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301A -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301A
KR20090088301A KR1020080127883A KR20080127883A KR20090088301A KR 20090088301 A KR20090088301 A KR 20090088301A KR 1020080127883 A KR1020080127883 A KR 1020080127883A KR 20080127883 A KR20080127883 A KR 20080127883A KR 20090088301 A KR20090088301 A KR 2009008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se
transmiss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066B1 (ko
Inventor
류지 쯔치야
노부타카 호리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점수가 적고 간단하며 또한 소형이고 외관성이 뛰어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한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덮도록 전동 케이스 커버(36)가 측방으로부터 전동 케이스(31L)에 씌워져 변속실(46C)이 구성되고, 크랭크축(40)의 축단(軸端)에 냉각 팬(48F)이 설치되며,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냉각 팬(48F)이 대향하는 부분에 변속실(46C)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냉각풍 도입구(36i)가 형성되고,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냉각풍 도입구(36i) 및 그 주변이 사이드 커버 부재(92)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이는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파워 유닛(20)에 있어서, 사이드 커버 부재(92)의 둘레벽의 단면과 전동 케이스 커버(36)가 맞닿는 부분에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외기 도입구(95)가 설치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Description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파워 유닛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의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를 겸하는 전동 케이스의 측방에 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설치되고, 이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덮도록 전동 케이스 커버가 측방으로부터 전동 케이스에 씌워져 변속실을 구성하는 차재 파워 유닛으로서, 전동 케이스 커버의 냉각 팬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냉각풍 도입구를 덮개재(蓋材)가 덮고, 이 덮개재에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가 이미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특허 문헌 1 : 특공 평 6-33060호 공보]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서는, 덮개재로부터 기울어짐 상후방으로 덕트가 연장하고, 이 덕트의 선단이 외기 도입구가 되고 있다.
이 외기 도입구도 기울어짐 상후방으로 개구하고 있으므로, 외기 도입구에 물이나 먼지가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외기 도입구를 우산이 덮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서는, 외기 도입을 위한 덕트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선단의 외기 도입구를 가리기 위해 특별 우산이 별도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부품점수가 많음과 함께, 부품 형상이 복잡화 및 대형화해, 외관성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점수가 적으며 간단하고 또한 소형이며 외관성이 뛰어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내연 기관의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를 겸하는 전동 케이스의 측방에 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설치되고, 이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덮도록 전동 케이스 커버가 측방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씌워져 변속실이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의 축단에 냉각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의 상기 냉각 팬이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변속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냉각풍 도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의 상기 냉각풍 도입구 및 그 주변이 사이드 커버 부재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이는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파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 부재의 둘레벽의 단면과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가 맞닿는 부분에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외기 도입구가 설치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로 하였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상방을 덮도록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상방에 닿는 상기 에어클리너의 하부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기 어려운 부위인 사이드 커버 부재의 둘레벽의 단면과 전동 케이스 커버가 맞닿는 부분에 외기 도입구가 설치되므로,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최대한 방지된다.
외기 도입구는 전동 케이스 커버와 사이드 커버 부재가 맞닿는 부분에 개구 하는 구조이므로, 덕트 등의 도입관이 불필요하고, 부품점수가 적고 간단하며 또한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외부로부터는 보기 어려워 외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외기 도입구의 상방을 덮도록 에어클리너가 설치되므로, 물이나 먼지 외 이물이 외기 도입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외기 도입구의 상방에 닿는 에어클리너의 하부가,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에어클리너의 하부를 외기 도입구에 근접시킬 수 있고, 외기 도입구로의 이물의 침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에어클리너의 설치 높이도 낮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외기 도입구가,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외기 도입구가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으며, 외관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외기 도입구가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외기 도입구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외관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전동 케이스 커버 및 사이드 커버 부재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해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의 측면도이다.
차체 전부(1f)와 차체 후부(1r)가, 낮은 플로어부(1c)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 프레임은, 대략 다운 튜브(3)와 메인 파이프(4)로 이루어진다.
즉 차체 전부(1f)의 헤드 파이프(2)로부터 다운 튜브(3)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이 다운 튜브(3)는 하단에서 수평으로 만곡해 플로어부(1c)의 하방을 후방으로 연장하고, 그 후단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4)에 연결되며, 메인 파이프(4)는 이 연결부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상승해 소정 높이로 수평으로 만곡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메인 점프(4)에 의해 연료 탱크(5) 등이 지지되고, 그 상방에 시트(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차체 전부(1f)에 있어서는, 헤드 파이프(2)로 축지지되고 상방에 핸들(11)이 설치되며, 하방에 프런트 포크(12)가 연장되고 그 하단에 전륜(13)이 축지지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4)의 경사부의 중앙 부근에 브래킷(15)이 돌출 설치되어, 이 브래킷(15)에 링크 부재(16)를 개재해 파워 유닛(2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은, 그 전부(前部)가 단기통 4 스트로크의 수냉식 내연 기 관(30)이며, 실린더 블록(32)을 대략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크게 앞으로 기울인 자세로 있고, 그 크랭크 케이스(3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행거 브래킷(18)의 단부가 상기 링크 부재(16)에 피벗축(추지(樞支))(19)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은 이 내연 기관(30)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벨트식 무단 변속기(46)가 구성되고, 그 후부에 설치된 감속 기구(38)의 출력축인 후방 차축(21a)에 후륜(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감속 기구(38)가 있는 파워 유닛(20)의 후부에 세워설치된 브래킷(39)과 상기 메인 파이프(4)의 후부간에 리어 쿠션(22)이 개재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의 측면도인 도 2 및 이 상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파워 유닛(20)의 상부에서는, 내연 기관(30)의 크게 앞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헤드(33)의 상부로부터 흡기관(23)이 연장해 후방으로 만곡하고, 이 흡기관(23)에 접속된 스로틀 바디(25)가 실린더 블록(32)의 상방에 위치하며, 이 스로틀 바디(25)에 연결관(23c)을 통해 연결되는 에어클리너(26)가 벨트식 무단 변속기(46)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23)에는 흡기 포토를 향해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24)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 헤드(33)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배기관(27)은, 후방으로 굴곡해 우측으로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륜(21)의 우측의 머플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차체 전부(1f)는, 프런트 커버(9a)와 레그 실드(9b)에 의해 전후로부터 덮이고 프런트 로어 커버(9c)에 의해 하부를 전방에서 좌우 측방에 걸쳐 덮이며, 핸들(11)의 중앙부는 핸들 커버(9d)에 의해 덮인다.
플로어부(1c)는 사이드 커버(9e)에 의해 덮이고, 또한 차체 후부(1r)는 좌우 측방으로부터 보디 커버(10)에 의해서 덮인다.
도 4는 내연 기관(30)의 단면도(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며, 도 5는 파워 유닛(20)의 단면도(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내연 기관(30)은, 실린더 블록(32)의 실린더 라이너(44) 안을 왕복 움직이는 피스톤(42)과 크랭크축(40)의 크랭크 핀(40a)을 커넥팅 로드(43)가 연결하고 있다.
크랭크 케이스(31)는, 좌우 분할의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와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를 합체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는, 크랭크 케이스부의 반체를 이루고,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는, 전부가 크랭크 케이스부의 반체를 이룸과 동시에, 후방으로 팽출해 전후로 긴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겸한다.
이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31L)의 전후 길이가 긴 좌측 개방면은, 전동 케이스 커버(36)에 의해 덮여 내부에 벨트식 무단 변속기(46)가 수납되는 변속실(46C)이 형성되고, 후부의 우측 개방면은 감속기 케이스(37)에 의해 덮이며, 내부에 감속 기구(38)가 수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의 전부와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합체에 의한 소위 크랭크 케이스 내에는, 크랭크축(40)이 좌우의 주 베어링(41, 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부 중 좌측 연장부에는 캠 체인 구동 스프로켓(55a)과 오일펌프 구동 기어(55b) 및 AC 제너레이터가 설치되고, 좌측 연장부에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46)의 원심 웨이트(47)와 구동 풀리(48a)가 설치된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는, 구동 풀리(48a)와 감속 기구(38)의 입력축(38a)에 설치되는 피동 풀리(48b)에 V 벨트(49)가 걸쳐져 동력이 전달되므로, 변속비는 기관 회전수에 따라 이동하는 원심 웨이트(47)에 의해 구동 풀리(48a)에 있어서의 V 벨트(49)의 감아거는 직경이 변화하고, 동시에 피동 풀리(48b)에 있어서의 감아거는 직경이 변화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무단 변속한다.
피동 풀리(48b)의 회전은, 원심 클러치(35)를 통해 감속 기구(38)의 입력축(38a)에 전달된다.
감속 기구(38)는 기어 기구로 입력축(38a)과 중간축(38b)의 사이 및 중간축(38b)과 후방 차축(21a)의 사이에 각각 기어의 맞물림이 구성되어, 입력축(38a)의 회전을 감속하고 후방 차축(21a)에 전달해 후륜(21)을 회전 구동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캠 체인실(52)을 구성하는 측벽에는 큰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는 우측으로부터 볼트(71)에 의해 장착되는 격벽(70)에 의해 폐색되고, 격벽(70)의 원통부(70a)를 크랭크축(40)이 관통하고 있다.
AC 제너레이터(72)는, 격벽(70)의 원통부(70a)를 관통한 크랭크축(40)의 우단부에 ACG 보스(73)를 개재해 주발 형상의 외측 회전자(74)가 고착되고, 그 내주 면에 둘레방향에 걸쳐 설치되는 자석(75)의 안쪽에 고정자 코일(77)이 감긴 내측 고정자(76)가 격벽(70)의 원통부(70a)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 회전자(74)의 우측면에는 중앙이 팽출하고 원판 형상을 한 팬 기판(78a)이 장착되어 있으며, 팬 기판(78a)에는 우측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라디에이터 팬(78)이 형성되어 있다.
AC 제너레이터(72)의 외측 회전자(74)의 외주(外周)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측벽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한 둘레벽(31Rs)에 거의 둘러싸이고, 라디에이터 팬(78)의 외주는 쉬라우드(shroud)(90)에 의해 둘러싸이며, 라디에이터 팬(78)의 우방에는 라디에이터(80)가 근접해 설치되고, 라디에이터(80)는 루버가 부착된 라디에이터 커버(81)로 덮여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와 격벽(70)의 사이에 펌프 구동축(62)을 회전 가능하게 가설해 오일펌프(61)가 설치되어 있고, 펌프 구동축(62)에 끼워붙여진 피동 기어(63)가, 상기 캠 체인 구동 스프로켓(55a)과 일체로 형성된 오일펌프 구동 기어(55b)와 맞물리고 있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에는, 오일펌프(61)로부터 하방으로 오일 통로(64a)가 연장되어 있고, 이 오일 통로(64a)의 도중부터 좌방으로 수평 오일 통로(64b)가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까지 수평으로 연장하며, 오일필터(65)가 끼워 넣어지는 직경이 확대된 끼워넣기 구멍(64c)에 이르고 있다.
오일필터(65)는, 유저 원통 형상을 한 메쉬 필터이며,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의 좌 외측면으로 개구한 끼워넣기 구멍(64c)에 끼워 넣어지고,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하는 수평 오일 통로(64b)의 좌단을 덮도록 하여 수평 오일 통로(64b)를 외부와 구분하고 있다.
수평 오일 개구(64b)의 하방은, 오일고임(64e)이 되고 있으며, 오일고임(64e)의 천정벽에 끼워넣기 구멍(64c)에 연통하는 노치(64d)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넣기 구멍(64c)의 개구에는, 급유통(66)이 그 단부 개구를 연결해 설치된다.
급유통(66)은, 유저 원통 형상의 오일필터(65)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급유 통로(67)가 형성된 수평통부(66a)와 수평통부(66a)로부터 굴곡해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통부(66b)로 이루어지고, 수평통부(66a)를 좌우 방향으로 지향시켜 오일 통로(64b)의 단부의 끼워넣기 구멍(64c)에 단부를 끼워맞춤하고 있다.
급유통(66)의 수평통부(66a)가 끼워넣기 구멍(64c)의 개구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오일필터(65)의 외주에 주설(周設)된 코일 스프링(65s)이 그 일단이 규제되고, 타단이 오일필터(65)의 개구 단부의 플랜지를 수평 오일 통로(64b)의 개구 단면에 가압 고정해,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급유통(66)의 경사 통부(66b)의 약간 직경이 크게 확대된 상단 개구부(66c)가 급유구가 되고, 그 상단 개구부(66c)에 오일 필러 캡(68)이 나사식 끼워맞춤하여 급유 통로(67)를 액밀하게 폐색할 수 있다.
오일 필러 캡(68)에는, 급유 통로(67) 내로 연장되는 딥스틱 게이지(69)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딥스틱 게이지(69)의 선단의 게이지부가 오일의 유면 아래로 잠겨 게이지부에 유량을 표시한다.
오일 필러 캡(68)을 떼어내면 급유통(66)의 급유구로부터 크랭크 케이스(31) 내에 윤활 오일을 급유할 수 있다.
크랭크축(40)의 회전에 의해 구동 기어(55b)와 피동 기어(63)의 맞물림을 통해 오일펌프(61)가 구동되면, 오일고임(64e)에 모인 오일은, 오일필터(65)를 지나서 정화되어 퍼올려지고, 오일펌프(61)로부터 내연 기관(30)의 소요 개소에 공급된다.
본 4 사이클 내연 기관(30)은, SOHC 형식의 밸브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으며, 실린더 헤드 커버(34) 내에는 밸브 구동 기구(50)가 설치되며, 이 밸브 구동 기구(50)에 동력 전달을 행하는 캠 체인(51)이 캠 샤프트(53)와 크랭크축(40)의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고, 그것을 위한 캠 체인실(52)이,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 실린더 블록(32), 실린더 헤드(33)에 연통해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한 캠 샤프트(53)의 우측단에 끼워붙여진 피동 캠 체인 스프로켓(54)과 크랭크축(40)에 끼워붙여진 상기 캠 체인 구동 스프로켓(55a)의 사이에 캠 체인(51)이 캠 체인실(52) 내부를 지나 걸쳐져 있다.
한편, 실린더 헤드(33)에 있어서 캠 체인실(52)과 반대측(좌측)으로부터 연소실(33a)을 향해 점화 플러그(45)가 끼워 넣어져 있다(도 2, 도 5 참조).
또, 실린더 블록(32)의 동일 좌측 측면에는 지지 브래킷(28)을 통해 점화 코일(29)이 장착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도 4를 참조하여, 크게 앞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헤드(33)의 연소실(33a)로부터 흡기 포트(33i)가 상방으로 만곡해 연장되어 상기 흡입 기관(23)에 연결되고, 연소실(33a)로부터 배기 포트(33e)가 하방으로 만곡해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26)에 연결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커버(34) 내의 밸브 구동 기구(50)는, 실린더가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크게 앞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흡기 포트(33i)의 연소실(33a)로의 개구를 개폐하는 흡기 밸브(56i)가 캠 샤프트(53)의 상방에 설치되고, 배기 포트(33e)의 연소실(33a)로의 개구를 개폐하는 배기 밸브(56e)가 캠 샤프트(5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캠 샤프트(53)는, 실린더 헤드(33)의 좌측벽과 캠 체인실(52)을 구성하는 내측벽(33c)에 베어링(53b, 53b)을 통해 캠 샤프트 홀더(53hl, 53hr)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우측의 베어링(53b)으로부터 돌출한 우측단에 피동 캠 체인 스프로켓(54)이 끼워붙여져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샤프트(53)의 전방의 경사 상하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흡기용 로커 샤프트(57)와 배기용 로커 샤프트(59)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캠 샤프트 홀더(53hl, 53hr)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흡기용 로커 샤프트(57)와 배기용 로커 샤프트(59)는, 서로 상하 위치에 있으며, 상측의 흡기용 로커 샤프트(57)에 요동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흡기 로커 아암(58)의 일단에 축지지된 롤러(58r)가 캠 샤프트(53)의 흡기 캠(53i)에 접하고, 타단에 나사식 결합이 된 조정나사(58s)가 흡기 밸브(56i)의 밸브 스템의 단부에 접한다(도 4 참조).
마찬가지로, 하측의 배기용 로커 샤프트(59)에 요동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이 된 배기 로커 아암(60)의 일단에 축지지된 롤러(60r)가 캠 샤프트(53)의 배기 캠(53e)에 접하고, 타단에 나사식 결합이 된 조정나사(60s)가 배기 밸브(56e)의 밸브 스템의 단부에 접한다(도 4 참조).
따라서, 캠 샤프트(53)의 회전에 의해 흡기 캠(53i)과 배기 캠(53e)이 각각 흡기 로커 아암(58)과 배기 로커 아암(60)을 요동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흡기 밸브(56i)와 배기 밸브(56e)의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러한 밸브 구동 기구(50)에는, 감압 장치(100)가 캠 샤프트(53)에 설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감압 장치(100)는 캠 샤프트(53)의 좌단부를 축지지하는 좌측 베어링(53b)과 캠 샤프트(53)의 배기 캠(53e)의 사이에 감압 웨이트(101)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 캠(53e)에는 배기 캠(53e)의 캠 면에 출몰 가능하게 회전운동하는 감압 캠(105)이 끼워맞춰져 있으며, 감압 웨이트(101)의 요동에 의해 감압 캠(105)이 작동된다.
한편, 실린더 헤드(33)의 우측면에는 원 개구가 형성되어, 워터펌프(120)의 원통 형상을 한 워터펌프 보디(121)가 이 원 개구에 박아넣어져 지지되고 있고, 이 워터펌프 보디(121)가 내부에 베어링(125)을 개재해 축지지하는 펌프 구동축(123)이, 캠 샤프트(53)와 동일 축 상에 있으며, 워터펌프 보디(121)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한 펌프 구동축(123)의 좌측단이 캠 샤프트(53)에 나사식 부착이 되어 동축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워터펌프(120)는, 워터펌프 보디(121)의 우측의 개구단을 직경 방향으로 확 대한 축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단척 원통부가 워터펌프 구동축(123)에 끼워 붙여지는 임펠러(124)를 워터펌프 커버(122)와 함께 수용하고 있고, 워터펌프 커버(122)에는 물 흡입 통부(122b)나 토출 접속관이 연장되어 있다.
대략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파워 유닛(20)에 있어서, 전후로 길이가 긴 전동 케이스인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와 전동 케이스 커버(36)에 의해 형성되는 변속실(46C) 내에 수용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냉각하는 냉각 구조를 이하 설명한다.
냉각풍을 변속실(46C) 내에 강제적으로 흘려보냄으로써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냉각하고 있고, 냉각풍을 도입하는 구성이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좌측면(외측면)도를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전동 케이스 커버(36)는, 도 3에 상면도, 도 5와 도 6에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3,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동 케이스 커버(36)는,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는 측벽(36a)의 주위를 둘레벽(36b)이 둘러싸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둘레벽(36b)의 단면이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31L)와 맞닿는 면이다.
이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둘레벽(36b)으로부터 좌방으로 팽출하는 측벽(36a) 중 전부의 팽출이 작고 표면에서 보아 패인 평면을 이루는 전평탄부(36af)가 형성되어 있고, 전평탄부(36af)와 그 밖의 크게 팽출한 후방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전평탄부(36af)는, 상하가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단부(36c)는 도 7의 측면에서 볼 때 く 형상을 하고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평탄부(36f)의 중앙은 크게 원형으로 냉각풍 도입구(36i)가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풍 도입구(36i)는 구동 풀리(48a)에 대향하고 있다.
구동 풀리(48a)의 좌측의 고정 풀리 반체의 좌측면에는, 냉각 팬(48F)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 풀리(48a)와 함께 냉각 팬(48F)이 회전함으로써, 냉각풍 도입구(36i)로부터 공기를 변속실(46C)에 도입할 수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후부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한 배풍구(36e)를 갖는 냉각풍 배출 덕트(36d)가 후방으로 돌출해 형성되고, 변속실(46C)에 도입되어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냉각한 냉각풍이 배풍구(36e)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전평탄부(36af)의 냉각풍 도입구(36i)의 둘레 가장가리에는 좌측면(외측면)에 동심원 형상의 2개의 돌출부(36r, 36r)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3개소 나사구멍(36h)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패인 전평탄부(36af)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평탄부(36af)와 동일한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한 덕트 커버(91)가 끼워 만들어지고, 이 덕트 커버(91)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역시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같은 사이드 커버(92)(도 10 참조)가 장착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덕트 커버(91)는, 측벽(91a)의 주위를 둘레벽(91b)이 좌측(외측)으로 돌출해 둘러싸고, 측벽(91a)의 중앙에 전동 케이스 커 버(36)의 냉각풍 도입구(36i)에 대응해 냉각풍 도입구(91i)가 개구하고 있으며, 이 냉각풍 도입구(91i)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우측면(내측면)에 동심원 형상의 2개의 돌출부(91r, 91r)가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돌출부(36r, 36r)에 대응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나사구멍(36h)에 대응해 장착구멍(91h)이 3개소 천공되어 있다.
또, 측벽(91a)에는 냉각풍 도입구(91i)의 주위를, 상방 앞쪽 부분을 제외하고 둘러싸도록 도풍벽(導風壁)(91d)이 좌방으로 돌출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 후방에 전후 길이가 긴 개구에 경사진 날개판이 가설된 루버(91L)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사이드 커버(92)는, 측벽(92a)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92b)이 덕트 커버(91)의 둘레벽(91b)의 외주면에 접해 끼워 맞춰지도록 측벽(92a)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우측(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덕트 커버(91)에 사이드 커버(92)가 끼워맞춤하면 측벽(91a)과 측벽(92a)의 사이에 냉각풍 도입구(91i)에 연통하는 외기 도입 공간(97)이 형성된다(도 5, 도 6 참조).
또한, 측벽(92a)에는, 나사구멍(36h), 장착구멍(91h)에 대응해 부착구멍(92h)이 천공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패인 전평탄부(36af)에, 우선 덕트 커버(91)를 끼워만들면,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냉각풍 도입구(36i)의 둘레 가장자리의 2개의 돌출부(36r, 36r)에 덕트 커버(91)의 2개의 돌출부(91r, 91r)가 교대로 끼워맞춤하여 공통의 냉각풍 도입구(36i, 91i)가 구성되고, 전동 케이스 커버(36) 내의 변속실(46c)은, 냉각풍 도입구(36i, 91i)를 통해 덕트 커버(91)의 좌측 공간(사이드 커버(92)의 장착에 의해 외기 도입 공간(97))과 연통한다(도 5, 도 6 참조).
이어서, 덕트 커버(91) 상에 사이드 커버(92)를 씌워 끼워맞춤하고, 3개소의 순차적으로 겹친 부착구멍(92h), 장착구멍(91h), 나사구멍(36h)에 각각 볼트(93)를 관통시켜 나사식 부착을 하고 전동 케이스 커버(36)에 덕트 커버(91)와 사이드 커버(92)를 동시 고정해 장착한다.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평탄부(36af)에 장착된 사이드 커버(92)의 측벽(92a)과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측벽(36a)은 표면이 단차가 없는 동일면을 구성한다.
덕트 커버(91)의 상부 후방의 루버(91L)와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평탄부(36af)의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극(9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극(96)은 상방이 도 3의 상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92)의 둘레벽(92b)의 단면이 긴 직사각형으로 잘려진 것처럼 형성된 외기 도입구(95)가 되어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사이드 커버(92)의 둘레벽(92b)의 단면과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평탄부(36af)가 맞닿는 접합 부분에, 전후로 긴 직사각형의 외기 도입구(9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상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외기 도입구(95)가 형성되는 위치는, 도 3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에어클리너(26)와 겹치며, 상방으로 개구한 외기 도입구(95)의 상부는, 적당한 간격을 두어 에어클리너(26)가 덮고 있다(도 2 참조).
또, 외기 도입구(9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31L)의 상면과 동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46)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내연 기관(30)이 가동되어 크랭크축(40)과 함께 구동 풀리(48a)에 설치된 냉각 팬(48F)이 회전하면, 도 6에 냉각풍의 흐름을 파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우선 냉각풍은 외기 도입구(95)로부터 공극(96)에 도입되고, 공극(96)으로부터 덕트 커버(91)의 루버(91L)를 통과해 외기 도입 공간(97)에 유입하여, 도풍벽(91d)에 유도되어 냉각풍 도입구(36i, 91i)로부터 변속실(46C)에 원활히 도입된다.
변속실(46C)에 도입된 냉각풍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46)를 냉각하면서 후방으로 흘러, 후부의 냉각풍 배출 덕트(36d)의 배풍구(36e)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외기 도입구(95)는,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기 어려운 부위인 사이드 커버(92)의 둘레벽(92b)의 단면과 전동 케이스 커버(36)의 전평탄부(36af)가 맞닿는 접합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최대한 방지된다.
또한, 상방을 향해서 개구한 이 외기 도입구(95)의 상부에는, 에어클리너(26)가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크랭크 케이스(31)의 최상부의 높이 Lm과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31L)의 상면의 높이 Ln의 사이에, 외기 도입구(95)의 상방에 닿는 에어클리너(26)의 하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에어클리너(26)의 하부를 외기 도입구(95)에 근접시킬 수 있고, 물이나 먼지 외 이물이 외기 도입구(95)에 침입하는 것을 대략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에어클리너(26)의 설치 높이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91)의 루버(91L)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판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구(95)로부터 하방으로 도입된 외기는 공극(96)으로부터 루버(91L)의 날개판을 따라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어 외기 도입 공간(97)에 유입될 수 있지만, 이물 등은 드물게 공극(96)에 들어갔다고 하더라도, 루버(91L)를 통과해 외기 도입 공간(97)까지는 침입하는 것이 곤란한 구조가 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외기 도입구(95)가, 전동 케이스(31L)의 상면의 높이 Ln과 크랭크 케이스(31)의 최상부의 높이 Lm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외기 도입구(95)가 크랭크 케이스(31)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고, 외관성이 향상되고 있다.
외기 도입구(95)는 전동 커버(36)와 사이드 커버(92)가 맞닿는 부분에 개구하는 구조이므로, 덕트 등의 도입관이 없고, 부품점수가 적고 간단하며 또한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외부로부터는 보이기 어려워 외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외기 도입구(95)가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31L)의 상면과 동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측면에서 볼 때는 외기 도입구(95)를 볼 수 없으며, 외관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전동 케이스 커버(36) 및 사이드 커버(92)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워 유닛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이 파워 유닛의 전체 상면도이다.
도 4는 내연 기관의 단면도(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워 유닛의 단면도(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이 파워 유닛의 단면도(도 2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전동 케이스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덕트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이 덕트 커버의 단면도(도 8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사이드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이 사이드 커버의 단면도(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파워 유닛 26…에어클리너
30…내연 기관 31…크랭크 케이스
31L…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 31R…우측 크랭크 케이스
32…실린더 블록 33…실린더 헤드
34…실린더 헤드 커버 36…전동 케이스 커버
40…크랭크축 46…벨트식 무단 변속기
46C…변속실 48a…구동 풀리
48b…피동 풀리 48F…냉각 팬
49…V 벨트 91…덕트 커버
92…사이드 커버 92b…둘레벽
93…볼트 95…외기 도입구
96…공극 97…외기 도입 공간

Claims (5)

  1. 내연 기관의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를 겸하는 전동 케이스의 측방에 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덮도록 전동 케이스 커버가 측방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씌워져 변속실이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의 축단(軸端)에 냉각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의 상기 냉각 팬이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변속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냉각풍 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의 상기 냉각풍 도입구 및 그 주변이 사이드 커버 부재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이는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파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 부재의 둘레벽의 단면과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가 맞닿는 부분에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외기 도입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상방을 덮도록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상방에 닿는 상기 에어클리너의 하부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최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가,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KR1020080127883A 2008-02-14 2008-12-16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KR101063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3796A JP5203739B2 (ja) 2008-02-14 2008-02-14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JPJP-P-2008-033796 2008-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301A true KR20090088301A (ko) 2009-08-19
KR101063066B1 KR101063066B1 (ko) 2011-09-07

Family

ID=4100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883A KR101063066B1 (ko) 2008-02-14 2008-12-16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03739B2 (ko)
KR (1) KR101063066B1 (ko)
CN (1) CN101509546B (ko)
BR (1) BRPI0900467A2 (ko)
IT (1) IT1393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6329T3 (es) * 2009-09-03 2016-01-15 Honda Motor Co., Ltd. Estructura de admisión de aire de refrigeración para transmisión sin etapas de tipo correa trapezoidal
JP5621518B2 (ja) * 2010-11-04 2014-11-12 スズキ株式会社 ベルト冷却空気吸入構造
JP5819126B2 (ja) 2011-07-23 2015-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6971174B2 (ja) * 2018-02-28 2021-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
JP6951390B2 (ja) * 2019-09-06 2021-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構
JP7339089B2 (ja) * 2019-09-18 2023-09-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723A (ja) * 1982-08-10 1984-02-17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H0633060B2 (ja) * 1984-03-13 1994-05-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輛の吸気装置
JP3156079B2 (ja) * 1990-03-21 2001-04-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動力伝達装置
JPH10299873A (ja) 1997-04-30 1998-11-13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ー型車両のvベルト自動変速機冷却装置
JP2000120847A (ja) * 1998-10-15 2000-04-28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装置
CN2563366Y (zh) * 2002-07-05 2003-07-30 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机车的皮带室冷却装置
JP4293796B2 (ja) * 2003-01-31 2009-07-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JP4124669B2 (ja) * 2003-02-19 2008-07-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における変速装置
JP2006347187A (ja) * 2003-07-16 2006-12-28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用エンジン及びこ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CN1804435B (zh) * 2005-01-11 2010-04-28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的传动箱的冷却风导入装置
JP2007203827A (ja) 2006-01-31 2007-08-16 Honda Motor Co Ltd ベルト式変速機およびレッグシールドを備え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80930A1 (it) 2009-08-15
CN101509546B (zh) 2012-03-21
IT1393191B1 (it) 2012-04-11
BRPI0900467A2 (pt) 2009-11-17
CN101509546A (zh) 2009-08-19
KR101063066B1 (ko) 2011-09-07
JP5203739B2 (ja) 2013-06-05
JP2009191969A (ja)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129A (en) Breather apparatus for engine
KR101063066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JP2003120247A (ja) 自動二輪車のブリーザ装置
US6192865B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vehicular engine
JP2002054439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5687148B2 (ja) 小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ギヤ室の潤滑構造
JP2009191748A (ja) 内燃機関の動弁構造
KR100688221B1 (ko) 내연기관의 보조 기구 부착 구조
JP3840867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EP2154340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123833A (ja) 強制空冷式筒内噴射エンジン
JP4622776B2 (ja) オイルポンプ構造
JP2011190787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換気構造
JP3536804B2 (ja) スクータ型車両
US6209505B1 (en) Four-cycle engine for vehicle
WO2011132574A1 (ja) エンジンのオイル通路構造
JP3460449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3835426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4089131B2 (ja) 自動二輪車の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ブリーザ構造
JP2009191749A (ja) 内燃機関のオイル給油部構造
JP5225910B2 (ja) 内燃機関
JP2005351115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取り付け構造
JP3726833B2 (ja) 自動二輪車用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11047366A (ja) 自動二輪車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5291052A (ja) 内燃機関の潤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