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060B1 - 이중 매트 - Google Patents

이중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060B1
KR101618060B1 KR1020150000067A KR20150000067A KR101618060B1 KR 101618060 B1 KR101618060 B1 KR 101618060B1 KR 1020150000067 A KR1020150000067 A KR 1020150000067A KR 20150000067 A KR20150000067 A KR 20150000067A KR 101618060 B1 KR101618060 B1 KR 10161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urface portion
edge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글로벌더원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더원코리아(주) filed Critical 글로벌더원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00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들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수용되어서 자동차 실내 또는 현관 주변을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매트 가장자리에 흙, 머리카락 등로 인한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중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매트{A double mat}
본 발명은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로 이루어지는 이중 매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들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수용되어서 자동차 실내 또는 현관 주변을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매트 가장자리에 흙, 머리카락 등로 인한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중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편의 사양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자동차 바닥에 장착되는 플로어시트(라이닝이라고 함)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지를 이용한 것으로 자동차 실내 바닥 전체면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개재되는 플로어시트는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경감시키고 외부로 도출된 금속재의 자동차 프레임을 감싸 안락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상기 플로어시트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재질로서 미세한 먼지나 모래등이 침착하여 오염될 경우 물을 이용한 세척이 불가능하여 청결유지가 매우 난이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따라서 자동차 실내 바닥의 플로워시트 상측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신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매트(mat)를 안착시켜서 오염시 손쉽게 탈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 예의 이중매트가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0005579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부매트(110), 하부매트(120) 및 탄성밴드(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매트(110)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소위 찍찍이라고 불리우는 벨크로패스너(11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매트(110)에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은 상기 관통공으로 떨어져 하부매트(120)의 표면에 적재된다.
상기 하부매트(120)는 상기 상부매트(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표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관통공(111)으로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적재된다. 또한, 상기 하부매트의 테두리 상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벨크로패스너(112)와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21)가 형성되고 테두리 하면에는 플로어시트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2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밴드(130)는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를 서로 견고하게 결속하여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의 내부영역이 들뜨지 않게 하며, 상기 탄성밴드(130)에는 벨크로패스너(131)가 형성되어 플로어시트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매트는 상부매트나 하부매트가 오랜 사용으로 마모된 경우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이 분리하여 필요한 매트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매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중매트는 상부매트(1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12)가 상부매트(110)의 가장자리 상면부, 측면부 및 하면부를 감싸도록 부착되므로, 머리카락이나 섬유실 등이 벨크로패스너(112)에 부착되어서 진공청소기로도 흡입이 잘 안되어 청소자가 직접 떼어내어야하는 청소의 번거로움 있다.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00055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신발로부터 제거된 흙과 같은 이물질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카락이나 섬유실의 청소가 간편하도록 한 이중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이중매트는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와 결합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하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는 제1매직테이프와,
상기 하부매트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며 상기 제1매직테이프와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매직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1매직테이프는 상기 상부매트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 측면부 및 하면부를 갖는 제1베이스천과, 상기 하면부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2매직테이프는 상기 하부매트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 측면부 및 하면부를 갖는 제2베이스천과,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는 상기 각 하면부와 상면부 중에서 제1,2베이스천의 가장자리측 일부 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로 인한 상기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의 틈새공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천을 일부 접어서 재봉하여된 차단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매트는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가 상호 대향되는 제1,2베이스천(12a)(22a)의 하면부(12d)와 상면부(22b)에만 형성되므로, 자동차의 실내나 현관에 설치하여 사용시 머리카락이나 섬유실 등이 제1,2매직테이프(12)(22)에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둘째,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가 제1,2베이스천(12a)(22a)의 각 하면부(12d)와 상면부(22b)의 가장자리측에만 형성되므로,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에 머리카락이나 섬유실의 부착을 더욱 줄일 수 있게 하고,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차단띠(12f)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틈새공간부(30)로 흙, 머리카락 또는 섬유실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이중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4a는 제1매직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제1매직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2매직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중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매직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매트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로 이루어지는 이중매트로서,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들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수용되어서 주변을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를 부착시키는 벨크로테이프에 머리카락 또는 섬유실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매트를 나타낸 도 3 및 제1,2매직테이프(12)(22)를 나타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구멍(11)이 형성된 상부매트(10)와, 상기 상부매트(10)와 결합되어 상기 구멍(11)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하부매트(20)와, 상기 상부매트(10)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는 제1매직테이프(12)와, 상기 하부매트(20)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며 상기 제1매직테이프(12)와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매직테이프(22)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매직테이프(12)는 상기 상부매트(10)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12b), 측면부(12c) 및 하면부(12d)를 갖는 제1베이스천(12a)과, 상기 하면부(12d)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12e)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매직테이프(22)는 상기 하부매트(20)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22b), 측면부(22c) 및 하면부(22d)를 갖는 제2베이스천(22a)과, 상기 상면부(22b)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22e)로 구성된다.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2e)는 루프 루프(loop)형태이고, 제2벨크로테이프(22e)는 훅크형태로서 상호 탈부착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중매트는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가 상호 대향되는 제1,2베이스천(12a)(22a)의 하면부(12d)와 상면부(22b)에만 형성되므로, 자동차의 실내나 현관에 설치하여 사용시 머리카락이나 섬유실 등이 제1,2매직테이프(12)(22)에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진공청소기나 빗질에 의해서도 머리카락이나 섬유실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가 상호 대향되는 제1,2베이스천(12a)(22a)의 하면부(12d)와 상면부(22b)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 사이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노출된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에 머리카락이나 섬유실이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탈부착을 도 3의 이중매트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 6의 이중매트에 있어서,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하면부(12d)와 상면부(22b) 중에서 제1,2베이스천(12a)(22a)의 가장자리측 일부 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로 인한 상기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 사이의 틈새공간부(30)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천(12a)을 일부 접어서 재봉하여된 차단띠(12f)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중매트는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가 제1,2베이스천(12a)(22a)의 각 하면부(12d)와 상면부(22b)의 가장자리측에만 형성되므로,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에 머리카락이나 섬유실의 부착을 도 3의 이중매트보다 줄일 수 있게 하고,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차단띠(12f)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의 틈새공간부(30)로 흙, 머리카락 또는 섬유실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0...상부매트 11...구멍
12...제1매직테이프 20...하부매트
22...제2매직테이프

Claims (3)

  1.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구멍(11)이 형성된 상부매트(10)와,
    상기 상부매트(10)와 결합되어 상기 구멍(11)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하부매트(20)와,
    상기 상부매트(10)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는 제1매직테이프(12)와,
    상기 하부매트(20)의 가장자리에 재봉되며 상기 제1매직테이프(12)와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매직테이프(22)를 구비하며,
    상기 제1매직테이프(12)는 상기 상부매트(10)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12b), 측면부(12c) 및 하면부(12d)를 갖는 제1베이스천(12a)과, 상기 하면부(12d)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12e)로 구성되고,
    상기 제2매직테이프(22)는 상기 하부매트(20) 가장자리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상면부(22b), 측면부(22c) 및 하면부(22d)를 갖는 제2베이스천(22a)과, 상기 상면부(22b)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22e)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는 상기 각 하면부(12d)와 상면부(22b) 중에서 제1,2베이스천(12a)(22a)의 가장자리측 일부 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12e)(22e)로 인한 상기 상부매트(10)와 하부매트(20) 사이의 틈새공간부(30)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매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천(12a)을 일부 접어서 재봉하여된 차단띠(12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매트.
KR1020150000067A 2015-01-02 2015-01-02 이중 매트 KR10161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67A KR101618060B1 (ko) 2015-01-02 2015-01-02 이중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67A KR101618060B1 (ko) 2015-01-02 2015-01-02 이중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060B1 true KR101618060B1 (ko) 2016-05-04

Family

ID=5602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67A KR101618060B1 (ko) 2015-01-02 2015-01-02 이중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3Y1 (ko) * 2016-06-09 2017-08-24 주식회사 위엔씨 합성수지사 카 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19B1 (ko) 2013-06-25 2014-04-01 주식회사 루젠 자동차용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19B1 (ko) 2013-06-25 2014-04-01 주식회사 루젠 자동차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3Y1 (ko) * 2016-06-09 2017-08-24 주식회사 위엔씨 합성수지사 카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9444B2 (en) Versatile hook-and-loop fastener system
KR200471751Y1 (ko)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JP2007504048A (ja) 一体化したフック形被保持部を有する車両用フロアマット
KR200472005Y1 (ko) 차량용 바닥매트
US5358768A (en) Mat for the floor of a vehicle
KR101066348B1 (ko) 플로어 매트
KR200407616Y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 보조매트
KR101722848B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200346904Y1 (ko) 차량용 매트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KR20130058854A (ko) 자동차용 매트
KR101629092B1 (ko) 차량용 매트
KR20170041610A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3665A (ko) 차량용 청정매트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KR101661464B1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17404A1 (en) Touch-and-close fastener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ouch-and-close fastener part
US10000143B1 (en) Debris catching system for a child seat
KR20130005579U (ko) 자동차 이중매트
KR101759623B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200493777Y1 (ko) 자동차용 매트
KR20160002260U (ko) 차량용 매트
KR20240011440A (ko) 순정매트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순정매트 고정형 차량용 보조매트
KR20180003029A (ko)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