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79U - 자동차 이중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이중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79U
KR20130005579U KR2020120002048U KR20120002048U KR20130005579U KR 20130005579 U KR20130005579 U KR 20130005579U KR 2020120002048 U KR2020120002048 U KR 2020120002048U KR 20120002048 U KR20120002048 U KR 20120002048U KR 20130005579 U KR20130005579 U KR 20130005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lcro fastener
elastic band
upper ma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득
Original Assignee
김용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득 filed Critical 김용득
Priority to KR2020120002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579U/ko
Publication of KR20130005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테두리 내부영역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운반이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플로어시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매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이중매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중매트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테두리 상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벨크로패스너와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고 테두리 하면에는 자동차의 플로워시트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하부매트와; 양단부가 상기 상부매트의 각 모서리 양변에 대각방향으로 고정된 다수의 탄성밴드를 포함하여서, 상기 탄성밴드를 하부매트의 저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이중매트{DOUBLE M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이중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테두리 내부영역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운반이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플로어시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매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이중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편의 사양을 구비하고, 그 가운데 자동차 바닥에 장착되는 플로어시트(라이닝이라고 함)은 부직포와 같은 직물지를 이용한 것으로 자동차 실내 바닥 전체면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개재되는 플로어시트는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경감시키고 외부로 도출된 금속재의 자동차 프레임을 감싸 안락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상기 플로어시트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재질로서 미세한 먼지나 모래등이 침착하여 오염될 경우 물을 이용한 세척이 불가능하여 청결유지가 매우 난이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자동차 실내 바닥의 플로워시트 상측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신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매트(mat)를 개재하여 오염시 손쉽게 탈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용 매트에 있어 국내 특허공개 제1997-74212호에서는 "다수개의 통공이 몸체에 형성된 다공판과; 다수개의 돌출요소가 몸체에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다공판과 받침판을 상하로 겹쳐 테두리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용 매트는 신발에 묻어 있는 흙을 분리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청소시에도 상, 받침판을 분리하여 간편하게 털어 낼 수 있고, 또한 세탁이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세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매트는 다공판과 받침판이 테두리에서만 서로 결합되므로 테두리 내부 영역은 다공판과 받침판이 서로 들뜬 상태가 되어 운반이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플로어시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매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이중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테두리 상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벨크로패스너와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고 테두리 하면에는 플로어시트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하부매트와; 양단부가 상기 상부매트의 각 모서리 양변에 대각방향으로 고정된 다수의 탄성밴드를 포함하여서, 상기 탄성밴드를 하부매트의 저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이중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매트의 저면으로 이동된 탄성밴드가 플로어시트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밴드의 일부구간에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는 상부매트나 하부매트가 오랜 사용으로 마모된 경우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이 분리하여 필요한 매트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매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탄성밴드로 인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유동되거나 들뜨는 현상없이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상부매트의 평면도이며,
도3는 도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상부매트의 평면도이며, 도3는 도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매트는 상부매트(110), 하부매트(120) 및 탄성밴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매트(110)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소위 찍찍이라고 불리우는 벨크로패스너(11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은 바둑판 배열이나 격자 배열등과 같이 일정한 배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매트(110)에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은 상기 관통공으로 떨어져 하부매트(120)의 표면에 적재된다. 따라서, 상부매트의 표면에는 흙이나 이물질이 없기 때문에 미관이 좋게 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 하부매트(120)는 상기 상부매트(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표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관통공(111)으로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적재된다. 또한, 상기 하부매트의 테두리 상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벨크로패스너(112)와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21)가 형성되고 테두리 하면에는 플로어시트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1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의 재질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EVA(Ethylene-Vinyl Acet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VA는 가격이 저렴하고 충격흡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트의 성질에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매트는 탄성밴드(13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밴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상부매트의 각 모서리 양변에 대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밴드(130)를 하부매트(120)의 저면측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매트(120)를 상부매트(110)측으로 끌어당기므로,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의 테두리 내부영역이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어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의 내부영역이 들뜨지 않게 되므로, 운반이나 사용이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밴드(130)의 일부구간에도 벨크로패스너(13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상기 하부매트(120)의 저면으로 이동된 탄성밴드(130)의 벨크로패너스너(131)가 플로어시트에 부착되어, 본 고안에 따른 이중매트가 플로어시트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이중매트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이나 자동차의 플로어시트 위에 배치하여 사용할 때는 탄성밴드(130)를 하부매트(120)의 저면측으로 이동시켜 탄성밴드(1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매트(110)와 하부매트(120)가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그러면, 탄성밴드(130)는 하부매트(120)의 저면에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운전 중 신발과의 간섭도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하부매트(120)의 벨크로패너스(122)는 이중매트의 테두리부분을 자동차의 플로어시트에 부착시키고, 탄성밴드에 형성된 벨크로패스너(131)는 이중매트의 테두리 내부영역을 자동차의 플로어시트에 부착시키게 되므로, 이중매트가 견고하게 플로어시트에 부착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이중매트는 상부매트나 하부매트가 오랜 사용으로 마모된 경우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이 분리하여 필요한 매트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매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탄성밴드로 인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유동되거나 들뜨는 현상없이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잇점이 있다.
110: 상부매트 120: 하부매트
130: 탄성밴드

Claims (3)

  1.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테두리 상면에는 상기 상부매트의 벨크로패스너와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고 테두리 하면에는 자동차의 플로워시트에 부착되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되는 하부매트와;
    양단부가 상기 상부매트의 각 모서리 양변에 대각방향으로 고정된 다수의 탄성밴드를 포함하여서,
    상기 탄성밴드를 하부매트의 저면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가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중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트의 저면으로 이동된 탄성밴드가 플로어시트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밴드의 일부구간에는 벨크로패스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중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재질은 E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중매트.
KR2020120002048U 2012-03-15 2012-03-15 자동차 이중매트 KR201300055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48U KR20130005579U (ko) 2012-03-15 2012-03-15 자동차 이중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48U KR20130005579U (ko) 2012-03-15 2012-03-15 자동차 이중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79U true KR20130005579U (ko) 2013-09-25

Family

ID=5243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48U KR20130005579U (ko) 2012-03-15 2012-03-15 자동차 이중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5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05Y1 (ko) * 2013-12-12 2014-04-02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용 바닥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05Y1 (ko) * 2013-12-12 2014-04-02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용 바닥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7657A (ko) 자동차용 실내 매트
TW201515874A (zh) 車用踏墊結構
US20120019022A1 (en) Vehicle floor mats with replaceable aspects
US8316490B1 (en) Diaper changing pad
KR200471751Y1 (ko)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KR20130005579U (ko) 자동차 이중매트
US10245983B1 (en) Off-road performance seat
JP6939126B2 (ja) 乗物用シート
KR200468425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722848B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CA2771952A1 (en) Disposible car mats
KR20130063665A (ko) 차량용 청정매트
KR20130058854A (ko) 자동차용 매트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KR20130104461A (ko)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구조
KR20120134899A (ko) 자동차용 매트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KR20130093575A (ko) 차량용 매트
KR200489225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2045754B1 (ko) 차량용 보조 매트
KR200472712Y1 (ko) 자동차용 중앙이중매트
CN205871812U (zh) 汽车脚垫
CN103640506A (zh) 一种应用于汽车上的地毯
CN202847508U (zh) 一种新型的汽车大包围脚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