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348B1 - 플로어 매트 - Google Patents

플로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348B1
KR101066348B1 KR1020090026959A KR20090026959A KR101066348B1 KR 101066348 B1 KR101066348 B1 KR 101066348B1 KR 1020090026959 A KR1020090026959 A KR 1020090026959A KR 20090026959 A KR20090026959 A KR 20090026959A KR 101066348 B1 KR101066348 B1 KR 10106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g
hole
floor mat
presen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765A (ko
Inventor
조신복
Original Assignee
조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복 filed Critical 조신복
Priority to KR102009002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3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removable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매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등 간격을 두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상부 깔개 및 이 상부 깔개 및 이 상부 깔개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하부 깔개 그리고 이들 상부 깔개와 하부 깔개의 테두리 부분을 결속시키는 결속요소로 이루어진 플로어 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깔개는 상기 통공 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플로어, 바닥, 매트, 먼지, 이물질, 차량

Description

플로어 매트{BOBBIN FO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ING}
본 발명은 출입문이나 차량 실내 바닥에 깔리는 플로어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바닥에 묻어 있는 흙이나 기타 오염물질을 포집·제거하여 오염도를 저감시켜 실내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문 바닥이나 차량 바닥에는 플로어 매트가 깔려 있으며, 이러한 플로어 매트는 통상 상부면으로 카페트와 같은 쿠션 효과를 얻기 위해 섬모가 식재되고, 저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플로어 매트는 그 구조상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섬모 사이에 침투되어 흡착된 상태이므로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매트의 섬모 사이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주변 으로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었고, 물로 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여러번 세탁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건조될 때 까지 기다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는 플로어 매트는 탑승자의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모래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만, 세척을 하거나 먼지를 털어내도 미세 먼지외 세균을 포함한 이물질은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밀폐된 공간인 차량의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 운전자 및 동승자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주행중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도어를 여닫을 때의 충격 및 기압차에 의해 미세먼지나 세균이 쉽게 부유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이외에도 에어컨이나 히터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창문을 열었을 때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9086호 ′흙먼지 수용구조를 갖춘 차량용 플로어 보조매트′를 통해 일정형상을 이루며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발판돌기가 형성되고, 그 발판돌기들 사이에 다수의 배출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 보조매트와; 상기 보조매트의 중간부 배출홀에서 떨어지는 흙먼지 및 오염물등이 수납되게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연부가 상기 보조매트 중간부 하부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부착수단이 형성된 오염물수납용기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안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27098호 ′자동차용 매트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다수개의 통공이 몸체에 형성된 다공판과, 다수개의 돌출요소가 몸체에 형성된 받침판 그리고 다공판과 받침판을 상·하로 겹쳐 테두리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이들 종래 기술에 따른 매트는 공통적으로 상부재와 하부재 그리고 이들 상·하부재의 테두리를 결합시키는 결합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재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신발 바닥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구멍을 통해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매트는 신발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상부재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하부재 내의 공간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이 외부 충격이나 진동 또는 기압차 등에 의해 쉽게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신발의 바닥면에 진흙 등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쉽게 제거 분리시키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깔개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통과하는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탄성판을 부가 구성하여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통 공을 통과한 이물질이 다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로인한 실내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플로어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는, 등 간격을 두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상부 깔개 및 이 상부 깔개 및 이 상부 깔개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하부 깔개 그리고 이들 상부 깔개와 하부 깔개의 테두리 부분을 결속시키는 결속요소로 이루어진 플로어 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깔개는 상기 통공 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 깔개에 형성된 통공은, 상기 탄성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확장되는 경사 통공 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판은 상기 상부 깔개의 상부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판부와, 상기 돌출판부와 상부 깔개의 일측을 연결하는 탄성편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 깔개는 상기 하부 깔개 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그 하부면에 상기 통공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결속요소는 지퍼 또는 스냅 파스너 또는 상호 홈과 돌부로 이루어진 끼움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는, 상부 깔개에 형성된 통공을 탄력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탄성판을 부가 구성하는 구조를 통해 신발 등과 같은 접촉부재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그 가압력에 의해 통공의 개방량을 확장시키고 접촉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위치 복귀되어 통공을 차폐시키므로 상기 상부 깔개와 하부 깔개 사이의 공간인 수용공간에 집진 된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매트가 설치된 주변환경에 대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이 있다.
특히,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 집진된 이물질이 통공을 통해 차량 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실내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산업상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를 구성하는 상부 깔개와 하부 깔개를 아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1)는 건물의 출입 문 일측 바닥에 깔거나 또는 차량 실내 바닥에 깔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차량 실내 바닥용으로 활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로어 매트(1)는 크게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 그리고 이들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된 결속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깔개(10)는 등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13)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 깔개(20)와는 이물질을 수용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깔개(10)는 그 하부면에 상기 통공(13)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지지돌기(15)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지지돌기(15)는 상기 하부 깔개(2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깔개(10)의 상부면으로 가해지는 답력을 흡수 완충시켜 쿠션감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부 깔개(10)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등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굴곡을 갖는 바닥면에도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표면 즉, 상부면에는 미감과 사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물지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깔개(20)는 그 저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면이나 또는 점착 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거나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21)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깔개(20)는 상기 상부 깔개(10)와 마찬가지로 고무재,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등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굴곡을 갖는 바닥면에도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 깔개(20)는 상기 상부 깔개(10)의 통공(13)을 통해 유입된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부에 쌓이는 곳으로 그 테두리부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결속요소는 다양한 형태로 제안가능하나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상기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를 견고하게 결속시켜 그 내부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측에 지퍼(3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똑딱이 단추 즉, 스냅 파스너가 적용되거나 또는 벨크로 테잎 또는 도 5에 나타낸 상호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의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면을 따라 형성된 홈(35a)과 돌부(35b)로 이루어진 끼움부재(35)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이물질 수용공간을 형성한 이중매트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통공(1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 사이의 공간 즉, 수용공간(s)내로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s)내에 집진 된 이물질이 상기 통공(13)을 통해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못하게 하여 주변 오염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깔개(10)의 통공(13) 일측에 상기 통공(13)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되는 탄성판(11)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탄성판(11)은 상기 상부 깔개(10)의 상기 통공(13) 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면서 상향 돌출되어 신발의 바닥면이 닿았을 때 하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판부(11a)와, 이 돌출판부(11a)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통공(13)의 일측을 가로질러 상부 깔개(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출판부(11a)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부(11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깔개(10)와 돌출판부(11a)를 연결하는 일측 부분은 그 두께를 증대시켜 상기 돌출판부(11a)의 반복적인 탄성 변위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탄성력을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보강부(11b)가 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판(11)에서 돌출판부(11a)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돌출시켜 신발 바닥면에 묻은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깔개(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5)가 단 순한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완충성을 높이면서 반복적인 압축 변형에도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주름관 즉, 벨로우즈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지지돌기(15)는 상부 깔개(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하부 깔개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는 앞서 설명한 플로어 매트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플로어 매트(1)는 상부깔개(10)에 수용공간(s)을 향하면서 지름이 확장되는 경사 통공(13a)을 형성한 것과, 이 경사 통공(13a)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5a)의 끝단부가 하부 깔개(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로어 매트(1)는, 출입이 잦은 현관문 앞에 놓이거나 또는 차량 실내 바닥에 놓여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발로 밟게 되면 탄성판(11)의 돌출판부(11a)가 눌려져 통공(13)의 개방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신발 바닥에 묻어 있거나 또는 신발 바닥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통공(13)을 통해 상기 하부 깔개(20)의 상부 즉, 수용공간(s)측으로 유입되어 집진되므로 상기 플로어 매트(1)가 놓인 주변에 대한 청결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플로어 매트(1)에서 벗어나는 경우 즉, 상부 깔개(10)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탄성판(11)에 가해지는 답력이 해소되므로 상기 돌출판부(11a)가 탄성편부(11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위치 복귀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통공(13)을 차폐하거나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s)내에 집진된 흙이나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즉, 상기 통공(13)을 통해 플로어 매트(1) 주변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어 매트(1)이 놓인 현관문 주변 또는 차량의 실내의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를 구성하는 상부 깔개와 하부 깔개를 아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에서 결합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에서 탄성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로어 매트
10 : 상부 깔개
20 : 하부 깔개

Claims (5)

  1. 등 간격을 두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통공(13)이 형성된 상부 깔개(10) 및 이 상부 깔개(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하부 깔개(20) 그리고 이들 상부 깔개(10)와 하부 깔개(20)의 테두리 부분을 결속시키는 결속요소로 이루어진 플로어 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깔개(10)는 상기 통공(13) 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신발의 바닥면에 닿았을 때 하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돌출되는 돌출판부(11a) 및 이 돌출판부(11a)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통공(13)의 일측을 가로질러 상부 깔개(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출판부(11a)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부(11c) 및 상기 상부 깔개(10)와 돌출판부(11a)를 연결하는 탄성편부(11c)의 일측 부분의 두께를 증대시켜 형성되는 보강부(11b)로 된 탄성판(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깔개(10)에 형성된 통공은, 상기 탄성판(1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확장되는 경사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매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깔개(10)는 상기 하부 깔개(2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게 그 하부면에 상기 통공(13)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지지돌기(1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요소는 지퍼(30) 또는 스냅 파스너 또는 상호 홈과 돌부로 이루어진 끼움부재(3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매트.
KR1020090026959A 2009-03-30 2009-03-30 플로어 매트 KR10106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59A KR101066348B1 (ko) 2009-03-30 2009-03-30 플로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59A KR101066348B1 (ko) 2009-03-30 2009-03-30 플로어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65A KR20100108765A (ko) 2010-10-08
KR101066348B1 true KR101066348B1 (ko) 2011-09-20

Family

ID=4312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59A KR101066348B1 (ko) 2009-03-30 2009-03-30 플로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09Y1 (ko) * 2013-04-09 2014-03-20 정재홍 자동차용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159A1 (de) 2016-07-04 2018-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Laderaumboden
CN109204097B (zh) * 2018-10-31 2021-08-10 四川特微能科技有限公司 理疗性车用脚垫
KR102355319B1 (ko) * 2020-05-15 202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풍 패드 시스템 및 통풍 패드의 제조방법
KR102481695B1 (ko) * 2020-07-02 2022-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풍 패드 시스템 및 통풍 패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79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매트의 고정구조
JP2003104114A (ja) * 2001-09-27 2003-04-0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防振用フロアマット
KR200395611Y1 (ko) 2005-06-27 2005-09-13 임범호 어린이용 다목적 방수매트
JP2009040235A (ja) * 2007-08-09 2009-02-26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79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매트의 고정구조
JP2003104114A (ja) * 2001-09-27 2003-04-0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防振用フロアマット
KR200395611Y1 (ko) 2005-06-27 2005-09-13 임범호 어린이용 다목적 방수매트
JP2009040235A (ja) * 2007-08-09 2009-02-26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09Y1 (ko) * 2013-04-09 2014-03-20 정재홍 자동차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65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348B1 (ko) 플로어 매트
KR20130107657A (ko) 자동차용 실내 매트
KR200472005Y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101722848B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101080004B1 (ko) 걸레장착구조를 갖는 로봇청소기
KR200407616Y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 보조매트
KR20130113167A (ko) 로봇 청소기
KR200346904Y1 (ko) 차량용 매트
KR20150093538A (ko) 플로어 매트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KR20120128861A (ko) 차량용 매트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WO2012161598A1 (en) A customized car mat
KR200343662Y1 (ko) 자동차용 매트 카바
KR200231125Y1 (ko) 차량용 깔판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KR19980055876U (ko) 자동차용 깔판
KR200353825Y1 (ko) 자동차용 보조 매트
KR20130093575A (ko) 차량용 매트
KR101183248B1 (ko) 자동차용 보조 깔판
KR101377034B1 (ko) 자동차용 매트
KR20240011440A (ko) 순정매트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순정매트 고정형 차량용 보조매트
KR200462556Y1 (ko) 일회용 자동차 보조 깔판
KR20130089063A (ko) 자동차용 보조 깔판
KR200383095Y1 (ko) 플랙시블한 차량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