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89Y1 - 자동차용 보조 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89Y1
KR200468489Y1 KR2020110011297U KR20110011297U KR200468489Y1 KR 200468489 Y1 KR200468489 Y1 KR 200468489Y1 KR 2020110011297 U KR2020110011297 U KR 2020110011297U KR 20110011297 U KR20110011297 U KR 20110011297U KR 200468489 Y1 KR200468489 Y1 KR 200468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t
core material
auxiliary ma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869U (ko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글로벌더원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더원코리아(주) filed Critical 글로벌더원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10011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8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실내 플로어 바닥에 배치되고 소성 변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하부 매트의 중간에는 발포시트로 구성된 쿠션재가 배치되고, 쿠션재의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는 암,수 형태의 벨크로 테이프가 배치되며, 벨크로 테이프의 내부에 변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심재가 배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매트{AN AUXILIARY MAT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실내 바닥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소성 변형성을 부여함으로써, 차종 및 차량 바닥면 형태에 관계없이 밀착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보조 매트는 깔판 구조로 구성되며, 고무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깔판을 밟으면 신발의 흙이 깔판의 돌기에 의해 보다 잘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 깔판 위에 모여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깔판은 흙이 깔판에 어느 정도 모이게 되면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주변을 오히려 오염시키게 되는 결함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개선된 선행기술이 본 고안의 고안자가 출원한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 20-2009-0012101호에 나타나 있다. 이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매트와, 상부매트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매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보조 매트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에 먼지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고 상,하부매트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자동차용 보조 매트는 발포수지 또는 고무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후방측 실내 중앙 바닥에 형성된 돌출부 상에 배치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용 보조 매트(10)의 소재 특성상 차량의 실내 플로어(50)의 돌출부(55)에 밀착되지 못하고 자체 복원 탄성력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차량의 실내 플로어(50)와 자동차용 보조 매트(10) 사이에 틈새 공간이 형성되며, 이 틈새 공간 내부로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보조 매트(10)가 자동차 플로어(50) 바닥과 밀착되지 못하고 제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차량의 바닥 돌출부(55)의 높이 및 크기가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용 보조 매트(10)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3802호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 플로어의 돌출부 상에 배치된 후에 들뜨는 현상을 예방하여 차량의 실내 플로어와 자동차용 보조 매트 사이에 틈새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보조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차량의 플로어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의 크기 및 형태에 관계없이 밀착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보조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며 소성 변형 가능한 심재를 구비하며,
상기 심재는 외주연 둘레를 따라 오목한 홈 형태의 절곡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는 쿠션재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심재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길이가 상기 심재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외측에서 상기 수용홈 내부로 상기 심재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틈새부가 형성된다.
첫째, 소성 변형 가능한 심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소성 변형성을 부여함으로써,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밀착되게 배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심재에 다수개의 절곡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종 및 바닥면의 돌출부 형상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수용홈 및 틈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작과정에서 심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보조 매트가 차량 실내 바닥면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상,하부 매트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심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 심재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상,하부 매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매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매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은 차량 실내 바닥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소성 변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자동차용 보조 매트는 상,하부 매트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단일 매트로 된 것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매트의 일 실시 예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하부 매트(100)(200)의 중간에는 발포시트로 구성된 쿠션재(110)(210)가 배치되고, 쿠션재(110)(210)의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는 암,수 형태의 벨크로 테이프(120)(220)가 배치되며, 벨크로 테이프(120)(220)의 내부에 변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심재(300)가 배치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쿠션재(110)(210)는 상부 매트(100)의 경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매트(200)의 경우에는 구멍(112)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다수의 오목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벨크로 테이프(120)(220)는 상부 매트(100)의 테두리에 배치된 것은 암 벨크로 테이프를 채용하고, 하부 매트(200)의 경우에는 숫 벨크로 테이프를 채용한다.
심재(300)는 벨크로 테이프(120)(220)의 일부위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소성 변형을 위해 금속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심재(300)는 절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연 둘레에 오목한 홈 형태의 절곡홈(305)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절곡홈(305)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심재(300)의 형상 변형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꺾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 심재(300)는 상부 매트(100), 하부 매트(200) 또는 상,하부 매트(100)(20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쿠션재(110)(2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심재(3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수용홈(215)이 형성된 것이다.
수용홈(215)의 길이는 심재(300)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심재(300)가 수용홈(215) 내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심재(300)를 수용홈(215) 내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보조 매트(10)는, 그 제조과정은 심재(300)를 쿠션재(110)(210)의 가장자리 일측에 배치하거나, 또는 수용홈(215) 내에 진입시킨 후에 쿠션재(110)(210)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벨크로 테이프(120)(220)를 봉제하면 제작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심재(300)는 쿠션재(110)(210)의 둘레 가장자리중 장변에 해당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매트(100) 또는 하부 매트(200)에 배치되거나 상,하부 매트(100)(200)에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작과정이 완료된 자동차용 보조 매트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심재(300)가 벨크로 테이프(120)(220)와 쿠션재(110)(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소성 변형이 가능한 심재(300)에 의해 쿠션재(110)(210)의 형상도 같이 가변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 실내 플로어(50)에 다양한 형태의 돌출부(55)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그 돌출부(55) 형상에 대응되도록 자동차용 보조 매트(10)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용 보조 매트(10)와 플로어(50)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재(300)의 일측 외주연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절곡홈(305)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용 보조 매트(10)의 절곡성이 향상되어 차량 실내 후방측 플로어(50)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밀착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재(300)가 수용홈(215) 내에 억지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심재(30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심재(300)가 쿠션재(110)(210)측에 고정된 상태로 쿠션재(110)(210)와 벨크로 테이프(120)(220)를 봉제할 수 있으므로, 봉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심재(300)가 벨크로 테이프(120)(220)의 외측에서 수용홈(215) 내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120)(220)에 틈새부(225)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벨크로 테이프(120)(220)와 쿠션재(110)(210)의 봉제 작업에 의한 결합이 완료된 후에 심재(300)를 틈새부(225)를 통해 내부의 수용홈(215) 내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50) 바닥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자동차용 보조 매트(10)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종에 따라 변형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홈(215)과 틈새부(225)를 형성하여 심재(30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고, 제작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차용 보조 매트 50 : 플로어
55 : 돌출부 100 : 상부 매트
110 : (상부)쿠션재 112 : 구멍
120 : (상부)벨크로 테이프 200 : 하부 매트
210 : (하부)쿠션재 212 : 홈
215 : 수용홈 220 : (하부)벨크로 테이프
225 : 틈새부 300 : 심재
305 : 절곡홈

Claims (4)

  1. 중앙에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구멍(112) 또는 홈(212)이 형성된 쿠션재(110)(210)와,
    상기 쿠션재(110)(2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벨크로 테이프(120)(220)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120)(22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며 소성 변형 가능한 심재(300)를 구비하며,
    상기 심재(300)는 외주연 둘레를 따라 오목한 홈 형태의 절곡홈(305)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120)(2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쿠션재(110)(21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심재(300)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15)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215)의 길이가 상기 심재(300)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120)(220)는 외측에서 상기 수용홈(215) 내부로 상기 심재(300)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틈새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KR2020110011297U 2011-12-20 2011-12-20 자동차용 보조 매트 KR200468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97U KR200468489Y1 (ko) 2011-12-20 2011-12-20 자동차용 보조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97U KR200468489Y1 (ko) 2011-12-20 2011-12-20 자동차용 보조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69U KR20130003869U (ko) 2013-06-28
KR200468489Y1 true KR200468489Y1 (ko) 2013-08-21

Family

ID=5139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297U KR200468489Y1 (ko) 2011-12-20 2011-12-20 자동차용 보조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71B1 (ko) * 2013-09-17 2014-07-18 주식회사 루젠 굽힘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매트
KR101501010B1 (ko) * 2013-09-23 2015-03-18 글로벌더원코리아(주) 차량용 매트의 재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34U (ko) * 1988-07-06 1990-01-25
KR20090012101U (ko) * 2009-10-21 2009-11-26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34U (ko) * 1988-07-06 1990-01-25
KR20090012101U (ko) * 2009-10-21 2009-11-26 이상연 자동차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69U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75B1 (ko) 조립식 매트
JP5458523B2 (ja) フロアサイレンサ
KR200468489Y1 (ko) 자동차용 보조 매트
JP2016188068A (ja) 車両フロアカバー保持器具
US20200047650A1 (en) Injection-molded hook strip type seat covering fixing structure for a seat cushion of a car
KR200468425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210375B1 (ko) 작업용 바닥매트
JP5941294B2 (ja) 車両用フロアマット
KR101209866B1 (ko) 차량용 플로어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EP3670219B1 (en) Sun vi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n visor
US20210178865A1 (en) Sun vi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n visor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619145B1 (ko) 차량용 매트
JPH0634104Y2 (ja) 自動車用等のマット
KR200468426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835332B1 (ko) 자동차용 매트
JP2016035184A (ja) フロアパネル
CN210792994U (zh) 一种汽车顶杂物盒防收缩结构及车辆
KR200493269Y1 (ko) 가장자리 접힘을 위한 v자 홈 라인이 형성된 차량용 매트
EP2119584B1 (en) Supporting and housing assembly for a covering for a vehicle
KR200489225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2629839B1 (ko) 주차공간 바닥에 설치하는 차량감지 센서 및 그 설치구조
JPH0534448Y2 (ko)
CN210235114U (zh) 车用底盘维修孔盖板
CN210823445U (zh) 一种可进行成套回收的循环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