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44Y1 -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44Y1
KR200468544Y1 KR2020130002361U KR20130002361U KR200468544Y1 KR 200468544 Y1 KR200468544 Y1 KR 200468544Y1 KR 2020130002361 U KR2020130002361 U KR 2020130002361U KR 20130002361 U KR20130002361 U KR 20130002361U KR 200468544 Y1 KR200468544 Y1 KR 200468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upper plate
excavator
safet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창
Original Assignee
권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창 filed Critical 권순창
Priority to KR2020130002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트럭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을 수납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굴곡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신장 또는 수축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A SAFETY STEP PLATE FOR EXCAVATOR HAVING STORING APPARATUS OF FOOTWEAR}
본 고안은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보관함이 없는 굴삭기에서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구비된 발판의 내부에 신발 수납장을 구비하여 필요시 신발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트럭 등을 운전하는 운전자나 탑승자들은, 각종 공사현장을 빈번하게 왕래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작업화 외에 운전에 필요한 신발, 예컨대 실내화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장시간을 주행하는 중, 대형 굴삭기나 트럭의 운전자는 좀더 편한 자세에서 장시간 운행을 하기 위하여 슬리퍼 또는 실내화 등을 착용하여 운정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중, 대형 트럭 등에는 슬리퍼, 실내화 및 신고 있던 신발을 보관하는 장소가 없었다.
따라서, 운전자가 작업 중 신고 있던 신발을 착용한 채로 실내로 들어와 운전을 할 경우에는 신발에 뭍어 있는 이물질에 의해 차내의 바닦이 지저분해진 상태로 운전을 함으로써, 불쾌감 및 피로감을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별도의 실내화를 마련하여 운전하는 과정에서 작업화를 보관하기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는 비닐 종이에 작업화를 담아 차 내부에 보관하여 왔지만, 실내 공간이 협소하여 신발 보관에 제약이 있고, 특히 보관하는 신발에서 악취가 발생하여 차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하차 하기 위한 발판 중 상단의 발판에 신발을 올려놓고 도어를 닫아 신발을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 보관방법은, 협소한 실내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신발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며 험로를 주행할 때 흔들림에 의해 신발이 유출되어 분실의 우려가 있고, 우천시나 세차시에 작업화가 젖을 우려가 있다.
또한, 신발을 발판 위에 올려놓고 도어를 닫기 때문에 신발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과 함께 승, 하차시에 발판에 신발이 놓여져 있기 때문에 발을 잘못 디딤으로 인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 발판 내부에 신발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용이하게 슬리퍼 또는 실내화 등을 신을 수 있고, 또한, 신고 있던 신발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깨끗한 환경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량의 주행 중 신고있던 신발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도어를 닫고 열때 생길 수 있는 신발의 손상 및 발을 잘못 디딤으로 발생하는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운전자가 작업 중 신고 있던 신발을 착용한 채로 실내로 들어와 운전을 할 경우에 차내의 바닦이 지저분해진 상태로 운전을 함으로써, 불쾌감 및 피로감을 증폭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신발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며, 험로를 주행할 때 흔들림에 의해 신발이 유출되어 분실의 우려가 있고, 우천시나 세차시에 작업화가 젖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안전 발판에 구비되는 신발 수납장을 발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발판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신발 수납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전 발판 내부로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시에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트럭용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트럭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을 수납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굴곡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신장 또는 수축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 모양을 구성하는 상단부의 일단을 낮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내부에 긴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 하부면이 외부와 통풍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은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개폐되게 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 발판 내부에 신발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용이하게 슬리퍼 또는 실내화 등을 신을 수 있고, 또한, 신고 있던 신발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깨끗한 환경에서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차량의 주행 중 신고있던 신발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도어를 닫고 열 때 생길 수 있는 신발의 손상 및 발을 잘못 디딤으로 발생하는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운전자가 작업 중 신고 있던 신발을 착용한 채로 실내로 들어와 운전을 할 경우에 차내의 바닦이 지저분해진 상태로 운전을 함으로써, 불쾌감 및 피로감을 증폭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신발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며, 험로를 주행할 때 흔들림에 의해 신발이 유출되어 분실의 우려가 있고, 우천시나 세차시에 작업화가 젖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발판 내부에 형성되는 신발 수납장을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오염물과 접촉하지 않고 신발 수납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은, 신발 수납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발판 내부로 은폐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신발을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수납이 용이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신발 수납장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안전 발판이 구비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위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안전 발판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신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변형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0b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탄성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10)은 굴삭기(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외의 다른 대형 작업 차량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10)은 중, 대형 트럭이나 기타 중장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안전 발판이 구비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위치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안전 발판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에서 신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1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00), 결합부(200) 및 하부 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상기 안전 발판(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330)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상부면이 평평한 평판 모양으로 구성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결합부(200)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300)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기(110)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110)이 하기에서 설명될 가이드홈(33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3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측면에는 결합부(200)의 가이드(210)가 결합되어 하기에서 설명될 하부 플레이트(300)와 상부 플레이트(10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200)의 일단은 하부 플레이트(300)의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00)의 타단은 상부 플레이트(100)의 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이 흙 등의 이물질로 오염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발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신발(30)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 발판(10)을 개폐하는 뚜껑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을 이용하여 차내로 이동하기 어려운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쉽게 차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발판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한 안전 발판(10)의 구성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 등도 쉽게 차내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10)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 요철(120)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마찰력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을 개폐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300)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가이드(210) 및 탄성부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 및 하부 플레이트(300)의 외측에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일측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가이드(210) 및 탄성부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10)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상, 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내측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의 타측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상, 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 및 하부 플레이트(3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가운데 부분과 결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가운데 부분과 결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내부를 개폐할 때 일정 길이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 및 하부 플레이트(300)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수축함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 및 하부 플레이트(3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제1 탄성부재(220a) 및 제2 탄성부재(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220a) 및 제2 탄성부재(220b)는 각각 하부 플레이트(300) 및 상부 플레이트(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220a)는 제2 탄성부재(220b)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220a) 및 제2 탄성부재(220b)는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220)는 가스 스프링 또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는 내측에 신발(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는 일측면이 상기 굴삭기(20)나 트럭 등의 외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는 측면에 상기 가이드(210)의 일단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가이드(210)의 일단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내측 하부면은 긴 막대 형상의 지지봉(320)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20) 상에는 신발(30)이 위치할 수 있고, 작업자는 작업 후 신발(30)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 내측의 지지봉(320) 상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20)은 다수개의 지지봉(320)이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지지봉(320) 사이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중공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 내에 보관되는 신발(30)이 땀이나 이물질 등으로 젖은 경우에, 자연 통풍이 되어 용이하게 건조되고, 냄새 등이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 내측 하부면에 다수개의 지지봉(320)을 이격하여 중공되도록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도록 구성하는 등 신발(30)을 수용하며 외부와 통풍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3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측면에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30)은 상부 플레이트(100)가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330)의 굴곡을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 구비된 돌기(110)가 이동되고, 상기 돌기(110)의 이동에 수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30)은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된 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30)은 상기 돌기(110)가 끼움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30)는 대략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ㄱ"자 모양을 구성하는 상단부의 일단이 낮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신발(30)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닫는 경우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개폐될 수 없게 함으로써, 상기 신발(3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손이나 발로 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 상에 신발(30)을 수납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나 발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닫음으로써, 상기 안전 발판(10) 내부에 신발(30) 등을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안전 발판 20; 굴삭기
30; 신발 100; 상부 플레이트
110; 돌기 120; 요철
200; 결합부 210; 가이드
220; 탄성부재 300; 하부 플레이트
310; 수납부 320; 지지봉
330; 가이드홈

Claims (6)

  1. 트럭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을 수납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굴곡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일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신장 또는 수축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내부에 긴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 하부면이 외부와 통풍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 모양을 구성하는 상단부의 일단을 낮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가스 스프링인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은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개폐되게 하는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KR2020130002361U 2013-03-29 2013-03-29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KR200468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61U KR200468544Y1 (ko) 2013-03-29 2013-03-29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61U KR200468544Y1 (ko) 2013-03-29 2013-03-29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544Y1 true KR200468544Y1 (ko) 2013-08-20

Family

ID=5139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61U KR200468544Y1 (ko) 2013-03-29 2013-03-29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85B1 (ko) * 2015-08-31 2016-06-16 이의수 중장비용 신발보관함
KR101953896B1 (ko) * 2017-11-09 2019-03-04 정일 굴삭기용 보조발판
WO2024046368A1 (zh) * 2022-08-31 2024-03-07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储物功能的防滑斜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869U (ko) * 1997-12-20 1999-07-15 홍종만 자동차용 화장품 콘솔박스
JP2000159251A (ja) * 1998-11-26 2000-06-13 Araco Corp 蓋付き収納容器
JP2002002746A (ja) * 2000-06-14 2002-01-09 Nissin Electric Co Ltd 収納容器
KR20090080353A (ko) * 2008-01-21 2009-07-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869U (ko) * 1997-12-20 1999-07-15 홍종만 자동차용 화장품 콘솔박스
JP2000159251A (ja) * 1998-11-26 2000-06-13 Araco Corp 蓋付き収納容器
JP2002002746A (ja) * 2000-06-14 2002-01-09 Nissin Electric Co Ltd 収納容器
KR20090080353A (ko) * 2008-01-21 2009-07-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85B1 (ko) * 2015-08-31 2016-06-16 이의수 중장비용 신발보관함
KR101953896B1 (ko) * 2017-11-09 2019-03-04 정일 굴삭기용 보조발판
WO2024046368A1 (zh) * 2022-08-31 2024-03-07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储物功能的防滑斜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544Y1 (ko) 신발 수납장 겸용 굴삭기용 안전 발판
EP3006267B1 (en) An apparatus for gaining access to lift vehicles
CN102824013A (zh) 一种可伸缩轮子组合
JP2015181943A (ja) 表面処理ヘッド
PT1690772E (pt) Balde com rodas
KR101391076B1 (ko)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KR101542811B1 (ko) 발판을 구비한 컨테이너 하우스
KR200478881Y1 (ko)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
KR101405094B1 (ko) 자동차용 신발함
JP5931361B2 (ja) 車両用のステップ兼収納構造
ITBO960173A1 (it) Coprosellino per motoveicoli
JP2017197033A (ja) 自動車用雨よけ装置
JP2012241390A (ja) ハンドガイドローラ
JP6375713B2 (ja) トラクタ
CN205273322U (zh) 储鞋柜及汽车
KR20160092702A (ko) 우산보관장치
KR101609864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0946849B1 (ko) 트럭용 신발수납장치
KR200371513Y1 (ko) 신발용 바닥커버
KR102251480B1 (ko)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100436839B1 (ko) 트럭용 신발 수납장치
KR200259387Y1 (ko) 자동차용 매트리스
KR20120002716U (ko) 분리 가능한 유모차 보호 덮개
JP2536259Y2 (ja) 建設機械の運転室装置
KR200160431Y1 (ko) 자동차(대형트럭) 발판의 다용도 활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