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431A - 산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431A
KR20220143431A KR1020210049937A KR20210049937A KR20220143431A KR 20220143431 A KR20220143431 A KR 20220143431A KR 1020210049937 A KR1020210049937 A KR 1020210049937A KR 20210049937 A KR20210049937 A KR 20210049937A KR 20220143431 A KR20220143431 A KR 20220143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witch
industrial vehicle
seat
wash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1004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431A/ko
Priority to DE202022102032.9U priority patent/DE202022102032U1/de
Publication of KR2022014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4Other accessories on ladders, e.g. acoustical signalling devices, dismountable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용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은 운전석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에 받침부를 정면으로 배치하고, 스위치 부를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산업용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 로우 더의 운전석으로 승차 또는 하차 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우 더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차량에 적재하거나 운반하는 장비로서, 그 종류로는 휠 로우 더와 트랙 로우더가 있고, 상기 휠 로우 더는 대형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것으로 굴착작업도 가능하며 전륜 구동식이 주로 사용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휠 로우 더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휠 로우 더는 기동성이 우수하므로 주행속도가 빠르며 포장 도로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상기 휠 로우 더(101)는 주요 동력전달장치와 엔진은 리어 프레 임(102)에 장착되고, 버켓과 붐 및 유압실린더 등의 작업장치는 프런트 프레임(103)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타이어(10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타이어(104)의 상부에 펜더(105)가 장착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104)의 상부에 장착된 펜더(105) 중 차체 후방쪽 펜더(105)는 타이어(104)를 중심으로 전방 쪽에 리어 펜더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펜더의 후방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리어 풀 펜더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풀 펜더의 타측 선단은 고정핀을 매개로 베터리 박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업자가 휠 로우 더(101)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거나 주행시에는 상기와 같이 리어 펜더에 리어 풀 펜더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엔진 커버를 열어 장비를 점검할 경우에는 상기 리어 풀 펜더와 엔진 커버가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 리어 펜더로부터 리어 풀 펜더를 탈거한 후, 리어 풀 펜더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엔진 커버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휠 로우더에는 상기 운전석의 개폐와 연관된 긴급 스위치가 운전석에 위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6647호
본 실시 예들은 운전자가 휠 로우더의 운전석으로 승, 하차 할 때 시동 또는 상태 조절 및 운전석의 도어 개폐성능이 향상된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은 운전자가 휠 로우더에 구비된 운전석으로 승차 또는 하차 하기 위해 구비된 사다리(100); 상기 휠 로우더에 구비된 리어 펜더(50)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결합된 받침부(200); 상기 받침부(200)의 전면에 위치된 스위치 부(300); 및 상기 받침부(2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셔액 커버(300)의 하측에 위치된 워셔액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부(300)는 상기 휠 로우더의 외부에서 긴급으로 시동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치(31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부(300)는 상기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는 상기 운전석에 탑승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위치(310) 또는 제2 스위치(320)를 사전에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200)는 운전자의 신발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돌기(2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손잡이(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펜더(50)에는 상기 제1 손잡이(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손잡이(52)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200)에는 상기 스위치 부(300)의 전면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치 커버(302)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200)에는 운전자가 상기 워셔액 저장부(500)에 저장된 워셔액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204)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200)에는 상측에서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워셔액 커버(40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들은 운전자가 운전석으로 승차 또는 하차할 때 시동의 온 또는 오프 상태와, 도어의 개폐 조작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어 편의성과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사다리를 기준으로 정면에 받침부가 위치되고, 스위치 부의 조작이 필요할 경우 원전석에 탑승하기 이전에 선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이 간단해 진다.
도 1은 종래의 휠 로우더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에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에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휠 로우더에 구비된 운전석으로 운전자가 승차 또는 하차를 실시할 때 휠 로우더의 시동 또는 상기 운전석의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산업용 차량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운전자가 휠 로우더에 구비된 운전석으로 승차 또는 하차 하기 위해 구비된 사다리(100)와, 상기 휠 로우더에 구비된 리어 펜더(50)와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결합된 받침부(200)와, 상기 받침부(200)의 전면에 위치된 스위치 부(300)와, 상기 받침부(2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셔액 커버(300)의 하측에 위치된 워셔액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펜더(50)와 풀 펜더는 산업용 차량에 구비된 휠(wheel)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사다리(100)는 운전자가 운전석으로 탑승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다리(100)는 상기 받침부(200)의 하측에 상측 단부가 연결되고, 운전석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사다리(1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100)를 통해 상기 상기 받침부(200)로 이동할 때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방향으로 몸이 틀어지지 않고 승차 또는 하차가 가능하여 이동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사다리(100)는 1미터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다리(100)를 이용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지면에서 운전석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어 이동 도중 낙상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100)는 운전자의 운전석으로 이동할 때 필요한 복수개의 스텝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운전석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2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212)가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승차 또는 하차할 때 신발과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2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과 접촉과 동시에 마찰이 발생될 수 있어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돌기(212)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신발의 바닥면과 접촉될 때 다양한 방향에서 마찰이 발생되도록 십자 형태 또는 다각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0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기(212)와 우측으로 이격된 내측에 후술할 워셔액 저장부(50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는 받침부(200)의 하측에 운전석으로 연장된 하네스(3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네스(30)와 결합되는 단자대(35)가 구비된다.
상기 하네스(30)가 받침부(200)의 내측에 위치될 경우 작업자가 접근하기 용이하고, 설치를 위한 공간도 확보되어 보다 편리하게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어 정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2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 제1 손잡이(220)가 구비되어 있어 운전자가 운전실로 승차 할 때 손으로 잡고 안전하게 상기 운전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손잡이(220)와 함께 리어 펜더(50)에는 상기 제1 손잡이(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손잡이(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손잡이(52)는 운전자가 승차 또는 하차 할 때 손으로 파지 할 수 있어 상기 제1 손잡이(220)와 함께 사용할 경우 안전한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손잡이(220)와 제2 손잡이(52)는 서로 마주보며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왼손으로는 제1 손잡이(220)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제2 손잡이(52)를 잡고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편리하게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부(300)는 상기 휠 로우더의 외부에서 긴급으로 시동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치(310)와, 상기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3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부(300)는 기존에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 예 에서는 받침부(200)의 전면에 위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승차 또는 하차 하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스위치(310)는 휠 로우더에 시동이 온(On)된 상태가 유지될 때 운전자가 운전석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휠 로우더의 시동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 기존에 비해 접근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스위치(310)가 상기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휠 로우더가 오작동 되는 상황에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운전석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휠 로우더의 외측에서 신속하게 제1 스위치(310)를 오프 시킬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접근성과 안전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상기 제2 스위치(320)는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휠 로우더의 외부에서 편리하게 실시 할 수 있어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기 이전에 상기 도어를 미리 오픈 시키거나, 하차 하면서 클로즈 상태로 손쉽게 전환이 가능하여 조작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에 탑승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위치(310) 또는 제2 스위치(320)를 사전에 조작할 수 있어 전술한 접근성과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스위치 부(300)에는 전면에서 외측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치 커버(302)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필요할 경우에만 외측으로 회전시켜 제1 스위치(310) 또는 제2 스위치(320)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커버(302)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어 평상시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재질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받침부(200)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워셔액 커버(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셔액 커버(400)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홈부(402)가 구비되어 있어 손쉽게 외측으로 회전시켜 워셔액 저장부(500)로 워셔액을 보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워셔액 커버(400)에는 가장 자리를 따라 실링을 위한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워셔액 저장부(500)로의 이물질 유입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받침부(200)에는 운전자가 상기 워셔액 저장부(500)에 저장된 워셔액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204)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 손쉽게 현재 워셔액의 잔여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점검창(204)에는 최고수위(Max)와, 최저수위(Min) 및 중간수위(Mid)가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항시 현재 워셔액의 잔여량을 육안으로 인지 할 수 있어 필요시 보충하거나 점검하여 워셔액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리어 펜더
100 : 사다리
200 : 받침부
204 : 점검창
212 : 돌기
300 : 스위치 부
310, 320 : 제1,2 스위치
400 : 워셔액 커버
500 : 워셔액 저장부

Claims (8)

  1. 운전자가 휠 로우더에 구비된 운전석으로 승차 또는 하차 하기 위해 구비된 사다리(100);
    상기 휠 로우더에 구비된 리어 펜더(50)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결합된 받침부(200);
    상기 받침부(200)의 전면에 위치된 스위치 부(300); 및
    상기 받침부(2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셔액 커버(300)의 하측에 위치된 워셔액 저장부(50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300)는 상기 휠 로우더의 외부에서 긴급으로 시동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치(31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300)는 상기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는 상기 운전석에 탑승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위치(310) 또는 제2 스위치(320)를 사전에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는 운전자의 신발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돌기(212)를 더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손잡이(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펜더(50)에는 상기 제1 손잡이(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손잡이(52)가 구비된 산업용 차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에는 상기 스위치 부(300)의 전면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치 커버(302)가 구비된 산업용 차량.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에는 운전자가 상기 워셔액 저장부(500)에 저장된 워셔액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204)이 형성된 산업용 차량.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에는 상측에서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워셔액 커버(400)가 구비된 산업용 차량.
KR1020210049937A 2021-04-16 2021-04-16 산업용 차량 KR20220143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37A KR20220143431A (ko) 2021-04-16 2021-04-16 산업용 차량
DE202022102032.9U DE202022102032U1 (de) 2021-04-16 2022-04-14 Industrie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37A KR20220143431A (ko) 2021-04-16 2021-04-16 산업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31A true KR20220143431A (ko) 2022-10-25

Family

ID=8221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937A KR20220143431A (ko) 2021-04-16 2021-04-16 산업용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3431A (ko)
DE (1) DE202022102032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647A (ko) 2011-04-13 2012-10-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휠타입 굴삭기의 펜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647A (ko) 2011-04-13 2012-10-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휠타입 굴삭기의 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2102032U1 (de)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497B2 (en) Powered operator access system
US8074768B2 (en) Powered operator access system
EP2218834A2 (en) Toolbox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machine
EP3640403B1 (en) Work vehicle and system including work vehicle
CN108699806B (zh) 工程机械
JP2019049117A (ja) 建設機械
JP6902159B2 (ja) 電動式建設機械
KR20220143431A (ko) 산업용 차량
JP2011102484A (ja) 建設機械
JP5257117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US20140022707A1 (en) Service control panel
JP200225659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昇降用ステップ構造
JP5785128B2 (ja) 旋回作業機の運転部におけるマニュアル収納部構造
CA2960020C (en) Working vehicle
KR101778827B1 (ko) 건설 기계
WO2013103456A1 (en) Powered operator access system
JP5026948B2 (ja) 建設機械
JP2018025030A (ja) 作業機械
JP6975114B2 (ja) 建設機械
JP7493475B2 (ja) 建設機械
JPH0798495B2 (ja)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KR20021661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의 파킹브레이크의 안전장치
JPH0718701A (ja) 掘削作業機
JP7053425B2 (ja) 作業装置の操作部及びそれを搭載した作業車両
JP2004238916A (ja) 土木・建設機械の工具箱兼用ステ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