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513Y1 - 신발용 바닥커버 - Google Patents

신발용 바닥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513Y1
KR200371513Y1 KR20-2004-0029163U KR20040029163U KR200371513Y1 KR 200371513 Y1 KR200371513 Y1 KR 200371513Y1 KR 20040029163 U KR20040029163 U KR 20040029163U KR 200371513 Y1 KR200371513 Y1 KR 200371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eet
shoes
cover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2004-002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63Overshoes specially adapted for health or hygienic purposes, e.g.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llowing the discharge of electrostatic char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신발의 바닥에 덧대어 착용하는 신발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링상의 탄력와이어가 가장자리에 내입된 바닥시트의 상측에, 벨크로테이프를 갖는 고정밴드를 갖는 측면시트를 재봉 형성하여 이를 신발의 저면으로부터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오염된 상태의 신발로 차량에 탑승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한 바닥커버를 간편하게 착용하여 오염물로부터 차량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신발용 바닥커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바닥커버 {Cover for outer sole of shoes}
본 고안은 각종 신발의 바닥에 덧대어 착용하는 신발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오물에 의해 신발의 바닥이나 가장자리가 오염된 경우 상기한 바닥커버를 신속하게 착용함으로서, 차량 내부나 실내 바닥이 신발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매트 등이 깔려져 있고, 상기한 매트는 섬유재이므로 오염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염된 상태의 신발을 신고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신발에 남아 있던 오물이 차량의 매트에 그대로 옮겨지면서 매트를 오염시키기나 지저분하게 하는 것이다.
즉, 차량을 직접 운전하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으로 탑승하기 전 신발을 충분히 털거나 세척하는 행동을 함으로서 매트나 그 차량 실내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는 신발이 오염된 상태라 할지라도 무의식중에 그대로 차량에 탑승하게 되므로 그 바닥의 매트가 쉽게 오염되면서도 지저분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청결을 중요시하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매트가 오염됨에 따라 수시로 그 매트를 세탁하거나 소제하는 번거로움을 반복하고 있으며, 이를 방치하는 운전자는 타인으로부터 불결한 느낌을 받게 되므로 차량내부의 청결은 매우 신경쓰이면서도 번거로운 작업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링상의 탄력와이어가 가장자리에 내입된 바닥시트의 상측에, 벨크로테이프를 갖는 고정밴드를 갖는 측면시트를 재봉 형성하여 이를 신발의 저면으로부터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오염된 상태의 신발로 차량에 탑승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한 바닥커버를 간편하게 착용하여 오염물로부터 차량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신발용 바닥커버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를 축소밴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시트 2 : 밴딩와이어
3 : 측면시트 4,4' : 벨크로테이프
5,5' : 고정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를 절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신발 바닥형상의 바닥시트(1)의 가장자리에 탄력재로 된 밴딩와이어(2)를 봉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닥시트(1)의 상부 주면에는 수직방향의 측면시트(3)를 형성하되,
상기 측면시트(3)의 일측에는 저면에 벨크로테이프(4)가 형성된 고정밴드(5)의 일단을 부착 형성하고, 상기 측면시트(3)의 타측에는 상기 벨트로테이프(4)와 대응되는 또다른 벨크로테이프(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닥시트(1)의 전면 일측에 또다른 고정밴드(5')를 형성하여, 그 고정밴드(5')의 벨크로테이프가 상기 고정밴드(5)의 벨크로테이프(4)에 부착되어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바닥커버는 차량내부의 도어포켓이나 별도의 흡착구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하기 전 신발에 오물이 묻어 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본 고안 바닥커버를 꺼내 신발의 바닥에 착용하면 되는것이다.
이러한 바닥커버는 종래의 덧신이나 장화의 형태를 벗어나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므로 착용시 번거롭지 않으며 이를 벗을 경우에도 간편한 동작에 의해 손쉽게 벗겨낼 수 있으므로 편리한 취급 및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 바닥커버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상태에서는 신발 바닥창의 형태와 동일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이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바닥시트(1)의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봉입되어 있는 밴딩와이어(2)를 원형으로 비틀어 구부리므로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가장 축소된 형태로의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바닥커버를 절곡밴딩시켜 축소된 크기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밴딩된 밴딩와이어(2)를 전개시켜 신발용 바닥커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신발에 오물이 묻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바닥커버를 전개하여 바닥시트(1)가 신발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씌워 착용하는 것으로서, 측면시트(3)는 신발 바닥창의 주변에 묻어 있는 오물이 차량의 시트나 실내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로 상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면시트(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밴드(5)의 벨크로테이프(4)를 이용하여 측면시트(3)의 타측에 형성된 또다른 벨크로테이프(4')를 서로 대응 부착하여 고정하면 신발에 간편하게 착용되는 것으로서,
그 중량이 매우 경량이므로 하나의 고정밴드(5) 만으로도 신발에 용이하게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오염된 신발의 오염물이 차량 바닥이나 실내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바닥시트(1)의 전면 일측에 또다른 고정밴드(5')를 형성하고 이에 상기한 벨크로테이프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고정밴드(5')에 의해 신발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면서도 신발 전면의 오염물에 의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인데, 상기한 고정밴드(5')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측면시트(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밴드(4)의 상부면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4)에 대응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커버에 의해 차량의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밴드(5)(5')만을 제거하면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한 착용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신발용 바닥커버는, 오염된 상태의 신발로 차량에 탑승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한 바닥커버를 간편하게 착용하여 오염물로부터 차량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한 것이다.

Claims (2)

  1. 신발 바닥형상의 바닥시트(1)의 가장자리에 탄력재로 된 밴딩와이어(2)를 봉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닥시트(1)의 상부 주면에는 수직방향의 측면시트(3)를 형성하되,
    상기 측면시트(3)의 일측에는 저면에 벨크로테이프(4)가 형성된 고정밴드(5)의 일단을 부착 형성하고, 상기 측면시트(3)의 타측에는 상기 벨트로테이프(4)와 대응되는 또다른 벨크로테이프(4')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바닥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바닥시트(1)의 전면 일측에 또다른 고정밴드(5')를 형성하여, 그 고정밴드(5')의 벨크로테이프가 측면시트(3)의 고정밴드(5) 상측에 형성된 대응상의 벨크로 테이프(4)에 부착되어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바닥커버.
KR20-2004-0029163U 2004-10-14 2004-10-14 신발용 바닥커버 KR200371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163U KR200371513Y1 (ko) 2004-10-14 2004-10-14 신발용 바닥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163U KR200371513Y1 (ko) 2004-10-14 2004-10-14 신발용 바닥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513Y1 true KR200371513Y1 (ko) 2004-12-30

Family

ID=4944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163U KR200371513Y1 (ko) 2004-10-14 2004-10-14 신발용 바닥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3Y1 (ko) 2008-11-28 2011-02-25 장세도 신발보호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3Y1 (ko) 2008-11-28 2011-02-25 장세도 신발보호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5110A1 (en) Shoe heel guard
WO2020072175A1 (en) Shoe bottom cleansing apparatus
US7204507B1 (en) Ball hitch covering
US6455123B1 (en) Nonslip padded mat
KR200371513Y1 (ko) 신발용 바닥커버
CA2544905A1 (en) Sole cover for work shoes or boots
KR101350216B1 (ko) 차량용 매트
KR101066348B1 (ko) 플로어 매트
US1582232A (en) Industrial shoe guard
US20060042118A1 (en) Structure of slipper
US6408715B1 (en) Steering wheel cover
US7663859B1 (en) Electrostatic footwear
US3390414A (en) Mat
US20140290708A1 (en) Removable slip-resistant cover for a walking device
KR200347076Y1 (ko) 위생신발깔창
KR101010262B1 (ko) 걸레가 부착된 실내화
WO2005110140A1 (en) A shoe
KR200271372Y1 (ko) 크리너기능을 갖춘 기능성 실내화
JP3108542U (ja) スリッパ
KR200387913Y1 (ko) 실내용 덧신
US10888210B1 (en) Cleaning mitt
NL2008344C2 (en) Floor cleaning device.
JP3236880U (ja) 腕カバー
JPH0684901U (ja) スリッパの底カバー
JP3218542U (ja) 着脱が簡単な掃除機能つきスリッパ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