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422A -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422A
KR20090088422A KR1020097013243A KR20097013243A KR20090088422A KR 20090088422 A KR20090088422 A KR 20090088422A KR 1020097013243 A KR1020097013243 A KR 1020097013243A KR 20097013243 A KR20097013243 A KR 20097013243A KR 20090088422 A KR20090088422 A KR 2009008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fer
film
curable resi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713B1 (ko
Inventor
유이치 다케우치
요시토모 나가타
가즈히코 모리야
요코 도다
노부오 단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을 구비한 수압 전사용 필름을, 그 경화성 수지층이 표면층이 되도록 수압 전사한 가식(加飾) 성형품으로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浮出) 무늬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 표면이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에 따른 부출을 갖는 가식 성형품, 및, 지지체 필름 위에 경화성 수지층과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인쇄 모양층을 갖는 수압 전사용 필름을, 활성화하여 피전사체에 전사 후, 상기 경화성 수지층을 반(半)경화시켜, 상기 전사층으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상기 경화성 수지층을 완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부출을 갖는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가식 성형품, 수압 전사용 필름, 부출 무늬 인쇄층

Description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DECORATIVE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압 전사에 의해, 전사된 장식층이 엠보스와 같은 부출(浮出)을 갖는 특수한 미관을 갖는 가식(加飾) 성형품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압 전사법은,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의장성을 부여하는 전사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을, 지지체 필름을 하방으로 하여 수면에 띄우고, 통상 활성화제라 불리는 유기 용제를 분무하여 전사층을 유연화시킨 후, 피전사체를 그 상방으로부터 밀어붙이면서 수중에 담금으로써, 전사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이다.
수압 전사법은, 의장성을 부여하는 전사층의 무늬를 선택함으로써, 금속,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삼차원 입체 형상을 갖는 성형품에, 임의의 도안을 균일하게 미려하게 부여할 수 있다(이하, 수압 전사에 의해 가식된 가식 성형품을 수압 전사체라 칭한다).
최근에는, 탑코팅층이 되는 경화성 수지층과 장식층이 일체로 된 전사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도 개발되고 있어(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1회의 전사 공정으로, 피전사체에 탑코팅층과 장식층을 부여할 수 있다.
수압 전사법에서 미관은 중요한 팩터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특수한 미관이나 촉감을 특징으로 한 다양한 수압 전사체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쇄 모양층을 최표층에 갖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실시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서, 그 인쇄 모양층에 전리 방사선 경화를 억제하는 성질을 갖는 인쇄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인쇄 모양층과 그 인쇄 모양층에 동조하는 엠보스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鏡面) 광택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짐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인쇄층을 전사 후, 그 전사층 표면에 미(未)경화의 탑코팅을 도공하여, 이 탑코팅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형 요철부를 형성한 후, 이 탑코팅을 완전히 경화시킴으로써, 이형 요철 표면을 갖는 가식 시공품이 얻어짐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인쇄 모양층이 최표층에 있기 때문에, 찰과 등에 의해 인쇄 모양이 스치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전리 방사선 경화를 억제시키기 위해서 인쇄 모양 하의 전리 방사선 경화 수지층은 경화가 완전하지 않고, 그 부분으로부터 도막 열화 등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전사 후에 탑코팅층을 별도 도공하는 공정을 가져, 번잡하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4-3439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평05-01659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개평07-27689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탑코팅층 즉 표면층이 되는 경화성 수지층과 장식층이 일체로 된 전사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미관과 촉감을 겸비한 수압 전사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특히, 전사된 장식층이 엠보스상의 부출을 갖는, 특수한 미관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수압 전사 직후, 활성화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유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장식층 중의 요철에 따라 밀착하는 현상이 있는 것을 알아내어(통상은 이와 같은 요철감은, 그 후의 지지체 필름 수세 공정을 거친 후에는 소실해 버리고, 이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평활한 전사면을 부여한다), 이 현상이 소실하기 전에 요철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장식층에, 유기 용제를 흡수하여 크게 팽윤하는(이하「팽윤도가 높은」이라고 한다)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인쇄 잉크로, 부출을 원하는 도안을 인쇄하고, 수압 전사 후, 건조시키기 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半)경화시킨 후, 본경화시킴으로써, 1회의 전사 공정을 거치는 것만으로 미관과 촉감을 겸비한 수압 전사체가 얻어짐을 알아냈다.
구체적으로는, 팽윤도가 높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인쇄 잉크로 부출을 원하는 도안을 인쇄한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고(도 1 및 도 2 참조), 전사 후, 건 조시키기 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부조를 원하는 인쇄된 도안(이하「부조 무늬 인쇄층」으로 약기한다)에 함유되는, 팽윤도가 높은 무기 안료는, 전사시의 활성화 공정에서, 유기 용제인 활성화제를 흡수하여 팽윤하므로, 그 인쇄 부분이 부푼다(도 3 참조). 무기 안료의 팽윤 상태를 유지한 상태 즉 전사층이 건조하기 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팽윤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고정된 팽윤 부분은, 상기 전사층을 건조한 후에도 형상이 유지되므로, 전사층을 건조 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본경화시킴으로써, 전사된 장식층이 무늬에 따라 요철을 갖는, 특수한 미관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을 구비한 수압 전사용 필름을, 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표면층이 되도록 수압 전사한 가식 성형품으로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 표면이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에 따른 부출을 갖는 가식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그 지지체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유기 용제에 용해 가능한 전사층을 갖고,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수압 전사용 필름을,
상기 전사층을 위로 하여 물에 띄우고,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공정1과,
상기 전사층에 피전사체를 밀어붙임으로써 수압 전사용 필름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공정2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상기 수압 전사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경화시키는 공정3과,
상기 전사층으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4와,
상기 전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전사된 경화성 수지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공정5를 이 순으로 행하는 부출을 갖는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그 지지체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유기 용제에 용해 가능한 전사층을 갖고, 수압 전사에 의해 피전사체에 부출을 갖는 가식면을 부여하는 수압 전사용 필름으로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잉크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150질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가식면의 부출을 표현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수압 전사용 필름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1회의 전사 공정으로 피전사체에 탑코팅층 즉 표면층과 장식층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전사된 장식층이 엠보스상의 부출을 갖는, 특수한 미관의 수압 전사체(가식 성형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체에 있어서는, 전사된 부출을 갖는 장식층이, 활성 에너지선으로 완전히 경화된 탑코팅층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기 사용에 있어서도 부출 부분이 붕괴되거나 열화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1회의 전사 공정만으로, 또한 2회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만으로, 전사된 장식층이 엠보스상의 부출을 갖는, 특수한 미관의 수압 전사체를 얻을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갖고, 그 인쇄 모양층의 부출 무늬 인쇄층에 사용하는 무기 안료로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만으로 인쇄 방법 등에 특수한 방법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1회의 전사 공정으로, 피전사체에 탑코팅층과 장식층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전사된 장식층이 엠보스상의 부출을 갖는, 특수한 미관의 수압 전사체를 부여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팽윤도)
본 발명에서 팽윤도란, 무기 안료가 유기 용제를 흡수한 후의 체적 변화율을 수치화한 것이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치화된 팽윤도로 한다.
1. 분체상의 무기 안료를 메스실린더(JIS R3505 규격품 클래스A)에, 손으로 1초간에 2∼3회 정도의 진동을 가하면서 최밀 충전하여, 1.0ml로 한다. 여기에서의 최밀 충전이란, 상기 진동을 2분 이상 계속 가해도 체적 변화가 없는 상태인 것을 말하고, 그 분체가 최소 체적으로 최대 질량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2. 상기 충전한 무기 안료와 크실렌을 온도 23℃, 시간 2분으로 유리봉을 사용하여, 손으로 1초간에 2∼3회 정도의 회전수로 교반 혼합하여, 총체적을 10ml으로 하여 정치한다.
3. 정치 24시간 경과 후의 침강한 무기 안료의 체적V(ml)를 읽고, V(ml)×100=팽윤도(%)로 한다.
또, 팽윤도의 경향은, 활성화제에 사용되는 후술의 유기 용제는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내지만, 크실렌이 가장 무기 안료를 팽윤시키는 정도가 커 수치차를 읽기 쉬우므로, 상기 팽윤도 측정의 유기 용제로서는 크실렌을 사용했다.
본 발명에서는, 부출 무늬 인쇄층에 사용하는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란,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한편, 후술의 솔리드층에 사용하는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는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한 팽윤도가 120%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부조)
본 발명에서 부출이란, 가식면의, 모양이나 문자 등이 약간 높게 부출된 상태(볼록함)의 것을 나타낸다. 볼록 부분이 약간 높다 함은, 예를 들면 지촉(指觸) 으로 걸리는 높이의 볼록함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낮은 볼록함이지만 입체적인 시각 효과를 부여하여, 평탄한 인쇄물감(印刷物感)을, 보는 이에게 주지 않는 볼록함이어도 좋다. 혹은 고저가 다른 볼록함을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고저가 다른 복수의 볼록함은, 후술의, 팽윤도가 높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무늬 인쇄층을 복수층 중첩 인쇄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출의 정도는 팽윤도가 높은 무기 안료의 안료 농도, 또는 그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의 전이량으로도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팽윤도의 안료의 안료 농도를 높게 하거나, 잉크의 전이량을 증가시키면, 높은 볼록함을 갖는 전사 표면으로서 얻어지고, 대조적으로 안료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잉크의 전이량을 감소시키면, 지촉으로 걸리는 볼록함은 낮아진다.
또한, 부출을 갖는 모양이나 문자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모양이나 문자를 표현하는 묘화의 굵기, 크기, 형태 등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다. 즉 본 발명은, 인쇄에 의해 부출을 표현하므로, 판을 일으키는 혹은 인자(印字)할 수 있는 모양이나 문자이면 어떠한 부출도 가능하다. 그러나 가식면을 모두 덮는 부출은(즉 솔리드판으로 하는 것은) 본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부출 무늬 인쇄층에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만, 솔리드 인쇄층에는 사용하지 않고,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다.
부조의 예로서는, 점묘나 선묘(구체적으로는 회화나 문자의 윤곽, 나무결, 스트라이프, 헤어라인 모양 등을 들 수 있다)로 표현된 묘화나, 도트나 기하학 모 양, 문자나 마크 자체를 부출하려는 경우에는 그 모양의 면적이 작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도 7에, 본 발명의 부출의 모양의 예를 나타낸다. 흑 부분이 그 인쇄층이다. 도 4는 스트라이프, 도 5는 도트, 도 6은 기하학 모양, 도 7은 나무결을 나타낸다.
(가식 성형품)
본 발명의 가식 성형품은, 수압 전사에 의한 전사층을 갖고, 그 전사층이, 표면층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층과 그 내측에 배치된 인쇄 모양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 표면이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에 따른 부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제법은,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그 지지체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유기 용제에 용해 가능한 전사층을 갖고,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수압 전사용 필름(이하,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이라 칭한다)을,
상기 전사층을 위로 하여 물에 띄우고,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공정1과,
상기 전사층에 피전사체를 밀어붙임으로써 수압 전사용 필름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공정2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상기 수압 전사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경화시키는 공정3과,
상기 전사층으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4와,
상기 전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전사된 경화성 수지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공정5를 이 순으로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압 전사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압 전사 필름은, 전사층으로서 인쇄 모양층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이며,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잉크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150질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가식면의 부출을 표현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다.
(전사층 인쇄 모양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압 전사용 필름이 갖는 전사층에서, 인쇄층이란, 단판에 의한 1층의 인쇄층을 나타내고(부조 무늬 인쇄층, 솔리드 인쇄층 등은 이것에 해당한다), 인쇄 모양층이란, 상기 단판에 의한 1층의 인쇄층을 복수판 중첩 인쇄하여 얻은, 총합된 모양을 표현하는 층을 나타낸다(도 1, 도 2 참조). 본 발명에서 인쇄 모양은 부출을 갖는 것이 특징이지만, 구체적 태양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무색 혹은 유색의 부출을 표현하는 모양이어도, 유색의 시각적인 모양과 부출이 동일한 무늬 혹은 일부 동일한 무늬를 이루어 표현되어 있어도 좋고, 또 한 유색의 시각적인 모양과 부출이 다른 무늬를 이루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부출 무늬 인쇄층에,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는, 무기 안료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이면 어느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팽윤도 200% 이상의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체질 안료의 팽윤성 마이카, 또는 팽윤성 마이카를 베이스로 사용한 펄 안료, 혹은 금속색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분을 표면 처리한 합성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것도 요철 발현성이 뛰어나 바람직하다.
팽윤성 마이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토피고교(주)사제의 NTS 시리즈, 4C-TS 시리즈 등; 코프케미컬(주)사제의 소마시프MAE, MEE, MPE, MTE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펄 안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머크사제의 Iriodin100, 200, 300, 500, 7000 시리즈, colorstream 시리즈, xirallic 시리즈, miraval 시리즈 등; 니뽄코겐샤제의 PEARL-GLAZE 시리즈, ULTIMICA 시리즈, PROMINENCE 시리즈 등; BASF사제의 DESERT REFLECTIONS 시리즈, TIMICA 시리즈, FLAMENCO 시리즈, CLOISONNE 시리즈, DUOCROME 시리즈, GEMTONE 시리즈, CELLINI 시리즈, MEARLMAID 시리즈, REFLECKS 시리즈, CHROMA-LITE 시리즈, COSMICA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색으로 사용되는 합성 무기 안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서, 예를 들면 도요알루미늄(주)사제의 4600NS 시리즈, 5600NS 시리즈, 6300NS 시리즈, 7600NS 시리즈, 알루미페이스트TM 시리즈, TD 시리즈, FZ 시리즈 등; 아사히가세이케미컬즈(주)사제의 STD 그레이드, BS 그레이드, GX 그레이드 등; 쇼와알루미파우더(주)사제의 #217 시리즈, #550 시리즈, EA 시리즈, ER 시리즈, EC 시리즈, F 시리즈, 리핑엑스트라파인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잉크로서 인쇄할 수 있는 정도의 입경이면 좋고, 안료로서 카올린이나 마이카, 혹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경 100㎛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펄 안료로서 사용되는 마이카는, 입자경 5∼100㎛의 인편 형상의 것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안료의 첨가량은, 무기 안료 농도로서 잉크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15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질량부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면, 부출이 보다 명확해져 바람직하다. 잉크의 성질은 무기 안료 농도의 영향을 받기 쉬워, 무기 안료 농도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 이하에서는 부출이 얻어지지 않고, 50질량부 미만이면, 잉크의 유동성(레벨링성)이 높아져, 전사 후의 부출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무기 안료 농도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50질량부를 초과하면, 잉크의 유동성(전이성)이 낮아져, 인쇄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망점(網點) 농도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80∼ 100%의 범위이면, 부출이 보다 명확해져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무기 안료는, 후술의 유기 안료·카본 블랙 등을 적절히 혼합하 여, 착색 잉크로서 사용하면, 유색의 부출을 표현하는 모양이 얻어진다.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복수층 중첩 인쇄함으로써, 부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일한 판을 사용하여 중첩 인쇄하면 보다 부출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고, 일부 겹치는 판을 사용함으로써, 동일 전사면 내에 다른 높이의 부출을 복수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부출의 정도는 팽윤도가 높은 무기 안료의 안료 농도, 또는 그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의 전이량으로도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인쇄 모양층은,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만을 갖고 있어도, 혹은 유색의 시각적인 모양을 표현하는 인쇄층(이하 유색 인쇄층으로 약기한다)을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쇄 모양층으로서 부출 무늬 인쇄층만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의 예로서,
지지체 필름/무색의 경화성 수지층/부조 무늬 인쇄층
의 층 구성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은, 유색 혹은 도안 등이 장식된 표면을 갖는 피전사체를 사용함으로써, 피전사체의 장식면을 살리고 또한 부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모양층으로서 부출 무늬 인쇄층과 유색 인쇄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의 예로서,
지지체 필름/무색의 경화성 수지층/유색 인쇄층/부조 무늬 인쇄층
의 층 구성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은, 피전사체의 표면 거침 등을 숨기고, 유색의 시각적인 모양 또한 부출을 부여할 수 있다.
유색 인쇄층의 인쇄 무늬는, 판을 일으키는 혹은 인자할 수 있는 모양이나 문자이면 어떠한 인쇄 무늬도 가능하다. 또한 솔리드판이어도 좋다.
유색 인쇄층에서는, 공지의 유기 안료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퀴나크리돈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트렌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프탈론계 안료, 디옥사진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메틴·아조메틴계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아조레이크 안료계 안료, 불용성 아조계 안료, 축합 아조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잉크에 함유되는 바니시(varnish)용 수지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계, 폴리우레탄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비닐 수지계(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염소화올레핀 수지계, 에틸렌-아크릴 수지계, 석유계 수지계,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계 등의 공지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계는 유기 용제에의 용해성, 유동성, 안료 분산성, 전사성 등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우레탄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계가 바람직하고, 폴리우레탄 수지계, 혹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에 함유되는 유기 용제로서는, 경화성 수지층 혹은 박리성 필름을 침투하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n-헥산 혹은 미네랄스피리트(mineral-spirit) 등의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혹은 아세트산아밀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n-부틸에테르,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혹은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미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혹은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N-메틸피롤리돈 등의 함질소계, 「스와졸310, 스와졸1000, 스와졸1500」〔코스모세키유(주)제〕 등의 방향족 석유 용제계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 사용이어도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 모양층에 솔리드 인쇄층을 가지면, 수압 전사시의 활성화제에 의한 필름 자체의 과도한 연전(延展)을 막아, 인쇄 모양층의 무늬 붕괴 등을 막을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또 본 발명에서의 솔리드 인쇄층이란,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망점 100%의 인쇄층을 나타낸다. 이 때 판목(板目)간의 공극은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솔리드 인쇄층으로서는, 상기 잉크의 바니시용 수지만의 것 외에, 상기 잉크의 바니시용 수지에 팽윤도가 낮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면 수압 전사체의 부출이 얻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팽윤도가 120% 이하의 무기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팽윤도가 낮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은, 활성화제를 직접 수리(受理)하는 층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쇄 모양 무늬를 너무 용해시키지 않고, 또한 필름의 전연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는, 무기 안료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이면 어느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백색 안료의 아연화(산화아연), 연백(鉛白), 리토폰(lithopone), 산화티탄 등, 체질 안료의 침강성 황산바륨, 바라이트분 등, 적색 안료의 연단(鉛丹), 벵갈라 등, 황색 안료의 황연(크롬 옐로우), 아연황(징크 크로메이트, 징크 옐로우), 카드뮴 옐로우, 니켈티탄 옐로우, 스트론튬 크로메이트 등, 녹색 안료의 비리디안(viridian), 옥사이드·오브·크로뮴 등, 청색 안료의 군청(울트라마린), 감청(푸르시안(prussian) 블루), 코발트 블루 등, 흑색 안료의 카본 블랙 등, 갈색 안료의 엄버(umber)나 시에나(sienna) 등, 백 또는 무색의 탄산칼슘, 무색의 카올린(점토), 비팽윤성 마이카 등, 회색 안료의 지르콘 그레이 등, 황색 안료의 프라세오디뮴 옐로우, 크롬티탄 옐로우 등, 녹색 안료의 크롬 그린, 피콕, 빅토리아 그린 등, 청색 안료의 감청, 터키석 블루 등, 분홍색 안료의 크롬주석 핑크, 도시홍(陶試紅), 새먼(salmon) 핑크 등의 세라믹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 중, 유색의 것은, 상기 유색 인쇄층에 사용해도 좋다. 상기 팽윤도 120% 이하의 무기 안료는, 활성화시에 팽윤하지 않으므로 부출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유색 인쇄층에 사용하는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모양층은, 지지체 필름상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 위에 직접,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단층 또는 복수층, 혹은 그 부출 무늬 인쇄층의 단층 또는 복수층과, 상기 유색 인쇄층, 상기 솔리드 인쇄층을 중첩 인쇄시켜 얻는 방법이나, 미리 박리성 필름 위에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단층 또는 복수층, 혹은 그 부출 무늬 인쇄층의 단층 또는 복수층과, 상기 유색 인쇄층, 상기 솔리드 인쇄층을 중첩 인쇄시켜 얻은 인쇄 모양층을 갖는 필름과, 지지체 필름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된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건식 적층법)하는 방법에 의해, 수압 전사용 필름 중에 적층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에 의해 수압 전사용 필름 중에 적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롤 코팅, 컴마 코팅, 로드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등의 방법으로 인쇄 또는 코팅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또, 솔리드 인쇄층은, 필름의 전연을 억제하는 목적에서, 활성화제를 직접 수리하는 층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은, 상기 솔리드 인쇄층과 상기 경화성 수지층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솔리드 인쇄층과 상기 유색 인쇄층 사이에 배치하면, 부출이 명확하게 표현되고 또한 유색의 시각적인 모양이 표현된 가식 성형품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쇄 모양층이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이외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지지체 필름, 혹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되는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사층 위에 박리성 필름을 마련하여 있어도 좋다.
(지지체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압 전사용 필름에 사용하는 지지체 필름은,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다.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 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아교,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수압 전사용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PVA 필름이 물에 용해하기 쉽고, 입수가 용이하고, 경화성 수지층의 인쇄에도 적합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수지층은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좋고, 층두께는 10∼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전사층 경화성 수지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경화성 수지층은,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이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와 가열 경화를 병용시켜도 좋다. 그 경화성 수지층은, 얻어지는 수압 전사체의 인쇄 모양층의 의장성이 좋게 발현할 수 있으므로 투명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사체의 요구 특성이나 의장성에 따라, 기본적으로 얻어지는 수압 전사체의 인쇄 모양층의 색이나 무늬가 비쳐 보이면 좋고, 완전히 투명일 필요는 없다. 즉, 투명∼반투명한 것까지를 포함한다. 또한,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에는, 예를 들면, 공지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1분자 중에 셋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1분자 중에 셋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질량평균 분자량이 300∼1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5000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점도를 조정하는 목적에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반응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나, 경화성 수지층의 점착성 저감, 유리 전이 온도(Tg)의 향상, 혹은 경화성 수지층의 응집 파괴 강도의 향상 등의 목적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켜도 좋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반응성 모노머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합하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이 표기 한다),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겐프탈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등의 단관능 모노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로일옥시폴리프로필렌옥시페닐)프로판 등의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부틸렌글리콜비스(말레이미드아세트산에스테르)와 같은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모노머를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와 같은 벤조인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인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와 같은 아실포 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4-페닐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메틸티오크산톤과 같은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아미노벤조페논계 화합물; 폴리에테르계 말레이미드카르복시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에 대해, 통상, 0.1∼15질량%, 바람직하게는 0.5∼8질량%이다. 광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과 같은 아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벤질설포늄염이나 벤질피리디늄염, 아릴설포늄염 등의 오늄염은, 광양이온 개시제로서 알려져 있어, 이들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와 병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에 상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호모폴리머 또는 복수의 모노머가 공중합한 것이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비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 및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Tg가 높고 경화성 수지층의 점착성 저감에 적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가 투명성, 내용제성 및 내찰상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분자량과 Tg는 도막형 성능에 큰 영향을 부여한다. 경화성 수지의 유동성을 억제하고, 또한 경화성 수지층의 활성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4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만∼20만이며, Tg는 바람직하게는 35℃∼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50℃이다. Tg가 35℃ 부근의 비교적 낮은 Tg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너무 많으면 경화성 수지의 경화 반응을 저해하므로, 경화성 수지층의 전 수지량 100질량부에 대해 열가소성 수지는 70질량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와 비중합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층으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1분자 중에 셋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질량평균 분자량 300∼1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5000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와,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에 상용하는 Tg가 35℃∼200℃, 바람직하게는 35℃∼150℃이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3000∼40만, 바람직하게는 1만∼20만인 비중합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1분자 중에 셋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비중합성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특히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경화성 수지층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
또한, 병용해도 좋은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열 또는 촉매의 작용에 의해 중합하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갖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주제(主劑)가 되는 열경화성 화합물에 경화제가 되는 열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와 같이, 경화성 수지층의 점착성 저감, 유리 전이 온도(Tg)의 향상, 혹은 경화성 수지층의 응집 파괴 강도의 향상 등의 목적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켜도 좋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피전사체가 내열 온도가 낮은 플라스틱 등의 경우에는, 개시 온도가 가능하면 낮은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의 개시 온도를 갖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성 화합물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열 또는 촉매의 작용에 의해 중합하는 관능기를 갖는, 예를 들면, N-메틸올기, N-알콕시메틸기, 에폭시기, 메틸올기, 산무수물, 탄소-탄소 이중 결합 등을 갖는 화합물이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은, 막두께가 두꺼울수록, 얻어지는 성형품의 보호 효과는 크고, 또한 장식층의 요철을 흡수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성형품이 뛰어난 광택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막두께는, 구체적으로는 3㎛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요철이 나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기 용제에 의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활성화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의 건조막 두께는 5∼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0㎛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은, 무기 혹은 금속 화합물, 유기 미립자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무기 혹은 금속 화합물로서는, 실리카, 실리카겔, 실리카졸, 실리콘, 몬모릴로나이트, 마이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탈크, 황산바륨,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유리 비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무기 혹은 금속 화합물을 유기 처리한, 오르가노 실리카졸, 아크릴 변성 실리카, 클로이사이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불소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를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그 밖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프라이머층, 팽윤 억제층 등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수압 전사 필름을 얻는 경우에는, 박리성 필름 위에 잉크 수리층을 마련해도 좋다.
(수압 전사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압 전사용 필름은, 예를 들면, 상술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상기 경화성 수지층을 마련한 지지체 필름과, 상기 인쇄 모양층을 마련한 박리성 필름을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이 상대하도록 겹쳐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첩합(貼合)하는 방법 등으로 얻을 수 있다.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부출을 갖는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압 전사용 필름을,
상기 전사층을 위로 하여 물에 띄우고,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공정1과,
상기 전사층에 피전사체를 밀어붙임으로써 수압 전사용 필름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공정2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상기 수압 전사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경화시키는 공정3과,
상기 전사층으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4와,
상기 전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전사된 경화성 수지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공정5를 이 순으로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공정1 물)
공정1은, (박리성 필름을 갖는 경우에는 그 박리성 필름을 박리하여)수압 전사용 필름을, 지지체 필름을 아래로 하여 수조 중의 물에 띄우고, 지지체 필름을 물로 용해 혹은 팽윤시킨 후,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시킨다.
사용하는 수조의 물은,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수압 전사용 필름의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피전사체의 삼차원 곡면에 밀착시키는 수압 매체로서 작용하는 외에, 지지체 필름을 팽윤 또는 용해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수돗물, 증류수, 이온교환수 등의 물이어도 좋고, 또한 사용하는 지지체 필름에 따라서는, 물에 붕산 등의 무기 염류를 10% 이하, 또는 알코올류를 50% 이하 용해시켜도 좋다.
(공정1 활성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의 전사층은, 유기 용제로 이루어지는 활성화제를 도포 또는 산포함으로써 활성화되어, 충분히 가용화 혹은 유연화된다. 여기서 말하는 활성화란, 전사층에 활성화제를 도포 또는 산포함으로써, 전사층을 완전히는 용해하지 않고 가용화시켜, 전사층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전사층의 피전사체에의 추종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활성화는, 사용하는 전사층을 수압 전사용 필름으로부터 피전사체에 전사할 때에, 이들 전사층이 유연화되어, 피전사체의 삼차원 곡면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정도로 행해지지만, 이 때에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 중의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가 팽윤한다.
(공정1 활성화제)
활성화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가용화시켜, 유연성을 부여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용제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헥산, 시클로헥산, 리모넨,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아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탄올, 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신-4-메틸-2-펜탄온),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이소부티레이트,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아밀케톤 등 및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 시간 내에 인쇄층 중의 무기 안료를 그 활성화제로 팽 윤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인쇄 모양층을 필요 이상으로 용해하지 않고 침투하는 활성화제가 바람직하고, 또한 활성화제에 의해 인쇄층 중의 무기 안료를 팽윤시켜, 얻어지는 가식 성형품에 요철감을 발생시키므로, 요철차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잉크에 사용하는 바니시용 수지와 활성화제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와의 상성을 고려하여 활성화제를 선택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바니시용 수지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 등인 경우는, 수지가 극성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같은 극성기를 갖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면 상성이 좋은 경우가 많다.
극성기를 갖는 유기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아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탄올, 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신-4-메틸-2-펜탄온),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이소부티레이트,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아밀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극성기를 갖고 있지 않지만, 방향족 용제는 전반적으로 각 수지와 상성이 좋은 것이 많다.
이 활성화제 중에 인쇄 잉크 또는 도료와 성형품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약간의 수지 성분을 함유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라는, 잉크의 바인더와 유사한 구조의 것을 1∼10% 함유시킴으로써 밀착성 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저점도의 라디칼 중합성 조성물을 첨가해도 좋다. 광중합성 프리폴리머, 광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도를 조정하는 목적에서 유기 용제를 적절히 첨가해도 상관없다.
(공정2)
공정2는, 상기 전사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압 전사용 필름의 전사층에 피전사체를 밀어붙이면서, 피전사체와 수압 전사용 필름을 수중에 담가 가며, 수압에 의해 전사층을 상기 피전사체에 밀착시켜 전사한다.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은, 팽윤한 무기 안료가 피전사체의 전사면과 경화성 수지층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그 부분에서 볼록함 즉 부출이 생긴다.
(공정3)
공정3은, 상기 활성화시에 생긴 부출을 고정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완전히 경화시키는 것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무기 안료가 유기 용제에 의해 팽윤함으로써 부출이 생겨 있으므로, 전사층이 건조하지 않는 사이에 반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3에서의 바람직한 활성 에너지선량은, 후술의 공정5에서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량의 0.001∼0.1배량이다. 특히 과도한 경화는, 활성제나 물이 빠지기 어려워지는 원인이 되어, 요철을 갖는 것의 표면이 백탁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0.001∼0.02배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0.001을 만족시키지 않는 조사량으로는, 거의 경화하지 않으므로 요철을 고정화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서의 수압 전사 필름의 조사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 250mJ/cm2∼3000mJ/cm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 공정3에서의 활성 에너지선량은 0.25mJ/cm2∼300mJ/cm2가 된다. 그 중에서도 0.25mJ/cm2∼60mJ/cm2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의 도막 경도는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4)
공정4는, 전사 후의 피전사체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물로부터 꺼낸 피전사체로부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피전사체로부터의 지지체 필름의 제거는, 종래의 수압 전사 방법과 같이 수류(水流)로 지지체 필름을 용해 혹은 박리하여 제거한다.
건조 공정은, 가열 건조이면 건조를 단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이 때의 건조 온도는, 피전사체가 내열 온도가 낮은 플라스틱 등의 경우에는, 피전사체의 열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기재의 내열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븐이나 건조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정5)
공정5에서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은, 통상은 가시광이나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이 호적(好適)하다. 자외선원으로서는, 태양광선,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 논 램프 등이 사용된다. 또한, 열을 병용하는 경우의 가열원으로서는, 열풍, 근적외선 등 공지의 열원이 적용 가능하다.
이 때의 조사량으로서는, 경화성 수지층이 완전히 경화하는 조사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50mJ/cm2∼3000mJ/cm2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피전사체)
피전사체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방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수중에 담가도 형상이 붕괴하지 않는 방수성이 있으면, 금속, 플라스틱, 목재, 펄프 몰드, 유리 등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ABS 수지 혹은 SBS 고무 등이 범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그 표면에 경화성 수지층이나 인쇄 모양층이 충분히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피전사체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마련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는, 프라이머층으로서 관용의 수지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밀착성이 양호한 ABS 수지나 SBS 고무 등의 용제 흡수성이 높은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피전사체에는 프라이머 처리는 불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특별히 명시가 없는 한 「부」, 「%」는 질량 기준이다.
(제조예1) 경화성 수지A의 제조
펜타에리트리톨 2몰당량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7몰당량과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6몰당량을 60℃에서 반응하여 얻어지는 평균 6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 60부(질량평균 분자량 890)와 롬앤하스사제 아크릴 수지 파라로이드A-11(Tg 100℃, 질량평균 분자량 125,000) 40부와, 아세트산에틸과 메틸에틸케톤의 혼합 용제(혼합비 1/1)로 고형분 50%의 경화성 수지A를 제조했다. 수지 고형분 100부에 대해 4부의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의 이르가큐어184를 광중합 개시제로서 가했다. 이하 경화성 수지층A로 한다.
(잉크 조성)
기본 조성은 이하의 조성이며, 사용하는 안료의 종류, 및 첨가량(안료 농도)을 적절히 변경하여 잉크로 했다. 각 잉크에 사용한 안료와 팽윤도, 및 첨가량(안료 농도)을 표 1에 나타낸다. 이하, 얻어진 잉크를, 잉크b1∼b9라 한다.
(기본 조성)
폴리우레탄(아라가와가가쿠사제 폴리우레탄2569) : 20부
안료 : 1∼25부(5∼125질량부)
아세트산에틸·톨루엔(1/1) : 60부
왁스 등 첨가제 : 10부
[표 1]
Figure 112009038593742-PCT00001
※1 : 무기 안료a-토피고교(주)사제의 팽윤성 마이카「4C-TS」평균 입자경 : 1∼20㎛
※2 : 무기 안료b-머크(Merck)(주)사제의 펄화이트 안료「Iriodin120」평균 입자경 : 5∼100㎛
※3 : 무기 안료c-머크(주)사제의 펄골드 안료「Iriodin300」평균 입자경 : 5∼60㎛
※4 : 무기 안료d-도요알루미늄(주)사제의 알루미늄 안료「알루미페이스트TD180E」평균 입자경 : 10∼20㎛
※5 : 무기 안료e-코프케미컬(주)사제의 비팽윤성 마이카「미크로마이카MK-100-D80」평균 입자경 : 3∼5㎛
※6 : 무기 안료f-후지실리시아가가쿠(주)사제의 실리카「사일리시아350D」평균 입자경 : 1∼10㎛
※7 : 흑 안료-1차 입자경이 10∼100nm의 카본 블랙
※8 : 황 안료-디스아조 옐로우
※9 : 홍 안료-브로모프탈 레드
(실시예1) 수압 전사 필름C1의 제조 방법
박리성 필름으로서 도요보사제의 두께 50㎛의 무(無)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하, PP 필름으로 약기한다)을 사용하여, 그 필름에 그라비아 인쇄기로, 잉크b1로 망점 농도 100%가 되도록 나무결 무늬의 부출 무늬 인쇄층을 인쇄하고, 다음으로 잉크b9∼b11을 순차 인쇄하여, 인쇄 모양층을 갖는 필름(B)B1을 얻었다.
한편, 지지체 필름으로서 니뽄고세이가가쿠고교(주)사제의 PVA「하이세론C-820」(막두께 30㎛, 폭 360mm)의 광택면에 제조예1에서 얻은 경화성 수지A를 컴마 코터로 고형분막 두께 40㎛가 되도록 도공하고, 이어서 6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필름(A1)을 제조했다. 이 필름(A1)의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갖는 필름(B)B1의 잉크층을 상대하도록, 60℃에서 압력 0.4MPa로 라미네이트하고, 라미네이트한 필름을 그대로 권취(卷取)하여 수압 전사용 필름C1을 제조했다.
(실시예2) 수압 전사 필름C2의 제조 방법
실시예1과 같이 도요보사제의 두께 50㎛의 PP 필름을 사용하여, 그 필름에 그라비아 인쇄기로, 잉크b7로 솔리드 인쇄층을 인쇄한 후, 잉크b1로 망점 농도 100%가 되도록 부출 무늬 인쇄층을 인쇄하고, 다음으로 잉크b9∼b11을 순차 인쇄하여, 인쇄 모양층을 갖는 필름(B)B2를 얻었다.
한편, 실시예1과 같이 필름(A1)을 제조했다. 이 필름(A1)의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갖는 필름(B)B2의 잉크층을 상대하도록, 60℃에서 압력 0.4MPa 로 라미네이트하고, 라미네이트한 필름을 그대로 권취하여 수압 전사용 필름C2를 제조했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7, 비교예1∼4의 수압 전사 필름C1∼C11을 제조했다. 각각의 필름 구성을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또, 표의 행은, 박리성 필름으로부터 경화성 수지층까지의 적층순으로 표시되어 있다.
[표 2]
Figure 112009038593742-PCT00002
[표 3]
Figure 112009038593742-PCT00003
(실시예8)
수조에 25℃의 물을 넣고, 박리성 필름을 박리한 수압 전사용 필름C1의 PVA측을 아래로 하여 수면에 띄웠다. 활성화제A(이소부탄올/메틸이소아밀케톤/이소부틸이소부티레이트/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신-4-메틸-2-펜탄온)=45/25/15/15)를 25g/m2 분무하고(공정1), 15초 후, A4판의 ABS판(두께 3mm)을 수압 전사 필름으로부터 수중을 향해 삽입하여 수압 전사했다(공정2). 계속하여 National사의 형광 수은등(주파장 405nm, 436nm, 546nm, 577nm)을 장착한 GS유아사가부시키가이야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켰다(공정3).
PVA를 닛신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제트워셔JW-350B를 사용하여, 28Hz, 40℃, 2분간의 조건에서 수세 제거(공정4)한 후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GS유아사가부시키가이야제의 고압 수은등(주파장은 254nm, 313nm, 365nm, 405nm, 436nm, 546nm, 577nm)을 장착한 GS유아사가부시키가이야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00mJ/cm2, 피크 강도 200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공정5),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약간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9)
수압 전사용 필름C2를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0)
수압 전사용 필름C2를 사용하여, 활성화제B(이소부탄올/메틸이소아밀케톤/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신-4-메틸-2-펜탄온)=45/40/15)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1)
수압 전사용 필름C2를 사용하여, 활성화제C(이소부탄올/크실렌/메트아세테이트/아세트산이소아밀=35/35/15/15)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2)
수압 전사용 필름C2를 사용하여, 활성화제D(이소부탄올/메틸이소아밀케톤/D- 리모넨/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신-4-메틸-2-펜탄온)=45/30/20/5)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3)
수압 전사용 필름C3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4)
수압 전사용 필름C4를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 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5)
수압 전사용 필름C5를 사용하여, 활성화제C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6)
수압 전사용 필름C5를 사용하여, 활성화제C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mJ/cm2, 피크 강도 0.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2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약간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7)
수압 전사용 필름C5를 사용하여, 활성화제D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킨 바, 나무결 무늬에 따라 약간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8)
수압 전사용 필름C6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19)
수압 전사용 필름C7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 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나무결 무늬에 따라 지촉으로 걸리는 부출을 갖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비교예5)
수압 전사용 필름C8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킨 바, 표면이 평활하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비교예6)
수압 전사용 필름C9를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킨 바, 표면이 평활하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비교예7)
수압 전사용 필름C10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킨 바, 표면이 평활하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비교예8)
수압 전사용 필름C11을 사용하여, 활성화제A를 30g/m2 분무하고, 실시예1과 같이 수압 전사했다. 니뽄덴찌가부시키가이샤제의 UV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량 10mJ/cm2, 피크 강도 1mW/cm2의 UV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층을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까지 반경화시킨 후, 실시예1과 같이 수세, 건조 후, 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킨 바, 표면이 평활하고, 선명한 도안 모양을 갖는 수압 전사체를 얻었다.
실시예8∼19에 의해 얻어진 수압 전사체를 표 4에 정리했다. 또한, 비교예5∼8에 의해 얻어진 수압 전사체를 표 5에 정리했다.
[표 4]
Figure 112009038593742-PCT00004
[표 5]
Figure 112009038593742-PCT00005
※부조의 평가 기준
◎ : 지촉으로 매우 고저차가 있는 부출이 느껴짐
○ : 지촉으로 고저차가 있는 부출이 느껴짐
△ : 지촉으로 평활하지 않음이 느껴짐
× : 지촉으로 평활하다고 느껴짐
이상의 결과에서, 수압 전사 필름으로서 C1∼C7을 사용한 실시예8∼19는, 부출을 갖고, 또한 무늬 재현성이 뛰어난 것이 얻어지고,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C1∼C7을 사용한 실시예8∼19에서는 지촉으로 걸리는 양호한 부출을 갖는 수압 전사체가 얻어졌다.
한편, 솔리드 인쇄층에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사용한 수압 전사 필름C8을 사용한 비교예1에서는, 부출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의 첨가량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인 수압 전사 필름C9를 사용한 비교예6도, 부출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부출 무늬 인쇄층에 팽윤도 200% 이상의 무기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예(비교예8), 혹은 200% 미만의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예(비교예7)에서도, 부출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수압 전사체는, 텔레비전, 비디오, 에어컨, 라디오 카세트, 휴대전화, 냉장고 등의 가정 전화(電化) 제품; 퍼스널 컴퓨터, 팩스나 프린터 등의 OA 기기; 팬히터나 카메라 등의 가정 제품의 하우징 부분; 테이블, 옷장, 기둥 등의 가구 부재; 욕조, 시스템 키친, 도어, 창틀 등의 건축 부재; 전자 계산기, 전자 수첩 등의 잡화; 자동차 내장 패널, 자동차나 오토바이크의 외판, 휠 커버, 스키 캐리어, 자동차용 캐리어백 등의 차내외장품; 골프 클럽, 스키판, 스노우보드, 헬멧, 고글 등의 스포츠용품; 광고용 입체상, 간판, 모뉴먼트 등을 들 수 있고, 곡면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필요로 하는 성형품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되고, 극히 넓은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도 1]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을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면 중 가상의 절단선a-a에 의해 절단된 필름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1 중에 그려진 그림(나무)은,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이 그림의 윤곽에 따라 인쇄되어 있고, 그림 자체는 유색의 인쇄층을 중첩 인쇄하여 표시된, 종합된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2]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의, 도 1 중 가상의 절단선a-a에 의해 절단된 필름 단면도이다. 그림의 윤곽만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이 인쇄되어 있다.
[도 3]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을 전사한 수압 전사체의 전사 후의 전사 단면도를 모식화한 추정도이다.
[도 4]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의 일례이다. 흑 부분이 그 인쇄층이다(스트라이프).
[도 5]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의 일례이다. 흑 부분이 그 인쇄층이다(도트).
[도 6]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의 일례이다. 흑 부분이 그 인쇄층이다(기하학 모양).
[도 7]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의 일례이다. 흑 부분이 그 인쇄층이다(나무결).
[부호의 설명]
1 : 부출 무늬 인쇄층(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
2 : 유색 인쇄층
3 : 경화성 수지층
4 : 지지체 필름
5 : 피전사체

Claims (8)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을 구비한 수압 전사용 필름을, 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이 표면층이 되도록 수압 전사한 가식(加飾) 성형품으로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浮出) 무늬 인쇄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 표면이 상기 부출 무늬 인쇄층에 따른 부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 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상기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과,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는 가식 성형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인쇄층이 가식 성형품의 피전사체의 전사면에 밀착하여 있는 가식 성형품.
  4.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그 지지체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유기 용제에 용해 가능한 전사층을 갖고,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수압 전사용 필름을,
    상기 전사층을 위로 하여 물에 띄우고,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공정1과,
    상기 전사층에 피전사체를 밀어붙임으로써 수압 전사용 필름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공정2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상기 수압 전사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을 반(半)경화시키는 공정3과,
    상기 전사층으로부터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공정4와,
    상기 전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전사된 경화성 수지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공정5를 이 순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출을 갖는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3에서, 경화성 수지층의 도막 경도가 연필 경도법(JIS K-5400-8-4)으로 B 이상이 될 때까지 반경화시키는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 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과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는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7. 수용성 혹은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그 지지체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층과 인쇄 모양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유기 용제에 용해 가능한 전사층을 갖고, 수압 전사에 의해 피전사체에 부출을 갖는 가식면을 부여하는 수압 전사용 필름으로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잉크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0∼150질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가식면의 부출을 표현하는 부출 무늬 인쇄층을 갖고, 또한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전사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양층이, 상기 팽윤도가 200% 이상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부출 무늬 인쇄층과, 팽윤도가 120% 이하인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한 솔리드 인쇄층을 갖는 수압 전사용 필름.
KR1020097013243A 2007-09-28 2008-09-17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9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4120 2007-09-28
JP2007254120 2007-09-28
PCT/JP2008/066693 WO2009041314A1 (ja) 2007-09-28 2008-09-17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422A true KR20090088422A (ko) 2009-08-19
KR101159713B1 KR101159713B1 (ko) 2012-06-26

Family

ID=4051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243A KR101159713B1 (ko) 2007-09-28 2008-09-17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52135B2 (ko)
EP (1) EP2191980B1 (ko)
JP (1) JP4329045B2 (ko)
KR (1) KR101159713B1 (ko)
CN (1) CN101610916B (ko)
TW (1) TWI435811B (ko)
WO (1) WO2009041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7740B1 (en) * 2009-07-23 2015-12-16 Taica Corporation Method and product of hydraulic transfer
JP5478985B2 (ja) * 2009-08-20 2014-04-2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転写シート
JP5679750B2 (ja) * 2010-09-27 2015-03-0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転写印刷用積層体
TW201242795A (en) * 2011-01-20 2012-11-01 Taica Corp A water pressure transfer method, a transfer film for water pressure transfer, an ink for a transfer film and a water pressure transfer article
KR20140000549A (ko) * 2012-06-25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가공 방법 및 장치
JP6094123B2 (ja) * 2012-09-28 2017-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WO2014190407A1 (en) * 2013-05-30 2014-12-04 Canadian Bank Note Company, Limited Improved composition for printing tactile features on a security document
CN103287145B (zh) * 2013-06-08 2016-01-20 惠州市维尔康精密部件有限公司 一种电视机外壳图案加工方法
JP6410508B2 (ja) * 2014-05-20 2018-10-2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加飾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144732B2 (ja) * 2015-08-06 2017-06-07 東洋製罐株式会社 装飾積層フィルム、及びこの装飾積層フィルムを有する袋状容器並びにシール材
CN107150493A (zh) * 2017-05-12 2017-09-12 平顶山学院 一种美术冷转印系统及其方法
AT519969B1 (de) * 2017-08-02 2018-12-15 Bademeisterei Kosmetikmanufaktur Gmbh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s Ornamentes auf einem Badezusatz
US20200384797A1 (en) * 2017-12-27 2020-12-10 Takeshi Kuroda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iece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8389A (en) * 1980-12-11 1982-06-18 Morohoshi Ink Kk Manufacture of transfer sheet and rugged decorative laminated sheet by said transfer sheet
JPS6140200A (ja) 1984-08-01 1986-02-2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印刷模様付き成型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6598A (ja) 1991-07-11 1993-0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鏡面光沢を有する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40200A (ja) * 1992-10-29 1994-05-20 Hitachi Medical Corp マイクロトロン電子加速器
CN1037902C (zh) * 1993-10-27 1998-04-01 周兴和 仿古仿欧装饰浮雕产品及其制造方法
JP3482506B2 (ja) 1994-04-11 2003-12-22 株式会社キュービック 異形凹凸表面を有する加飾施工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10506086A (ja) * 1994-09-22 1998-06-16 ミュラー−ハルトブルク、ヨハネス 床用、壁用、天井用、又は家具用のパネル又は建材、該パネル又は建材の製造方法及び該パネル用保持具
US6613256B2 (en) * 2001-02-20 2003-09-02 Awi Licensing Company Mechanical embossing texture differentiation between chemically restricted areas and non-restricted areas
JP3691030B2 (ja) * 2002-07-01 2005-08-3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CN1197917C (zh) * 2003-06-04 2005-04-20 王胜怀 浮雕涂料
TW200519173A (en) * 2003-09-30 2005-06-16 Dainippon Ink & Chemicals Film for hydraulic transfer printing and hydraulic transfer printing compound
JP4384963B2 (ja) * 2003-10-22 2009-12-16 株式会社クラレ 水圧転写方法
JP4277650B2 (ja) * 2003-10-31 2009-06-10 Dic株式会社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JP2005262610A (ja) * 2004-03-18 2005-09-29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圧転写方法
JP4696492B2 (ja) 2004-08-11 2011-06-08 Dic株式会社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2135B2 (en) 2012-08-28
TWI435811B (zh) 2014-05-01
JP4329045B2 (ja) 2009-09-09
EP2191980A1 (en) 2010-06-02
WO2009041314A1 (ja) 2009-04-02
KR101159713B1 (ko) 2012-06-26
CN101610916B (zh) 2013-05-01
US20110189445A1 (en) 2011-08-04
JPWO2009041314A1 (ja) 2011-01-27
TW200936397A (en) 2009-09-01
EP2191980B1 (en) 2013-12-18
CN101610916A (zh) 2009-12-23
EP2191980A4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713B1 (ko) 가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4737B1 (ko)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WO2004002752A1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4696492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KR20130115107A (ko) 장식 시트의 제조 방법, 장식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성형품
JP6245178B2 (ja) 転写フィルム、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61997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KR20060081710A (ko) 수압 전사용 필름 및 수압 전사체
JP4437245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JP2010228315A (ja) 熱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0276B1 (ko) 열전사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72278A (ja) 熱転写用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加飾品の製造方法
JP5077645B2 (ja) 活性化剤、及び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5868120B2 (ja) 部分マット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277650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JP2005132014A (ja) 水圧転写用活性化剤および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14159128A (ja) 熱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加飾品の製造方法
JP6467840B2 (ja) 積層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07283538A (ja) 活性化剤、活性化剤の調製方法、及び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05205659A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JP2008265301A (ja) 化粧シート
JPH1120392A (ja) 転写シート
JP2007055244A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及び水圧転写体
JP2006159671A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JP2006123392A (ja) 水圧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