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467A -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 Google Patents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467A
KR20090082467A KR1020097011785A KR20097011785A KR20090082467A KR 20090082467 A KR20090082467 A KR 20090082467A KR 1020097011785 A KR1020097011785 A KR 1020097011785A KR 20097011785 A KR20097011785 A KR 20097011785A KR 20090082467 A KR20090082467 A KR 2009008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oxy
carbamoyl
oxy
prolineamide
isoquinol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 신
브라이언 리 베너블스
리-치앙 순
싱-위엔 시트
얀 첸
파울 마이클 스콜라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9008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4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1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27Tripeptides containing heteroatoms different from O, S, or 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HCV를 억제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34458579-PCT00572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항-HCV 활성, NS3 프로테아제

Description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2006년 11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0/865,034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에 의해 코딩되는 NS3 프로테아제 (본원에서는 또한 "세린 프로테아제"로 지칭함)의 기능을 억제하는 화합물,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HCV는 전 세계적으로 1억 7천만 명의 사람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제1형에 의해 감염된 숫자의 대략 5배-이 감염된 것으로 추산되는 주요 인간 병원체이다. 이러한 HCV에 감염된 개체들 중 상당 부분에서 간경변 및 간세포 암종을 포함하는 심각한 진행성 간 질환이 발병한다.
현재, 가장 효과적인 HCV 치료법은 환자의 40%에서 지속적 효능을 이끌어내는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 임상 결과는 페길화된 알파-인터페론이 비변형된 알파-인터페론보다 단일요법으로서 더 우월하다 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러나, 페길화된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실험적 치료 계획으로도, 상당 부분의 환자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따라서, HCV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분명하고도 절실한 필요성이 있다.
HCV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 및 5' 비-번역 영역에서의 광범위한 유사성의 비교에 기초하여, HCV는 플라비비리대 과에서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 플라비비리대 과의 모든 구성원은 단일의 연속된 오픈 리딩 프레임의 번역을 통해 모든 공지된 바이러스-특이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양성 가닥 RNA 게놈을 포함하는 외피 비리온을 갖는다.
HCV 게놈 전체에 걸쳐 뉴클레오티드 및 코딩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이종성이 발견된다. 6종의 주요 유전자형이 특징화되었고, 50종 이상의 아형이 기술되었다. HCV의 주요 유전자형은 세계적으로 그 분포가 상이하며, HCV의 유전적 이종성의 임상적 중요도는 병인학 및 요법상 유전자형의 가능한 효과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파악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단일 가닥 HCV RNA 게놈은 대략 9500개 뉴클레오티드의 길이이고, 약 3000개의 아미노산의 단일한 대형 다중단백질을 코딩하는 단일 오픈 리딩 프레임 (ORF)을 갖는다. 감염된 세포에서, 이 다중단백질은 다수 부위에서 세포성 및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어 구조적 및 비-구조적 (NS) 단백질을 생성한다. HCV의 경우에, 성숙한 비-구조적 단백질 (NS2, NS3, NS4A, NS4B, NS5A 및 NS5B)의 발생은 2종의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제1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 는 NS2-NS3 접합부에서 절단하고; 제2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는 NS3의 N-말단 영역에 포함된 세린 프로테아제이고, NS3-NS4A 절단 부위에서는 시스로, 나머지 NS4A- NS4B, NS4B-NS5A, NS5A-NS5B 부위에 대해서는 트랜스로, NS3의 하류에 있는 이후의 모든 절단을 매개한다. NS4A 단백질은 NS3 프로테아제에 대한 보조-인자로 작용하고, 아마도 NS3 및 다른 바이러스성 레플리카제 성분의 막 국지화를 보조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NS4A와 NS3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은 모든 부위에서의 단백질분해 절단을 증진시키므로 효과적인 다중단백질 가공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NS3 단백질은 또한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파타제 및 RNA 헬리카제 활성을 나타낸다. NS5B는 HCV 복제에 연관되어 있는 RNA-의존성 RNA 폴리머라아제이다.
본 개시내용은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펩티드 화합물을, 예를 들어, NS4A 프로테아제와의 조합물로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개시내용은 HCV NS3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본 개시내용에 따른 화합물을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또는 2종의 추가 화합물과 함께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조합물 요법의 투여를 기술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1
식 중,
m은 1, 2 또는 3이고;
R1은 히드록시 및 -NHSO2R6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은 알킬,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NRaRb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킬, 시클로알킬 및 (시클로알킬)알킬의 시클로알킬 부분은 알케닐,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 아릴알킬, 아릴카르보닐, 시아노,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알킬,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NReRf)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수소,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은 할로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알케닐,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알킬, 알킬, 아릴알킬, 카르복시알킬,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시 클릴)알킬, 히드록시알킬, (NRcRd)알킬 및 (NReRf)카르보닐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알킬술파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 카르복시, 시아노,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시클릴,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알킬, (NRcRd)알콕시, (NReRf)카르보닐 및 (NReRf)술포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 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a 및 Rb는 수소, 알콕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시클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a 및 Rb는 그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알킬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아릴, 아릴알킬의 아릴 부분 및 헤테로시클릴은 알콕시, 알킬 및 할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제1 측면의 제1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1이 -NHSO2R6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2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m은 1 또는 2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알킬,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NRaRb로부터 선택되고, 이 중 알킬, 시클로알킬 및 (시클로알킬)알킬의 시클로알킬 부분은 알케닐,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 아릴알킬, 아릴 카르보닐, 시아노,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알킬,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NReRf)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은 할로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알킬술파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 카르복시, 시아노,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시클릴,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알킬, (NRcRd)알콕시, (NReRf)카르보닐 및 (NReRf)술포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a 및 Rb는 수소, 알콕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시클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a 및 Rb는 그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알킬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아릴, 아릴알킬의 아릴 부분 및 헤테로시클릴은 알콕시, 알킬 및 할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3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6이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및 -NRaRb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4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m은 1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비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R2는 알케닐이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아릴 및 -NRcRd로부터 독 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5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m은 1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비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R2는 알케닐이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 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페닐이되; 단,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아릴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6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m은 1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비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R2는 알케닐이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1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이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아릴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2 측면의 제1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2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인터페론 또는 리바비린이다. 제2 측면의 제3 실시양태에서, 인터페론은 인터페론 알파 2B,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구성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된다.
제2 측면의 제4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및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헬퍼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증진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스 RNA, 이미퀴모드 (Imiqimod),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 측면의 제5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및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진입, HCV 조립,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및 IMPDH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측면의 제1 실시양태에서, 그 방법은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보다 전에,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제2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인터페론 또는 리바비린이다. 제3 측면의 제4 실시양태에서, 인터페론은 인터페론 알파 2B,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구성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된다.
제3 측면의 제5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보다 전에,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헬퍼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증진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 스 RNA, 이미퀴모드,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부터 선택된다.
제3 측면의 제6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보다 전에,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은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진입, HCV 조립,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및 IMPDH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항-HCV 활성을 갖는 1, 2, 3, 4 또는 5종의 추가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4 측면의 제1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HCV 활성을 갖는 3 또는 4종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2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HCV 활성을 갖는 1 또는 2종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항-HCV 활성을 갖는 1, 2, 3, 4 또는 5종의 추가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보다 전에,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측면의 제1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항-HCV 활성을 갖는 3 또는 4종의 추가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2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항-HCV 활성을 갖는 1 또는 2종의 추가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본원에 공개된 실시양태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 및 실시양태가 본원에 제공된 기재내용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본 개시내용의 기재사항은 화학 결합의 법칙 및 원리에 적합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서, 임의의 주어진 위치에 임의의 치환체를 수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약제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게 안정한 화합물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분자 내 특정 위치에서의 임의의 치환기 또는 변수의 정의는 그 분자 내의 다른 위치에서의 그의 정의로부터 독립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n이 2일 때, 2개의 R5 기 각각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여 본 개시내용이 우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대로, 다음 용어들은 하기 명시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단수 형태 (a, an and the)는 문맥상 분명하게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의 모든 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릴 기는 그들의 각각의 정의에 기술된 대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릴알킬 기의 아릴 부분은 용어 '아릴'의 정의에 기술된 대로 치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임의의 특정 기에서의 탄소 원자의 수는 기의 상술 전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용어 "C1 -2 알킬"은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를 표시한다. 이러한 지시가 있는 경우, 이는 본원에 포함된 모든 다른 정의를 대체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케닐"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2 내지 6개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콕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알콕시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알콕시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알콕시카르보닐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로부터 파생된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술파닐"은 황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릴"은 페닐 기 또는 하나의 고리가, 또는 두 고리가 모두 페닐 기인 바이시클릭 융합된 고리계를 지칭한다. 바이시클릭 융합된 고리계는 4원 내지 6원의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카르보시클릭 고리에 융합된 페닐 기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아릴 기는 그 기 내의 임의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될 수 있다. 아릴 기의 대표적인 예는,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인다닐, 인데닐, 나프틸, 페닐 및 테트라히드로나프틸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아릴 기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카르보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4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릴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아릴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릴카르보닐"은 카르보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아릴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카르보닐"은 -C(O)-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카르복시"는 -CO2H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카르복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카르복시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아노"는 -CN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아노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시아노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케닐"은 3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 및 0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계를 지칭한다. 시클로알케닐 기의 대표적인 예는,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클로헥세닐, 옥타히드로나프탈레닐 및 노르보르닐레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은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0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 탄화수소 고리계를 지칭한다. 시클로알킬 기의 대표적인 예는,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및 시클로펜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알킬"은 1, 2 또는 3개의 시클로알킬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시클로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F, Cl, Br 및 I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할로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알킬"은 1, 2, 3 또는 4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원, 6원 또는 7원의 고리를 지칭한다. 5원의 고리는 0 내지 2개의 이중 결합을 갖고, 6원 및 7원의 고리는 0 내지 3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다. 용어 "헤테로시클릴"은 또한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4원 내지 6원의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카르보시클릭 고리, 또는 또 다른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기에 융합된 바이시클릭 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헤테로시클릴 기는 기 내의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될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 기의 예는,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벤조티에닐, 퓨릴,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모르폴리닐, 옥사졸릴,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피롤리디닐, 피롤로피리디닐, 피롤릴, 티아졸릴, 티에닐 및 티오모르폴리닐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헤테로시클릴 기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카르보 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4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시클릴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시클릴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히드록시"는 -OH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히드록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히드록시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니트로"는 -NO2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aRb"는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2개의 기, Ra 및 Rb를 지칭한다. Ra 및 Rb는 수소, 알콕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시클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a 및 Rb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5원 또는 6원의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cRd"는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2개의 기, Rc 및 Rd를 지칭한다.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및 알킬카르보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cRd)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NRcRd)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cRd)알킬"은 1, 2 또는 3개의 -NRcRd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cRd)카르보닐"은 카르보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NRcRd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eRf"는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2개의 기, Re 및 Rf를 지칭한다.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eRf)카르보닐"은 카르보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NReRf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eRf)카르보닐알킬"은 알킬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NReRf)카르보닐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ReRf)술포닐"은 술포닐 기를 통해 모 분자 잔기에 부착된 -NReRf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옥소"는 =O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술포닐"은 -SO2-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전구 약물"은 혈액 중 가수분해에 의해 생체 내에서 모 화합물로 빠르게 변환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전구 약물은 모 분자 상의 히드록시 기의 에스테르, 모 분자 상의 카르복시 기의 에스테르 및 모 분자 상의 아민의 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은 정상적인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이점/위험성의 비율에 상응하도록,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성 반응 또는 다른 문제점이나 합병증 없이 환자의 조직과 접촉하는 용도에 적합하고, 그의 의도된 용도에 효과적인, 수용성 또는 유용성 또는 분산성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염 또는 쯔비터 이온 형태를 나타낸다. 염은 화합물의 최종 단리 및 정제 중 제조할 수 있거나 적합한 염기성 관능기를 적합한 산과 반응시켜 별도로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산 부가염은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시트레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바이술페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술포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시틸렌술포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나프틸렌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옥살레이트, 팔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3-페닐프로피오 네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글루타메이트, 바이카보네이트, 파라-톨루엔술포네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가염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산의 예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및 인산과 같은 무기산 및 옥살산, 말레산, 숙신산 및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산을 포함한다.
염기성 부가염은 산성 기를 적합한 염기와, 예컨대 금속 양이온의 히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보네이트와, 또는 암모니아 또는 1차, 2차 또는 3차 유기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의 최종 단리 및 정제 중에 제조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의 양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비독성 4차 아민 양이온, 예컨대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모르폴린, 디시클로헥실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N-디벤질페네틸아민 및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한다. 염기 부가염의 형성에 유용한 다른 대표적인 유기 아민은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리딘 및 피페라진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HCV 활성"은 그 화합물이 HCV 바이러스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용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등가의 표현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유사하게, 중간체에 대한 언급은 문맥상 허용되는 한 그의 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용어 "환자"는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 모두를 포함한다.
용어 "제약 조성물"은 투여 방법 및 제형의 특성에 따라, 1종 이상의 추가 제약 담체, 즉, 보조제, 부형제 또는 비히클, 예컨대 희석제, 보존제, 충전재, 흐름 조절제, 붕해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감미제, 풍미제, 가향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윤활제 및 분배제와 조합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9)]에 열거된 구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어구 "제약상 허용가능한"은 정상적인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위험/이점의 비율에 상응하도록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성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환자의 조직과 접촉하는 용도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제형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에 대한 의미 있는 이점, 예를 들어, 바이러스 부하에서의 지속적인 감소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각각의 활성 성분의 총량을 지칭한다. 단독으로 투여되는 개별 활성 성분에 적용될 때, 상기 용어는 그 활성 성분 단독의 양을 지칭한다. 조합물에 적용될 때, 이 용어는 조합하여 투여되거나, 순차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동시에 투여되거나 하는 것에 상관없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성분의 합한 양을 지칭한다.
용어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i) 질환, 장애 및/또는 상태의 소인이 있으나, 아직 걸린 것으로 진단되지는 않은 환자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 (ii)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억제하는 것, 즉, 그의 진행을 저지하는 것; 및/또는 (iii)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경감시키는 것, 즉, 질환, 장애 및/또는 상태의 퇴행을 야기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명명하는데 사용될 때, 본원에서 사용되는 표시 P1', P1, P2, P2*, P3 및 P4는 천연 펩티드 절단 기질의 결합에 대한 프로테아제 억제제 결합의 아미노산 잔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리킨다. 절단은 비-프라임 위치가 N-말단쪽으로 연장된 펩티드 천연 절단 부위의 C-말단으로부터 시작하는 아미노산을 가리키는 P1과 P1' 사이의 천연 기질에서 일어난다; 반면, 프라임 위치는 절단 부위 표시의 N-말단으로부터 나오고, C-말단쪽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P1'은 절단 부위의 C-말단의 우측 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첫번째 위치 (즉, N-말단의 첫번째 위치)를 나타내고; 반면, P1은 C-말단 절단 부위의 좌측으로부터 번호를 매기기 시작한다 (P2: C-말단으로부터 두번째 위치 등). (문헌 [Berger A. & Schechter I.,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series (1970), B257, 249 264] 참조).
하기 그림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에 대한 표시를 보여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2
비대칭 중심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중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P1 시클로프로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3
여기서, C1 및 C2는 각각 시클로프로필 고리의 1 및 2 위치에서 비대칭 탄소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4
본 개시내용이 HCV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모든 입체화학적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화합물은 또한 분리할 수 있는 상이하고 안정한 형태이성질체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비대칭 단일 결합 주위에서의 제한된 회전에 기인한, 예를 들어 입체 장애 또는 고리 긴장으로 인한 비틀림 비대칭은 상이한 형태이성질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형태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화합물은 쯔비터 이온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은 이들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각각의 쯔비터 이온 형태를 포함한다.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미정제 화학물질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활성 성분을 제약 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기술된 대로이다. 담체(들), 희석제(들) 또는 부형제(들)는 제제의 기타 구성요소와 양립할 수 있고, 그의 수용체에 해롭지 않다는 의미에서 허용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제제의 제조 과정이 또한 제공된다.
제약 제제는 단위 투여량 당 선-결정된 활성 성분의 양을 포함하는 단위 제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1일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01 내지 약 250 밀리그램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00 mg/kg의 투여량 수준이 HCV 매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단일요법에서 전형적이다. 전형적으로는,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은 1일 약 1 내지 약 5회 또는 별법으로 연속 주입으로 투여될 것이다. 이러한 투여는 만성 또는 급성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담체 물질과 조합하여 단일 제형을 생성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될 상태, 그 상태의 정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사용된 화합물의 방출 속도, 치료의 기간 및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상태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량의 제제는 상기 본원에서 언급한 대로, 활성 성분의 1일 투여량 또는 하위-투여량 또는 그의 적절한 분획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 투여량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은 용량으로 시작한다. 그 후, 그 조건 하에서 최적의 효과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을 소량씩 증가시킨다. 통상적으로, 임의의 위험한 또는 유해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항바이러스적으로 효과적인 결과를 일반적으로 산출하는 농도 수준으로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조합물을 포함할 때, 그 화합물 및 추가 작용제는 모두 일반적으로 단일요법 투약계획으로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투여량의 약 1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80%의 투여량 수준으로 존재한다.
제약 제제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 (협측 또는 설하 포함), 직장, 비강, 국부 (협측, 설하 또는 경피 포함), 질 또는 비경구 (피하, 피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내, 흉골내, 수막강내, 병변내, 정맥내 또는 진피내 주사 또는 주입 포함) 경로로 투여하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제약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담체(들) 또는 부형제(들)과 회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알맞은 제약 제제는 개별적 단위, 예컨대 캡슐제 또는 정제; 산제 또는 입제;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액제 또는 현탁액제; 식용 발포체 또는 휩 (whip); 또는 물 중 오일 액체 에멀젼 또는 오일 중 물 에멀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경구 투여에 대해서, 활성 약물 성분은 경구, 제약상 허용가능한 비독성의 비활성 담체,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 과 조합할 수 있다. 산제는 적합한 미세 크기로 화합물을 분쇄하고, 유사하게 분쇄한 제약 담체, 예컨대 식용 탄수화물, 예를 들어 전분 또는 만니톨과 혼합하여 제조한다. 풍미제, 보존제, 분산제 및 착색제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캡슐제는 상기 기술된 대로, 산제 혼합물을 제조하고, 성형된 젤라틴 외피를 충전함으로써 제조된다. 충전 작업 전에, 활제 및 윤활제, 예컨대 콜로이드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산제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캡슐제를 섭취하였을 때, 의약의 효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예컨대 한천-한천,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게다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착색제를 또한 혼합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전분, 젤라틴, 천연 당,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스, 옥수수 감미제,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아카시아, 트래거캔스 또는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형에서 사용되는 윤활제는 올레인산 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제한 없이,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한천, 벤토나이트, 크산탄 검 등을 포함한다. 정제는 예를 들어, 산제 혼합물을 제조하고, 입자화하거나, 슬러그화하고, 윤활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고, 정제로 압축성형하여 제제화된다. 산제 혼합물은 상기 기술된 대로, 적합하게 분쇄된 화합물을 희석제 또는 염기와 혼합하고, 임의로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용해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재흡수 가속제, 예컨대 4차 염 및/또는 흡수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카올린 또는 인산이칼슘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산제 혼합물은 결합제, 예컨대 시럽, 전분 페이스트, 아카시아 점액 또는 셀룰로즈 또는 중합체 물질의 용액으로 적시고, 막을 통과시켜 입자화할 수 있다. 입자화의 별법으로, 산제 혼합물을 타정기에 통과시킬 수 있는데, 그 결과 불완전하게 형성된 슬러그가 입자로 부수어진다. 정제 형성 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염, 활석 또는 광유를 첨가하여 입자를 윤활 시킬 수 있다. 이후, 윤활된 혼합물을 압축하여 정제로 만든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또한 비활성의 자유 유동 담체와 조합하여, 입자화 또는 슬러그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정제로 압축할 수 있다. 셸락의 밀봉 코팅, 당 또는 중합체 물질의 코팅 및 왁스의 광택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보호 코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에 염료를 첨가하여 상이한 단위 제형을 구분할 수 있다.
경구 유동액, 예컨대 액제, 시럽제 및 엘릭시르제는 주어진 양이 선-결정된 양의 화합물을 포함하도록 투여 단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시럽제는 적절하게 감미한 수용액 중에 화합물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는 반면, 엘릭시르제는 비독성 비히클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톡시화된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보존제, 풍미 첨가제, 예컨대 페퍼민트 오일 또는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또는 기타 인공 감미제 등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경구 투여용 투여 단위 제제는 마이크로 캡슐화할 수 있다. 또한, 제제는 예를 들어 미립자 물질을 중합체, 왁스 등으로 코팅하거나, 이에 매립함으로써 방출을 연장하거나 지속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리포솜 전달계의 형태로, 예컨대 소형 단층 소포체, 대형 단층 소포체 및 다층 소포체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리포솜은 다양한 인지질, 예컨대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단일 클론 항체를 화합물 분자가 커플링된 개별 담체로 사용함으로써 전달될 수도 있다. 그 화합물은 또한 표적화 가능한 약물 담체로서 가용성 중합체와 커플링될 수 있다. 그러한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란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페놀, 폴리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아미드페놀 또는 팔리토일 잔류물로 치환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라이신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그 화합물은 약물의 조절된 방출을 달성하기에 유용한 생분해성 중합체의 부류,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엡실론 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디히드로피란,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로겔의 가교-결합된 또는 양쪽 친매성의 블록 공중합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경피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연장된 시간 동안 수용자의 표피와의 밀접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의도된 별개의 패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문헌 [Pharmaceutical Research, 3(6), 318 (1986)]에 일반적으로 기술된 대로 이온도입법에 의해 패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연고, 크림, 현탁액, 로션, 분말, 용액, 페이스트, 겔,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오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눈 또는 다른 외부 조직, 예를 들어 입 및 피부의 치료를 위해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 적용된다. 연고로 제제화되었을 때, 활성 성분은 파라핀 또는 수-혼화성 연고 베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은 물 중 오일 크림 베이스 또는 오일 중 물 베이스와 함께 크림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눈에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활성 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수성 용매에 용해되거나 현탁된 점안약을 포함한다.
입에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로젠지제, 향정 및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직장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좌제 또는 관장제로 제공될 수 있다.
담체가 고체인 비강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코로 들이쉬는 방식으로 투여되는, 즉 코에 가깝게 유지한 산제 용기로부터 비강을 통해 빠르게 흡입함으로써 투여되는, 예를 들어 20 내지 500 μm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굵은 입자의 산제를 포함한다. 비강 스프레이 또는 비강 점적액으로 투여하기 위한, 담체가 액체인 적절한 제제는 활성 성분의 수용액 또는 오일 용액을 포함한다.
흡입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다양한 유형의 정량식 가압 에어로졸, 분무기 또는 취입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미세 입자 더스트 또는 미스트를 포함한다.
질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발포체 또는 스프레이 제제로 제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제제는 항산화제, 버퍼, 세균발육저지제 및 그 제제가 의도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는 용질을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액제; 및 현탁화제 및 농후화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제를 포함한다. 제제는 단위-투여 또는 반복-투여 용기, 예를 들어 밀봉한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액의 경우 물만 첨가하면 되는 냉동-건조된 (동결건조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제는 멸균 산제, 입제 및 정제로부터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특별히 언급된 구성요소에 추가하여, 제제는 해당 유형의 제제를 고려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다른 작용제를,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의 경우에는 풍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 표 1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화합물의 일부 실례를 제시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병용 요법에서 기타 항-HCV 활성 화합물과 함께 또는 별도로 또는 조성물 내에 화합물들을 조합하여 함께 투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5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7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8
Figure 112009034458579-PCT00009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또한 실험실 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바이러스성 복제 분석의 설계, 동물 분석 시스템의 평가 및 HCV 질환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을 더 높이기 위한 구조 생물학 연구를 위한 연구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경쟁적 억제에 의해 기타 항바이러스성 화합물의 결합 위치를 구축하거나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또한 물질의 바이러스성 오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함으로써 그러한 물질, 예를 들어, 혈액, 조직, 수술용 기기 및 수술복, 실험 기기 및 실험복, 및 혈액 수집기 또는 수혈 기구 및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실험 인력 또는 의료 인력 또는 환자의 바이러스성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합성 과정, 또는 인간 또는 동물 신체 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사 과정, 또는 시험관 내에서 일어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될 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에서, 특히 예시 반응식 및 수반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사용된 일부 약어는 다음과 같다: 4-DMAP 또는 DMAP: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Boc 또는 BOC: tert-부톡시카르보닐; Fmoc: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CDI: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EDAC 또는 EDC: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THF: 테트라히드로퓨란; DBU: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데크-7-엔;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포스페이트;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Me: 메틸; MeI: 메틸 요오다이드; MOtBu: 칼륨, 나트륨 또는 리튬 tert-부톡시드; TBME 또는 MTB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 술폭시드; Ph: 페닐; DEAD: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POPd: [(t-Bu)2POH]2PdCl2; NaOBu: 나트륨 tert-부톡시드; OAc: 아세테이트; TBMDSCl: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2-DME: 1,2-디메톡시에탄; DM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BuLi: n-부틸리튬; t-BuLi 또는 tBuLi: tert-부틸리튬; DPPA: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TBA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LiOt-Bu: 리튬 tert-부톡시드; MeOH: 메탄올; DCM: 디클로로메탄; t-BuOK: 칼륨 tert-부톡시드; DIEA 또는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MeCN: 아세토니트릴; NMM: N-메틸모르폴린; DCE: 1,2-디클로로에탄; LDA: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DMPU: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TEA: 트리에틸아민.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유용한 출발 물질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쉽게 제조할 수 있거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하기 기술된 방법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지, 청구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보호기를 사용하여 관능기를 보호한 후, 보호기를 제거하여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보호기의 사용과 관련한 세부 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반응식 I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트리펩티드 카르복실산 중간체 (1)를 P1' 술폰아미드와 커플링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커플링 반응은 카르복실산 (1)을 커플링제, 예컨대 THF와 같은 용매 중의 카르보닐 디이미다졸로 처리하고 (환류 가열할 수 있음), 생성된 (1)의 유도체를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용매, 예컨대 THF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P1' 술폰아미드에 첨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0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구성을 위한 다른 과정이 반응식 II에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 P1' 술폰아미드 부분은 반응식 I에서 사용된 과정을 이용하여 P1 부분에 커플링된다. 생성된 P1-P1' 잔기는 이후 그의 아미노 말단에서 탈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예에서, Boc 보호기를 사용하였으나, 당업자는 많은 적합한 아미노 보호기를 이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것이다. Boc 보호기를 산, 예컨대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탈보호된 아민을 TFA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TFA 아민 염을 바로 다음 커플링 반응에서 사용하거나, 별법으로는 TFA 아민 염을 우선 HCl 아민 염으로 변환하여, 이 HCl 아민 염을 반응식 II에 제시된 상기 커플링 반응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Cl 아민 염 (3)과 P4-P3-P2 중간체의 카르복실 말단과의 커플링을 커플링제, 예컨대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의 HATU를 사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화학식 I의 화합물 (4)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1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구성을 위한 다른 과정이 반응식 III에 제시되어 있다. P1-P1' 말단 아민의 염산염 (1)을 PyBOP와 같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디이소프로 필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그리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P2 부분의 유리 카르복실 기에 커플링한다. 생성된 P2-P1-P1' 중간체는 두 단계 과정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환될 수 있는데, 첫번째 단계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TFA와 같은 산을 이용하여 P2 아민 말단을 탈보호하는 것이다. 생성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은 PyBop와 같은 표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디이소프로필 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그리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P4-P3 부분의 카르복실 말단에 커플링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 (4)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2
상기 반응식에서 이용한 P4-P3-P2 중간체는 일반적인 반응식 IV에 제시된 이 과정에 대한 추가 설명과 함께 먼저 기술된 대로 준비할 수 있다. P4-P3 중간체 (1)의 유리 카르복실 말단은 P2 부분의 아미노 말단에 커플링되어 P4-P3-P2 디펩티드 (2)를 제공할 수 있다. P4-P3-P2 중간체의 카르복실 말단은 에스테르 기의 비 누화에 의해 탈보호되어 P4-P3-P2를 유리 카르복실산 (3)으로 제공할 수 있다. (3)과 같은 중간체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3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구성에 있어서, P1' 말단은 상기 약술된, 그리고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일반 과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분자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 술폰아미드인 P1' 부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암모니아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이러한 술폰아미드는 반응식 V에 약술된 일반 과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3-클로로프로필술포닐 클로라이드 (1)를 예를 들어, tert-부틸 아민으로 처리하여 적합하게 보호된 술폰아미드로 변환한다. 이후, 수득한 술폰아미드 (2)는 낮은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부틸리튬과 같은 2 당량의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로 변환된다. 생성된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를 산으로 처리하여 탈보호화하여 의도한 비보호된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4
치환된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는 또한 상기 과정을 변형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식 VI의 중간체 (2)는 부틸리튬과 같은 2 당량의 염기로 처리할 수 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메틸 요오다이드과 같은 친전자체로 처리하여 치환된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 (3)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중간체 (3)는 N-말단에서 탈보호되고, 생성된 화합물 (4)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제조에서 중간체로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5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P1' 중간체는 일부 경우, 술파미드 유도체로부터 유도된다. 그러한 경우에, 술파미드 중간체는 여러 합성 경로, 예를 들어, 반응식 VII에 약술된 경로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6
술파모일 클로라이드 (2)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낮은 온도, 예컨대 -20 ℃에서 유지하면서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1) (예를 들어, 1 당량)에 물 (예를 들어, 1 당량)을 첨가하여 한 용기 내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용액을 0 ℃로 데운다. 이 용액에 염기, 예컨대 무수 트리에틸아민 (예를 들어, 1 당량)을 첨가한 후, 아민 (예를 들어, 1 당량)을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의도한 술파미드 (3)를 제공한다.
술파미드는 여러 과정에 의해, 예를 들어, 반응식 VIII에 정의된 합성 경로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P1 부분 (1)은 CDI와 같은 활성화제로 처리한다. 별도의 플라스크에, 강염기를 상기 기술된 술파미드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활성화된 카르복실산을 담고 있는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아실술파미드 유도체 (2)를 제공한다. (2)와 같은 중간체를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환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7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P1 부분은 일부 경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나, 그 외에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후, 역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된다. 치환된 P1 시클로프로필아미노산을 반응식 IX에 약술된 일반 과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또는 쉽게 합성되는 이민 (1)을 염기의 존재 하에 1,4-디할로부텐 (2)으로 처리하여 이민 (3)을 수득한다. 이후, (3)의 산 가수분해는 카르복실 기에 syn인 알릴 치환기를 갖는 (4)를 주 생성물로 제공한다. (4)의 아민 잔기를 Boc 기를 이용하여 보호하여 완전히 보호된 아미노산 (5)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중간체는 효소 과정에 의해 분할될 수 있는 라세미화합물이고, 여기서 (5)의 에스테르 잔기는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어 상응하는 카르복실산을 제공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애받지 않고, 이 반응은 거울상이성질체들 중 하나가 중간체인 라세미화합물의 속도론적 분할에 대비하면서 그의 거울상보다 몹시 빠른 속도로 이 반응을 겪는다는 점에서 선택적인 것으로 믿어진다. 본원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통합을 위한 더욱 바람직한 입체이성질체는 (1R, 2S)의 입체화학을 갖는 (5a)이다. 효소의 존재 하에, 이 거울상이성질체는 에스테르 절단을 겪지 않고, 따라서 이 거울상이성질체 (5a)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회수된다. 그러나, (1S, 2R)의 입체화학을 갖는, 이보다 덜 바람직한 거울상이성질체 (5b)는 에스테르 절단, 즉, 가수분해를 겪고 유리 산 (6)을 제공한다. 이 반응이 완결되자마자, 에스테르 (5a)는 예를 들어, 수성 추출 방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산 생성물 (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8
P2 중간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이 하기 반응식에 제시되어 있다. 많은 경우, 반응은 중간체의 단지 하나의 위치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반응은 중간체 내의 다른 위치에 변형을 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게다가, 특정 실시예에 제시된 상기 중간체, 반응 조건 및 방법은 다른 치환 유형을 갖는 화합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그리고 특정한 실시예는 모두 비-제한적이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19
반응식 X는 N-보호된 C4-히드록시프롤린 잔기를 헤테로사이클과 커플링하여 중간체 (4)를 형성하고, 이후에 상기 중간체 (4)를 본원에 기술된 펩티드 연장 과정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형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C4-히드록시 프롤린 기와 헤테로아릴 부분의 커플링인 첫번째 단계에서, 염기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당업자는 상기 커플링이 DMF, DMSO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칼륨 tert-부톡시드 또는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실시된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이소퀴놀린 고리계에의 커플링은 C1 위치 (반응식 XI의 중간체 2에 제시된 이소퀴놀린 고리계에 대한 넘버링)에서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치환되는 클로로 기에 의해 지시된다. 이 반응식에 제시된 대로, 다른 이탈기 (예를 들어, 플루오로)도 이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플루오로 중간체 (3)는 본원에 기술된 문헌의 과정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클로로 화합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C4-히드록시프롤린의 이소퀴놀린 핵으로의 커플링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방법에 대한 별법은 반응식 XI의 단계 1에 도시된 미쯔노부 (Mitsunobu) 반응에 제시되 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반응식에서, C4-히드록시 프롤린 유도체는 이소퀴놀린 고리계에 커플링된다. 이 반응은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THF 또는 디옥산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 및 DEAD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시약을 이용하고, 헤테로아릴 에테르의 형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반응 중,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에서 C4 키랄 중심의 입체화학은 반대로 되고, 따라서 C4 위치에서 (S) 입체화학을 갖는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를 출발 물질 (반응식 XI에 제시된 대로)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목하여라. 미쯔노부 반응의 다양한 변형 및 개선, 교시내용이 본원에 포함된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0
본원의 실시예에서, 이소퀴놀린은 최종 화합물, 명확히 말하면 상기 화합물의 P2 영역으로 포함된다. 당업자는 이소퀴놀린의 합성을 위해 다수의 일반적인 방법이 이용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이소퀴놀린은 본원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여 최종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쉽게 포함될 수 있다. 이소퀴놀린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론이 반응식 XII에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구조 (2)의 일반적인 형태로 제시된 신남산 유도체는 4 단계 과정에서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변환된다. 클로로이소퀴놀린은 이어서 본원에 기술된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로의 커플링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남산에서 클로로퀴놀린으로의 변환은 신남산을 염기의 존재 하에 알킬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함으로써 개시된다. 이후, 생성된 무수물을 나트륨 아지드로 처리하여 그 결과 반응식에 제시된 대로 아실아지드 (3)를 형성한다.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아실아지드를 형성하기 위한 별법도 이용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기 카르복실산을 염기의 존재 하에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 중에서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DPPA)로 처리할 수 있다. 반응 순서의 다음 단계에서, 아실아지드 (3)를 디페닐메탄과 같은 고비등 용매에서 대략 190 ℃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상응하는 이소퀴놀론 (4)으로 변환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이고, 상응하는 신남산 유도체로부터 치환된 이소퀴놀론을 적정 수율 내지 높은 수율로 제공한다. 상기 신남산 유도체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말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직접 축합에 의해, 또한 비티히 (Wittig) 반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 (1) 유도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반응식 XII의 중간체인 이소퀴놀론 (4)을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이고, 본원에 제시된 이소퀴놀론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1
참고 문헌 [N.Briet at al, Tetrahedron, 2002, 5761]
이소퀴놀린 고리계의 합성을 위한 별법은 포메란쯔-프리츠 (Pomeranz-Fritsh) 과정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이 반응식 XIII에 약술되어 있다. 이 과정은 벤즈알데히드 유도체 (1)를 관능화된 이민 (2)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후, 이민을 높은 온도에서 산으로 처리하여 이소퀴놀린 고리계로 변환시킨다. 반응식 XIII의 이소퀴놀린 합성은 일반적이고, 이 과정은 특히 C8 위치에서 치환된 이소퀴놀린 중간체를 수득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중간체인 이소퀴놀린 (3)은 제시된 대로 2 단계 과정을 거쳐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 (5)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의 첫번째 단계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비양자성 용매에서 이소퀴놀린 (3)을 메타-클로로퍼벤조산으로 처리하여 이소퀴놀린 N-옥사이드(4)를 형성하는 것이다. 중간체 (4)를 환류 클로로포름 중에서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2 단계 과정이 이소퀴놀론으로부터 클로로이소퀴놀린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이라는 점을 주목하여라.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2
포메란쯔-프리츠 합성
문헌 [K.Hirao, R.Tsuchiya, Y.Yano, H.Tsue, Heterocycles 42(1) 1996, 415-422]
이소퀴놀린 고리계의 합성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이 반응식 XIV에 제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는, 오르쏘-알킬벤즈아미드 유도체 (1)를 낮은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tert-부틸리튬과 같은 강염기로 처리한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니트릴 유도체를 첨가하여 (1)의 탈양성자화로부터 유도되는 음이온과 첨가 반응을 시켜 (2)를 형성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고, 치환된 이소퀴놀린 형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XIV의 중간체 (2)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변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3
이소퀴놀린의 합성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이 반응식 XV에 제시되어 있다. tert-부틸리튬을 이용하는 중간체 (1)의 탈양성자화가 상기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중간체 음이온이 에스테르에 의해 포획되어, 하기 제시된 대로 중간체 (2)를 형성한다. 후속 반응에서, 케톤 (2)은 높은 온도에서 암모늄 아세테이트와 축합하여 퀴놀론 (3)을 형성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고, 본원에 기술된 대로 상응하는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변환될 수 있는 치환된 이소퀴놀론의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4
이소퀴놀린의 구성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이 반응식 XVI에 제공되어 있다. 이 과정의 첫번째 단계에서, (1)과 같은 오르쏘-알킬아릴이민 유도체는 탈양성자화 조건 (sec-부틸 리튬, THF)에 놓여 지고, 생성된 음이온은 활성화된 카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와인랩 (Weinreb) 아미드를 첨가함으로써 켄칭된다. 생성된 케토이민 (2)을 높은 온도에서 암모늄 아세테이트와 축합하여 상응하는 이소퀴놀린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이고, 치환된 이소퀴놀린의 합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이소퀴놀린을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변환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5
문헌 [L.Flippin, J.Muchowski, JOC, 1993, 2631-2632]
본원에 기술되고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되는 이소퀴놀린은 더 관능화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사이클의 추가적인 관능화는 이러한 관능기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시키기 전 또는 후에 모두 가능하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다음 반응식은 이러한 관점을 설명해준다. 예를 들어, 반응식 XVII은 (1)을 실온에서 알콕시드가 유도되는 알코올 용매 중에서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시드 류로 처리하여 1-클로로-6-플루오로-이소퀴놀린을 상응하는 1-클로로-6-알콕시-이소퀴놀린 류로 변환하는 것을 보여준다. 일부 경우에,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서 반응물을 가열할 필요가 있다. 본원에 언급된 기술을 사용하여 클로로퀴놀린을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포함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6
반응식 XVIII은 팔라듐 매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하여 본원에서 정의된 대로 이소퀴놀린의 변형을 위한 일반적인 예를 제공한다. 고리가 적합하게 활성화 또는 관능화, 예를 들어 반응식에 제시된 대로 클로라이드로 관능화되어 있는 경우, 고 리계의 각각의 위치에서 헤테로사이클을 관능화하기 위해서 커플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반응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으로 처리하자마자 상응하는 N-옥사이드 (2)로 변환될 수 있는 1-클로로이소퀴놀린 (1)으로부터 시작된다. 중간체 (2)를 환류 클로로포름 중에서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1,3-디클로로이소퀴놀린 (3)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중간체 (3)을 N-Boc-4-히드록시프롤린과 커플링하여 반응식에 제시된 대로 중간체 (5)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체 (5)는 팔라듐 시약 및 염기의 존재 하에, THF, 톨루엔 또는 DMF와 같은 용매에서 아릴 보론산과 스즈끼 (Suzuki) 커플링하여 C3-아릴이소퀴놀린 중간체 (6)를 제공한다. 헤테로아릴보론산을 또한 상기 팔라듐-매개 커플링 과정에서 사용하여 C3-헤테로아릴이소퀴놀린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체 (6)를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최종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환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7
이소퀴놀린 계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부분과의 팔라듐 매개 커플링은 또한 반응식 XIX에 제시된 대로 화학식 I의 화합물 구성의 추후 합성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트리펩티드 아실술폰아미드 중간체 (1)를 앞서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여 1-클로로-3-브로모이소퀴놀린 (2)에 커플링하여 중간체 (3)를 제공한다. (1)과 (2)의 커플링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촉매, 예를 들어 염화 란타늄의 존재 하에 가장 효과적이다. 중간체 (3)의 이소퀴놀린 고리계는 스즈끼 커플링 (과정 1: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팔라듐 촉매 및 탄산세슘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3)을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 보론산으로) 또는 스틸 (Stille) 커플링 (과정 2: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와 같은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 (3)을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 주석 유도체로)을 이용하여 추가로 관능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8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3 아미노산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P3 아미노산의 제조를 위한 비제한적인 경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경로 1: 반응식 XX에 제시된 대로, 충분히 친전자성인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류 (1)의 아미노산 에스테르 (2)와의 친핵성 방향족 치환. 이후, 상기 반 응은 (3)의 단순한 에스테르 절단을 거쳐 의도한 아미노산 (4)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29
경로 2: 반응식 XXI에 제시된 대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할라이드 결합과 적합하게 보호된 아미노산 (1)과의 팔라듐-촉매 커플링을 포함하는 부흐발트-하르트비히 (Buchwald-Hartwig) 유형 반응. 중간체 2의 단순한 비누화 반응은 의도한 아미노산 (3)을 제공한다 (문헌 [Shen, Q.; Shekhar, S; Stambuli, J. P.; Hartwig, J. F. Angew. Chem. Int. Ed. 2005, 44, 1371-1375]).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0
경로 3: 반응식 XXII에 제시된 대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할라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을 CuI 매개 과정에 의해 커플링하여 아릴아미노산을 바로 수득하는 커플링 과정 (문헌 [Ma, D.; Zhang, Y.; Yao, J.; Wu, S.; Tao, F. J. Am. Chem. Soc. 1998, 120, 12459-12467]).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1
경로 4: 유리 아미노산의 2가의 음이온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할라이드, 전형적으로는 플루오라이드와의 친핵성 치환 과정 (문헌 [Saitton, S.; Kihlberg, J.; Luthman, K. Tetrahedron 2004, 60, 6113-6120]과 유사함).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2
일부 경우에서, 반응식 XXIII에 제시된 대로, 아미노아릴 최종 생성물로의 접근은 아릴 고리를 P3 부영역의 말단에서 유리 아미노기를 갖는 완전하게 집합된 코어 트리펩티드로 직접 친핵성 방향족 치환하는 것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3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양태와 연계하여 기술되는데, 이는 그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반대로, 본 개시내용은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별법,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를 포 함하는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프랙티스를 설명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특정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그의 과정 및 개념적 측면의 가장 유용하고, 쉽게 이해되는 설명으로 생각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백분율은 중량 대 부피 관계를 나타내고, 용액 비는 부피 대 부피 관계를 나타낸다. 핵자기공명 (NMR) 스펙트럼은 브루커 (Bruker) 300, 400 또는 500 MHz 분광계 상에 기록되었다 (화학 이동 (δ)은 ppm (백만 분의 일)으로 기록됨).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는 스틸 (Still's)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에 따라 실리카겔 (SiO2) 상에서 수행하였다 (문헌 [J. Org. Chem. 1978, 43, 2923]).
I. P1' 중간체의 제조
1.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방법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4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5
단계 1
tert-부틸아민 (3.0 mol, 315 mL)을 THF (2.5 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20 ℃로 냉각시켰다. 3-클로로프로판술포닐 클로라이드 (1.5 mol, 182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H2Cl2 (2.0 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1.0 M의 HCl (1.0 L), 물 (1.0 L) 및 염수 (1.0 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생성물을 백색 고체 (316.0 g, 99%)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6
단계 2:
THF (100 mL) 중 단계 1의 생성물 (2.14 g, 10.0 mmol)의 용액에 n-BuLi (헥산 중 2.5 M, 8.0 mL, 20.0 mmol)을 -78 ℃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데우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각각 2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0 g, 5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7
단계 3:
TFA (500 mL) 중 단계 2의 생성물 (110 g, 0.62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60 mL/ 240 mL)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68.5 g, 91%)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8
방법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039
0 ℃로 냉각시킨 100 mL의 THF의 용액에 포화가 될 때까지 암모니아 가스를 버블링하였다. 이 용액에 THF (50 mL) 중 시클로프로필술포닐 클로라이드 (5 g, 28.45 mmol) (어레이 바이오파르마 (Array Biopharma)로부터 구입함)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밤새 실온으로 데우고, 하루 더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내지 2 mL의 용매가 남을 때까지 농축하고, 30 g의 SiO2 플러그 (30→60% 에틸 아세테이 트/헥산으로 용리) 상에 부어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 (3.45g, 100%)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0
2. C1-치환된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2a.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1
단계 1: N-tert-부틸-(3-클로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2
상기 기술된 대로 제조하였다.
단계 2: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3
단계 1의 생성물 (4.3 g, 20 mmol)의 용액을 건식 THF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78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n-부틸리튬 (17.6 mL, 44 mmol, 헥산 중 2.5 M)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드라이아이스 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1.5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데웠다. 이 혼합물을 -78 ℃로 냉각시키고, n-부틸리튬 (20 mmol, 8 mL, 헥산 중 2.5 M)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 고, 2시간에 걸쳐 -78 ℃로 냉각시키고, 메틸 요오다이드 (5.68 g, 40 mmol)의 순수한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데운 후, 실온에서 포화 NH4Cl (100 mL)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연황색 고체 (3.1 g, 81%)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4
단계 3: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5
단계 2의 생성물 (1.91 g, 10 mmol)의 용액을 TFA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4, 40 mL)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25 g, 9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6
2b. 1-프로필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7
상기 화합물을 이 과정의 두번째 단계에서 메틸 요오다이드를 프로필 할로겐화물로 치환하는,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를 위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2c. 1-알릴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8
단계 1: N-tert-부틸-(1-알릴)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49
상기 화합물을 1.25 당량의 알릴 브로마이드를 친전자체로 사용하는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9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0
단계 2: 1-알릴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1
상기 화합물을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4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2%의 메탄올을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SiO2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2
2d. 1-벤질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3
단계 1: N-tert-부틸-(1-벤질)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4
상기 화합물을 1.05 당량의 벤질 브로마이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헥산 중 10%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6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5
단계 2: 1-벤질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6
상기 화합물을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최소량의 헥산 중 10%의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tert-부틸(1-벤질)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로부터 6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7
2e. 1-(1-시클로헥세닐)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8
단계 1: N-tert-부틸-[1-(1-히드록시)시클로헥실]-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59
상기 화합물을 1.30 당량의 시클로헥산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최소량의 헥산 중 20%의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8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0
단계 2: 1-(1-시클로헥세닐)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1
상기 화합물, 1-(1-시클로헥세닐)-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를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최소량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tert-부틸-[1-(1-히드록시)시클로헥실]-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로부터 8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2
2f. 1-벤조일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3
단계 1: N-tert-부틸-(1-벤조일)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4
상기 화합물을 1.2 당량의 메틸 벤조에이트를 친전자체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여 6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 (30→100%)을 사용하는 SiO2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5
단계 2: 1-벤조일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6
상기 화합물을 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최소량의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tert-부틸(1-벤조일)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로부터 8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7
2g. N-tert-부틸-(1-페닐아미노카르복시)-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8
상기 화합물을 1 당량의 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N-tert-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고, 최소량의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4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69
3. C1-치환된 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의 제조: N-Boc 보호기의 사용
3a. C1-치환된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에서 주요 중간체인 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 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0
단계 1: 3-클로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1
3-클로로프로판술포닐 클로라이드 (55 g, 310.7 mmol)의 용액을 THF (200 mL) 중에 용해시키고, 0 ℃에서 30분간 NH4OH (200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 (4×5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1 N의 HCl (150 mL), 물 (15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조질의 고체를 최소량의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45.3 g, 93%)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2
단계 2: 3-클로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3
디클로로메탄 (350 mL) 중 단계 1의 생성물 (30.2 g, 191.5 mmol), 트리에틸아민 (30.2 mL, 217.0 mmol) 및 4-DMAP (2.40g, 19.6 mmol)의 용액을 0 ℃에서 디클로로메탄 (250 mL) 중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47.2g, 216.9 mmol)의 용액으로 30분간 적가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추가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1 N의 HCl (300 mL), 물 (300 mL) 및 염수 (3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헥산 중 5%의 디클로로메탄 (70 mL)으로 처리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 (47.2 g, 9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4
단계 3: 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 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5
n-부틸리튬 (74.7 mL, 119.5 mmol, 헥산 중 1.6 M)의 용액을 건식 THF (105 mL) 중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분위기 하에 -78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건식 THF (105 mL) 중 단계 2의 생성물 (14 g, 54.3 mmol)의 용액을 20 내지 30분간 적가하였다. 드라이아이스 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으로 데웠다. 반응 혼합물을 빙초산 (3.4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mL)과 물 (1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왁스형의 회백색 고체 (12.08 g, 100%)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6
3b.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단계 1: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7
THF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78 ℃로 냉각시킨 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 카르바메이트 (1.0 g, 4.5 mmol)의 용액에 n-부틸리튬 (6.4 mL, 10.2 mmol, 헥산 중 1.6 M)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 액에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의 순수 용액 (0.40 mL, 5.2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천천히 밤새 실온으로 데웠다. 1 N의 수성 HCl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3으로 조절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4×50 mL로 분할하여)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를 왁스형 고체 (1.20 g, 100%)로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바로 다음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8
단계 2: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79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 (1.14 g, 4.30 mmol)의 용액을 50%의 TFA/디클로로메탄 (30 mL)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80g의 SiO2 (0→6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를 백색 고체 (0.55 g, 2 단계에 77%)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0
3c. 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1
단계 1: 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2
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를 1.10 당량의 시클로프로필메틸 브로마이드를 친전자체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9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정제하지 않고 바로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3
단계 2: 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4
상기 화합물을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로부터 6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0→60%)를 용리 액으로 사용하는 SiO2 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5
3d. 1-프로필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6
단계 1: 1-프로필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7
상기 화합물을 1.10 당량의 n-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를 친전자체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100%의 조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8
단계 2: 1-프로필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89
상기 물질이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헥산로부터 재결정화되므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1-프로필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tert-부틸카르바메이트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0
3e. 1-(3,5-디메틸이속사졸-4-일)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1
단계 1: 1-(3,5-디메틸이속사졸-4-일)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2
상기 화합물을 1.20 당량의 3,5-디메틸이속사졸-4-이소시아네이트를 친전자체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1-메톡시메틸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민 tert-부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100%의 조 수율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1-(3,5-디메틸이속사졸-4-일)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3
상기 화합물을 4 N의 HCl/디옥산 (30 mL, 120 mmol)을 사용하여 밤새 교반하 고, 농축하고, 바이오타지 (Biotage) 40M 컬럼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함)으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1-(3,5-디메틸이속사졸-4-일)카르바모일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tert-부틸카르바메이트 (1.62 g, 4.52 mmol)로부터 50%의 수율로 (580 mg)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4
4. 시클로알킬브로마이드로부터의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의 제조
4a. 시클로부틸 브로마이드로부터의 시클로부틸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5
-78 ℃로 냉각시킨 30 mL의 무수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중 시클로부틸 브로마이드 (5.0 g, 37.0 mmol)의 용액에 펜탄 중 1.7 M의 tert-부틸리튬 (44 mL, 74.8 mmol)을 첨가하였다. 1.5시간에 걸쳐 용액을 천천히 -35 ℃로 데웠다. 이 혼합물을 -40 ℃로 냉각시킨, 새로 증류한 헥산 (100 mL) 중 설퍼릴 클로라이드 (5.0 g, 37.0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주입하고, 1시간에 걸쳐 0 ℃로 데우고, 조심스럽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약간의 빙냉수로 1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조심스럽게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20 mL의 THF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500 mL의 THF 중 포화 NH3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조질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1 내지 2 방울의 메탄올로 최소량의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90 g, 38%)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6
4b. 시클로펜틸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7
에테르 중 2 M의 시클로펜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8.5 mL, 37.0 mmol)의 용액에 -78 ℃로 냉각시킨, 새롭게 증류한 헥산 (100 mL) 중 설퍼릴 클로라이드 (3.0 mL, 37.0 mmol) (알드리치 (Aldrich)로부터 구입함)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0 ℃로 데운 후, 조심스럽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200 mL)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약간의 빙냉수 (200 mL)로 1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조심스럽게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35 mL의 THF에 다시 용해시키고, 500 mL의 THF 중 포화 NH3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조질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70%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겔 (50 g)로 잔류물을 여과한 후, 용액을 농축하였다. 1 내지 2 방울의 메탄올로 최소량의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잔류물을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2.49 g, 41%)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8
4c. 시클로헥실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099
디에틸 에테르 중 2 M의 시클로헥실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8.5 mL, 37.0 mmol) (티씨아이 아메리카스 (TCI Americas))의 용액을 -78 ℃로 냉각시킨, 새롭게 증류한 헥산 (100 mL) 중 설퍼릴 클로라이드 (3.0 mL, 37.0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0 ℃로 데운 후, 조심스럽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200 mL)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약간의 빙냉수 (200 mL)로 1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조심스럽게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35 mL의 THF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500 mL의 THF 중 포화 NH3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조질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70%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50 g)로 잔류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1 내지 2 방울의 메탄올로 최소량의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농축액을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66 g, 30%)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0
4d. 네오펜틸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1
시클로헥실술폰아미드의 제조 과정에 따라, 디에틸 에테르 중 0.75 M의 네오펜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49 mL, 37 mmol) (알파 (Alfa))를 변환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52 g, 27%)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2
4e. 시클로부틸카르비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3
아세톤 (150 mL) 중 시클로부틸카르비닐 브로마이드 (12.3 g, 83 mmol) (알드리치) 및 나트륨 요오다이드 (13.7 g, 91 mmol)의 용액을 밤새 환류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무기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아세톤 및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요오다이드 (8.41g, 46%)을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각각 상온, 및 80 ℃에서 150 torr).
-78 ℃로 냉각시킨 무수 디에틸 에테르 (30 mL) 중 시클로부틸 카르비닐 요오다이드 (4.0 g, 21.98 mmol)의 용액을 시클로헥산 중 1.3 M의 sec-부틸리튬 (17 mL, 21.98 mmol)의 용액에 주입하고, 용액을 5분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78 ℃로 냉각시킨, 새롭게 증류한 헥산 (110 mL) 중 설퍼릴 클로라이드 (3.0 g, 21.98 mmol)의 용액을 주입하고,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데운 후, 조심스럽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약간의 빙냉수로 1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조심스럽게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30 mL의 THF에 다시 용해시키고, 500 mL의 THF 중 포화 NH3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조질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1 내지 2 방울의 메탄올로 최소량의 헥산 중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39 g, 42%)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4
4f.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5
시클로부틸카르비닐술폰아미드의 제조를 위해 사용한 과정을 이용하여,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술폰아미드를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브로마이드 (알드리치)로부터 제조하였다 (또한, 문헌 [JACS 1981, p.442-445] 참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6
4g. 2-티오펜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7
의도한 생성물을 문헌 [Justus Liebigs Ann. Chem. 1933, 501, p.174-182]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2-티오펜술포닐 클로라이드 (알드리치로부터 구입함)로부터 제조하였다.
4h. 4-브로모벤젠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8
4-브로모페닐술폰아미드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4-브로모술포닐 클로라이드를 THF 중 포화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5. 술파미드 제조의 일반적인 과정
Figure 112009034458579-PCT00109
THF 중 물 (1 당량)을 THF 중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1 당량)의 차가운 (-20 ℃) 교반 용액에 첨가하여 중간체인 술파모일 클로라이드를 제조하고, 생성된 용액을 0 ℃로 데웠다. 이 용액에 무수 트리에틸아민 (1 당량)을 첨가한 후,필수적으로 2차 아민 (1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운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의도한 술파미드를 수득하였다.
II. P1 중간체의 제조
5.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0
6. 1-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1
1-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100 mg, 0.869 mmol)(토크리스 (Tocris))을 10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HCl 가스를 2시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여 144 mg의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10 mL의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여 100 mg의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2
7a. (1R,2R)/(1S,2S) 1-아미노-2-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라세미 혼합물)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3
에틸은 카르복시에 대해서 syn이다.
단계 1: 하기 제시된 2-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실산 디-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4
50%의 NaOH 수용액 (H2O 185 mL 중 92.4 g) 중 벤질트리에틸염화암모늄 (21.0 g, 92.2 mmol)의 현탁액에 1,2-디브로모부탄 (30.0 g, 138.9 mmol) 및 디-tert-부틸말로네이트 (20.0 g, 9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힘차게 교반하고, 얼음과 물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조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3×)으로 추출하고, 물 (3×)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100 g, 헥산 중 3%의 디에틸 에테르)로 정제하여 의도한 생성물 (18.3 g, 67.8 mmol, 수율 73%)을 수득하고, 다음 반응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하기 제시된 라세미 2-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5
단계 1의 생성물 (18.3 g, 67.8 mmol)을 0 ℃에서 건식 디에틸 에테르 (500 mL) 중 칼륨 tert-부톡시드 (33.55 g, 299.0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H2O (1.35 mL, 75.0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힘차게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 음 및 물의 혼합물에 붓고, 디에틸 에테르 (3×)로 세척하였다. 0 ℃에서 수성층을 10%의 수성 시트르산 용액으로 산성으로 pH를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2×)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연황색 오일 (10 g, 46.8 mmol, 수율 69%)로 수득하였다.
단계 3: 하기 제시된 (1R,2R)/(1S,2S) 2-에틸-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6
건식 벤젠 (160 mL) 중 단계 2의 생성물 (10 g, 46.8 mmol) 및 3 g의 새롭게 활성화된 4Å 분자체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 (7.50 mL, 53.8 mmol) 및 DPPA (11 mL, 10.2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2-트리메틸실릴에탄올 (13.5 mL, 94.2 mmol)로 처리하고, 밤새 환류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10%의 수성 시트르산 용액, 물, 포화 수성 NaHCO3, 물 (2×) 및 염수 (2×)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120 mL) 중 10 g의 알드리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스캐빈저 수지와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여과하여 의도한 생성물 (8 g, 24.3 mmol, 52%)을 연황색 오일로 수득하였 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7
단계 4: 하기 제시된 (1R,2R)/(1S,2S) 1-아미노-2-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라세미 혼합물)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8
에틸은 카르복시에 syn이다.
단계 3의 생성물 (3 g, 9 mmol)에 THF 중 1.0 M의 TBAF의 용액 (9.3 mL, 9.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연속해서 물 (2×100 mL) 및 염수 (2×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7b. 하기 제시된 P1 비닐 치환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상응하는 포화 P1 유사체로 변환하는 일반적인 방법
Figure 112009034458579-PCT00119
대략 15 mL의 EtOAc 중 화합물 A (대략 100mg) 및 Pt(S)/C (5%, 10 mg)의 현 탁액을 0.5시간 동안 수소화 (H2, 30 PSI)하였다. 셀라이트 플러그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농축하고, 정제하여 의도한 생성물인 화합물 B를 수득하였다.
8. 라세미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0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04 g, 2.16 mole)을 tert-부틸메틸 에테르 (1.6 L) 중에 현탁시켰다. 벤즈알데히드 (231 g, 2.16 mole) 및 무수 황산나트륨 (155 g, 1.09 mole)을 첨가하고, 얼음-물 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30분간 트리에틸아민 (455 mL, 3.26 mole)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빙냉수 (1 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tert-부틸메틸 에테르 (0.5 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 (1 L) 및 염수 (1 L)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392.4 g의 N-벤질 이민 생성물을 농후한 황색 오일로 수득하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1
단계 2:
건식 톨루엔 (1.2 L) 중 리튬 tert-부톡시드 (84.1 g, 1.05 mol)의 현탁액에 건식 톨루엔 (0.6 L) 중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의 N-벤질 이민 (100 g, 0.526 mol) 및 트랜스-1,4-디브로모-2-부텐 (107 g, 0.500 mol)의 혼합물을 60분간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되자마자, 짙은 적색의 혼합물을 물 (1 L) 및 tert-부틸메틸 에테르 (TBME, 1 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TBME (1 L)로 2번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1.0 M의 HCl (1 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물 (0.8 L)로 추출하였다. 이후, 수성상을 합하고, 염 (700 g)으로 포화시키고, TBME (1 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이후, 10.0 M의 NaOH를 적가하여 교반 혼합물을 염기성 (pH=14)으로 만들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TBME (2×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부피가 1 L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유리 아민의 용액에 Boc2O 또는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131 g, 0.600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일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50 g, 0.23 mol)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한 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80 g의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2.5 kg, 1→2% CH3OH/CH2C12로 용리함)로 정제하여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57 g, 53%)를 황색 오일로 수득하고, 냉장고에 넣어 고체화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2
9.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분할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3
분할 A
39 ℃로 유지하고, 300 rpm으로 교반하는 12 리터의 재킹 (jacked) 반응기에 담은 나트륨 포스페이트 버퍼 (0.1 M, 4.25 리터 ("L"), pH 8)의 수용액에 알칼라아제 2.4L (Alcalase 2.4L) 511 g (약 425 mL)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 (Novozymes North America Inc.))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가 39 ℃에 도달하면, 50%의 NaOH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0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DMSO (850 m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5g)의 용액을 4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24.5시간 동안 반응 온도를 40 ℃로 유지하고, 그동안 50%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1.5시간 및 19.5시간의 시점에서 혼합물의 pH가 8.0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24.5시간 후, 에스테르의 거울 상이성질체 잉여를 97.2%로 측정하고, 반응물을 실온 (26 ℃)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16시간) 교반한 후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를 100%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50%의 NaOH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8.5로 조절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MTBE (2×2 L)로 추출하였다. 합한 MTBE 추출물을 5%의 NaHCO3 (3×100 mL) 및 물 (3×100 mL)로 추출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연황색 고체 (42.55 g; 순도: 210 nm에서 97%, 산을 포함하지 않음; 100%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 ("ee"))로 수득하였다.
추출 과정으로부터의 수성층을 50%의 H2SO4로 pH 2로 산성화하고, MTBE (2×2 L)로 추출하였다. MTBE 추출물을 물 (3×100 mL)로 세척하고, 농축하여 산을 연황색 고체 (42.74 g; 순도: 210 nm에서 99%, 에스테르를 포함하지 않음)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4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5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6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7
분할 B
24 웰 플레이트 (용량: 10 mL/웰)의 웰 중의 100 mM의 Heps·Na 버퍼 (pH 8.5) 0.5 mL에, 사비나제 16.0L (Savinase 16.0L) (바실러스 클라우지 (Bacillus clausii)로부터의 프로테아제)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 0.1 mL 및 DMSO (0.1 m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0 ℃에서 250 rpm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18시간 후,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를 다음과 같이 44.3%로 측정하였다: 0.1 mL의 반응 혼합물을 제거하고, 1 mL의 에탄올과 잘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마이크로리터 ("μL")의 상청액을 키랄 HPLC로 분석하였다. 남은 반응 혼합물에, 0.1 mL의 DMSO를 첨가하고, 40 ℃에서 250 rpm으로 추가로 3일간 플레이트를 인큐베이션한 후, 에탄올 4 mL를 웰에 첨가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μL의 상청액을 키랄 HPLC로 분석하고,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가 100%로 측정하였다.
분할 C
24 웰 플레이트 (용량: 10 mL/웰)의 웰 중의 100 mM의 Heps·Na 버퍼 (pH 8.5) 0.5 mL에, 에스페라제 8.0L (Esperase 8.0L) (바실러스 할로듀란즈 (Bacillus halodurans)로부터의 프로테아제)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 0.1 mL 및 DMSO (0.1 m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0 ℃에서 250 rpm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18시간 후,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를 다음과 같이 39.6%로 측정하였다: 0.1 mL의 반응 혼합물을 제거하고, 1 mL의 에탄올 과 잘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μL의 상청액을 키랄 HPLC로 분석하였다. 남은 반응 혼합물에, 0.1 mL의 DMSO를 첨가하고, 40 ℃에서 250 rpm으로 추가로 3일간 플레이트를 인큐베이션한 후, 에탄올 4 mL를 웰에 첨가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μL의 상청액을 키랄 HPLC로 분석하고,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가 100%로 측정하였다.
샘플 분석은 다음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 샘플 준비: 약 0.5 mL의 반응 혼합물을 10 부피의 에탄올과 잘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μL의 상청액을 HPLC 컬럼 상에 주입하였다.
2) 변환 측정:
컬럼: YMC ODS A, 4.6×50 mm, S-5 μm
용매: A, 1 mM의 HCl 수용액; B, CH3CN
구배: 1분간 30% B; 0.5분간 30→45% B; 1.5분간 45% B; 0.5분간 45→30% B.
유량: 2 mL/분
UV 검출: 210 nm
체류시간: 산, 1.2 분; 에스테르, 2.8 분.
3) 에스테르에 대한 거울상이성질체 잉여 측정:
컬럼: CHIRACEL OD-RH, 4.6×150 mm, S-5 μm
이동상: CH3CN/50 mM의 HClO4 수용액 (67/33)
유량: 0.75 mL/분
UV 검출: 210 nm.
체류시간:
(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5.2 분;
라세미 화합물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8.5 분 및 20.0 분;
(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8.5 분.
분할 D
0.3 M의 나트륨 포스페이트 버퍼 (pH 8) 5 L를 20 L의 재킹 반응기에서 38 ℃로 유지하고, 130 rpm으로 교반하였다. 4 L의 알칼라아제 2.4L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 및 증류수 1L를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가 38 ℃에 근접했을 때, 10 N의 NaOH로 pH를 7.8로 조절하였다. DMSO (5 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500 g)의 용액을 적하 깔대기로 1시간 동안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온도를 48 ℃로 조절하였다. 21시간 후,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가 99.3%에 도달하였다. 24시간째에 가열을 중단하고, 반응물을 천천히 실온 (약 25 ℃)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10 N의 NaOH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8.5로 조절하고, 혼합물을 MTBE (2×4 L)로 추출하였다. 합한 MTBE 추출물을 5%의 NaHCO3 (3×400 mL) 및 물 (3×400 mL)로 세척하고, 농축하여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연황색 결정 (259 g; 순도: 210 nm에서 96.9%, 산을 포함하지 않음; 100% ee)으로 수득하였다.
분할 E
0.1 M의 나트륨 포스페이트 버퍼 (pH 8) 10 L를 20 L의 재킹 반응기에서 40 ℃로 유지하고, 360 rpm으로 교반하였다. 알칼라제 2.4L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 1.5 L를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가 38 ℃에 근접했을 때, 10 N의 NaOH로 pH를 8.0으로 조절하였다. DMSO (2 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00 g)의 용액을 적하 깔대기로 1시간 동안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온도를 40 ℃로 조절하였다. 3시간 후, 10 N의 NaOH로 pH를 8.0으로 조절하였다. 21시간 후, 반응물을 25 ℃로 냉각시키고, 10 N의 NaOH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8.5로 조절하고, MTBE (2×5 L)로 추출하였다. 합한 MTBE 추출물을 5%의 NaHCO3 (3×500 mL) 및 물 (3×200 mL)로 세척하고, 농축하여 110 g의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실온에서 실내 진공 하에 두고,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무색의 긴 막대형 결정 (101 g; 순도: 210 nm에서 97.9%, 산을 포함하지 않음; 100% ee)으로 수득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결정 구조는 단일 결정 분석 (X-선 NB#: 52795-093, 참조 코드: 634592N1)에 의해 특징화되었다. 절대 배열은 알려진 키랄 중심 또는 더 무거운 원자(들)의 결여로 확립되지 않았다. 결정학적 a-축을 따라 쇄 구조가 아미드 기와 카르보닐 산소 원자 (NO 3.159 Å) 사이의 분자간 수소 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구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8
결정 데이타:
화학식: C13H21N1O4
결정계: 사방정계
공간군: P212121
a = 5.2902(1) Å α=90°
b = 13.8946(2) Å β=90°
c = 19.9768(3) Å γ=90°
V = 1468.40(4) Å3
Z = 4, dx = 1.155 g cm-3
격자 매개변수에 대한 반사 수: 6817
격자 매개변수에 대한 θ 범위 (°): 2.2-65.2
흡수 계수 (mm-1): 0.700
실험:
결정화
결정원: MTBE
결정 모양: 무색 막대
결정 크기 (mm): 0.12 X 0.26 X 0.30
데이타 수집
온도 (K): 293
θmax (°): 65.2 (Cu Kα)
측정된 반사 수: 7518
독립 반사 수: 2390 (Rint = 0.0776)
관찰된 반사 수 (I ≥ 2δ: 2284)
흡수 보정 (Tmin-Tmax): 0.688-1.000
분할 F
0.2 M의 나트륨 보레이트 버퍼 (pH 9) 5 L를 45 ℃에서 20 리터의 재킷 반응기 중에 유지하고, 400 rpm으로 교반하였다. 3 L의 증류수 및 4 L의 사비나제 16L, EX 유형 (노보짐 노쓰 아메리카 인크.)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 도가 45 ℃에 근접했을 때, 10 N의 NaOH로 pH를 8.5로 조절하였다. DMSO (2 L) 중 라세미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00 g)의 용액을 적하 깔대기로 4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온도를 48 ℃로 조절하였다. 2시간 후, 10 N의 NaOH로 pH를 9.0으로 조절하였다. 18시간째에, 에스테르의 거울상이성질체 잉여가 72%에 도달하였고, 10 N의 NaOH로 pH를 9.0으로 조절하였다. 24시간째에, 온도를 35 ℃로 낮추었다. 42시간째에, 온도를 48 ℃로 높이고, 10 N의 NaOH로 pH를 9.0으로 조절하였다. 48시간째에 가열을 멈추고, 반응물을 천천히 실온 (약 25 ℃)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66시간째에, 반응 혼합물의 pH는 8.6이었다. 혼합물을 MTBE (2×4 L)로 추출하였다. 합한 MTBE 추출물을 5%의 NaHCO3 (6×300 mL) 및 물 (3×300 mL)로 세척하고, 농축하여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연황색 결정 (101A g; 순도: 210 nm에서 95.9%, 산을 포함하지 않음; 98.6% ee)으로 수득하였다.
10. 키랄 (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29
(1R,2S) N-Boc-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5 g, 33.3 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200 mL의 4 N의 HCl/디옥 산 (알드리치)과 교반하였다. 온도를 4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6.57 g, 약 100%)를 연한 황갈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0
11. N-Boc-(1R,2S)-1-아미노-2-시클로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1
디에틸 에테르 (10 mL) 중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255 mg, 1.0 mmol)의 용액을 팔라듐 아세테이트 (5 mg, 0.022 mmol)로 처리하였다. 오렌지색/적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 두었다. 디에틸 에테르 중 과량의 디아조메탄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 흐름을 이용하여 과량의 디아조메탄을 제거하고, 생성된 용액을 회전 증발로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1R,2S)-N-Boc-1-아미노-2-시클로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10 mg, 78%)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MS m/z 270 (M+ + H).
III. P1'-P1 중간체의 제조
12. P1P1'의 제조: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2
단계 1:
THF (7 mL) 및 메탄올 (7 mL) 중 1(R)-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3.28 g, 13.2 mmol)의 용액에 물 (14 mL) 중 LiOH (1.27 g, 53.0 mmol)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M의 NaOH (15 mL), 물 (2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다시 0.5 M의 NaOH (20 mL)로 추출하였다. pH = 4가 될 때까지, 합한 수성상을 1.0 M의 HCl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2.62 g, 87%)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3
단계 2:
THF (40 mL) 중 단계 1의 생성물 (2.62 g, 11.5 mmol) 및 CDI (2.43 g, 15.0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50분간 환류 가열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THF (10 mL) 중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 (1.82 g, 15.0 mmol)의 용액에 도관을 통해 이동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DBU (2.40 mL, 16.1 mmol)를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M의 HCl로 pH = 1로 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THF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여과, 농축 및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한 정제로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2.4 g)로 수득하였다. 모액을 바이오타지 40S 컬럼 (디클로로메탄 중 9%의 아세톤으로 용리함)으로 정제하여 두번째 배치의 의도한 생성물 (1.1 g)을 수득하였다. 두 배치를 합하였다 (총 수율 92%).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4
단계 3:
디클로로메탄 (35 mL) 및 TFA (32 mL) 중 단계 2의 생성물 (3.5 g, 10.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mL) 중 1.0 M의 HCl에 현탁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과정을 1회 반복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펜탄으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흡습성의 회백색 고체 (2.60 g, 92%)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5
13. P1-P1' 술파미드 유도체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6
THF (5 mL) 중 (1R, 2S)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17 mg, 1.194 mmol)의 용액에 CDI (290 mg, 1.79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간 환류 가열하였다. 또 다른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LiHMDS (헥산 중 1.0 M의 용액, 2.4 mL, 2.4 mmol)를 THF (5 mL) 중 N-에틸메틸술파미드 (330 mg, 2.388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두 반응 혼합물을 합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의도한 N-Boc 보호된 N-아실술파미드를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화합물을 디옥산 (2 mL) 중 4 N의 HCl 용액에 용해시켜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하여 갈색의 오일을 HCl 염 (112 mg, 수율 33%)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7
화합물 1 이성질체:
N-(4,6-디메틸-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N-(4,6-디메틸-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 화합물 1A 및 1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8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39
단계 1:
아세톤 (80 mL) 중 3-메톡시신남산 (11.0 g, 6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2.5 g, 124 mmol)의 용액에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대략 1.5 당량)를 0 ℃에서 적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수성 NaN3 (6.40 g, H2O 35 mL 중 10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0 m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휘발 성분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톨루엔 (3×5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디페닐메탄 (50 mL) 및 트리부틸아민 (30 mL)의 가열된 용액에 190 ℃에서 적가하였다. 적가하는 동안 증류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완전히 적가한 후,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210 ℃로 높였다. 냉각하자마자,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헥산 (2×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5.53 g, 51%)로 수득하였다 (문헌 [Nicolas Briet et al, Tetrahedron, 2002, 5761-5766]). LC-MS, MS m/z 176 (M+ + H).
단계 2:
POC13 (10 mL) 중 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5.0 g, 28.4 mmol)을 3시간 동안 적당하게 환류 가열한 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문헌 [Nicolas Briet et al, Tetrahedron, 2002, 5761-5766]). 잔류물을 얼음물 (20 mL)에 붓고, 10.0 M의 NaOH를 첨가하여 pH = 10으로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CHCl3로 추출하였 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4.41 g, 80%)로 수득하였다.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1
단계 3:
DMSO (40 mL) 중 N-Boc-4-(R)-히드록시-L-프롤린 (0.892 g, 3.89 mmol)의 용액에 상온에서 고체의 칼륨 tert-부톡시드 (1.34 g, 12.0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 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10 ℃로 냉각시켰다.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실시예 1, 단계 2의 생성물) (785 mg, 4.05 mmol)을 고체로 한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의 빙냉 시트르산 (수성)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1회 더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5%의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의 발포체 (1.49 g, 수율 99%)로 수득하였다. 상기 조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2
단계 4:
CH2Cl2 (50 mL) 중 실시예 1, 단계 3의 생성물 (1.49 g, 3.84 mmol), HATU (2.19 g, 5.76 mmol)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HCl 염 (1.12 g, 4.22 mmol)의 혼합물에 0 ℃에서 DIPEA (1.29 g, 11.5 mmol)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용액을 CH2Cl2 (50 mL)로 희석하고, 5%의 빙냉 시트르산 (수성)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5%의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60 g, 70%)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3
단계 5:
CH2Cl2 (10 mL) 중 실시예 1, 단계 4의 생성물 (1.50 g, 2.50 mmol)의 빙냉 용액에 TFA (1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상온으로 데우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중 1 M의 HCl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수집하고,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흡습성의 백색 고체 (1.43 g, 99.8%)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4
단계 6: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350 g, 0.610 mmol), HATU (0.302 g, 0.793 mmol), DIEA (0.277 g, 2.14 mmol) 및 디클로로메탄 (6 mL)의 혼합물에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135 g, 0.610 mmol, 스펙스 (Specs) (카탈로그 번호 AP-836/41220382)로부터 구입함)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로 HATU (0.302 g, 0.793 mmol), DIEA (0.079 g, 0.61 mmol) 및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135 g, 0.610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이 더 완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5 mL)에 용해시키고, 1.0 M의 수성 HCl (3×1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HCl 세척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NaHCO3 (2×10 mL) 및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암갈색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동일한 m/z를 갖는 두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용리되는 제1 이성질체는 화합물 1A (47.7 mg, 11.1%)로, 두번째 이성질체는 화합물 1B (16.9 mg, 3.9%)로 분류되었다.
화합물 1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5
화합물 1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6
실시예 2: 화합물 2, N-(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7
화합물 2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350 g, 0.610 mmol), HATU (0.464 g, 1.22 mmol), DIEA (0.316 g, 2.44 mmol) 및 디클로로메탄 (6 mL)의 혼합물에 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발린 (0.320 g, 1.2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1.0 M의 수성 HCl (3×5 mL)로 세척하였다. HCl 세척액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NaHCO3 (2×5 mL) 및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95:5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플러그에 통과시켰다. 역상 정제용 HPLC로 더 정제하여 화합물 2 (0.174 g, 38.3%)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는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었던 두 이성질체 중 주 이성질체이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8
실시예 3: 화합물 3, N-(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49
화합물 3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0
디클로로메탄 (750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70.2 g, 122 mmol), Boc-tert-류신 (31.2 g, 135 mmol), NMM (63.1 g, 624 mmol) 및 HATU (60.5 g, 15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3 L) 및 pH = 4의 버퍼 (1 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다시 pH = 4의 버퍼 (2×1 L) 및 염수 (3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오렌지색 발포체를 얻었다. 조질의 고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 10:1 디클로로메탄:아세톤, 7:1 디클로로메탄:아세톤으로 단계적 용리)로 정제하였다. 농축 물질의 이소프로판올로부터의 반복적인 결정화로 순수한 생성물을 대형의 무색 박편 (58.3 g, 수율 67%)으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714 (M+ + H).
단계 2:
건식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실시예 3, 단계 1의 생성물 (15.0 g, 21.0 mmol)의 교반 용액에 TFA (1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분간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1,2-디클로로에탄 (20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여 백색의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건식 디클로로메탄 (50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50 mL)를 첨가하였다. 이후, 빠르게 교반한 용액을 에테르 (150 mL) 및 건식 디에틸 에테르 (250 mL) 중 2.0 M의 HCl의 혼합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질소 하에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로 헹구고, 공기 건조시켰다.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밤새 40 ℃로 건조시켜 백색의 자유 방출 분말 생성물을 비스-HCl 염 (13.9 g, 수율 96.3%)으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614 (M+ + H).
단계 3:
아세토니트릴 (4 mL) 중 실시예 3, 단계 2의 생성물 (0.253 g, 0.369 mmol) 및 DIEA (0.215 g, 1.66 mmol)의 용액에 2-클로로-4,6-디메톡시-1,3,5-트리아젠 (0.100 g, 0.55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켐글라스 (Chemglass) 압력 용기에서 2시간 동안 135 ℃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1.0 M의 수성 HCl (2×5 mL)로 세척한 후,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97:3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 3 (0.252 g, 수율 91%)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1
실시예 4: 화합물 4, N-(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2
화합물 4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3
단계 1:
아세토니트릴 (5 mL) 중 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0.367 g, 1.75 mmol) 및 DIEA (0.567 g, 4.38 mmol)의 혼합물에 2-클로로-4,6-디메톡시-1,3,5-트리아젠 (0.476 g, 2.6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130 ℃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여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15 mL)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은 후 이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97:3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연갈색의 점성 오일 (0.521 g, 수율 95%)로 수득하였다.
단계 2:
실시예 4, 단계 1의 생성물 (0.500 g, 1.6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용해시키고, TFA (5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20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10 mL) 중 2.0 M의 HCl의 빠르게 교반한 용액에 적가하였다. 침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이에 따라, 황색 고체 (0.45 g, 수율 96%)를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 하지 않고 이어서 사용하였다.
단계 3:
디클로로메탄 (7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421 g, 0.734 mmol) 및 DIEA (0.428 g, 3.30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4, 단계 2의 생성물 (0.215 g, 0.734 mmol) 및 HATU (0.335 g, 0.88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80분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15 mL)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얻고, 이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97:3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정제하여 화합물 4를 백색 고체 (0.243 g, 수율 45%)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4
실시예 5: 화합물 5,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5
화합물 5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6
단계 1:
아세토니트릴 (37 mL) 중 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55 g, 7.39 mmol) 및 DIEA (2.01 g, 15.5 mmol)의 혼합물에 2-클로로-4,6-디메톡시피리미딘 (1.55 g, 8.87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서 48시간 동안 130 ℃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 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고, 이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9: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후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단계 구배)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갈색의 점성 오일 (1.02 g, 수율 44%)로 수득하였다.
단계 2:
실시예 5, 단계 1의 생성물 (0.944 g, 3.03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TFA (1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50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및 헥산 (100 mL) 중 1.0 M의 HCl의 빠르게 교반한 용액에 적가하였다. 침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의 발포성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이어서 사용하였다.
단계 3:
디클로로메탄 (7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425 g, 0.741 mmol) 및 DIEA (0.432 g, 3.34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5, 단계 2의 생성물 (0.259 g, 0.889 mmol) 및 HATU (0.366 g, 0.96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15 mL)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점성의 갈색 오일을 얻고, 이를 실리카겔 플러그 (95:5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통과시켰다.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추가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 화합물 5 (0.243 g, 수율 45%)를 두 이성질체의 명백한 2:1의 혼합물로 수득하였다. 이성질체를 분리하지 않았다. LC-MS, MS m/z 738 (M+ + H).
화합물 6 이성질체:
N-(4,6-디메틸-2-피리미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N-(4,6-디메틸-2-피리미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6: 화합물 6A 및 6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7
화합물 6A 및 6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8
아세토니트릴 (50 mL) 중 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09 g, 14.7 mmol) 및 DIEA (4.01 g, 31.0 mmol)의 혼합물에 2-클로로-4,6-디메틸피리미딘 (2.31 g, 16.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서 72시간 동안 135 ℃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5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고, 이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생성물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실시예 6, 단계 1의 생성물 (1.80 g, 6.44 mmol)을 디클로로메탄 (25 mL)에 용해시키고, TFA (25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50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수성 1 N의 HCl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산 추출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황색 고체 (1.23 g)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224 (M+ + H).
단계 3: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438 g, 0.764 mmol) 및 DIEA (0.495 g, 3.82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6, 단계 2의 생성물 (0.218 g, 0.840 mmol) 및 HATU (0.378 g, 0.99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15 mL)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점성의 갈색 오일을 얻고, 이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97:3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이후 95:5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의 구배)로 정제하였다. LCMS에 의한 동일한 m/z를 갖는 두 독립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첫번째 용리 생성물은 부 화합물이고, 화합물 6A (연황색 고체, 0.0408 g, 수율 7.6%)로 분류되었다. 컬럼 (황색 고체, 0.280 g)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되는 주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6B (0.040 g, 수율 7.4%)를 황색 고체의 비스-HCl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6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59
화합물 6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0
실시예 7: 화합물 7, N-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1
화합물 7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2
단계 1:
건식 1,2-디클로로에탄 (1 mL) 중 2-클로로피리딘 (0.205 g, 1.80 mmol) 및 나트륨 tert-부톡시드 (0.590 g, 6.13 mmol)의 혼합물에 건식 1,2-디메톡시에탄 (1 mL) 중 Pd(OAc)2 (0.0405 g, 0.180 mmol) 및 (R)-(-)-1-[(S)-(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페로세닐] 에틸 디-tert-부틸 포스핀 (0.100 g, 0.180 mmol, 스트렘 케미칼스 (Strem Chemicals) 카탈로그 번호 26-0975, CAS # [158923-11-6])의 선-혼합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TBDMSCl (0.598 g, 3.97 mmol)로 빠르게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잠시 동안 흔들어 섞고, 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0.454 g, 2.16 mmol)를 빨리 첨가하고, 다시 흔들어 섞었다. 즉시 적당한 발열이 일어났다. 10분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한 pH = 7의 버퍼 용액 (50 mL)에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첨가하고,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NaCl을 첨가하여 수성상을 포화시키고,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어두운 색의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8: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액체 (0.365 g)를 수득하고, 이 액체가 의도한 생성물과 0.6 당량의 TBDMS 부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수율은 약 61%이었다. LC-MS, MS m/z 251 (M+ + H).
단계 2:
실시예 7, 단계 1의 생성물 (0.944 g, 3.03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TFA (1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한 후, 다시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0:1 디클로로메탄:메탄올→5:1 디클로로메탄:메탄올 구배)로 정제하여 무색의 왁스형 고체 (0.126 g, 수율 59.0%)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195 (M+ + H).
단계 3:
디클로로메탄 (2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250 g, 0.436 mmol) 및 NMM (0.176 g, 1.74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7, 단계 2의 생성물 (0.085 g, 0.44 mmol) 및 HATU (0.199 g, 0.52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9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 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7 (0.243 g, 수율 45%)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7은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는, LCMS에 의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이성질체 중 주 이성질체이다. 부 이성질체 (주 이성질체보다 역상 정제용 HPLC 컬럼 상에 더 체류함)는 단리되지 않았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3
실시예 8: 화합물 8, N-(4-메톡시-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4
화합물 8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에 2-클로로-4-메톡시피리딘 (259 mg, 1.80 mmol)을 사용하고, 에테르 중 2.0 M의 HCl을 디클로로메탄 중 농축된 단계 1의 생성물에 첨가하여 단계 2에서 염산염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8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및 3의 규모는 또한 이전 단계의 수율을 기초로 조절하였다. 화합물 8 (0.0290 g, 수율 11.6%)을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회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단일 이성질체이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5
실시예 9: 화합물 9, N-(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6
화합물 9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에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딘 (0.328 g, 1.80 mmol)을 사용하고, 에테르 중 2.0 M의 HCl을 디클로로메탄 중 농축된 단계 1의 생성물에 첨가하여 단계 2에서 염산염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9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및 3의 규모는 또한 이전 단계의 수율을 기초로 조절하였다. 화합물 9 (0.0630 g, 수율 12.6%)를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진청색/터키옥색의 고체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단일 이성질체이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7
실시예 10: 화합물 10, N-(4-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8
화합물 10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에 2-브로모-4-메틸 피리딘 (0.310 g, 1.80 mmol)을 사용하고, 에테르 중 2.0 M의 HCl을 디클로로메탄 중 농축된 단계 1의 생성물에 첨가하여 단계 2에서 염산염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10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및 3의 규모는 또한 이전 단계의 수율을 기초로 조절하였다. 화합물 10 (0.0110 g, 수율 8.9%)을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회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단일 이성질체이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69
실시예 11: 화합물 11, N-(4-시아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0
화합물 11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에 2-클로로-4-시아노 피리딘 (0.328 mg, 1.80 mmol)을 사용하고, 에테르 중 2.0 M의 HCl을 디클로로메탄 중 농축된 단계 1의 생성물에 첨가하여 단계 2에서 염산염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11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및 3의 규모는 또한 이전 단계의 수율을 기초로 조절하였다. 화합물 11 (0.0210 g, 수율 6.0%)을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보라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이 물질은 대략 2:1의 비율의 두 이성질체의 분리할 수 없는 혼합물이다. LC-MS, MS m/z 702 (M+ + H).
화합물 12 이성질체:
3-메틸-N-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2: 화합물 12A 및 1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1
화합물 12A 및 12B
단계 1에서 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tert-류신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0.486 g, 2.16 mmol)를 사용하고, 에테르 중 2.0 M의 HCl을 디클로로메탄 중 농축된 단계 1의 생성물에 첨가하여 단계 2에서 염산염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12A 및 12B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및 3의 규모는 또한 이전 단계의 수율을 기초로 조절하였다. 단계 3의 조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화합물을 높은 순도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2A (0.0772 g, 수율 20.9%)는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첫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유리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2B (0.0204 g, 수율 5.5%)는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두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2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2
화합물 12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3
화합물 13 이성질체:
3-메틸-N-3-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3-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3: 화합물 13A 및 13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4
화합물 13A 및 13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5
단계 1:
건식 1,2-디클로로에탄 (5 mL) 중 3-클로로피리딘 (0.410 g, 3.61 mmol) 및 나트륨 tert-부톡시드 (1.18 g, 12.3 mmol)의 혼합물에 건식 1,2-디메톡시에탄 (2 mL) 중 Pd(OAc)2 (0.0405 g, 0.180 mmol) 및 (R)-(-)-1-[(S)-(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 디-tert-부틸 포스핀 (0.100 g, 0.180 mmol, 스트렘 케미칼스 카탈로그 번호 26-0975, CAS # [158923-11-6])의 선-혼합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잠시 동안 흔들어 섞고, tert-류신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0.970 g, 4.33 mmol)로 재빨리 처리하고, 다시 흔들어 섞었다.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고, pH = 7의 버퍼 용액 (100 mL) 및 1.0 M의 수성 HCl (12 mL)의 빠르게 교반한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고, 흔들어 섞었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짙은 오렌지색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00% 헥산→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살색의 고체 (0.583 g, 수율 61.1%)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265 (M+ + H).
단계 2:
실시예 13, 단계 1의 생성물 (0.200g, 0.756 mmol)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용해시키고, TFA (5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15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시키고, 빠르게 교반한 에테르 중 2.0 M의 HCl (40 mL)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베이지색 침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베이지색 분말 (0.160 g, 수율 86.4%)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209 (M+ + H).
단계 3:
디클로로메탄 (2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242 g, 0.422 mmol) 및 NMM (0.203 g, 2.01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13, 단계 2의 생성물 (0.098 g, 0.40 mmol) 및 HATU (0.242 g, 0.42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점성의 갈색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바로 정제하여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화합물을 높은 순도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3A (0.154 g, 수율 41.6%)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 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되고,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3B (0.118 g, 수율 31.9%)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3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6
화합물 13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7
화합물 14 이성질체: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 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4: 화합물 14A 및 1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8
화합물 14A 및 1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79
단계 1:
2-브로모-4,6-디메틸피리딘 (0.839 g, 4.51 mmol), 나트륨 tert-부톡시드 (1.47 g, 15.3 mmol), tert-류신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21 g, 5.41 mmol) 및 TBDMSCl (1.5 g, 9.9 mmol)을 합하고, 1,2-디메톡시에탄 (6 m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건식 1,2-디메톡시에탄 (2 mL) 중 Pd(OAc)2 (0.202 g, 0.902 mmol) 및 (R)-(-)-1-[(S)-(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 디-tert-부틸 포스핀 (0.500 g, 0.902 mmol, 스트렘 케미칼스 카탈로그 번호 26-0975, CAS # [158923-11-6])의 선-혼합 용액을 즉시 첨가하였다. 적당한 발열이 일어났고, 혼합물은 암갈색이 되었다. 10분 후, 혼합물은 오렌지색이었다.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pH = 7의 버퍼 용액 (75 mL) 및 1.0 M의 수성 HCl (15 mL)의 빠르게 교반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00% 헥산 → 10: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 (0.786 g)을 수득하여, 이 오일이 의도한 생성물과 1.9 당량의 TBDMS 부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계속 사용하였다. LC-MS, MS m/z 293 (M+ + H).
단계 2:
실시예 14, 단계 1의 생성물 (0.750 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TFA (1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15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시키고, 빠르게 교반 한 디에틸 에테르 중 2 M의 HCl (40 mL)에 적가하였다. 침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역용매로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의 조 물질의 반복적인 침전으로 결국 황색 분말 (0.286 g, 2단계에 걸쳐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237 (M+ + H).
단계 3:
디클로로메탄 (2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189 g, 0.330 mmol) 및 NMM (0.167 g, 1.65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14, 단계 2의 생성물 (0.090 g, 0.33 mmol) 및 HATU (0.151 g, 0.39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로 실시예 14, 단계 2의 생성물 (0.049 g, 0.18 mmol), HATU (0.082 g, 0.216 mmol) 및 NMM (0.0381 g, 0.377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용액을 4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바로 정제하여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4A (0.118 g, 수율 37.8%)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되고, 회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4B (0.044 g, 수율 14.1%)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0
화합물 14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1
화합물 15 이성질체: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5: 화합물 15A 및 15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2
화합물 15A 및 15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3
단계 1:
L-tert-류신 (0.840 g, 6.40 mmol), K2CO3 (1.33 g, 9.60 mmol) 및 CuI (0.122 g, 0.64 mmol)를 35 mL의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 합했다. 브로모벤젠 (1.01 g, 6.4 mmol) 및 DMA (8 mL)를 첨가하고, 용기의 헤드스페이스를 질소로 채우고, 용기를 밀봉하고, 혼합물을 밤새 90 ℃로 가열하였다. 추가로 DMA (8 mL)를 첨가하여 교반을 용이하게 하고, 혼합물을 밤새 130 ℃로 가열하였다. 소량의 생성물 만이 형성된 것을 LCMS로 확인한 후, 혼합물을 과량의 CuI (대략 1 g)로 충전하고, 반응물을 다시 밀봉하고, 2일간 130 ℃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pH = 5에 도달할 때까지 1.0 M의 수성 HCl로 처리한 후, pH = 7의 버퍼 (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고체 잔류물을 얻었다.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1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정제하여 살색의 왁스형 고체 (0.286 g)를 수득하고, 상기 고체가 대략 1.2 당량의 동반 DMA를 포함한 것을 1H NMR로 확인하였다. LC-MS, MS m/z 208 (M+ + H).
단계 2:
디클로로메탄 (2 mL) 중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0.200 g, 0.349 mmol) 및 NMM (0.141 g, 1.40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15, 단계 1의 생성물 (0.108 g, 0.35 mmol, 순도 67%) 및 HATU (0.160 g, 0.41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및 물 (30 mL)을 첨가하였다. 모든 고체가 용해되지는 않았다. 혼합물을 25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1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용매와 함께 이동시키고, 유기 용매가 제거되어 수성상 및 용해되지 않은 고체가 남을 때까지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수성상은 미량의 생성물과 함께 대부분 수용성의 부산물을 포함하고, 고체는 대부분 생성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조 정제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LCMS로 확인하였다. 고체를 액체로부터 여과하여 백색 분말 (0.225 g)을 수득하였다. 상기 백색 분말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추가로 정제하여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5A (0.124 g, 수율 38.8%)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고, 갈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5B (0.0633 g, 수율 19.8%)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고, 갈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5A: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4
화합물 15B: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5
실시예 16: 화합물 16,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디메틸술파모일)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 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6
화합물 16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7
단계 1:
N-Boc-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1.83 g, 8.05 mmol) 및 THF (32 m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1.44 g, 8.86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N,N-디메틸술파미드 (1.0 g, 8.05 mmol)로 처리한 후, DBU (2.45 g, 16.1 mmol)로 처리하고, 추가로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1.0 M의 수성 HCl (2×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부분을 H2O (25 m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연황색 고체 (2.6 g, 수율 97%)를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MS m/z 356 (M+ + Na).
단계 2:
1:1 디클로로메탄:1,2-디클로로에탄 (20 mL) 중 실시예 16, 단계 2의 생성물 (1.42 g, 4.26 mmol)의 용액에 TFA (10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2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다시 농축하여 황색 고체 (1.46g, 수율 99%)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234 (M+ + H).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8
단계 3:
실시예 16, 단계 3의 생성물을 실시예 16, 단계 2의 생성물로부터 실시예 1, 단계 4의 생성물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91%의 수율로 제조하였다.
단계 4:
실시예 16, 단계 4의 생성물을 실시예 16, 단계 3의 생성물로부터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95%의 수율로 제조하였다. LC-MS, MS m/z 504 (M+ + H).
단계 5:
디클로로메탄 (4 mL) 중 실시예 16, 단계 4의 생성물 (0.200 g, 0.347 mmol) 및 DIEA (0.180 g, 1.39 mmol)의 혼합물에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092 g, 0.416 mmol) 및 HATU (0.198 g, 0.52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로 반응이 완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039 g, 0.174 mmol) 및 HATU (0.066 g, 0.17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해 반응은 여전히 완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한번, 추가의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039 g, 0.174 mmol) 및 HATU (0.066 g, 0.17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 M의 수성 HCl (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 여 화합물 16 (형성된 두 이성질체 중 주 이성질체)을 황색 고체의 비스-HCl 염 (0.060 g, 수율 22.1%)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89
실시예 17: 화합물 17,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0
화합물 17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1
단계 1: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4-메톡시-2-메틸벤조산 (10.2 g, 61.4 mmol)의 용액을 옥살릴 클로라이드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DMF를 한 방울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 (14.9 g, 128.9 mmol)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의 수성 시트르산 (2×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 (2×100 mL)으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최소량의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pH = 13이 될 때까지 10.0 M의 수성 NaOH를 첨가하여 수성상을 염기성으로 만든 후, 디클로로메탄 (4×2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먼저 수득한 생성물과 합하고,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여 백색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 (11.3 g, 수율 70%)을 점성의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2
단계 2:
THF (5 mL) 중 실시예 17, 단계 1의 생성물 (0.461 g, 1.78 mmol)의 용액을 0 ℃에서 LDA 용액 (THF/헥산 중 1.8 M, 1.2 mL, 2.14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의 LDA (1 m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10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의도한 생성물 (0.312 g, 수율 80%)을 갈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3
단계 3:
실시예 17, 단계 2의 생성물 (10.0 g, 45.8 mmol)을 POCl3 (43 m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서 5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자마자, 생성된 케이크를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에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격렬한 가스 발생이 뒤이어 일어났다. 가스 발생이 중단되었을 때, 혼합물을 분별깔대기에서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 (3×2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를 잔류물에 첨가하여 흑색 고체의 침전을 초래하고, 상기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의도한 생성물 (5.72 g, 수율 53.0%)울 수득하였다. LC-MS, MS m/z 237 (M+ + H).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4
단계 4:
THF (100 mL) 중 Boc-Hyp-OH (5.60 g, 24.2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THF 중 1.0 M, 53.2 mL, 53.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갈색으로 변하 였고, 겔이 되어 이를 격렬한 교반으로 깨뜨렸다. 15 분 후, 실시예 17, 단계 3의 생성물 (5.72 g, 24.2 mmol)을 조금씩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70 ℃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에 1.0 M의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430 (M -H).
단계 5:
디클로로메탄 (150 mL) 중 실시예 17, 단계 4의 생성물 (8.90 g, 20.6 mmol), DIEA (8.01 g, 61.9 mmol)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HCl 염 (6.60 g, 24.8 mmol)의 혼합물을 HATU (10.2 g, 26.8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갈색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흡수시키고, 물 (100 mL)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3×10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0.10 M의 수성 HCl (100 mL)로 세척한 후, 10%의 수성 탄산나트륨 (50 mL)으로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암갈색의 발포성 고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95:5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 (12.9 g, 수율 97%)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642 (M -H).
단계 6:
1:1의 디클로로메탄:1,2-디클로로에탄 (100 mL) 중 실시예 17, 단계 5의 생성물 (12.7 g, 19.6 mmol)의 용액에 TFA (5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10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에 용해시키고, 격렬하게 교반한 디에틸 에테르 중 1.0 M의 HCl (500 mL)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연갈색의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 중 1.0 M의 HCl로 세척하여 갈색 분말 (10.2 g, 수율 85.0%)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544 (M+ + H).
단계 7:
실시예 17, 단계 6의 생성물 (0.258 g, 0.419 mmol),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 부탄산 (0.111 g, 0.503 mmol), DIEA (0.217 g, 1.68 mmol) 및 HATU (0.239 g, 0.629 mmol)를 디클로로메탄 (4 mL)에 합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부탄산 (0.0465 g, 0.210 mmol) 및 HATU (0.080 g, 0.2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1.0 M의 수성 HCl (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0%의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MgSO4로 건조 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17 (0.037 g, 수율 10.8%)을 갈색 분말의 비스-HCl 염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5
실시예 18: 화합물 18,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6
화합물 18
실시예 17, 단계 6의 생성물 (0.203 g, 0.330 mmol)을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을 대신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 단계 3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화합물 18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LCMS m/z를 갖는 두 생성물이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었으나, 단일 이성질체 화합물 18만이 적당한 순도로 단리되었 다. 화합물 18은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되고, 갈색 분말의 비스-TFA 염 (0.102 g, 수율 40.6%)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7
화합물 19 이성질체: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19: 화합물 19A 및 19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8
화합물 19A 및 19B
실시예 17, 단계 6의 생성물 (0.203 g, 0.330 mmol), NMM (0.134 g, 1.32 mmol), HATU (0.151 g, 0.396 mmol) 및 실시예 15, 단계 1의 생성물 (0.102 g, 0.330 mmol)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합하고,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동일한 LCMS m/z를 갖는 두 생성물이 상기 반응에서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19A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되고, 갈색 분말의 비스-TFA 염 (0.0806 g, 수율 33.3%)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9B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되고, 갈색 분말의 비스-TFA 염 (0.0573 g, 수율 23.7%)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9A: LC-MS, MS m/z 733 (M+ + H).
화합물 19B: LC-MS, MS m/z 733 (M+ + H).
화합물 20 이성질체: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 화합물 20A 및 20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199
화합물 20A 및 20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0
단계 1:
THF (100 mL) 중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DMPU, 7.02 g, 55 mmol)의 용액에 LDA (THF 중 2.0 M, 27.5 mL, 55 mmol)를 -78 ℃에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교반하면서 10분간 상기 온도로 유지한 후, 4-메톡시-2-메틸벤조니트릴 (7.36 g, THF 5 mL 중 50 m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진한 오렌지색 용액을 교반하면서 30분간 상기 온도로 유지하였다. 이후, 무색이 될 때까지, -78 ℃에서 CO2 가스를 이 용액에 버블링하였다. 최종 용액을 교반하면서 추가로 30분간 상기 온도로 유지한 후, 5분간 N2로 퍼징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H2O (80 mL)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실온으로 데웠다. 10.0 M의 NaOH (수성, 20 mL, 200 mmol)를 첨가하여 얻어진 균일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 (10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pH = 2까지 진한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였다. 케이크를 H2O로 철저히 세척하고,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 (7.90 g, 수율 83.0%)을 백색 박편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1
단계 2:
디클로로메탄 (40 mL)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40 mL) 중 2-(2-시아노-5-메톡시페닐)아세트산의 슬러리를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갈색의 점성 오일 (6.80 g, 수율 97%)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2
단계 3:
1,4-디옥산 (100 mL) 중 4.0 M의 HCl 중 2-(2-시아노-5-메톡시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6.40 g, 30.6 mmol)의 용액을 밀봉한 용기에서 밤새 교반하면서 60 ℃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철저하게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을 미세한 연황색 분말 (6.14 g, 수율 9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3
단계 4:
DMF (2.5 mL) 중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올 (0.209 g, 1.0 mmol), Cs2CO3 (0.715 g, 2.2 mmmol) 및 CH3I (0.284 g, 2.0 mmol)의 슬러리를 밀봉한 시험관에서 3시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자마자, 갈색 용액의 상층을 얼음으로 냉각시킨 5%의 시트르산으로 경사분리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5%의 시트르산, 1.0 M의 NaOH (수성) 및 염수로 차례대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하여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 (0.152 g, 수율 68.0%)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224 (M++ H).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4
단계 5:
출발 물질로 실시예 1, 단계 2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20, 단계 4의 생성물 (1.25 g, 5.6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단계 3의 생성물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실시예 20, 단계 5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1, 2:1 및 1:1 헥산:아세톤의 단계 구배)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발포체 (2.34 g, 수율 91.6%)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419 (M++ H).
단계 6:
0 ℃의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 중 실시예 20, 단계 5의 생성물 (1.94 g, 5.68 mmol)의 용액에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HCl 염 (2.29 g, 5.68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한 후, DIPEA (1.91 g, 17.0 mmol)를 적가하고, 현탁액을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EDC (1.41 g, 7.38 mmol) 및 HOBT (0.767 g, 5.68 mmol)로 처리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 %의 빙냉 수성 시트르산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5%의 수성 시트르산, 5%의 수성 나트륨 시트레이트 및 최종적으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아세톤)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백색의 발포체 (2.50 g, 수율 79%)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631 (M++ H).
단계 7:
실시예 20, 단계 6의 생성물 (3.20 g, 5.08 mmo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TFA (20 mL)로 처리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 중 1.0 M의 HCl과 합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분리하고, 에테르로 헹구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 (2.97 g, 수율 95.0%)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531 (M++ H).
단계 8:
실시예 17, 단계 6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20, 단계 7의 생성물 (0.100 g, 0.166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9A 및 19B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화합물 20A 및 20B를 제조하였다. 화합물 20A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 (0.0564 g, 수율 35.9%)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0B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 (0.0367 g, 수율 23.4%)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0A: LC-MS, MS m/z 720 (M+ +H).
화합물 20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5
실시예 21: 화합물 21,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6
화합물 21
실시예 17, 단계 6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20, 단계 7의 생성물 (0.253 g, 0.419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 단계 7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1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21 (0.052 g, 수율 15.3%)을 갈색 분말의 비스-HCl 염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7
화합물 22 이성질체: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 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 화합물 22A 및 2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8
화합물 22A 및 22B
<실시예 22의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09
단계 1:
티오닐 클로라이드 (23.5 mL, 0.30 mol) 중 3-클로로-6-메틸벤조산 (17.0 g, 0.10 mol)의 슬러리를 천천히 적당하게 환류 가열하고, 그 온도를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 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DCM (50 mL) 중에 흡수시킨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HCl의 제거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후, 생성물을 THF (80 mL)에 용해시키고, 하기 기술된 대로 다음 반응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소금-빙조 (-10 ℃)로 냉각시킨 물 (240 mL) 중 30%의 암모니아 (58 mL)의 용액에 상기 단계 1의 생성물의 THF 용액을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 (슬러리)을 -1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경사분리하였다. 이후, 반응 용기 내의 잔류 고체를 물 (50 mL)로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및 경사분리 과정을 다시 반복하였다. 이후, 잔류 고체를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 (13.8 g, 82%)을 백색의 결정성 물질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0
단계 3:
단계 2의 생성물 (11.5 g, 68 mmol), DMF-아세탈 (10.9 mL, 82 mmol) 및 THF (150 mL)의 혼합물을 환류 가열하고, 2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헥산 (150 mL)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의도한 생성물 (14.7 g, 96%)을 백색의 침상 결정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1
단계 4:
THF (300 mL) 중 단계 3의 생성물 및 KOtBu (14.7 g, 131 mmol)의 혼합물을 환류 가열하고, 2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하였다 (가열하자마자 반응 혼합물은 짙은 색의 용액으로 되었다). 대략 100 mL의 용매를 증류하여 반응 혼합물의 부피를 감소시켰다. 이후, 생성된 용액을 조심스럽게 물 (1 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pH가 4가 될 때까지 1 M의 HCl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수집한 고체를 물로 철저히 세척한 후,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 (7.0 g, 60%)을 회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2
단계 5:
MeCN (500 mL, 무수) 중 단계 4의 생성물 및 NBS (39.747 g, 223.3 mmol)의 슬러리를 대략 2시간 동안 천천히 적당하게 환류 가열하고, 1.5시간 동안 적당하게 환류를 계속하였다 (이 반응은 LC/MS로 모니터할 수 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3시간 동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관찰된 고체를 단순 여과로 제거하였다. 수집한 고체를 MeCN (100 mL×3)으로 세척하여 47 g의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3
단계 6:
POCl3 (200 mL, 2.15 mol) 중 단계 5의 생성물 (47 g, 182 mmol)의 불균일 용액을 1시간 동안 천천히 환류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계속 환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과량의 POCl3를 제거하였다. 이후, 생성된 잔류물을 600 mL의 CH2Cl2에 흡수시키고, -35 ℃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이 약 염기성 (pH = 8)이 될 때까지 1 N의 NaOH (400 mL)로 조심스럽게 중성화하였다. 생성된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EtOAc (대략 50 mL)로부터 결정화하여 32 g의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집한 고체를 10%의 EtOAc/헥산 (3×50 mL)으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농축하고, 바이오타지 (헥산 중 16%의 EtOAc로 용리)로 정제하여 4 g의 의도한 생성물을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4
단계 7:
-78 ℃에서 THF (500 mL) 중 단계 6의 생성물 (22.16 g, 80 mmol)의 슬러리 에 100 mL의 n-BuLi (헥산 중 1.6 M, 160 mmol)을 15 분에 걸쳐 도관을 통해 적가하였다 (내부 온도를 -65 ℃미만으로 유지함). 생성된 용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i-PrO)3B (37 mL, 160 mmol)을 10 분에 걸쳐 주사기로 적가하였다 (내부 온도를 -65 ℃미만으로 유지함).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로 반응의 완결 정도를 체크한 후, 30%의 H2O2 (80 mL, 776 mmol)를 10 분에 걸쳐 적하 깔대기로 적가한 후 (첨가하는 동안, 내부 온도는 -60 ℃로 증가함), 1 N의 NaOH (80 mmol) 80 mL를 첨가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실온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로 반응의 완결 정도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40 ℃로 냉각시키고, 과량의 H2O2를 제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 (400 mL) 중 100 g의 Na2SO3 (0.793 moles)의 용액을 30 분에 걸쳐 적하 깔때기로 적가하였다 (내부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함). 이후, pH가 대략 6이 될 때까지 0 ℃에서 생성된 슬러리를 6 N의 HCl (대략 50 mL)로 중성화하고, 500 mL의 EtOAc로 희석하고, 2 L의 분별깔대기에 경사분리하였다. 반응 용기 내의 잔류 고체에 500 mL의 물 및 300 mL의 EtOAc를 첨가한 후, 6 N의 HCl (대략 20 mL)로 중성화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 (300 mL×3)로 세척한 후, 물 (200 mL×3)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50 mL의 EtOAc로 처리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고, EtOAc (3×25 mL)로 헹구고,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 (2회: 12.0 g, 70% 및 13.8 g, 81%)을 수득하였다. 여과액 을 합하고, 농축하고, 헥산 중 35%의 EtOAc로 용리하는 바이오타지로 정제하여 2.1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전체적으로, 44.4 g의 브로마이드로 27.9 g (81%)의 4-OH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5
단계 8:
0 ℃에서 MeOH-MeCN (30 mL/300 mL) 중 단계 7의 생성물 (16 g, 75.5 mmol)의 슬러리에 헥산 (120 mmol) 중 TMSCHN2의 2 M의 용액 60 m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운 후,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EtOAc (약 50 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8.1 g의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고, 헥산 중 25%의 EtOAc (20 mL×3)으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농축하고, 바이오타지 (헥산 중 16%의 EtOAc로 용리)로 정제하여 3.2 g의 의도한 생성물을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6
<실시예 22의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7
단계 3:
DMSO (20 mL) 중 단계 2, 실시예 22의 생성물 (0.452 g, 1.98 mmol), Boc-HYP-OH (0.508 g, 2.20 mmol) 및 칼륨 tert-부톡시드 (0.672 g, 6.0 mmol)를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1.0 M의 수성 HCl로 중성화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고체 (0.844 g, 정량적)를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실시예 22, 단계 3의 생성물 (0.422 g, 1.0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및 DIEA (2 mL)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p-톨루엔술폰산 염 (0.402 g, 1.00 mmol) 및 HATU (0.600 g, 1.5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아세톤)로 정제하여 고체의 의도한 생성물 (0.600 g, 수율 94.5%)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636 (M+ + H).
단계 5:
메탄올 (50 mL)에 용해시킨 실시예 22, 단계 4의 생성물 (6.34 g, 9.98 mmol)을 12 M의 HCl (3 m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6:
DMF (5 mL) 중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 (0.480 g, 0.790 mmol), DIEA (1 mL) 및 실시예 14, 단계 2의 생성물 (0.240 g, 0.880 mmol)의 용액에 질소를 공급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HATU (0.456 g, 1.12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46 ℃로 2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것과 같이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A (0.045 g, 수율 7.6%)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한 다. 화합물 22B (0.050 g, 수율 8.4%)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한다.
화합물 22A: LC-MS, MS m/z 754 (M+ + H).
화합물 22B: LC-MS, MS m/z 754 (M+ + H).
실시예 23: 화합물 23, 3-메틸-N-(4-메틸-5-니트로-2-피리디닐)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8
화합물 23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19
단계 1:
무수 DMF (50 mL) 중 2-브로모-5-니트로-4-피콜린 (2.00 g, 9.22 mmol), L-tert-류신 (1.27 g, 9.68 mmol) 및 탄산칼륨 (3.18 g, 23.0 mmol)의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80 ℃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 (약 25 mL)을 얻은 후, DCM (200 mL) 및 물 (1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DCM (3×10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암적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0.66 g, 수율 27%)를 수득하였다. LC-MS, MS m/z 268 (M+ + H).
단계 2:
실시예 23, 단계 1의 생성물 (0.145 g, 0.543 mmol)을 DCM (4 mL) 중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 (0.300 g, 0.493 mmol) 및 HATU (0.281 g, 0.740 mmol)와 합했다. 상기 혼합물에 N-메틸모르폴린 (0.250 g, 2.47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한 후, 3일간 60 ℃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실시예 23, 단계 1의 생성물 (0.145 g, 0.543 mmol) 및 HATU (0.281 g, 0.7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3을 오렌지색/갈색의 고체 비스-TFA 염 (0.097 g, 수율 19.4%)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0
화합물 24 이성질체:
N-5-피리미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5-피리미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4: 화합물 24A 및 2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1
화합물 24A 및 2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2
단계 1:
5-브로모피리미딘 (1.15 g, 7.21 mmol) 및 나트륨 tert-부톡시드 (2.36 g, 24.5 mmol)를 75 mL의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서 무수 1,2-디메톡시에탄 (15 mL)과 합했다.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건식 1,2-디메톡시에탄 (2 mL) 중 Pd(OAc)2 (0.0405 g, 0.180 mmol) 및 (R)-(-)-1-[(S)-(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 디-tert-부틸 포스핀 (0.100 g, 0.180 mmol, 스트렘 케미칼스 카탈로그 번호 26-0975, CAS # [158923-11-6])의 선-혼합 용액을 즉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에 L-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18 g, 5.62 mmol)를 재빨리 첨가하였다. 압력 용기를 밀봉하고, 혼합물을 110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플러그 (100%의 DCM, 이후 100%의 EtOAc로 용리)에 통과시켜 기저 오염물질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300 mg의 회수된 조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4:1 헥산:EtOAc→1:1 헥산:EtOAc의 구배)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0.200 g, 수율 14.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3
단계 2:
실시예 24, 단계 1의 생성물 (0.200 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TFA (1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15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후, 암녹색의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암녹색의 유리 고체를 HCl 염 (0.091 g, 수율 49%)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4
단계 3:
DCM (4 mL) 중 실시예 24, 단계 2의 생성물 (0.084 g, 0.362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 (0.200 g, 0.329 mmol) 및 HATU (0.188 g, 0.493 mmol)의 현탁 혼합물을 NMM (0.167 g, 1.65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질소 흐름 하에 제거하고, 조 혼합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4A (0.0902 g, 수율 29.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4B (0.0957 g, 수율 30.9%)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고, 베이지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5
화합물 24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6
실시예 25: 화합물 25, 3-메틸-N-(5-메틸-3-피리디닐)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7
화합물 25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8
단계 1:
5-브로모-3-피콜린 (1.00 g, 5.81 mmol), 나트륨 tert-부톡시드 (1.90 g, 19.8 mmol) 및 tert-류신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665 g, 6.98 mmol)을 75 mL의 켐글라스 압력 용기에서 무수 1,2-디메톡시에탄 (20 mL)에 합했다. 혼합물을 잠시 동안 교반하고, 건식 1,2-디메톡시에탄 (2 mL) 중 Pd(OAc)2 (0.0652 g, 0.291 mmol) 및 (R)-(-)-1-[(S)-(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 디-tert-부틸 포스핀 (0.161 g, 0.291 mmol, 스트렘 케미칼스 카탈로그 번호 26-0975, CAS # [158923-11-6])의 선-혼합 용액을 즉시 첨가하였다. 압력 용기를 밀봉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한 pH = 7의 버퍼 (200 mL), 1.0 M의 수성 HCl (25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의 혼합물에 부었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1:1 헥산:EtOAc의 구배)로 정제하여 적색의 오일 (0.852 g, 수율 52.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29
단계 2:
실시예 25, 단계 1의 생성물 (0.809 g, 2.91 mmol)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용해시키고, TFA (2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1,2-디클로로에탄 (15 mL)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잔류물을 최소량의 DCM에 용해시키고, 빠르게 교반한 에테르 (30 mL), 디에틸 에테르 (30 mL) 및 1,2-DCE (50 mL) 중 2.0 M의 HC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갈색의 발포체 고체를 1.0 M의 수성 HCl에 흡수시키고,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황색의 유리 고체 (0.600 g, 수율 80%)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0
단계 3:
DCM (2 mL) 중 실시예 25, 단계 2의 생성물 (0.094 g, 0.362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 (0.200 g, 0.329 mmol) 및 HATU (0.188 g, 0.493 mmol)의 현 탁 혼합물을 NMM (0.167 g, 1.65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조 혼합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5 (0.1421 g, 수율 44.7%)를 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1
화합물 26 이성질체:
3-메틸-N-(6-메틸-3-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6-메틸-3-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6: 화합물 26A 및 26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2
화합물 26A 및 26B
단계 1에서 5-브로모-3-피콜린 대신에 5-브로모-2-메틸피리딘을 사용하고, 단계 2 및 3에 대한 반응 규모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5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화합물 26A 및 26B를 제조하였다. 두 이성질체 화합물을 단계 3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6A (0.111 g)이고, 연한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고,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6B (0.0944 g)이고, 연황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두 화합물 26A 및 26B에 대한 합한 수율은 3 단계에 걸쳐 12.2%이었다.
실시예 26,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3
실시예 26, 단계 2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4
화합물 26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5
화합물 26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6
화합물 27 이성질체:
3-메틸-N-(5-(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5-(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 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7: 화합물 27A 및 27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7
화합물 27A 및 27B
단계 1에서 5-브로모-3-피콜린 대신 3-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을 사용하고, 반응 규모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5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화합물 27A 및 27B를 제조하였다. 또한,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HCl 염으로 단리하지 않고, 대신에 TFA 염으로 단계 3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두 이성질체 화합물을 단계 3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7A (0.128 g)이고, 연한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고,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7B (0.0564 g)이고, 연한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두 화합물 27A 및 27B의 합한 수율은 3 단계에 걸쳐 17.9%이었다.
실시예 27,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8
실시예 27, 단계 2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39
화합물 27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0
화합물 27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1
화합물 28 이성질체:
3-메틸-N-(6-메틸-2-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 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6-메틸-2-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8: 화합물 28A 및 28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2
화합물 28A 및 28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3
단계 1:
L-tert-류신 (0.734 g, 5.60 mmol)을 교반하면서 건식 THF (10 mL) 중에 현 탁하였다. 현탁액을 -78 ℃로 냉각시키고, 헥산 중 2.5 M의 n-BuLi (4.48 mL, 11.2 mmol)을 적가하였다. 황색 혼합물을 -78 ℃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냉각조를 제거하고, 25분간 현탁액을 실온으로 데웠다. 혼합물을 다시 -78 ℃로 냉각시키고, 2-플루오로-6-메틸피리딘 (0.311 g, 2.80 mmol)을 적가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색이 황색에서 짙은 오렌지색으로, 최종적으로는 갈색으로 변화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한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100 mL)에 붓고, EtOAc (50 mL)를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EtOAc (2×5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NaCl으로 포화시키고, DCM (4×100 mL)으로 추출하여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끈적끈적한 황색 오일 (0.279 g, 수율 44.8%)의 TFA 염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4
단계 2:
DCM (2 mL) 중 실시예 28, 단계 1의 생성물 (0.111 g, 0.32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 (0.200 g, 0.329 mmol) 및 HATU (0.163 g, 0.428 mmol)의 현탁 혼합물을 NMM (0.167 g, 1.65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질소 흐름 하에 농축하여 제거하고, 조 혼합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8A (0.0916 g, 수율 28.8%)는 두 이성질체 중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고, 회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화합물 28B (0.0353 g, 수율 11.1%)는 두 이성질체 중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고, 또한 회백색 분말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화합물 28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5
화합물 28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6
화합물 29 이성질체:
N-(2,6-디메틸-4-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2,6-디메틸-4-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 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9: 화합물 29A 및 29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7
화합물 29A 및 29B
단계 1에서 5-브로모-3-피콜린 대신에 4-브로모-2,6-디메틸피리딘 1.06 히드로브로마이드 (0.980 g, 3.61 mmol)를 사용하고, 반응 규모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5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화합물 29A 및 29B를 제조하였다. 또한,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은 HCl 염으로 단리하지 않고, 대신 TFA 염으로 바로 단계 3에서 사용하였다. 두 이성질체 화합물을 단계 3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9A (0.127 g)이고, 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고,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29B (0.103 g)이고, 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두 화합물 29A 및 29B에 대한 합한 수율은 3 단계에 걸쳐 47.8%이었다.
실시예 29,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8
실시예 29, 단계 2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49
화합물 29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0
화합물 29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1
화합물 32 이성질체:
N-(4,6-디클로로-2-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6-디클로로-2-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32: 화합물 32A 및 3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2
화합물 32A 및 32B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 2,4,6-트리클로로피리딘 (0.658 g, 3.61 mmol)을 사용하고, 반응 규모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화합물 32A 및 32B를 제조하였다. 또한, 단계 3에서,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대신에 사용하였다. 두 이성질체 화합물을 단계 3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32A (0.0783 g)이고,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고,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는 화합물 32B (0.0207 g)이고, 회백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되었다. 두 화합물 32A 및 32B의 합한 수율은 3 단계에 걸쳐 5.8%이었다.
실시예 32,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3
실시예 32, 단계 2의 생성물: 끈적끈적한 갈색 오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4
화합물 32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5
화합물 32B: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6
실시예 33: 화합물 33, N-(5-클로로-3-피리디닐)-3-메틸발릴-(4R)-4-((7-클 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7
화합물 33
단계 1에서 2-클로로피리딘 대신 3,5-디클로로피리딘 (0.534 g, 3.61 mmol)을 사용하고, 반응 규모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33을 제조하였다. 또한, 단계 3에서, 실시예 22, 단계 5의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대신 사용하였다. 화합물 33 (0.187 g, 3 단계에 대한 수율 9.0%)을 베이지색 고체의 비스-TFA 염으로 단리하였다.
실시예 33,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8
실시예 33, 단계 2의 생성물: 끈적끈적한 갈색 오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59
화합물 33: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0
실시예 35: 화합물 35, N-(4-에틸-1,3-티아졸-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1
화합물 35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2
단계 1:
DCM (20 mL) 중 실시예 3, 단계 2의 생성물 (1.5 g, 2.18 mmol) 및 DIEA (0.707 g, 5.46 mmol)의 용액 혼합물에 Fmoc-티오이소시아네이트 (0.799 g, 2.8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해 반응이 아직 완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Fmoc-티오이소시아네이트 (0.307 g, 1.09 mmol)를 더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고체의 침전물인 부산물을 진공 여과로 제거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EtOAc (10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H2O (2×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합하고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고체를 얻었다. 미확인된 추가 부산물을 EtOAc로 처리하여 제거하고, 0 ℃로 식혔다; 고체 침전물 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SiO2 컬럼 (3:1, 1:1, 이후 1:3 헥산:EtOAc으로 용리)으로 정제하여 실시예 35, 단계 1의 생성물 (0.798 g, 수율 41%)을 연황색의 발포성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895 (M+ + H).
단계 2:
DMF (4 mL) 중 실시예 35, 단계 1의 생성물 (0.489 g, 0.546 mmol)의 황색 용액에 피페리딘 (1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5시간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건조시켜 고체 유리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DMF (5 mL)에 흡수시키고, 1-브로모-2-부탄온 (0.275 g, 1.64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점성의 적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MeOH에 다시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갈색의 겔과 같은 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35 (139.7 g, 수율 35%)를 연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3
실시예 36: 화합물 36, N-(5,6-디히드로-4H-1,3-티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 ((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4
화합물 36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5
단계 1:
DCM (4 mL) 중 실시예 3, 단계 2의 생성물 (0.267 g, 0.389 mmol) 및 DIEA (0.101 g, 0.778 mmol)의 용액 혼합물에 3-클로로프로필 이소티오시아네이트 (0.053 g, 0.389 mmol)를 첨가하고, 45 ℃로 가열하였다. 3시간 후,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최소량의 DCM과 함께 뜨거운 EtOAc에 다시 용해시키고, Et2O를 첨가하여 연녹색의 침전을 일으켜, 이를 여과하여 얻었다. 생성물을 역상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36 (0.166 g, 54%)을 연황색 고체의 비스-HCl 염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6
실시예 37: 화합물 37, N-(5,6-디히드로-4H-1,3-티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7
화합물 37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8
단계 1:
1:1의 DCM:DCE 중 4-메톡시-2-메틸-벤조산 (25.3 g, 152 mmol)의 혼합물을 옥살릴 클로라이드 (38.6 g, 304 mmol)로 처리한 후, DMF (0.111 g, 1.50 mmol)를 첨가하였다. 격렬한 가스 발생이 일어나고, 반응물이 1시간 후 마침내 맑아졌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백색 고체 잔류물을 2시간 동안 고 진공 하에 두었다. 조 물질을 DCM (20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교반하면서 디에틸아민 (22.8 g, 312 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데웠다. 혼합물이 대략 1/3의 부피가 될 때까지 진공에서 농축하고, Et2O (3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식혔다. 형성된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점성의 갈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DCM (20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0.1 M의 HCl (2×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의도한 생성물 (33.1 g, 수율 98%)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222 (M+ + H).
단계 2:
질소 대기 하에 -78 ℃에서 THF (150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10.0 g, 45.2 mmol)의 교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29.2 mL, 49.7 m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추가로 10분간 상기 온도로 유지한 후,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니트릴 (9.49 g, 49.7 mmol)을 적가하였다. 갈색 용액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한 시험 결과 반응이 완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혼합물에 추가로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 니트릴 (3.38 g, 18.1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수성 1.0 M의 HCl (50 mL)에 부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EtOAc (1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흔들어 섞고, 상을 분리하였다. 침전이 EtOAc 상 내에서 일어났고, 이를 여과하여 분리하고, 건조 (3.0 g)시켰다. 상기 3.0 g의 단리된 고체를 불순한 생성물로 판단하여, 추가 정제를 위해 옆에 두었다. EtOAc 여과액을 옆에 두었다. 수성의 산 세척액을 합하고, DCM (3×100 mL)으로 추출하였다. DCM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 잔류물을 원래의 EtOAc 여과액과 합하고, 합한 유기상을 슬러리로 농축하였다.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여 의도한 생성물 (8.84 g, 수율 58.0%)을 수득하였다. LC-MS, MS m/z 336 (M+ + H).
단계 3:
실시예 37, 단계 2의 고체 생성물 (8.84 g, 26.4 mmol)을 POCl3 (100 m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생성된 잔류물에 물 (100 mL) 및 EtOAc (100 mL)를 첨가하였다. 빠르게 교반한 혼합물을 pH = 7에 도달할 때까지 고체 중탄산나트륨으로 천천히 처리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EtOAc (2×4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40 mL)으로 세척한 후,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 (9.21 g, 수율 98.7%)을 크로마토그래피 없이 연황색의 점성 오일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69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0
단계 4:
기계적으로 교반한 DMSO (100 mL) 중 Boc-Hyp-OH (6.31 g, 27.3 mmol)의 용액에 고체 칼륨 tert-부톡시드 (8.05 g, 68.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시예 37, 단계 3의 생성물 (20.0 g, g, 74.2 mmol)을 15 분에 걸쳐 두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현탁액을 pH = 4의 버퍼 (500 mL) 및 1.0 M의 HCl (41 mL)의 혼합물로 희석하고, EtOAc (3×1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pH = 4의 버퍼 (75 mL)로 세척한 후, 염수 (50 mL)로 세척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1.0 M의 NaOH (30 mL) 및 물 (50 mL)의 혼합물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염기성 추출물을 EtOAc (30 mL)로 세척하였다. pH = 4에 도달할 때까지, 수성의 염기성 추출 물을 1.0 M의 HCl (대략 60 mL)로 처리한 후, 의도한 생성물을 EtOAc (3×10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켜 발포성 고체를 수득하였다. 의도한 생성물 (13.2 g, 수율 92.7%)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 이후 40:1 DCM:MeOH, 이후 10:1 DCM:MeOH로 단계 구배)로 정제하여 유리 고체로 단리하였다. LC-MS, MS m/z 549 (M++H).
단계 5:
DCM (250 mL) 중 실시예 37, 단계 4의 생성물 (12.3 g, 22.4 mmol), NMM (6.80 g, 67.3 mmol)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HCl 염 (6.28 g, 23.5 mmol)의 혼합물을 HATU (10.23 g, 26.9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700 mL)에 흡수시키고, pH = 4의 버퍼 (4×200 mL) 및 염수 (7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 (13.5 g, 수율 79.1%)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백색의 유리 고체로 단리하였다. LC-MS, MS m/z 761 (M+ + H).
단계 6:
DCM (50 mL) 및 1,2-DCE (50 mL)의 혼합물 중 실시예 37, 단계 5의 생성물 (15.0g, 19.6 mmol)의 용액에 TFA (1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LCMS로 잔류물의 순도를 85% 미만으로 측정하였다. 조 생성물 (15.1 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 + 0.5% TEA, 이후 50 :1 DCM:MeOH + 0.5% TEA, 이후 40:1 DCM:MeOH + 0.5% TEA로 단계 구배)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 분획을 합하여 2.0 당량의 TEA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의도한 생성물 (9.13 g, 수율 54%)을 수득하였다. 혼합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여 5.27 g의 물질을 수득하고 후일 정제하기 위하여 옆에 두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1
<반응식 3>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2
단계 7:
실시예 37, 단계 6의 생성물 (6.00 g, 6.95 mmol)을 DCM (75 mL) 중 N-Boc-tert-류신 (1.77 g, 7.65 mmol) 및 HATU (3.17 g, 8.34 mmol)와 합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NMM (1.48 g, 14.6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EtOAc (25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pH = 4의 버퍼 및 염수의 1:1 혼합물(4×10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베이지색 발포체를 얻었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회백색 발포체 (4.62 g, 수율 76.1%)로 수득하였다. LC-MS, MS m/z 874 (M+ + H).
단계 8:
실시예 37, 단계 7의 생성물 (4.61 g, 5.28 mmol)을 1,4-디옥산 (50 mL) 및 1,4-디옥산 (50 mL) 중 4.0 M의 HCl의 혼합물로 2.5시간 동안 처리하여, 플라스크 바닥에 가라앉은 끈적끈적한 겔을 얻었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한 후, 생성된 발포체 고체를 DCM (25 mL)으로 다시 용해시키고,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 (100 mL) 및 에테르 중 2.0 M의 HCl (100 mL)의 빠르게 교반한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백색 분말이 침전되었고, 이를 여과하여 분리하고, 에테르로 헹구고,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전체 회수는 3.95 g (수율 88.4%)이었고, 백색 분말의 비스-HCl 염의 생성물이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3
단계 9:
DCM (5 mL) 중 실시예 37, 단계 8의 생성물 (0.271 g, 0.320 mmol) 및 DIEA (0.083 g, 0.641 mmol)의 혼합물에 3-클로로프로필 이소티오시아네이트 (0.046 g, 0.33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45 ℃로 가열한 후, 밤새 실온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DCM (50 mL)으로 희석하고, 0.1 N의 HCl (3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DCM (25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10%의 수성 Na2CO3 (3 m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황색의 발포체 고체를 얻었다.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37을 연황색의 비스-HCl 염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4
화합물 38 이성질체:
3-메틸-N-(6-메틸-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5-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6-메틸-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5-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38: 화합물 38A 및 38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5
화합물 38A 및 38B
하기 예외를 제외하고는 화합물 1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38A 및 38B을 제조하였다: 단계 1에서, 4-메톡시-2-메틸벤조산 대신 3-메톡시-2-메틸벤조산을 사용하였다. 단계 2에서, LDA를 KHMDS로 치환하였다. 단계 7에서, 실시예 28, 단계 1의 생성물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2-(4,6-디메틸피리딘-2-일아미노)-3-메틸 부탄산 대신 사용하였다. 두 이성질체 화합물을 단계 7로부터 분리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첫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가 화합물 38A이고,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로 용리하는 이성질체가 화합물 38B 이다.
실시예 38, 단계 1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6
실시예 38, 단계 2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7
실시예 38, 단계 3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8
실시예 38, 단계 4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79
실시예 38, 단계 5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0
실시예 38, 단계 6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1
화합물 38A (실시예 38, 단계 7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2
화합물 38B (실시예 38, 단계 7의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3
화합물 200 이성질체:
N-(3-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0: 화합물 200A 및 200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4
화합물 200A 및 200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5
단계 1:
100 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 (RBF) 중 3-플루오로아닐린 (160 mg, 1.299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20 mg, 1.690 mmol)의 혼합물에 피펫으로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136 mg, 2.16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켰다. 고 진공 (20 내지 40 micronHg) 하에 실온에서 증발 건조시켜 백색의 발포체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26 (M+ +H).
단계 2:
0 ℃에서 THF (4 mL) 중 2-(3-플루오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20 g, 0.888 mmol, 실시예 200, 단계 1로부터)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 g, 0.187 mmol, 실시예 22, 단계 5로부터)의 황색 용액에 HATU (0.175 g, 0.46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400 μL, 과량)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로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H]+에 대해 m/z 226)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0A (0.022 g, 수율 16%, 최적화되지 않음)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0B (0.010 g, 수율 7%, 최적화되지 않음)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0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6
화합물 200B: LC-MS, MS m/z 743 [M +H]+.
화합물 201 이성질체:
N-(3-메톡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메톡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1: 화합물 201A 및 201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7
화합물 201A 및 201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8
단계 1:
100 mL의 RBF 중 3-메톡시아닐린 (160 mg, 1.299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20 mg, 1.690 mmol)의 혼합물에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136 mg, 2.16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였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켜 백색의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38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메톡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5 g, 0.189 mmol, 실시예 201,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한 후,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1A (0.045 g, 수율 3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1B (0.024 g, 수율 16.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1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89
화합물 201B: LC-MS, MS m/z 753 (M+ +H).
화합물 202 이성질체:
3-메틸-N-(3-(메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3-(메틸카르바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2: 화합물 202A 및 20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0
화합물 202A 및 202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1
단계 1:
100 mL의 RBF 중 3-아미노-N-메틸벤즈아미드 (230 mg, 1.532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199 mg, 1.532 mmol)의 혼합물에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실온에서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136 mg, 2.16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Na2SO4로 건조시켰다. 증발 건조시켜 백색의 발포체를 수득하고,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65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S)-3,3-디메틸-2-(3-(메틸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부탄산 (0.050 g, 0.189 mmol, 실시예 202,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 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2A (0.061 g, 수율 41%)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2B (0.015 g, 수율 10.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2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2
화합물 202B: LC-MS, MS m/z 781 (M+ +H).
화합물 203 이성질체:
N-(3-시아노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시아노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 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3: 화합물 203A 및 203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3
화합물 203A 및 203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4
단계 1:
100 mL의 RBF 중 3-아미노벤조니트릴 (180 mg, 1.52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198 mg, 1.52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 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여,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33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S)-2-(3-시아노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4 g, 0.189 mmol, 실시예 203,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한 후,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3A (0.025 g, 수율 17.7%)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3B (0.014 g, 수율 10.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3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5
화합물 203B: LC-MS, MS m/z 749 (M+ +H).
화합물 204 이성질체:
N-(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4: 화합물 204A 및 20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6
화합물 204A 및 20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7
단계 1:
100 mL의 RBF 중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 (230 mg, 1.190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155 mg, 1.190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여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08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S)-2-(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58 g, 0.189 mmol, 실시예 204,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4A (0.024 g, 수율 15.4%)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4B (0.020 g, 수율 12.8%)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8
화합물 204B: LC-MS, MS m/z 824 (M+ +H).
화합물 205 이성질체:
N-(4-시아노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시아노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5: 화합물 205A 및 205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299
화합물 205A 및 205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0
단계 1:
100 mL의 RBF 중 4-아미노벤조니트릴 (180 mg, 1.52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198 mg, 1.52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33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4-시아노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4 g, 0.189 mmol, 실시예 205,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5A (0.052 g, 수율 37%)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5B (0.013 g, 수율 9 %)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5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1
화합물 205B: LC-MS, MS m/z 749 (M+ +H).
화합물 206 이성질체:
N-(3-(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6: 화합물 206A 및 206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2
화합물 206A 및 206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3
단계 1:
100 mL의 RBF 중 3-아미노-N-tert-부틸벤젠술폰아미드 (180 mg, 0.788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308 mg, 2.36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43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N-tert-부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65 g, 0.189 mmol, 실시예 206,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6A (0.025 g, 수율 15.4%)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6B (0.013 g, 수율 8%)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6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4
화합물 206B: LC-MS, MS m/z 859 (M+ +H).
화합물 207 이성질체:
3-메틸-N-(3-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3-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7: 화합물 207A 및 207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5
화합물 207A 및 207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6
(2S,4R)-1-((S)-2-(3-(N-tert-부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타노일)-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206A)를 25 ℃에서 1 mL의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07A를 백색 분말 (0.012 g, 수율 64%)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7
화합물 207B는 화합물 207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화합물 206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803 (M+ +H).
화합물 208 이성질체:
N-(2,3-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 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2,3-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8: 화합물 208A 및 208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8
화합물 208A 및 208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09
단계 1:
100 mL의 RBF 중 2,3-디플루오로아닐린 (180 mg, 1.394 mmol) 및 3,3-디메틸 -2-옥소부탄산 (500 mg, 3.8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44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2,3-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6 g, 0.189 mmol, 실시예 208,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08A (0.026 g, 수율 18.4%)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08B (0.012 g, 수율 9%)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0
화합물 208B: LC-MS, MS m/z 760 (M+ +H).
화합물 209 이성질체:
N-(4-카르복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카르복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09: 화합물 209A 및 209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1
화합물 209A 및 209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2
tert-부틸 4-((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에이트 (20 mg, 0.024 mmol, 화합물 204A)를 25 ℃에서 CH2Cl2 (2 mL)에 용해시켰다. TFA (0.019 mL, 0.243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09A를 백색 분말 (0.018 g, 수율 95%)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3
화합물 209B는 화합물 209A의 제조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 물 204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68 (M+ +H).
화합물 210 이성질체:
N-(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0: 화합물 210A 및 210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4
화합물 210A 및 210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5
단계 1:
100 mL의 RBF 중 3-아미노-N-tert-부틸벤젠술폰아미드 (180 mg, 0.788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308 mg, 2.36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여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08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N-tert-부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65 g, 0.189 mmol, 실시예 210,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10A (0.021 g, 수율 13.5%)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0B (0.020 g, 수율 13.3%)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0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6
화합물 210B: LC-MS, MS m/z 824 (M+ +H).
화합물 211 이성질체:
N-(3-카르복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카르복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1: 화합물 211A 및 211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7
화합물 211A 및 211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8
tert-부틸 3-((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에이트 (20 mg, 0.024 mmol, 화합물 210A)를 25 ℃에서 CH2Cl2 (2 mL)에 용해시켰다. TFA (0.019 mL, 0.243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11A를 백색 분말 (0.005g, 수율 26.8%)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19
화합물 211B는 화합물 211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화합물 210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68 (M+ +H).
화합물 212 이성질체:
N-(3-(tert-부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tert-부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2: 화합물 212A 및 21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0
화합물 212A 및 212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1
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3-((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산 (60 mg, 0.078 mmol, 화합물 211A) 및 2-메틸프로판-2-아민 (11.42 mg, 0.156 mmol)의 용액에 HATU (59.4 mg, 0.156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25.2 mg, 0.195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12A를 백색 분말 (0.036g, 수율 5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2
화합물 212B를 화합물 212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 물 211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68 (M+ +H).
화합물 213 이성질체:
3-메틸-N-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3: 화합물 213A 및 213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3
화합물 213A 및 213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4
단계 1:
100 mL의 RBF 중 아닐린 (180 mg, 1.9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500 mg, 3.8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여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08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39 g, 0.189 mmol, 실시예 213,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13A (0.0032 g, 수율 2.3%)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3B (0.0035 g, 수율 2.3%)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3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5
화합물 213B: LC-MS, MS m/z 724 (M+ +H).
화합물 214 이성질체:
N-(4-(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4: 화합물 214A 및 21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6
화합물 214A 및 21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7
단계 1:
0 내지 25 ℃에서, CH2Cl2 (20 mL) 중 4-니트로벤젠-1-술포닐 클로라이드 (500 mg, 2.256 mmol)에 2-메틸프로판-2-아민 (825 mg, 11.28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연갈색의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LC-MS (MS m/z 208 (M+ +H))는 반응이 완결된 것을 보여주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2:
단계 1로부터의 N-tert-부틸-4-니트로벤젠술폰아미드 (500 mg, 1.936 mmol)를 메탄올 (30 mL)에 용해시켰다. 질소 하에 Pd-C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수 소 가스로 40 PSI로 가압하고, 밤새 파 (Parr) 장치에서 흔들어 섞었다. Pd-C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29 (M+ +H).
단계 3
100 mL의 RBF 중 4-아미노-N-tert-부틸벤젠술폰아미드 (180 mg, 0.788 mmol, 단계 2로부터)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308 mg, 2.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43 (M+ +H).
단계 4:
0 ℃에서 CH2Cl2 중 2-(4-(N-tert-부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66 g, 0.189 mmol, 실시예 214,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 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14A (0.021 g, 수율 13.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4B (0.0022 g, 수율 13.5%)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8
화합물 214B: LC-MS, MS m/z 859 (M+ +H).
화합물 215 이성질체:
3-메틸-N-(4-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 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4-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5: 화합물 215A 및 215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29
화합물 215A 및 215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0
(2S,4R)-1-((S)-2-(3-(N-tert-부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타노일)-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mg, 0.024 mmol, 화합물 214A)를 25 ℃에서 TFA (2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15A를 백색 분말 (0.013g, 수율 69.5%)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1
화합물 215B는 화합물 215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14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803 (M+ +H).
화합물 216 이성질체:
3-메틸-N-(3-((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3-((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6: 화합물 216A 및 216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2
화합물 216A 및 216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3
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3-((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산 (60 mg, 0.078 mmol, 화합물 211A) 및 2-페닐프로판-2-아민 (21.12 mg, 0.156 mmol)의 용액에 HATU (59.4 mg, 0.156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25.2 mg, 0.195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16A를 백색 분말 (0.056g, 수율 81%)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4
화합물 216B는 화합물 216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11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886 (M+ +H).
화합물 217 이성질체:
N-(3-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 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7: 화합물 217A 및 217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5
화합물 217A 및 217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6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S)-3,3-디메틸-2-(3-(2-페닐프로판-2-일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부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50 mg, 0.056 mmol, 화합물 216A)를 25 ℃에서 1 mL의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17A를 백색 분말 (0.023g, 수율 4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7
화합물 217B는 화합물 217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16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67(M+ +H).
화합물 218 이성질체:
N-(3-(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8: 화합물 218A 및 218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8
화합물 218A 및 218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39
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3-((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산 (60 mg, 0.078 mmol, 화합물 211A) 및 디메틸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 (12.6 mg, 0.156 mmol)의 용액에 HATU (59.4 mg, 0.156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25.2 mg, 0.195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18A를 백색 분말 (0.035g, 수율 58%)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0
화합물 218B은 화합물 218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11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95 (M+ +H).
화합물 219 이성질체:
N-(3-(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 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19: 화합물 219A 및 219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1
화합물 219A 및 219B
<반응식 1>
단계 1:
100 mL의 RBF 중 3-아미노-N,N-디메틸벤젠술폰아미드 (203 mg, 1.01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64 mg, 2.027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아세트산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오일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15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N,N-디메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59.4 mg, 0.189 mmol, 실시예 219,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50 g, 0.28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19A (0.062 g, 수율 39.5%)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9B (0.038 g, 수율 24.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19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3
화합물 219B: LC-MS, MS m/z 831 (M+ +H).
화합물 220 이성질체: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0: 화합물 220A 및 220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4
화합물 220A 및 220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5
단계 1:
25 mL의 RBF 중 3,4-디플루오로아닐린 (180 mg, 1.39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500 mg, 3.8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2 mL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웠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황색 오일을 수득하여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44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6 g, 0.189 mmol, 실시예 208,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0A (0.033 g, 수율 23.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0B (0.026 g, 수율 19%)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0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6
화합물 220B: LC-MS, MS m/z 760 (M+ +H).
화합물 221 이성질체:
N-(4-(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1: 화합물 221A 및 221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7
화합물 221A 및 221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8
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4-((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산 (20 mg, 0.026 mmol, 화합물 209A) 및 디메틸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 (4.2mg, 0.052 mmol)의 용액에 HATU (20 mg, 0.052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8.4 mg, 0.065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얻었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21A를 백색 분말 (0.04g, 수율 19%)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49
화합물 221B를 화합물 221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209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95 (M+ +H).
화합물 222 이성질체:
3-메틸-N-(4-((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 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4-((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2: 화합물 222A 및 22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0
화합물 222A 및 222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1
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4-((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산 (60 mg, 0.078 mmol, 화합물 209A) 및 2-페닐프로판-2-아민 (10.56 mg, 0.078 mmol)의 용액에 HATU (60 mg, 0.156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25 mg, 0.21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 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얻었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2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2
화합물 222B: LC-MS, MS m/z 886 (M+ +H).
화합물 223 이성질체:
N-(4-(에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에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3: 화합물 223A 및 223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3
화합물 223A 및 223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4
단계 1
25 mL의 RBF 중 4-아미노-N-에틸벤젠술폰아미드 (203 mg, 1.01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64 mg, 2.027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아세트산 (2 mL) 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오일 잔류물을 얻고, 이를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수득한 황색 오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15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4-(N-에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59 g, 0.189 mmol, 실시예 223,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3A (0.033 g, 수율 21.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3B (0.024 g, 수율 15.3.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3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5
화합물 223B: LC-MS, MS m/z 831 (M+ +H).
화합물 224 이성질체:
N-(4-(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4: 화합물 224A 및 22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6
화합물 224A 및 22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7
단계 1
100 mL의 RBF 중 4-아미노-N-에틸벤젠술폰아미드 (203 mg, 1.014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64 mg, 2.027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2 mL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웠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얻고, 이를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15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4-(N,N-디메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 산 (0.059 g, 0.189 mmol, 실시예 224,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4A (0.020 g, 수율 13.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4B (0.014 g, 수율 9.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8
화합물 224B: LC-MS, MS m/z 831 (M+ +H).
화합물 226 이성질체:
N-(4-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4-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6: 화합물 226A 및 226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59
화합물 226A 및 226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0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S)-3,3-디메틸-2-(4-(2-페닐프로판-2-일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부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8 mg, 0.009 mmol, 화합물 222A)를 25 ℃에서 1 mL의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FA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26A를 백색 분말 (0.005g, 수율 81%)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1
화합물 226B는 화합물 226A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화합물 222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67(M+ +H).
화합물 227 이성질체:
3-메틸-N-(3-(메틸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3-메틸-N-(3-(메틸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27: 화합물 227A 및 227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2
화합물 227A 및 227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3
단계 1
25 mL의 RBF 중 3-아미노-N-메틸벤젠술폰아미드 (203 mg, 1.09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264 mg, 2.027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2 mL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웠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얻고, 이를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301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N-메틸술파모일)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34 g, 0.114 mmol, 실시예 227,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087 g, 0.22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27A (0.013 g, 수율 14.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7B (0.009 g, 수율 9.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27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4
화합물 227B: LC-MS, MS m/z 817 (M+ +H).
화합물 231 이성질체:
N-(3-(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31: 화합물 231A 및 231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5
화합물 231A 및 231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6
단계 1:
100 mL의 RBF 중 메틸 3-벤조에이트 (230 mg, 1.52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198 mg, 1.52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5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순수한 에탄올 (8 mL)로 실온에서 희석하고, 1.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45 mg, 3.90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용액을 4 mL의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백색 PPT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백색의 발포체를 얻었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94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3-(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55 g, 0.189 mmol, 실시예 231,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01 g, 0.189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144 g, 0.378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61 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31A (0.0235 g, 수율 15.3%)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1B (0.0175 g, 수율 11.6%)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1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7
화합물 231B: LC-MS, MS m/z 810 (M+ +H).
화합물 232 이성질체:
N-(3-(메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3-(메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32: 화합물 232A 및 232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8
화합물 232A 및 232B
Figure 112009034458579-PCT00369
이소프로필 3-((S)-1-((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벤조에이트 (20 mg, 0.025 mmol, 화합물 231A)를 25 ℃에서 THF (0.200 mL) 및 MeOH (0.2 mL)에 용해시켰다. 1.0 M의 수성 수산화리튬 (0.049 mL, 0.049 m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pH~4)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32A (0.005 g, 25.6%)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0
화합물 232B를 화합물 232A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합물 231B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S m/z 782 (M+ +H).
화합물 233 이성질체:
(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2S)-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타노일)-L-프롤린아미드; 및
(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2R)-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타노일)-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33: 화합물 233A 및 233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1
화합물 233A 및 233B
단계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2
25 ℃에서 EtOH (5 mL) 중 반응물 1 (0.114 g, 0.6 mmol)의 용액에 메틸 2-아미노부타노에이트 (0.070 g, 0.600 mmol)를 첨가한 후, DIEA (0.210 mL, 1.20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물질을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3
-78 ℃에서 CH2Cl2 (8 mL) 중 실시예 233, 단계 1의 생성물 (0.157 g, 0.6 mmol)의 황색 용액에 트리요오도포스핀 (0.247 g, 0.600 mmol)을 첨가하였다. 오렌지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0 ℃로 데웠다. 암갈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 mL)로 희석하고,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물 10 mL 중 2 g), H2O 및 포화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헥산 중 5→15%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으로 정제하였다.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4
THF (4 mL) 중 메틸 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타노에이트 (57 mg, 0.232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수산화리튬 (6.68 mg, 0.279 mmol) 및 물 (0.6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pH=4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물 (1×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단계 4: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5
0 ℃에서 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탄산 (23.34 mg, 0.101 mmol)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54 mg, 0.101 mmol)의 황색 용액에 HATU (77 mg, 0.202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32.6 mg, 0.252 mmol)을 첨가하였다. 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 mL)로 희석하고, H2O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33A (0.046 g, 수율 5.3%)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3B (0.085 g, 수율 1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3A: LC-MS, MS m/z 748 (M+ +H).
화합물 233B: LC-MS, MS m/z 748 (M+ +H).
화합물 234 이성질체:
N-(2-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2-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34: 화합물 234A 및 234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6
화합물 234A 및 234B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7
단계 1:
100 mL의 RBF 중 2-플루오로아닐린 (203 mg, 1.827 mmol) 및 3,3-디메틸-2-옥소부탄산 (476 mg, 3.6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아세트산 (2 mL)을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색이 곧 특징적인 밝은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용액을 약 120분간 75 ℃로 데우고, 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용액을 메탄올 (2 mL)로 실온에서 희석한 후, 0.5×의 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보레이트 (230 mg, 3.65 mmol) 및 나머지 절반을 거품 이는 소리와 지글지글 소리가 멈춘 후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이 옅어졌다. 혼합물에 30 mL의 물을 첨가한 후,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pH 를 4로 조절함)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으로 pH=8에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얻었다. 이 물질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MS m/z 226 (M+ +H).
단계 2:
0 ℃에서 CH2Cl2 중 2-(2-플루오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63.2 mg, 0.280 mmol, 실시예 234, 단계 1) 및 (2S,4R)-4-(7-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50 g, 0.28 mmol, 실시예 22, 단계 5)의 황색 용액에 HATU (0.213 g, 0.561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91 g, 0.701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연황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H2O (pH~6)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34A (0.050 g, 수율 24%)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4B (0.038 g, 수율 18.2%)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4A: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8
화합물 234B: LC-MS, MS m/z 742 (M+ +H).
화합물 235 이성질체: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L-프롤린아미드; 및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L-프롤린아미드
실시예 235: 화합물 235A 및 235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79
화합물 235A 및 235B (이성질체의 혼합물)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0
단계 1
4-메톡시-2-메틸벤조니트릴 (50 g, 340 mmole) 및 NBS (62g, 350 mmole)를 CCl4 (500 mL) 중에 현탁시키고, AIBN (5g, 10 중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환류 가열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갈색 오일을 플래시 컬럼 (2→5% 아세톤:헥산)으로 정제하였다. 백색 결정 (36 g)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브로모메틸)-4-메톡시벤조니트릴 (36 g, 실시예 235, 단계 1)을 200 mL의 에탄올 중에 현탁시키고, 200 mL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한 후, KCN (8.3 g) 및 150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무색의 용액이 황색으로 변화하였다. 반응이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완결되었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물 (100 mL) 및 염수 (100 mL)로 세척하였다. 이후,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라이드 메탄으로부터 재결 정화하여 17 g의 2-(시아노메틸)-4-메톡시벤조니트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문헌 [J. Med. Chem., 1970, Vol. 13, No. 4, pp 613 for preparation of 1-bromo-6-methoxyisoquinolin-3-amine] 참조.
단계 4
1-브로모-6-메톡시이소퀴놀린-3-아민 (1.5 g, 실시예 235, 단계 3)을 -10 ℃에서 HF-Py (12.5 mL)에 용해시키고, NaNO2 (600 mg)를 첨가하였다. 황색 고체가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다량의 물에 현탁시키고, pH를 5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30 mL)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플래시 컬럼으로 정제하여 연황색 고체 (1.2 g)를 수득하였다.
<반응식 2>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1
단계 5
1-브로모-3-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 (322 mg, 1.26 mmol, 실시예 235, 단계 4)을 -78 ℃에서 THF (7 mL)에 용해시키고, LDA (1.5 M, 2.52 mL)를 적가하고, 30분간 교반한 후, 이소프로필 보레이트 (477 mg, 585 ul)를 첨가하였다. 30 분 후, 포화 NH4Cl 및 1 N의 HCl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30 mL)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CH2Cl2 (8 mL) 중에 용해시키고, NaOH (1 N, 4 mL)를 첨가한 후, H2O2 (1.2 mL, 50%)를 첨가하였다. 가스 발생이 관찰되었다. 30분간 교반하였다. 황색 페이스트가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5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흡수시키고, 유기층을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5→10%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용리)로 정제하여 200 mg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단계 6
1-브로모-3-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4-올 (160 mg, 실시예 235, 단계 5)을 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 (10 mL)에 용해시키고, Cs2CO3 (215 mg) 및 tert-부틸 2-브로모에틸카르바메이트 (60 u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3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흡수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5% 아세톤:헥산)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69 mg)를 수득하였다.
단계 7
Tert-부틸 2-(1-브로모-3-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4-일옥시)에틸카르바메이트 (169 mg, 실시예 235, 단계 6)를 0 ℃에서 10 mL의 DMF에 용해시키고, 24 mg의 수소화나트륨 (95%)을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mL의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물 (2×1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2.5→10% 아세톤:헥산)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00 mg)를 수득하였다.
단계 8
Tert-부틸 6-브로모-9-메톡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4(3H)-카르복실레이트 (20 mg, 실시예 235, 단계 7)를 0 ℃에서 5 mL의 CH2Cl2에 용해시키고, 2 mL의 TFA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키고, 물 (pH~5)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하고, 수득한 고체를 실온에서 DMF (5 mL)에 용해시키고, NaH (10 mg)로 처리한 후, MeI (10 uL)로 처리하였다. 6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mL의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물 (2×1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5→15% 아세톤:헥산)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0 mg)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2
<반응식 3>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3
단계 9
DMSO (2 mL) 중 6-브로모-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 (62 mg, 0.2 mmol, 실시예 235, 단계 8), Boc-L-Hyp-OH (50.8 mg, 0.22 mmol), t-BuOK (82 mg, 0.60 mmol)의 용액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 ℃에서 물 (5 mL)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1 N의 HCl로 pH=5까지 중성화하고, EtOAc (40 mL)로 추출하고, 염수 (10 mL) 및 물 (15 mL×2)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 (90 mg)을 고체로 수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반응식 4>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4
단계 10
CH2Cl2 (5 mL) 중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90 mg, 실시예 235, 단계 9), (1R,2S)-1-아미노-N-(시클로프로필술포닐)-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TsOH 염 (90 mg), i-Pr2EtN (0.5 mL)의 용액에 HATU (112 mg)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한 후, 잔류물을 EtOAc (30 mL)로 추출하고, 1 N의 HCl (10 mL×3), 물 (10 mL×2) 및 염수 (10 mL×2)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113 mg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반응식 5>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5
단계 11
(2S,4R)-tert-부틸 2-((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0 mg, 실시예 235, 단계 10)를 2 mL의 디옥산 중 4 N의 HC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하고, 생성된 갈색 교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반응식 6>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6
단계 12
0 ℃에서 2-(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산 (0.043 g, 0.175 mmol, 실시예 220 , 단계 1로부터) 및 (2S,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mg, 실시예 235, 단계 11)의 황색 용액에 HATU (0.133 g, 0.350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057 g, 0.437 mmol)을 첨가하였다. 염기를 첨가한 후, 갈색 용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관찰된 대로 동일한 MS m/z를 갖는 두 독립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35A (0.0008 g, 수율 3.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5B (0.003 g, 수율 11.0%)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다. 화합물 235A: LC-MS, MS m/z 798 (M+ +H)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7
하기 화합물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및 243을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36: 화합물 236.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8
실시예 237: 화합물 237.
Figure 112009034458579-PCT00389
실시예 238: 화합물 238.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0
실시예 239: 화합물 239.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1
실시예 240: 화합물 240.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2
실시예 241: 화합물 24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3
실시예 242: 화합물 242.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4
실시예 243: 화합물 243.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5
실시예 407: 화합물 407의 제조
<반응식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6
단계 1:
CH2ClCH2Cl (5 mL) 중 6-메톡시피리딘-3-아민 (372 mg, 3 mmol), 3,3-디메틸-2-옥소부탄산 (781 mg, 6.00 mmol)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히드로보레이트 (1907 mg, 9.00 mmol)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20 mL)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 (50 mL)로 희석하고,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농축 결과, 0.71 g (99%)의 의도한 조 생성물을 수 득하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7
단계 2:
실시예 1, 단계 5의 생성물 (150 mg, 0.3 mmol)의 혼합물에 실시예 407, 단계 1의 생성물 (71 mg, 0.3 mmol), CH2Cl2 (5 mL) 중 후니그 (Hunig's) 염기 (0.524 mL, 3 mmol) 및 HATU (171 mg, 0.45 mmol)를 첨가하였다.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한 후,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LCMS에 의해 동일한 m/z를 갖는 두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407A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37 mg, 수율 18%)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7B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31 mg, 수율 14%)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7: LC-MS, MS m/z 721 (M+ +H). 화합물 407B: LC-MS, MS m/z 721 (M+ +H).
실시예 408: 화합물 408A 및 408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8
화합물 408A 및 408B
실시예 22에서 반응식 2, 단계 5의 생성물 (182 mg, 0.299 mmol)을 화합물 408의 합성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0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408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408A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66 mg, 수율 29%)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8B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46 mg, 수율 20%)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8A: LC-MS, MS m/z 755 (M+ +H). 화합물 408B: LC-MS, MS m/z 755 (M+ +H).
실시예 409: 화합물 409A 및 409B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399
화합물 409A 및 409B
단계 1에서 6-(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3-아민을 사용하고, 단계 2에서 실시예 22의 반응식 2, 단계 5의 생성물 (182 mg, 0.299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07의 제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화합물 409를 제조하였다. 화합물 409A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첫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45 mg, 수율 33%)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9B는 두 이성질체 중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두번째로 용리하였고, 고체 (50 mg, 수율 37%)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409A: LC-MS, MS m/z 791 (M+ +H). 화합물 409B: LC-MS, MS m/z 791 (M+ +H).
화합물 410 및 411을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0: 화합물 410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0
화합물 410
실시예 411: 화합물 411의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1
화합물 411
실시예 412: 중간체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의 포함을 위한 P2 이소퀴놀린 중간체 제조의 예.
방법 A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2
단계 1:
0 ℃에서 아세톤 (80 mL) 중 3-메톡시 신남산 (11.04 g, 6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2.52 g, 124 mmol)의 용액에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대략 1.5 당량)를 적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H2O (35 mL) 중 수성 NaN3 (6.40 g, 100 mmol; 나트륨 아지드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적절한 주의가 필요하다)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물 (100 m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휘발 성분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톨루엔 (3×5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시킨 용액을 190 ℃에서 디페닐메탄 (50 mL) 및 트리부틸아민 (30 mL)의 가열시킨 용액에 적가하였다. 톨루엔을 첨가한 만큼 증류시켰다.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210 ℃로 높였다. 냉각시킨 후,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헥산 (2×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 (5.53 g, 51%) (문헌 [Nicolas Briet at el, Tetrahedron, 2002, 5761-5766])로 수득하였다. MS m/z 176 (M++H).
상기 과정의 별법에서는 카르복실산을 상응하는 아실아지드로 변환하기 위해서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를 사용한다. 이후, 단일 용기 과정에서, 상기 산을 상응하는 퀴놀론으로 변환한다. 이 과정은 하기 3-페닐-부트-2-에노익 산으로부터 4-메틸-2H-이소퀴놀린-1-온의 제조를 위해 기술되어 있다:
벤젠 (100 mL) 중 3-페닐-부트-2-에노익 산 (16.2 g),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27.5 g) 및 트리에틸아민 (10.1 g)의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젠으로 세척하면서 실리카겔 플러그로 여과하고 농축한 후, 잔류물을 디페닐메탄 (80 mL)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벤젠으로 세척하면서 플러그로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켜 10 g (63%)의 의도한 4-메틸-2H-이소퀴놀린-1-온을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3
단계 2:
POCl3 (10 mL) 중 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5.0 g, 28.4 mmol)을 3 시시간 동안 적당하게 환류 가열한 후,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문헌 [Nicolas Briet at el, Tetrahedron, 2002, 5761-5766]). 잔류물을 냉각시킨 물 (20 mL)에 붓고, 10 M의 NaOH로 pH=10으로 중성화하였다. CHCl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 래피 (1: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4.41 g (80%)의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4
단계 3:
상온에서 DMSO (40 mL) 중 N-BOC-3-(R)-히드록시-L-프롤린 (892 mg, 3.89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1.34 g, 12.0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현탁액을 이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10 ℃로 냉각시켰다.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실시예 11, 단계 2) (785 mg, 4.05 mmol)을 한번에 고체로 첨가하고, 최종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5%의 시트르산 (수성)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 (10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5%의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켜 1.49 g (99%)의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의 발포체로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조 물질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5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6
단계 1:
변형: 15 g의 3-메톡시-3-페닐-아크릴산을 이용하여 2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7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8
단계 2:
변형: 200 mg의 4-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1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09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0
단계 3:
변형: 122 mg의 1-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218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9%).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1
MS: (M+Na)+ 411.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2
단계 1:
변형: 20 g의 2-메틸신남산을 이용하여 14.3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2%).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3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4
단계 2:
변형: 14.4 g의 5-메틸-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10.6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6%).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5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6
단계 3:
변형: 533 mg의 1-클로로-5-메틸-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1116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7
데이타: MS: (M+H)+ 373.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8
단계 1:
변형: 10 g의 2-메톡시 신남산을 이용하여 5.3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3%).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19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0
단계 2:
변형: 5.3 g의 5-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5.38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2%).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1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2
단계 3:
변형: 581 mg의 1-클로로-5-메톡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1163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3
데이타: MS: (M+H)+ 389.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4
단계 1:
변형: 25 g의 2-클로로신남산을 이용하여 14.6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9%).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5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6
단계 2:
변형: 14.2 g의 5-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8.28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3%).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7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8
단계 3:
변형: 594 mg의 1,5-디클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1174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Figure 112009034458579-PCT00429
데이타: MS: (M+H)+ 393.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0
단계 1:
변형: 16.6 g의 2-플루오로신남산을 이용하여 8.55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1%).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1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2
단계 2:
변형: 8.4 g의 5-플루오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7.5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3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4
단계 3:
변형: 203 mg의 1-클로로-5-플루오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84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5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6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7
단계 1:
변형: 16.6 g의 4-플루오로신남산을 이용하여 8.2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9%).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8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39
단계 2:
변형: 8.15 g의 7-플루오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7.6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4%).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0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1
단계 3:
변형: 191 mg의 1-클로로-7-플루오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3%).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2
데이타: MS: (M+Na)+ 399.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3
단계 1:
변형: 9.13 g의 4-클로로신남산을 이용하여 4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4%).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4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5
단계 2:
변형: 3.5 g의 7-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2.8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2%).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6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7
단계 3:
변형: 208 mg의 1,7-디클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9%).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8
데이타: MS: (M+Na)+ 415.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49
단계 1:
변형: 25 g의 4-메틸신남산을 이용하여 15.3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2%).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0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1
단계 2:
변형: 15.3 g의 7-메틸-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5.15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2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3
단계 3:
변형: 205 mg의 1-클로로-7-메틸-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9%).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4
데이타: MS: (M+H)+ 373.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5
단계 1:
변형: 33 g의 4-메톡시신남산을 이용하여 7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3%).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6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7
단계 2:
변형: 4 g의 7-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3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8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59
단계 3:
변형: 533 mg의 1-클로로-7-메톡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1115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0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1
단계 1:
변형: 19.6 g의 4-플루오로-3-메톡시신남산을 이용하여 9.5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8%).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2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3
단계 2:
변형: 9 g의 7-플루오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7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4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5
단계 3:
변형: 222 mg의 1-클로로-7-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406 mg의 의도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의도한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6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7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8
단계 1:
변형: 3.8 g의 3-(2,3-디히드로-벤조퓨란-7-일)-아크릴산을 이용하여 2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3%).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69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0
단계 2:
변형: 1.87 g의 2,3-디히드로-7H-퓨로[2,3-f]이소퀴놀린-6-온을 이용하여 1.84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0%).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1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2
단계 3:
변형: 206 mg의 6-클로로-2,3-디히드로-퓨로[2,3-f]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00 mg의 혼합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3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4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5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6
단계 1:
변형: 1.14 g의 3-(2,3-디히드로-벤조퓨란-4-일)-아크릴산을 이용하여 60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2%).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7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8
단계 2:
변형: 560 mg의 1,7-디히드로-2H-퓨로[3,2-f]이소퀴놀린-6-온을 이용하여 38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8%).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79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0
단계 3:
변형: 105 mg의 6-클로로-1,2-디히드로-퓨로[3,2-f]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390 mg의 혼합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1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2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3
단계 1:
변형: MeCN (10 mL) 중 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700 mg) 및 NCS (532 mg)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여과하여 600 mg (72%)의 의도한 생성물을 고체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4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5
단계 2:
변형: 500 mg의 4-클로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400 m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6
데이타: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7
방법 B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8
단계 1:
4-메톡시-2-메틸-벤조산 (5.00 g, 30.1 mmol)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20.0 g, 0.17 mol)의 혼합물을 30분간 환류 가열하였다. 진공에서 휘발 성분을 제거하였다. 밤새 펌핑한 후, 점성의 유성 산 염화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을 위해 조 물질로 사용하였다.
0 ℃에서 CH2Cl2 (60 mL) 중 4-메톡시-2-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의 용액에 디에틸아민을 적가하였다.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시간 동안 상온으로 데웠다. 진공에서 휘발 성분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100 mL)로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1 M의 HCl, 1 M의 NaOH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6.51 g (98%)의 의도한 생성물을 점성의 오일로 수득하였다. MS m/z 222 (M++H).
단계 2:
-78 ℃에서 THF (2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221 mg, 1.0 mmol)의 용액에 n-BuLi (헥산 중 2.5 M, 0.84 mL, 2.10 mmol)을 적가하였다. 형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30분간 더 상기 온도로 유지한 후, 벤조니트릴 (103 mg, 1.0 mmol)을 적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밤새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데웠다. 냉각시킨 5%의 시트르산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2:1 헥산-EtOAc (5 mL)로 처리하여 205 mg (82%)의 의도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89
단계 3:
6-메톡시-3-페닐-2H-이소퀴놀린-1-온을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1-클로로-6-메톡시-3-페닐-이소퀴놀린을 상기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0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1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1.3 mL, 2.2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2-시아노피리딘 (156 mg, 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를 TFA 염 (85 mg, 수율 15%)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2
단계 2 (반응식 3, 단계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3
6-메톡시-3-피리딘-2-일-2H-이소퀴놀린-1-온 TFA 염 (85 mg, 0.232 mmol)을 POCl3 (3.0 mL)와 2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10 N의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갈색 고체를 순수한 생성물 (62 mg, 수율 99%)로 수집하였다. MS m/z 271 (MH+).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4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1.3 mL, 2.2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4-시아노피리딘 (164 mg, 1.57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순수한 생성물 (145 mg, 수율 38%) 로 수집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5
단계 2 (반응식 3, 단계 1):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6
6-메톡시-3-피리딘-4-일-2H-이소퀴놀린-1-온 (134 mg, 0.531 mmol)을 POCl3 (6.0 mL)와 5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후, 포화 NaHCO3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갈색 고체를 순수한 생성물 (125 mg, 수율 87%)로 수집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7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8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1.3 mL, 2.2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4-디메틸아미노 벤조니트릴 (219 mg, 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우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수집하고, 에테르로 처리하여 회백색 고체를 순수한 생성물 (247 mg, 수율 5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499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0
3-(4-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45 mg, 0.83 mmol) 을 POCl3 (10.0 mL)와 2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10 N의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오렌지색 고체를 생성물 (215 mg, 수율 83%)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1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2
[4-(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110 mg, 0.35 mmol) 및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젠 디플루오라이드 (0.5 g)의 혼합물을 스미스 (Smith)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0분간 140 ℃에서 가열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갈색 고체를 생성물 (85 mg, 수율 82%)로 수득하였다. MS m/z 297 (MH+).
방법 C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3
단계 1:
0 ℃에서 DMF (250 mL) 중 N-BOC-3-(R)-히드록시-L-프롤린 (6.22 g, 26.9 mmol)의 용액에 NaH (60%, 3.23 g, 80.8 mmol)를 수회 나누어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이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고, 1,3-디클로로-이소퀴놀린 (5.33 g, 26.9 mmol)을 고체로 한번에 첨가하고, 최종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5%의 시트르산 (수성)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 (30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5%의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켜 10.53 g (99.8%)의 4-(6-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회백색 발포체로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조 물질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4
단계 2:
THF (2 mL) 중 4-(6-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 산 1-tert-부틸 에스테르 (39 mg, 0.10 mmol), 페닐보론산 (14.6 mg, 0.12 mmol), 나트륨 tert-부톡시드 (38 mg, 0.40 mmol) 및 ((t-Bu)2POH)2PdCl2 (POPd) (5 mg, 0.01 mmol)의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5%의 시트르산 (수성)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36 mg (83%)의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의 발포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5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6
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이용한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7
다음 중간체를 상기 기술된 대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8
4-피리딜보론산을 이용한 제조
Figure 112009034458579-PCT00509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0
4-N,N-디메틸아미노-페닐보론산을 이용한 제조. MS m/z 478 (M++H).
방법 D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1
단계 1: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633 mg, 2.9 mmol)의 용액에 n-BuLi (헥산 중 2.5 M, 2.3 mL, 5.74 mmol)을 적가하였다. 형성된 적색 용액을 추가로 30분간 상기 온도로 유지한 후, THF (5 mL) 중 티아졸-2-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문헌 [A. Medici et al, Tetrahedron Lett. 1983, p2901]) (450 mg, 2.9 mmol)의 용액에 -78 ℃에서 도관으로 연결하였다. 최종 암녹색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로 유지하였다. 포화 NH4Cl (수성)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NH4Cl (수성)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1 EtOAc:헥산으로 용리)로 정제하여 405 mg (45%)의 의도한 생성물을 회백색의 점성 오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2
단계 2:
N,N-디에틸-4-메톡시-2-(2-옥소-2-티아졸-2-일-에틸)-벤즈아미드 (405 mg, 1.22 mmol) 및 NH4OAc (3.0 g, 38.9 mmol)의 혼합물을 밀폐한 시험관에서 1시간 동안 140 ℃로 가열하였다. 녹은 용액을 냉각시킨 물에 붓고, 여과하고, 케이크를 물로 철저히 세척하였다. 건조시킨 갈색 고체 (240 mg, 76%)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조 물질로 사용하였다. MS m/z 259 (M++H).
단계 3:
6-메톡시-3-티아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1-클로로-6-메톡시-3-티아졸-2-일-이소퀴놀린을 상기 기술된 대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3
단계 4:
1-클로로-6-메톡시-3-티아졸-2-일-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상기 기술된 대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4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 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5
N,N-디에틸-4-메톡시-2-[2-(3-메톡시-이속사졸-5-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이용하여 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2H-이소퀴놀린-1-온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6
MS m/z 273 (M++H).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7
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1-클로로-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이소퀴놀린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8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19
5-메톡시-옥사졸-2-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N,N-디에틸-4-메톡시-2-[2-(5-메톡시-옥사졸-2-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제조하였다.
MS m/z 347 (M++H).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0
N,N-디에틸-4-메톡시-2-[2-(5-메톡시-옥사졸-2-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이용하여 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1
MS m/z 274 (M++H).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2
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이용하여 1-클로로-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이소퀴놀린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3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4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2.12 mL, 3.6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메틸 니코티네이트 (206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의 농후한 오일을 TFA 염 (124 mg, 수율 19%)으로 수득하였다.
MS m/z 349 (M+Na+).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5
N,N-디에틸-4-메톡시-2-(2-옥소-2-피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120 mg, 0.272 mmol)를 암모늄 아세테이트 (1 g)와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생성물 (65 mg, 수율 95%)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6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7
6-메톡시-3-피리딘-3-일-2H-이소퀴놀린-1-온 (65 mg, 0.258 mmol)을 POCl3 (2.5 mL)와 7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10 N의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황색 고체를 생성물 (27 mg, 수율 39%)로 수득하였다.
MS m/z 271 (MH+).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8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2.2 mL, 3.7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N,N-디메틸 안트라닐산 메틸 에스테르 (269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의 농후한 오일을 생성물 (256 mg, 수율 46%)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29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0
2-[2-(2-디메틸아미노-페닐)-2-옥소-에틸]-N,N-디에틸-4-메톡시-벤즈아미드 (250 mg, 0.678 mmol)를 암모늄 아세테이트 (1.5 g)와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 였다.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황색 고체를 생성물 (125 mg, 수율 63%)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1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2
3-(2-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25 mg, 0.425 mmol)을 POCl3 (4.0 mL)와 1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10 N의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갈색 고체를 생성물 (82 mg, 수율 62%)로 수득하였다.
MS m/z 313 (MH+).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3
[2-(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82 mg, 0.262 mmol) 및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젠 디플루오라이드 (1.0 g)의 혼합물을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0분간 140 ℃에서 가열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 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고, 이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을 생성물 (85 mg)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4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5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의 용액, 2.2 mL, 3.7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3-디메틸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269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포화 NH4Cl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의 농후한 오일을 TFA 염 (245 mg, 수율 33%)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6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7
2-[2-(3-디메틸아미노-페닐)-2-옥소-에틸]-N,N-디에틸-4-메톡시-벤즈아미드 (240 mg, 0.497 mmol)를 암모늄 아세테이트 (2.0 g)와 2.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갈색 고체를 순수한 생성물 (95 mg, 수율 65%)로 수집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8
Figure 112009034458579-PCT00539
3-(3-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92 mg, 0.312 mmol)을 POCl3 (3.0 mL)와 2 일간 환류 가열하였다. 이후, POCl3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갈색의 농후한 오일을 생성물 (72 mg, 수율 74%)로 수득하였다. MS m/z 313 (MH+).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0
[3-(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72 mg, 0.23 mmol) 및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젠 디플루오라이드 (0.5 g)의 혼합물을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0분간 140 ℃에서 가열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갈색 오일을 생성물 (58 mg, 수율 85%)로 수득하였다.
MS m/z 297 (MH+).
다음 중간체들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1
환류 중인 디옥산에서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를 에틸 티오우레아와 축합하여 모노알킬아미노 티아졸을 HBr 염으로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DMF에서 2-에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EtI와 알킬화하여 2-디에틸아미노-티 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방법 E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2
단계 1:
2-시아노메틸-4-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1.9g 및 모르폴린 5 mL 중 TsOH·H2O (0.15 g, mmol))의 현탁액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몇 방울의 MeOH을 가하며 EtOAc/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생성물 (0.43 g, 17%)을 수득하였다. MS m/z 266 (M++1).
단계 2:
POCl3 (20 mL) 중 6-메톡시-3-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1-올 (0.298 g, 1.15 mmol)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냉수를 첨가하였다. 1.0 N의 NaOH를 첨가하여 pH를 >11로 조절하였다.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생성물 (0.299g, 94%)을 수득하였다. MS m/z 279 (M++1).
단계 3:
1-클로로-6-메톡시-3-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 (0.050g, 0.18 mmol) 및 테트라부틸 포스포륨 하이드로젠 디플루오라이드 (0.8 g, 2.8 mmol) (문헌 [Synlett 1992, (4), 345-6])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0분간 140 ℃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상부에 실리콘 겔 층이 있는 이스코 (ISCO)의 25g 프리컬럼으로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생성물 (0.037 mg, 7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3
방법 F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된 6-플루오로 및 6-알킬 이소퀴놀린을 하기 약술한 대로 포메란쯔-프리츠 (Pomeranz-Fritsch) 합성 (전형적인 과정: 문헌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8,8-disubstituted 1,1-biisoquinoline, K. Hirao, R. Tsuchiya, Y. Yano, H. Tsue, Heterocycles 42(1) 1996, 415-422])에 의해 제조하였다. 생성물을 N-옥사이드 중간체를 거쳐 1-클로로 유도체로 변환하였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4
시약 및 반응 조건: (a) 벤젠 중 환류, 물의 공비 제거; (b) 제1 단계: THF 중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트리메틸 포스파이트, 제2 단계: 클로로포름 중 사염화티타늄; (c) CH2Cl2 중 MCPBA; (d) 벤젠 중 POCl3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5
6-이소프로폭실 및 6-tert-부톡실 이소퀴놀린 중간체의 제조:
약간의 6-알콕시-1-클로로 이소퀴놀린을, 6-플루오로-1-클로로이소퀴놀린을 상응하는 알콕시드 금속 이온, 예컨대 칼륨 tert-부톡시드 (53%) 및 나트륨 이소프로폭시드 (54%)와 직접 입소 (ipso) 치환하여 제조하였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6
R = 알콕시드 음이온, 예컨대 tert-Bu, 이소-Pr.
6-플루오로-1-클로로이소퀴놀린을 DMF 중에서 나트륨 이소프로폭시드 및 칼륨 tert-부톡시드와 방향족 친핵성 치환을 하여 상응하는 6-이소프로폭실 (54%):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7
및 6-tert-부톡시-1-클로로 이소퀴놀린 (55%):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8
을 각각 주요 생성물로 수득하였다. 6-알콕실-1-클로로 이소퀴놀린은 본원에 기술된 대로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포함되었다.
방법 G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112009034458579-PCT00549
상기 합성은 부분적으로는 하기 참고 문헌에 기술된 기술을 이용하였다:
(1) Hojo, Masaru; Masuda, Ryoichi; Sakaguchi, Syuhei; Takagawa, Makoto, Synthesis (1986), (12), 1016-17
(2) Rigby, James H.; Holsworth, Daniel D.; James, Kelly. Vinyl Isocyanates In Synthesis [4+2] Cycloaddition Reactions With Benzyne Addends.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89), 54(17), 4019-20
(3) Uchibori, Y.; Umeno, M.; Yoshiokai, H.; Heterocycles, 1992, 34 (8), 1507-1510
생물학적 연구
HCV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효소 분석 및 세포-기반 HCV 레플리콘 분석을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이 준비하고,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재조합 HCV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생성
BMS 균주, H77 균주 또는 J4L6S 균주로부터 유도된 HCV NS3 프로테아제 복합체를 하기 기술된 대로 생성하였다. 이러한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을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HCV NS3 단백질분해 활성을 억제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동질적 검정 (하기 참조)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생성하였다.
HCV-감염 환자로부터의 혈청을 샌프란시스코 병원의 티. 라이트 박사 (Dr. T. Wright)로부터 얻었다. HCV 게놈 (BMS 균주)의 유전자조작한 전장 cDNA (상보적 데옥시리보핵산) 주형을 다른 유전자형 1a 균주 간 상동성에 기초하여 선택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혈청 RNA (리보핵산)의 역전사-PCR (RT-PCR)에 의해 수득한 DNA 단편으로부터 구축하였다. 전체 게놈 서열의 결정으로부터, 유전자형 1a를 시몬즈 등 (Simmonds et al.)의 분류에 따라 (문헌 [P Simmonds, KA Rose, S Graham, SW Chan, F McOmish, BC Dow, EA Follett, PL Yap and H Marsden, J. Clin. Microbiol., 31(6), 1493-1503 (1993)] 참조) HCV 분리주로 지정하였다. 비구조 영역, NS2-5B의 아미노산 서열은 HCV 유전자형 1a (H77)와 >97% 동일하고, 유전자형 1b (J4L6S)와 87%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감염성 클론, H77 (유전자형 1a) 및 J4L6S (유전자형 1b)를 알. 퍼셀 (R. Purcell) (NIH)로부터 얻었고, 서열은 진 뱅크 (AAB67036, 문헌 [Yanagi,M., Purcell,R.H., Emerson,S.U. and Bukh,J. Proc. Natl. Acad. Sci. U.S.A. 94(16), 8738-8743 (1997)] 참조; AF054247, 문헌 [Yanagi,M., St Claire,M., Shapiro,M., Emerson,S.U., Purcell R.H. and Bukh,J. Virology 244 (1), 161-172. (1998)] 참조)에 발표하였다.
H77 및 J4L6S 균주를 재조합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생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이러한 균주에 대해서 재조합 HCV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아미노산 1027 내지 1711)를 코딩하는 DNA를 피. 갈리나리 등 (P. Gallinari et al.)에 의해 기술된 대로 (문헌 [Gallinari P, Paolini C, Brennan D, Nardi C, Steinkuhler C, De Francesco R. Biochemistry 38(17):5620-32, (1999)] 참조) 조작하였다. 요약하여, 3-라이신 가용성 꼬리를 NS4A 코딩 영역의 3'-말단에 첨가하였다. NS4A-NS4B 절단 부위의 P1 위치의 시스테인 (아미노산 1711)을 라이신 태그의 단백분해성 절단을 피하기 위하여 글리신으로 교체하였다. 또한, NS3 헬리카제 도메인에서의 자기분해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테인의 세린으로의 돌연변이를 아미노산 위치 1454에서 PCR로 도입하였다. 변이체 DNA 단편을 pET21b 박테리아 발현 벡터 (노바젠 (Novagen))에서 클로닝하고, 피. 갈리나리 등에 의해 기술된 프로토콜 (문헌 [Gallinari P, Brennan D, Nardi C, Brunetti M, Tomei L, Steinkuhler C, De Francesco R., J Virol. 72(8):6758-69 (1998)] 참조)을 변형하여 이에 따라 NS3/4A 복합체를 대장균 (Escherichia. coli) 균주 BL21 (DE3) (인비트로젠 (Invitrogen))에서 발현시켰다. 요약하여,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발현을 22시간 (h) 동안 20 ℃에서 0.5 mM (밀리몰)의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 (IPTG)로 유도하였다. 전형적인 발효 (1 리터 (L))로 대략 10 그램 (g)의 습 식 세포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세포를 25 mM의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 술폰산) (HEPES), pH 7.5, 20%의 글리세롤, 500 mM의 염화나트륨 (NaCl), 0.5%의 트리톤 (Triton) X-100, 1 마이크로그램/밀리리터 ("μg/mL")의 리소자임, 5 mM의 염화마그네슘 (MgCl2), 1 μg/mL의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I (DnaseI), 5 mM의 β-머캅토에탄올 (βME), 프로테아제 억제제-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무함유 (로슈 (Roche))로 구성된 용해 버퍼 (10 mL/g)에 재현탁시키고, 균질화하고, 4 ℃에서 2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균등액을 초음파 처리하고, 4 ℃에서 1시간 동안 235000 g에서 초원심분리하여 맑게 하였다. 이미다졸을 상청액에 첨가하여 최종 농도를 15 mM로 하고, pH를 8.0으로 조절하였다. 조 단백질 추출물을 버퍼 B (25 mM의 HEPES, pH 8.0, 20%의 글리세롤, 500 mM의 NaCl, 0.5%의 트리톤 X-100, 15 mM의 이미다졸, 5 mM의 βME)로 선-평형화시킨 니켈-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i-NTA) 컬럼에 로딩하였다. 샘플을 1 mL/분의 유속으로 로딩하였다. 컬럼을 15 컬럼 부피의 버퍼 C (0.2%의 트리톤 X-100 외에는 버퍼 B와 동일함)로 세척하였다. 단백질을 5 컬럼 부피의 버퍼 D (200 mM의 이미다졸 외에는 버퍼 C와 동일함)로 용리하였다.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함유 분획을 모으고, 버퍼 D (25 mM의 HEPES, pH 7.5, 20%의 글리세롤, 300 mM의 NaCl, 0.2%의 트리톤 X-100, 10 mM의 βME)로 선-평형화시킨 탈염 컬럼 수퍼덱스-S200 (Superdex-S200)에 로딩하였다. 샘플을 1 mL/분의 유속으로 로딩하였다.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함유 분획을 모으고, 대 략 0.5 mg/mL로 농축하였다. BMS, H77 및 J4L6S 균주로부터 유도된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순도는 SDS-PAGE 및 질량 분광분석법에 의해 9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효소를 -80 ℃에서 보관하고, 얼음에서 녹이고, 분석 버퍼에서 사용하기 전에 희석하였다.
HCV NS3/4A 단백질분해 활성을 모니터하기 위한 FRET 펩티드 분석
이 시험관 내 분석의 목적은 상기 기술된 대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에 의한 BMS 균주, H77 균주 또는 J4L6S 균주로부터 유도된 HCV NS3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억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석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HCV NS3 단백질분해 활성을 억제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낸다.
HCV NS3/4A 프로테아제 활성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NS3/4A 펩티드 기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기질은 문헌 [Taliani et al. in Anal. Biochem. 240(2):60-67 (1996)]에 기술된 RET S1 (공명 에너지 전이 뎁시펩티드 기질; 문헌 [AnaSpec, Inc. cat # 22991]) (FRET 펩티드)이다. 이 펩티드의 서열은 절단 부위에 아미드 결합이 아니라 에스테르 연관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HCV NS3 프로테아제에 대한 NS4A/NS4B 천연 절단 부위에 대략의 기초를 두고 있다. 상기 펩티드는 또한 펩티드의 한 말단 근처에 형광 공여자인 EDANS 및 다른 말단 근처에 수용체인 DABCYL을 포함한다. 펩티드의 형광은 공여자 및 수용체 사이의 분자간 공명 에너지 전이 (RET)에 의해 종결되나, NS3 프로테아제가 펩티드를 절단하면서, 생성물이 RET 종결로부터 방출되고, 공여자의 형광이 분명해진다.
상기 펩티드 기질을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없을 때, 또는 있을 때, 3종의 재조합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중 하나와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의 억제 효과는 사이토플루오르 시리즈 4000 (Cytofluor Series 4000)을 이용하여 형광 반응 생성물의 형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결정하였다.
시약은 다음과 같다: HEPES 및 글리세롤 (초고순도)은 GIBCO-BRL로부터 얻었다. 디메틸 술폭시드 (DMSO)는 시그마 (Sigma)로부터 얻었다. β-머캅토에탄올은 바이오 래드 (Bio Rad)로부터 얻었다.
분석 버퍼: 50 mM의 HEPES, pH 7.5; 0.15 M의 NaCl; 0.1%의 트리톤; 15%의 글리세롤; 10 mM의 βME. 기질: 2 μM의 최종 농도 (-20 ℃에서 저장된 DMSO 중 2 mM의 저장 용액으로부터). HCV NS3/4A 프로테아제 유형 1a (1b), 2 내지 3 nM의 최종 농도 (25 mM의 HEPES, pH 7.5, 20%의 글리세롤, 300 mM의 NaCl, 0.2%의 트리톤-X100, 10 mM의 βME 중 5 μM의 저장 용액으로부터). 분석 한계에 접근하는 효능을 갖는 화합물에 대해서, 50 μg/mL의 우혈청 알부민 (시그마)을 분석 버퍼에 첨가하고, 말단 프로테아제의 농도를 300 pM로 감소시켜 분석을 더 고감도로 만들었다.
분석은 팔콘 (Falcon)으로부터의 96-웰 폴리스티렌 흑색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각각의 웰은 분석 버퍼에 25 μL의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를, 10%의 DMSO/분석 버퍼에 50 μL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그리고 분석 버퍼 내에 25 μL의 기질을 포함하였다. 또한, 대조군 (화합물 불포함)을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 상에서 준비하였다. 효소 복합체를 화합물 또는 대조군 용액과 1분간 혼합한 후, 기질을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개시하였다. 분석 플레이트를 사이토플루오르 시리 즈 4000 (퍼스펙티브 바이오시스템즈 (Perspective Biosystems))을 이용하여 즉시 판독하였다. 상기 기기는 25 ℃에서 340 nm의 방출 및 490 nm의 여기를 판독하도록 되어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대략 15분간 일어난다.
억제 백분율은 다음 방정식으로 계산하였다:
100-[(δFinh/δFcon)×100]
식 중, δF는 커브의 선형 범위에서의 형광의 변화이다. 비-선형 곡선 접합을 억제-농도 데이타에 적용시키고, 50%의 유효 농도 (IC50)를 방정식 y=A+((B-A)/(1+((C/x)^D)))을 이용하여 엑셀 엑스엘핏 (Excel XLfit) 소프트웨어로 계산하였다.
비록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1a 균주와 비교하여 1b 균주에 대해 더 큰 효능을 균일하게 보여주었으나, 하나 이상의 NS3/4A 복합체 유형에 대해 테스트한 상기 화합물은 유사한 억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이성 분석
특이성 분석은 다른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와 비교하여 HCV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시험관내 선택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특이성을 다양한 세린 프로테아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 (HNE),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 (PPE) 및 인간 췌장 키모트립신) 및 1종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인간 간 카텝신 B)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각각의 효소에 특이적인 비색 p-니트로아닐린 (pNA) 기질 또는 형광 아미노-메틸-쿠마린 (AMC)을 사용하는 96-웰 플레이트 포맷 프로토콜을 세린 프로테아제 분석을 일부 변형하여 PCT 특허 출원 번호 WO 00/09543에 이전에 기술된 대로 이용하였다. 모든 효소는 시그마, 이엠디바이오사이언시즈 (EMDbiosciences)로부터 구입하였고, 기질은 바켐 (Bachem), 시그마 및 이엠디바이오사이언시즈로부터 구입하였다.
키모트립신에 대한 pNA 분석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의 효소-억제제 선-인큐베이션, 이후 기질의 첨가 및 스펙트라막스 프로 (Spectramax Pro)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측정한 대로 가수분해를 통한 약 15%의 변환을 포함한다. 화합물의 농도는 효능에 따라 100에서 0.4 μM까지 변화하였다. 카텝신 B, HNE 및 PPE 분석은 각각 기질을 실온에서 10분간 선-인큐베이션한 효소-억제제에 첨가하고, 사이토플루오르로 측정한 대로 가수분해를 통해 15%를 변환시킴으로써 개시되었다.
각각의 분석에 대한 최종 조건은 다음과 같다:
50 mM의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리스-HCl) pH 8, 0.5 M의 황산나트륨 (Na2SO4), 50 mM의 NaCl, 0.1 mM의 EDTA, 3%의 DMSO, 100 μM의 succ-AAPF-pNA와 0.01%의 트윈 (Tween)-20 및 250 pM의 키모트립신.
50 mM의 트리스-HCl, pH 8.0, 50 mM의 NaCl, 0.1 mM의 EDTA, 3%의 DMSO, 0.02%의 트윈-20, 5 μM의 succ-AAPV-AMC 및 20 nM의 HNE 또는 8 nM의 PPE;
100 mM의 NaOAC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5.5, 3%의 DMSO, 1 mM의 TCEP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 히드로클로라이드), 5 nM의 카텝신 B (사용 전에 20 mM의 TCEP를 포함하는 버퍼 중에서 활성화된 효소 저장액) 및 H2O로 희석한 2 μM의 Z-FR-AMC.
억제 백분율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1-((UVinh-UVblank)/(UVctl-UVblank))]×100
비-선형 곡선 접합을 억제-농도 데이타에 적용시키고, 50%의 유효 농도 (IC50)를 엑셀 엑스엘핏 소프트웨어로 계산하였다.
HCV 레플리콘의 생성
HCV 레플리콘 전세포 시스템을 문헌 [Lohmann V, Korner F, Koch J, Herian U, Theilmann L, Bartenschlager R., Science 285(5424):110-3 (1999)]에 기술된 대로 수립하였다. 상기 시스템은 HCV RNA 복제에 대한 HCV 프로테아제 화합물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요약하여, 로만 (Lohmann) 논문 (접근 번호: AJ238799)에 기술된 HCV 균주 1b 서열을 이용하여, 오페론 테크놀로지스, 인크. (Operon Technologies,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알라메다 소재)에서 HCV cDNA를 합성하였고, 이후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을 이용하여 전장 레플리콘을 플라스미드 pGem9zf(+) (프로메가 (Promega), 미국 위스콘신주 메디슨 소재)에서 조립하였다. 상기 레플리콘은 (i) 캡시드 단백질의 처음 12개의 아미노산에 융합된 HCV 5' UTR, (ii) 네오마이신 포스포트랜스퍼라제 유전자 (neo), (iii) 뇌척수심근염 바이러스 (EMCV)로부터의 IRES 및 (iv) HCV NS3 내지 NS5B 유전자 및 HCV 3' UTR로 구성된다. 플라스미드 DNA를 ScaI로 선형화하고, RNA 전사체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T7 메가스크립트 (MegaScript) 전사 키트 (앰비온 (Ambion),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소재)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합성하였다. cDNA의 시험관내 전사체를 인간 간암 세포주, HUH-7로 형질감염시켰다. HCV 레플리콘을 구성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에 대한 선택은 선별 마커인 네오마이신 (G418)의 존재 하에 이루어졌다. 생성된 세포주는 시간에 따른 양성 및 음성 가닥 RNA의 생성 및 단백질의 생성으로 특징화되었다.
HCV 레플리콘 FRET 분석
HCV 레플리콘 FRET 분석은 HCV 바이러스성 복제에 대한 본 개시내용에서 기술된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HCV 레플리콘을 구성적으로 발현하는 HUH-7 세포는 10%의 태아 소 혈청 (FCS) (시그마) 및 1 mg/mL의 G418 (지브코-비알엘)을 포함하는 둘베코 변성 이글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DMEM) (지브코-비알엘 (Gibco-BRL))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96-웰 조직-배양 멸균 플레이트에서 하루 전날 밤에 시딩하였다 (1.5×104 세포/웰). 화합물 및 비-화합물 대조군을 4%의 FCS, 1:100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지브코-비알엘), 1:100의 L-글루타민 및 희석 플레이트 중 5%의 DMSO (분석 중 0.5%의 DMSO 최종 농도)를 포함하는 DMEM 중에서 준비하였다. 화합물/DMSO 혼합물을 세포에 첨가하고, 37 ℃에서 4일간 인큐베이션하였다. 4일 후, 먼저 CC50 판독을 위하여 알라마 블루 (alamar Blue) (트렉 다이아그노스틱스 시스템즈 (Trek Diagnostics Systems))를 사용하여 세포 독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배지에 1/10 부피의 알라마 블루를 첨가하여 화합물의 독성 (CC50)을 측정 하였다. 4시간 후, 사이토플루오르 시리즈 4000 (퍼스펙티브 바이오시스템즈)을 이용하여 530 nm의 여기 파장 및 580 nm의 방출 파장으로 각각의 웰로부터 형광 신호를 판독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포스페이트-버퍼 식염수 (PBS) (3회, 150 μL)로 철저하게 헹구었다. 증류수로 1×로 희석한 HCV 프로테아제 기질 (5× 세포 루시퍼라제 세포 배양 용해 시약 (프로메가 #E153A), 최종적으로 150 mM로 첨가된 NaCl, 100%의 DMSO 중 2 mM의 저장 용액으로부터 최종적으로 10 μM로 희석한 FRET 펩티드 기질 (상기 효소 분석에 대해 기술된 대로)을 포함하는 25 μL의 용해 분석 시약으로 세포를 용해시켰다. 이후, 플레이트를 340 nm 여기/490 nm 방출, 21 주기에 대해 자동 모드로 세팅한 사이토플루오르 4000 기기에 위치시키고, 플레이트를 동적 모드에서 판독하였다. IC50 측정에 대해 기술된 대로 EC50 측정을 실시하였다.
HCV 레플리콘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
부수적인 분석으로서, 레플리콘 FRET 분석으로부터의 EC50 측정은 레플리콘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에서 확인되었다. 레플리콘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의 이용은 크리에거 등 (Krieger et al) (문헌 [Krieger N, Lohmann V and Bartenschlager R, J. Virol. 75(10):4614-4624 (2001)])에 의해 먼저 기술되었다. FRET 분석을 위해 기술된 레플리콘 작제물을 레닐라 (Renilla) 루시퍼라제 유전자의 인간화된 형태 및 루시퍼라제 유전자의 3'-말단에 직접 융합된 링커 (linker) 서열을 코딩하는 cDNA를 삽입하여 변형시켰다. 이러한 삽입은 바로 네오마이신 마 커 유전자의 상류의 코어 내에 위치한 Asc1 제한 부위를 이용하여 레플리콘 작제물에 도입하였다. 또한, 위치 1179에서의 적응적 돌연변이 (세린에서 이소류신으로)도 도입되었다 (문헌 [Blight KJ, Kolykhalov, AA, Rice, CM, Science 290(5498):1972-1974]). 이러한 HCV 레플리콘 작제물을 구성적으로 발현시키는 안정한 세포주를 상기 기술된 대로 생성하였다.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은 하기 변형을 가하여 HCV 레플리콘 FRET 분석을 위해 기술된 대로 세팅하였다. 이후 4일간 37 ℃/5%의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프로메가의 듀얼-글로 (Dual-Glo)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에 대해 세포를 분석하였다. 세포를 포함하는 각각의 웰로부터 배지 (100 μL)를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50 μL의 배지에, 50 μL의 듀얼-글로 루시퍼라제 시약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흔들었다. 듀얼-글로 스탑 & 글로 (Stop & Glo) 시약 (50 μL)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다시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흔들었다. 발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패커드 톱카운트 엔엑스티 (Packard TopCount NXT) 상에서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억제 백분율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대조군 =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0
값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EC50 값을 얻기 위해 엑스엘핏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개시내용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HCV 효소 분석, HCV 레플리콘 세포 분석 및/또는 여러 개략적인 특이성 분석에서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 18은 효소 분석에서 NS3/4A BMS 균주에 대해 3.4 나노몰 (nM)의 IC50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사한 효능 값을 공개된 H77 (1.2 nM의 IC50) 및 J4L6S (0.9 nM의 IC50) 균주로 얻었다. 레플리콘 FRET 분석에서 EC50 값은 9 nM, 레플리콘 루시퍼라제 분석에서 EC50 값은 1.1 nM이었다.
특이성 분석에서, 동일한 화합물이 하기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HLE > 1.56 μM; PPE > 1.56 μM; 키모트립신 > 50 μM; 카텝신 B > 50 μM. 이러한 결과는 이 화합물 족이 NS3 프로테아제에 대해 매우 특이적이며, 많은 구성 화합물이 HCV 레플리콘 복제를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HCV의 모든 유전자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 내의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C50 활성 범위 (NS3/4A BMS 균주): A > 0.2 μM; B = 0.02 내지 0.2 μM; C = 0.6 내지 20 nM.
EC50 활성 범위 (시험 화합물에 대해): A > 1 μM; B = 0.1 내지 1 μM; C = 3 내지 100 nM.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1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2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3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4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5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6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7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8
Figure 112009034458579-PCT00559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0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1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2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3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4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5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6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7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8
Figure 112009034458579-PCT00569
Figure 112009034458579-PCT00570
본 개시내용이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그의 본질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참조는 상기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 범위에 대해 이루어져야 하며, 청구 범위와 동등한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112009034458579-PCT00571
    식 중,
    m은 1, 2 또는 3이고;
    R1은 히드록시 및 -NHSO2R6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은 알킬,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NRaRb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킬, 시클로알킬 및 (시클로알킬)알킬의 시클로알킬 부분은 알케닐,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 아릴알킬, 아릴카르보닐, 시아노,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알킬,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NReRf)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수소,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케닐, 알 킬 및 시클로알킬은 할로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알케닐,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알킬, 알킬, 아릴알킬, 카르복시알킬,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히드록시알킬, (NRcRd)알킬 및 (NReRf)카르보닐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알킬술파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 카르복시, 시아노,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시클릴,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알킬, (NRcRd)알콕시, (NReRf)카르보닐 및 (NReRf)술포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a 및 Rb는 수소, 알콕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시클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a 및 Rb는 그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알킬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아릴, 아릴알킬의 아릴 부분 및 헤테로시클릴은 알콕시, 알킬 및 할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NHSO2R6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m은 1 또는 2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알킬,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NRaRb로부터 선택되고, 이 중 알킬, 시클로알킬 및 (시클로알킬)알킬의 시클로알킬 부분은 알케닐,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 아릴알킬, 아릴카르보닐, 시아노,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알킬,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NReRf)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케닐, 알킬 및 시클로알킬은 할로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알킬술파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 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 카르복시, 시아노, 시아노알킬, 시클로알킬,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헤테로시클릴,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니트로, -NRcRd, (NRcRd)알킬, (NRcRd)알콕시, (NReRf)카르보닐 및 (NReRf)술포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a 및 Rb는 수소, 알콕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시클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a 및 Rb는 그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알킬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아릴, 아릴알킬의 아릴 부분 및 헤테로시클릴은 알콕시, 알킬 및 할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4. 제3항에 있어서, R6가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및 -NRaRb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m은 1이고;
    R1은 -NHSO2R6이고; 여기서, R6은 비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R2는 알케닐이고;
    R3은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페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 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R4가 6원의 치환된 고리일 때,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고;
    R5A, R5B, R5C, R5D, R5E 및 R5F는 각각 수소, 알콕시, 아릴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2개의 인접한 R5기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6원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c 및 Rd는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 및 Rf는 수소,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6. 제5항에 있어서,
    R4가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페닐이되; 단,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7. 제5항에 있어서,
    R4가 1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이고; 여기서, 고리는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NRcRd, (NReRf)카르보닐, (NReRf)술포닐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플루오로 외의 고리 상의 모든 치환기는 고리의 모 분자 잔기에의 부착 지점에 대하여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이어야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8. N-(4,6-디메틸-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 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미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미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 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메톡시-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시아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3-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3-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 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디메틸술파모일)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 -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6-디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6-디메틸-2-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4-메틸-5-니트로-2-피리디닐)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 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5-피리미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5-피리미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5-메틸-3-피리디닐)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3-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3-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5-(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5-(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 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2-피리디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2-피리디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2,6-디메틸-4-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2,6-디메틸-4-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6-디클로로-2-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6-디클로로-2-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5-클로로-3-피리디닐)-3-메틸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에틸-1,3-티아졸-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5,6-디히드로-4H-1,3-티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5,6-디히드로-4H-1,3-티아진-2-일)-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2-피리디닐)-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5-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3-메틸-N-(6-메틸-2-피리디닐)-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3-(디메틸아미노)-5-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 L-프롤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메톡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메톡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메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메틸카르바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시아노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시아노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 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시아노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시아노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2,3-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2,3-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카르복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카르복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 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카르복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카르복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tert-부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 ((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tert-부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4-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4-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 필)-L-프롤린아미드;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4-((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4-((1-메틸-1-페닐에틸)카르바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에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에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 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디메틸술파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카르바모일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4-카르바모일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메틸술파모일)페닐)-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3-메틸-N-(3-(메틸술파모일)페닐)-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메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메톡시카르보닐)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2S)-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타노일)-L-프롤린아미드;
    (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1-((2R)-2-((4-에톡시-1,2,5-티아디아졸-3-일)아미노)부타노일)-L-프롤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 로필)-L-프롤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L-프롤린아미드;
    N-(3,4-디플루오로페닐)-3-메틸-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9-메톡시-4-메틸-3,4-디히드로-2H-[1,4]옥사지노[3,2-c]이소퀴놀린-6-일)옥시)-L-프롤린아미드;
    N-(6-메톡시-3-피리디닐)-3-메틸-L-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6-메톡시-3-피리디닐)-3-메틸-D-발릴-(4R)-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4-((6-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L-프롤린아미드;
    N-(6-메톡시-3-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6-메톡시-3-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 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N-(6-(디플루오로메톡시)-3-피리디닐)-3-메틸-L-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N-(6-(디플루오로메톡시)-3-피리디닐)-3-메틸-D-발릴-(4R)-4-((7-클로로-4-메톡시-1-이소퀴놀리닐)옥시)-N-((1R,2S)-1-((시클로프로필술포닐)카르바모일)-2-비닐시클로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9.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인터페론 또는 리바비린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인터페론이 인터페론 알파 2B,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구성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헬퍼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증진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스 RNA, 이미퀴모드,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진입, HCV 조립,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및 IMPDH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조성물.
  15.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항-HCV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보다 전에,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인터페론 또는 리바비린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인터페론이 인터페론 알파 2B,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구성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헬퍼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증진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스 RNA, 이미퀴모드,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이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진입, HCV 조립,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및 IMPDH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방법.
KR1020097011785A 2006-11-09 2007-11-08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KR20090082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503406P 2006-11-09 2006-11-09
US60/865,034 2006-11-09
US11/934,840 2007-11-05
US11/934,840 US7772180B2 (en) 2006-11-09 2007-11-05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467A true KR20090082467A (ko) 2009-07-30

Family

ID=3930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785A KR20090082467A (ko) 2006-11-09 2007-11-08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772180B2 (ko)
EP (1) EP2086963B1 (ko)
JP (1) JP2010509359A (ko)
KR (1) KR20090082467A (ko)
CN (1) CN101541784B (ko)
AR (1) AR063653A1 (ko)
AU (1) AU2007319435A1 (ko)
BR (1) BRPI0718625A2 (ko)
CA (1) CA2669310A1 (ko)
CL (1) CL2007003250A1 (ko)
EA (1) EA200900676A1 (ko)
IL (1) IL198248A0 (ko)
MX (1) MX2009004888A (ko)
NO (1) NO20091591L (ko)
NZ (1) NZ576817A (ko)
PE (1) PE20081344A1 (ko)
TW (1) TW200826938A (ko)
WO (1) WO20080609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0680A (en) 2002-05-20 2010-01-15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1831225A2 (en) 2004-11-19 2007-09-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i-inflammatory pyrazolopyrimidines
PT2004654E (pt) 2006-04-04 2013-08-27 Univ California Derivados de pirazolopirimidina para utilização como antagonistas da quinase
CN101784549A (zh) * 2007-05-03 2010-07-21 因特蒙公司 丙型肝炎病毒复制的新颖大环抑制剂
CA2686546A1 (en) * 2007-05-10 2008-11-20 Intermune, Inc. Novel peptid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US20090047252A1 (en) * 2007-06-29 2009-02-19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GB2467670B (en) 2007-10-04 2012-08-01 Intellikine Inc Chemical entiti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8293705B2 (en) 2007-12-21 2012-10-23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09082697A1 (en) 2007-12-21 2009-07-02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309685B2 (en) * 2007-12-21 2012-11-13 Celgene Avilomics Research,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2237666A4 (en) * 2007-12-21 2012-05-16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193182B2 (en) 2008-01-04 2012-06-05 Intellikine, Inc. Substituted isoquinolin-1(2H)-o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09204483B2 (en) 2008-01-04 2014-03-13 Intellikine, Llc Certain chemical entities, compositions and methods
MX2010008523A (es) * 2008-02-04 2010-08-31 Idenix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macrociclicos de serina proteasa.
JP5547099B2 (ja) * 2008-03-14 2014-07-09 インテリカイン, エルエルシー キナーゼ阻害剤および使用方法
WO2009114874A2 (en) 2008-03-14 2009-09-17 Intellikine, Inc. Benzothiazol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SG175692A1 (en) * 2008-04-15 2011-11-28 Intermune Inc Novel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US20090285774A1 (en) * 2008-05-15 2009-11-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AU2009268611B2 (en) 2008-07-08 2015-04-09 Intellikine, Llc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US20110224223A1 (en) 2008-07-08 2011-09-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California Corporation M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US8207341B2 (en) * 2008-09-04 2012-06-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or synthesizing substituted isoquinolines
UY32099A (es) 2008-09-11 2010-04-30 Enanta Pharm Inc Inhibidores macrocíclicos de serina proteasas de hepatitis c
EP2346508B1 (en) 2008-09-26 2016-08-24 Intellikine, LLC Heterocyclic kinase inhibitors
AU2009303483A1 (en) * 2008-10-15 2010-04-22 Intermune, Inc. Therapeutic antiviral peptides
JP5819195B2 (ja) 2008-10-16 2015-11-1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融合環ヘテロアリールキナーゼ阻害剤
US8476431B2 (en) 2008-11-03 2013-07-02 Itellikine LLC Benzoxazol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AR075584A1 (es) * 2009-02-27 2011-04-20 Intermune Inc COMPOSICIONES TERAPEUTICAS QUE COMPRENDEN beta-D-2'-DESOXI-2'-FLUORO-2'-C-METILCITIDINA Y UN DERIVADO DE ACIDO ISOINDOL CARBOXILICO Y SUS USOS. COMPUESTO.
US8377962B2 (en) 2009-04-08 2013-02-19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KR101018330B1 (ko) 2009-04-30 2011-03-04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3,4-디히드로이소퀴놀리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A2760791C (en) 2009-05-07 2017-06-20 Intellikine,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5639155B2 (ja) 2009-05-13 2014-12-10 エナンタ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型肝炎ウイルス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大環状化合物
US8232246B2 (en) * 2009-06-30 2012-07-31 Abbott Laboratories Anti-viral compounds
AR077712A1 (es) 2009-08-05 2011-09-14 Idenix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macrociclica
IN2012DN02693A (ko) * 2009-09-28 2015-09-04 Intermune Inc
TW201116540A (en) * 2009-10-01 2011-05-16 Intermune Inc Therapeutic antiviral peptides
WO2011047384A2 (en) 2009-10-16 2011-04-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inhibiting ire1
WO2011049908A2 (en) * 2009-10-19 2011-04-28 Enanta Pharmaceuticals, Inc. Bismacrokyclic compounds as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146882A1 (en) 2010-05-21 2011-11-24 Intellikine, Inc.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CN102134240A (zh) * 2010-06-29 2011-07-27 嘉兴宜博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6-氟-7-氮杂吲哚的合成方法
WO2012048235A1 (en) * 2010-10-08 2012-04-12 Novartis Ag Vitamin e formulations of sulfamide ns3 inhibitors
JP2013545749A (ja) 2010-11-10 2013-12-26 インフィニティ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素環化合物及びその使用
US9173887B2 (en) 2010-12-22 2015-11-03 Abbvie Inc. Hepatitis 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BR112013016480A2 (pt) 2010-12-30 2016-09-20 Abbvie Inc macrocíclo da fenantridina inibadores da protease da serina da hepatite c
US8937041B2 (en) 2010-12-30 2015-01-20 Abbvie, Inc.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BR112013017670B1 (pt) 2011-01-10 2022-07-1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Processos de preparação de isoquinolinonas e formas sólidas de isoquinolinonas
TW201309690A (zh) 2011-02-10 2013-03-01 Idenix Pharmaceuticals Inc 巨環絲胺酸蛋白酶抑制劑,其醫藥組合物及其於治療hcv感染之用途
CN106619647A (zh) 2011-02-23 2017-05-10 因特利凯有限责任公司 激酶抑制剂的组合及其用途
US8957203B2 (en) 2011-05-05 2015-02-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10201584B1 (en) 2011-05-17 2019-02-12 Abbvi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CV
US8691757B2 (en) 2011-06-15 2014-04-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KR20140063605A (ko) 2011-07-19 2014-05-27 인피니티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의 용도
WO2013012915A1 (en) 2011-07-19 2013-01-24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MX2014002542A (es) 2011-08-29 2014-07-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heterociclicos y usos de los mismos.
MX370814B (es) 2011-09-02 2020-01-08 Univ California Pirazolo[3,4-d]pirimidinas sustituidas y usos de las mismas.
US9193689B2 (en) 2012-03-07 2015-11-24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Royal Cancer Hospital (The) 3-aryl-5-substituted-isoquinolin-1-on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8940742B2 (en) 2012-04-10 2015-01-2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8828998B2 (en) 2012-06-25 2014-09-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lupus, fibrotic conditions, and inflammatory myopathies and other disorders using PI3 kinase inhibitors
PT2882714T (pt) * 2012-08-08 2020-02-19 Merck Patent Gmbh Derivados de (aza)isoquinolinona
BR112015006828A8 (pt) 2012-09-26 2019-09-17 Univ California composto,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o do composto; e método para modular a atividade de uma proteína ire1
JP6154474B2 (ja) 2012-10-19 2017-06-28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Bristol−Myers Squibb Company C型肝炎ウイルス阻害剤
US9643999B2 (en) 2012-11-02 2017-05-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4070964A1 (en) 2012-11-02 2014-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2914598B1 (en) 2012-11-02 2017-10-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2914614B1 (en) 2012-11-05 2017-08-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2964664B1 (en) 2013-03-07 2017-01-1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9481667B2 (en) 2013-03-15 2016-11-01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Salts and solid forms of isoquinolinon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S2666729T3 (es) 2013-09-11 2018-05-07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Royal Cancer Hospital (The) Compuestos de isoquinolin-1-ona 3-aril-5-sustituida y su uso terapéutico
ES2900806T3 (es) 2013-10-04 2022-03-18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heterocíclicos y usos de los mismos
WO2015051241A1 (en) 2013-10-04 2015-04-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EP3089757A1 (en) 2014-01-03 2016-11-09 AbbVie Inc. Solid antiviral dosage forms
DK3119397T3 (da) 2014-03-19 2022-03-28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kliske forbindelser til anvendelse i behandling af PI3K-gamma-medierede lidelser
US20150320755A1 (en) 2014-04-16 2015-11-12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therapies
WO2016054491A1 (en) 2014-10-03 2016-04-0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180058741A (ko) 2015-09-14 2018-06-01 인피니티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소퀴놀리논의 고체형, 그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EP3413915A1 (en) 2016-02-08 2018-12-19 Synaffix B.V. Antibody-conjugates with improved therapeutic index for targeting her2 tumour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rapeutic index of antibody-conjugates
US10874746B2 (en) 2016-02-08 2020-12-29 Synaffix B.V. Sulfamide linkers for use in bioconjugates
JP2019507741A (ja) 2016-02-08 2019-03-22 シンアフィックス ビー.ブイ. 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スルファミドリンカーを含むバイオコンジュゲート
WO2017161116A1 (en) 2016-03-17 2017-09-21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Isotopologues of isoquinolinone and quinazolino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as pi3k kinase inhibitors
WO2017214269A1 (en) 2016-06-08 2017-12-14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AU2017281797A1 (en) 2016-06-24 2019-01-24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therapies
CN113200933B (zh) * 2021-05-19 2022-12-09 河南师范大学 不对称加成反应合成光学活性苯并羧酸酯类化合物的方法
WO2024094827A1 (en) * 2022-11-02 2024-05-10 Philochem Ag Carbonic anhydrase ix ligands for targeted delivery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5255A3 (en) * 1990-09-12 1993-04-14 F. Hoffmann-La Roche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pure (s)-alpha-((tert-butylsulfonyl)methyl)hydro cinnamic acid
NZ335276A (en) 1996-10-18 2000-09-29 Vertex Pharma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epatitis C virus (HCV) NS3 (Non Structural Protein 3) protease
IL134232A0 (en) 1997-08-11 2001-04-30 Boehringer Ingelheim Ca Ltd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s
ES2234144T3 (es) 1997-08-11 2005-06-16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Analogos de 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US6323180B1 (en) 1998-08-10 2001-11-27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AR022061A1 (es) 1998-08-10 2002-09-04 Boehringer Ingelheim Ca Ltd 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s contiene, el uso de los mismos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el uso de un producto intermedio para la preparacion de estos peptidos y un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peptido analogo de los mismos.
UA74546C2 (en) 1999-04-06 2006-01-16 Boehringer Ingelheim Ca Ltd Macrocyclic peptides having activity relative to hepatitis c viru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L206255B1 (pl) 2000-07-21 2010-07-30 Dendreon Corporationdendreon Corporation Inhibitor proteazy wirusa zapalenia wątroby C, zawierająca go kompozycja farmaceutyczna i zastosowanie inhibitora do wytwarzania leku do leczenia chorób związanych z HCV oraz zastosowanie do wytwarzania kompozycji do stosowania w kombinowanej terapii
US7244721B2 (en) 2000-07-21 2007-07-17 Schering Corporation Peptides as NS3-serine proteas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ES2263687T3 (es) 2000-11-20 2006-12-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dores tripeptidicos de la hepatitis c.
US6867185B2 (en) 2001-12-20 2005-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CA2369711A1 (en) 2002-01-30 2003-07-30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CA2369970A1 (en) 2002-02-01 2003-08-01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CA2370396A1 (en) 2002-02-01 2003-08-01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US6828301B2 (en) 2002-02-07 2004-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patitis C viral protease inhibitors
AU2003301959A1 (en) 2002-05-20 2004-06-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ubstituted cycloalkyl p1'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PL211889B1 (pl) 2002-05-20 2012-07-31 Bristol Myers Squibb Co Pochodna heterocyklosulfonamidowa, kompozycja ją zawierająca oraz ich zastosowanie
MY140680A (en) * 2002-05-20 2010-01-15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60199773A1 (en) * 2002-05-20 2006-09-07 Sausker Justin B Crystalline forms of (1R,2S)-N-[(1,1-dimethylethoxy)carbonyl]-3-methyl-L-valyl-(4R)-4-[(6-methoxy-1-isoquinolinyl)oxy]-L-prolyl-1-amino-N-(cyclopropylsulfonyl)-2-ethenyl-cyclopropanecarboxamide, monopotassium salt
PL215228B1 (pl) 2002-05-20 2013-11-29 Bristol Myers Squibb Co Zwiazki tripeptydowe, ich zastosowanie i kompozycja farmaceutyczna je zawierajaca oraz jej zastosowanie
US20040033959A1 (en) 2002-07-19 2004-02-1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patitis C viral protease inhibitors
US20050075279A1 (en) 2002-10-25 2005-04-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US7601709B2 (en) * 2003-02-07 2009-10-13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4072243A2 (en) 2003-02-07 2004-08-26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4101605A1 (en) 2003-03-05 2004-11-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ing compounds
ATE486889T1 (de) 2003-03-05 2010-11-15 Boehringer Ingelheim Int Peptidanaloga mit inhibitorischer wirkung auf hepatitis c
KR20050108420A (ko) 2003-04-02 2005-11-16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형 간염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위한 약제학적조성물
JP4733023B2 (ja) * 2003-04-16 2011-07-27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C型肝炎ウイルスの大環状イソキノリンペプチド阻害剤
JP4778893B2 (ja) 2003-04-18 2011-09-21 エナンタ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ノキサリニル大環状のc型肝炎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
CN103204903A (zh) 2003-05-21 2013-07-17 贝林格尔.英格海姆国际有限公司 丙型肝炎抑制剂化合物
WO2004113365A2 (en) 2003-06-05 2004-12-29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tri-peptide inhibitors
US7125845B2 (en) 2003-07-03 2006-10-24 Enanta Pharmaceuticals, Inc. Aza-peptide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PE20050431A1 (es) 2003-09-22 2005-07-19 Boehringer Ingelheim Int Peptidos macrociclicos activos contra el virus de la hepatitis c
MXPA06004006A (es) 2003-10-10 2006-06-28 Vertex Pharma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s, especialmente de ns3-ns4a proteas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TWI375679B (en) 2003-10-14 2012-11-01 Hoffmann La Roche Macrocyclic carboxylic acids and acylsulfonamides as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US7132504B2 (en) 2003-11-12 2006-11-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135462B2 (en) 2003-11-20 2006-11-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5051980A1 (en) 2003-11-20 2005-06-09 Schering Corporation Depeptidized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US7309708B2 (en) 2003-11-20 2007-12-18 Bir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1730167B1 (en) 2004-01-21 2011-01-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ES2336009T3 (es) 2004-01-30 2010-04-07 Medivir Ab Inhibidores de la ns-3 serina proteasa del vhc.
NZ549697A (en) 2004-03-30 2009-12-24 Intermune Inc Macrocycl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WO2006016930A2 (en) 2004-05-14 2006-02-16 Intermun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infection
CA2568008C (en) 2004-05-25 2014-0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rocess for preparing acyclic hcv protease inhibitors
EP1763531A4 (en) 2004-06-28 2009-07-01 Boehringer Ingelheim Int ANALOGUE OF HEPATITIS-C INHIBITING PEPTIDES
AU2005274700B2 (en) 2004-07-16 2011-11-10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UY29016A1 (es) 2004-07-20 2006-02-24 Boehringer Ingelheim Int Analogos de di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JP4914355B2 (ja) 2004-07-20 2012-04-1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C型肝炎インヒビターペプチド類似体
CA2577812A1 (en) 2004-08-27 2006-03-09 Schering Corporation Acylsulfonamid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serine protease
US7375218B2 (en) 2004-09-17 2008-05-2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rocess for preparing macrocyclic HCV protease inhibitors
WO2007001406A2 (en) 2004-10-05 2007-01-04 Chiron Corporation Aryl-containing macrocyclic compounds
CA2583152A1 (en) 2004-10-21 2006-04-27 Pfizer In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protease, and compositions and treatments using the same
US7323447B2 (en) 2005-02-08 2008-01-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RU2456296C2 (ru) 2005-03-08 2012-07-20 Бе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Гмбх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кроцикл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WO2006119061A2 (en) 2005-05-02 2006-11-09 Merck & Co.,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7592336B2 (en) 2005-05-10 2009-09-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MX2007015270A (es) 2005-06-02 2008-02-21 Schering Corp Combinacion de inhibidores de proteasa de virus de la hepatitis c con un agente tensioactivo.
US20060276406A1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hepatitis C virus
US20070021351A1 (en) 2005-06-02 2007-01-25 Schering Corporation Liver/plasma concentration ratio for dosing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
US20060276405A1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US20070004635A1 (en) 2005-06-02 2007-01-04 Schering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interferon non-responders using HCV protease inhibitor
PL1891089T3 (pl) 2005-06-02 2015-05-29 Merck Sharp & Dohme Inhibitory proteazy HCV w połączeniu z pokarmem
WO2006130554A2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hepatitis c virus
WO2006130666A2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dicaments and methods combining a hcv protease inhibitor and an akr competitor
US20060281689A1 (en) 2005-06-02 2006-12-14 Schering Corporation Method for modulating activity of HCV protease through use of a novel HCV protease inhibitor to reduce duration of treatment period
AU2006252623A1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 useful for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hepatitis C virus
WO2006130688A2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Compounds for inhibiting cathepsin activity
US7601686B2 (en) 2005-07-11 2009-10-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TWI389908B (zh) 2005-07-14 2013-03-21 Gilead Sciences Inc 抗病毒化合物類
TW200738742A (en) * 2005-07-14 2007-10-16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US20080200497A1 (en) 2005-07-20 2008-08-21 Bailey Murray D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TWI387603B (zh) 2005-07-20 2013-03-01 Merck Sharp & Dohme Hcv ns3蛋白酶抑制劑
NZ594105A (en) 2005-07-25 2013-02-22 Intermune Inc Novel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AR057704A1 (es) 2005-07-29 2007-12-12 Tibotec Pharm Ltd Inhibidores macroci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composicion farmaceutica y proceso de preparacion del compuesto
PE20070210A1 (es) 2005-07-29 2007-04-16 Tibotec Pharm Ltd Compuestos macrociclico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hepatitis c
ES2359939T3 (es) 2005-07-29 2011-05-30 Tibotec Pharmaceuticals Inhibidores macrocí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SI1912997T1 (sl) 2005-07-29 2012-02-29 Tibotec Pharm Ltd Makrociklični inhibitorji virusa hepatitis C
PE20070343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Inhibidores macroci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KR101381387B1 (ko) 2005-07-29 2014-04-11 메디비르 아베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마크로사이클릭 억제제
EP1910347A2 (en) 2005-07-29 2008-04-16 Medivir Ab Macrocy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TWI393723B (zh) 2005-07-29 2013-04-21 Tibotec Pharm Ltd C型肝炎病毒之大環抑制劑(九)
PE20070211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Compuestos macrociclico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hepatitis c
JO2768B1 (en) 2005-07-29 2014-03-15 تيبوتيك فارماسيوتيكالز ليمتد Large 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MY144895A (en) 2005-07-29 2011-11-30 Tibotec Pharm Ltd Macrocy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90325889A1 (en) 2005-08-01 2009-12-31 David Alan Campbell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for
CA2615896C (en) 2005-08-01 2012-11-13 Merck & Co., Inc. Macrocyclic peptides as hcv ns3 protease inhibitors
AR055395A1 (es) 2005-08-26 2007-08-22 Vertex Pharma Compuestos inhibidores de la actividad de la serina proteasa ns3-ns4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ATE493409T1 (de) 2005-10-11 2011-01-15 Intermune Inc Verbindungen und verfahren zur inhibierung der replikation des hepatitis-c-virus
US7772183B2 (en) 2005-10-12 2010-08-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41281B2 (en) 2005-11-03 2010-06-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7082131A1 (en) 2006-01-09 2007-07-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xy substituted heterocycles
EP1998765A2 (en) 2006-03-03 2008-12-10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binations of hcv-protease and -ires inhibitors
GB0609492D0 (en) 2006-05-15 2006-06-21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agents
US7635683B2 (en) * 2006-08-04 2009-12-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Quinoxalinyl tripeptid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582605B2 (en) * 2006-08-11 2009-09-01 Enanta Pharmaceuticals, Inc. Phosphorus-containing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605126B2 (en) * 2006-08-11 2009-10-20 Enanta Pharmaceuticals, Inc. Acylaminoheteroaryl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9310A1 (en) 2008-05-22
AR063653A1 (es) 2009-02-04
US7772180B2 (en) 2010-08-10
NO20091591L (no) 2009-07-28
JP2010509359A (ja) 2010-03-25
WO2008060927A3 (en) 2008-07-03
EP2086963A2 (en) 2009-08-12
AU2007319435A1 (en) 2008-05-22
CN101541784A (zh) 2009-09-23
TW200826938A (en) 2008-07-01
PE20081344A1 (es) 2008-09-18
CL2007003250A1 (es) 2008-05-23
IL198248A0 (en) 2009-12-24
WO2008060927A2 (en) 2008-05-22
EP2086963B1 (en) 2015-09-16
US20080119461A1 (en) 2008-05-22
MX2009004888A (es) 2009-05-19
CN101541784B (zh) 2013-04-24
BRPI0718625A2 (pt) 2014-04-01
NZ576817A (en) 2011-08-26
EA200900676A1 (ru)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2467A (ko)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US7323447B2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KR101005958B1 (ko)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KR101610418B1 (ko)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KR20090083462A (ko)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WO2009140475A1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7008657A2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JP2010508362A (ja) C型肝炎ウイルスの阻害剤
JP2010508361A (ja) C型肝炎ウイルスの阻害剤
JP2010508360A (ja) C型肝炎ウイルスの阻害剤
AU2009236467B2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