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168A -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4168A KR20060034168A KR1020040083323A KR20040083323A KR20060034168A KR 20060034168 A KR20060034168 A KR 20060034168A KR 1020040083323 A KR1020040083323 A KR 1020040083323A KR 20040083323 A KR20040083323 A KR 20040083323A KR 20060034168 A KR20060034168 A KR 200600341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sliding member
- toner cart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유입구를 갖는 현상기 및,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는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은 소정거리 왕복 슬라이딩되며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도록 현상기에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며 슬라이딩부재가 왕복 슬라이딩됨에 따라 현상기의 외측으로 상호 교번되면서 돌출되는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 및, 토너 카트리지가 탈착될 시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제1걸림편 또는 제2걸림편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고정턱을 포함한다. 이에, 제공된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기의 토너유입부와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공급부 사이에 스폰지와 같은 실링부재를 개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된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를 이용하면, 상호 분리된 토너 카트리지와 현상기의 사이에서 토너가 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화상,토너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상형성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의 현상기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현상기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현상기의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도 6의 A부분과 B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기기 110 : 기기본체
120 : 급지카세트 150 : 상형성장치
160 : 토너 카트리지 170 : 현상기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측과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 측으로 분리가능한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프린터(Laser printer)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는 레이저빔(Laser beam) 등에 의한 노광된 부분에 토너(Toner)와 같은 현상제(이하, '토너'라 총칭하기로 함)를 공급함으로써 노광에 따른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변환하여 그 표면 일측에 소정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형성장치는 통상 노광된 부분에 토너를 공급하여 노광에 따른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현상기가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토너를 저장하고 저장된 토너를 현상기 측으로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Toner cartridge)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토너는 잉크젯프린터(Inkjet printer)의 잉크(Ink)와 같이 일정횟수의 화상형성작업이 실행되면 모두 소모되기 때문에 일정횟수의 작업 후에는 새로운 상형성장치로 교체해주거나 기존에 있는 상형성장치에 새 토너를 충전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형성장치의 토너 충전작업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소형 화상형성기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상형성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는 대부분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 는 필요에 따라 상형성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 뿐만 아니라 토너 카트리지에 일체로 형성된 현상기까지도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의 낭비가 발생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상호 분리할 수 있는 상형성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그 필요에 따라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형성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기와 토너 카트리지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두 부분이 상호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점도 발생된다.
즉, 현상기와 토너 카트리지가 상호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기 내부로 공급할 시 공급되는 토너가 현상기 외에 다른 부분으로 새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현상기에 마련된 토너유입구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주입받도록 항상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상형성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만을 교체하고자 토너 카트리지를 분리할 시 이 개구된 현상기의 토너유입구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 및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법에는 현상기와 토너 카트리지를 상호 밀착되도록 한 다음 현상기에 마련된 토너유입구를 토너 카트리지가 교체됨에 따라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출원번호 10-2000-0086390호(2000.12.29.출원)에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공급구가 마련된 카트리지 케이스(cartridge case)와,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공과, 삽입공을 통하여 후술될 토너유입구 커버(Cover)의 걸림공 측으로 삽입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고 있으며, 현상기는 토너유입구가 마련된 현상기 케이스와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며 걸림공이 형성된 토너유입구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현상기를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장착한 후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토너 카트리지에 구비된 스토퍼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삽입공을 관통한 다음 토너유입구 커버의 걸림공에 걸리면서 토너유입구 커버를 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토너 카트리지 측에 마련된 토너공급구는 현상기 측의 토너유입구와 일치하게 되는 바, 토너는 이 토너공급구를 통하여 토너유입구로 주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토너유입구가 비교적 좁게 되어있는 구조에서는 구현이 가능하지만, 토너유입구가 비교적 길게 되어있는 구조에서는 공간적 한계와 금형의 난이함 등으로 인해 그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와 현상기가 분리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공급구와 현상기의 토너유입구 사이에 스폰지(Sponge) 등으로 실링을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상형성장치는 그 구조상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공급구와 현상기의 토너유입구 사이에 스폰지 등을 개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상형성장치를 사용하면, 토너 카트리지와 현상기의 사이 에서 토너가 새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유입구가 비교적 길게 되어있는 구조에서도 토너 카트리지의 탈착에 따라 현상기의 토너유입구 개폐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공급구와 현상기의 토너유입구 사이에 실링을 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유입구를 갖는 현상기 및,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는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은 소정거리 왕복 슬라이딩되며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도록 현상기에 마련된 슬라이딩부재(Sliding member)와,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며 슬라이딩부재가 왕복 슬라이딩됨에 따라 현상기의 외측으로 상호 교번되면서 돌출되는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 및, 토너 카트리지가 탈착될 시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제1걸림편 또는 제2걸림편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고정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현상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되되 토너유입구를 열어주는 개구부와, 개구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토너유입구를 닫아주는 밀폐부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는 슬라이딩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에는 토너유입구에 대응되도록 토너유입통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은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결합되되, 각각 현상기의 외측과 내측으로 소정거리 유동가능하도록 후크(Hook)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들과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는 걸림편들을 현상기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에는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걸림편들 중 어느 하나를 현상기의 내측으로 유동시켜주도록 현상기에 마련된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의 상형성장치(150) 및 이 상형성장치(150)가 적용된 화상형성기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상형성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형성장치의 현상기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현상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현상기의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각각 도 6의 A부분과 B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상형성장치(150)가 적용된 화상형성기기(100)는 기기본체(110)와, 기기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기기본체(110) 내부로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카세트(120)를 포함한다.
기기본체(110)는 급지카세트(120)로부터 공급된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엔진부(190)와, 엔진부(190)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가 적재되도록 마련된 용지적재부(1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형성장치(150)는 엔진부(190)의 일측에 마련된 상형성장치 삽입홈(155)에 끼워지며,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형성장치(15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의 상형성장치(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의 상형성장치(150)는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 엔진부(19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160)와, 토너 카트리지(160)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도록 토너유입구(182)가 마련되며 토너 카트리지(16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통해 노광에 따른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변환하는 현상기(170) 및, 토너 카트리지(160)가 탈착됨에 따라 토너유입구(182)를 개폐하는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토너 카트리지(160)는 토너가 내부에 저장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에 대향되는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로 공급하도록 토너공급구(166)가 마련된다. 이때, 토너 카트리지(160)는 토너공급구(166)가 마련된 부분(이하, '토너공급부(161)'라 칭함)이 그 외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토너공급구(166)는 이 토너공급부(161)의 하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160)의 내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토너를 토너공급구(166) 측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유닛(미도시)과, 외부의 조작에 따라 토너공급구(16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너공급구 개폐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60)의 외부에는 토너공급구 개폐유닛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개폐핸들(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상기(170)와 토너 카트리지(160)가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 엔진부(190)에 장착되었을 시, 이 개폐핸들을 조작하여 토너공급구(166)를 개폐하게 되며, 토너 카트리지(160)에 저장된 토너는 이 토너공급구(166)를 통하여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로 주입된다.
현상기(170)는 토너 카트리지(160)와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토너유입구(182)가 마련된 부분(이하, '토너유입부(173)'라 칭함)이 그 외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며,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 엔진부(19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현상기(170)는 그 토너유입부(173)가 현상기(170)와 토너 카트리지(160)가 본체(110)에 결합되었을 시 토너 카트리지(160)의 토너공급부(16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는 이와 같이 현상기(170)와 토너 카트리지(160)가 본체(110)에 결합되었을 시 토너 카트리지(160)의 토너공급구(166)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상기(170)는 이 토너유입구(182)와 이에 대향되는 토너공급구(166)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60)로부터 토너를 주입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상기(17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광이 노광되면 이 노광된 광에 따라 그 표면에 소정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175)와, 감광체(175)를 소정 전압으로 대전하는 대전유닛(미도시)과, 토너유입구(182)를 통해 주입된 토너를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토너공급유닛(171)과, 토너공급유닛(171)에 의해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는 토너믹싱유닛(미도시)과, 토너믹싱유닛에 의해 믹싱된 토너를 감광체(175) 측으로 공급하여 감광체(175)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160)로부터 토너가 주입되면, 현상기(170)는 주입되는 토너를 감광체(175)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은 소정거리 왕복 슬라이딩되며 토너유입구(182)를 개폐하도록 현상기(170)에 마련된 슬라이딩부재(176)와, 슬라이딩부재(176)에 결합되며 슬라이딩부재(176)가 왕복 슬라이딩됨에 따라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상호 교번되면서 돌출되는 제1걸림편(179a)과 제2걸림편(179b) 및, 토너 카트리지(160)가 본체(110)에서 탈착될 시 슬라이딩부재(176)가 슬라이딩되도록 토너 카트리지(160)의 토너공급부(161) 하면에 마련되어 제1걸림편(179a) 또는 제2걸림편(179b)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고정턱(168)을 포함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 (160)가 본체(110)에서 탈착될 시 토너 카트리지(160)에 마련된 고정턱(168)은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179a)(또는 제2걸림편(179b)을 선택적으로 밀어주게 되는 바, 걸림편들(179a,179b)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176)는 이 고정턱(168)의 미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왕복되면서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재(176)는 현상기(170)의 토너유입부(173) 상면 곧,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 상측에 마련되며, 현상기(17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76)의 형상은 폭방향에 비해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평면의 박판타입으로 형성되며, 토너유입구(182)를 열어주는 개구부(177a)와, 토너유입구를 닫아주며 개구부(177a)의 측면에 형성된 밀폐부(177b)를 갖는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76)의 길이는 현상기(170)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슬라이딩부재(176)는 현상기(170)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되며, 이 슬라이딩으로 인해 토너유입구(182)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76)의 상부에는 슬라이딩부재(176)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커버부재(17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172)에는 토너유입구(182)에 대응되도록 토너유입통로(174)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슬라이딩부재(176)는 커버부재(172)와 토너유입부(173)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76)가 슬라이딩되어 토너유입구(182)를 열 경우, 커버부재(172)의 토너유입통로(174)와 슬라이딩부재(176)의 개구부(177a) 및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는 모두 동일위치에서 상하로 배치되어지게 되며, 외부에 는 토너유입구(182)가 노출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76)가 슬라이딩되어 토너유입구(182)를 닫을 경우, 커버부재(172)의 토너유입통로(174)와 현상기(170)의 토너유입구(182)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176)의 밀폐부(177b)가 배치되어지게 되며, 외부에는 슬라이딩부재(176)의 밀폐부(177b)가 노출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걸림편(179a)과 제2걸림편(179b)은 슬라이딩부재(176)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일체로 결합되며, 현상기(170)의 외측과 내측으로 소정거리 유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재(176)에서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형태의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걸림편(179a)과 제2걸림편(179b)은 이 이격된 거리만큼 현상기(17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유동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제1걸림편(179a)의 끝단부 형상은 슬라이딩부재(176)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후술될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에 가이드되어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점차 유동되도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제2걸림편(179b)의 끝단부 형상은 제1걸림편(179a) 형상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걸림편들(179a,179b)과 슬라이딩부재(176)의 사이에는 걸림편들(179a,179b)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편들(179a,179b)을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180)가 개재될 수 있다. 이에, 걸림편들(179a,179b)은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에 가이드되지 않을 경우 항상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18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에는 슬라이딩부재(176)가 슬라이딩될 시 제1걸림 편(179a)과 제2걸림편(179b) 중 어느 하나를 가이드하여 이를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유동시켜주는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는 현상기(170)에 마련된 토너유입부(173)의 상면 중앙부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양 걸림편들(179a,179b)을 동일하게 가이드하도록 이등변 삼각형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150)의 탈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형성장치(150)가 적용된 화상형성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상형성장치(150)의 토너 카트리지(160)에서 토너가 모두 소모되어 교체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상형성장치(150) 중 토너 카트리지(160)만을 잡아당겨 토너 카트리지(160)를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110) 외부로 이탈(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76)에 결합된 걸림편들(179a,179b) 중 제2걸림편(179b)은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토너 카트리지(160)의 토너공급부(161)에 마련된 고정턱(168)은 이와 같이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걸림편(17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인 바,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60)를 잡아당길 경우, 고정턱(168)은 제2걸림편(179b)에 걸려 제2걸림편(179b)을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6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제2걸림편(179b)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176)는 이 고정턱(168)의 미는 힘에 의하여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면서 토너 카트리지(160)로부터 토너 를 공급받도록 개구되어 있던 토너유입구(182)를 닫게 된다.
이후, 제2걸림편(179b)이 고정턱(168)에 의해 소정거리 밀리어지면, 제2걸림편(179b)은 현상기(170)의 토너유입부(173)에 마련된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유동되어지는 바, 고정턱(168)은 더이상 제2걸림편(179b)을 밀지못하고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유동된 제2걸림편(179b)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로소 토너 카트리지(160)를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110) 외부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토너가 모두 충전된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160)를 구비한 다음, 이 토너 카트리지(160)를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110) 내측으로 밀어넣어 토너 카트리지(160)를 본체(110)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76)에 결합된 걸림편들(179a,179b) 중 제1걸림편(179a)은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토너 카트리지(160)의 토너공급부(161)에 마련된 고정턱(168)은 이와 같이 현상기(1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걸림편(179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인 바,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60)를 밀어넣을 경우, 고정턱(168)은 제1걸림편(179a)에 걸려 제1걸림편(179a)을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60)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제1걸림편(179a)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176)는 이 고정턱(168)의 미는 힘에 의하여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면서 토너 카트리지(160)의 분리로 인하여 닫혀있던 토너유입구(182)를 열게 된다.
이후, 제1걸림편(179a)이 고정턱(168)에 의해 소정거리 밀리어지면, 제1걸림 편(179a)은 현상기(170)의 토너유입부(173)에 마련된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178)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유동되어지는 바, 고정턱(168)은 더이상 제1걸림편(179a)을 밀지못하고 현상기(170)의 내측으로 유동된 제1걸림편(179a)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로소 토너 카트리지(160)를 화상형성기기(100)의 본체(110) 내부로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는 탄성부재에 의해 현상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편들과 이를 밀 수 있도록 마련된 토너 카트리지의 고정턱을 이용하여 현상기의 토너유입구를 개폐하기 때문에 토너유입구가 비교적 길게 되어있는 구조에서도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현상기의 토너유입구를 개폐하기 때문에 현상기의 토너유입부와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공급부 사이에는 스폰지와 같은 실링부재를 개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를 이용하면, 상호 분리된 토너 카트리지와 현상기의 사이에서 토너가 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 토너유입구를 갖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너유입구로 토너를 공급하도록 내부에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상형성장치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현상기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현상기에 장착함에 따라 상기 현상기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소정거리 슬라이딩시킴으로 상기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는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은소정거리 왕복 슬라이딩되며 상기 토너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와;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왕복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현상기의 외측으로 상호 교번되면서 돌출되는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 및;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탈착될 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걸림편 또는 상기 제2걸림편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고정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현상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 딩 왕복되되 상기 토너유입구를 열어주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토너유입구를 닫아주는 밀폐부를 갖고,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토너유입구에 대응되도록 토너유입통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결합되되, 각각 상기 현상기의 외측과 내측으로 소정거리 유동가능하도록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들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편들을 상기 현상기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개재되고,상기 토너유입구 개폐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걸림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현상기의 내측으로 유동시켜주도록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걸림편위치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3323A KR20060034168A (ko) | 2004-10-18 | 2004-10-18 |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3323A KR20060034168A (ko) | 2004-10-18 | 2004-10-18 |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4168A true KR20060034168A (ko) | 2006-04-21 |
Family
ID=3714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3323A KR20060034168A (ko) | 2004-10-18 | 2004-10-18 |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34168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5397B1 (ko) * | 2008-02-22 | 2009-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커버부재,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US7881624B2 (en) | 2008-02-22 | 2011-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8073355B2 (en) | 2008-02-22 | 2011-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8155558B2 (en) | 2008-02-22 | 2012-04-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US8213838B2 (en) | 2008-02-22 | 2012-07-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 supplying method for a developing apparatus |
US8422915B2 (en) | 2008-02-22 | 2013-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2004
- 2004-10-18 KR KR1020040083323A patent/KR200600341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5397B1 (ko) * | 2008-02-22 | 2009-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커버부재,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US7881624B2 (en) | 2008-02-22 | 2011-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7890022B2 (en) | 2008-02-22 | 2011-0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ver member,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US8073355B2 (en) | 2008-02-22 | 2011-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8155558B2 (en) | 2008-02-22 | 2012-04-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US8213838B2 (en) | 2008-02-22 | 2012-07-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 supplying method for a developing apparatus |
US8422915B2 (en) | 2008-02-22 | 2013-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209B1 (ko) |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 |
RU2629767C1 (ru) |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элементы управлени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м сменного блока для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 |
CN104272196B (zh) | 具有接合特征部以致动显影单元快门的墨粉盒 | |
RU2632587C1 (ru) | Сменный блок для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меющий защелочный механизм | |
RU2766254C2 (ru) | Резервуар для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 |
US20070189813A1 (en) | Body member of a powder container | |
KR100915397B1 (ko) | 커버부재,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
WO2004027522A1 (ja) | 画像形成装置、粉体補給装置、トナー収納容器、粉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再生産方法 | |
US8270891B2 (en) | Developer stora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6309016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140140735A1 (en) | Developer material holding apparatus, supporting apparatus that supports the developer material h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8134526A (ja) | トナー補給機構、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KR20060034168A (ko) |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 |
US20050175382A1 (en) | Storage member for used toner of printer | |
US7305205B2 (en) | Develop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cover and liquid-type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08286490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846834B1 (ko) | 토너 카트리지 | |
KR100612216B1 (ko) |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 |
KR100963904B1 (ko) | 커버부재,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
KR100213118B1 (ko) | 프린팅기기용 잉크카트리지 및 그 접속장치 | |
KR20070030494A (ko) | 토너 공급장치 | |
KR101805337B1 (ko) | 소형, 직립 전자사진 장치 | |
JPH09120203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80016068A (ko)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
KR20080008888A (ko)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