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266A -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266A
KR20090087266A KR1020080012605A KR20080012605A KR20090087266A KR 20090087266 A KR20090087266 A KR 20090087266A KR 1020080012605 A KR1020080012605 A KR 1020080012605A KR 20080012605 A KR20080012605 A KR 20080012605A KR 20090087266 A KR20090087266 A KR 2009008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lider member
slider
image pickup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473B1 (ko
Inventor
변광석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73B1/ko
Priority to US12/378,229 priority patent/US8165462B2/en
Publication of KR2009008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촬상 소자가 장착되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Shake correction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시의 손떨림의 영향을 줄이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촬상 장치에 손떨림 보정 모듈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은, 손떨림 보정 렌즈를 움직이거나 촬상 소자를 움직여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촬상 소자가 장착되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력 감소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과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과 대칭이 되며, 상기 제1 부재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바(bar) 및 제2 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일면에 상기 제1 부재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슬 라이더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제1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 각각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3 바 및 제4 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향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바 및 상기 제4 바 각각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VCM(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 또는 촬상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슬라이더 부재(120), 제1 구동부재(130), 제2 구동부재(140), 및 마찰력 감소 수단(17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손떨림 보정 모듈(100)의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며, 비교적 강성이 높은 금속이나 합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손떨림 보정 모듈(100)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의 기능을 수행하며, 촬상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슬라이더 부재(120)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마찰력 감소 수단(170)의 제2 부재(161)가 안착될 수 있는 삽입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161)가 그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2 부재(161)는 삽입부(111)에 삽입되어 제2 부재(161)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제2 부재(161)가 두 개의 바(bar)로 이루진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부재(161)를 이루는 두 개의 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삽입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재(161)가 세 개 이상의 바로 이루진 경우에는 상기 바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삽입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61)를 이루는 바들은 서로 평행하고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므로, 삽입부(111) 역시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며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슬라이더 부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며,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에 의해 상기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121)를 갖는다. 안착부(121)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미도시) 또는 촬상 소자(미도시)일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 마찰력 감소 수단(170)의 제1 부재(15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23)는 연장부(121)와 중공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22)는 연장부(121)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중공부(122)의 중심축은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중공부(122)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제1 부재(151)는 슬라이더 부재(1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중공부(122) 내에서 제1 부재(151)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지지부(123)는 제1 부재(151)가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51)를 이루는 바들은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지지부(111) 역시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130, 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슬라이더 부재(120) 사이에 배치되며,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130, 140)는 VCM(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VCM은 자성체와 코일로 이루어지며,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자성체 사이의 로렌츠 힘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재(130, 140) 중 하나는 x축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1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y축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130, 140) 각각은 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찰력 감소 수단(170)은 슬라이더 부재(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며, 슬라이더 부재(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찰력 감소 수단(170)은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부재(151)는 두 개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바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151)를 이루는 바들은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바는 서로 평행이 되며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부재(1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부재(161)는 두 개의 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바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161)는 제1 부재(151)와 교차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부재(161)를 이루는 두 개의 바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삽입부(111)에 삽입 되며, 제1 부재(151)를 이루는 두 개의 바는 서로 평행이 되면서 제2 부재(161)를 이루는 바에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161)를 이루는 두 개의 바와 제1 부재(151)를 이루는 두 개의 바가 배치된 형상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부재(161)를 이루는 바들은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는 교차점에서 서로 점 접촉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이 각각 두 개의 바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은 4개의 교차점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제2 부재(161)와 교차되도록 제2 부재(161) 상에 배치되며,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가 원기둥 형성을 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 부재(120)가 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받게 되면, 제1 부재(151)는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 부재(16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 부재(120)가 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받게 되면, 제2 부재(161)가 삽입부(111)에서 회전하면 슬라이더 부재(120)가 y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바로 이루어진 제1, 2 부재(151, 161)가 적어도 4개의 교차점에서 점 접촉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 부재(12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61)가 점 접촉으로 배치되므로 종래의 샤프트 방식보다 슬라이더 부재(120)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모듈(100)이 작동되 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시 손떨림이 일어나게 되면, 촬상 장치 내부의 손떨림 검출 수단(미도시)으로부터 손떨림이 검출된다.
손떨림 검출 수단은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로부터 측정된 손떨림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 회로기판(미도시)으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서, 손떨림 검출 수단은 상기 제어 회로기판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상기 검출된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촬상 소자(미도시)가 안착된 슬라이더 부재(120)의 필요한 이동량을 연산한다. 이때, 연산되는 이동량은 x축, y축 방향의 이동량이다.
그 다음,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상기와 같이 연산된 x축, y축 방향의 이동량을 기초로 하여, 구동부재(130, 140)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 부재(120)를 상기 연산된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제1 슬라이더 부재(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부재(130)를 구동시켜, 제1축(x축)에서 직선 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1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부재(140)를 구동함으로써, 제2축(y축)에서 직선 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 부재(12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움직임은, 움직임 측정용 자석(미도시)과 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계측되는데, 이렇게 계측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 전송되어 구동부재(130, 140)의 제어를 위한 피드 백(feedback) 신호로 사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더 부재(120)를 손떨림을 보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더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촬상 소자도 이동됨으로써, 촬영시의 손떨림의 보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촬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로는, 디지털 컴팩트 카메라,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영상 캠 코더, 필름식 카메라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슬라이더 부재
130, 140: 구동부재 151: 제1 부재
161: 제2 부재 170: 마찰력 감소 수단

Claims (13)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촬상 소자가 장착되는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력 감소 수단;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소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과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과 대칭이 되며, 상기 제1 부재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바(bar) 및 제2 바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일면에 상기 제1 부재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제1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 각각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3 바 및 제4 바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향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 및 상기 제4 바는 형상으로 형성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VCM(voice coil motor)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 또는 촬상 소자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항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20080012605A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39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605A KR101398473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12/378,229 US8165462B2 (en) 2008-02-12 2009-02-12 Shake correction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605A KR101398473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266A true KR20090087266A (ko) 2009-08-17
KR101398473B1 KR101398473B1 (ko) 2014-05-26

Family

ID=4093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605A KR101398473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5462B2 (ko)
KR (1) KR101398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1377B2 (ja) * 2009-07-06 2013-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TWI459128B (zh) * 2012-06-20 201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學防手震驅動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198A (en) * 1988-10-31 1992-03-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hake compensating device
JPH07234447A (ja) * 1993-12-28 1995-09-05 Canon Inc 撮影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US5835799A (en) * 1996-07-10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prevention apparatus
JP3480206B2 (ja) * 1996-11-26 2003-12-15 ミノルタ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カメラ
US6064827A (en) * 1997-05-16 2000-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er
JP3969927B2 (ja) * 2000-04-0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影装置及び観察装置
JP3869660B2 (ja) * 2001-01-11 2007-01-1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像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機器
JP4495505B2 (ja) 2004-04-20 2010-07-07 Hoya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US7295770B2 (en) * 2004-04-20 2007-11-13 Pentax Corporation Anti-shake apparatus
JP2005352033A (ja) * 2004-06-09 2005-12-22 Sony Corp レンズ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
JP4627640B2 (ja) 2004-07-09 2011-02-09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KR100678268B1 (ko) 2004-10-2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GB2427932B (en) * 2005-06-30 2008-11-26 Pentax Corp Optical image stabilizer
US7734083B2 (en) * 2005-07-08 2010-06-08 Konica Minolta Opto, Inc. Printed board, image pickup apparatus and camera
JP2007114708A (ja) * 2005-10-24 2007-05-10 Fujinon Corp 像ぶれ補正装置
KR101255207B1 (ko) * 2006-06-19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모듈
JP5376780B2 (ja) * 2007-08-08 2013-12-25 株式会社東芝 圧電モータおよびカメラ装置
JP4488043B2 (ja) * 2007-08-28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9053521A (ja) * 2007-08-28 2009-03-12 Alps Electric Co Ltd 手振れ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65462B2 (en) 2012-04-24
US20090202233A1 (en) 2009-08-13
KR101398473B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3583B2 (ja)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US7907837B2 (en) Image blur correction apparatus
US8111295B2 (en) Image stabilizer and optical instrument therewith
JP2008003182A (ja) ブレ量検出装置
KR101398470B1 (ko)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8151822A (ja) 像ブレ補正装置
JP2008257106A (ja)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8060160A (ja) 撮像装置
TWI485459B (zh) 成像裝置
JP4874720B2 (ja) 保持機構
JP4714594B2 (ja) ステージ装置
JP5483988B2 (ja) 像振れ補正装置
JP7411903B2 (ja) 撮像装置
JP2003307762A (ja) ブレ補正撮影装置
CN112135037B (zh) 稳定控制设备、摄像设备和稳定控制方法
JP2008129326A (ja) ステージ装置、手ぶれ補正装置及びステージ装置の駆動方法
JP5820667B2 (ja) 光学式像振れ補正機構
KR20090087266A (ko)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14191073A (ja) 位置検出装置
JP2010271513A (ja) 光学防振装置及び光学機器
JP2009122578A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WO2007136053A1 (ja) ブレ補正装置、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操作方法
JP5016280B2 (ja) カメラ用像ブレ補正装置
JP2016080970A (ja) 位置検出装置
JP2016057386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