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820B1 -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820B1
KR101926820B1 KR1020170089304A KR20170089304A KR101926820B1 KR 101926820 B1 KR101926820 B1 KR 101926820B1 KR 1020170089304 A KR1020170089304 A KR 1020170089304A KR 20170089304 A KR20170089304 A KR 20170089304A KR 101926820 B1 KR101926820 B1 KR 10192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lcro
honeycomb
main body
shaped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익수
Original Assignee
(주)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현 filed Critical (주)동현
Priority to KR102017008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2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89Producing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게 설치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를 미리 박음질로 고정하고, 수벨크로부가 고정된 마감부재를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설치하는 공정만으로 매트본체의 하부로 수벨크로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서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벨크로부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매트로서,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매트본체;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본체를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시 매트본체가 밀지지 않도록 하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설치되는 수벨크로부로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car mat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벨크로부재를 편리하게 설치하도록 하고자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게 설치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를 미리 박음질로 고정하고, 수벨크로부가 고정된 마감부재를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설치하는 공정만으로 매트본체의 하부로 수벨크로부가 위치되게 한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승합차,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붙어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이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카페트나 시트 등이 오염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매트를 깔아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카매트는 통상 상부면에는 카페트와 같은 쿠션 효과를 얻기 위해 섬모가 식재되고, 하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매트는, 그 구조상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섬모 사이에 침투되어 흡착된 상태이므로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카매트의 섬모 사이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로 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여러 번 세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완전 건조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기술로서 도 1표시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12101호의 '자동차용 매트'가 게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바닥매트(100)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112)이 형성된 상부매트(110)와, 상기 상부매트(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구멍(112)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122)이 형성된 하부매트(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매트는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고,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분리하여 청소한 후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를 정확히 일치하여 결합시키기가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 2표시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12100호의 '자동차용 매트'가 게시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가장자리에 상부테두리턱(211)이 형성되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201)이 형성된 상부매트(210)와, 상기 상부테두리턱(211)과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하부테두리턱(221)이 형성되고 자동차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매트(22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매트(210), 상부테두리턱(211), 하부매트(220) 및 하부테두리턱(221)에 의해서 수용공간(230)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테두리턱(211)과 하부테두리턱(221)의 일부 구간이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매트는 상부매트(210)와 하부매트(220)가 일부 구간에서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결합되지 아니한 구간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청소 후 상부매트(210)와 하부매트(220)를 별도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으나, 결합되지 않는 구간이 존재함으로 이물질이 유출되어 차량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는 공통적으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매트의 두께가 그만큼 두꺼워지고 청소시와 재설치시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를 분리시키고 다시 부착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12101호, 자동차용 매트.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12100호, 자동차용 매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게 설치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를 미리 박음질로 고정하고, 수벨크로부가 고정된 마감부재를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설치하는 공정만으로 매트본체의 하부로 수벨크로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서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벨크로부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매트로서,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매트본체;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본체를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시 매트본체가 밀지지 않도록 하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설치되는 수벨크로부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로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일측단부에 수벨크로부를 미리 박음질로 고정하고, 상기 수벨크로부가 매트본체의 테두리 하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수벨크로부가 박음질된 마감부재를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벨크로부를 마감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은, 상기 수벨크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박음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벨크로부를 마감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은, 상기 수벨크로부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상기 마감부재의 뒷면에 맞대어 상기 지지부와 수벨크로부를 함께 박음질하되, 상기 수벨크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양단부에 수평을 이루게 박음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본체는: 고무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 및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매트본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도록 내부에 충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매트 제조방법으로서, 고무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와,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지는 매트본체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매트본체의 이물질 포집부재와 바닥부재의 테두리를 함께 감쌀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마감부재를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마감부재의 일측단부에 벨크로부재의 수벨크로부를 박음질로 고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수벨크로부가 박음질된 마감부재를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수벨크로부가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위치되도록 상기 마감부재를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 및 카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벨크로부가 미리 박음질로 고정된 마감부재를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설치함으로서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벨크로부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매트구조를 가짐으로서 두께가 얇고 편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카매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에 구비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가 고정되는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에 구비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가 고정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실물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실물 일부부을 찍은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저면 일부분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에 구비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가 고정되는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에 구비되는 마감부재에 수벨크로부가 고정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실물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실물 일부부을 찍은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의 저면 일부분을 찍은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는 매트본체(0와 마감부재(120) 및 벨크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본체(110)는 차량의 실내 바닥 모양을 따라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트본체(110)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112)와,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112)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재(11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112)는 5~10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물질 포집부재(112)가 5㎜ 미만으로 형성되면, 먼지 및 이물질이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이물질 포집부재(112)에 포집된 이물질이 유출될 우려가 있고, 10mm를 초과하면 상기 매트본체(110)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112)는 고무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발포공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공정을 통해 발포체로 형성된 이물질 포집부재(112)는 카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쿠션감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트본체(110)는 탑승자의 신발에 붙어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이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112)에 포집되어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20)는 상기 매트본체(110)를 구성하는 이물질 포집부재(112)와 바닥부재(114)의 테두리를 따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20)는 상기 매트본체(110)의 두께보다, 즉 이물질 포집부재(112)와 마감부재(12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성되도록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마감부재(120)의 내부에 충진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재(122)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벨크로부재(130)는 상기 마감부재(12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본체(110)를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시 매트본체(110)가 밀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벨크로부재(130)는 수벨크로부(132)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수벨크로부(132)가 상기 마감부재(120)의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벨크로부(132)는 5mm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벨크로부재(130)를 상기 마감부재(120)의 하부면으로만 설치되도록 하고자, 상기 마감부재(120)를 상기 매트본체(110)의 테두리부에 설치전에 상기 수벨크로부(132)를 상기 마감부재(120)의 일측단부에 수벨크로부(132)를 미리 박음질(S)로 고정하고, 상기 수벨크로부(132)가 매트본체(110)의 테두리 하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수벨크로부(132)가 박음질(S)된 마감부재(120)를 상기 매트본체(110)의 테두리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벨크로부(132)를 마감부재(120)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S)은, 도 6표시와 같이 상기 수벨크로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박음질(S)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벨크로부(132)를 마감부재(120)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S)은, 도 7 내지 도 8표시와 같이 상기 수벨크로부(132)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상기 마감부재(120)의 뒷면에 맞대어 상기 지지부(134)와 수벨크로부(132)를 함께 박음질(S)하되, 상기 수벨크로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양단부에 수평을 이루게 박음질(S)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수벨크로부(132)를 상기 마감부재(120)의 일측단부에 미리 박음질(S)로 고정한 상태에서 마감부재(120)를 매트본체(110)의 테두리에 설치함으로서 수벨크로부(132)를 매트본체(110)의 하부면으로만 위치되도록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매트 제조방법은, 제1 단계로써 고무재나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112)와,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11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바닥부재(114)로 이루어지는 매트본체를 준비한다.
또한, 제2 단계로써 상기 매트본체(110)의 이물질 포집부재(112)와 바닥부재(114)의 테두리를 함께 감쌀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마감부재(120)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마감부재(120)에 제3 단계로써, 상기 마감부재(120)의 일측단부에 벨크로부재(130)의 수벨크로부(132)만을 박음질(S)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벨크로부(132)만이 박음질(S)된 마감부재(120)를 제4 단계로써, 상기 매트본체(110)의 테두리를 상기 마감부재(120)로 감싸도록 설치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수벨크로부(132)가 상기 마감부재(120)의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위치되도록 상기 마감부재(120)를 매트본체(1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수벨크로부(132)를 하부면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벨크로부(132)를 마감부재(120)의 일측단부에 미리 박음질(S)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본체(110)의 테두리에 마감부재(120)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매트본체(110)의 두께가 얇아져 사용상의 편리성 및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매트본체 112 - 이물질 포집부재
114 - 바닥부재 120 - 마감부재
130 - 벨크로부재 132 - 수벨크로부

Claims (7)

  1.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고무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인 이물질 포집부재와 이 이물질 포집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재로서 이루어지는 매트본체;
    상기 매트본체(1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들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가 구비되는 설치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테두리 하부면에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매트본체를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시 매트본체가 밀리지 않도록 하는 수벨크로부로 이루어지는 벨크로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벨크로부를 마감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은, 상기 수벨크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벨크로부를 마감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박음질은, 상기 수벨크로부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상기 마감부재의 뒷면에 맞대어 상기 지지부와 수벨크로부를 함께 박음질하되,
    상기 수벨크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양단부에 수평을 이루게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5. 삭제
  6. 삭제
  7. 고무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벌집 모양의 허니콤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부재와, 상기 이물질 포집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지는 매트본체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매트본체의 이물질 포집부재와 바닥부재의 테두리를 함께 감쌀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들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마감부재를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마감부재의 일측단부에 벨크로부재의 수벨크로부를 박음질로 고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수벨크로부가 테두리 하부면으로만 위치되도록 하여 박음질된 마감부재를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제4 단계;
    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매트 제조방법.
KR1020170089304A 2017-07-13 2017-07-13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KR10192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04A KR101926820B1 (ko) 2017-07-13 2017-07-13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04A KR101926820B1 (ko) 2017-07-13 2017-07-13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820B1 true KR101926820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304A KR101926820B1 (ko) 2017-07-13 2017-07-13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56U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바닥코리아 카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56U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바닥코리아 카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402C (en) Anti-rotation arrow retainer and clip
US8298644B2 (en) Floor mat
US10807508B2 (en) Two-piece all-weather floor mat with integrated snap-fit locking feature
DE102013112699B4 (de) Sitz für ein Fahrzeug
KR200471751Y1 (ko)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US20070092687A1 (en) Vehicle mat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US5358768A (en) Mat for the floor of a vehicle
CN108349590A (zh) 飞机座椅装置
KR20170002513U (ko) 차량 내장 바닥재
CN105358369A (zh) 车辆用座椅
US20170066357A1 (en) Fixing structure for surface skin, and vehicle seat
KR20130058854A (ko) 자동차용 매트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KR200468489Y1 (ko) 자동차용 보조 매트
KR20130063665A (ko) 차량용 청정매트
US20080213540A1 (en) Floor ma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89225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629092B1 (ko) 차량용 매트
KR200472712Y1 (ko) 자동차용 중앙이중매트
RU211528U1 (ru) Коврик в багажник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JP7353552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50093538A (ko) 플로어 매트
KR101874358B1 (ko) 차량용 이중 매트
KR20200002698U (ko) 차량용 매트의 바닥커버부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