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265A -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265A
KR20090087265A KR1020080012604A KR20080012604A KR20090087265A KR 20090087265 A KR20090087265 A KR 20090087265A KR 1020080012604 A KR1020080012604 A KR 1020080012604A KR 20080012604 A KR20080012604 A KR 20080012604A KR 20090087265 A KR20090087265 A KR 2009008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riving
slider member
axis direction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470B1 (ko
Inventor
변광석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70B1/ko
Priority to US12/378,228 priority patent/US8300105B2/en
Publication of KR2009008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재와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Shake correction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시의 손떨림의 영향을 줄이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촬상 장치에 손떨림 보정 모듈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은, 손떨림 보정 렌즈를 움직이거나 촬상 소자를 움직여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손떨림 보정 기능이 향상되고, 소형화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재와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제1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상기 제2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제1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상기 제2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1 자기 발생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1 코일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1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2 코일에 의해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코일에 작용하는 제1 자기장과 상기 제2 코일에 작용하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자기장과 상기 제1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자기장과 상기 제2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2 자기 발생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3 코일과, 상기 베이스 플레 이트에 배치되는 제4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3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3 코일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4 코일에 의해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3 코일에 작용하는 제3 자기장과 상기 제4 코일에 작용하는 제4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4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3 자기장과 상기 제3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4 자기장과 상기 제4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 또는 촬상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손떨림 보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구동부재(130, 14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구동부재(130, 14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슬라이더 부재(120), 제1 구동부재(130), 및 제2 구동부재(140)를 구비할 수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손떨림 보정 모듈(100)의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며, 비교적 강성이 높은 금속이나 합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손떨림 보정 모듈(100)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의 기능을 수행하며, 촬상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슬라이더 부재(120)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구동부재(130, 140)의 코일(132, 133, 142, 143)이 안착되는 코일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축 방향이 x축 방향이며,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슬라이더 부재(120)는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121)를 갖는다. 안착부(121)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미도시) 또는 촬상 소자(미도시)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는 구동부재(130, 140)의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는 슬라이더 부재(120)에 고정되며,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가 움직이게 되면 슬라이더 부재(120)도 움직이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슬라이더 부재(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 각각은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 또는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재(130)는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뿐만 아니라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재(140) 역시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뿐만 아니라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손 떨림 보정을 위해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게 하는 경우,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경우,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 각각은 제1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재(130)의 제1축 방향의 구동력과 제2 구동부재(140)의 제1축 방향의 구동력의 합력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경우,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 각각은 제2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재(130)의 제2축 방향의 구동력과 제2 구동부재(140)의 제2축 방향의 구동력의 합력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2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종래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슬라이더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한 개의 구동수단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 부재를 x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한 개의 VCM(voice coil motor)이 사용되었으며, 슬라이더 부재를 y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또 다른 VCM이 사용되었다. 한쪽 방향으로 이동을 위해 한 개의 구동수단이 사용되므로 슬라이더 부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렌즈의 광축이 기울어지는 틸트(tilt) 현상이나 슬라이더 부재가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로테이션(rotation)이 일어나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저하시켰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x축 방향(제1축 방향)과 y축 방향(제2축 방향)의 구동력을 모두 발생할 수 있는 제1, 2 구동부재(130, 140)를 구비하며, 제1, 2 구동부재(130, 140)가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므로, 제1, 2 구동부재(130, 140) 각각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균일하게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게 하여 손 떨림 보정을 하는 경우 슬라이더 부재(120)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틸트 현상이나 로테이션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손떨림 보정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의 합력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게 하므로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는 구동력의 세기 증가하며, 슬라이더 부재(120)에 균일한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구동부재(130, 140)가 슬라이더 부재(120)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고 상기 무게 중심과 같은 평면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더 부재의 상부와 후부에 구동수단을 배치하였던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에 비해 손떨림 보정 모듈의 두께(h)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상 장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130)는 제1 자기 발생부(131), 제1 코일(132), 및 제2 코일(1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재(140)는 제2 자기 발생부(141), 제3 코일(142), 및 제4 코일(14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자기 발생부(131)와 제2 자기 발생부(14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슬라이더 부재(12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기 발생부(131)와 제2 자기발생부(141)는 슬라이더 부재(12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기 발생부(131)와 제2 자기 발생부(141)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 각각은 하나의 자성체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 각각이 하나의 자성체로 형성된 경우 분할 착자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코일들(132, 133, 142, 143)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코일 안착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 코일 안착부(111)는 슬라이더 부재(120)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일들(132, 133, 142, 143)은 코일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자기 발생부(131, 141)와 코일(132, 133, 142, 143) 사이에는 갭(gap)이 있으며, 자기 발생부(131, 141)는 코일(132, 133, 142, 143)에 대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제1 자기 발생부(131)는 제1 코일(132)에 작용하는 제1 자기장과 제2 코일(133)에 작용하는 제2 자기장을 발생하며, 제2 자기 발생부(141) 역시 제3 코일(142)에 작용하는 제3 자기장과 제4 코일(143)에 작용하는 제4 자기장을 발생시 킬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이며, 상기 제3 자기장의 방향과 제4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는 상기와 같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 5 및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자성체를 분할 착자될 수 있다. 즉, 자기 발생부(131, 141)의 일면에는 여러 극성이 나타나도록 착자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자기 발생부(131)의 일면에서 제1 코일(131)에 대응되는 부분은 오른쪽 부분이 N극을 나타내고 왼쪽 부분이 S극을 나타내며, 제2 코일(141)이 대응되는 부분은 위쪽 부분이 N극을 나타내고 아래쪽 부분이 S극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부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자성체를 분할 착자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 발생부는 서로 수직한 방향을 갖는 자기장들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 2 자기 발생부(131, 141)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기장과 코일(132, 133, 142, 143) 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로렌츠 힘이 발생하며, 상기 로렌츠 힘이 제1, 2 구동부재(130, 140)가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이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자기 발생부(13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내에 존재하는 제1, 2 코일(132, 13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로렌츠 힘이 발생하며, 또한 제2 자기 발생부(14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내에 존재하는 제3, 4 코일(142, 143)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로렌츠 힘이 발생하게 된다. 제1, 2, 3 및 4 코일(132, 133, 142, 143)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가 움직이게 된다.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는 슬라이더 부재(12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2 자기 발생부(131, 141)가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120)도 움직이게 된다.
제1 자기 발생부(131)와 제1 코일(132)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의 방향은 제1축 방향(x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자기 발생부(131)와 제2 코일(133) 사이에 발생하는 로렌츠 힘의 방향은 제2축 방향(y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 자기 발생부(141)와 제3 코일(142) 사이에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의 방향은 제1축 방향(x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자기 발생부(141)와 제4 코일(143) 사이에 발생하는 로렌츠 힘의 방향은 제2축 방향(y축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코일(132)과 제3 코일(142)에 전류를 흐르게 하며, 슬라이더 부재(120)를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 코일(133) 제4 코일(143)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도 6은 구동부재(130, 140)를 나타내는 저면도로서, 각각의 코일(132, 133, 142 143)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슬라이더 부재(120)를 움직이는 구동력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재(130)의 제1 코일(132)의 오른쪽 부분에는 N극이 존재하므로 제1 코일(132)에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i1)가 흐르는 경우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력(F11)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코일(132)의 왼쪽 부분에는 S극이 존재하므로 제1 코일(132)에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i1)가 흐르는 경우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력(F12)이 발생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구동부재(140)의 제3 코일(142)의 오른쪽 부분에는 S극이 존재하므로 제3 코일(142)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i3)가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력(F13)이 발생한다. 또한, 제3 코일(142)의 왼쪽 부분에는 N극이 존재하므로 제3 코일(142)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i3)가 흐르는 경우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력(F12)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120)의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구동력들(F11, F12, F13, F14)의 합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구동부재(130)의 제2 코일(133)의 위쪽 부분에는 N극이 존재하므로 제2 코일(133)에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i2)가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F21)이 발생한다. 또한, 제2 코일(133)의 아래쪽 부분에는 S극이 존재하므로 제2 코일(133)에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i2)가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F22)이 발생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구동부재(140)의 제4 코일(143)의 위쪽 부분에는 S극이 존재하므로 제4 코일(143)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i4)가 흐르는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F23)이 발생한다. 또한, 제4 코일(143)의 아래쪽 부분에는 N극이 존재하므로 제4 코일(143)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i4)가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F24)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120)의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구동력들(F21, F22, F23, F24)의 합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게 되면 구동력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제1 코일(132)에 흐르는 전류(i1)의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변경하면 구동력은 -x축 방향을 향하게 된다. 또한, 제3 코일(142)에 흐르는 전류(i3)의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변경하면 구동력은 -x축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코일(133)과 제4 코일(143)에 각각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구동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모듈(100)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시 손떨림이 일어나게 되면, 촬상 장치 내부의 손떨림 검출 수단(미도시)으로부터 손떨림이 검출된다.
손떨림 검출 수단은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로부터 측정된 손떨림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 회로기판(미도시)으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서, 손떨림 검출 수단은 상기 제어 회로기판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상기 검출된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촬상 소자(미도시)가 안착된 슬라이더 부재(120)의 필요한 이동량을 연산한다. 이때, 연산되는 이동량은 x축, y축 방향의 이동량이다.
그 다음,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상기와 같이 연산된 x축, y축 방향의 이동량을 기초로 하여, 제1 구동부재(130) 및 제2 구동부재(140)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라 이더 부재(120)를 상기 연산된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제1 슬라이더 부재(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구동부재(130)와 제2 구동부재(140)를 구동시켜, 제1축(x축)에서 직선 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1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구동부(130)와 제2 구동부재(150)를 구동함으로써, 제2축(y축)에서 직선 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 부재(12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움직임은, 움직임 측정용 자석(미도시)과 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계측되는데, 이렇게 계측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 전송되어 제1 구동부재(130) 및 제2 구동부재(140)의 제어를 위한 피드백(feedback) 신호로 사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더 부재(120)를 손떨림을 보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더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촬상 소자도 이동됨으로써, 촬영시의 손떨림의 보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은 촬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로는, 디지털 컴팩트 카메라,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영상 캠 코더, 필름식 카메라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및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의 제1, 2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2 구동부재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슬라이더 부재
130: 제1 구동부재 140: 제2 구동부재

Claims (19)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슬라이더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재와 제2 구동부재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무게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은 서로 수직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상기 제1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제1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상기 제2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제1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상기 제2 구동부재가 발생하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1 자기 발생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상에 이격되어 배 치되고,
    상기 제1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1 코일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1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2 코일에 의해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코일에 작용하는 제1 자기장과 상기 제2 코일에 작용하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자기장과 상기 제1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자기장과 상기 제2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배치되는 제2 자기 발생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3 코일;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제4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3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3 코일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 자기 발생부와 상기 제4 코일에 의해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발생부는 상기 제3 코일에 작용하는 제3 자기장과 상기 제4 코일에 작용하는 제4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4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수직인 촬상 장치 용 손떨림 보정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3 자기장과 상기 제3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에서의 구동력은 상기 제4 자기장과 상기 제4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촬상 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렌즈 또는 촬상 소자인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20080012604A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39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604A KR101398470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12/378,228 US8300105B2 (en) 2008-02-12 2009-02-12 Shake correction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604A KR101398470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265A true KR20090087265A (ko) 2009-08-17
KR101398470B1 KR101398470B1 (ko) 2014-06-27

Family

ID=4093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604A KR101398470B1 (ko) 2008-02-12 2008-02-12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00105B2 (ko)
KR (1) KR101398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77B1 (ko) * 2008-05-30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WO2010035818A1 (ja) * 2008-09-29 2010-04-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TWI461825B (zh) * 2010-08-20 2014-11-21 Hon Hai Prec Ind Co Ltd 影像穩定模組及成像裝置
KR101343197B1 (ko) * 2012-09-07 2013-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703068B2 (en) * 2013-04-19 2017-07-1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151763B1 (ko) * 2013-06-03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US10038848B2 (en) * 2016-02-23 2018-07-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US11956542B2 (en) 2019-01-04 2024-04-09 Lg Innotek Co., Ltd. Actu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optical path of a lens
KR20200085208A (ko) * 2019-01-04 2020-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6988A (en) * 1989-12-18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hake suppressing device for camera
US5822623A (en) * 1994-04-27 1998-10-13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vibration correcting function
DE19601018A1 (de) * 1995-01-27 1996-08-01 Zeiss Carl Fa Linear verstellbarer Präzisionstisch
JPH0980550A (ja) * 1995-09-13 1997-03-28 Nikon Corp 像ブレ補正装置
US5835799A (en) * 1996-07-10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prevention apparatus
JP4413299B2 (ja) 1998-12-28 2010-02-10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機構
JP3969927B2 (ja) * 2000-04-0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影装置及び観察装置
AU2003252723A1 (en) * 2002-07-30 2004-02-1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Prcision machining stage equipment
JP2004101721A (ja) 2002-09-06 2004-04-02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US7710460B2 (en) * 2004-07-21 2010-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compensating for an effect of temperature on a control system
JP4659465B2 (ja) * 2005-01-25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792844B2 (ja) * 2005-07-11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156351A (ja) * 2005-12-08 2007-06-21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CN101317445B (zh) * 2006-02-20 2011-02-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装置和摄像装置本体
WO2008012868A1 (fr) * 2006-07-25 2008-01-31 Tamron Co., Ltd. dispositif de correction d'images et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s le comportant
JP2008160947A (ja) * 2006-12-22 2008-07-10 Hoya Corp ステージ装置及び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EP2074815B1 (en) * 2007-01-05 2013-05-08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4483869B2 (ja) * 2007-02-01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TWI335487B (en) * 2007-05-17 2011-01-01 Ind Tech Res Inst Image-stabilizing driving device
US7978222B2 (en) * 2008-03-01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stabilization
US8041201B2 (en) * 2008-04-03 2011-10-18 Nokia Corporation Camera module having movab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470B1 (ko) 2014-06-27
US20090201381A1 (en) 2009-08-13
US8300105B2 (en)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70B1 (ko)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960493B1 (ko) 광학조절장치
JP5463583B2 (ja)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4899712B2 (ja) レンズ鏡筒
US8184167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magnet member
TW201351024A (zh) 位置檢測裝置
JP2008003182A (ja) ブレ量検出装置
US11165325B2 (en) Drive apparatus having drive unit using magnetic circuit
US20170285361A1 (en) Stage apparatus
JP5266091B2 (ja) 光学補正ユニット、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N102346348A (zh) 像抖动校正装置以及照相机
KR20150080367A (ko) 틸팅 방식 ois 카메라 모듈
JP2017058523A (ja) 位置検出装置
US10084963B2 (en) Stage apparatus, image projector apparatus having stage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stage apparatus
JP4874720B2 (ja) 保持機構
JP6235450B2 (ja) 手振れ補正ユニット
JP2007086808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2008152034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2017058169A (ja) 位置検出装置及び光学装置
JP2012032526A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カメラ
JP5820667B2 (ja) 光学式像振れ補正機構
JP6613567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6513928B2 (ja) 位置検出装置
KR101398473B1 (ko)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14191073A (ja) 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