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353A -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 Google Patents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353A
KR20090080353A KR1020080006257A KR20080006257A KR20090080353A KR 20090080353 A KR20090080353 A KR 20090080353A KR 1020080006257 A KR1020080006257 A KR 1020080006257A KR 20080006257 A KR20080006257 A KR 20080006257A KR 20090080353 A KR20090080353 A KR 2009008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hoe
upper frame
equipment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철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8000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353A/ko
Publication of KR2009008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운전실캡 내부의 청결을 위하여 운전실캡 외부에서 착용하는 안전화 등의 신발(이하, "외부 신발" 이라 말함)을 벗고 실내화(슬리퍼 등을 말함)로 바꿔 착용할 경우, 외부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운전실캡의 바깥쪽 주변에 장착되는 구조물(장비 제작시 장착되는 기능성 구조물)에 형성하여 출하함에 따라 장비 구입후 별도로 신발 보관함을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와,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운전실캡의 바깥쪽 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납함과 수납함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신발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포함한다.
수납함, 중장비용 운전실캡, 신발 보관함, 발판

Description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construction heavy equipment of having holding box on the cabs exterior}
본 발명은 운전실캡 외부에서 착용하는 안전화 등의 신발(이하, "외부 신발" 이라 말함)을 수용하는 신발 보관함을 운전실캡의 주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실캡 내부의 청결을 위하여 외부에서 착용한 외부 신발을 벗고 실내화(슬리퍼 등을 말함)로 바꿔 착용할 경우, 외부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운전실캡의 바깥쪽 주변에 장착되는 구조물(장비 제작시 장착되는 기능성 구조물(일예로서 승강용 발판을 말함))에 형성하여 출하함에 따라 장비 구입후 별도로 신발 보관함을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 하게 되는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운전실캡의 내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중장비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3) 및 엔진실(4)과,
상부 프레임(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5,6,7)에 의해 구동되는 붐(8), 아암(9) 및 버킷(10)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11)와,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12)와,
외부 신발(13)(통상적으로 안전화 등의 외부 신발은 흙 등의 이물질이 묻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됨)로 인해 운전실캡(3) 내부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운전실캡(3)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 장착되고, 외부 신발(13)을 보관하는 신발 보관함(14)을 포함한다.
이때, 운전실캡(3) 내부의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환경에서 신발 보관함(14)이 주행페달 등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경우, 장비 조작시 신발 보관함(14)의 간섭을 받게 되어 운전자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또한, 장비 구입후 신발 보관함(14)을 운전실캡(3)에 별도로 장착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장비 소유주가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중장비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3) 및 엔진실(4)과,
상부 프레임(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5,6,7)에 의해 구동되는 붐(8), 아암(9) 및 버킷(10)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11)와,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12)와,
외부 신발(13)로 인해 운전실캡(3) 내부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운전실캡(3)의 상면(지붕을 말함)에 장착되고, 외부 신발(13)을 보관하는 신발 보관함(14)을 포함한다.
이때, 장비 특성상 열악한 환경하에서 주로 작업할 경우, 뚜껑이 구비되지 않은 신발 보관함(14)에 보관되는 외부 신발(13)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장비 구입후 신발 보관함(14)을 운전실캡(3)에 별도로 장착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장비 소유주가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실캡 외부에서 착용하는 외부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운전실캡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구조물에 형성하여 출하함에 따라, 장비 구입후 별도로 신발 보관함을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발 보관함이 운전실캡 외부에 형성 되므로 장비 조작시 신발 보관함의 간섭을 받지 않고, 신발 보관함의 도어에 의해 작업중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므로 외부 신발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와,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운전실캡의 바깥쪽 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납함와 수납함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신발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신발 보관함은 운전실캡에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승강용 발판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신발 보관함의 수납함에 대해 뚜껑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함과 뚜껑의 상호 접촉부위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뚜껑을 수납함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에 장착되고, 신발 보관함의 수납함에 대해 뚜껑이 닫힌 상태를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실캡 외부에서 착용하는 외부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운전실캡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구조물에 형성하여 출하함에 따라, 장비 구입후 별도 로 신발 보관함을 장비에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어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발 보관함이 운전실캡의 외부에 형성 되므로 장비 조작시 신발 보관함의 간섭을 받지 않아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신발 보관함의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작업중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므로 외부 신발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3) 및 엔진실(4)과,
상부 프레임(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5,6,7)에 의해 구동되는 붐(8), 아암(9) 및 버킷(10)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11)와,
상부 프레임(2)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12)와,
운전실캡(3)의 바깥쪽 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납함(15)과 수납함(15)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16)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신발(13)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14)을 포함한다.
전술한 신발 보관함(14)은 운전실캡(3)에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2)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승강용 발판(17)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1은 운전실캡(3)에 승차시 사용되는 손잡이이다.
이때, 전술한 운전실캡(3)의 바깥쪽 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납함(15)과 수납함(15)에 대해 힌지부재(19)(경첩을 말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16)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신발(13)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14)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신발 보관함(14)의 수납함(15)에 대해 뚜껑(16)이 사용자 의사에 반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함(15)과 뚜껑(16)의 상호 접촉부위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일예로서 뚜껑(16)에 장착됨)에 장착되는 영구자석(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뚜껑(16)을 수납함(15)에 대해 개폐가능하 게 고정하는 힌지부재(19)(경첩을 말함)에 장착되고, 신발 보관함(14)의 수납함(15)에 대해 뚜껑(16)이 닫힌 상태를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20)(일예로서 토오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 사용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특성상 작업환경이 열악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게될 경우, 작업장소의 토사 등으로 인해 운전자 신발에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이 쉽게 묻는다. 이로 인해 장비에 승차시 외부 신발(13)을 실내화 등으로 교체하여 착용하게 된다.
이때, 외부 신발(13)은 상부 프레임(2)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기능성 구조물, 즉 승강용 발판(17)에 형성된 신발 보관함(14)에 보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비 특성상 운전실캡(3)의 내부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신발 보관함(14)으로 인해 장비를 조작시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캡(3) 외부에 형성되는 신발 보관함(14)에 수용되는 외부 신발(13)로 인해 운전실캡(3) 내부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신발 보관함(14)에 보관되는 외부 신발(13)은 수납함(15)에 대해 개폐되는 뚜껑(16)에 의해 작업장 주변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 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신발 보관함(14)의 뚜껑(16)과 수납함(15)의 상호 접촉부위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장착되는 영구자석(18), 또는 수납함(15)에 대해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19)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0)(일예로서 토오션 스프링이 사용됨)의 탄성력에 의해 운전자의 의사에 반하여 수납함(15)에 대해 뚜껑(16)의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수납함(15)과 뚜껑(16)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보관함(14)을 굴삭기 등의 본체 보호구조물(sips; side impact protection system)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내부에 수납함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되는 도어를 로킹시키는 로킹수단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되는 도어를 로킹시키는 로킹수단의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하부 주행체
2; 상부 프레임
3; 운전실캡
4; 엔진실
5,6,7; 유압실린더
8; 붐
9; 아암
10; 버킷
11; 작업장치
12; 카운터웨이트
13; 외부 신발
14; 신발 보관함
15; 수납함
16; 뚜껑
17; 발판
18; 영구자석
19; 힌지부재
20; 탄성부재

Claims (4)

  1.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어 구동수단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운전실캡의 바깥쪽 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신발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보관함은 상기 운전실캡에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승강용 발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보관함의 수납함에 대해 뚜껑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함과 뚜껑의 상호 접촉부위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수납함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신발 보관함의 수납함에 대해 뚜껑이 닫힌 상태를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KR1020080006257A 2008-01-21 2008-01-21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KR20090080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57A KR20090080353A (ko) 2008-01-21 2008-01-21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57A KR20090080353A (ko) 2008-01-21 2008-01-21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53A true KR20090080353A (ko) 2009-07-24

Family

ID=4129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257A KR20090080353A (ko) 2008-01-21 2008-01-21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3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44Y1 (ko) * 2013-03-29 2013-08-20 권순창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CN110725357A (zh) * 2019-10-29 2020-01-24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挖掘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44Y1 (ko) * 2013-03-29 2013-08-20 권순창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CN110725357A (zh) * 2019-10-29 2020-01-24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挖掘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959B2 (ja) 前側方向に開放されるツールボックスを有する建設機械
US20030079925A1 (en) Swivel type working vehicle
KR101863743B1 (ko) 건설 기계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KR20150022781A (ko)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US20080001440A1 (en)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op door for improved ingress/egress
KR20180031043A (ko) 소형의 건설 기계
KR101556413B1 (ko)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JP5949794B2 (ja) 建設機械のツールボックス
KR20090080353A (ko)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JP5258596B2 (ja) 建設機械の開閉カバー装置
JP200225659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昇降用ステップ構造
CN204506670U (zh) 一种作业机械
JP3980911B2 (ja) 旋回型作業機械
JP2018025030A (ja) 作業機械
JP6899285B2 (ja) 作業車両
JP6959890B2 (ja) 建設機械
JP2010112096A (ja) 建設機械の旋回ロック装置
JP7096149B2 (ja) 作業車両
JP5164414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装置
JP2004217164A (ja) 建設機械
JP2005161994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KR20220143431A (ko) 산업용 차량
KR101307900B1 (ko) 작업용 차량의 머드가드 장치
WO2023228664A1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