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315B1 -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315B1
KR100976315B1 KR1020080091467A KR20080091467A KR100976315B1 KR 100976315 B1 KR100976315 B1 KR 100976315B1 KR 1020080091467 A KR1020080091467 A KR 1020080091467A KR 20080091467 A KR20080091467 A KR 20080091467A KR 100976315 B1 KR100976315 B1 KR 10097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oor
opening
clos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151A (ko
Inventor
토루 아라오
토시아키 우치카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 E05D2015/108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the carriage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과제
확실하게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 구동할 수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후로 길다란 레일(22)을 부착한 리어 도어(4)와, 차체의 고정부재(15)에 전후 추축 지지단이 연결되고, 레일(22)에 활주 자유롭게 끼여 부착된(fittingly attached) 슬라이더(24)에 전후 요동단(front and rear swing center points; Prf, Prr)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31, 32)에 의해 도어를 지지하는 평행 링크(16)를 구비하고, 모터 구동의 드럼(46)에 의한 개방 케이블(49)과 폐쇄 케이블(51)의 감기 및 되감기 조작에 의해,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D1)와 전개 위치(D2)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개방 케이블 엔드(Poe)와 폐쇄 케이블 엔드(Pce)의 적어도 한쪽은 평행 링크(16)상의 중간 풀리(Po2, Pc2)로부터 늘어나는 개방 케이블 또는 폐쇄 케이블을 감아 거는 원호형상의 만곡 홈(74)이 형성되었다.

Description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SWINGING AND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측벽에 마련되는 승강구(乘降口)를 개폐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승강구를 폐쇄하는 상태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요동하고, 그리고 나서 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승강구를 전개(全開)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그 도어의 이동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평행 링크를 이용한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의해 차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유닛을 이용한 도어의 한 예가 일본 특개평10-175444호 공보(특허문헌1)이나,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수동(手動)에 의해 개폐 조작되고, 특허문헌2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모터를 구비한 개 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조작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에서 이용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RU)은, 평행 링크(200)와 도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암(201)과 이들을 요동시키는 개폐 구동 기구(203)를 구비한다. 평행 링크(200)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전후 추축 지지단(front and rear pivotally supporting ends)이 연결되고 도어(204)측의 레일(205)에 끼여 부착된(fittingly attached) 슬라이더(206)에 전후 요동단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207, 208)을 구비한다. 개폐 구동 기구(203)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지지된 모터(209)와, 모터(209)에 구동되는 권취(卷取) 드럼(210)과, 권취 드럼(210)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연결된 개방(開) 케이블(211) 및 폐쇄(閉) 케이블(212)과, 개방 케이블(211)을 감아 거는 복수의 풀리(213)와, 도어(204)측의 앞케이블 엔드(214)와, 폐쇄 케이블(212)을 감아 거는 복수의 풀리(215)와, 도어측의 뒷케이블 엔드(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권취 드럼(210)이 개방 케이블(211)을 감으면, 앞케이블 엔드(214)가 여는 방향(도 15로 좌측)으로 장력을 받으며, 동시에, 평행 링크상의 복수의 풀리(213)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평행 링크(200)가 개방방향(開方向)으로 요동한다. 권취 드럼(210)이 폐쇄 케이블(212)을 감으면, 뒷케이블 엔드(216)가 폐쇄방향(도 15로 우측)에 장력을 받으며, 동시에, 평행 링크(200)상의 복수의 풀리(215)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평행 링크(200)가 폐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문에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204)는,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시 생략)와, 그 폐쇄 위치로부터 차밖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요동 위치)(D2)와, 돌 출 위치(D2)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 개방위치(전개 위치 : 화살표로 도시하였다)(D3)로 이동할 수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3-32096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
그런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개폐 구동 기구(203)의 경우, 모터(209), 권취 드럼(210) 및 케이블 감아걸기용 풀리(213, 215)는, 차체측 장비 부착 에어리어인 차체 플로워(B)상의 베이스 부재(204)에 마련되어 있어서, 부착 에어리어의 확보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래서, 도어측에 모터 구동의 권취 드럼을 배치하고, 차체측에 케이블 엔드를 배치 구비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차체측 부착 에어리어를 축소하여 부착 에어리어의 확보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측 브래킷(306)과 슬라이더(299)를 평행 링크(300r)로 연결한다고 한다. 이 경우, 평행 링크(300r)의 한쪽의 암(301)상에 동축적으로 개폐 중간 풀리(302, 305)를 추착(pivotally attached)한다. 그리고 나서, 도시하지 않은 모터측으로부터의 열 때의 장력(Fo1)을 받는 개방 케이블(303)을 개중간(開中間) 풀리(302)에 감아걸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측으로부터의 닫을 때의 장력(Fc1)을 받는 폐쇄 케이블(304)을 폐중간 풀리(305)에 감아 건다. 또한, 개중간 풀리(opening intermediate pulley)(302)로부터의 개방 케이블(303)을 차체측 브래킷(306)의 케이블 엔드(307)에 체결하고, 폐중간 풀리(305)로부터의 폐쇄 케이블(304)을 차체측 브래킷(306)의 케이블 엔드(308)에 체결하는 것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면, 케이블 엔드(306, 308)에 체결되어 있는 개방, 폐쇄 케이블(303, 304)은 평행 링크(300r)의 암(301)이 요동하는 것에 따라, 케이블 엔드와의 체결 부분 근방에서 굴곡을 반복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 하기 쉽다. 또한, 암(301)과 동 암상의 개, 폐중간 풀리(302, 305)로부터 케이블 엔드(307, 308)로 늘어나는 개방, 폐쇄 케이블(303, 304)이 이루는 각도(β1, β2)는 클수록 개폐 방향의 조작력(Fo, Fc)이 증가하는데, 케이블 엔드(307, 308)가 고정점을 이루기 때문에, 각도(β1, β2)가 증감 변화하고, 이 각도(β1, β2)가 작아지는 영역에서는 개폐 방향의 조작력(Fo, Fc)이 저감하게 되어,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확실하게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 구동할 수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차체의 도어 개구를 개폐함과 함께 전후로 긴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전후 추축 지지단이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여 부착하는 슬라이더에 전후 요동단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에 의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평행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또는 상기 차체측의 어느 한쪽에 모터 구동의 드럼을 마련하고, 어느 다른쪽에 상기 드럼에 의해 감기 및 되감기 조작되는 케이블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엔드를 고정하고, 동 케이블 엔드의 외주벽에는 케이블을 감아 거는 원호형상의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홈은 전후 한쌍의 암이 상기 도어를 개폐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감아 거는 양이 증감 변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어 내에 드럼을 구비하고, 차체측에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차체측벽측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차체에의 장착성이 양호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도어 개방시에 감는 개방 케이블과 도어 폐쇄시에 감는 폐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케이블은 상기 드럼에서부터 연장하여 나오고 상기 레일의 전단(前端)에 마련되는 전단 풀리와 상기 앞암상에 마련되는 개중간 풀리에 감아 걸린 다음 상기 고정부재에 고착된 개방 케이블 엔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방 케이블은 상기 앞암이 여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개방 케이블의 상기 개방 케이블 엔드에의 감아 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감아 걸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도어 개방시에 감는 개방 케이블과 도어 폐쇄시에 감는 폐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케이블은 상기 드럼에서부터 연장하여 나오고 상기 레일의 후단에 마련되는 후단 풀리와 상기 뒷암상에 마련되는 후 중간 풀리(rear intermediate pulley) 에 감아 걸린 다음 상기 고정부재에 고착된 폐쇄 케이블 엔드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 케이블은 상기 뒷암이 닿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폐쇄 케이블의 상기 폐쇄 케이블 엔드에의 감아 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감아 걸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도어측 또는 차체측에 고착되는 케이블 엔드에는 원호형상의 만곡 홈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케이블를 도어측 또는 차체측에 대해 절곡되는 일 없이 연결할 수 있어서,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평행 링크가 여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한쪽의 암과 동 암상의 중간 풀리로부터 늘어나는 개방 케이블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크게 되고, 개방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중의 한쪽의 암을 여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이 비교적 크게 되고, 요동 조작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그 만큼, 모터의 구동 토오크 저감, 모터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항의 발명은, 평행 링크가 폐쇄 방향으로 요동하는데 따라 동 다른쪽의 암과 동 암상의 중간 풀리로부터 늘어나는 폐쇄 케이블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크게 되고, 폐쇄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중의 다른쪽의 암을 폐쇄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이 비교적 크게 되어, 요동 조작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그 만큼, 모터의 구동 토오크 저감, 모터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이후 단지 리어 도어라고 기재한다)(4)는 4도어의 해치백 타입의 자동차(이후 단지 차량이라고 기재한다)(B))의 리어 도어를 이루고 있다.
차량(B)은 좌우의 각 전(前)승강구(1)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2)와, 좌우의 각 후승강구(3)를 개폐하는 리어 도어(4)를 구비한다. 각 프런트 도어(2)는 전단 상하 2개소(h1, h2)가 힌지 결합되고, 회동단이 센터 필러(5)의 상하 중간의 후 (後)로크부(Jf)에 도시하지 않은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한편, 리어 도어(4)는 후술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 지지되고, 후승강구(3)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D1)와, 폐쇄 위치(D1)로부터 차밖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돌출 위치)(D2)와, 돌출 위치(D2)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 전개(全開) 위치(D3)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폐쇄 위치(D1)에서 리어 도어(4)는 그 전단 상하 로크부(J1, J2)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센터 필러(5)에 2점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게 로크되고, 후단 상하 중간의 후단 로크부(J3)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리어 필러(60)에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리어 도어(4)의 외주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웨더 스트립이 마련되고, 이 웨더 스트립에 의해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서 지지된 때에, 후승강구(3)의 주연 벽면에 대해 치밀하게 압접할 수 있어서, 실 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은 차체의 후승강구(3)에 따라 배치 구비된 리어 필러(60)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근방에 부착된다.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필러(60)의 차체의 뒷 부분의 아우터 패널(쿼터 패널)(60b)의 전단 부분과 그 차내측의 이너 패널(29)(도 5 참조)의 전단 부분과, 도시하지 않은 리인포스로 형성된다. 리어 필러(60)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근방에는, 평평한 종벽을 이루는 이너 패널(29)과 이너 패널(29)의 차외측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60b)을 서로 용착시켜서 되는 후승강구(3)의 주연부인 세로 플랜지부(이후 단지 후방 세로 플랜지부)(f1)가 형성된다.
도 1,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세로 플랜지부(f1)의 일부에는 부착 오목부(T)가 형성된다. 이 부착 오목부(T)는 차외측(도 1에서 앞쪽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후단 로크부(J3)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을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후방 세로 플랜지부(f1) 및 그 차내측의 이너 패널(29)의 종벽면에 걸쳐서 쿼터 트림(120)이 부착되어 있다.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의 부착 오목부(T)의 저벽(601)에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베이스부(基部)인 베이스 부재(15)가 고착된다. 베이스 부재(15)는 차체측벽의 고정부재를 이루고 있고, 평행 링크(16)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과, 개폐 구동 기구(19)의 개방 케이블 엔드(Poe, Pce)(도 5, 9 참조) 및 후술하는 복수의 중간 롤러(r) 등이 마련된다.
또한, 개폐 구동 기구(19)의 차체측 부재에 연동하는 부재가 리어 도어(4)측에 배치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측에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과 복수의 롤러(Po1, Pc1, Po2, Pc2)(도 5, 6 참조)가 배치 구비된다.
도 3,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5)는 강성을 유지한 형상을 가지며,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축 지지하는(pivotally supporting) 하부 부착부(151)와 그보다 상방으로 늘어나고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추축 지지하는 상부 종주부(upper virtical pillar portion; 152)를 구비한다. 하부 부착부(151)는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축 지지하는 횡방향 플랜지부(15a)와 그 횡방향 플랜지부(15a)를 보강하도록 용착되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하방 경사부(15b)와, 하방 경사부(15b)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여 나와, 부착 오목부(T)의 일부를 이루는 전향단상부(forward oriented stepped portion; 601)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플랜지(15c)를 구비한다.
상부 종주부(152)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을 세로 핀(43)을 통하여 추축 지지하는 기단(基端) 보스부(41)를 구비한다. 기단 보스부(41)의 일측에는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이 겹치고, 상호 볼트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ㄷ자형 체결 브래킷(53)은 기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하여 나오는 종벽면이 부착 오목부(T)의 종벽에 겹치고, 양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는 요동하는 리어 도어(4)의 이동 궤적이나 각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평행 링크(16)의 앞암(31) 및 뒷암(32)의 전후 연결 핀(246, 245)은 슬라이더(24)의 전후단 근방과 각각 핀 결합된다. 앞암(31) 및 뒷암(32)은 전후 및 상하로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요동할 수 있고, 양 암 상호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24)는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에 부착 브래킷(35)을 통하여 일체 결합된 도어 지지 레일(22)에 끼여 부착된다. 또한, 부착 브래 킷(35)은 이너 패널(402)의 내벽의 중앙 주요부를 덮는 형상의 굴곡판재이고, 도어 중심(重心) 위치 근방에 후술하는 도어측 추축 지지부(37)를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아우터 패널(401)과 도어 내 공간을 통하여 배치 구비된 이너 패널(402)은 서로의 전후 및 하부의 외주연부가 상호 일체 접합 처리되고, 또한, 양 패널의 상방 주연부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유리의 승강 작동역(作動域) 및 그 지지 부재의 새시(55)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어 내공간에는 도어 유리 외에, 개폐 구동 기구(19)와,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3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0)와 차체측의 전원(도시 생략) 및 메인 컨트롤러(300)가 와이어 하네스(20)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의 차내측면은 트림(80)에 의해 덮인다. 트림(80)은 평행 링크(16)의 앞뒷암(31, 32)을 감삽(嵌揷)하는 슬릿(81)을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체는 이너 패널(402)(도 3 참조)의 차내측면 전체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결합고정(係止) 수단으로 결합고정된다. 상부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측과 핀 결합되는 이너 패널(402)과 일체의 도어측 추축 지지부(37)가 감합되는 부착구멍(90)이 형성된다.
도 1,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의 상방에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이 마련된다.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차체측에 추축 지지된 베이스 부 재(15)의 상부의 상부 종주부(152)에 형성된 기단 보스부(41)에 제 1 세로 핀(43)을 통하여 제 1 지지 암(44)의 기단부(441)가 추축 지지된다. 제 1 지지 암(44)의 회동단에는 제 2 세로 핀(62)을 통하여 제 2 지지 암(61)의 기단부(611)가 추축 지지되고, 그 타단인 요동단(612)이 리어 도어(4)의 중심 위치 근방의 도어측 추축 지지부(37)를 제 3 세로 핀(36)을 통하여 추축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이루는 제 1 지지 암(44)과 제 2 지지 암(61) 은 세로가 길다란 단면의 바형상 부재로서 강성재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상하 방향의 도어 하중을 받아도 변형을 억제하고, 리어 도어(4)의 중심부의 하중을 항상 베이스 부재(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리어 도어(4)의 도어 하중을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 전개 위치(D3)와 이동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확실하게 지지하고, 리어 도어(4)의 기울어짐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는, 와이어 하네스(20)의 주요부가 지지된다. 즉, 도 11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20)는 리어 도어(4) 내의 전장 기기, 예를 들면,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도시하지 않은 전동 윈도우 레귤레이터, 전, 후단 로크부(J1, J2, J3)의 파워 래치(6, 8)나, 도시하지 않은 래치 센서 및 컨트롤러(30) 등의 각 배선을 묶어서 와이어 하네스(20)를 형성하고, 그 와이어 하네스(20)를 차체측의 전원(도시 생략) 및 메인 컨트롤러(300)에 연결한다. 와이어 하네스(20)는 차체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나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부(441), 제 1 지지 암(44), 제 2 지지 암(61), 요동단(612), 도어측 추축 지지부(37)의 각 측벽에 도시하지 않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순차로 체결되고, 리어 도어(4)의 내부 공간측에 달하고, 제어 기기인 컨트롤러(30) 등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은 그 내부에 하향 주, 종 레일 홈(33u1, 33u2)과 하부의 주(主)하향 레일 홈(33l1), 종(從)상향 레일 홈(33l2)을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도어 지지 레일(22)의 내부에 전후 외(外)롤러(r1, r2), 복수의 롤러(r)를 통하여 슬라이더(24)가 끼여 삽입된다(fittingly inserted).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4)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판형상의 서로 결합하는 상하기판(upper and lower base plates; 241, 244)과, 상기판(241)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한 쌍의 병렬형상의 종장벽(a pair of parallel vertically long walls; 242, 243)과, 상기판(upper base plate; 241)의 앞 부분에 뒷암(32)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한 후 연결 핀(rear connecting pin; 245)과, 하기판(244)의 앞 부근(도 4에서 우측)의 하향 벽보다 하방으로 늘어나 앞암(31)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전 연결 핀(front connecting pin; 246)을 구비한다.
종장벽(242)(도 3 참조)의 주요부에는 후외롤러(rear outer roller; r1)가 느슨하게 끼이는(loosely fitted) 노치구멍이 형성되고, 후외롤러(r1)는 세로 방향의 후 추축 지지핀을 통하여 종장벽(242)에 추축 지지된다. 이 후외롤러(r1)는 후 연결 핀(245)과 공통의 후 요동 중심선(Lrr)상에 배치 구비된다.
하기판(lower base plate; 244)의 앞 부근의 전 연결 핀(246)과 공통의 전 요동 중심선(Lrf)상에 전외롤러(front outer roller; r2)의 세로 방향의 전 추축핀(front pivot pin)이 배치 구비되고, 전 추축핀이 앞암(31)의 분기 요동단(b)에 전외롤러(r2)를 추축 지지한다.
이로써, 병행 링크에 대해 그 외측 전후 요동 중심선(Lrf, Lrr)을 통하여 추축 지지된 슬라이더(24)가 병행 링크(16)에 의해 요동함과 함께 슬라이더(24)의 후외롤러(r1), 전외롤러(r2)에 대해 도어 지지 레일(22)이 전후 방향(X)으로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요동 중심선(Lrf, Lrr)의 위쪽에서 바라 봤을 때의 점(点)을 도 5, 6에서는 전후 요동 중심점(Prf, Prr)으로서 나타낸다.
도 11 내지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상부의 하향 레일 홈(33u1, 33u2)은 전후 방향(X)의 전역(全域)에 길게 형성된다. 한편,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l1), 종상향 레일 홈(33l2)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길이 방향의 것은 거의 중간부까지 형성되고, 그 후방(도 11에서 좌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I1), 종상향 레일 홈(33l2)은 이것에 감합하는 앞암(31)의 요동단의 전외롤러(r2) 및 그 근방의 종전(從前) 롤러(23fs)를 감삽한다. 특히, 전외롤러(r2)가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l1)의 스토퍼 벽부(rs0)에 맞다음으로써, 상대적인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의 더한층의 전(前)활주를 저지하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의 돌출 위치(D2)를 규제한다.
이 때문에, 앞암(31)이 앞암 요동 기점(Pcf)(도 5 참조) 주위로 요동한 때, 즉, 돌출 위치(D2)에서의 전롤러(23f)의 중심선 주위(외측 요동 중심점(Prf) 주위)에 앞암(31)이 상대적으로 요동하면, 전외롤러(r2)의 근방의 종전롤러(23fs)측이 전외롤러(r2)의 중심선(Lrf) 주위에 원호(도 11의 2점쇄의 화살표 참조)(q1)를 그리도록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 종전롤러(23fs)는 스토퍼 벽부(rs0)의 외측에 굴림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변위하고, 전롤러(23f)의 중심선은 전후 방향(X)으로 어긋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 전롤러(23f)의 중심선 주위에 앞암(31)이 상대적으로 요동함으로써,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이 돌출 위치(D2)로부터, 도 13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D1)까지 요동 가능하고, 이 때, 종전롤러(23fs)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상향 레일 홈(33l2)의 만곡 최심부에 달한다.
한편, 앞암(31)이 앞암 요동 기점(Pcf) 주위로 요동하고, 전외롤러(r2)가 주하향 레일 홈(33l1)의 스토퍼 벽부(rs0)에 맞닿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이 돌출 위치(D2)에 달하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측)이 전개 위치(D3)를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방의 종전롤러(23fs)는 종상향 레일 홈(33l2)의 만곡부로부터 직상부(直狀部)에 대향하여 있고, 전외롤러(r2), 종전롤러(23fs)는 스무스하게 주하향 레일 홈(33l1), 종상향 레일 홈(33l2)에 따라 상대적으로 활주하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측)을 전개 위치(D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리어 도어(4)에 배치 구비된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구동 기구(19)는 리어 도어(4)의 구동원을 이루는 모터(101), 권취 드럼(46)의 회전력으로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를 통하여 전개 위치(D3)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개폐 구동 기구(19)는,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 내부에 배설된 모터(101)와, 모터(101)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구동되는 권취 드럼(46)과, 권취 드럼(46)에 인출 자유롭게 감겨지는 개방 케이블(49) 및 폐쇄 케이블(51)과, 개방 케이블(49)을 감아 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전단의 단부(端部) 풀리(Po1)와, 폐쇄 케이블(51)을 감아 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앞측의 제 1 풀리(23f)와, 앞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front intermediate pulley))와,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지지되고 개방 케이블(49)의 앵커부를 연결한 개방 케이블 엔드(Poe)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와, 뒷암(32)상의 제 2 풀리(Pc2)(후 중간 풀리(rear intermediate pulley))와,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의 아래 플랜지(53d)에 지지되고 폐쇄 케이블(51)의 앵커부를 연결한 폐쇄 케이블 엔드(Pce)를 구비한다.
여기서, 개방 케이블(49)의 개방 케이블 엔드(Poe)와 폐쇄 케이블(51)의 폐쇄 케이블 엔드(Pce)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여기서는 개방 케이블 엔드(Poe)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케이블 엔드(Poe)는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판형상 반부(半部)(D1, D2)를 구비하고, 원판형상의 주부(主部)(70)와, 주부(70)의 중심에 형성된 부착구멍(79)과, 부착구멍(79) 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케이블 로킹벽(cable locking wall; 72)과, 케이블 로킹벽(72)의 부착구멍(79)의 근방에 형성된 로킹 구멍(locking holes; 73)과, 로킹 구멍(73)으로부터 외주벽측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여 나온 만곡 홈(74)과, 부착구멍(mounting hole; 79)의 일부에 형성된 키 홈(75)을 형성된다.
로킹 구멍(73)은 그 개구 주연(周緣)이 개방 케이블(49)의 단부의 팽창부(491)를 록(lock)하고, 개방 케이블(49)의 빠짐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로킹 구멍(73)에 연속하는 만곡 홈(74)은 노치 개방 영역(cutout open area; a)을 가지며, 개방 케이블(49)을 감아 건 상태로부터 외측으로의 인출을 용이화하고 있다. 키 홈(75)은 부착구멍(79)에 삽통되는 앵커 볼트(76)에 끼여 부착되는 키(77)를 록(lock)하고, 개방 케이블 엔드(Poe)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앵커 볼트(76)는 횡방향 플랜지부(15a)의 관통구멍에 통과된 다음 너트(N)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개방 케이블 엔드(Poe)의 평행 링크의 앞암(31)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체결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케이블 엔드(Poe)로부터 늘어나는 개방 케이블(49)은 인출 방향이 앞암(31)의 요동시에, 그 변위각(θ1)의 범위에서 변화하여도, 즉, 앞암(31)의 요동에 따라 개방 케이블(49)의 인장 방향이 변화하여도, 만곡 홈(74)의 노치 개방 영역(a)의 범위에서 인출하고, 되감기 변위할 수 있고, 개방 케이블(49)에 굴곡부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개방 케이블(4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케이블 엔드(Pce)로부터 늘어 나는 폐쇄 케이블(51)은 인출 방향이 뒷암(32)의 요동시에, 그 변위각(θ2)의 범위에서 변화하여도, 즉, 뒷암(32)의 요동에 따라 폐쇄 케이블(51)의 인장 방향이 변화하여도, 만곡 홈(74)의 노치 개방 영역(a)의 범위에서 인출하고, 되감기 변위할 수 있고, 폐쇄 케이블(51)에 굴곡부를 발생시키는 것이 없고, 폐쇄 케이블(5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리어 도어(4)의 작동을 설명한다.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기 전에 있어서,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서 지지되어 있다고 한다. 그 때, 리어 도어(4)측의 전단상 로크부(J1)와 전단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가 로크 상태를 유지한 채로 비통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의 (a),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암(32)과 앞암(31)의 요동단은 차내측(도 6의 (a)에서 하방)에 인입되고, 양 암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와 함께 도어 지지 레일(22)이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도 1 참조)(D1)를 유지한다.
여기서, 개폐 구동 수단(19)은 개방 케이블(49) 및 폐쇄 케이블(51)을 감는 모터(101)에 구동되는 드럼(46)이 도어(4) 내에 장비되고, 폐쇄 케이블 엔드(Pce) 및 폐쇄 케이블 엔드(Pce)가 차체측벽의 베이스 부재(15)(고정부재)에 연결되지만, 양 케이블의 장력은 배제 상태에 있다.
다음에,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으면,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폐쇄 위치(D1)의 리어 도어(4)의 전단상 로크부(J1)와 전단하 로크부(J2)와 후 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에 로크 해제의 출력을 발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도어 개방지령에 의거한 도어 개방출력을 받으면, 드럼(46)이 개방 케이블(49)을 감고, 폐쇄 케이블(51)의 방출을 행한다. 이 때, 개방 케이블(49)은 단부 풀리(Po1)와, 슬라이더(24)의 전단의 제 1 풀리(23f)와, 앞암(31)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에 감아 걸린 다음 개방 케이블 엔드(Poe)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방 케이블 엔드(Poe)와 제 2 풀리(Po2) 사이의 개방 케이블(49)에 가해지는 장력(Fo)에 의해 개방 케이블 엔드(Poe)(개방 케이블 고정단)와 앞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 사이가 좁아지고, 앞암(31)의 요동단이 일체적으로 차외측으로 요동하고, 도 6의 (b),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가 돌출 위치(D2)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 때, 앞암(31)이 앞암 요동 기점(Pcf) 주위로 요동하고, 하부의 주하향 레일 홈(33l1)의 스토퍼 벽부(rs0)에 앞암(31)의 요동단의 전외롤러(r2)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전롤러(23f) 근방의 종전롤러(23fs)가 스토퍼 벽부(rs)의 외측에 굴림대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외롤러(r2)의 중심선은 전후 방향(X)으로 어긋나는 것이 저지되고, 확실하게 평행 링크의 요동 변위가 이루어진다.
또한, 컨트롤러(30)의 도어 개방출력을 받고 있으면, 권취 드럼(46)이 구동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을 감기, 실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케이블(51)의 방출을 계속하여 행하면, 리어 도어(4)가 돌출 위치(D2)측을 통과한다. 이 때, 요동이 멈추어진 상태에 있는 병행 링크(16)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어 지지 레일(22)측이 도 6의 (c), 도 12에 도시하는 전개 위 치(D3)를 향하여 활주한다.
도어 지지 레일(22)측(리어 도어(4)측)이 전개 위치(D3)를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도 11,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방의 종전롤러(23fs)는 종상향 레일 홈(33l2)의 만곡부로부터 직상부에 대향하고 있고, 전외롤러(r2), 종전롤러(23fs)는 스무스하게 주하향 레일 홈(33l1), 종상향 레일 홈(33l2)에 따라 상대적으로 활주하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을 전개 위치(D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도어 개방 작동시, 개방 케이블 엔드(Poe)로부터 늘어나는 개방 케이블(49)은 인출 방향이 앞암(31)의 요동시에, 그 변위각(θ1)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암(31)이 여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제 2 풀리(Po2)(개중간 풀리)로부터 늘어나는 개방 케이블(49)이 만곡 홈(74)에 감아 걸린 위치가 Pa, Pb, Pc와, 개방 케이블 엔드(Poe)에의 감아 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즉, 앞암(31)으로부터 후퇴하도록 순차적으로 변위한다.
이 때, 제 2 풀리(Po2)가 받는 장력(Fo)중, 앞암(31)을 개방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접선 방향 분력)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ot1, Fot2, Fot3으로 변화하고,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로부터 개방 케이블 엔드(Poe)에 미치는 개방 케이블(49)과 앞암(31)이 이루는 각도(βa1)(기준)가, βa2, βa3으로 변화한다.
이 경우, 개방 케이블(49)의 체결 위치가 Pa에 고정된 경우와 비교하면, 개방 케이블(49)이 만곡 홈(74)에 감아 걸린 위치가 Pa로부터 Pb, PC와 변화한 경우 의 쪽이 개방 케이블(49)과 앞암(31)이 이루는 각도가 pa2', βa3'으로 커진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암(31)을 개방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Fot1)(접선 방향 분력)도 Fot2, Fot3으로부터 Fot2', Fot3'으로 비교적 커진다. 즉, 앞암(31)에 가해지는 개방방향의 조작성력은 비교적 크게 되고, 도어의 개방 조작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도어 폐쇄 지령을 받으면, 컨트롤러(30)는 이에 의거하여, 도어 폐쇄 출력을 모터(45)에 출력하고, 권취 드럼(46)을 구동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케이블(51)을 감고,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폐쇄 케이블(51)을 감아 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의 간격이 좁아지고, 도 6의 (b)에 도시하는 돌출 위치(D2)로 도어 지지 레일(22)이 되돌아온다. 뒤이어, 폐쇄 케이블(51)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돌출 위치(D2)에 있는 뒷암(32)상의 제 2 풀리(Pc3)(후 중간 풀리)와 폐쇄 케이블(51)의 단부를 연결한 폐쇄 케이블 엔드(Pce)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뒷암(32)이 앞암 요동 기점(Pcf)(도 6의 (b) 참조) 주위에 개방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6의 (a)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D1)에 달하고, 리어 도어(4)가 후승강구(3)를 폐쇄한다. 이 때,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달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위치 센서에 의한 도어 개방 신호를 받는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의 전단상 로크부(J1)와 전단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도시 생략)에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로크 출력을 발하고, 리어 도어(4)를 후승강구(3)에 로크하고, 로크 신호가 컨트롤러(30)에 입력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 폐쇄 작동시, 폐쇄 케이블 엔드(Pce)로부터 늘어나는 폐쇄 케이블(51)은 인출 방향이 뒷암(32)의 요동시에, 그 변위각(θ1)(=θ2)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암(32)이 폐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제 2 풀리(Pc2)(폐중간 풀리)로부터 늘어나는 폐쇄 케이블(51)이 만곡 홈(74)에 감아 걸린 위치가 Pd, Pe, Pf와, 폐쇄 케이블 엔드(Pce)에의 감아 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즉, 뒷암(32)으로부터 후퇴하도록 순차적으로 변위한다.
이 때, 제 2 풀리(Pc2)가 받는 장력(Fc)중, 뒷암(32)을 개방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접선 방향 분력)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ct1, Fct2, Fct3으로 변화하고, 제 2 풀리(Pc2)(후 중간 풀리)로부터 폐쇄 케이블 엔드(Pce)에 달하는 폐쇄 케이블(51)과 뒷암(32)이 이루는 각도가 βb1, βb2, βb3으로 변화한다.
이 경우, 폐쇄 케이블(51)의 체결 위치가 Pd에 고정된 경우와 비교하면, 폐쇄 케이블(51)이 만곡 홈(74)에 감아 걸린 위치가 Pd로부터 Pe, Pf로 변화한 경우쪽이 폐쇄 케이블(51)과 뒷암(32)이 이루는 각도(βb1)(기준)가 βb2', βb3'으로 커진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암(32)을 폐쇄방향으로 요동하는 분력(Fct1)(기준)도 Fct2, Fct3으로부터 Fct2', Fct3'으로 비교적 커진다. 즉, 뒷암(32)에 가해지는 폐쇄방향의 조작성력은 비교적 크게 되고, 도어의 폐쇄 조작성이 향상한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도 1의 도어 개폐 장치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서 이용한 개방, 폐쇄 케이블 엔드(Poe, Pce)는, 볼트(76)에 끼여 부착되는 키(77)에 의해 회전 중지 기능을 얻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개방 케이블 엔드(Poea)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도, 도시하지 않은 폐쇄 케이블 엔드(Pcea)는 개방 케이블 엔드(Poea)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으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케이블 엔드(Poea)는 원판형상의 주부(70a)와, 주부(70a)의 중심에 형성된 부착구멍(79a)과, 부착구멍(79a)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케이블 로킹벽(72a)과, 케이블 로킹벽(72a)으로부터 외주벽측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여 나온 만곡 홈(74a)과, 만곡 홈(74a)상에서 케이블 로킹벽(72a)의 근방에 형성되는 로크구멍(75a)이 형성된다.
케이블 로킹벽(72a)에는 만곡 홈(74a)의 기단이 되는 슬릿(73a)이 형성되고, 그 슬릿(73a)의 연부가 개방 케이블(49)의 단부의 팽창부(491)를 록(lock)하고, 개방 케이블(49)의 빠짐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만곡 홈(74a)은 기단의 슬릿(73a)의 위치로부터 그 홈 깊이를 서서히 작게 하고, 그리고 나서 일정한 홈 깊이의 만곡 홈부(r)를 형성하고 있다.
앵커 볼트(76)는 부착구멍(79)에 삽통되고, 횡방향 플랜지부(15a)의 관통구멍(h1)에 통과된 다음 너트(N)와 나사결합된다. 슬릿(73a)의 근방에 마련된 로크구멍(75a)의 만곡 홈(74a)의 최심벽부와의 사이에, 개방 케이블(49)을 끼울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 때문에, 만곡 홈(74a)에 개방 케이블(49)을 끼운 다음, 로크구멍(75a)에 로크 볼트(77a)가 삽통되어 횡방향 플랜지부(15a)의 로크구멍(h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개방 케이블(49)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개방 케이블 엔 드(Poe)를 평행 링크의 앞암(31)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개방 케이블 엔드(Poe)와 비교하고, 본체를 2분할 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고, 구성을 비교적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점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서는 앞암(31)에 개방 케이블(49)이 제 2 풀리(Po2)(개중간 풀리)를 통하여, 뒷암(32)에 폐쇄 케이블(51)이 제 2 풀리(Pc2)(폐중간 풀리)를 통하여 록(lock)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스윙 슬라이드 유닛(U1)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앞암(31b)의 요동 중심점(Prf) 근방에 전후 제 1 풀리(23f, 23r)를 동축적으로 추축 지지하고, 앞암(31b)의 중간 위치에 제 2 풀리(Po2)(개중간 풀리)와 제 2 풀리(Pc2)(개중간 풀리)를 동축적으로 추축 지지한 구성을 채택한다. 여기서, 개폐 구동 기구(19b)가 구동함으로써, 앞뒷암(31b, 32b)은 앞뒷암 요동 기점(Pcf, Pcr) 주위에서 요동하고, 그 때, 앞뒷암(31, 32)의 전후 요동단(Prf, Prr)이 추착한 슬라이더(24b)가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 사이에서 요동한다. 이 경우, 앞암 노동 기점(Pcf)의 전후에 폐쇄 케이블(51)의 케이블 엔드(Pce)와 개방 케이블(49)의 케이블 엔드(Poe)가 배치 구비된다. 이 경우도 개방 폐쇄 케이블 엔드(Poe, Pce)는 도 7,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 이용되고,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리어 도어의 내측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도 1 내의 스잉 슬라이드 유닛의 평행 링크 및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 설명도로서, (a)는 폐쇄 위치를, (b)는 돌출 위치를, (c)는 전개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이용되는 앞암과 개방 케이블 엔드의 기능 설명도.
도 8은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이용되는 뒷암과 폐쇄 케이블 엔드의 기능 설명도.
도 9는 도 1 내의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이용되는 개방 케이블 엔드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주요부 측단면도, (c)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개방 케이블 엔드에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개방 케이블 엔드를 도시하고, (a)는 평단면도, (b)는 주요부 측단면도.
도 11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돌출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2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전개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3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도어 폐쇄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서의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평행 링크와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다른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평행 링크와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후승강구 4 : 리어 도어
15 : 베이스 부재(차체측벽의 고정부재)
16 : 평행 링크 18 : 도어 하중 지지 암
19 : 개폐 구동 기구 22 : 도어 지지 레일
24 : 슬라이더 30 : 컨트롤러
31 : 앞암 32 : 뒷암
46 : 드럼 49 : 개방 케이블
51 : 폐쇄 케이블 74 : 만곡 홈
101 : 모터
βa1, βa2, βa3 : 앞뒷암과 개방 폐쇄 케이블이 이루는 각도
91 : 변위각 B : 자동차(차체)
D1 : 폐쇄 위치 D2 : 돌출 위치
D3 : 전개 위치 Po2 : 전 중간 풀리
Pc2 : 후 중간 풀리 Poe : 개방 케이블 엔드
Pce : 폐쇄 케이블 엔드 Pcf : 전 추축 지지단
Pcr : 후 추축 지지단 Prf : 전 요동단
Prr : 후 요동단 U : 스윙 슬라이드 유닛
X : 전후 방향 Y : 차폭 방향

Claims (3)

  1. 차체의 도어 개구를 개폐함과 함께 전후로 긴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전후 추축 지지단이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여 부착하는 슬라이더에 전후 요동단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에 의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평행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또는 상기 차체측의 어느 한쪽에 모터 구동의 드럼을 마련하고, 어느 다른쪽에 상기 드럼에 의해 감기 및 되감기 조작되는 케이블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엔드를 고착하고, 동 케이블 엔드의 외주벽에는 케이블을 감아 거는 원호형상의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홈은 전후 한쌍의 암이 상기 도어를 개폐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감아 거는 양이 증감 변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도어 개방시에 감는 개방 케이블과 도어 폐쇄시에 감는 폐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케이블은 상기 드럼에서부터 연장하여 나오고 상기 레일의 전단에 마련되는 전단 풀리와 상기 앞 암 상에 마련되는 개중간(開中間) 풀리에 감아 걸린 다음 상기 고정부재에 고착된 개방 케이블 엔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방 케이블은 상기 앞암이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개방 케이블의 상기 개방 케이블 엔드에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도어 개방시에 감는 개방 케이블과 도어 폐쇄시에 감는 폐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케이블은 상기 드럼에서부터 연장하여 나오고 상기 레일의 후단에 마련되는 후단 풀리와 상기 뒷암상에 마련된 후 중간 풀리에 감아 걸린 다음 상기 고정부재에 고착된 폐쇄 케이블 엔드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 케이블은 상기 뒷암이 폐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폐쇄 케이블의 상기 폐쇄 케이블 엔드에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KR1020080091467A 2007-10-25 2008-09-18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976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8124A JP4508228B2 (ja) 2007-10-25 2007-10-25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JP-P-2007-00278124 2007-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51A KR20090042151A (ko) 2009-04-29
KR100976315B1 true KR100976315B1 (ko) 2010-08-16

Family

ID=4026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467A KR100976315B1 (ko) 2007-10-25 2008-09-18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52896A1 (ko)
JP (1) JP4508228B2 (ko)
KR (1) KR100976315B1 (ko)
CN (1) CN1014186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228B2 (ja) 2007-10-25 2010-07-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AT514501B1 (de) * 2012-08-27 2016-03-15 Knorr 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wenkschiebetürmodul für ein Schienenfahrzeug
CN104736786B (zh) * 2012-10-15 2016-11-09 株式会社美姿把 滑轮装置
CN103321520B (zh) * 2013-07-01 2015-09-02 吴昊 一种门电动开合系统
CN104328970B (zh) * 2014-11-04 2016-02-10 江苏金秋竹集团有限公司 电动侧转门驱动机构
JP6583211B2 (ja) * 2016-10-28 2019-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CN106766486B (zh) * 2016-12-27 2018-05-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侧开门的冰箱
CN107139208B (zh) * 2017-06-26 2020-06-09 上海交通大学 介电弹性体机械腕关节
KR20210074886A (ko) *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를 위한 x자형 가이드 바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6387A (en) * 1987-02-07 1989-03-13 Nippon Cable System Inc Window opener
JP2007138630A (ja) 2005-11-21 2007-06-07 Mitsubishi Motors Corp オート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システム
JP2007217998A (ja)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Motors Corp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EP2052896A1 (en) 2007-10-25 2009-04-2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winging and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000A (en) * 1990-03-22 1991-12-03 Masco Industries, Inc. Reversing apparatus for powered vehicle door systems
JPH0549986U (ja) * 1991-12-11 1993-07-02 株式会社菱晃 天窓の開閉装置
JP3726960B2 (ja) * 2002-06-20 2005-12-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DE102006054829A1 (de) 2005-11-21 2007-05-24 Mitsubishi Jidosha Kogyo K.K. Schwenk-Schiebetürsystem
JP4492550B2 (ja) * 2006-01-27 2010-06-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配索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6387A (en) * 1987-02-07 1989-03-13 Nippon Cable System Inc Window opener
JP2007138630A (ja) 2005-11-21 2007-06-07 Mitsubishi Motors Corp オート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システム
JP2007217998A (ja)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Motors Corp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EP2052896A1 (en) 2007-10-25 2009-04-2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winging and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8228B2 (ja) 2010-07-21
KR20090042151A (ko) 2009-04-29
EP2052896A1 (en) 2009-04-29
JP2009102958A (ja) 2009-05-14
CN101418659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315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JP4404045B2 (ja) オート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システム
JP5041423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KR100999734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JP2008190199A (ja) 車両用ドア開閉構造
JP4492550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配索構造
EP3088642B1 (en) Vehicle with tailgate
JP200721799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JP2008094344A (ja) ドアの補強構造
JP4544138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
JP2007270426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5098115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4858405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5156430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09083666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JP2010037731A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09132334A (ja) ドアの配索構造
JP2010167873A (ja) ドア開閉装置のカバー構造
JP4985596B2 (ja) 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JP5144218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010064594A (ja) ドア開閉装置のカバー構造
JP7399053B2 (ja) ドアクロージャ装置
JP2007137269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ユニットカバー
JP2005248514A (ja) 車両用開閉装置
JP2007253885A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