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244A - 도어의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244A
KR20090089244A KR20080130070A KR20080130070A KR20090089244A KR 20090089244 A KR20090089244 A KR 20090089244A KR 20080130070 A KR20080130070 A KR 20080130070A KR 20080130070 A KR20080130070 A KR 20080130070A KR 20090089244 A KR20090089244 A KR 20090089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
swing
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097B1 (ko
Inventor
토시아키 우치카타
토루 아라오
히로키 우에하라
카츠미 모리
마사야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과제]
모터의 정전·역전을 사용하여 2개의 래치를 하나의 모터로 순차로 작동시킴으로써, 비용 저감이나 장치의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의 로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어 개구부(3)를 개폐하는 도어(4)와, 도어의 래치(661, 671)를 스트라이커(662, 672)에 맞물림으로써 도어를 폐쇄 위치(D1)에 지지하는 복수의 로크부(J1 및 J3)와, 각 래치를 대향하는 스트라이커에 대해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는 래치 구동 수단(70, 80)을 구비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래치 구동 수단의 모터(701)로 구동되는 판형상 주부(704)를 일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고, 역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나머지 로크부인 타방측을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한다.
차량, 로크 장치, 도어 개폐 방식

Description

도어의 로크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벽에 마련되는 승강구를 도어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방식의 하나로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지지 유닛에 의한 슬라이드 개폐 방식이 있다. 이 슬라이드 개폐 방식의 도어를 구비한 차량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도어 개구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루프 레일이나, 도어 개구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실 내(內)나, 슬라이드 도어의 후단측의 상하에서의 중앙에 슬라이드 기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런데 사이드 루프 레일이나 사이드 실 내에 슬라이드 기구를 마련하는 경우, 사이드 루프 레일이나 사이드 실의 단면(斷面)이 크게 되어 도어 개구부의 높이가 제한을 받거나 차 실내로 튀어 나오는 양이 커져 버린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를 그 중앙부만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고, 사이드 루프 레일이나 사이드 실 내에서 슬라이드 기구를 없애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한 차량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도어 개구가 스윙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110)와 스트라이커(114)로 구성된 로크부를, 센터 필러(209)와 리어 도어(204)의 패널 전단(前端) 사이에 상하로 한 쌍 부착하고, 후부 필러(112)와 리어 도어(204)의 패널 후단 사이에 하나 부착하고 있다. 여기서 스윙 슬라이드 도어(204)는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스윙 슬라이드 도어(204)는 평행 링크(200) 등에 의해, 요동 변위하여 폐쇄 위치(D1)에 도달한다. 그 때, 앞측의 상하 2개소의 로크부(Jf)(도 13에는 윗개소만 도시하였다)와, 후방의 후측 로크부(Jr)에서의 각 래치가 각 스트라이커에 맞물림으로써,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도어 개구에 로크하고 있다.
그런데, 전동(電動)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인 경우, 종래는 리어 도어(204)의 앞측의 상하 2개소의 로크부(Jf)를 연동시키는 하나의 래치와, 후측의 후측 로크부(Jr)의 래치의 2개의 래치를 가지며, 그들을 동시에 인입(引入) 작동, 즉, 하프래치로부터 풀래치로 전환함으로써 도어를 단단히 닫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2049752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의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인 경우, 로크 장치에는 모터가 2개 필요하기 때문에, 중량 증가와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또한, 전후 각 1개의 래치의 모터를 동기시켜서 인입 작동시키기 때문에, 로크 장치의 인입 속도에 차가 있으면, 스트라이커에 대한 래치의 진입 각도가 설계치와 다르기 때문에, 도어 닫힘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2개의 모터가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음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일한 모터를 이용하여 그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어 전후에 배치된 2개의 래치를 동시 작동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경우는 보다 파워가 큰 모터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 증가와 레이아웃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또한, 도어 전후에 배치된 2개의 래치의 편차에 의해 1개의 래치가 완전히 닫혀도, 또 1개의 래치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모터는 계속 작동하게 되어, 완전히 닫힌 측의 래치에 과대한 부하가 들어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점은, 모터의 정전(正轉)·역전(逆轉)을 사용하여 2개의 래치를 하나의 모터로 순차로 작동시킴으로써, 비용 저감이나 장치의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의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은,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지지된 래치를 상기 개구연부(開口緣部)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지지하는 복수의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의 각 래치를 대향하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해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는 래치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 수단의 모터로 구동되는 요동 조작 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연동하는 상기 로크부의 적어도 하나의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역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연동하는 나머지 상기 로크부의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항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도어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로크부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일방측의 개구연부에 상하 2개 서로 연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타방측 로크부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타방측의 개구연부에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도어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 수단은 상기 모터로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에 따라 일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로크 작동시키고,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타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에 따라 타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로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항은,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도어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동 조작 부재는 모터로 회전 중심축 주위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왕복 요동 변위하는 판형상 주부(主部)를 가지며, 상기 일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인 동축 케이블이 그 일단을 판형상 주부에 접속함과 함께 타단을 상기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폐쇄 방향의 장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인 가압 링크가 그 일단을 판형상 주부에 핀 결합하여 그 요동단을 상기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접리 가능하게 맞대여서 폐쇄 방향의 가압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요동 조작 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고, 역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기 때문에, 즉, 하나의 모터의 정전, 역전을 사용하여, 순번대로 복수의 래치를 순차로 로크 작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모터, 하니스를 삭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의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도어 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동음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도어 개구부의 일방측의 개구연부에 로크부가 상하 2개, 타방측의 개구연부에 로크부가 하나, 합계 3개의 로크부를 이용하여 도어를 도어 개구부에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게다가 일방측의 로크부는 개구연부에 상하 2개 서로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모터의 증설은 필요 없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의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도어 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보다 향상한다.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요동 조작 부재의 왕(往)방향인 일방향의 요동 변위에 의해 그 요동 변위를 일방측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전하여 로크 작동시키고, 뒤이어, 복(復)방향인 타방향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그 요동 변위를 타방측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전하여 로크 작동시키기 때문에, 단일한 모터의 정전, 역전을 순차로 일방측 로크부와 타방측 로크부에 전할 수 있어, 확실하게 2개의 래치를 순차로 로크 작동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은, 요동 조작 부재의 판형상 주부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장력으로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풀래치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뒤이어, 판형상 주부에 접속된 가압 링크의 가압력으로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풀래치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확실하게 2개의 래치를 순차로 로크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도어의 로크 장치가 적용된 차량(B)을 도시한다.
이 차량(B)은 센터 필러(5)가 있는 4도어의 자동차이고, 좌우의 각 전(前)승 강구(1)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2)와, 좌우의 각 후(後)승강구(3)를 개폐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이후 단지 '리어 도어'라고 기재한다)(4)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 프런트 도어(2)는 전단 상하 2개소(h1, h2)가 힌지 결합되고, 회동단이 센터 필러(5)의 상하 중간의 후 로크부(Jf)에 도시하지 않은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한편, 리어 도어(4)는 후술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 지지되고, 후승강구(3)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D1)와, 폐쇄 위치(D1)로부터 차밖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D2)와, 돌출 위치(D2)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드한 전개(全開)위치(D3)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폐쇄 위치(D1)에서 리어 도어(4)는 그 일방측 로크부를 이루는 전단 상하 로크부(J1, J2)가 도 4에 도시하는 래치(661)와 스트라이커(662)를 이용하여 센터 필러(5)에 2점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게 로크되고, 나머지 로크부의 타방측 로크부를 이루는 후단 로크부(J3)가 도 3에 도시하는 래치(671)와 스트라이커(672)를 이용하여 리어 필러(60b)에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상(前上) 로크부(J1)는, 후승강구(3)의 폐쇄 방향인 앞측에 위치하고, 후승강구(3)의 상부와 하부를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10)과 사이드 실(10c)을 연결하는 센터 필러(5) 가까이, 여기서는 센터 필러(5) 상부에 배치된다. 후 로크부(J3)는, 후승강구(3)의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의 상하 중간에 배치되고, 전하(前下) 로크부(J2)는, 센터 필러(5) 가까이, 여기서는 센터 필러(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전상 로크부(J1)와 후 로크부(J3)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도 어 지지 레일(22)의 상방에, 전하 로크부(J3)는 도어 지지 레일(22)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폐쇄 위치(D1)에 지지된 리어 도어(4)는, 전상 로크부(J1)(전하 로크부(J2) 도 같은 구성)를 구성하는 래치(661)와 스트라이커(662)를 이용하여 센터 필러(5)에 로크 되고, 후 로크부(J3)를 구성하는 래치(671)와 스트라이커(672)를 이용하여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에 로크되고, 이들 로크부(J1, J2, J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삼각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후승강구(3)의 둘레부(周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상, 전하의 로크부(J1, J2)의 각 스트라이커(662)는 센터 필러(5)의 아우터 패널(5a)에 볼트(도시 생략)로 체결 고정되고, 후 로크부(J3)의 스트라이커(672)는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에 볼트(도시 생략)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전상, 전하 로크부(J1, J2)의 래치(661)와,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각 로크부의 스트라이커(662, 672)와 대향하는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어 도어(4)의 외주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웨더 스트립이 부착되고, 이 웨더 스트립에 의해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지지된 때에,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된 로크부(J1, J2, J3)의 작용을 받아, 후승강구(3)의 주연 벽면의 전둘레에 대해 치밀하게 압접할 수 있고, 실성(性)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에 부착된 후 로크부(J3)의 스트라이커(672)는,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에서의 전방 대향벽(pf)(도 1 참조)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형성된 부착면(kf)에 지지된다.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의 전방 대향벽(pf)의 이면에는 필러 보강 린포스(65)가 일체 접합된다. 이로써 필러 보강 린포스(65)가 부착면(kf1)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도 3(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U자형의 스트라이커(672)에 차외측으로부터 차내측을 향하여 궤적(R1)에 따라 이동하고, 스트라이커(672)의 앞쪽측 축부(軸部)에 맞물린다. 이 경우, 리어 도어(4)는 그 폐쇄 위치(D1)로의 이동시에 후술하는 평행 링크(16)에 의해, 앞측 종연부(縱緣部)가 센터 필러(5)에 접근하고, 후술하는 컨트롤러(30)(도 2 참조)의 로크 신호를 받아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가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일방측 로크부인 전상 로크부(J1)와 후 로크부(J3)의 맞물리는 점을 잇는 추지선(樞支線)(Lr)(도 1 참조) 주위로 리어 도어(4)의 후단측과 일체로 타방측 로크부인 후 로크부(J3)가 차내측으로 회동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 로크부(J3)의 래치(671)의 궤적은, 도 3(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가 평행 링크(16)의 스윙시에 원호(r1)의 궤적에 따라 언래치 위치로 나아가고, 동 부분을 경유하여 하프래치 위치(b)에 달할 때까지는 r2의 궤적을 취하고, 래치(671)의 포크부(q)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여기서의 스트라이커(672)의 축방향의 어긋나는 양은 s1이다.
또한, 하프래치 위치(p1)에서, 리어 도어(4)의 앞측 연부의 전상 로크부(J1) 와 전하 로크부(J2)가 동시에 풀래치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전방 인입 이동이 생겨서, r3의 궤적을 취한다. 여기서의 스트라이커(672)의 축방향의 어긋나는 양은 r3와 같은 양인 s2가 된다.
뒤이어, 리어 도어(4)의 후단측의 후 로크부(J3)는 추지선(Lr) 주위로 차내측으로 회동 변위하는 r4의 궤적을 취하여 풀래치를 향한다. 연속하여 래치(671)의 포크부(q)가 스트라이커(672)에 맞물리도록 풀래치 위치(d)를 넘어서, 오버런 위치(e)까지 나아간 후(포크부(q)의 공회전) 풀래치 위치(d)로 되돌아와 정지하는 r5의 궤적을 취한다. 여기서의 스트라이커(672)의 축방향의 어긋나는 양은 s3이다.
그래서, 이와 같은 궤적을 고려하여, 스트라이커(672)의 부착각(角), 및, 이 스트라이커(672)에 맞물리는 래치(671) 방향을, 상대 마찰의 총량인 S(=s1+s2+s3)가 보다 적어지도록 설정하기 위해, 여기서는, 폐쇄 위치(D1)에서 스트라이커(672)와 래치(671)의 포크부(q)는 거의 직교 상태를 확보하도록 설정되어, 래치(661)와의 맞물림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3(a)에 2점쇄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4)에 대신하여 힌지 도어(4r)가 이용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힌지 도어(4r)의 앞측 연부의 상하의 힌지(도시 생략)를 잇는 도시하지 않은 추지 축선이 상술한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에 설정되는 추지선(Lr)과 일치하도록 힌지 도어(4r)를 센터 필러(5)에 추착하고, 그리고 나서 힌지 도어(4r)의 후단측에 리어 도어(4)용의 후 로크부(J3)를 부착하고, 리어 필러(후부 필러)(60b)의 부착면(kf)에 스트라이커(672)를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차외측으로부 터 차내측으로 향하여 힌지 도어(4r)를 궤적(R1')에 따라 이동한 경우도 용이하게 폐쇄 위치(D1)에 달하고, 풀래치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 로크부(J3) 및 스트라이커(672)를 공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스윙 슬라이드 도어(4)에 대신하여 힌지 도어(4r)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7(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 내에는, 일방측 로크부인 전상, 전하 로크부(J1, J2)와, 타방측 로크부인 후 로크부(J3)의 각 래치를 대향하는 스트라이커(662, 672)(도 3(a), 도 4 참조)에 대해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도 7(b)의 qcr1, qcr1', cr2의 각 작동)로 전환하는 래치 구동 수단(70)으로서의 래치 맞물림 구동 수단(70) 및 래치 해제 구동 수단(80)이 배치된다.
도 7 내지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맞물림 구동 수단(70)은 구동원이 되는 모터(701)와, 모터로 구동되는 요동 조작 부재(702)를 구비한다.
도 8 내지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요동 조작 부재(702)는 모터(701)측의 피니언 기어와 그것에 맞물림과 함께 회전 중심축 주위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왕복 요동 변위하는 만곡 래크 기어를 구비한 판형상 주부(主部)(704)로 이루어진다. 판형상 주부(704)에 일단이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705)의 타단을 전상 로크부(J1)(일방측 로크부)의 래치(661)(도 4 참조)에 폐쇄 방향의 장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 주부(704)의 타단측에는 요동 변위 전달 부재인 가압 링크(706)의 지점(支點)이 되는 추축(樞軸)(707)(도 8 참조)이 핀 결합되고, 그 요동단이 후 로크부(J3)(타방측 로크부)의 래치(661)에 접리 가능하게 맞닿아 폐쇄 방향의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는, 도 10(a), (b),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링크(706)는 그 지점을 판형상 주부(704)의 추축(707)과 동축적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추지되고, 그 부근에서 판형상 주부(704)에 일단이 핀 결합된 계합편(708)의 폴부가 가압 링크(706)에 계합함으로써 판형상 주부(704)의 회전력을 가압 링크(706)에 가하고, 이에 따라 가압 링크(706)가 추축(707)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이 가압 링크(706)의 요동단이 래치(661)에 맞물림 방향의 가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방향의 가압력을 받은 래치(661)의 포크(q)는 래치축(qs) 주위로 회동하고, 대향하는 스트라이커(672)에 맞물리고, 소정량 이상의 맞물림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이 계합하고, 스트라이커(662)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은 래치 해제 구동 수단(80)측의 해제 케이블(809)의 해제 조작력을 링크(801r)를 통하여 계합 해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전상 로크부(J1)(일방측 로크부)의 래치(661)에 폐쇄 방향의 장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상 로크부(J1)의 래치(661) 내의 포크(q)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축에 추지되고, 포크(q)의 타단측의 암 단(端)에 동축 케이블(705)이 연결되고, 동축 케이블(705)로부터의 장력에 따라 맞물림 주위로 회동하고, 대향하는 스트라이커(662)에 맞물리고, 계합하고, 스트라이커(662)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 7(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해제 구동 수단(80)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연동하여 부호 (1)의 요동 변위를 생기게 하는 해제 암(803)과, 그 해제 암(803)에 연동하여 지점 핀(804) 주위에 부호 (2)의 지렛대 작동하는 분기(分岐) 조작 부재(805)를 구비한다. 또한, 분기 조작 부재(805)의 일방의 요동단에 부호 (3)의 장력을 전한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전상 로크부(J1)의 래치(661) 내의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과, 분기 조작 부재(805)의 타방의 요동단에 부호 (3)의 장력을 전하는 동축 케이블(806)을 통하여 연결된 전하 로크부(J2)의 래치(661)(전상 로크부(J1)와 같다) 내의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과, 분기 조작 부재(805)의 타방의 요동단에 부호 (3)의 장력을 전하는 동축 케이블(801)을 통하여 연결되는 후 로크부(J3)의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을 구비한다.
래치 해제 구동 수단(8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컨트롤러(30)(제어 수단)로부터의 로크 해제 지령에 응하여 분기 조작 부재(805)를 지점 핀(804) 주위로 회동시켜서, 정상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도 7(a)에 도시하는 부호 g의 조작)로 요동 조작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상, 하 로크부(J1, J2) 및 후 로크부(J3)의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방지 폴을 동시에 해제하고,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D1)로부터 개방하고, 돌출 위치(D2)측을 향하여서의 요동을 허용한다.
도 1,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은 차체의 후승강구(3)에 따라 배치된 리어 필러(60)에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부근에 형성된 부착오목부(T)에 부착된다.
도 6,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베이스부(基部)인 베이스 부재(15)는 차체 측벽의 고정부재를 이루고 있고, 평행 링크(16)의 기단부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부와, 동 도어 하중 지지 암(18)(도 4 참조)에 지지된 와이어 하니스(20)의 차체측 배선부(20b)와, 개폐 구동 기구(19)의 케이블 엔드(Poe, Pce) 등이 부착된다.
도 6,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5)는 강성을 유지한 형상을 가지며,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하부 부착부(151)와 그보다 상방으로 늘어나고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추지하는 상부 종주부(縱柱部)(152)를 구비한다. 하부 부착부(151)는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횡방향 플랜지부(15a)와 그 횡방향 플랜지부(15a)를 보강하도록 용착되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하방 경사부(15b)와, 하방 경사부(15b)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여 나오고, 부착오목부(T)에 볼트 고정된 체결 플랜지(15c)를 구비한다.
상부 종주부(152)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서의 제 1 지지 암(44)의 제 1 추지단(기단)이 세로 핀(43)을 통하여 추지되는 기단 보스부(41)를 구비한다.
기단 보스부(41)의 일측에는 ㄷ자형 체결 브래킷(53)이 겹치고, 서로 볼트 고정된다.
도 4, 5,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는 요동하는 리어 도어(4)의 이동 궤적이나 각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평행 링크(16)의 앞암(31) 및 뒷암(32)의 앞, 뒷연결 핀(246, 245)은 슬라이더(24)의 전후단 근방과 각각 핀 결합된다. 앞암(31) 및 뒷암(32)은 상호간에 전후 및 상하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이로써 양 암 상호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아우터 패널(401)과 도어 내 공간을 통하여 배치되는 이너 패널(402)과는 서로의 전후 및 하부의 외주 연부가 상호간에 일체 접합 처리되고, 양 패널의 상방 주연부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도어 유리의 지지 부재의 새시(55)가 장착된다.
리어 도어(4) 내의 공간에는 도어 유리 외에, 도어 지지 레일(22)이나, 도어 지지 레일(22)에 감착되는 슬라이더(24)나, 개폐 구동 기구(19)의 도어측 부재나, 리어 도어(4) 내에 마련한 전장 기기인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30)(도 1 참조)가 배치된다.
도 1, 5,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측에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과 복수의 중간 롤러(Po2, Pc2)가 배치된다. 리어 도어(4) 내 전장 기기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 지지된 와이어 하니스(20)를 경유하여 차체측의 메인 컨트롤러(300)에 연결된다.
도 4,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의 상방에 부착되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차체측에 추지된 베이스 부재(15)의 상부의 상부 종주부(152)에 형성된 기단 보스부(41)에 제 1 세로 핀(43)을 통하여 제 1 지지 암(44)의 제 1 추지단(기단)(441)이 추지된다. 제 1 지지 암(44)의 회동단에는 제 2 세로 핀(62)을 통하여 제 2 지지 암(61)의 제 2 추지단(기단부)(611)이 추지되고, 그 타단인 제 2 지지 암의 요동단(612)이 리어 도어(4)의 중심 위치 부근의 도어측 추지부(37)를 제 3 세로 핀(36)을 통하여 추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 의 해, 리어 도어(4)의 중심부의 하중을 항상 베이스 부재(1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의 요동단에 추착된 슬라이더(24)는 도어 지지 레일(22)에 감착된다. 도어 지지 레일(22)은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에 부착 브래킷(35)을 통하여 고착된다. 도어 지지 레일(22)은 그 내부에 하향 주(主), 종(從) 레일 홈(33u1, 33u2)과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l1), 종상향 레일 홈(33l2)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내부에 전후 롤러(23f, 23r), 복수의 롤러(r)를 통하여 슬라이더(24)가 감착된다.
슬라이더(24)는 뒷암(32)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뒷연결 핀(245)과, 하기판(241b)의 앞에 가까운 하향 벽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앞암(31)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한 앞연결 핀(246)을 구비한다. 이로써, 슬라이더(24)가 병행 링크에 의해 요동함과 함께 슬라이더(24)의 전후 롤러(23f, 23r)에 대해 도어 지지 레일(22)이 전후 방향(X)으로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다.
또한, 앞 롤러(23f)가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l1)의 스토퍼 벽부(rs0)에 맞닿음으로써, 상대적인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의 더한층의 앞활주를 저지하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의 돌출 위치(D2)를 규제하고 있다.
다음에, 리어 도어(4)에는 개폐 구동 기구(19)가 배치된다.
도 5,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구동 기구(19)는 리어 도어(4)의 구동원을 이루는 모터(101), 권취 드럼(46)의 회전력으로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를 통하여 전개 위치(D3)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개폐 구동 기구(19)는 리어 도어(4) 내부에 배설된 모터(101)와, 모터(101)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구동되는 권취 드럼(46)과, 권취 드럼(46)에 인출 자유롭게 감기는 개방 케이블(49) 및 폐쇄 케이블(51)과, 개방 케이블(49)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전단의 단부 풀리(po1)와, 폐쇄 케이블(51)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앞측의 제 1 풀리(po2)와, 앞암(31)상의 제 2 풀리(po3)(전 중간 풀리)와,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지지되고 개방 케이블(49)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oe)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pc2)와, 뒷암(32)상의 제 2 풀리(pc3)(후 중간 풀리)와, ㄷ자형 체결 브래킷(53)의 하플랜지(53d)에 지지되고 폐쇄 케이블(51)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ce)를 구비한다.
다음에, 리어 도어(4)의 작동을 설명한다.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기 전에 있어서,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도 1, 도 5(a)) 참조)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 리어 도어(스윙 슬라이드 도어)(4)측의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래치(661, 671)가 로크 상태를 유지한 채로 비통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리어 도어(4)는 센터 필러(5)에 전상 로크부(J1)(전하 로크부(J3)도 마찬가지)의 래치(661)와 스트라이커(662)를 이용하여 로크된다. 또한, 스윙 슬라이드 도어용의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스트라이커(672)에 맞물려 있다. 이 경우,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암(32)과 앞암(31)의 요동단은 차 내측으로 인입되고, 양 암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와 함께 도어 지지 레 일(22)이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도 1 참조)(D1)를 지지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아, 컨트롤러(30)로부터 로크 해제 지령이 발하여지면, 분기 조작 부재(805)가 정상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요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상, 하 로크부(J1. J2) 및 후 로크부(J3)를 동시에 해제 작동시키고,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D1)로부터 개방하고, 돌출 위치(D2)측을 향한 요동을 허용한다. 이로서,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와 후 로크부(J3)의 각 래치(661, 671)가 해제하고, 각 스트라이커(662, 672)와 이탈한다.
뒤이어, 구동원(M)의 모터(101)가 구동되어 왕복 요동 변위하는 판형상 주부(704)가, 도 5(a)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작동 케이블(49)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oe)와, 도어 지지 레일(22)상의 고정 풀리(po1)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마련된 케이블을 권취 드럼(46)의 도시하지 않은 개방권취부가 감는다. 이로써, 앞암(31)은 이에 연동하는 뒷암(32)을 폐쇄 위치(D1)로부터 도 5(b)에 도시하는 요동 위치(D2)로 요동 변위시킨다.
다음에, 개폐 구동 기구(19)의 작용으로, 리어 도어(4)가 요동 위치(D2)를 통과하여, 요동이 멈추고 있는 병행 링크(16)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어 지지 레일(22)측이 도 5(c)에 도시하는 전개 위치(D3)까지 활주 조작된다.
다음에, 후승강구(3)를 탑승자가 통과하고, 승강이 종료되고, 컨트롤러(30)가 도어 폐쇄 지령을 받는다고 한다. 이 때, 구동원인 모터(101)가 정전(正轉) 구동되고, 도 5(c)의 상태로부터 도 5(b)의 요동 위치로 되돌아오고, 도 5(a)의 폐쇄 위치(D1)를 향하여 리어 도어(4)가 이동한다.
이 폐쇄 위치(D1) 직전에 전상 로크부(J1)(전하 로크부(J2)도 마찬가지)의 래치(661)가 하프래치 위치라는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30)는, 모터(101)를 정전시켜서, 판형상 주부(704)를 일방향(도 10(a)로부터 (b)를 향하는 변위)으로 요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전상 로크부(J1)(전하 로크부(J2)도 마찬가지)의 래치(661)가 센터 필러(5)에 지지되는 스트라이커(662)에 맞물리고, 로크된다.
뒤이어 컨트롤러(30)는 후 로크부(J3)의 래치(671)가 하프래치 위치라는 신호를 받으면, 모터(101)를 역전 회전시켜서, 판형상 주부(704)를 타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연동하여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672)(도 5(a) 참조)와 맞물리는 맞물림 방향(cr)으로 회동한다.
이 때,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평행 링크(16)의 스윙시의 원호에 따라 r1의 궤적을 통과하고, 언래치 위치(a)를 경유하여 하프래치 위치(b)에 도달하고, 또한, 포크부(q)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여기서 리어 도어(4)의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가 풀래치 상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전방 인입 이동을 하여, r3의 궤적을 통과한다. 뒤이어, 후 로크부(J3)는 추지선(Lr) 주위에 차내측으로 회동 변위하는 r4의 궤적을 통과하고, 래치(671)의 포크부(q)가 스트라이커(672)에 맞물리기 위해 풀래치 위치(d)를 넘어서, 오버런 위치(e)까지 진행된 후 되돌아오는 r5의 궤적을 경유하여 풀래치 위치(d)에 정지하고, 후 로크부(J3)가 풀래치로 지지된다.
이 풀래치에의 맞물림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 마찰의 총량(S)(=s1+s2+s3)이 비교적 적고, 스무스하게 후 로크부(J3)의 래치(671)는 맞물림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터(701)의 정전, 역전을 사용하여, 순번대로 2개의 연동하는 전상 로크부(J1)(전하 로크부(J2)도 같은 구성)와, 타방의 후 로크부(J3)를 순차로 로크 작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모터(701), 하니스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의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리어 도어(4) 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동음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전상 로크부(J1)와 전하 로크부(J2)를 연동할 수 있고, 도어 개구부의 일방측의 개구연부에 로크부(J1, J2)가 상하 2개, 후방측의 개구연부에 로크부(J3)가 하나, 합계 3개의 로크부를 이용하여 도어를 도어 개구부에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게다가 모터의 증설은 필요없다.
또한, 판형상 주부(요동 조작 부재)(704)의 왕방향인 일방향의 요동 변위에 의해 그 요동 변위를 일방측의 동축 케이블(요동 변위 전달 부재)을 통하여 앞측 로크부(J1, J2)의 래치에 전하여 로크 작동시키고, 뒤이어, 복방향인 후방향으로 요동 변위에 의해 그 요동 변위를 후방측의 가압 링크(706)(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후방측 로크부(J3)의 래치에 전하여 로크 작동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모터(701)의 정전, 역전을 순차로 일방측 로크부와 타방측 로크부에 전할 수 있고, 확실하게 2개의 래치를 순차로 로크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점에 있어서, 리어 도어(4)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2도어 차량의 좌우 도어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고,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도어의 로크 장치가 채용된 차량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도어의 로크 장치가 적용된 리어 도어의 도어 로크 구성을 개략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도어의 로크 장치에서 이용하는 후 로크부를 도시하고, (a)는 리어 도어의 후 로크부의 주요부 단면도, (b)는 후 로크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도어의 로크 장치에서 이용하는 전상 로크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도어의 로크 장치에서 이용하는 리어 도어의 개폐 작동 설명도.
도 6은 도 1의 도어의 로크 장치에서 이용하는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부분 노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의 작동 설명도로서, (a)는 리어 도어의 로크 해제 작동을, (b)는 로크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 내의 후 로크부의 작동 설명도로서, (a)는 정상시를, (b)는 후 로크부의 로크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 내의 후 로크부의 작동 설명도로서, (a)는 전 로크부의 로크 작동을, (b)는 (a)의 이면도.
도 10은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 내의 후 로크부의 작동 설명도로서, (a)는 후 로크부의 정상시를, (b)는 후 로크부의 로크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 내의 후 로크부의 로크 작동 설명도.
도 12는 도 1의 도어 로크 장치가 채용된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요동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노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후승강구
4 : 리어 도어
16 : 평행 링크
30 : 컨트롤러(제어 기기)
60b : 리어 필러
661, 671 : 래치
662, 672 : 스트라이커
70 : 래치 맞물림 구동 수단
701 : 모터
702 : 요동 조작 부재
704 : 판형상 주부(요동 조작 부재)
705 : 동축 케이블(요동 변위 전달 부재)
706 : 가압 링크(요동 변위 전달 부재)
80 : 래치 해제 구동 수단
kf : 제 1 부착면
pf : 전방 대향벽
J1 : 전상 로크부
J2 : 전하 로크부(일방측 로크부)
J3 : 후 로크부(타방측 로크부)
B : 자동차(차체)
D1 : 폐쇄 위치
D3 : 전개 위치

Claims (4)

  1.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지지된 래치를 상기 개구연부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지지하는 복수의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의 각 래치를 대향하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해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는 래치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 수단의 모터로 구동되는 요동 조작 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연동하는 상기 로크부의 적어도 하나의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역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연동하는 나머지 상기 로크부의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하프래치 상태로부터 풀래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로크부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일방측의 개구연부에 상하 2개 서로 연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타방측 로크부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타방측의 개구연부에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 수단은 상기 모터로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에 따라 일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로크 작동시키고, 상기 요동 조작 부재를 타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에 따라 타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를 통하여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를 로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조작 부재는 모터로 회전 중심축 주위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왕복 요동 변위하는 판형상 주부를 가지며, 상기 일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인 동축 케이블이 그 일단을 판형상 주부에 접속함과 함께 타단을 상기 일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폐쇄 방향의 장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요동 변위 전달 부재인 가압 링크가 그 일단을 판형상 주부에 핀 결합하여 그 요동단을 상기 타방측 로크부의 래치에 접리 가능하게 맞대여서 폐쇄 방향의 가압력으로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로크 장치.
KR20080130070A 2008-02-18 2008-12-19 도어의 로크 장치 KR100993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6699A JP5041423B2 (ja) 2008-02-18 2008-02-18 ドアのロック装置
JPJP-P-2008-036699 2008-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44A true KR20090089244A (ko) 2009-08-21
KR100993097B1 KR100993097B1 (ko) 2010-11-08

Family

ID=4065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070A KR100993097B1 (ko) 2008-02-18 2008-12-19 도어의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90729A3 (ko)
JP (1) JP5041423B2 (ko)
KR (1) KR100993097B1 (ko)
CN (1) CN101514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8141B1 (en) * 2012-10-25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losure restraint system with camming self adjustment
DE102014218860A1 (de) * 2014-09-19 2016-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iebetür für Kraftfahrzeuge
CN105822156B (zh) * 2015-01-09 2019-09-1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车门双锁系统的执行器及其驱动机构
JP6097981B1 (ja) * 2015-09-17 2017-03-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10712503B (zh) * 2018-07-13 2020-12-2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安装装置总成和一种车门装配方法
CN110644865B (zh) * 2019-10-09 2021-06-04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门锁机构
JP7420286B2 (ja) 2020-12-24 2024-01-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CN114517613B (zh) * 2022-01-24 2023-02-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吸合门的闭合方法、控制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2669A (en) * 1995-08-24 1998-11-1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atch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3847429B2 (ja) 1996-11-27 2006-11-22 アスモ株式会社 扉体の施解錠装置
JP3540175B2 (ja) * 1998-11-12 2004-07-07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ドア装置
JP4127457B2 (ja) * 2000-10-24 2008-07-30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車両用ドア装置
JP3931572B2 (ja) * 2001-03-02 2007-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JP2003106023A (ja) * 2001-10-01 2003-04-09 Denso Corp 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4428047B2 (ja) * 2003-12-24 2010-03-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ラッチ作動装置
KR100734228B1 (ko) 2005-08-19 2007-07-02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어 폐쇄 장치
JP4428346B2 (ja) * 2006-02-14 2010-03-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DE102006020344A1 (de) * 2006-04-28 2007-10-31 Kiekert Ag Schließsystem für eine Kraftfahrzeugtür mit mehreren Schließelementen und gemeinsamer Steu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0729A2 (en) 2009-08-19
CN101514607B (zh) 2011-11-02
EP2090729A3 (en) 2013-04-03
JP5041423B2 (ja) 2012-10-03
JP2009191591A (ja) 2009-08-27
CN101514607A (zh) 2009-08-26
KR100993097B1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097B1 (ko) 도어의 로크 장치
CN114412304B (zh) 控制闭合构件的运动的系统以及载荷平衡机构的操作方法
US20150076840A1 (en) Coupl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pivotably mounted body part, such as a vehicle door, tailgate or hood to a vehicle structural part of a motor vehicle body
US7559597B2 (en) Vehicle roof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RU2543475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верей и механизм блокировки
CN101535584B (zh) 附锁开关装置
WO2011024767A1 (ja) 車両用ドア構造
JP5383677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KR100976315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40049046A (ko) 로크 부착 개폐 장치
CN114901916B (zh) 机动车门锁系统
KR100999734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JP2008094323A (ja) 車両用ドア開閉構造
US8042424B2 (en) System for opening/closing a roof panel and a branched driving cable to be used for the system
CN1936251A (zh) 带有防推开安全装置的门驱动器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JPH0314058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JP5156430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5098115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10037731A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H0631104Y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H1088896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3312968A (ja) かご側ドアーの施錠装置
US20240060353A1 (en) Opening device for displacing a vehicle door
JP4985596B2 (ja) 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