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304A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Google Patents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304A
KR20090086304A KR1020087019076A KR20087019076A KR20090086304A KR 20090086304 A KR20090086304 A KR 20090086304A KR 1020087019076 A KR1020087019076 A KR 1020087019076A KR 20087019076 A KR20087019076 A KR 20087019076A KR 20090086304 A KR20090086304 A KR 2009008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ixels
interface
display body
cen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779B1 (ko
Inventor
도시끼 도다
아끼라 나가노
신고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244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63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4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387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6Measure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the matrix material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09Diffraction gratings with pitch less than or comparable to the wave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B42D2035/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한다. 표시체(10)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된 제1 계면부(12a)와, 그들 홈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각각이 순테이퍼 형상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계면부(12b)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체, 제1 계면부, 제2 계면부, 광 투과층, 반사층

Description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DISPLAY AND LABELED ARTICLE}
본 발명은,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캐쉬 카드, 크레딧 카드 및 패스포드 등의 인증 물품과 상품권 및 주권 등의 유가 증권에는, 위조가 곤란한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그와 같은 물품에는, 그 위조를 억지하기 위해, 위조 또는 모조가 곤란함과 함께, 위조품이나 모조품의 구별이 용이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증 물품 및 유가 증권 이외의 물품에 대해서도, 위조품의 유통이 문제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물품에, 인증 물품 및 유가 증권에 관하여 전술한 위조 방지 기술을 적용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2-72320호 공보에는, 복수의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표시체에서, 각 화소는 복수의 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표시체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인쇄 기술이나 전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위조 등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표시체를 진위 판정용의 라벨로서 물품에 부착하면, 이 라벨이 표시하는 화상을 보고 그 물품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라벨을 부착한 물품은, 이 라벨이 부착 되어 있지 않은 물품과 비교하여 위조되기 어렵다.
그러나, 상기 릴리프형 회절 격자는 레이저 등의 장치가 있으면,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체는 조명광의 입사각, 관찰 각도 또는 표시체의 방위를 변화시킴으로써 표시 화상의 변화를 발생시키지만, 그 변화는 다양성이 풍부한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의 발전에 수반하여, 이 표시체의 위조 방지 효과는 저하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위조 또는 모조가 곤란한 것, 위조품이나 모조품의 구별이 용이한 것을 위조 방지 효과라고 부른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된 제1 계면부와, 상기 복수의 홈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각각이 순테이퍼 형상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계면부를 구비한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된 제1 계면부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각각이 포함한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일부와 다른 일부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의 홈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미만인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표시체와 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체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1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 계면부가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2 계면부가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표시면을 구성한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표시체의 XⅧ-X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9A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의 일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B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의 다른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표시면을 구성한 표시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을 물품에 지지시켜 이루어지는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마찬가지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체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표시체(10)는 광 투과층(11)과 반사층(13)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광 투과층(11)측을 전면측으로 하고, 또한 반사층(13)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있다. 광 투과층(11)과 반사층(13)의 계면은, 제1 계면부(12a)와 제2 계면부(12b)와 제3 계면부(12c)를 포함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계면부(12a)에는 복수의 홈이, 제2 계면부(12b)에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광 투과층(1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면, 원판을 이용한 전사에 의해, 한쪽의 주면에 복수의 홈 및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광 투과층(1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13)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및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반사층(13)으로서, 광 투과성(11)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을 사용하여도 된다. 혹은, 반사층(13)으로 서, 인접하는 것끼리의 굴절률이 상이한 유전체층의 적층체, 즉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하여도 된다. 단, 유전체 다층막이 포함하는 유전체층 중 광 투과층(11)과 접촉하고 있지만 굴절률은, 광 투과층(11)의 굴절률과는 상이할 필요가 있다.
광 투과층(11) 및 반사층(13)의 한쪽은, 생략할 수 있다. 단, 표시체(10)가 광 투과층(11) 및 반사층(13)의 쌍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들의 한쪽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계면의 손상을 발생시키기 어려워, 표시체(10)에 시인성이 보다 우수한 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계면부는 그 구조에 유래하여 가시광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반사층(13)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제2 계면부와 그 이외의 차가 현저해진다. 또한, 반사층(13)이 존재하는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포시킴으로써, 이 반사층의 분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이 반사층이 존재하는 영역의 윤곽을 이용하여, 무늬를 표현할 수도 있다.
이 표시체(10)는 반사층(13)을 피복한 접착층(15)을 더 포함하고 있다. 표시체(10)가 광 투과층(11)과 반사층(13)의 쌍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반사층(13)의 표면의 형상은 광 투과층(11)과 반사층(13)의 계면의 형상은 거의 동등하다. 접착층(15)을 형성하면, 반사층(13)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계면의 복수의 홈 및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복제는 곤란하다. 광 투과층(11)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또한 반사층(13)측을 전면측으로 하는 경우, 접착층(15)은 광 투과층(11) 위에 형성한다. 이 경우, 광 투과층(11)과 반사층(13)의 계면이 아니라, 반사층(13)과 외계의 계면이 제1 계면부(12a)와 제2 계면부(12b)와 제3 계면부(12c)를 포함한다. 또한, 접착층(15)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1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 계면부(12a)에는, 복수의 홈(14a)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홈(14a)의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면 0.5㎛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홈(14a)의 깊이는, 예를 들면 0.05㎛ 내지 1㎛의 범위 내에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0.3㎛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용어 「회절 격자」는, 자연광 등의 조명광을 조사함으로써 회절파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의미하고, 복수의 홈(14a)을 평행 또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통상의 회절 격자 외에, 홀로그램에 기록된 간섭 줄무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홈(14a) 또는 홈(14a)에 끼워진 부분을 「격자선」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2 계면부(12b)에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홈(14a)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깊이 또는 높이는, 통상은 홈(14a)의 깊이보다도 크고, 전형적으로는 0.3㎛ 내지 0.5㎛의 범위 내에 있다.
제3 계면부(12c)는 평탄면이다. 제3 계면부(12c)는, 생략할 수 있다.
이 표시체(10)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가 형성된 제2 계면부(12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회절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홈(14a)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이 표시체(10)는 회절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홈(14a)과 비교하여, 보다 미세한 구조를 제2 계면부(12b)에 포함하고 있다.
완성된 표시체(10)로부터, 그와 같은 미세 구조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리고, 예를 들면 완성된 표시체(10)로부터 상기 미세 구조를 해석할 수 있었다고 하여도, 이 미세 구조를 포함한 표시체의 위조 또는 모조는 어렵다. 회절 격자의 경우, 레이저광 등을 이용한 광학적 복제 방법에 의해 간섭 줄무늬로 하여 구조가 카피되는 경우가 있지만, 제2 계면부(12b)의 미세 구조는 복제 불가능하다.
또한, 이 표시체(10)는, 매우 특수한 시각 효과를 갖고 있다. 즉, 제1 계면부(12a)는 파장 분산을 수반하는 회절광을 발생시켜, 시점 위치에 의해 7색으로 컬러 시프트하여 보이고, 회절 격자가 형성된 통상의 계면으로서 인식된다. 또한, 반사층(13)으로서 금속층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3 계면부(12c)와 마찬가지로, 제1 계면부(12a)에서도, 회절광이 관찰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금속 광택을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2 계면부(12b)는, 전형적으로는 마치 회절 격자의 일부와 중합하도록 형성된 흑색 인쇄층과 같이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위조 또는 모조를 시도하는 자는, 제2 계면부(12b)에 상기미세 구조가 존재하고 있는 것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표시체(10)를 위조 방지용의 라벨로서 사용하면,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 표시체(10)의 시각 효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계면부(12a)에 기인한 시각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회절 격자를 조명하면, 회절 격자는 입사광인 조명광의 진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방향으로 강한 회절광을 사출한다.
m차 회절광의 사출각 β는, 회절 격자의 격자선에 수직한 면 내에서 광이 진행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m=0, ±1, ±2, …).
Figure 112008055765381-PCT00001
이 수학식 1에서, d는 회절 격자의 격자 상수를 나타내고, λ는 입사광 및 회절광의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α는 0차 회절광, 즉 투과광 또는 정반사광의 사출각을 나타내고 있다. 바꿔 말하면, α의 절대값은, 조명광의 입사각과 동등하며, 입사각과는 Z축에 대해 대칭한 관계이다(반사형 회절 격자의 경우). 또한, α 및 β는 Z축으로부터 시계 방향의 방향을 정방향으로 한다.
가장 대표적인 회절광은, 1차 회절광이다. 수학식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1차 회절광의 사출각 β는, 파장 λ에 따라서 변화한다. 즉, 회절 격자는, 분광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조명광이 백색광인 경우, 회절 격자의 격자선에 수직한 면 내에서 관찰 각도를 변화시키면,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이 변화한다.
또한, 임의의 관찰 조건을 기초로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은, 격자 상수 d에 따라서 변화한다.
일례로서, 회절 격자는, 그 법선 방향으로 1차 회절광을 사출하는 것으로 한다. 즉, 1차 회절광의 사출각 β는 0°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관찰자는, 이 1차 회절광을 지각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의 0차 회절광의 사출각을 αN으로 하면,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2로 간략화할 수 있다.
Figure 112008055765381-PCT00002
수학식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관찰자에게 특정한 색을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그 색에 대응한 파장 λ와 조명광의 입사각 |αN|과 격자 상수 d를, 그들이 수학식 2에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파장이 400㎚ 내지 70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광 성분을 포함한 백색광을 조명광으로서 사용하고, 조명광의 입사각 |αN|을 45°로 한다. 그리고, 공간 주파수(격자 상수의 역수)가 1000개/㎜ 내지 1800개/㎜의 범위 내에서 분포되어 있는 회절 격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회절 격자를 그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하면, 공간 주파수가 약 1600개/㎜인 부분은 파랗게 보이고, 공간 주파수가 약 1100개/㎜인 부분은 빨갛게 보인다.
또한, 회절 격자는 공간 주파수가 작은 쪽이 형성되기 쉽다. 그 때문에, 통상의 표시체에서는, 회절 격자의 대다수는 공간 주파수가 500개/㎜ 내지 1600개/㎜인 회절 격자이다.
이와 같이, 임의의 관찰 조건을 기초로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은, 회절 격자 의 격자 상수 d(또는 공간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관찰 조건으로부터 관찰 각도를 변화시키면,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은 변화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광이 격자선에 수직한 면 내에서 진행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회절 격자면의 법선을 축으로 하여 격자선의 방위를 바꾸면, 기준으로 하는 상태에 대한 격자선의 각도(이하, 방위 각도)에 따라서, 일정한 관찰 방향에 대한 격자 상수 d의 실효값이 변화한다. 그 결과,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이 변화한다. 반대로 말하면, 격자선의 방위만이 서로 다른 복수의 회절 격자를 배치한 경우, 그들 회절 격자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방위 각도가 충분히 커지면, 일정한 관찰 방향으로부터는 회절광을 인식할 수 없게 되어, 회절 격자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인다. 이를 이용하여, 격자선의 방위가 크게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회절 격자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격자선의 방위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각각 독립한 상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홈(14a)의 깊이를 크게 하면, 회절 효율이 변화한다(조명광의 파장 등에도 의존). 그리고, 나중에 설명하는 화소에 대한 회절 격자의 면적비를 크게 하면, 회절광의 강도는 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1 계면부(12a)가 복수의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그들 화소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홈(14a)의 공간 주파수 및/또는 방위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면, 그들 화소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시킬 수 있고, 또한 관찰 가능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계면부(12a)를 구성하고 있는 화소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홈(14a)의 깊이 및/또는 화소에 대한 회절 격자의 면적비 중 적어 도 하나를 서로 다르게 하면, 그들 화소의 휘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1 계면부(12a)에, 풀컬러상 및 입체상 등의 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상」은, 색 및/또는 휘도의 공간적 분포로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은, 사진, 도형, 그림, 문자, 기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2 계면부(12b)에 기인한 시각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계면부가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계면부가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참조 부호 31a 및 31b는 조명광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32a 및 32b는 정반사광 또는 0차 회절광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33a 및 33b는 1차 회절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계면부(12b)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홈(14a)의 최소 중심간 거리, 즉 회절 격자의 격자 상수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가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제2 계면부(12b)가 회절광(33b)을 사출하였다고 하여도, 관찰자는 회절광(33b)과, 이들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제1 계면부(12a)로부터의 회절광(33a)을 동시에 지각하는 일은 없다. 특히, 회절 격자의 격자 상수와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의 차가 충분히 크면, 파장의 여하에 관계없이, 관찰자는 제1 계면부(12a)로부터의 회절광(33a)과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 광(33b)을 동시에 지각할 수 없다. 단, 수학식 1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차의 회절광(|m|≥2)이 발생하는 경우, 제1 계면부(12a)로부터의 고차의 회절광(33a)을 시인 가능한 관찰 각도 범위에서,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33b)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순테이퍼 형상에서는, 임의의 각도로부터 관찰하여도, 제2 계면부(12b)의 정반사광의 반사율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체(10)를 그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제2 계면부(12b)는 제1 계면부(12a)와 비교하여 보다 어둡게 보인다. 그리고, 이 경우, 전형적으로는 제2 계면부(12b)는 흑색으로 보인다. 또한, 여기서, 「흑색」은, 예를 들면 표시체(10)에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정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하였을 때에, 파장이 400㎚ 내지 70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광 성분에 대해서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2 계면부(12b)는 마치 회절 격자의 일부와 겹치도록 형성된 흑색 인쇄층과 같이 보인다.
또한,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1차 회절광(33b)의 사출각이 -90°보다 크면, 표시체(10)의 법선 방향과 관찰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관찰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1차 회절광(33b)을 지각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경우 제2 계면부(12b)가 흑색 인쇄층과는 상이한 것을,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는, 예 를 들면 200㎚내지 350㎚의 범위 내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계면부(12b)는 청색에 대응한 파장을 갖는 회절광이 관찰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계면부(12a)가 적색에 대응한 파장을 갖는 회절광을 사출한 경우에는, 양자의 대조에 의해, 표시체(10)가 진정품인 것의 확인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제2 계면부(12b)가 복수의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그들 화소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 중 적어도 1개를 서로 다르게 하면, 나중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그들 화소의 반사율 등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이용함으로써, 제2 계면부(12b)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체(10)에서, 제1 계면부(12a)와 제2 계면부(12b)는 동일면 내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홈(14a)과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에 대응한 오목 구조 및/또는 1매의 원판에 형성하고, 이 오목 구조 및/또는 볼록 구조를 광 투과층(11)에 전사함으로써, 홈(14a)과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판에 오목 구조 및/또는 볼록 구조를 고정밀도로 형성해 두면, 제1 계면부(12a)와 제2 계면부(12b)의 위치 어긋남의 문제가 생길 수 없다. 또한, 미세한 요철 구조 및 고정밀도의 특징은 고정세한 상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다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것과의 구별을 용이하게 한다. 진정품이 매우 고정밀도로 안정되어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사실은, 위조품이나 모조품의 구별을 한층 용이하게 한다.
표시체(10)에 표시시키는 상은,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표시면을 구성한 제1 양태에 따른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표시체(10)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35개의 화소 PX11 내지 PX17, PX21 내지 PX27, PX31 내지 PX37, PX41 내지 PX47 및 PX51 내지 PX57로 표시면을 구성하고 있다(+의 자리가 X방향, -의 자리가 Y방향에 대응). 화소 PX11 내지 PX17, PX21, PX27, PX31, PX37, PX41, PX47 및 PX51 내지 PX57은, 제1 계면부(12a)를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22 내지 PX24, PX26, PX32, PX34, PX36 및 PX42 내지 PX46은,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25, PX33 및 PX35는, 제3 계면부(12c)를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11 및 PX12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13 내지 PX1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16, PX17, PX53, PX56 및 PX57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21, PX37, PX51, PX52 및 PX5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27 및 PX41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31, PX47 및 PX54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화소 PX11 및 PX12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13 내지 PX15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16, PX17, PX53, PX56 및 PX57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21, PX37, PX51, PX52 및 PX55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27 및 PX41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31, PX47 및 PX54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는, 회절 격자의 구조가 상이하다. 일례로서, 도 7에서는, 그들 화소군 사이 에서, 회절 격자의 방위 각도만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화소 PX22 내지 PX24, PX26, PX32, PX34, PX36 및 PX42 내지 PX46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화소 PX25, PX33 및 PX3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는, 8종의 화소로 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8종의 화소의 각각의 시각 효과를 알고 있으면, 그들의 재배열에 의해 얻어지는 상의 예상은 용이하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 화소에 채용할 구조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체(10)에 표시시키는 상을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구성하면, 표시체(10)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는 8종의 화소로 상을 형성하고 있지만, 상을 형성하는 화소의 종류는 2이상이면 된다. 화소의 종류를 많게 하면, 보다 복잡한 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는 35개의 화소로 상을 구성하고 있지만, 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수는 2이상이면 된다. 화소의 수를 많게 하면, 보다 고정세한 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는, 제1 계면부(12a)를 회절 격자의 방위 각도만이 서로 다른 6종의 화소로 구성하고 있지만, 제1 계면부(12a)는 회절 격자의 구조가 서로 다른 복수종의 화소로 구성하여도 된다. 즉, 제1 계면부(12a)는 홈(14a)의 공간 주파수, 방위 각도 및 깊이와 화소에 대한 회절 격자의 면적비 중 적어도 1개가 서로 다른 복수종의 화소로 구성하여도 된다. 혹은, 제1 계면 부(12a)는 1종의 화소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는, 제2 계면부(12b)를 1종의 화소로 구성하고 있지만, 제2 계면부(12b)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 중 적어도 1개가 서로 다른 복수종의 화소로 구성하여도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배열은 정방 격자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는, 전자선 묘화 장치나 스텝퍼 등의 미세 가공 장치를 이용한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 등의 고정밀도의 제어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도 8의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따라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길게 설정한 경우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계면부(12b)가 흑색 인쇄층과는 상이한 것을,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짧게 설정한 경우, 예를 들면 200㎚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찰되는 색에 관해서는, 제2 계면부(12b)가 흑색 인쇄층과는 상이한 것을 알기 어려워진다.
도 8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X방향과 Y방향에서 동등하게 하고 있지만, 도 9 및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는 X방향과 Y방향에서 서로 다르게 하여도 된다.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배열은, 사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X방향 및 Y방향의 쌍방에서 비교적 길게 설정하면, Y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와 X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의 쌍방에서 제2 계면부(12b)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고, 또한 전자와 후자에서 회절광의 파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X방향 및 Y방향의 쌍방에서 비교적 짧게 설정하면, 조명 방향에 관계없이,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X방향 및 Y방향의 한쪽에서 비교적 길게 설정하고, 다른 쪽에서 비교적 짧게 설정 하면, Y방향 및 X방향의 한쪽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키고, Y방향 및 X방향의 다른 쪽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배열은 삼각 격자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8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길게 설정하면, 제2 계면부(12b)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짧게 설정하면,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적절히 설정하면, 예를 들면 A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하였을 때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하고, B방향 및 C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하였을 때에는 제2 계면부(12b)로부터 회절광을 사출할 수 있다. 즉,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도 12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불규칙하게 배치한 경우, 제2 계면부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이 더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구조는, 예를 들면 광의 간섭을 이용하여 스펙클의 강도 분포를 기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 외에 크기가 불균일하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10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 계면부에서의 회절광의 사출이 더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8 내지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배치 패턴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배치 패턴은, 거기에 고유의 시각 효과 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배치 패턴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화소로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면,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모두,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원추 형상을 갖고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원추 형상으로 하는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선단이 뾰족하여도 되고, 절두 원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단,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선단이 뾰족한 원추 형상으로 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제2 계면부(12b)에 평행한 면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절두 원추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 계면부(12b)의 정반사광의 반사율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사각추 형상을 갖고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삼각추 형상 등의 사각추 형상 이외의 각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특정 조건에서 발생하는 회절광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어, 관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각추 형상으로 하는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선단이 뾰족하여도 되고, 절두 각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단,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선단이 뾰족한 각추 형상으로 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제2 계면부(12b)에 평행한 면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절두 각추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 계면부(12b)의 정반사광의 반사율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반방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선단이 둥글게 된 원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4 또는 도 14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판에의 볼록 구조 및/또는 오목 구조의 형성이나 원판으로부터 광 투과층(11)에의 볼록 구조 및/또는 오목 구조의 전사가 보다 용이하다.
도 16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저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사각주를 그 저면적이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겹쳐 쌓은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사각주 대신에, 원주나 삼각주 등의 사각주 이외의 주상체를 겹쳐 쌓아도 된다.
도 16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4,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일수록, 제2 계면부(12b)의 정반사광의 반사율을 작게 할 수는 없다. 단, 도 16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15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4 또는 도 14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판에의 볼록 구조 및/또는 오목 구조의 형성이나 원판으로부터 광 투과층(11)에의 볼록 구조 및/또는 오목 구조의 전사가 보다 용이하다.
이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형상은, 제2 계면부(12b)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화소로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면, 제2 계면부(12b)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2 계면부(12b)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작게 하면, 보다 어둡게 보이게 된다. 특히,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를 400㎚ 이하로 하면, 상기 수학식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시광 파장인 400㎚ 내지 700㎚의 범위 내의 모든 파장에 대해, 조명광의 입사각에 관계없이, 제2 계면부(12b)가 법선 방향으로 회절광을 사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의 화소로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면, 제2 계면부(12b)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2 계면부(12b)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깊이 또는 높이를 크게 하면, 보다 어둡게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깊이 또는 높이를, 그들의 중심간 거리의 1/2 이상으로 하면, 제2 계면부(12b)는 매우 어둡게 보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깊이 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화소로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면, 제2 계면부(12b)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2 계면부(12b)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제2 계면부(12b)에 평행한 한방향에 대한 치수와 이 방향에 대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의 비를 1:1로 비슷하게, 보다 어둡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제2 계면부(12b)에 평행한 한 방향에 대한 치수와 이 방향에 대한 간격을 동등하게 한 경우, 제2 계면부(12b)는 가장 어둡게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비가 서로 다른 복수의 화소로 제2 계면부(12b)를 구성하면, 제2 계면부(12b)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제1 계면부(12a)와 제2 계면부(12b)를 동일면에 배치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그들을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광 투과층을 적층하고, 그들 사이에 제1 반사층을 개재시킴과 함께, 제2 광 투과층의 표면을 제2 반사층으로 피복한다. 제1 반사층으로서 금속층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반사층은, 제1 광 투과층측으로부터 제2 반사층이 보이도록 패터닝해 둔다. 그리고, 제1 광 투과층과 제1 반사층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계면부(12a) 및 제2 계면부(12b)의 한쪽으로 하고, 제2 광 투과층과 제2 반사층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계면부(12a) 및 제2 계면부(12b)의 다른 쪽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한 경우도,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의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표시체의 XⅧ-X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10)는, 제2 계면부(12b)가 2개의 영역(12b1 및 12b2)을 포함하고 있는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표시체(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9A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의 일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l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의 제2 계면부의 다른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영역(12b1 및 12b2)의 각각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2 계면부(12b)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영역(12b1 및 12b2)의 각각은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를 포함하고, 이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영역(12b1과 12b2)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가 상이하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예에서는, 영 역(12b2)은 영역(12b1)과 비교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각각에 대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가 보다 크다.
또한, 이들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영역(12b1 및 12b2)의 각각에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는 서로 직교하는 X방향과 Y방향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영역(12b1 및 12b2)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 즉 격자 상수가 서로 다르다. 그 때문에,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그들 영역(12b1 및 12b2)을 서로 다른 색으로서 관찰시키거나, 그들이 사출하는 회절광(32b)을 관찰 가능한 각도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계면부(12b)가 표시하는 상을 컬러상으로 하는 것이나, 제2 계면부(12b)가 표시하는 상을 관찰 방향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10)에서, 예를 들면 복수의 홈(14a)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이상으로 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미만으로 한다. 영역(12b1 및 12b2)은, 그들이 사출하는 회절광이 관찰되지 않는 관찰 조건에서는 흑색의 영역으로서 인식되고, 이 관찰 조건의 바탕으로서는 제1 계면부(12a)는 예를 들면 1차 회절광에 기인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12b1 및 12b2)은, 그들이 사출하는 회절광이 관찰되는 관찰 조건에서는 서로 다른 색의 영역으로서 인식되고, 이 관찰 조건의 바탕으로서는, 제1 계면부(12a)가 사출하는 1차 회절광은 표시에 기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체(10)를 그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제1 계면부(12a)에 회절광에 의한 색을 표시시킴과 함께 제2 계면부(12b)에 흑색을 표시시키고, 표시체(10)를 크게 기울여 관찰하였을 때에 제2 계면부(12b)에만 다색의 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표시체(10)는 제2 계면부(12b)에 전술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것을 알아채기 어려워, 제2 계면부(12b)에 다색의 상, 예를 들면 풀컬러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어, 이 풀컬러상의 식별이 제1 계면부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계면부의 고차 회절광과 제2 계면부의 1차 회절광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영역(12b1) 및 영역(12b2)의 반사율 등을 거의 동등하게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표시체(10)를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그들이 관찰자에게 주는 색 감각을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영역(12b1 및 12b2)을 인접시킴으로써,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영역(12b1 및 12b2)의 각각에서, 제1 배열 방향에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와, 그것과는 상이한 제2 배열 방향에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의 중심간 거리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면 영역(12b1 및 12b2)이 X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출하는 파장 λ의 1차 회절광과, Y방향으로 사출하는 파장 λ의 1차 회절광에서, 사출각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X방향에 수직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영역(12b1 또는 12b2)이 표시하는 색과, 관찰 방향과 표시체(10)의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표시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관찰 방향과 Y방향을 수직으로 하였을 때에 영역(12b1 또는 12b2)이 표시하는 색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역(12b1 및 12b2) 사이에서 표시색의 교체를 발생시키는 것, 또는 영역(12b1 및 12b2)에 서로 다른 색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전자의 시각 효과는, 영역(12b1)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와 영역(12b2)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14b)에, 방위 각도가 90° 상이한 것 이외는 마찬가지의 사각형 격자 형상 배열을 채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관찰자에게도 색의 변화가 이해하기 쉬워,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로 표시면을 구성한 제2 양태에 따른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표시체(10)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42개의 화소 PX11 내지 PX17, PX21 내지 PX27, PX31 내지 PX37, PX41 내지 PX47, PX51 내지 PX57 및 PX61 내지 PX67로 표시면을 구성하고 있다(+의 자리가 X방향, -의 자리가 Y방향에 대응). 화소 PX11 내지 PX17, PX21, PX27, PX31, PX37, PX41, PX47, PX51, PX57 및 PX61 내지 PX67은, 제1 계면부(12a)를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22 내지 PX24, PX26, PX32, PX34, PX36 및 PX42 내지 PX46은, 제2 계면부(12b)의 제1 영역(12b1)을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52 내지 PX56은, 제2 계면부(12b)의 제2 영역(12b2)을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25, PX33 및 PX35는, 제3 계면부(12c)를 구성하고 있다.
화소 PX11 및 PX12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13 내지 PX1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16, PX17, PX63, PX66 및 PX67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21, PX37, PX61, PX62 및 PX6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27, PX41 및 PX51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화소 PX31, PX47, PX57 및 PX64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화소 PX11 및 PX12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13 내지 PX15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16, PX17, PX63, PX66 및 PX67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21, PX37, PX61, PX62 및 PX65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27, PX41 및 PX51로 이루어지는 화소군과, 화소 PX31, PX47, PX57 및 PX64로 이루어지는 화소군은 회절 격자의 구조가 서로 다르다. 일례로서, 도 20에서는, 그들 화소군 사이에서 회절 격자의 방위 각도만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화소 PX22 내지 PX24, PX26, PX32, PX34, PX36 및 PX42 내지 PX46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화소 PX52 내지 PX56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화소 PX25, PX33 및 PX35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표시체(10)에 대해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이 구성을 채용하면,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 대해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표시체(10)에는, 도 7에 도시한 표시체(10)에 대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표시체(10)는, 예를 들면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시체(10)는 위조 또는 모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 라벨을 물품에 지 지시킨 경우, 진정품인 이 라벨 부착 물품의 위조 또는 모조도 곤란하다. 또한, 이 라벨은 전술한 시각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진정품인지가 불명한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하는 것도 용이하다.
도 21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을 물품에 지지시켜 이루어지는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에는,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로서, 인쇄물(1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인쇄물(100)은 자기 카드로서, 기재(51)를 포함하고 있다. 기재(5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기재(51) 상에는 인쇄층(52)과 띠 형상의 자기 기록층(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51)에는 표시체(10)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로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체(10)는 표시하고 있는 상이 상이한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100)의 위조 또는 모조는 곤란하다. 또한,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진정품인지가 불명한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하는 것도 용이하다. 게다가,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 외에, 인쇄층(52)을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층(52)을 보는 방법과 표시체를 보는 방법을 대비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인쇄물(100)이 인쇄층(52)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진정품인지가 불명한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도 21에는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로서 자기 카드를 예시하고 있지만,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무선 카드, IC(integrated circuit) 카드, ID(identification) 카드 등의 다른 카드이어도 된다. 혹은,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상품권 및 주권 등의 유가 증권이어도 된다. 혹은,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진정품인 것이 확인될 물품에 부착될 태그이어도 된다. 혹은,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진정품인 것이 확인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는 포장체 또는 그 일부이어도 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인쇄물(100)에서는, 표시체(10)를 기재(51)에 접착하고 있지만, 표시체(10)는 다른 방법으로 기재에 지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로서 종이를 사용한 경우, 표시체(10)를 종이에 넣고, 표시체(10)에 대응한 위치에서 종이를 개구시켜도 된다.
또한, 라벨 부착 물품은 인쇄물이 아니어도 된다. 즉, 인쇄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물품에 표시체(10)를 지지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체(10)는 미술품 등의 고급품에 지지시켜도 된다.
표시체(10)는 위조 방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체(10)는 완구, 학습 교재 또는 장식품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된 제1 계면부와, 상기 복수의 홈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중심간 거리에서 2차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각각이 순테이퍼 형상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계면부를 구비한 표시체.
  2.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형 회절 격자가 형성된 제1 계면부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각각이 포함한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일부와 다른 일부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르며, 상기 복수의 홈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는 가시광의 최단 파장 미만인 표시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면부는 복수의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부는 복수의 제1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화소는, 상기 복수의 홈의 공간 주파수, 방위 각도 및 깊이 및 상기 제1 화소에 대한 상기 회절 격자의 면적비 중 적어도 1개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면부는 복수의 제2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 중 적어도 1개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소를 포함한 표시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형상이 서로 동등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열은 정방 격자 또는 사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형상이 서로 동등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배열은 삼각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표시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표시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각각은, 각추, 원추, 또는 반방추 형상을 갖고 있는 표시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는 400㎚ 이하인 표시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는 200㎚ 내지 350㎚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깊이 또는 높이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의 1/2 이상인 표시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제2 계면부에 평행한 일방향에 대한 치수와 이 방향에 대한 중심간 거리가 동등한 표시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쪽의 주면이 상기 제1 및 제2 계면부를 포함한 광 투과층과, 상기 광 투과층의 상기 주면을 피복한 반사층을 구비한 표시체.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면부는,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각각이 포함한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특정한 배열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와 상기 특정한 배열 방향과는 다른 배열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한 표시체.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면부는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각각이 포함한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와의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은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각 행에서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는 일정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각 열에서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도 일정한 표시체.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특정한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상기 특정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 표시체.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각각은, 순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는 표시체.
  18. 제1항 또는 제2항의 표시체와 이를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라벨 부착 물품.
KR1020087019076A 2006-10-24 2007-10-16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KR10136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8842A JP4961944B2 (ja) 2006-10-24 2006-10-24 表示体及び印刷物
JPJP-P-2006-00288842 2006-10-24
JP2007204651A JP5303879B2 (ja) 2007-08-06 2007-08-06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JP-P-2007-00204651 2007-08-06
PCT/JP2007/070182 WO2008050641A1 (en) 2006-10-24 2007-10-16 Display body and labeled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304A true KR20090086304A (ko) 2009-08-12
KR101363779B1 KR101363779B1 (ko) 2014-02-14

Family

ID=3932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076A KR101363779B1 (ko) 2006-10-24 2007-10-16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957761B2 (ko)
EP (2) EP2077459B1 (ko)
JP (1) JP4961944B2 (ko)
KR (1) KR101363779B1 (ko)
CN (1) CN101379419B (ko)
BR (1) BRPI0717621B1 (ko)
CA (1) CA2636488C (ko)
WO (1) WO2008050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1944B2 (ja) 2006-10-24 2012-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印刷物
CN101688933B (zh) * 2007-09-28 2012-01-11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标签物品
JP5515244B2 (ja) * 2008-07-04 2014-06-1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38177B2 (ja) * 2008-07-31 2013-11-13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EP3236299B1 (en) * 2008-09-05 2024-07-03 Viavi Solutions Inc. An optical device exhibiting color shift upon rotation
JP2010197798A (ja) * 2009-02-26 2010-09-09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機能を有する光学素子及びそれを具備する偽造防止表示体
JP5434144B2 (ja) * 2009-03-03 2014-03-05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1002491A (ja) * 2009-06-16 2011-01-06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EP2444826B1 (en) 2009-06-18 2019-05-22 Toppan Printing Co., Ltd.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9037629B4 (de) * 2009-08-14 2012-12-06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Pixeliertes, diffraktives optisches Element mit zwei Höhenstufen zur Erzeugung einer Phasenverteilung mit beliebigem Phasenhub
CN102666124B (zh) * 2009-11-27 2015-04-29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有显示体的物品
CN102770787B (zh) * 2009-12-01 2015-09-16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标签的物品
US9429911B2 (en) * 2010-04-22 2016-08-30 U-Nica Technology Ag Object produced by a molding process and marked by a diffraction grat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FR2959830B1 (fr) * 2010-05-07 2013-05-17 Hologram Ind Composant optique d'authentific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composant
JP2012093464A (ja) * 2010-10-26 2012-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示体
EP2447744B1 (en) * 2010-11-01 2021-03-31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Pixelated optical filt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EP2447743B1 (en) * 2010-11-01 2016-10-26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Isotropic optic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5707909B2 (ja) * 2010-12-06 2015-04-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微粒子の製造方法
JP5742361B2 (ja) * 2011-03-25 2015-07-0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JP5834466B2 (ja) * 2011-04-25 2015-12-24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JP5790174B2 (ja) * 2011-06-07 2015-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
CN102903298B (zh) * 2011-07-25 2015-08-05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具有表面微浮雕结构的金属镀层防伪膜
JP6089387B2 (ja) * 2011-10-03 2017-03-08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6382483B2 (ja) * 2011-10-12 2018-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記録媒体
EP2594149A1 (en) 2011-11-18 2013-05-22 Fabrica Nacional De Moneda Y Timbre - Real Casa De La Moneda Object comprising a region of its surface suitable for showing a plurality of images
JP2013120259A (ja) * 2011-12-07 2013-06-17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転写箔、及び表示体付き物品
EP2635006B1 (en) * 2012-03-02 2018-12-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JP2013205640A (ja) * 2012-03-28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CA2871414C (en) 2012-04-25 2019-05-14 Toppan Printing Co., Ltd. Hologram transfer foil, fabrication method of image display element, image display element, and personal authentication medium
DE102012105444A1 (de) 2012-06-22 2013-12-24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mit diffraktiver Struktur
DE102012105571B4 (de) * 2012-06-26 2017-03-09 Ovd Kinegram Ag Dekorelement sowie Sicherheitsdokument mit einem Dekorelement
JP6003450B2 (ja) * 2012-09-20 2016-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BR112015013390A2 (pt) 2012-12-10 2017-07-11 Orell Fuessli Sicherheitsdruck Ag documento de segurança com recurso de segurança
CN103963510B (zh) * 2013-01-29 2015-12-23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光学防伪元件的方法
KR102219805B1 (ko) 2013-03-12 2021-02-24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체
JP2014191337A (ja) * 2013-03-28 2014-10-06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および物品
ES2773494T3 (es) 2013-05-10 2020-07-13 Nanotech Security Corp Optica difractiva de matrices de nanoestructuras para pantallas en color RGB
DE102013105246B4 (de) * 2013-05-22 2017-03-23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Optisch variables Element
JP6413297B2 (ja) * 2013-06-05 2018-10-3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印刷物
JP6394917B2 (ja) * 2013-06-10 2018-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複数画像表示体
US20160202401A1 (en) * 2013-09-02 2016-07-14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A nanostructured surface for grey scale colouring
CN104647936B (zh) * 2013-11-22 2018-05-04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防伪元件及使用该光学防伪元件的光学防伪产品
CN107111022B (zh) * 2015-01-08 2020-05-12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物品
JP6520359B2 (ja) * 2015-04-30 2019-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物品、原版、および、原版の製造方法
JPWO2016194385A1 (ja) 2015-06-02 2018-06-0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00048A1 (en) * 2015-06-29 2017-01-05 Demax - Holograms Ad Optical variable element
JP6676951B2 (ja) * 2015-07-15 2020-04-08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WO2017010548A1 (ja) * 2015-07-15 2017-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EP3572852B1 (en) 2015-10-19 2020-12-09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article with display, and method of observing display
WO2017073611A1 (ja) 2015-10-26 2017-05-04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EP3401712B1 (en) 2016-01-07 2020-02-26 Toppan Printing Co., Ltd. Optical element and article equipped with optical element
CN106959544B (zh) * 2016-01-08 2020-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液晶显示器及其制备工艺
CN105737879A (zh) * 2016-03-01 2016-07-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带有台阶高度的微米级光栅校准样片
WO2017204168A1 (ja) * 2016-05-23 2017-11-30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
JP6705310B2 (ja) * 2016-07-01 2020-06-03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
JP2016212439A (ja) * 2016-08-25 2016-12-15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DE102017003281A1 (de) 2017-04-04 2018-10-04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icherheitselement mit Reliefstruktur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CN111880256B (zh) 2017-09-29 2022-03-0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构着色的物品以及制造和使用结构着色的物品的方法
EP3819684A4 (en) * 2018-07-05 2021-08-25 Toppan Printing Co., Ltd. OPTICAL STRUCTURE
JP7318666B2 (ja) 2019-01-07 2023-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ラベル付き印刷物
CN114008493A (zh) 2019-06-26 2022-02-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构着色的物品以及用于制造和使用结构着色的物品的方法
EP3963376A1 (en) 2019-07-26 2022-03-09 Nike Innovate C.V.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WO2021080913A1 (en) * 2019-10-21 2021-04-29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20210370713A1 (en) 2020-05-29 2021-12-02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11241062B1 (en) 2020-08-07 2022-02-0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structural-color concealing layer
US11889894B2 (en) 2020-08-07 2024-02-06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concealing layer
US11129444B1 (en) 2020-08-07 2021-09-2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concealing lay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9433A5 (de) * 1982-10-04 1987-01-30 Landis & Gyr Ag Dokument mit einem beugungsoptischen sicherheitselement.
US4737448A (en) * 1986-03-31 1988-04-12 Xerox Corporation Color images formed by multiple diffraction gratings
JPH0812285B2 (ja) 1988-09-07 1996-02-07 凸版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パターン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とその作製方法
GB9019784D0 (en) * 1990-09-10 1990-10-24 Amblehurst Ltd Security device
DE4036637A1 (de) * 1990-11-16 1992-05-21 Gao Ges Automation Org Wertpapi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0704066B1 (en) * 1993-05-25 2001-10-1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ultiple image diffractive device
US5784200A (en) 1993-05-27 1998-07-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fraction grating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he same
TW265421B (ko) * 1993-11-23 1995-12-11 Commw Scient Ind Res Org
JP3547828B2 (ja) * 1994-07-06 2004-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記録媒体の作成方法および作成装置
DE4431532A1 (de) 1994-09-03 1996-03-07 Kurz Leonhard Fa Rasterbild und Thermotransferfolie zu dessen Herstellung
DE4436192C1 (de) 1994-10-11 1996-03-21 Kurz Leonhard Fa Struktu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Sicherheitselement
JP3764181B2 (ja) * 1994-10-21 2006-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回折格子を用いた絵柄体の製造方法
JP3491467B2 (ja) * 1996-10-25 2004-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光拡散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806077D0 (en) * 1998-03-20 1998-05-20 Rue De Int Ltd Latent image structure
US6324004B1 (en) * 1999-01-21 2001-11-27 Ovd Kingegram Ag Planar patterns with superimposed diffraction gratings
JP4502445B2 (ja) * 2000-03-16 2010-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GB0016358D0 (en) * 2000-07-03 2000-08-23 Optaglio Ltd Optical device
DE10054503B4 (de) * 2000-11-03 2005-02-03 Ovd Kinegram Ag Lichtbeugende binäre Gitterstruktur und Sicherheitselement mit einer solchen Gitterstruktur
DE10127979C1 (de) 2001-06-08 2002-11-07 Ovd Kinegram Ag Zu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DE10127980C1 (de) * 2001-06-08 2003-01-16 Ovd Kinegram Ag Zu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DE10150293B4 (de) 2001-10-12 2005-05-12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DE10216561B4 (de) * 2002-04-05 2010-01-07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mit Makrostrukturen
JP3702445B2 (ja) * 2002-07-30 2005-10-05 学校法人慶應義塾 光学素子及びその光学素子を用いた装置
DE10308327A1 (de) * 2003-02-26 2004-09-09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DE10328759B4 (de) 2003-06-25 2006-11-30 Ovd Kinegram Ag Optisches Sicherheitselement und System zur Visualisierung von versteckten Informationen
DE10333469A1 (de) * 2003-07-22 2005-02-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S6980654B2 (en) * 2003-09-05 2005-12-27 Graphic Security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article
DE102004016596B4 (de) 2004-04-03 2006-07-27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in Form eines mehrschichtigen Folienkörper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elements
CN100515802C (zh) * 2004-06-08 2009-07-22 中国印钞造币总公司 用多面隐形雕刻技术制造硬币的工艺方法
JP2006038928A (ja) * 2004-07-22 2006-02-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無反射周期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42136B4 (de) 2004-08-30 2006-11-09 Ovd Kinegram Ag Metallisiertes Sicherheitselement
US20060056028A1 (en) * 2004-09-13 2006-03-16 Wildnauer Kenneth R Apodized diffraction grating with improved dynamic range
CA2564764C (en) * 2005-10-25 2014-05-13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optical structures with enhanced security feature
EP1855127A1 (en) * 2006-05-12 2007-11-14 Rolic AG Optically effective surface relief micro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m
JP4961944B2 (ja) 2006-10-24 2012-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印刷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6488A1 (en) 2008-05-02
US10350838B2 (en) 2019-07-16
EP3299854B1 (en) 2019-12-25
US20180257320A1 (en) 2018-09-13
BRPI0717621B1 (pt) 2023-12-19
CN101379419B (zh) 2011-12-21
WO2008050641A1 (en) 2008-05-02
EP3299854A1 (en) 2018-03-28
US20080272883A1 (en) 2008-11-06
JP2008107470A (ja) 2008-05-08
EP2077459B1 (en) 2020-05-13
US10843419B2 (en) 2020-11-24
EP2077459A4 (en) 2012-10-31
JP4961944B2 (ja) 2012-06-27
EP2077459A1 (en) 2009-07-08
KR101363779B1 (ko) 2014-02-14
US8957761B2 (en) 2015-02-17
US20150124323A1 (en) 2015-05-07
CA2636488C (en) 2015-07-07
BRPI0717621A2 (pt) 2013-10-22
CN101379419A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779B1 (ko)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JP5303879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KR101188477B1 (ko)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EP2157458B1 (en) Display and information-printed matter
JP5338177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272434B2 (ja) 表示体
JP54341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4998405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KR20170102512A (ko) 표시체 및 물품
JP2012123102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5152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673007B2 (ja) 表示体、転写箔、及び表示体付き物品
JP2013120259A (ja) 表示体、転写箔、及び表示体付き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