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51Y1 -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 Google Patents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51Y1
KR200471751Y1 KR2020130008159U KR20130008159U KR200471751Y1 KR 200471751 Y1 KR200471751 Y1 KR 200471751Y1 KR 2020130008159 U KR2020130008159 U KR 2020130008159U KR 20130008159 U KR20130008159 U KR 20130008159U KR 200471751 Y1 KR200471751 Y1 KR 200471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foreign matter
upper plate
lower plate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주
Original Assignee
김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주 filed Critical 김승주
Priority to KR2020130008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1 관통공을 갖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상기 제1 관통공 보다 작은 직경으로 밀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제2 관통공을 갖는 이물질역류 방지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와 상기 하판부재 사이에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을 청결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에 의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이 억제되어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Car Mat Having 3-overlapping Structure}
본 고안은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을 청결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는 매트가 설치된다. 예컨대, 5인승 승용차의 경우, 앞좌석인 운전석과 조수석, 뒷좌석인 운전석 뒤의 좌석과 조수석 뒤의 좌석과 그 중간의 바닥면 등 총 5개의 위치에 각각의 실내 바닥면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설계 및 제작된 매트가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용 매트는 시트 주변의 영역을 포함한 차체 바닥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실내 외관을 해치는 차체 용접 부위나 시트 주변 혹은 바닥 상에 부속된 여러 부품 및 구조물을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게 적절히 가려주어 차량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복수의 위사와 경사를 교직 성형하여 메쉬 구조의 패브릭으로 제조된 카펫형 매트를 많이 사용하였다. 상기 카펫형 매트는 촉감이 부드럽고 쿠션감이 좋은 이점을 갖는데 반해서, 마찰에 의한 표면 마모가 용이하여 수명이 짧고 탑승자의 신발에서 떨어진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 내부로 쉽게 흡수되거나 그물망 틈새에 끼이거나 주변으로 쉽게 흩어지게 되면서 악취와 먼지를 발생시켜 자동차의 실내 위생 상태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한 2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가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2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는 딱딱한 재질의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자동차 주행중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면 그 반동으로 인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 사이에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쉽게 위로 올라오면서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에 비산되어 자동차의 실내 위생 상태를 더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2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를 기재하고 있으며,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자동차 주행 중 심한 흔들림이 발생할 때 그 반동으로 인해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는다.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3-0004548호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을 청결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한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는, 복수의 제1 관통공을 갖는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상판부재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공을 갖는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하면에 결합된 하판부재;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공은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는 그 테두리에 형성된 자성체 또는 벨크로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부착되되, 그 사이에 수용된 이물질의 빠짐을 용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의 하단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또는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와 상기 하판부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판부재는 상면에 복수의 이물질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관통공을 갖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상기 제1 관통공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제2 관통공을 갖는 이물질역류 방지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와 상기 하판부재 사이에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을 청결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에 의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이 억제되어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 위생 상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된 구조 중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판부재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판부재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중 상판부재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중 일부를 뒤집어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와 하판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100)는, 상판부재(10),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및 하판부재(30)를 포함하는 3중 겹침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판부재(10)는 바람직하게 고무나 패브릭(fabric),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및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11)를 갖는 소정 두께의 판재이다. 다만, 본 고안의 상판부재(10)는 설치되는 차량 실내 바닥면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다양하게 설계 및 제작될 수 있으며, 상판부재(10)의 재료가 상기 재료로 한정되거나, 그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판부재(10)는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통과하여 하판부재(30)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관통공(12)을 갖는다. 이때, 복수의 제1 관통공(12)은 바람직하게 면적 대비 구성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제1 관통공(12)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은 물론 벌집모양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제1 관통공(12)의 형상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제1 관통공(12)은 이물질이 상측의 입구로부터 하측으로 유입은 되되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하판부재(30) 위에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위로 재차 올라오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햐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관통공(12)은 이물질을 유입하는 입구의 직경은 크지만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이물질의 하측으로의 유입은 허용하되 포집된 이물질의 상측으로의 역류는 더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제1 관통공(12)이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되면 방음 및 소음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기계음이나 탑승자가 움직이면서 내는 소음 등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소음이 제1 관통공(1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측 입구로 들어간 다음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하측 배출구를 통해 방사되면서 상기 소음이 매트 내에 갇히거나 주위로 흩어져 상쇄될 수 있다.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바람직하게 상판부재(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부재(10) 하면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PE, PVC 및 글래스화이버와 같은 섬유재질 중 하나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섬유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며, 그 원사 표면에 PE(폴리에틸렌) 또는 PVC로 이루어진 방수코팅부가 형성되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하여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후술하는 제2 관통공을 통해 하판부재(30) 쪽으로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세척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상판부재(10)의 복수의 제1 관통공(12)을 통해 유입된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통과하여 하판부재(30) 위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공(22)을 가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된 구조 중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관통공(22)은 이물질이 제1 관통공(12)으로부터 하측으로 유입은 되되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자동차의 주행 중 심하게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하판부재(30) 위에 쌓인 이물질이 역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관통공(12) 보다 작은 직경으로 더 밀집된 배열로 형성되어 상판부재(10) 하면에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를 결합했을 때 제1 및 제2 관통공(12, 22)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서로 일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탑승자가 매트를 발로 밟거나 주행 중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하판부재(30) 위에 포집된 이물질이 역류하면서 위로 올라오는 것을 억제하여 미세먼지가 자동차 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실내 위생 상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하판부재(30)는 바람직하게 상판부재(10)와 유사하게 고무나 패브릭,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및 EVA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막혀있는 소정 두께의 판재이다. 이때, 본 고안의 하판부재(30)는 상판부재(10) 및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설계 및 제조될 수 있으며, 다만 하판부재(30)의 재료가 상기 재료로 한정되거나, 그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판부재(30)는 제1 및 제2 관통공(12, 22)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모아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에 복수의 이물질 수용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용홈(32)은 바람직하게 내측으로 파인 오목한 형상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관통공(12, 22)을 통해 유입된 물기, 흙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면을 가지는 경우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물질 수용홈(32)은 필요시 생략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1 및 제2 관통공(12, 22)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의 수용 한계가 줄어들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상판부재(10)의 하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공(12)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하판부재(30) 위로 내려가지 않고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사이에 껴있는 경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고정 결합되지 않으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하단부 일부가 벌려져 개방될 수 있도록 마감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테두리부에는 자성체 또는 벨크로와 같은 제1 착탈수단(21)이 구비되며, 하판부재(30)의 테두리부에는 제1 착탈수단(21)과 대응되는 제2 착탈수단(3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와 하판부재(30)는 제1 및 제2 착탈수단(21, 31)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는 한 쌍의 암벨크로테이프와 숫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제1 착탈수단(21)으로 암벨크로테이프와 숫벨크로테이프 중 어떤 것을 붙여도 무방하며, 이에 따라 하판부재(30)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제2 착탈수단(31)은 제1 착탈수단(21)과 대응되도록 숫벨크로테이프 또는 암벨크로테이프 중 하나를 부착하면 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하판부재(3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일정량 이상 모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판부재(3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고정 결합되지 않고 벌려서 개방시킬 수 있는 열림부(미도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테두리부에는 벨크로와 같은 제1 착탈수단(21)이 구비되며, 제1 착탈수단(21)은 상판부재(10)의 테두리부(11)에 서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하판부재(30)의 상면에는 필요시 복수의 돌기와 같은 걸림턱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와 제1 착탈수단(21)으로 부착된 상판부재(10)가 이 돌기들에 걸림 고정되어 상판부재(10)가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및 하판부재(30)의 결합 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소정 두께의 고무, 패브릭,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및 EVA 중 하나로 이루어진 판재를 금형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관통공(12)을 갖는 상판부재(10)로 제조한다. 이때, 복수의 제1 관통공(12)은 필요시 하향 테이퍼진 형상으로 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PE, PVC 및 글래스화이버 중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원단을 제1 관통공(12) 보다 작은 직경으로 밀집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공(22)을 가지며 상판부재(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소정 두께의 고무, 패브릭,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및 EVA 중 하나로 이루어진 판재를 금형에 의해 상판부재(10)와 대응되는 형상의 하판부재(30)로 제조한다. 이때, 하판부재(30)의 상면에는 복수의 이물질 수용홈(3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판부재(10) 하면에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를 제1 및 제2 관통공(22, 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부착한다.
이때,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는 서로 고정 결합하되, 제1 관통공(12)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하판부재(30) 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사이에 껴있는 경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판부재(10)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고정 결합하지 않고 벌려서 개방시킬 수 있는 열림부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하면에 하판부재(30)를 부착하여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100)를 완성한다.
다음으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 하면 테두리와 하판부재(30)의 상면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게 자성체 또는 암수 한 쌍의 벨크로 중 하나로 이루어진 제2 탈착수단(31)을 이용하여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100)를 완성한다.
한편,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테두리부에는 자성체 또는 벨크로와 같은 제1 착탈수단(21)이 구비되며, 하판부재(30)의 테두리부에는 제1 착탈수단(21)과 대응되는 제2 착탈수단(3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와 하판부재(30)는 제1 및 제2 착탈수단(21, 22)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20)의 제1 착탈수단(21)은 상판부재(10)의 테두리부(11)와 서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상판부재 12 ; 제1 관통공
20 ;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22 ; 제2 관통공
30 ; 하판부재 32 ; 이물질 수용홈
100 ; 매트

Claims (5)

  1. 이물질이 유입되는 제1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된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면에서 위치하는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및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하부면에 설치되며 이물질수용홈이 구비된 하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재와 이물질역류 방지부재 및 하판부재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자동차용 매트로서,
    상기 상판부재는
    고무, 패브릭, 폴리비닐수지(PV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입구의 직경이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의 직경보다 큰 형상으로 상기 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는
    폴리에스테르, 글라스화이버(glass-fiber) 중 어느 하나의 원사로 이루어지며, 원사 표면에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 방수코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의 배출구 보다 작은 직경으로 밀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재는
    상기 상판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무, 패브릭, 폴리비닐수지(PV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판부재와 상기 이물질역류 방지부재의 테두리에 자성체 또는 벨크로로 형성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착탈수단; 및
    상기 제1착탈수단과 결합되도록 하판부재 상면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게 자성체 또는 벨크로가 형성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제2착탈수단;
    또는 상기 제1착탈수단과 결합되도록 하판부재 상면 테두리에 돌기와 같은 복수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제1착탈수단과 결합되되,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이물질역류방지부재 그리고 상기 이물질역류방지부재와 상기 하판부재는 일부가 고정 결합되지 않아 벌려서 개방되는 열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5. 삭제
KR2020130008159U 2013-10-02 2013-10-02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KR200471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59U KR200471751Y1 (ko) 2013-10-02 2013-10-02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59U KR200471751Y1 (ko) 2013-10-02 2013-10-02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51Y1 true KR200471751Y1 (ko) 2014-03-11

Family

ID=5148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59U KR200471751Y1 (ko) 2013-10-02 2013-10-02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5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99A (ko) * 2014-10-15 2016-04-25 이영이 차량용 매트
WO2016108304A1 (ko) * 2014-12-29 2016-07-07 글로벌더원코리아(주) 이중 도어매트
KR101738520B1 (ko) 2017-03-31 2017-05-22 황성현 차량용 다목적 깔판시스템
KR101964011B1 (ko) 2018-10-04 2019-03-29 백준열 자동차용 매트
KR200489463Y1 (ko) 2019-03-07 2019-09-30 장형석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는 이물질 유출 방지용 자동차 매트
KR20220121356A (ko) * 2021-02-25 2022-09-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직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미세 플라스틱 섬유 포집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395Y1 (ko) * 1998-06-16 2003-02-05 윤 정 신 자동차용깔판
KR20130004548U (ko) * 2013-07-01 2013-07-23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395Y1 (ko) * 1998-06-16 2003-02-05 윤 정 신 자동차용깔판
KR20130004548U (ko) * 2013-07-01 2013-07-23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99A (ko) * 2014-10-15 2016-04-25 이영이 차량용 매트
KR101629092B1 (ko) * 2014-10-15 2016-06-21 이영이 차량용 매트
WO2016108304A1 (ko) * 2014-12-29 2016-07-07 글로벌더원코리아(주) 이중 도어매트
KR101738520B1 (ko) 2017-03-31 2017-05-22 황성현 차량용 다목적 깔판시스템
KR101964011B1 (ko) 2018-10-04 2019-03-29 백준열 자동차용 매트
KR200489463Y1 (ko) 2019-03-07 2019-09-30 장형석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는 이물질 유출 방지용 자동차 매트
KR20220121356A (ko) * 2021-02-25 2022-09-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직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미세 플라스틱 섬유 포집체
KR102506290B1 (ko) * 2021-02-25 2023-03-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직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미세 플라스틱 섬유 포집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51Y1 (ko)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US6261667B1 (en) Mat used in cars
US8298644B2 (en) Floor mat
KR20130107657A (ko) 자동차용 실내 매트
US20070194592A1 (en) Vehicle Carpet System
JP2007504048A (ja) 一体化したフック形被保持部を有する車両用フロアマット
KR20170002513U (ko) 차량 내장 바닥재
KR20130058854A (ko) 자동차용 매트
KR200461151Y1 (ko) 자동차용 매트
US20020045029A1 (en) Mat used in cars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KR200392926Y1 (ko) 자동차용 바닥매트
KR20170004043U (ko) 차량용 바닥매트 성형 몰드 및 차량용 바닥매트
KR20170041610A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7099A (ko) 세척이 용이한 차량용 코일 바닥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JP2012157496A (ja) 敷物の裏張り材、敷物及び自動車用マット
KR101446750B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KR20240011440A (ko) 순정매트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순정매트 고정형 차량용 보조매트
CN213799377U (zh) 一种双层防水防污的汽车脚垫
CN205871812U (zh) 汽车脚垫
KR20130104461A (ko)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구조
KR101629092B1 (ko) 차량용 매트
CN217477178U (zh) 一种快速清洁地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