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413B1 -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413B1
KR101556413B1 KR1020080130045A KR20080130045A KR101556413B1 KR 101556413 B1 KR101556413 B1 KR 101556413B1 KR 1020080130045 A KR1020080130045 A KR 1020080130045A KR 20080130045 A KR20080130045 A KR 20080130045A KR 101556413 B1 KR101556413 B1 KR 10155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
locker
striker
cab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363A (ko
Inventor
윤성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4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도어 개폐 시스템은, 캐빈바디(2)와 이 캐빈바디에 힌지(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트라이커(3); 상기 캐빈바디(2)와 상기 도어(5)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거나 그로부터 해제 가능하며, 상기 도어(5)가 상기 캐빈바디(2)로 닫힐 시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록커(6); 및 상기 캐빈바디(2)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안내수단(13)을 통해 상기 캐빈바디(2)의 내외부로 뻗는 케이블(14)을 매개로 하여 상기 록커(6)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14)을 통해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14)의 외측단에 구비된 잠금해제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로 하여금 지면과 가까운 위치에서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이 캐빈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건설 중장비 등의 도어(또는 출입문)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캐빈 내의 운전석에 접근 또는 착석할 수 있게 한다.
캐빈, 도어, 개폐, 시스템

Description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Door opening/locking system for cabin}
본 발명은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캐빈의 바닥까지의 높이가 비교적 높아 사다리 등과 같은 보조기구를 통해 캐빈 내의 운전석에 접근 가능한 건설 중장비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굴삭, 지면고르기, 지면다지기, 무거운 물체의 승강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굴삭기는 작업기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며, 굴삭기의 작업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진 작업기를 각 해당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휠로더(Wheel loader)는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을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휠로더는 차량의 전측에 설치되어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과, 이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버킷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버킷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킷은 붐의 하강시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에 의해 하부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흙, 모래 등과 같은 분말형태의 작업물을 화물차량 등에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의 캐빈바디(2)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3)와, 상기 캐빈바디(2)의 일측에 힌지(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거나 그로부터 해제되는 록커(6)를 포함한다. 통상, 상기 스트라이커(3)는 고정형 고리형태를 이루고 상기 록커(6)는 가동형 후크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록커(6)가 구비된 상기 도어(5)의 내외측 대응부분에는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각각 내측해제레버(미도시)와 외측해제레버(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빈(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의 하부 일측부분과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바디(2)의 하부에 고정된 발판(8)과, 이 발판에 고정된 사다리(9)를 더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5)와 인접한 캐빈바디(2)의 일측부와 상기 사다리(9)의 양측에는 각각 난간(handrail)(10)이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손으로 사다리(9)의 난간(10)을 잡고서 상기 사다리(9)를 밟고 일정높이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도어(5)의 외측해제레버(7)를 당겨 상기 캐빈바디(2)의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도어(5)의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운전자는 한 손으로 상기 캐빈바디(2)의 난간(1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도어(5)를 개방시킨 후, 상기 사다리(9)로부터 상기 발판(8)을 통해 상기 캐빈바디(2)의 내부로 들어가 운전석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다리(9) 또는 발판(8)에 오른 상태에서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 한 손은 난간(10)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도어(5)의 외측해제레버(7)를 당기게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개폐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매우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발판(8)의 높이를 고려할 때 운전자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다리(9)의 높은부분 또는 발판(8)에 오른 상태에서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운전자의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쏠려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로 하여금 지면과 가까운 위치에서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이 캐빈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건설 중장비 등의 도어(또는 출입문)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캐빈 내의 운전석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빈바디와 이 캐빈바디에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트라이커; 상기 캐빈바디와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거나 그로부터 해제 가능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빈바디로 닫힐 시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록커; 및 상기 캐빈바디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캐빈바디의 내외부로 뻗는 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상기 록커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상기 록커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의 외측단에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는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상기 잠금해제부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상기 록커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캐빈바디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상기 록커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한 로프이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로프를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커와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상기 록커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은 전선이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시키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커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커에 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잠금해제부를 캐빈의 외부에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지면과 가까운 위치에서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이 캐빈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건설 중장비 등의 도어(또는 출입문)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캐빈 내의 운전석에 접근 또는 착석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트라이커(3), 록커(6) 및 잠금해제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라이커(3)는 캐빈바디(2)와 이 캐빈바디에 힌지(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상기 록커(6)는 상기 캐빈바디(2)와 상기 도어(5)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거나 그로부터 해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록커(6)는 상기 도어(5)가 상기 캐빈바디(2)로 닫힐 시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캐빈바디(2)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안내수단(13)을 통해 상기 캐빈바디(2)의 내외부로 뻗는 케이블(14)을 매개로 하여 상기 록커(6)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케이블(14)을 통해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14)의 외측단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3)와 상기 록커(6)는 각각 공지요소들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예컨대 상기 스트라이커(3)는 고정형 고리형태, 그리고 상기 록커(6)는 가동형 후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탄성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2)는 상기 잠금해제부(11)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도어(5)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캐빈바디(2)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케이블(14)은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한 로프(14a)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로프(14a)를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1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수단(13)은 상기 로프(14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홀(13a)을 통해 외부로 통하는 가이드롤러(13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빈바디(2)의 하부에 구비된 발판(8)에는 상기 안내수단(13)을 통해 캐빈바디(2)의 외부로 뻗은 로프(14a)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홀(8a)이 구비되고, 사다리(9)에는 상기 안내수단(13)을 통해 캐빈바디(2)의 외부로 뻗은 로프(14a)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고리(9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실시예로, 상기 록커(6)와 상기 케이블(14)의 선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14)은 전선(14b)이고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액추에이터(15)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시키는 버튼(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튼(11b)은 습기, 우수 등에 의한 누전을 차단할 수 있는 멤브레인 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수단(13)은 상기 전선(14b)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홀(13a)을 포함하는 형태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빈바디(2)의 하부에 구비된 발판(8)에는 상기 안내수단(13)을 통해 캐빈바디(2)의 외부로 뻗은 전선(14b)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홀(8b)이 제공되고, 사다리(9)에는 상기 안내수단(13)을 통해 캐빈바디(2)의 외부로 뻗은 전선(14b)를 잡아줄 수 있게 하는 패스너(9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12)는 코일 또는 판 형태의 스프링, 가스 스프링 또는 댐퍼, 고무 또는 수지 재질의 탄성체 등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탄성부(12)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2a)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댐퍼는 캐빈(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시스템은 양측에 각각 도어(5)와 사다리(9)가 구비된 캐빈(1)을 포함하는 중장비의 경우, 상기 캐빈(1)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도어 개폐 시스템을 상기 캐빈(1)의 한쪽에만 나타내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바람직한 작동을 도 2와 도 3 및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차례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경우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캐빈(1)의 사다리(9) 가까이의 지면에 접근한 상태에서 캐빈바 디(2)의 외부로 뻗어있는 손잡이(11a)를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11a)를 통해 로프(14a)가 상기 캐빈바디(2)의 안내수단(13)을 통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로프(14a)의 선단부와 연결된 록커(6)가 당겨져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도어(5)는 탄성부(12)에 의해 상기 캐빈바디(2)로부터 개방된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도어(5)의 개방에 따른 불필요한 동작(예컨대, 상체를 구부려 기존의 외측해제레버를 당기는 동작 등)을 취하지 않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캐빈바디(2) 내의 운전석에 접근 또는 착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의 경우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캐빈(1)의 사다리(9) 가까이의 지면에 접근한 상태에서 캐빈바디(2)의 외부로 뻗어있는 버튼(11b)을 누르면, 전선(14b)을 통해 액추에이터(15)로 전류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액추에이터(15)와 연결된 록커(6)가 당겨져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도어(5)는 탄성부(12)에 의해 상기 캐빈바디(2)로부터 개방된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도어(5)의 개방에 따른 불필요한 동작(예컨대, 상체를 구부려 기존의 외측해제레버를 당기는 동작 등)을 취하지 않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캐빈바디(2) 내의 운전석에 접근 또는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빈 2; 캐빈바디
3: 스트라이커 4: 힌지
5: 도어 6: 록커
8: 발판 9: 사다리
10: 난간 11: 잠금해제부
11a: 손잡이 11b: 버튼
12: 탄성부 13: 안내수단
14: 케이블 14a: 로프
14b: 전선 15: 액추에이터

Claims (4)

  1. 운전자가 사다리 또는 난간을 이용하여 운전석에 탑승할 수 있는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캐빈바디(2)와 이 캐빈바디에 힌지(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트라이커(3);
    상기 캐빈바디(2)와 상기 도어(5)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거나 그로부터 해제 가능하며, 상기 도어(5)가 상기 캐빈바디(2)로 닫힐 시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록커(6); 및
    일측이 상기 록커(6)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빈바디(2)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사다리 또는 상기 난간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캐빈바디(2)의 외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3)와 상기 록커(6)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케이블(14)과, 상기 캐빈바디(2)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1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수단(13)을 포함하는 잠금해제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케이블(14)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14)을 운전자가 운전석 탑승 전에 잡아당겨 상기 도어(5)를 개방시킬 수 있는 손잡이(11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1a)는,
    상기 사다리 또는 상기 난간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11)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도어(5)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캐빈바디(2)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탄성부(12)를 더 포함하는 것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4)은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한 로프(1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6)와 상기 케이블(14)의 선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3)로부터 상기 록커(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14)은 전선(14b)이고 상기 잠금해제부(11)는 상기 액추에이터(15)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시키는 버튼(11b)인 것인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KR1020080130045A 2008-12-19 2008-12-19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KR10155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45A KR101556413B1 (ko) 2008-12-19 2008-12-19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45A KR101556413B1 (ko) 2008-12-19 2008-12-19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63A KR20100071363A (ko) 2010-06-29
KR101556413B1 true KR101556413B1 (ko) 2015-10-01

Family

ID=4236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045A KR101556413B1 (ko) 2008-12-19 2008-12-19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103B1 (ko) 2012-01-30 2018-08-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빈의 도어 개폐장치
WO2014092214A1 (ko) * 2012-12-12 2014-06-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WO2016172854A1 (en) * 2015-04-28 2016-11-03 Guangxi Liugong Machinery Co., Ltd. Operator's cab arrangement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6748409B2 (ja) * 2015-08-24 2020-09-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7032168B2 (ja) 2018-02-14 2022-03-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を含むシステム
JP7049921B2 (ja) * 2018-05-29 2022-04-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用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7061946B2 (ja) 2018-08-31 2022-05-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用キャブ、作業機械、および自動開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599A (ja) 1998-11-25 2000-06-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
KR100818235B1 (ko) * 2007-05-30 2008-04-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599A (ja) 1998-11-25 2000-06-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
KR100818235B1 (ko) * 2007-05-30 2008-04-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도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63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13B1 (ko)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JP4196368B2 (ja)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ー装置
KR100945190B1 (ko)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
US46886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fly section of crane boom
CN105507698A (zh) 用于车门的辅助移动装置
KR102146343B1 (ko) 휠체어 리프트의 안전 잠금 및 해정장치
AU2006277083B2 (en) Boom uplock arrangement
CA2593050A1 (en)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op door for improved ingress/egress
US7896316B2 (en) Truck crane
CA2240872A1 (en) Backhoe boom lock
JP3922511B2 (ja) 旋回式作業機
JP4772841B2 (ja) ローダ作業機の作業具装着装置
CN204151843U (zh) 进出用梯子和用于进出用梯子的释放机构
US20080023206A1 (en) Adjustable operator interface
EP1054108A2 (en) Post arrangement
JP5874650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H07238572A (ja) 建設機械の非常時脱出構造
JP3869201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090080353A (ko)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JP2001234558A (ja)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ー装置
KR100934946B1 (ko) 운전실캡 라이저가 장착되는 굴삭기
KR200435485Y1 (ko) 고소차량용 탑승장치
US20170130419A1 (en) Latch assembly for service pin of machine
JP4342812B2 (ja) ロック装置付きドアはね上げ装置
CN208412881U (zh) 压缩式后装垃圾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