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935A - 마이크로카테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935A
KR20090086935A KR1020097005128A KR20097005128A KR20090086935A KR 20090086935 A KR20090086935 A KR 20090086935A KR 1020097005128 A KR1020097005128 A KR 1020097005128A KR 20097005128 A KR20097005128 A KR 20097005128A KR 20090086935 A KR20090086935 A KR 2009008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layer
layer
inner layer
shaft tube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060B1 (ko
Inventor
마사토시 와타남베
야스츠구 호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와스미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스미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스미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025/0042Microcatheters, cannula or the like having outside diameters around 1 mm or 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2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with embedded structures, e.g. coils, braids, meshes, strands or radiopaque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서, 그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근위부 (3), 중간부 (4) 및 원위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고,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내층 (8) 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내층 (8) 의 외주에는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그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제 1 외층 (11) 이 상기 내층 (8) 과 상기 보강재 (7) 를 피복하고, 또한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내층 (8)/보강재 (7)/제 1 외층 (11) 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층 구성을 형성하고, 근위부 (3)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3 외층 (13) 으로 피복하고, 중간부 (4) 에 있어서는,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2 외층 (12) 으로 피복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마이크로카테터는 내압성이 향상되고, 항킹크성이 향상되어 있으며, 이렇게 하여 초선택적으로 미세 혈관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카테터{MICROCATHETER}
본 발명은 마이크로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 (硬度) 또는 가요성이 대체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가요성 마이크로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는, 경도가 상이한 복수의 가요성 플라스틱층 중에 편입물 (브레이드; braid) 을 매립함으로써, 카테터의 내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항킹크성 (antikinking property) 을 높인 것으로서, 이렇게 하여 초선택적으로 미세 혈관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초선택적인 혈관의 조영이나, 투약, 색전 등의 처치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마이크로카테터란, 뇌, 흉부, 복부 등의 장기의 말초 혈관 내에 항암제 등의 약제나 조영제 (造影劑) 를 주입하고, 그 진단이나 치료 등의 처치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경 0.5∼1.0㎜ 정도의 극세 튜브의 카테터이다.
가늘게 곡절 (曲折) 된 혈관로 등에 사용되는 이와 같은 마이크로카테터에는, 극세인 것에 추가하여, 굴곡된 혈관 등의 관강 (管腔) 내를,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삽입할 수 있다는 매우 높은 가요성이 요구되는 것인데, 한편, 가요성 극세 마이크로카테터는, 반경이 급한 통로 내에서 비틀리기 쉬우므로, 관강에 있어서 의 흐름을 제한하거나, 멈추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마이크로카테터를 관강 내 유로를 따라 전진시키거나, 토크를 전달시킬 때, 이와 같은 극세 구조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카테터의 전체 길이에 걸친 다양한 부위에서 튜브가 구부러지거나, 비틀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01160호 (특허 문헌 1) 에 있어서는, 그 청구항 3 및 4 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폴리에테르 코폴리머, 폴리아미드 코폴리머, 불소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측층에 의해 형성되는 일체형 튜브와, b. 비틀림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 또는 굴곡에 의한 타원화를 억제하기 위해, 나아가서는 토크 전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내측층 상에 형성된 스테인리스 강선의 브레이드와, c.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재료, 폴리에테르 및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재료로서, 일방이 70∼80D 인 쇼어 경도 (Shore hardness) 를 가지며, 타방이 25∼35D 인 쇼어 경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한 원위 단부의 쇼어 경도가 25∼35D, 중간부의 쇼어 경도가 25∼80D, 근위 단부의 쇼어 경도가 70∼80D 인 외측층을 가지며, 상기 외측층은, 서로 경도가 상이한 2 개 재료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 (調合物) 로부터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2 개 재료의 조성비가 압출 성형 중에 변경됨으로써, 상기 일체형 튜브의 경도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되고 있는 마이크로카테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 튜브의 외부 치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경도만을 변화시키므 로, 카테터의 선단 직경을 가늘게 하면, 손 주변측의 직경이 지나치게 가늘어져 수지의 경도를 단단하게 해도 튜브의 강성이 부족하다. 또 반대로 손 주변측의 직경을 굵게 하면, 카테터의 선단이 지나치게 굵어져 혈관의 선택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동일 재료 및 동일층으로 외층 튜브가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연속하여 피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드와의 밀착성이 나쁘고, 내압성, 토크성 (torque performance) 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이다.
마이크로카테터는, 선단부 (원위부라고도 한다) 를 가늘게, 기단부 (근위부라고도 한다) 를 굵게 하는 것이 설계 상의 필수 기본 구조이며, 샤프트 튜브의 외부 치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경도만을 변화시킨다는,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카테터는 실현 곤란하여 현실적으로는 제품화되어 있지 않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0681호 (특허 문헌 2) 에 있어서는, 그 청구항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층과 외층을 갖는 카테터 본체를 구비하는 카테터로서, 상기 외층은, 제 1 영역과, 제 1 영역보다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영역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보다 경도가 높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마이크로카테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마이크로카테터는, 내층을 2 층의 외층으로 피복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외층의 내층 (제 1 외층) 이 샤프트 튜브의 선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은, 즉, 샤프트 튜브의 도중에서 절단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브레이드와의 밀착성이 나쁘고, 내압성, 토크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일본 특허 제2865428호 (특허 문헌 3) 는 그 청구항 1 및 도 10 에서, 또 일본 특허 제2965940호 (특허 문헌 4) 는 그 청구항 1 및 도 7 에 각각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위단과 원위단과 당해 근위단 및 당해 원위단 사이에서 신장되는 내측 관강을 규정하는 통로를 갖는 가늘고 긴 관상 부재를 구비하는 카테터 섹션으로서 : (a) 복수의 리본으로 엮인,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유일한 강화 부재로서의 브레이드 부재로서, 당해 리본의 적어도 대부분이 초탄성 합금을 포함하고, 당해 브레이드 부재가 그 관강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신장되는 브레이드 부재, (b) 당해 브레이드 부재 내측의 적어도 1 개의 폴리머성 내측 라이닝 부재, 및 (c) 당해 브레이드 부재의 외측의 적어도 1 개의 외측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카테터 섹션을 갖는 마이크로카테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 에 기재된 마이크로카테터에 있어서는, 첨부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2 층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을 2 층의 외층으로 피복하고 있는데, 이것도 외층의 내층 (제 1 외층) 이 샤프트 튜브의 선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고, 즉, 샤프트 튜브의 도중에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외층의 외층 (제 2 외층) 이 샤프트 튜브의 선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특허 문헌 2 와 동일한 문제를 갖는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마이크로카테터에 있어서의, 그 외층 튜브와 브레이드의 밀착성이 나쁘고, 내압성, 토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카테터의 내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항킹크성을 높이고, 이렇게 하여 초선택적으로 미세 혈관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초선택적인 혈관의 조영이나, 투약, 색전 (embolus) 의 처치를 가능하게 한 마이크로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마이크로카테터가 제공된다.
1. 커넥터에 접속된 가요성 샤프트 튜브를 구비한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서, 당해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그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근위부 (3), 중간부 (4) 및 원위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고,
(ⅰ)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내층 (8) 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당해 내층 (8) 의 외주에는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제 1 외층 (11) 이 상기 내층 (8) 과 상기 보강재 (7) 를 피복하고, 또한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내층 (8)/보강재 (7)/제 1 외층 (11) 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층 구성을 형성하고,
(ⅱ)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3 외층 (13) 으로 피복하고, 또한
(ⅲ)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중간부 (4)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2 외층 (12) 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카테터 (1).
2. 커넥터에 접속된 가요성 샤프트 튜브를 구비한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서, 당해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그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근위부 (3) 와 중간부 (4) 와 원위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고,
(ⅰ) 상기 근위부 (3) 는, 내층 (8) 과 그 외주에 형성되는 고경도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또한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상기 복층의 외층 (10) 을 피복하고,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내층 (11) (제 1 외층 (11)) 과 외층 (13) (제 3 외층 (13))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11)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고, 또,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는 외층 (13) (제 3 외층 (13)) 이 피복되어 있고,
(ⅱ) 상기 중간부 (4) 는, 내층 (8) 과 중경도의 층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외층 (10') 을 피복하고,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내층 (11) (제 1 외층 (11)) 과 외층 (12) (제 2 외층 (12)) 으로 구성되고, 내층 (11) (제 1 외층 (11)) 이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고,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 외층 (12) (제 2 외층 (12)) 이 피복되어 있고,
(ⅲ) 상기 원위부 (5) 는, 내층 (8) 과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은, 외주에 보강재 (7) 를 장착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외층 (10'') 을 피복하고, 상기 외층 (10'') 은, 제 1 외층 (11) 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을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에 이를 때까지 피복하여 기본 외층 (11) 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기본 외층 (11) 은, 당해 보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기본층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카테터 (1).
3. 상기 기본 외층을 형성하는 외층 (11) 의 두께가 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마이크로카테터 (1).
도 1 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의 개략 설명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B-B'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C-C'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 은 마이크로카테터, 2 는 샤프트 튜브, 3 은 근위부, 4 는 중간부, 5 는 원위부, 6 은 선단 칩, 7 은 보강재 (브레이드), 8 은 내층, 10, 10', 10'' 는 외층, 11 은 제 1 외층 (내층), 12 는 제 2 외층 (중간층), 13 은 제 3 외층 (외층), 18 은 조영 마커, 19 는 커넥터, 20 은 커넥터 커버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샤프트 튜브의 전체적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의 개략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19) 에 접속된 가요성 샤프트 튜브 (2) 를 구비한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서, 당해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 (19) 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근위부 (기단부) (3), 중간부 (4) 및 원위부 (선단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도 4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ⅰ)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도 4) 로부터 중간부 (4) (도 3), 또한 원위부 (5) (도 2) 의 전체 구획에 걸쳐 내층 (8) 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당해 내층 (8) 의 외주에는 보강재 (7) 가 장착되어 있고, 또,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제 1 외층 (11) 이 상기 내층 (8) 과 상기 보강재 (7) 를 피복하고, 또한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체 구획에 공통되는, 내층 (8)/보강재 (7)/제 1 외층 (11) 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층 구성 (M) (여기서는 제 1 외층 (11) 이 외층 (10'') 에 상당한다) 을 형성하고, 또,
(ⅱ)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도 4)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3 외층 (13) 으로 피복한 구성 (복층의 외층 (10)) 으로 하고, 한편,
(ⅲ)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중간부 (4) (도 3)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 (M) 의 제 1 외층 (11) 을 제 2 외층 (12) 으로 피복한 구성 (복층의 외층 (10')) 으로 한 것이다.
이하, 추가로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근위부 (3))
근위부 (기단부) (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내층 (8) 과 그 외주에 형성되는 고경도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된다.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또한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상기 복층의 외층 (10) 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이라고도 한다) 과 외층 (13) (제 3 외층 (13) 이라고도 한다)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11)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고, 또,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는 외층 (13) (제 3 외층 (13)) 이 피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층 (8) 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PFE),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등의 마찰 저항이 낮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외층 (10) 을 구성하는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수지로는, 폴리에틸 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나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등급의 것으로, 보강재 (7) 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 브레이드 등과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또, 외층 (13) (제 3 외층 (13)) 의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나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등 중 비교적 단단한 등급로 내층 (11) 과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사용된다.
또, 보강재 (7) 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선 등의 금속선 (스테인리스 브레이드) (굵기 50∼30㎛ 정도의 것), 합성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카본 파이버제 편조 (編組), 리본, 코일 등이 사용된다.
(중간부)
상기 중간부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 (8) 과 중경도의 층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상기한 금속,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조 등의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는 외층 (10') 을 피복하는데,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내층 (11) (제 1 외층 (11)) 과 외층 (12) (제 2 외층 (12)) 으로 구성되고, 내층 (11) (제 1 외층 (11)) 이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고, 또,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는 외층 (12) (제 2 외층 (12) 이라고도 한다) 이 피복되는 구성이다.
외층 (12) (제 2 외층) 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 중, 비교적 부드러운 등급의 것이 사용된다.
(원위부)
상기 원위부 (선단부) (5)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층 (8) 과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은, 외주에 상기한 금속,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조 등의 보강재 (7) 를 장착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외층 (11) 을 피복하고, 이 경우의 상기 외층 (10'') 은 제 1 외층 (11) 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당해 원위부 (5) 의 최선단에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부드러운 선단 칩 (6) 이 장착되고, 선단 칩 (6) 의 후방에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플래티늄-이리듐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영 마커 (18) 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참조). 조영 마커 (18) 로는, 금속선을 마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선 (丸線) 또는 평선을 코일상으로 한 것이 사용된다.
(샤프트 튜브 (2) 의 특징)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는, 상기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을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에 이를 때까지 피복하여 기본 외층 (11) 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기본 외층 (11) 은, 당해 보 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기본층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샤프트 튜브에 있어서는, 제 1 외층 (11) 은, 공통적으로 도 1-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재 (7) 와 내층 (8) 을 샤프트 튜브 (2) 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에 이를 때까지 피복하고, 또한 밀착되어 있으므로,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층 (8)/보강재 (7)/제 1 외층 (11) 은 기본층 구성을 구성한다.
또, 중간부에 있어서의 제 2 외층 (12) 과, 기단부에 있어서의 제 3 외층 (13) 에 의해, 재료 (수지) 의 경도, 직경, 길이를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 튜브 (2) 전체로서의 경도 (유연성과 밸런스), 굽힘 강도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층 (11), 중간부의 제 2 외층 (12) 및 기단부에 있어서의 제 3 외층 (13) 의 경도의 관계는,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제 1 외층 (11)<제 2 외층 (12)<제 3 외층 (13) 의 순서로 형성해도 되고, 제 1 외층 (11)<제 2 외층 (12)=제 3 외층 (13) 또는 제 1 외층 (11)<제 2 외층 (12)>제 3 외층 (13) 과 같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선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의 구성에 공통된 제 1 외층 (11), 중간부의 제 2 외층 (12) 및 기단부에 있어서의 제 3 외층 (13) 은 경도만 상이하고, 동일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착성이 양호하다.
또한, 선단부 (원위부 (5)) 로부터 기단부 (근위부 (3)) 까지의 각 부위를 구성하는 다층 튜브의 쇼어 경도로는, 일반적으로 선단부가 20-70D, 중간부가 20- 80D, 기단부가 50-90D 정도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외층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의 쇼어 경도로는, 제 1 외층 (11) (원위부 (5)) 이 25∼55D, 제 2 외층 (12) (중간부 (4)) 이 25∼80D, 제 3 외층 (13) (근위부 (3)) 이 70∼80D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직경)
마이크로카테터에 있어서, 샤프트 튜브 (2) 의 선단부 (원위부 (5)) 의 외경은 통상적으로 2.1Fr (0.70㎜) 내지 2.3Fr (0.76㎜) 로 가늘게 형성한 것을 사용하므로, 제 1 외층 (11) 의 두께는 0.03㎜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0.03㎜ 를 초과하면 선단부 (원위부 (5)) 의 외경이 지나치게 커짐과 함께, 선단부의 유연성이 저해된다.
(튜브의 재료)
다층 튜브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대해 정리하여 나타내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커넥터 커버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제 3 외층 (13) 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된다.
또한, 각각의 튜브 (근위부 (3), 중간부 (4), 원위부 (5)) 는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튜브의 제조)
본 발명의 다층 튜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전형적으로는, 먼저 내층 (8) 의 튜브에,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선 등의 금속선 (스테인리스 브레이드) 의 편조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7) 를 피복하여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준비한다.
이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다층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압출기 또는 복수 (여기서는 3 대) 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당해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당해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압출하면서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을 형성하는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다층 피복함으로써 실시된다. 이와 같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과의 외층의 피복 형성을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내층 수지와 제 1 외층의 접착성 및 제 1 외층과 제 2 외층, 제 2 외층과 제 3 외층의 접착성 향상이 도모된다.
물론, 다층 동시 압출 성형 대신에,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당해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당해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압출하면서 그 위에 먼저 제 1 외층 (11) 을 피복 형성한 것을 성형하고, 다음으로, 제 1 외층 (11) 을 피복 형성한 보강재 피복 내층 (8) 을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압출하면서 동일하게 하여 이 위에 제 2 외층 (12) 을 피복하고, 또한 동일하게 하여 제 3 외층 (13) 을 형성하도록 축차 형성 수단에 의해 다층 피복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당해 보강재 피복 내층 (8) (7) 을 당해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압출하면서 그 위에 축차적으로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해도 된다.
(조영제 등)
또, 관강 내에 삽입한 마이크로카테터의 상태를 체외로부터 X 선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보다 적확한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 선단 칩 (6),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및 제 3 외층 (13) 에는, 조영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예를 들어 칩 선단에 조영 마커 (18) 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영제로는 공지된 것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황산바륨, 텅스텐, 플래티늄, 이리듐, 플래티늄-이리듐 합금, 금 등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선단 칩 (6) 으로부터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을 거쳐 제 3 외층 (13) 의 도중에 걸쳐, 이들의 외주에 윤활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를 필요에 따라 코팅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는 내압성을 향상시키고, 또, 항킹크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를 사용함으로써, 초선택적으로 미세 혈관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초선택적인 혈관의 조영이나, 투약, 색전 등의 처치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내층 및 외층의 경도는, 쇼어식 D 형 경도계로 측정한 쇼어 D 경도로 표시하고 있다.
[비교예 1]
(1) 마이크로카테터용 다층 튜브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튜브 (2) 를, 표 1 에 나타낸 층 구성으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내층 (8) 의 수지로서의 두께 0.015㎜, 내경 0.56㎜ 의 PE 튜브 상에, 직경 0.03㎜ 인 스테인리스선 16 개로 편조하고, 그 외표면의 피복을 실시하였다. 이 위에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다층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을 동시 다층 용융 압출 성형하였다.
제 1 외층 (11)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55D), 제 2 외층 (12)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63D), 제 3 외층 (13)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77D) 를 사용하고, 원위부 (5) 의 외경은 0.73㎜, 중간부 (4) 의 외경 0.93㎜, 근위부 (3) 의 외경 0.93㎜ 인 샤프트 튜브 (2) 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 1 외층 (11) 의 수지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원위부 (5) 만의 피복으로 하였다.
(2) 이 샤프트 튜브를 파워 인젝터에 접속하고, 생리 식염액을 주입할 때, 주입 가능한 최대 압력과 유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정 주입 속도 10㎖/sec, 설정 주입량 10㎖ 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1) 마이크로카테터용 다층 튜브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튜브 (2) 를, 표 1 에 나타낸 층 구성으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내층 (8) 의 수지로서의 두께 0.015㎜, 내경 0.56㎜ 의 PE 튜브 상에, 직경 0.03㎜ 인 스테인리스선 16 개로 편조하고, 그 외표면의 피복을 실시하였다. 이 위에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다층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을 동시 다층 용융 압출 성형하였다.
제 1 외층 (11)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55D), 제 2 외층 (12)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63D), 제 3 외층 (13)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77D) 를 사용하고, 원위부 (5) 의 외경은 0.73㎜, 중간부 (4) 의 외경 0.93㎜, 근위부 (3) 의 외경 0.93㎜ 인 샤프트 튜브 (2) 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 1 외층 (11) 수지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까지 피복하였다.
(2) 이 샤프트 튜브를 파워 인젝터에 접속하고, 생리 식염액을 주입할 때, 주입 가능한 최대 압력과 유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정 주입 속도 10㎖/sec, 설정 주입량 10㎖ 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2]
(1) 마이크로카테터용 다층 튜브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튜브 (2) 를, 표 1 에 나타낸 층 구성으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내층 (8) 의 수지로서의 두께 0.006㎜, 내경 0.56㎜ 의 PTFE 튜브 상에, 직경 0.03㎜ 인 스테인리스선 16 개로 편조하고, 그 외표면의 피복을 실시하였다. 이 위에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다층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을 동시 다층 용융 압출 성형하였다.
제 1 외층 (11)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35D), 제 2 외층 (12)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63D), 제 3 외층 (13) 의 수지는 나일론 12 (경도 77D) 를 사용하고, 원위부 (5) 의 외경은 0.73㎜, 중간부 (4) 의 외경 0.85㎜, 근위부 (3) 의 외경 0.93㎜ 인 샤프트 튜브 (2) 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 1 외층 (11) 수지는 원위부 (5) 만의 피복으로 하였다.
(2) 이 샤프트 튜브를 파워 인젝터에 접속하고, 생리 식염액을 주입할 때, 주입 가능한 최대 압력과 유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정 주입 속도 10㎖/sec, 설정 주입량 10㎖ 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1) 마이크로카테터용 다층 튜브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튜브 (2) 를, 표 1 에 나타낸 층 구성으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내층 (8) 의 수지로서의 두께 0.006㎜, 내경 0.56㎜ 의 PTFE 튜브 상에, 직경 0.03㎜ 인 스테인리스선 16 개로 편조하고, 그 외표면의 피복을 실시하였다. 이 위에 고리형 다이를 구비한 다층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 1 외층 (11), 제 2 외층 (12), 제 3 외층 (13) 을 동시 다층 용융 압출 성형하였다.
제 1 외층 (11)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35D), 제 2 외층 (12) 의 수지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경도 63D), 제 3 외층 (13) 의 수지는 나일론 12 (경도 77D) 를 사용하고, 원위부 (5) 의 외경은 0.73㎜, 중간부 (4) 의 외경 0.85㎜, 근위부 (3) 의 외경 0.93㎜ 인 샤프트 튜브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 1 외층 (11) 수지는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까지 피복하였 다.
(2) 이 샤프트 튜브를 파워 인젝터에 접속하고, 생리 식염액을 주입할 때, 주입 가능한 최대 압력 Pmax (psi(lb/in2)) 와 당해 압력에 있어서의 유량 FRmax (㎖/sec) 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정 주입 속도 10㎖/sec, 설정 주입량 10㎖ 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14994910-PCT00001
Figure 112009014994910-PCT00002
(결과의 고찰)
표 2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외층 (11) 수지를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까지 피복한 실시예 1-2 의 마이크로카테터 튜브에 있어서는, 보강재 (브레이드) (7) 와 외층의 밀착성이 전체 영역에 있어서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주입 압력은 1200psi 로서, 높은 내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 1 외층 수지 (11) 를 원위부 (5) 에만 피복한 비교예 1-2 의 튜브에 있어서는, 불과 100psi 에서 누출이 발생했다. 이것은 보강재 (브레이드) (7) 와 외층의 밀착성이 나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카테터는 내압성이 향상되고, 항킹크성이 향상되어 있으며, 이렇게 하여 초선택적으로 미세 혈관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져 초선택적인 혈관의 조영이나, 투약, 색전의 처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매우 큰 것이다.

Claims (3)

  1. 커넥터에 접속된 가요성 샤프트 튜브를 구비한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서, 당해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그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근위부 (3), 중간부 (4) 및 원위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고,
    (ⅰ)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내층 (8) 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당해 내층 (8) 의 외주에는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의 전체 구획에 걸쳐 제 1 외층 (11) 이 상기 내층 (8) 과 상기 보강재 (7) 를 피복하고, 또한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내층 (8)/보강재 (7)/제 1 외층 (11) 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층 구성을 형성하고,
    (ⅱ)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3 외층 (13) 으로 피복하고, 또한
    (ⅲ) 당해 샤프트 튜브 (2) 의 중간부 (4) 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층 구성의 제 1 외층 (11) 을 제 2 외층 (12) 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카테터 (1).
  2. 커넥터에 접속된 가요성 샤프트 튜브를 구비한 마이크로카테터 (1) 에 있어 서, 당해 샤프트 튜브 (2) 가 당해 커넥터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해 그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근위부 (3) 와 중간부 (4) 와 원위부 (5) 로 구획되고, 각각이 경도가 상이한 3 종류의 다층 튜브로 형성되고,
    (ⅰ) 상기 근위부 (3) 는, 내층 (8) 과 그 외주에 형성되는 고경도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또한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상기 복층의 외층 (10) 을 피복하고,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내층 (11) (제 1 외층 (11)) 과 외층 (13) (제 3 외층 (13))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11)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고, 또,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는 외층 (13) (제 3 외층 (13)) 이 피복되어 있고,
    (ⅱ) 상기 중간부 (4) 는, 내층 (8) 과 중경도의 층의 복층의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에는, 그 외주에 보강재 (7) 가 장착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외층 (10') 을 피복하고, 당해 복층의 외층 (10') 은 내층 (11) (제 1 외층 (11)) 과 외층 (12) (제 2 외층 (12)) 으로 구성되고, 내층 (11) (제 1 외층 (11)) 이 상기 보강재 (7) 의 외주에 피복되고, 당해 내층 (11) (제 1 외층 (11)) 의 외주에 외층 (12) (제 2 외층 (12)) 이 피복되어 있고,
    (ⅲ) 상기 원위부 (5) 는, 내층 (8) 과 외층 (1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 (8) 은, 외주에 보강재 (7) 를 장착하고, 당해 보강재 (7) 의 외주에 외층 (10'') 을 피복하고, 상기 외층 (10'') 은, 제 1 외층 (11) 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 1 외층 (11) 은, 상기 보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을 샤프트 튜브 (2) 의 근위부 (3) 로부터 원위부 (5) 에 이를 때까지 피복하여 기본 외층 (11) 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기본 외층 (11) 은, 당해 보강재 (7) 와 상기 내층 (8) 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기본층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카테터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외층을 형성하는 외층 (11) 의 두께가 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카테터 (1).
KR1020097005128A 2006-09-13 2006-09-13 마이크로카테터 KR101121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8547 WO2008032412A1 (fr) 2006-09-13 2006-09-13 Microcathé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935A true KR20090086935A (ko) 2009-08-14
KR101121060B1 KR101121060B1 (ko) 2012-03-16

Family

ID=3918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128A KR101121060B1 (ko) 2006-09-13 2006-09-13 마이크로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7041B2 (ko)
EP (1) EP2062609B1 (ko)
JP (1) JP5225848B2 (ko)
KR (1) KR101121060B1 (ko)
CN (1) CN101553271B (ko)
WO (1) WO2008032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4730B2 (en) 2005-04-12 2014-10-21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Silicone rubber male external catheter with absorbent and adhesive
US20110130820A1 (en) * 2009-12-01 2011-06-02 Altura Medical, Inc. Modular endograf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10238041A1 (en) * 2010-03-24 2011-09-29 Chestnut Medical Technologies, Inc. Variable flexibility catheter
US9707375B2 (en) 2011-03-14 2017-07-18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a subsidiary of C. R. Bard, Inc. Catheter grip and method
US10228683B2 (en) 2011-12-21 2019-03-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gulating, or controlling fluid flow
US9746093B2 (en) 2011-12-21 2017-08-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Flow meter and related system and apparatus
US9072624B2 (en) 2012-02-23 2015-07-07 Covidien Lp Luminal stenting
EP2682151A1 (fr) * 2012-07-06 2014-01-08 Sorin CRM SAS Microcathéter implantable dans des réseaux veineux, artériels ou lymphatiques
US10092728B2 (en) 2012-11-20 2018-10-09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a subsidiary of C.R. Bard, Inc. Sheath for securing urinary catheter
US9872969B2 (en) 2012-11-20 2018-01-23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a subsidiary of C.R. Bard, Inc. Catheter in bag without additional packaging
US9759343B2 (en) 2012-12-21 2017-09-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Flow meter using a dynamic background image
US9592142B2 (en) 2013-02-15 2017-03-1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nner catheter arrangement for a self-expanding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JP6149431B2 (ja) * 2013-03-08 2017-06-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用機器、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用機器の製造方法
US9192499B2 (en) 2013-03-11 2015-11-2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nner catheter for a self-expanding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with a closed coil wire
WO2014199519A1 (ja) * 2013-06-14 2014-12-18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使用方法
US9827126B2 (en) 2013-08-27 2017-11-28 Covidien Lp Delivery of medical devices
US9782186B2 (en) 2013-08-27 2017-10-10 Covidien Lp Vascular intervention system
JP6623216B2 (ja) 2014-08-26 2019-12-18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C R Bard Incorporated 尿道カテーテル
US10463386B2 (en) 2015-09-01 2019-11-05 Mivi Neuroscience, Inc. Thrombectomy devices and treat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with thrombus engagement
EP4335471A2 (en) * 2016-01-28 2024-03-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for monitoring, regulating, or controlling fluid flow
USD854145S1 (en) 2016-05-25 2019-07-1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to control fluid flow through a tube
CN110191667B (zh) 2016-08-18 2022-06-03 海王星医疗公司 用于增强小肠视觉效果的装置和方法
US10376396B2 (en) 2017-01-19 2019-08-13 Covidien Lp Coupling units for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s
JP2018121952A (ja) * 2017-02-02 2018-08-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層チューブ
CN109200341A (zh) * 2017-06-30 2019-01-15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复合管材、球囊扩张导管及其制备方法
MX2020002752A (es) 2017-09-19 2020-07-20 Bard Inc C R Dispositivo puente de cateter urinario, sistemas y metodos de estos.
US11413176B2 (en) 2018-04-12 2022-08-16 Covidien Lp Medical device delivery
US10786377B2 (en) 2018-04-12 2020-09-29 Covidien Lp Medical device delivery
US11123209B2 (en) 2018-04-12 2021-09-21 Covidien Lp Medical device delivery
US11071637B2 (en) 2018-04-12 2021-07-27 Covidien Lp Medical device delivery
JP2022515796A (ja) * 2018-12-19 2022-02-22 深▲セン▼市▲業▼聚▲實▼▲業▼有限公司 新型マイクロカテーテル
US11413174B2 (en) 2019-06-26 2022-08-16 Covidien Lp Core assembly for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s
USD964563S1 (en) 2019-07-26 2022-09-2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flow clamp
US11944558B2 (en) 2021-08-05 2024-04-02 Covidien Lp Medical devic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216456448U (zh) * 2021-09-26 2022-05-10 惠州海卓科赛医疗有限公司 一种医用管
WO2024030975A2 (en) * 2022-08-02 2024-02-08 Neptune Medical Inc. Dynamic rigidiz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423A (ja) 1982-04-28 1983-11-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5254107A (en) * 1991-03-06 1993-10-19 Cordis Corporation Catheter having extended braid reinforced transitional tip
US5358493A (en) * 1993-02-18 1994-10-25 Scimed Life Systems, Inc. Vascular access catheter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NL9301642A (nl) * 1993-09-22 1995-04-18 Cordis Europ Microcatheter.
JP3573800B2 (ja) * 1994-08-24 2004-10-0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6015819A1 (en) * 1994-11-23 1996-05-30 Navarre Biomedical, Ltd. Flexible catheter
US5662622A (en) 1995-04-04 1997-09-02 Cordis Corporation Intravascular catheter
ATE189964T1 (de) 1995-04-28 2000-03-15 Target Therapeutics Inc Hochleistungskatheter mit geflochtenem element
US5782811A (en) 1996-05-30 1998-07-21 Target Therapeutics, Inc. Kink-resistant braided catheter with distal side holes
US6355027B1 (en) * 1999-06-09 2002-03-12 Possis Medical, Inc. Flexible microcatheter
US6203534B1 (en) * 1999-08-10 2001-03-20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protective covering
JP2001190681A (ja) 2000-01-12 2001-07-17 Terumo Corp カテーテル
JP3915862B2 (ja) * 2000-02-09 2007-05-1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20020156460A1 (en) * 2001-04-20 2002-10-24 Scimed Life Systems, Inc Microcatheter with improved distal tip and transitions
US6635047B2 (en) * 2001-08-06 2003-10-21 Scimed Life Systems, Inc. Integrated polymer and braid for intravascular catheters
JP2007229452A (ja) * 2006-02-03 2007-09-13 Ist Corp 医療用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5848B2 (ja) 2013-07-03
EP2062609A4 (en) 2009-12-30
US9067041B2 (en) 2015-06-30
CN101553271B (zh) 2012-08-29
CN101553271A (zh) 2009-10-07
EP2062609B1 (en) 2011-06-29
EP2062609A1 (en) 2009-05-27
JPWO2008032412A1 (ja) 2010-01-21
US20100036363A1 (en) 2010-02-11
KR101121060B1 (ko) 2012-03-16
WO2008032412A1 (fr)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60B1 (ko) 마이크로카테터
US5951539A (en) Optimized high performance multiple coil spiral-wound vascular catheter
US5895378A (en) Flow-directed catheter having multiple tapers and radio-opaque markers
EP1019130B1 (en) Peripheral vascular delivery catheter
US6524299B1 (en) Flow-directed catheter
US5891114A (en) Soft-tip high performance braided catheter
US4596563A (en) Thin-walled multi-layered catheter having a fuseless tip
CA2206367C (en) Kink-resistant braided catheter with distal side holes
KR101861866B1 (ko) 의료용 튜브 및 그의 제조 방법
CA2452570C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multi-layered tip
US20030191451A1 (en) Reinforced catheter system
EP1509273B1 (en) Radiopaque and mri compatible catheter braid
US10695531B2 (en) Balloon catheter and medical elongated body
US20040054349A1 (en) Reinforced catheter and methods of making
JPWO2008056625A1 (ja) 医療用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4837302B2 (ja) マイクロカテーテル
JP5037030B2 (ja) 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6076855B2 (ja) マイクロ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器具
JP2007089847A (ja) マイクロ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86519A1 (en) Reinforced catheter system
JP3136848U (ja) マイクロカテーテル
JP2006181258A (ja) マイクロ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