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09B1 -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09B1
KR101719209B1 KR1020157036293A KR20157036293A KR101719209B1 KR 101719209 B1 KR101719209 B1 KR 101719209B1 KR 1020157036293 A KR1020157036293 A KR 1020157036293A KR 20157036293 A KR20157036293 A KR 20157036293A KR 101719209 B1 KR101719209 B1 KR 10171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ner cartridge
shutt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952A (ko
Inventor
존 앤드류 부캐넌
랜달 스코트 윌리엄슨
Original Assignee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1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저장부로부터 디벨로퍼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의 정면 상에 위치 설정된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는 제 1 맞물림 표면 및 제 2 맞물림 표면을 가지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표면은 하우징의 후방면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이미지 형성 장치의 작동 피쳐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한다. 제 2 맞물림 표면은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상에서 셔터와 맞물리도록 출구 포트 아래 하우징의 정면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맞물림 부재는 작동력을 수용할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제 2 맞물림 표면은 디벨로프 유닛의 셔터와 맞물리도록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한다.

Description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BYPAS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프린터들(electrophotographic printer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회 작동을 하는 셔터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형성 장치를 위한 토너 카트리지 내에 전통적으로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의 조기 교체를 줄이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 제조자들은 더 짧은 수명을 가지는 구성요소들로부터 더 긴 수명을 가지는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교체가능한 유닛들로 분리하기 시작하였다. 디벨로퍼 롤(developer roll), 토너 애더 롤(toner adder roll) 및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같이 비교적 더 긴 수명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교체 가능한 유닛(디벨로퍼 유닛) 내에 위치 설정한다. 디벨로퍼 유닛 내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에 비해 비교적 빨리 소모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원은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하는 토너 카트리지 형태의 별도의 교체가능한 유닛 내의 저장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의 개수는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들에 비해 감소된다.
별도의 토너 카트리지 및 디벨로퍼 유닛을 가지는 이미지 형성 장치들은 토너 카트리지의 출구 포트와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사이에서 토너가 누출되기 쉽다. 토너 누출은 토너 카트리지가 디벨로퍼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가장 빈번하게 경험된다. 토너 누출이 발생할 때, 이미지 형성 장치의 취급, 이동 또는 선적은 토너가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토너 카트리지와 디벨로퍼 유닛을 가지는 이미지 형성 장치들은 추가 우려가 존재한다.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될 때 디벨로퍼 유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어떠한 토너도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디벨로퍼 유닛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형성 장치의 내부로 누출될 것이다. 누출된 토너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둘다를 오염시킬 수 있어 지저분함(uncleanliness) 뿐만 아니라 몇몇의 경우들에서 신뢰성 문제들 또는 프린트 결함들을 초래한다. 따라서, 토너의 원하지 않는 방출을 방지하는 기구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조립체는 정면, 후방면,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를 갖는다. 유출 포트는 토너를 저장부로부터 디벨로퍼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의 정면에 위치 설정된다. 토너 카트리지는 제 1 맞물림 표면 및 제 2 맞물림 표면을 가지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표면은 하우징의 후방면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고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될 때 이미지 형성 장치의 작동 피쳐(actuation feature)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제 2 맞물림 표면은 출구 포트 아래의 하우징의 정면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고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할 때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상에서 셔터와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된다. 맞물림 부재는 작동력을 수용할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제 2 맞물림 표면은 디벨로퍼 유닛의 셔터와 맞물리도록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는 정면, 후방면,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를 갖는다. 하우징의 정면 상의 출구 포트는 토너를 저장부로부터 디벨로퍼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의 저부면쪽으로 향한다. 셔터는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출구 포트를 차단 해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셔터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후방 단부 및 전방 단부를 가지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후방 단부는 하우징의 후방면에 근접하고 이미지 형성 장치의 작동 피쳐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가로 막히지 않는다. 전방 단부는 하우징의 정면에 근접하고 셔터와 정렬된 위치와 셔터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작동력을 수용할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전방 단부는 비 정렬 위치에 있고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셔터를 우회한다. 상기 전방 단부는 정렬 위치에 있고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셔터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물의 수 개의 양태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물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형성 장치의 내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및 디벨로퍼 유닛을 가지는 4개의 이미징 스테이션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상의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 상의 셔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하부 밀봉 부재 및 셔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개방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 상의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정 위치(home position)에 있는 플런저를 도시하는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하지 않을 때 눌려지는(depress) 플런저를 보여주는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형성 장치 내에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되는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순차적인 측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정 위치에 있는 플런저를 구비한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된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런지가 디벨로퍼 유닛의 셔터와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도록 눌려진 상태의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하는 도 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물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공정, 전기, 및 기계적 변경들 등이 본 개시물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들은 단지 가능한 변화들의 특징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피쳐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될 수 있거나 이들을 대신한다. 따라서, 아래의 설명은 제한하는 의미로 받아지지 않고 본 개시물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예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내부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이미지 형성 장치(20)는 상부면(24), 저부면(25), 정면(26) 및 후방면(27)을 가지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그 안에 위치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입력 트레이(28)들을 포함한다. 트레이(28)들은 매체 시트들의 적층부를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매체(media)는 종이 뿐만아니라 라벨들, 봉투들, 직물들, 인화지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기재(substrate)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트레이(28)들은 바람직하게는 재충진을 위해 제거가능하다. 제어 패널(30)은 하우징(2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 패널(30)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모드들(예를 들면, 칼라 모드, 흑백 모드)의 스위칭, 인쇄된 다수의 이미지들의 관측 등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매체 경로(32)는 이미지 전달 공정을 통하여 매체 시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20)를 통하여 연장한다. 매체 경로(32)는 단방향 경로(34)를 포함하고 양방향 경로(36)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시트는 픽 메커니즘(pick mechanism; 38)에 의해 트레이(28)로부터 단방향 경로(34) 내로 도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픽 메커니즘(38)은 피벗가능한 암(42)의 단부에 위치 설정되는 롤(40)을 포함한다. 롤(40)은 트레이(28)로부터 그리고 매체 경로(32) 내로 매체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다. 매체 시트는 이어서 다양한 운반 롤러들에 의해 매체 경로(32)를 따라 이동된다. 매체 시트들은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롤(48)들을 갖는 수동 공급부(46)에 의해 매체 경로(32)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미지 형성 장치(2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미징 스테이션(50)을 포함하는 이미지 전달 섹션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미징 스테이션(50)은 통상적인 광전도 유닛(300) 상에 장착되는 디벨로퍼 유닛(200) 및 카트리지(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102) 및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토너를 저장부(102)로부터 디벨로퍼 유닛(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대응하는 디벨로퍼 유닛(200)의 입구 포트와 연통하는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교반 부재들은 토너의 이동을 지원하도록 저장부(102) 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디벨로퍼 유닛(200)은 토너 저장부(202) 및 토너를 저장부(202)로부터 디벨로퍼 롤(206)로 이동시키는 토너 애더 롤(204)을 포함한다. 광전도 유닛(300)은 충전 롤(304) 및 각각의 이미징 스테이션(50)을 위한 광전도(PC) 드럼(302)을 포함한다. PC 드럼(302)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다. 명료성을 위해, 디벨로퍼 유닛(200), PC 드럼(302) 및 충전 롤(304)은 이미징 스테이션(50)들 중 단지 하나의 이미징 스테이션 상에 라벨링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미징 스테이션(50)은 토너의 칼라(color)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각의 충전 롤(304)은 대응하는 PC 드럼(302)을 구비한 닙을 형성한다. 프린트 작동 동안, 충전 롤(304)은 PC 드럼(302)의 표면을 예를 들면, -1000 볼트와 같이 구체적인 전압으로 충전된다. 각각의 이미징 스테이션(50)과 관련된 프린트헤드(52)로부터의 레이저 빔은 이어서 PC 드럼(302)의 표면으로 지향되고 잠상을 형성하도록 접촉하는 상기 영역들을 선택적으로 방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되는 PC 드럼(302) 상의 영역들은 대략 -300 볼트까지 방출된다. 대응하는 PC 드럼(302)을 구비한 닙을 형성하는 디벨로퍼 롤(206)은 이어서 토너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토너를 PC 드럼(302)에 전달한다. 닥터 블레이드 조립체와 같은 계량 장치는 디벨로퍼 롤(206) 상으로의 토너를 계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PC 드럼(302)으로의 토너의 전달 전에 토너 상에 원하는 전하를 인가한다. 토너는 프린트헤드(52)로부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PC 드럼(302) 표면의 영역으로 이끌린다.
중간 전달 기구(ITM)(54)는 이미징 스테이션(50)들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ITM(54)은 드라이브 롤(56), 인장 롤(58) 및 백-업 롤(back-up roll; 60)을 중심으로 조작된 무한 벨트로서 형성된다. 이미지 형성 작동들 동안, ITM(5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이미징 스테이션(50)들을 지나 이동한다. PC 드럼(302)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은 제 1 전달 닙(62)에서 이들의 각각의 칼라들에서 토너 이미지들을 ITM(54)에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양의 전압장은 토너 이미지를 PC 드럼(302)들로부터 이동하는 ITM(54)의 표면으로 끌어 당긴다. ITM(54)은 회전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토너 이미지들을 이미징 스테이션(50)들로부터 수집하고 이어서 토너 이미지들을 백-업 롤(60)에 의해 지지되는 전달 롤(66)과 ITM(54)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달 닙(64)에서 매체 시트에 전달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토너를 PC 드럼(302)들로부터 매체 시트로 전달하기 위해 ITM(54)을 사용하는 대신, 토너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의 PC 드럼(302)으로부터 매체 시트로 직접 전달된다.
단방향 경로(34)를 통하여 전진하는 매체 시트는 매체 시트가 제 2 전달 닙(64)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ITM(54)으로부터 토너 이미지를 수용한다. 상기 토너 이미지를 구비한 매체 시트는 이어서 매체 경로(32)를 따라 그리고 퓨저 영역(fuser area; 68) 내로 이동된다. 퓨저 영역(68)은 토너 이미지를 매체 시트에 부착하도록 닙(72)을 형성하는 융합(fusing) 롤들 또는 벨트(70)들을 포함한다. 융합된 매체 시트는 이어서 퓨저 영역(68)으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배출 롤(74)들을 통과한다. 배출 롤(74)들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회전될 수 있다. 정방향으로, 배출 롤(74)들은 매체 시트를 단방향 경로(34)로부터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상부면(24) 상의 출력 영역(76)으로 이동한다. 역방향으로, 배출 롤(74)들은 매체 시트의 제 2 측면 상에 이미지 형성을 위해 매체 시트를 양방향 경로(36)로 이동한다.
모노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20)는 다수의 이미징 스테이션(50)들을 포함할 수 있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비해, 단일 이미징 스테이션(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각각의 카트리지(100), 디벨로퍼 유닛(200), 및 PC 유닛(300)의 프레임(306) 내에 장착된 PC 드럼(302)을 각각 포함하는 한 세트의 4개의 이미징 스테이션(50)들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306)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IMT 벨트(54), 프린트헤드(52), 및 이미지 형성 장치(20) 내 구동 모듈들에 대해 PC 드럼(302)들의 위치의 정밀한 제어를 초래하는 스탬프된 금속판(stamped metal plate)들로부터 제조된다. 프레임(306)은 디벨로퍼 유닛(200)을 수용하고 이들의 각각의 PC 드럼(302)들과 디벨로퍼 롤(206)들을 정합하는 크기를 가진 중심 개구를 포함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벨로퍼 유닛(200)의 사시도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디벨로퍼 유닛(200)은 위에서 논의된 프레임(306)에서와 같이,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위에서 논의된 저장부(202), 토너 애더 롤(204) 및 디벨로퍼 롤(206)는 디벨로퍼 유닛(200)의 하우징(210) 내에 위치 설정된다. 하우징(210)은 디벨로퍼 하우징(210)의 측면 부분(212)으로부터 연장하는 셔터 하우징 부분(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셔터 하우징 부분(220)은 나사(도시 안됨)와 같은 적절한 패스너(fastener)들에 의해 디벨로퍼 하우징(210)의 메인 하우징 부분(214)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셔터 하우징 부분(220)은 메인 하우징 부분(214)에 초음파 용접될 수 있거나 메인 하우징 부분(2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오거(auger; 도시안됨)는 메인 하우징 부분(214)으로부터 셔터 하우징 부분(220) 내로 돌출하여 토너를 셔터 하우징 부분(220)으로부터 메인 하우징 부분(214)으로 이동시킨다. 셔터 하우징 부분(220)은 토너가 카트리지(100)로부터 디벨로퍼 유닛(200)으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구 포트(222)(도 5 및 도 6)를 포함한다. 셔터(230)는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표면(224) 상에 위치 설정되고 개방 위치(도 6)와 폐쇄 위치(도 3)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다. 개방 위치에서, 셔터(230)는 토너가 카트리지(100)로부터 입구 포트(222)를 통하여 디벨로퍼 유닛(2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폐쇄 위치에서, 셔터(230)는 입구 포트(222)를 차단하여 토너가 디벨로퍼 유닛(20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밀봉 부재(232)는 셔터(230)의 저부 표면에 부착되고 셔터(230)와 셔터 하우징 부분(220)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한다. 상부 밀봉 부재(234)는 셔터(23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고 카트리지(100)가 설치될 때 셔터(230)와 카트리지(100)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한다. 하부 밀봉 부재(232) 및 상부 밀봉 부재(234)는 셔터(230)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셔터(230)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짐에 따라, 하부 밀봉 부재(232)는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표면(224)에 맞닿아 미끄러진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밀봉 부재(232) 및 상부 밀봉 부재(234)는 미국, 코네티컷, 로저스, Roger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PORON?과 같은 탄성 중합체 포옴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하부 밀봉 부재(232) 및 상부 밀봉 부재(234)는 셔터(230)가 셔터 하우징 부분(220)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한 효과적인 토너 밀봉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장 스프링(236, 238)들은 셔터(230)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 설정되어 도 3에 도시된 폐쇄 위치를 향하여 셔터(230)를 편향한다. 스프링(236, 238)들은 일 단부에서 셔터(230)로부터 연장하는 레그(leg)들에 연결된다. 도 3은 셔터(230)로부터 연장하는 레그(240)에 연결되는 스프링(236)의 단부(236a)들을 도시하며; 스프링(238)을 위한 연결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3에서는 명확하지 않다. 스프링(236, 238)들의 타단부들은 셔터 하우징 부분(220) 상에 장착된 각각의 앵커(anchor; 244, 246)에 연결된다. 다시, 스프링(236)의 단부(236b)는 도 3에 도시되지만 스프링(238)은 도시되지 않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앵커(244, 246)들은 각각 나사(248, 250)들과 같은 패스너들에 의해 셔터 하우징 부분(220)에 장착되지만; 셔터 하우징 부분(220)으로 앵커(244, 246)들을 용접함으로써 또는 셔터 하우징 부분(220)과 일체형으로 앵커(244, 246)들을 형성함으로써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장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236, 238)들은 앵커(244, 246)들에 대해 셔터(230)를 편향시킨다. 스트링(236, 238)들을 위한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앵커(244, 246)들은 도 3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복귀함에 따라 셔터(230)의 미끄럼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들로서 기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측면도는 그 위에 셔터(230)가 장착된 것이 도시된다. 앵커(244, 246)들은 도 4로부터 제거되어 셔터(230) 및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피쳐들을 더 명확하게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하우징 부분(220)은 입구 포트(222)의 대향 측면들 상에 한 쌍의 레지(226, 227)들을 포함한다. 셔터(230)는 상부 부분(25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252) 및 한 쌍의 측면 부분(254, 256)들을 포함한다. 레그(240, 242)들은 메인 하우징 부분(214)에 근접한 각각의 측부 부분(254, 256)의 각각의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된다. 셔터(230)는 또한 측면 부분(254, 256)들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탭(258, 260)들을 포함한다. 탭(258, 260)들은 각각 레지(226, 227)들의 저부 표면 아래를 감싸서 이들과 접촉한다. 하부 밀봉 부재(232)는 셔터(230)의 상부 부분(252)과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부분(224) 사이에 끼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표면(224)으로부터 셔터(230)의 상부 부분(252)의 바닥 표면 까지의 거리는 하부 밀봉 부재(232)의 공칭 두께 미만이어서 하부 밀봉 부재(232)가 셔터(230)와 셔터 하우징 부분(220) 사이의 경계면이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압축된다. 셔터(230)는 메인 하우징 부분(214)으로부터 가장 먼 상부 부분(252)의 에지에 형성된 립(lip; 264)을 포함한다. 립(264)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설치되고 이미지 형성 장치(20)로의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셔터(230)를 개방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맞물림 피쳐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도 5는 하부 밀봉 부재(232)를 더 명확하게 예시하도록 셔터(230) 및 상부 밀봉 부재(234)가 제거된 셔터 하우징 부분(220)을 도시한다. 입구 포트(222)는 하부 밀봉 부재(232) 아래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표면(224) 상에 입구 포트의 위치를 예시하도록 점선들로 도시된다. 하부 밀봉 부재(232)는 하부 밀봉 부재의 몸체가 입구 포트(222)를 덮어서 차단한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하부 밀봉 부재(232)는 입구 포트(222)의 크기 및 형상과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이의 몸체의 내부 부분을 통한 개구(233)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부 표면(224)은 하부 밀봉 부재(232)가 입구 포트(222)를 밀봉하도록 충분히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입구 포트(222)를 둘러싸는 상승된 부분(224a)을 포함한다. 셔터(230)의 슬라이딩 경로에 있는, 부분(224b 및 224c)들에서 입구 포트(222)의 각각의 측면 상에 상부 표면(224)의 높이는 상승 부분(224a) 보다 낮은데, 이는 밀봉이 입구 포트(222)에 비해 이러한 구역들에서 들 임계적이기 때문이다. 램프형 부분(224d, 224e)들은 부분(224b, 224c)들 각각으로부터 상승된 부분(224a) 까지 점차적인 전이부를 제공한다. 부분(224b 및 224c)들에서 상부 표면(224)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구역들에서 하부 밀봉 부재(232)의 압축을 감소시킨다. 이는 셔터(230)의 작동 동안 상부 표면(224)으로부터 하부 밀봉 부재(232) 상의 원하지 않는 끌림(drag)을 감소시키고 셔터(2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체 에너지를 낮춘다. 일 실시예에서, 상승 부분(224a)의 높이는 부분(224b 및 224c)들보다 0.25 mm 더 높고 하부 밀봉 부재의 공칭 압력은 약 0.6 mm이다.
도 6은 개방 위치에서 셔터(230)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셔터(230) 및 상부 밀봉 부재(234)는 하부 밀봉 부재(232)의 개구(233)와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개구(231, 235)들을 각각 포함한다. 셔터(230)가 개방될 때, 개구(231, 233, 235)들이 입구 포트(222) 위에 위치 설정되어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셔터 하우징 부분(220)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이어서 토너가 메인 하우징 부분(214) 내로 추입될 때까지 셔터(230)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미끄러진다. 셔터 하우징 부분(220)은 메인 하우징 부분(214)으로부터 가장 먼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에지에서 돌기 또는 선반(228)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선반(228)은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맞물림 피쳐를 상승시키도록 위치 설정되어 맞물림 피쳐가 립(264)과 접촉하고 카트리지(100)가 설치되어 이미지 형성 장치(20)로의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셔터(230)를 작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도 7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상부면(105), 저부면(106), 정면(107), 후방면(108) 및 한 쌍의 측면(109, 110)들을 가지고 그 안에 저장부(102)를 형성하는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4)은 초음파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이 카트리지(100)의 후방면(108)에 메인 하우징(112) 상에 장착된 단부 캡(111)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4)은 메인 섹션(114) 및 연장 섹션(116)을 포함한다. 연장 섹션(116)은 하우징(104)의 저부면(106)에 위치 설정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면(107)과 후방면(108) 사이에 측정된 연장 섹션(116)의 폭(W')은 메인 섹션(114)의 깊이(W)보다 더 작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상부면(105)과 저부면(106) 사이에서 측정된 전체 높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섹션(116)은 메인 섹션(114)보다 더 작은 높이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를 입구 포트(222)를 통하여 디벨로퍼 유닛(200)에 전달하기 위한 출구 포트(118)를 포함한다. 출구 포트(118)는 하우징(104)의 정면(107) 상의 메인 섹션(114) 상의 하방을 향하는 개구로서 형성된다. 셔터(120)는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의 저부 부분 상에 위치 설정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도 7에 도시됨)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개방 위치에서, 셔터(120)는 토너가 셔터(120) 내의 개구(121)를 통하여 카트리지(100)의 출구 포트(118)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폐쇄 위치에서, 셔터(120)는 출구 포트(118)를 차단하여 토너가 카트리지(100)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부재(122)는 셔터(120)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 설정되고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의 저부면과 셔터(120)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한다. 밀봉 부재(122)는 셔터(120)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밀봉 부재(122)는 하부 밀봉 부재(232) 또는 상부 밀봉 부재(234)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밀봉 부재(232) 및 상부 밀봉 부재(234)와 같이, 밀봉 부재(122)는 토너가 출구 포트(118)로부터 입구 포트(222)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구(123)를 포함한다. 셔터(120)는 출구 포트(118)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장 스프링(124)들은 셔터(120)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124)은 일단부가 셔터(120)로부터 연장하는 각각의 레그에 연결된다. 도 7은 셔터(120)로부터 연장하는 레그(126)에 연결된 스프링(124)의 단부(124a)를 도시하며; 셔터(120)의 마주하는 측면 상의 제 2 스프링에 대한 연결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7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스프링(124)들의 타단부들은 하우징(104) 상의 각각의 앵커(128)에 연결된다. 다시, 스프링(124)의 단부(124b)는 도 7에 도시되지만 제 2 스프링은 도시되지 않는다. 스프링(124)은 앵커(128)들에 대해 셔터(120)를 편향한다. 스프링(124)을 위한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앵커(128)들은 셔터가 폐쇄 위치로 복귀할 때 셔터(120)의 미끄럼 운동을 제한하도록 정지부들로서 기능한다. 부가 정지부(129)들은 스프링(124)의 단부(124a)들에 근접하게 제공될 수 있어, 셔터가 개방됨에 따라 셔터(120)의 미끄럼 운동을 제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의 저부면은 출구 포트(118)의 대향 측면들 상에 한 쌍의 레지(130)들을 포함한다. 도 7에서, 한 쌍의 레지(130)들 중 단지 하나의 레지가 도시되며; 나머지는 보이지 않는다. 셔터(120)는 저부 부분(132) 및 저부 부분(13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 부분(134)들을 포함한다. 다시, 도 7은 한 쌍의 측면 부분(134)들 중 단지 하나만을 도시한다. 레그(126)들은 하우징(104)의 정면(107)에 근접한 각각의 측면 부분(134)의 각각의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된다. 셔터(120)는 또한 각각 측면 부분(134)들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태브(136)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태브(136)들 중 하나의 태브가 도 7에 도시된다. 태브(136)들은 레지(130)들의 상부 표면들을 둘러싸서 이 상부 표면들을 따라 각각 올라탄다. 밀봉 부재(122)는 셔터(120)의 저부 부분(132)과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의 저부면 사이에 끼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섹션(114)의 저부면으로부터 셔터(120)의 저부 부분(132)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는 밀봉 부재(122)의 공칭 두께 미만이어서 밀봉 부재(122)가 셔터(120)와 하우징(104) 사이의 경계면이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압축된다. 셔터(120)는 정면(107)으로부터 가장 먼 저부 부분(132)의 에지에 형성된 립(138)을 포함한다. 립(138)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설치되고 이미지 형성 장치(20)로의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셔터(120)를 개방하도록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맞물림 피쳐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의 저부면은 디벨로퍼 유닛(200)의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상승된 부분(224a)과 유사한 출구 포트(118)를 둘러싸는 상승된 부분 및 디벨로퍼 유닛(200)의 셔터 하우징 부분(220)의 램프형 부분(ramped portion; 224d, 224e)들과 유사한 상승된 부분으로 이어지는 램프형 부분들을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설치되어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되고 이미지 형성 장치(20)로의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셔터(230, 120)들을 개방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플런저(140)와 같은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플런저(140)는 하우징(104) 내 채널(142)을 통하여 연장한다. 채널(142)은 하우징(104)의 후방면(108)으로부터 출구 포트(118) 아래 하우징(104)의 정면(107)까지 연장한다. 채널(142)은 후방 개구(142a) 및 전방 개구(142b)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는 채널(142)의 후방 개구(142a)에 노출되어 작동력을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에 작동되게 커플링되는, 플런저, 리브, 돌기, 암, 등과 같은 작동 부재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는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작동 부재와 맞물리는 버튼-형 영역 또는 접촉 면과 같은 맞물림 표면(144)을 포함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채널(142)의 전방 개구(142b)에 노출되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0)가 셔터(120, 230)들과 접촉하고 셔터(120, 230)들을 이들의 폐쇄 위치들로부터 이들의 개방 위치들로 가압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셔터(120)와 정렬된 위치와 셔터(120)와 정렬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예를 들면, 수직방향으로 상부면(105)과 저부면(106)을 향하여 그리고 멀리).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셔터(120, 230)들과의 충분한 접촉을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접촉 면과 같은 맞물림 표면(146)을 포함한다. 플런저(140)는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작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노출되는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를 구비한 하우징(104)의 후방(108)을 향하여 연장 스프링(148)과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편향 부재들에 의해 편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148)은 일 단부가 플런저(140)에 그리고 타 단부가 채널(142) 내의 하우징(104)의 일 부분에 연결된다. 스프링(148)은 또한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를 셔터(120)에 대해 정렬되지 않은 위치를 향하여 편향할 수 있다(예시된 실시예의 낮춰진 위치). 예시된 실시예에서, 채널(142) 내에 위치된 가이드(150)는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의 수직 운동을 형성하는 상부 및 저부 정지부(150a, 150b)들을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하우징(104)의 정면(107) 상에 위치 설정된 구동 기어(152)를 더 포함한다. 구동 기어(152)는 다양한 패들들 및/또는 교반기들 및 토너를 출구 포트(118)에 이동시키기 위한 저장부(102) 내에 위치 설정된 오거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이미지 형성 장치(20) 내의 대응하는 기어와 정합하여 이 대응하는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52)는 이의 저부 부분 상에 노출되는 몇 개의 치형부(a few teeth)들만으로 부분적으로 덮인다. 구동 기어(152)는 출구 포트(118) 위의 하우징(104)의 메인 섹션(114) 상에 위치 설정된다.
다수의 토너 카트리지(100)가 단일 이미지 형성 장치(2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잘못된 위치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키잉 구조물(keying structure; 15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형성 장치(20) 내의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검은색, 청록색, 노란색 및 자홍색 토너들을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상이한 칼라 토너를 제공하는 경우, 키잉 구조물(154)은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100)가 임의의 다른 칼라와 대응하는 위치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키잉 구조물(154)은 청록색 칼라의 토너를 함유하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검은색, 노란색 또는 자홍색 토너 카트리지를 위한 장소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키잉 구조물(154)은 하우징(104)의 연장 섹션(116)의 전방(107) 상에 위치 설정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또한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제어기와 연통하기 위한 처리 회로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인증 기능들, 안전 및 작동 인터로크들, 작동 매개변수들 및 토너 카트리지(100)와 관련된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156)는 하우징(104)의 저부면(106) 내 오목부(158)에 위치 설정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설치될 때, 전기 커넥터(156) 상의 접촉부들이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제어기로의 연통 링크를 설정하도록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대응하는 접촉부들과 정합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또한 도 7의 화살표 A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동안 디벨로퍼 유닛(200)과 토너 카트리지(100)를 정렬하는 다양한 정렬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 부재(160)들은 하우징(104)의 측면(109, 110)들 및/또는 정면(107)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들 및/또는 대응하는 슬롯들 및/또는 돌기들과 정합하여 각각 토너 카트리지(100)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는 측면(109, 110)들 및/또는 정면(107)내에 만입부들로서 형성되는 세장형 슬롯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 부재(160)들은 출구 포트(118)가 디벨로퍼 유닛(200)의 입구 포트(222)와 정합하는 것, 구동 기어(152)가 이미지 형성 장치(20) 내의 대응하는 구동 기어와 정합하는 것, 그리고 전기 커넥터(156)가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들과 정합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셔터(120, 230)들의 작동을 예시한다. 도 9는 플런저(140)가 스프링(들)(148)에 의해 후방 개구(142a)를 향하여 정 위치에 편향된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에서,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셔터(120)와 정렬되지 않은, 셔터(120)로부터 아래로 그리고 후방(108)으로 이격된다. 플런저의 후방 단부(140a)는 채널(142)의 후방 개구(142a)를 통하여 노출되어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에 커플링된 작동 부재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한다.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되지 않을 때 플런지(140)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눌려지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고 플런저(140)는 사용자에 의해 후방 단부(140a)에서 수동으로 눌려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너 카트리지(100)는 이의 대응하는 디벨로퍼 유닛(200)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로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설치될 수 있고 플런저(140)는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에 커플링된 작동 부재에 의해 후방 단부(140a)에서 눌려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되지 않고 플런저(140)가 눌러져서 스프링(148)에 의해 인가되는 바이어스를 극복할 때, 플런저(140)는 전방으로(정면(107)을 향하여) 이동하고 셔터(120)를 위회하여 셔터(120)를 폐쇄 위치에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셔터(120)와 접촉하지 않고 셔터(120) 아래로 통과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에서 최종 위치에서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하지 않는 경우 이는 셔터(120)가 개방하고 토너가 출구 포트(118)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런저(140)를 눌러서 플런저(140)를 해제할 때) 스프링(148)에 의해 인가된 바이어스는 플런저(140)를 도 9에 도시된 이의 정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11은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토너 카트리지(100)의 설치 동안 토너 카트리지(100)가 디벨로퍼 유닛(200)에 접근함에 따라 명료성을 위해 PC 유닛(300)이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디벨로퍼 유닛(200)을 위로부터 일반적인 하방 방향으로 접근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가 디벨로퍼 유닛(200)에 접근함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는 전방으로 회전한다.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가 명료성을 위해 PC 유닛(300)이 제거된 채로 다시 디벨로퍼 유닛(200)을 향하여 전진을 계속할 때의 토너 카트리지(100)를 보여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디벨로퍼 유닛(200)에 접근할 때, 디벨로퍼 유닛(200)의 셔터 하우징 부분(220) 상의 선반(228)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디벨로퍼 유닛(200)을 향하여 전진을 계속함에 따라 하우징(104)의 상부(105)를 향하여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를 상승시켜 플런저(140)의 하부와 접촉한다.
도 13은 다시 명료성을 위해 PC 유닛(300)이 제거된 채로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하는, 이의 최종 설치된 위치에 있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이미지 형성 장치의 접근 도어(도시안됨)가 개방되어 셔터(120, 230)들을 이의 폐쇄 위치에 그리고 플런저(140)를 이의 홈 위치에 유지한다. 셔터(120)는 토너 카트리지(100)와 디벨로퍼 유닛(200) 사이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부 밀봉 부재(234)와 정합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셔터(120)의 개구(121)는 디벨로퍼 유닛(200)의 셔터(230)의 상부 밀봉 부재(234)에서 개구(235)와 정렬된다.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상승되어 선반(228)에 의해 셔터(120 및 230)들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에 커플링되는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때 전방 단부(140b)가 셔터(120, 230)들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4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에 커플링되는 작동 부재에 의한 플런저(140)의 작동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접근 도어에 커플링된 작동 부재는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와 접촉하여 플런저(140)를 전방(107)을 향하여 누르도록 스프링(148)의 편향력을 극복한다. 플런저(140)가 전진할 때, 플런저(14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셔터(120) 및 디벨로퍼 유닛(200)의 셔터(230)와 접촉한다. 플런저(140)가 더 전진함에 따라, 플런저(140)는 셔터(120, 230)들을 이들의 폐쇄 위치들로부터 셔터(120, 230)들의 개방 위치들로 전방으로(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가압한다. 셔터(120, 230)들의 개방 위치들에서, 셔터(120)의 개구(121)는 출구 포트(118)와 정렬되고 셔터(230)의 개구(231)는 입구 포트(222)와 정렬되어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디벨로퍼 유닛(200)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런저(140)가 셔터(120, 230)들 각각에 맞닿아 가압함에 따라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셔터(230)의 립(264) 및 셔터(120)의 립(138)과 접촉한다.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 작동 부재는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로부터 수축하여 플런저(140)가 스프링(148)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정 위치(도 13에 도시됨)로 수축되는 것을 유발하여 셔터(120 및 230)들을 폐쇄하고 셔터(120) 및 상부 밀봉 부재(234)는 여전히 토너 누출을 방지하도록 맞물림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로부터 제거될 때, 셔터(120)는 상부 밀봉 부재(234)로부터 분리하고 플런저(140)의 전방 단부(140b)는 낮추어져 도 12 및 도 11에서 역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28)을 셔터(120)에 대해 정렬되지 않은 위치로 분리한다.
따라서, 플런저(140)의 배열은 플런저(140)의 토너 전방 단부(140b)가 상승되어 셔터(120)와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고 플런저(140)의 후방 단부(140a)가 맞물되지 않는 경우 셔터(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되고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되지 않는 경우, 셔터(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셔터(120)가 디벨로퍼 유닛(200)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경우, 토너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출구 포트(118)를 통하여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내부 영역 내로 누출할 수 있어 잠재적으로 프린트 결함들을 유발한다. 플런저(140)의 배열은 이러한 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전에, 사용자들은 이의 기능을 실현하지 않으면서 맞물림 표면(144)을 프레스하도록 시도될 수 있다. 플런저(140)의 배열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에 설치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갑자기 셔터(12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장치(20) 내로 삽입되어 디벨로퍼 유닛(200)과 정합할 때, 이미지 형성 장치(20)의 접근 도어가 폐쇄되어 상기 장치가 인쇄 준비되었음을 표시할 때까지 셔터(120)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전술된 설명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을 예시한다. 이는 완전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업자가 자연적으로 후속하는 다양한 변형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물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본 개시물의 원리들 및 이의 실제적인 용례를 예시하기 위해 선택된다. 모든 변형예들 및 변화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상대적으로 명확한 변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징들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16)

  1.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developer unit)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로서,
    정면, 후방면,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가지고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정면 상의 출구 포트; 및
    제 1 맞물림 표면 및 제 2 맞물림 표면을 가지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의 작동 피쳐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서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되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출구 포트 아래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작동력을 수용할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in a rear-to-front direction) 이동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할 때 상기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상에 셔터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가압하여 개방하도록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의 전방이 가로막히지 않은(unobstructed)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까지 연장하는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채널 내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 후방 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은 상기 후방 개구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전방 개구에서 노출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 해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하우징 상에 셔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는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와 정렬되는 위치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이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우회하며,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이 정렬 위치에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정렬되지 않는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의 정렬되지 않는 위치는 낮추어진 위치이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의 정렬된 위치는 상승된 위치이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우회할 때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 아래로 통과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낮추어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0.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로서,
    정면, 후방면,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가지며,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저부면쪽으로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정면 상의 출구 포트;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 해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셔터; 및
    후방 단부 및 전방 단부를 가지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 근접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의 작동 피쳐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가로막히지 않고,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근접하고 상기 셔터와 정렬되는 위치와 상기 셔터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작동력을 수용할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전방 단부가 정렬되지 않은 위치에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셔터를 우회하고, 상기 전방 단부가 정렬 위치에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까지 연장하는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채널 내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 후방 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 부재의 후방 단부는 상기 후방 개구에서 노출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는 상기 전방 개구에서 노출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전방 단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될 때 상기 디벨로퍼 유닛의 입구 포트 상에서 셔터와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디벨로퍼 유닛과 정합될 때 상기 전방 단부가 정렬 위치에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벨로퍼 유닛의 셔터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정렬되지 않은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부의 정렬되지 않는 위치는 낮추어진 위치이고 상기 전방 단부의 정렬된 위치는 상승된 위치이고, 상기 전방 단부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를 우회할 때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 아래로 통과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낮추어진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디벨로퍼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KR1020157036293A 2013-05-29 2014-05-23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KR10171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8390P 2013-05-29 2013-05-29
US61/828,390 2013-05-29
US13/919,015 2013-06-17
US13/919,015 US9104141B2 (en) 2013-05-29 2013-06-17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bypassing actuation
PCT/US2014/039280 WO2014193744A1 (en) 2013-05-29 2014-05-23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bypa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952A KR20160013952A (ko) 2016-02-05
KR101719209B1 true KR101719209B1 (ko) 2017-04-04

Family

ID=517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293A KR101719209B1 (ko) 2013-05-29 2014-05-23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5) US9104141B2 (ko)
EP (1) EP3004988B1 (ko)
KR (1) KR101719209B1 (ko)
CN (1) CN105359042B (ko)
AR (1) AR096298A1 (ko)
AU (1) AU2014274485B2 (ko)
BR (1) BR112015030042B1 (ko)
CA (1) CA2910950C (ko)
HK (1) HK1220777A1 (ko)
MX (1) MX345732B (ko)
PH (1) PH12015502561B1 (ko)
RU (1) RU2628662C2 (ko)
SG (1) SG11201508926QA (ko)
TW (1) TWI575340B (ko)
WO (1) WO2014193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6815B2 (en) 2009-10-05 2012-10-16 Amcor Rigid Plastic USA, Inc. Plastic can package
CN106681115A (zh) * 2015-11-05 2017-05-17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碳粉盒及图像形成装置
US9436126B1 (en) * 2015-04-08 2016-09-0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inlet port alignment features for a developer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CN205827072U (zh) * 2016-03-08 2016-12-21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粉盒及图像形成装置
JP6583790B2 (ja) * 2016-05-13 2019-10-0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4153130A (zh) 2016-09-30 2022-03-08 佳能株式会社 调色剂盒和调色剂供应机构
JP6593355B2 (ja) * 2017-01-23 2019-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受入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3640742B1 (en) 2017-06-15 2023-08-1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ation device
US10444661B2 (en) 2017-10-23 2019-10-1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biasing assembly for biasing a media feed roll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20200025329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주사기형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플런저 로킹 구조
KR20200025325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탄성력을 이용하여 토너를 충전할 수 있는 토너 카트리지
CN112088338B (zh) 2018-08-30 2023-06-0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密封式打印颗粒传输接口
KR20200025348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메모리 유닛을 수납하고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CN110347026A (zh) * 2019-08-12 2019-10-18 佛山普瑞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加粉孔的加粉桶和加粉盒
JP7342609B2 (ja) * 2019-10-24 2023-09-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4062236A4 (en) * 2019-11-18 2023-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US11137700B1 (en) * 2020-03-23 2021-10-05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CN114089613B (zh) * 2020-08-24 2023-11-28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碳粉补给组件以及图像形成装置
US11829085B1 (en) 2022-08-24 2023-11-2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having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957A1 (en) 2004-11-12 2010-03-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37588A (ja) 2009-03-31 2010-10-21 Oki Data Corp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3911A (ja)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165A (en) 1988-10-28 1992-06-0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unit and a toner hopp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H066377Y2 (ja) 1989-10-25 199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JP3044997B2 (ja) 1994-02-16 2000-05-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US5816696A (en) * 1996-09-27 1998-10-06 Beisler; Edward J. Illuminated display hook
US5758233A (en) 1996-12-20 1998-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locating on photoconductor shaft
JP3368205B2 (ja) 1997-06-1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39B2 (en)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08153B2 (ja) 1997-06-19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89567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6496671B2 (en) 1998-12-14 2002-12-17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ith locking toner discharge opening
JP3450741B2 (ja) 1999-03-29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3248372A (ja) 2002-02-25 2003-09-0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5258061A (ja) 2004-03-11 2005-09-22 Murata Mach Ltd 感光ドラムユニット
JP2005316192A (ja) * 2004-04-28 2005-11-1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235592A (ja) 2005-01-31 2006-09-07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6309147A (ja) 2005-03-30 2006-11-09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シャッタ構造
JP2007279532A (ja)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US20070286634A1 (en) 2006-06-08 2007-12-13 David Clay Blaine Developer Roll Shield to Reduce Toner Dusting
US8060003B2 (en) 2006-10-20 2011-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setting unit sets an interval of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a size of a recording medium
US7548710B2 (en) 2006-10-25 2009-06-16 Lexmark International, Inc. Dual sliding shutter system
US7606520B2 (en) 2006-11-06 2009-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JP5067865B2 (ja) * 2007-02-21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831168B2 (en) 2007-03-15 2010-1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s and methods of insertion into an image forming device
JP4415037B2 (ja) 2007-08-22 2010-02-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200126B2 (en) 2007-11-30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941523B2 (ja) * 2008-08-28 2012-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504814B2 (ja) 2009-10-13 2014-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10015B2 (ja) * 2011-11-16 2016-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99848B2 (ja) * 2011-11-16 2016-04-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48650B2 (en) 2011-12-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682213B2 (en) 2011-12-30 2014-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588659B2 (en) 2011-12-30 2013-11-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948659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developer unit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957A1 (en) 2004-11-12 2010-03-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37588A (ja) 2009-03-31 2010-10-21 Oki Data Corp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3911A (ja)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5340B (zh) 2017-03-21
EP3004988A4 (en) 2017-02-22
BR112015030042A2 (pt) 2017-07-25
CA2910950C (en) 2017-10-17
TW201502725A (zh) 2015-01-16
EP3004988B1 (en) 2020-09-30
MX2015015285A (es) 2016-03-07
CN105359042A (zh) 2016-02-24
US20160370731A1 (en) 2016-12-22
HK1220777A1 (zh) 2017-05-12
CA2910950A1 (en) 2014-12-04
AR096298A1 (es) 2015-12-23
MX345732B (es) 2017-02-14
US20140356016A1 (en) 2014-12-04
US20150301479A1 (en) 2015-10-22
US9104141B2 (en) 2015-08-11
US9798268B2 (en) 2017-10-24
PH12015502561A1 (en) 2016-02-22
AU2014274485A1 (en) 2015-11-12
SG11201508926QA (en) 2015-12-30
KR20160013952A (ko) 2016-02-05
RU2015146663A (ru) 2017-07-04
US20180024464A1 (en) 2018-01-25
US8873996B1 (en) 2014-10-28
US9436128B2 (en) 2016-09-06
US9983508B2 (en) 2018-05-29
RU2628662C2 (ru) 2017-08-21
CN105359042B (zh) 2019-05-10
AU2014274485B2 (en) 2016-08-04
WO2014193744A1 (en) 2014-12-04
BR112015030042B1 (pt) 2022-06-21
EP3004988A1 (en) 2016-04-13
PH12015502561B1 (en)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09B1 (ko) 셔터 우회를 하는 토너 카트리지
CN104272196B (zh) 具有接合特征部以致动显影单元快门的墨粉盒
USRE47166E1 (en) Toner cartridge having loading and latching features
EP2660659B1 (en) Shutter for a developer unit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