착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현상제카 트리지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축을 가지고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현상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단자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평행하도 록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현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 1 단자는 전압 인가 단자이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마련된 제 4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4 단자 중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저면과 인접한 하측의 제 4 단자는 다른 단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4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및 제 3 단자는 각각 데이터 전송 단자와 해당 클럭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경사면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부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4.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매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장치는,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제를 상기 현상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현상제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 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장착홈을 통해 상기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는 장착방향과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는 상기 장착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현상카트리지 본체에 회전축들이 각각 지지되어 회전되는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 및
    상기 현상제 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시켜 상기 공급롤러로 이송시키는 현상제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카트리지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장착홈을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장착방향에 대한 선단으로 구동축이 돌출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평행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상기 메모리부와 접촉되는 접점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단자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다수의 단자들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평행하도록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 1 단자는 전압 인가 단자이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마련된 제 4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들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4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단자는 각각 데이터 전송 단자와 해당 클럭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접점부를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경사면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부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카트리지 본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현상제 이동부재;
    상기 현상제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전달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카트리지.
  30. 현상카트리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카트리지 본체; 및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카트리지.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장착방향을 기준으 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후단에 상기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카트리지.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에는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현상제 이동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제 이동부재는 상기 현상제카트리지 본체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선단으로 돌출된 종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현상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카트리지.
  33. 제 1 유닛에 제 1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2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유닛에 제 2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3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닛과 제 3 유닛을 상호 신호 교환시키는 메모리부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 3 유닛이 상기 제 2 유닛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유닛에 대한 상기 제 2 유닛의 장착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 중 상대적으로 상기 제 3 유닛의 저면과 인접한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 중 상대적으로 상기 제 3 유닛의 상면과 인접한 단자는 전압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이고, 상기 제 2 유닛은 현상카트리지이며, 상기 제 3 유닛은 현상제카트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7.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는 다수의 접점부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의 단자들과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상기 제 2 유닛이 장착될 때, 상기 접점부를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경사면이 상기 제 3 유닛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2 유닛의 장착방향인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부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부.
KR1020080016472A 2008-02-22 2008-02-22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10093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72A KR100933290B1 (ko) 2008-02-22 2008-02-22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12/240,710 US8073355B2 (en) 2008-02-22 2008-09-29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410709715.4A CN104360587B (zh) 2008-02-22 2008-10-27 存储器、调色剂盒、显影装置及具有上述部件的成像设备
CNA2008101667657A CN101515134A (zh) 2008-02-22 2008-10-27 存储器、调色剂盒、显影装置及具有上述部件的成像设备
RU2008148632/28A RU2420775C2 (ru) 2008-02-22 2008-12-09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онер-картридж,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меющих их
BRPI0805360-0A BRPI0805360B1 (pt) 2008-02-22 2008-12-10 Aparelho de revelação,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cartucho de toner, aparelho e dispositivo de memória
EP09152590.7A EP2101226B1 (en) 2008-02-22 2009-02-11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72A KR100933290B1 (ko) 2008-02-22 2008-02-22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13A true KR20090090913A (ko) 2009-08-26
KR100933290B1 KR100933290B1 (ko) 2009-12-22

Family

ID=4087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472A KR100933290B1 (ko) 2008-02-22 2008-02-22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73355B2 (ko)
EP (1) EP2101226B1 (ko)
KR (1) KR100933290B1 (ko)
CN (2) CN104360587B (ko)
BR (1) BRPI0805360B1 (ko)
RU (1) RU2420775C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88A1 (en) * 2014-03-12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5190665A1 (en) * 2014-06-09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and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WO2016056720A1 (en) * 2014-10-06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137229A (ko) * 2015-05-22 2016-11-3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9665059B2 (en) 2013-11-01 2017-05-30 S-Printing Solutions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0154B2 (en) * 2007-02-20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80734B1 (ko) 2011-09-09 2017-09-2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477773B1 (ko) * 2012-12-24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칩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인증 방법 및 통신 방법
US9924071B2 (en) 2011-09-09 2018-03-20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chip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and methods thereof
JP2013125096A (ja) * 2011-12-13 2013-06-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40963B2 (ja) * 2012-09-2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KR101585058B1 (ko) * 2014-03-12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348379B2 (ja) * 2014-08-28 2018-06-2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着脱ユニット
US10126704B2 (en) 2016-10-14 2018-11-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capable of suppressing variation in position of electrical contact surface
JP6880712B2 (ja) 2016-10-14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EP3642012A4 (en) * 2017-10-05 2021-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WITH ALIGNMENT HANDLE
JP7098929B2 (ja) * 2017-12-27 2022-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00025348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메모리 유닛을 수납하고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EP3977209A4 (en) * 2019-05-28 2023-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CARTRIDGE
US11237519B2 (en) * 2019-12-27 2022-02-0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nit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8873A (ja) 1984-05-11 1985-11-27 Fuji Xerox Co Ltd トナ−補給装置
US4974020A (en) 1986-09-30 1990-11-27 Mita Industrial Co. Removable developing units for a copying machine and display for indicating the useful life of the machine
JPS6491164A (en) 1987-10-02 1989-04-10 Ricoh Kk Developing device
US4967234A (en) 1987-11-10 1990-10-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65041B2 (ja) 1988-11-08 1999-10-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4961088A (en) 1989-04-20 1990-10-02 Xerox Corporation Monitor/warranty system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US5493366A (en) 1990-09-07 1996-02-20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3060725B2 (ja) 1992-06-30 2000-07-10 富士通株式会社 現像剤カ−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244992B2 (ja) 1994-03-15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63533B2 (ja) 1994-05-17 2002-03-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そのトナー収納装置
AU3426895A (en) 1994-10-17 1996-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22177A (ja) 1995-07-04 1997-01-21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ホッパー及び画像形成装置
US5722019A (en) 1996-01-29 1998-02-24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drum cartridge for receiving the toner cartridge therein
JPH10142910A (ja) 1996-11-08 1998-05-29 Katsuragawa Electric Co Ltd トナー供給方式
JP3037194B2 (ja) 1997-04-25 2000-04-24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へのトナーの供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968139B2 (en)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24513A (ja) 1997-06-27 1999-01-29 Canon Inc トナー補給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08166B2 (ja)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1728B2 (ja) 1997-11-06 2002-09-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721749B2 (ja) 1997-11-12 2005-11-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およびそのユニッ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検出方法
JP3604919B2 (ja) 1998-08-31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627528B2 (ja) 1998-09-02 2005-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JP4054521B2 (ja) 1999-11-29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02023570A (ja) * 2000-07-13 2002-01-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US6697578B2 (en) *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10043016B4 (de) 2000-09-01 2006-11-23 Walter Ag Bohrnutenfräser
KR100362390B1 (ko)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US6751428B2 (en) 2001-09-13 2004-06-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and detachably loaded process unit
JP3534104B2 (ja) 2001-12-20 2004-06-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4194298B2 (ja) *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35399B2 (en) * 2002-05-17 2004-05-11 Xerox Corporation Post-launch process optimization of replaceable sub-assembly utilization through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 programming
US6934492B2 (en) 2002-06-19 2005-08-23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82346B2 (ja) 2002-06-28 2007-09-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4170955A (ja) 2002-11-08 2004-06-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用メモリ媒体
JP4242667B2 (ja) 2003-02-28 2009-03-25 株式会社東芝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86951A (ja) * 2003-03-20 2004-10-14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交換動作終了情報の記憶制御方法
US7076179B2 (en) 2003-03-20 2006-07-1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torage controlling method for information on an improper detachment of developer cartridge to be written in a cartridge storage means
JP3673793B2 (ja)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53897B1 (ko) * 2003-10-31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KR100950529B1 (ko) * 2004-01-09 2010-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525167B2 (ja) 2004-05-14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回収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38329A (ja) 2004-05-26 2005-12-08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09208A (ko) * 2004-07-24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KR20060034168A (ko) 2004-10-18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US7945184B2 (en) * 2005-05-30 2011-05-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with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image-forming device
KR100677595B1 (ko) 2005-06-1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칼라화상형성장치
JP4315933B2 (ja) 2005-07-21 2009-08-19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1489B2 (ja) 2006-03-31 2011-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0760B2 (ja) 2006-08-29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912403B2 (en) * 2007-01-15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rame and pressing member
KR100911489B1 (ko) 2007-12-11 2009-08-11 주식회사 엘티에스 라인빔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fpc 본딩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5182B2 (en) 2013-11-01 2018-10-09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65059B2 (en) 2013-11-01 2017-05-30 S-Printing Solutions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465357B2 (en) 2014-03-12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106726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WO2015137588A1 (en) * 2014-03-12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141058A (ko) * 2014-06-09 2015-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토너 카트리지, 이미징 카트리지, 및 토너수위 조절방법
US9541859B2 (en) 2014-06-09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level in developing chamber of the same
US9285705B2 (en) 2014-06-09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level in developing chamber of the same
US9703233B2 (en) 2014-06-09 2017-07-11 S-Printing Solution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level in developing chamber of the same
WO2015190665A1 (en) * 2014-06-09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and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WO2016056720A1 (en) * 2014-10-06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58644B2 (en) 2014-10-06 2017-05-23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649379B2 (en) 2014-10-06 2020-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137229A (ko) * 2015-05-22 2016-11-3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1226A1 (en) 2009-09-16
KR100933290B1 (ko) 2009-12-22
BRPI0805360A2 (pt) 2009-10-06
BRPI0805360B1 (pt) 2019-10-08
US8073355B2 (en) 2011-12-06
US20090214249A1 (en) 2009-08-27
RU2420775C2 (ru) 2011-06-10
RU2008148632A (ru) 2010-06-20
CN104360587B (zh) 2019-06-25
EP2101226B1 (en) 2018-04-04
CN101515134A (zh) 2009-08-26
CN104360587A (zh)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290B1 (ko)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11409232B2 (en) Developing cartridge
US8831462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otecting an electrode from damage during handling
ES2924352T3 (es) Contactos eléctricos de cartucho de tóner
US7953339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terminals
US20190391529A1 (en) Drum cartridge including electrical contact surface positioned at outer surface of drum frame
USRE46519E1 (en)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059018A1 (en) Developer cartridges, process cartridges, and image formation devices
JP4623131B2 (ja) 画像形成装置
CN107621763B (zh) 显影盒
JP4370532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1065566A1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1648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WO2020194767A1 (ja) 画像形成装置
JP70137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24598B2 (ja) コネクタ、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214151394U (zh) 处理盒
JP2008009160A (ja) 画像形成装置
US94424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duces development gap variation at both end portions of developing roller
KR20220020777A (ko) 화상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